KR102481014B1 -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014B1
KR102481014B1 KR1020150147552A KR20150147552A KR102481014B1 KR 102481014 B1 KR102481014 B1 KR 102481014B1 KR 1020150147552 A KR1020150147552 A KR 1020150147552A KR 20150147552 A KR20150147552 A KR 20150147552A KR 102481014 B1 KR102481014 B1 KR 10248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embers
segmental
segmen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3477A (en
Inventor
서호성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74,28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85364B2/en
Publication of KR2016014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 기기는,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여 다수의 분절부재의 회동에 의해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와,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와, 몸체가 구부러진 상태일 때 몸체가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과, 몸체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포함한다.The disclosed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ody capable of being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and a bent state by rotation of a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including a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pivot, a flexible display element supported by the body, and a body It includes a return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body is converted to an unfolded state when the body is in a bent state, and a locking unit that locks the body into a plurality of bent state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로 전환가능한 전자 기기가 개시된다.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n annularly bent state and an unfolded state is disclosed.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다. 전자 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는 접철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태의 전자 기기에서는 두 개의 몸체가 접철 구조에 의하여 연결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접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두 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철 구조의 전자 기기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BACKGROU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munication terminals, game machines, multimedia devices, portable computers, and photographing devices include display elements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s often have a foldable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into a smaller size for portability convenience. In this type of electronic device, two bodies are connected by a folding structure. Since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s a non-foldable structure, the display device may be disposed on either one of the two bodi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a large-area display element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foldable structure.

근래에 들어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개발됨에 따라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로 전환가능하여 인체, 예를 들어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형 전자 기기 또는 거치형 전자 기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s flexible display elements that can be bent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flexible display elements can be switched to annularly bent and unfolded states and applied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s or stationary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for example, the wrist. research is in progress.

다양한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being bent with various curvatures is provided.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회동에 의해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몸체가 구부러진 상태일 때 상기 몸체가 상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몸체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포함한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body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a unfolded state and a bent state by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including a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pivot; a flexible display element supported by the body; a return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body is converted to the unfolded state when the body is in a bent state; and a locking unit for locking the body in a plurality of bent state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상기 로킹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1단부분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타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2단부 분절부재쪽으로 연장된 와이어; 상기 제2단부 분절부재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상기 풀리의 상기 와이어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시킬 수 있다.The locking unit has one end connected to a first end segment member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and a second end segment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through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a wire extending toward the member; A pulley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end segment member and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by selectively allowing rotation of the pulle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unwound, the body is moved to the plurality of bent parts. can be locked into a state.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풀리에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풀리에 마련되는 다수의 걸림부; 상기 다수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풀리의 상기 와이어를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로킹위치와, 상기 다수의 걸림부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를 갖는 걸림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wound around the pulley; A plurality of hooking parts provided on the pulley; A locking lever having a locking position for blocking rotation of the pulle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unwound by being caught on the plurality of hooking parts, and a release position released from the plurality of hooking parts.

상기 걸림부는 상기 풀리가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걸림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The catching portion may switch the catching lever to the releasing position when the pulley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wound.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걸림 레버에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걸림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는 해제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lever in a direction positioned at the release position; A release button for converting the engaging lever to the release posi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몸체가 펼쳐진 상태인 때에 초기 변형량을 가질 수 있다.The return spring may have an initial deformation amount when the body is in an unfolded state.

상기 복귀 스프링은 초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turn spring may be formed of a superelastic material.

상기 다수의 분절 부재는 폭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큰 제1분절부재와, 상기 제1분절부재의 양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2, 제3분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may include a first segmental member having at least one of a width and a length larger than other segmental memb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and third segmental memb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1분절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element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1 내지 제3분절부재에 지지되는 제1 내지 제3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element may include first to third elements supported by the first to third segmental members.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 제2단부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제2분절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밴드; 상기 제1, 제2밴드를 연결하는 버클;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include first and second end segment members positioned at both ends, and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band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gment members; A buckl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ands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 제2단부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제2분절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 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include first and second end segment members positioned at both ends,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gment members and elastically deformed. can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by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A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a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electrically connected by a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is further provided,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troller and the battery may be provided in the body. .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마련된 분절 수용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space may be formed by segmental accommodating units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상술한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상태에 로킹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locked in multiple state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도 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구부러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몸체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몸체가 접힐 때에 분절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X-X' 단면도이다.
도 8은 분절부재의 일 예로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하부커버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도 9d는 몸체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도 10은 복귀 스프링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로킹유닛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몸체의 다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배치 형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배치 형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6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9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0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3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side view of an unfolded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in a bent state.
Figure 4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body in an unfolded state.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segmental members and connecting members when the body is folded.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XX′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as an example of a segmental member.
9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lower cover.
Figure 9b is a plan view of Figure 9a.
Figure 9c is a YY'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9a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fully unfolded.
Fig. 9d is a YY' cross-sectional view of Fig. 9a in a state where the body is annularly bent.
10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eturn spring.
11 i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of a locking unit.
1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states of the body.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1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of flexible display elements.
1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of flexible display elements.
1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FIG. 1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6 is annularly bent.
1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1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2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2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FIG. 2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1 is annularly bent.
2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FIG. 2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3 is annularly b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n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ize or thickness of each component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도 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side view of an unfolded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nularly bent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는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1)와, 몸체(1)의 상면에 지지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를 구비한다. 전자 기기는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 또는 착용이 가능한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거치형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ody 1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an annular bent state and an open state, and a flexible display element 2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1 .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portable 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munication terminal, a game machine, a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computer, and a photographing device, or may be a stationary electronic devic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1)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외측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패널(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터치 패널(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2)은 투명 보호 패널(23)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다양한 광학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panel 21 displaying images and a transparent protection panel 23 disposed outside the flexible display panel 21 . 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22 as an input means. The touch panel 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protection panel 23 and the flexible display panel 21 . 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 may further include various optical panels or optical films.

몸체(1)에는 전자 기기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입출력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영상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인 경우, 제어부는 영상/음향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제어부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는 영상/음향 입출력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에 통합된 터치 패널(22)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body 1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an input/output unit (not shown) that perform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lectronic device. If the electronic device is a multimedia terminal capable of enjoying video and music,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video/sou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a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e input/output unit may include an image/audio input/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user manipulation. The manipul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touch panel 22 incorporated in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

전자 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데, 이때 몸체(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내측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를 지지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환형으로 구부러진다. 환형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전자 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예를 들어 손목, 팔목 등에 착용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자전거의 핸들, 유모차의 핸들, 쇼핑 카트의 핸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bent in an annular shape as shown in FIG. 3, where the body 1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nside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and is bent in an ann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ll. By being bent in an annular shap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worn on a human body, for example, a wrist or wrist, as shown in FIG. 3, or can be installed on a handle of a bicycle, a handle of a stroller, or a handle of a shopping cart (not shown).

몸체(1)는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분절부재(310)는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몸체(1)는 펼쳐진 상태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로의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되는 몸체(1)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body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310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rotate. A plurality of articulating members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rotate. By this, the body 1 can be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and an annularly bent state.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body 1 that is converted into a unfolded state and a bent st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몸체(1)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가 길이 방향(L), 즉 몸체(1)가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다수의 분절부재(310)는 다수의 연결부재(320)에 의하여 순차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분절부재(310)는 상단부(311)와 하단부(312)를 구비한다. 상단부(311)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지지된다. 상단부(311)와 하단부(312)는 각각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몸체(1)의 외측과 내측을 의미한다. 상단부(311)의 길이는 하단부(312)의 길이보다 짧다. 분절부재(310)는 상단부(311)와 하단부(312)를 연결하는 제1측단부(314)와 제2측단부(315)를 구비한다. 제1측단부(314)는 인접하는 다른 분절부재(310)의 제2측단부(315)와 대향된다. 제1측단부(314)는 인접하는 다른 분절부재(310)의 제2측단부(315)와 쐐기 모양을 형성한다.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상단부(31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를 지지하는 지지면(319)을 형성한다. 4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body 1 in an unfolded state. Referring to FIG. 4 , a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ar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L,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1 is bent.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are sequentially and rotatab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320 . Each segmental member 310 has an upper end 311 and a lower end 312 . The upper portion 311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 The upper end 311 and the lower end 312 refer to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body 1 based on the bending direction,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311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part 312 . The segmental member 310 has a first side end 314 and a second side end 315 connecting the upper end 311 and the lower end 312 . The first side end portion 314 is opposed to the second side end portion 315 of the adjacent segmental member 310 . The first side end portion 314 forms a wedge shape with the second side end portion 315 of the adjacent segmental member 310 . Upper ends 311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form a support surface 319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

각각의 연결부재(320)는 대응되는 분절부재(기준 분절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쪽에 위치되는 두 개의 분절부재(회동 분절부재)를 기준 분절부재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기준 분절부재와 두 회동 분절부재에는 연결핀(313)이 마련된다. 연결부재(320)에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313)이 삽입되는 중심홀(323)이 마련되며, 중심홀(323)의 양측에는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313)들이 삽입되는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이 마련된다.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은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두 회동 분절부재의 하단부(312)가 기준 분절부재의 하단부(312)에 대하여 접근/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두 회동 분절부재를 안내한다.Each connection member 320 connects two segment members (rotation segment membe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segment member (reference segment member) to be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egment member. To this end, connection pins 313 are provided on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and the two rotational segmental members. The connecting member 320 is provided with a central hole 323 into which the connecting pins 313 of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are inserted, an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hole 323, a first portion into which the connecting pins 313 of the two pivoting segmental members are inserted. ,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the lower ends 312 of the two pivoting segmental membe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approach the lower end 312 of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with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as the center. /Guide the two pivoting segment members to rotate in a spaced apart direction.

예를 들면, 연결부재(320-2)는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310-2)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310-1)(310-3)를 기준 분절부재(310-2)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한다. 연결부재(320-2)의 중심홀(323)에는 기준 분절부재(310-2)의 연결핀(313)이 삽입된다. 연결부재(320-2)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는 각각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3)이 삽입된다. 제1가이드 슬롯(321)은 펼쳐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1단부(321a)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2단부(321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 슬롯(322)은 펼쳐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1단부(322a)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2단부(322b)를 구비한다.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320-2 is based on the corresponding reference segmental member 310-2 and the rotation segmental members 310-1 and 310-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310. -2) to be connected so that it can be rotated. The connecting pin 313 of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310-2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323 of the connecting member 320-2. The connecting pins 313 of the pivoting segment members 310-1 and 310-3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of the connecting member 320-2, respectively. The first guide slot 321 has a first end 321a corresponding to an open state and a second end 321b corresponding to an annularly bent state. Similarly, the second guide slot 322 has a first end 322a corresponding to the unfolded state and a second end 322b corresponding to the annularly bent state.

몸체(1)가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상단부(3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지면(319)에 지지된다. 몸체(1)가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두께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중립선(neutral line)(도 4: 25)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은 그 중심이 중립선(25)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때의 중립선(25)의 길이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중립선(25)의 길이보다 길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손상될 수 있다. 반대로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때에 지지면(319)의 길이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지지면(319)의 길이보다 짧아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지지면(319)으로부터 들뜨게 되며 불균일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319 formed by the upper ends 311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when the body 1 is in a unfolded state and a bent state. In order to minimize the stres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when the body 1 is converted to the unfolded state, a neutral lin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FIG. 4: 25) should be kept constant.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may have an arc shape whose center is located on the neutral line 25 . When the length of the neutral line 25 when the body 1 is annularly ben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neutral line 25 in the unfolded state,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may be damaged. Conversely, if the length of the support surface 319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surface 319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body 1 is annularly bent,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s lifted from the support surface 319 and bent unevenly. can lose

일 예로서, 기준 분절부재(310-2)를 기준으로 할 때에, 대응되는 연결부재(320-2)의 제1가이드 슬롯(321)은 중심이 분절부재(310-1)의 제2측단부(315)의 연장선과 중립선(25)과의 교점, 또는 분절부재(310-2)의 제1측단부(314)의 연장선과 중립선(25)과의 교점에 위치되는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분절부재(310-1)의 제2측단부(315)의 연장선과 분절부재(310-2)의 제1측단부(314)의 연장선과 중립선(25)은 한 점에서 만나고, 연결부재(320-2)의 제1가이드 슬롯(321)은 이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320-2)의 제2가이드 슬롯(322)은 중심이 분절부재(310-2)의 제2측단부(315)의 연장선과 중립선(25)과의 교점, 또는 분절부재(310-3)의 제1측단부(314)의 연장선과 중립선(25)과의 교점에 위치되는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분절부재(310-2)의 제2측단부(315)의 연장선과 분절부재(310-3)의 제1측단부(314)의 연장선과 중립선(25)은 한 점에서 만나고, 연결부재(320-2)의 제2가이드 슬롯(322)은 이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몸체(1)가 구부러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중립선(25)의 길이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310-2 is used as a reference, the center of the first guide slot 321 of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member 320-2 is the second side end of the segmental member 310-1. Along the arcuate path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extension line of 315 and the neutral line 25, or the intersection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side end 314 of the segmental member 310-2 and the neutral line 25 It may be in an extended form. The extension of the second side end 315 of the segmental member 310-1, the extension of the first side end 314 of the segmental member 310-2, and the neutral line 25 meet at one point, and the connecting member ( The first guide slot 321 of 320-2) may be extended along an arcuate path centered on this intersection.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second guide slot 322 of the connecting member 320-2 is the intersection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side end 315 of the segmental member 310-2 and the neutral line 25, or the segmental member (310-3) may be in the form of extending along an arcuate path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side end 314 and the neutral line (25). The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side end portion 315 of the segmental member 310-2,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side end portion 314 of the segmental member 310-3, and the neutral line 25 meet at one point, and the connecting member ( The second guide slot 322 of 320-2 may be extended along an arcuate path centered on this intersec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neutral line 25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may not change when the body 1 is bent or unfolded.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분절부재(310-1)(310-n)에는 각각 하나씩의 인접되는 분절부재(310-2)(310-n-1)만이 존재하므로, 대응되는 연결부재(320-1)(310-n)는 각각 제2가이드 슬롯(322)과 제1가이드 슬롯(321)만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조에 있어서 부품의 종류를 줄이기 위하여 연결부재(320-1 ~ 320-7)를 모두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320-1)의 제2가이드 슬롯(322)과 분절부재(310-2)의 연결핀(313)만 연결하고, 연결부재(320-n)의 제1가이드 슬롯(321)과 분절부재(310-n-1)의 연결핀(313)만 연결하면 된다. Since only one segment member 310-2 (310-n-1) adjacent to each other exists in the outermost segment member (310-1) (310-n),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member (320-1) 310-n may include only the second guide slot 322 and the first guide slot 321, respectively.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type of parts in manufacturing, all of the connecting members 320-1 to 320-7 may be manufactured identically. In this case, only the second guide slot 322 of the connecting member 320-1 and the connecting pin 313 of the segmental member 310-2 are connected, and the first guide slot 321 of the connecting member 320-n ) and the connecting pin 313 of the segmental member 310-n-1.

도 4에서는 연결부재(320-1 ~ 320-n)가 겹쳐져서 표시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20-1 ~ 320-n)는 몸체(1)의 폭방향(W)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In FIG. 4, the connecting members 320-1 to 320-n are shown overlapping, but as shown in FIG. 8 described later, the connecting members 320-1 to 320-n are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 ( W) is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전자 기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3)이 각각 연결부재(320-2)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1단부(321a)(322a), 즉 중심홀(323)로부터 먼 단부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몸체(1)에 접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리려는 힘이 작용되더라도 연결핀(313)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1단부(321a)(322a)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몸체(1)는 구부러지지 않는다. In the fully unfolded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ng pins 313 of the segmental members 310-1 and 310-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of the connecting member 320-2 ( The first ends 321a and 322a of 321 and 322, that is, are located at ends far from the center hole 323. In this state, even if a force to bend the body 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ending direction is applied, the connecting pin 313 is attached to the first ends 321a and 322a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Being constrained, the body 1 does not bend.

몸체(1)에 접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외력이 작용되면, 분절부재(310-1 ~ 310-n)는 세 개씩 쌍을 이루어 가운데에 위치되는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회동 분절부재가 기준 분절부재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을 따라 회동된다. 이때,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313)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 의하여 안내된다. When an external force that bends in the folding direction is applied to the body 1, the segmental members 310-1 to 310-n are paired in pairs, centering on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located in the middle. Two rotations located on both sides The segmental member rotat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of the connec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ns 313 of the two pivoting segmental members located on both sides are guided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도 5는 몸체(1)가 접힐 때에 분절부재(310-1 ~ 310-3)와 연결부재(320-2)의 연결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분절부재(310-2)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310-1)(310-3)는 연결부재(320-2)에 마련된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을 따라 회동된다.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회동은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3)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2단부(321b)(322b)에 도달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3)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2단부(321b)(322b)에 도달되면, 회동 분절부재(310-1)(310-3)는 더이상 회동되지 않는다.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gmental members 310-1 to 310-3 and the connecting member 320-2 when the body 1 is folded. Referring to FIG. 5, the rotational segmentation members 310-1 and 310-3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reference segmental member 310-2 ar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320-2 ( 321) rotates along (322).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segment members 310-1 and 310-3 is caused by the connecting pins 313 of the pivoting segment members 310-1 and 310-3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It may be performed until the second ends 321b and 322b are reached. When the connecting pins 313 of the rotation segment members 310-1 and 310-3 reach the second ends 321 b and 322 b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the rotation segment member (310-1) (310-3) is no longer rotat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수의 분절부재(310) 각각이 그 양측의 회동 분절부재의 회동의 기준이 되는 기준 분절부재로서 기능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는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가 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310 functions as a reference segment member serving as a reference for rotation of the rotation segment members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body 1 is bent in an annular shape as shown in FIG. 3 . can be

분절부재(310-1)가 기준 분절부재로 기능하는 경우에 인접한 분절부재(310-2)는 연결부재(320-1)의 제2가이드 슬롯(322)에 의하여 원호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되며, 분절부재(310-3)가 기준 분절부재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양쪽에 위치되는 분절부재(310-2)(310-4)가 연결부재(320-3)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 의하여 원호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된다. When the segmental member 310-1 functions as a reference segmental member, the adjacent segmental member 310-2 is guided to rotate in a circular arc direction by the second guide slot 322 of the connecting member 320-1, When the segmental member 310-3 functions as a reference segmental member, the segmental members 310-2 and 310-4 located on both sides are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of the connecting member 320-3. ) 322 guides it to rotate in an arc direction.

본 실시예의 몸체(1)에 따르면, 분절부재(310-1 ~ 310-n) 각각이 기준 분절부재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분절부재(310-1 ~ 310-n)는 상호 구속되어 순차로 대응되는 연결부재(320)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을 따라 순차로 회동된다. 따라서,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상단부(3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지면(319)이 균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dy 1 of this embodiment, each of the segmental members 310-1 to 310-n functions as a reference segmental member. Therefore, the segmental members 310-1 to 310-n are constrained to each other and sequentially rotat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321 and 322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upport surface 319 formed by the upper ends 311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310 in an annularly bent state can have a uniform curvature.

도 6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X-X' 단면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XX′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는 몸체(1)와, 몸체(1)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 및 몸체(1)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귀 스프링(3)을 포함한다. 도 6에서는 몸체(1)의 폭방향(W)으로 배열된 3개의 복귀 스프링(3)이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두 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복귀 스프링(3)이 몸체(1)의 폭방향(W)으로 배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ody 1, a flexible display element 2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1, and a return spring 3 installed across the body 1. In FIG. 6, three return springs 3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body 1 are shown, but two or less return springs 3 or more than four return springs 3 are provided in the width of the body 1 as needed. It may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W).

몸체(1)는 다수의 상부커버(100)와 이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하부커버(200)를 구비한다. 다수의 상부커버(100)와 다수의 하부커버(200)는 상호 결합되어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부커버(100-1 ~100-n)와 하부커버(200-1 ~ 200-n)가 상호 결합되는 도 4에 도시된 분절부재(310-1 ~ 310-n)를 형성한다. The body 1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covers 100 and a plurality of lower covers 200 respectively corresponding thereto. A plurality of upper covers 100 and a plurality of lower covers 200 are mutually coupled to form a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shown in FIG. 4 . For example, the upper covers 100-1 to 100-n and the lower covers 200-1 to 200-n form segment members 310-1 to 310-n shown in FIG. 4 coupled to each other. .

도 7을 참조하면, 하부커버(200)의 양측벽(20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핀(202)이 마련된다. 상부커버(100)에는 돌출핀(202)을 수용하는 오목부(101)가 마련된다. 하부커버(200)의 양측벽(201)을 외측으로 약간 벌리면서 돌출핀(202)을 오목부(101)에 밀어넣음으로써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의 결합방법은 일 예이며, 이에 의하여 본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 protruding pins 202 protruding inward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201 of the lower cover 200 . A concave portion 101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pin 202 is provided in the upper cover 100 . The upper cover 100 and the lower cover 200 may be coupled by pushing the protruding pin 202 into the concave portion 101 while slightly opening the side walls 201 of the lower cover 200 outward. The coupling method of the upper cover 100 and the lower cover 200 shown in FIG. 7 is an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pper cover 100 and the lower cover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도 8은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는 일 예로서 분절부재(310-2)(310-3)(310-4)에 대응되는 상부커버(100-2)(100-3)(100-4)와 하부커버(200-2)(200-3)(200-4)가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커버(100-2)(100-3)(100-4)의 상단부(111)는 분절부재(310-2)(310-3)(310-4)의 상단부(311)에 대응된다. 하부커버(200-2)(200-3)(200-4)의 하단부(210)은 분절부재(310-2)(310-3)(310-4)의 하단부(312)에 대응된다. 또, 하부커버(200-2)(200-3)(200-4)의 제1, 제2측단부(211)(212)는 각각 분절부재(310-2)(310-3)(310-4)의 제1, 제2측단부(314)(315)에 대응된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cover 100 and the lower cover 200. 8, as an example, the upper cover 100-2, 100-3, 100-4 and the lower cover 200-2 corresponding to the segmental members 310-2, 310-3, and 310-4. ) (200-3) (200-4) are shown. Referring to FIG. 8, the upper ends 111 of the upper covers 100-2, 100-3, and 100-4 are the upper ends 311 of the segmental members 310-2, 310-3, and 310-4. ) corresponds to The lower ends 210 of the lower covers 200-2, 200-3, and 200-4 correspond to the lower ends 312 of the segmental members 310-2, 310-3, and 310-4.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ide ends 211 and 212 of the lower covers 200-2, 200-3, and 200-4 are segmented members 310-2, 310-3, and 310-4, respectively. Corresponds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ends 314 and 315 of 4).

연결부재(320-2)(320-3)(320-4)가 연결핀(313)에 의하여 상부커버(100-2)(100-3)(100-4)에 결합됨으로써 상호 회동가능한 분절부재(310-2)(310-3)(310-4)가 형성된다. 상부커버(100-2)(100-3)(100-4)에는 연결핀(313)이 삽입되는 삽입구(112)가 마련된다. 상부커버(100-2)(100-3)(100-4)에 대응되는 연결부재(320-2)(320-3)(320-4)가 각각 상부커버(100-2)(100-3)(100-4)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핀(313)을 삽입구(112)에 삽입함으로써 상부커버(100-2)(100-3)(100-4)와 연결부재(320-2)(320-3)(320-4)가 서로 결합된다. The connecting members 320-2, 320-3, and 320-4 are coupled to the upper covers 100-2, 100-3, and 100-4 by the connecting pins 313, thereby mutually rotatable segment members. (310-2) (310-3) (310-4) are formed. Insertion holes 112 into which connection pins 313 are inserted are provided in the upper covers 100-2, 100-3, and 100-4. The connecting members 320-2, 320-3, and 320-4 corresponding to the upper covers 100-2, 100-3, and 100-4 are respectively upper covers 100-2 and 100-3. Connected to the upper cover 100-2, 100-3, and 100-4 by inserting the connecting pin 313 into the insertion hole 112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in 313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 (100-4). The members 320-2, 320-3, and 320-4 are coupled to each other.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연결핀(313)이 삽입구(112)에 깊숙히 삽입됨으로써 측벽(103)과 연결핀(313)의 단부와의 사이의 삽입부(112)의 공간이 하부커버(200)의 삽입돌기(202)를 수용하는 오목부(101)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부커버(1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gain, as the connecting pin 313 is deep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2, the space of the insertion part 112 between the side wall 103 and the end of the connecting pin 313 is lower cover 200 It can be used as a concave portion 101 for accommodating the insertion protrusion 202 of.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upper cover 100 can be simplified.

분절부재(310-1 ~ 310-n)는 몸체(1)가 펼쳐진 상태 및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전자 기기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절부재(310-1 ~ 310-n)는 길이방향(L)으로 일측에 위치되는 분절부재의 길이방향(L)의 일부(도 9a 내지 도 9d의 연장부(232))를 그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는 구조(도 9a 내지 도 9d의 몰입부(234))를 가진다. 일 예로서, 분절부재(310)를 형성하는 하부커버(200)에 전술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gmental members 310-1 to 310-n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ody 1 is unfolded or annularly bent. To this end, the segmental members 310-1 to 310-n include a part (extension part 232 of FIGS. 9A to 9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segmental member locat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immersed portion 234 of FIGS. 9A to 9D). As an exampl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lower cover 200 forming the segmental member 310 .

도 9a는 하부커버(2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몸체(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도 9d는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lower cover (200). Figure 9b is a plan view of Figure 9a. FIG. 9C is a Y-Y' cross-sectional view of FIG. 9A when the body 1 is fully unfolded. 9D is a Y-Y' cross-sectional view of FIG. 9A in a state where the body 1 is annularly bent.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하부커버(200-1 ~ 200-n) 각각은 그 외표면(231)으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고 길이방향(L)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하부커버와 중첩되도록 연장된 연장부(232)를 구비한다. 연장부(232)는 예를 들어 하부커버(200-1 ~ 200-n) 각각의 제2측단부(315)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하부 커버의 제1측단부(314)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 하부커버(200-1 ~ 200-n) 각각은 길이방향(L)으로 연장부(232)의 반대쪽, 즉 제1측단부(314) 쪽에 내표면(233)으로부터 몰입되게 형성되어, 길이방향(L)의 타측에 위치된 다른 하부커버의 연장부(232)가 수용되는 몰입부(234)가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인접하는 두 하부커버 사이의 틈새가 연장부(232)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9A to 9C, each of the lower covers 200-1 to 200-n is stepped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231 and extends to overlap with another lower cover locat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t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portion 232. The extension portion 232 may extend from the second side end portion 315 of each of the lower covers 200-1 to 200-n toward the first side end portion 314 of the adjacent lower cover. In addition, each of the lower covers 200-1 to 200-n is formed to be immersed from the inner surface 233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nsion 2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at is, on the side of the first side end 314, An extension part 232 of another lower cov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rection L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art 234 accommodating therein. Accordingly, a gap between two adjacent lower covers may be covered by the extension part 232 .

하부커버(200-1 ~ 200-n)의 연장부(232)와 인접하는 다른 하부커버(200-1 ~ 200-n)의 몰입부(234)는 펼쳐진 상태 및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L)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도 9a 내지 도 9c에는 3개의 하부커버(200-2)(200-3)(200-4)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커버(200-2)(200-3)의 연장부(232)는 하부커버(200-3)(200-4)의 몰입부(234)에 위치된다. 몸체(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연장부(232)와 몰입부(234)의 겹침 길이는 D1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하부커버(200-2)(200-3)의 연장부(232)는 하부커버(200-3)(200-4)의 몰입부(234) 내에 위치되고, 그 겹침 길이는 D2로서 D1보다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연장부(232)의 적어도 일부는 몰입부(234) 내에 위치되므로, 인접하는 하부커버(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 기기의 외관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의 내부 혼입으로 인한 고장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The extensions 232 of the lower covers 200-1 to 200-n and the immersed parts 234 of the other lower covers 200-1 to 200-n adjacent to each other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L), at least some of which are kept overlapping each other. For example, three lower covers 200-2, 200-3, and 200-4 are shown in FIGS. 9A to 9C. The extensions 232 of the lower covers 200-2 and 200-3 are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s 234 of the lower covers 200-3 and 200-4. When the body 1 is completely unfolded, the overlapping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232 and the recessed part 234 is D1. Referring to FIG. 9D, when the body 1 is annularly bent, the extensions 232 of the lower covers 200-2 and 200-3 are immersed parts of the lower covers 200-3 and 200-4. (234), and its overlapping length is D2, which is greater than D1. As described above,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extension part 232 is located in the immersed part 234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annularly bent state, no gap is created between the adjacent lower covers 200 . Thus,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failure due to mixing of foreign substances inside.

복귀 스프링(3)은 몸체(1)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복귀 스프링(3)은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00)에는 복귀 스프링(3)이 통과되는 관통 슬롯(102)이 마련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3)은 다수의 상부커버(100)의 관통 슬롯(102)을 통과한다. 몸체(1)가 펼쳐질 때와 환형으로 접힐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중립선(25)의 길이는 변하지 않지만, 중립선(25)을 기준으로 하여 몸체(1)의 내측 및 외측의 길이는 변한다. 그러므로, 복귀 스프링(3)의 일단부(31)와 타단부(32) 중 적어도 하나는 자유단이다. 복귀 스프링(3)은 상부커버(100-1 ~ 100-n)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A return spring (3) is installed across the body (1). The return spring 3 is install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3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upper cov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slot 102 through which the return spring 3 passes. The return spring 3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slots 102 of the upper cover 100 . When the body 1 is unfolded and folded into an annular shape, the length of the neutral line 25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does not change, but the length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1 based on the neutral line 25 are It changes. Therefore, at least one of the one end 31 and the other end 32 of the return spring 3 is a free end. The return spring 3 may be fixed to any one of the upper covers 100-1 to 100-n.

복귀 스프링(3)은 몸체(1)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복귀 스프링(3)은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초기 탄성력을 몸체(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복귀 스프링(3)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3)은 자유 상태, 즉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구부러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약간 구부러진 상태이다. 따라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펼쳐진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3)은 초기 변형량(x1)을 가지며, 이에 의하여 몸체(1)를 펼쳐진 상태에 유지시키는 초기 탄성력이 몸체(1)에 제공될 수 있다.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지면,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3)도 몸체(1)와 함께 환형으로 구부러진다. 이 상태에서 몸체(1)에는 펼쳐지려는 복귀력이 작용된다. The return spring 3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1 is converted from a bent state to an unfolded state. The return spring 3 may provide an initial elastic force to the body 1 to maintain it in an unfolded state. 10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eturn spring 3 . As shown in Fig. 10, the return spring 3 is in a free state, that is, in a state of being slightly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ody 1 as indicated by (a) in a state without load. Therefore, as shown in (b), the return spring 3 has an initial deformation amount x1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body 1, whereby the initial elastic force maintaining the body 1 in the unfolded state is can be provided in When the body 1 is annularly bent, the return spring 3 is also annularly bent together with the body 1, as indicated by (c). In this state, a return force to unfold is applied to the body 1 .

복귀 스프링(3)은 초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금속 스프링 재료는 외력이 증가됨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된다. 변형량이 탄성 임계값을 넘어서면 소성변형되어,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변형량이 "0"이 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초탄성 재료는 변형량이 탄성 임계값을 넘어서면 외력이 증가되지 않더라도 변형량이 증가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량은 다시 "0"이 된다. 복귀 스프링(3)을 초탄성 재료로 형성하면, 몸체(1)를 펼쳐진 상태로부터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시키는 초기에는 구부러지는 양에 비례하여 구부리는 데에 필요한 힘이 증가되나, 어느 정도 구부리면 거의 동일한 힘으로 완전히 완전히 구부릴 수 있다. The return spring 3 may be formed of a superelastic material. A general metal spring material increases the amount of deformation as the external force increases. When the amount of deformation exceeds the elastic threshold value, it is plastically deformed, and even if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amount of deformation does not become “0”. In contrast, in a superelastic material, when the amount of deformation exceeds the elastic threshold value, the amount of deformation increases even if the external force does not increas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amount of deformation becomes “0” again. If the return spring 3 is formed of a super-elastic material, the force required to bend i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bending in the initial stage of converting the body 1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bent state. can be fully bent.

몸체(1)는 구부러진 상태에서 로킹될 수 있다. 몸체(1)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기기는 로킹유닛을 구비한다. 도 11은 로킹유닛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와이어(490)와, 와이어(490)가 감기는 풀리(410)가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490)는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부 커부(100)에는 와이어(410)가 통과되는 관통홀(140)에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490)의 일단부는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한 쪽 끝에 위치되는 제1단부 분절부재(310-1), 예를 들어 상부 커버(100-1)에 연결된다. 풀리(410)는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다른 쪽 끝에 위치되는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풀리(410)는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 마련된 지지축(48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와이어(490)의 타단부는 풀리(410)에 연결된다. 제1탄성부재(420)는 풀리(410)에 와이어(490)를 감아들이는 방향(제1방향(A1))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탄성부재(420)는 예를 들어 일단부가 지지축(48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풀리(410)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일 수 있다. The body 1 can be locked in a bent state. The body 1 can be locked in a bent stat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this end,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locking unit. 11 i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of a locking unit. Referring to FIG. 11 , a wire 490 and a pulley 410 around which the wire 490 is wound are shown. The wire 490 extends through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plurality of upper caps 100 may b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140 through which wires 410 pass. One end of the wire 490 is connected to a first end segmental member 310-1 locat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for example, the upper cover 100-1. The pulley 4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end segmental member 310-n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For example, the pulley 410 is rotatably supported on a support shaft 480 provided on the second end segment member 310-n. The other end of the wire 490 is connected to the pulley 410 . The first elastic member 420 provides elastic force so that the pulley 410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490 is wound (first direction A1). The first elastic member 420 may be, for example, a spiral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shaft 48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pulley 410 .

풀리(410)에는 다수의 걸림부(430)가 마련된다. 다수의 걸림부(430)는 예를 들어, 풀리(410)의 외주에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레버(440)는 다수의 걸림부(430)에 걸리는 로킹 위치(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다수의 걸림부(430)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걸림 레버(440)는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450)는 걸림 레버(440)를 로킹 위치에 유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A plurality of hooking parts 430 are provided on the pulley 410 . A plurality of hooking parts 43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awtooth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lley 410 . The locking lever 440 has a locking position (position shown by a solid lin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hooking parts 430 and a releasing position (position shown by a dotted line) released from the plurality of hooking parts 430 . For example, the locking lever 44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end segment member 310-n so as to rotate into a locking position and a releasing position. The second elastic member 450 provides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 locking lever 440 in the locking position.

걸림 레버(440)는 로킹 위치에 위치되어, 풀리(410)가 와이어(490)가 풀리는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걸림 레버(44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풀리(410)의 와이어(490)를 감아들이는 제1방향(A1)으로의 회전은 허용된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걸림부(430)는 예를 들어 풀리(410)의 회전 방향 중 와이어(490)가 풀리는 방향(제2방향(A2))으로 기울어진 톱니 모양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걸림 레버(44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풀리(410)에 제1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되면, 걸림 레버(440)가 걸림부(430)에 의하여 밀려 해제 위치로 전환되어 풀리(410)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걸림부(430)와의 간섭이 종료되면, 걸림 레버(440)는 제2탄성부재(4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 위치로 복귀된다.The locking lever 440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position to block the pulley 410 from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A2 in which the wire 490 is released. Rotation of the pulley 410 in the first direction A1 for winding the wire 490 is allowed even when the engaging lever 440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position. To this end, the plurality of clasps 430 may have, for example, a sawtooth shap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490 is unwound (second direction A2) among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pulley 410 . Accordingly, when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lley 410 in the first direction even when the locking lever 440 is positioned at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 lever 440 is pushed by the locking portion 430 and switched to the unlocking position, so that the pulley Rotation of 410 in the first direction is permitted. When the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part 430 ends, the locking lever 440 is returned to the locking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50 .

와이어(4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중립면(25)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된다. 몸체(1)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되면, 중립면(25)의 길이는 변화가 없지만 몸체(1)에 의하여 점유되는 와이어(490)의 길이는 짧아진다. 따라서, 와이어(490)의 초기 길이, 즉 몸체(1)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와이어(490)의 길이와, 구부러진 상태에서 몸체(1)에 의하여 점유되는 와이어(490)의 길이와의 차이만큼의 여유길이가 생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풀리(410)는 제1방향(A1)의 회전은 허용된 상태이고, 또 풀리(410)에는 제1탄성부재(420)에 의하여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1)가 구부러지면 풀리(410)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490)를 여유길이만큼 감아들인다. 몸체(1)가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몸체(1)에 의하여 점유되는 와이어(490)의 길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와이어(490)가 풀리(410)로부터 풀려야 한다. 걸림 레버(44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풀리(410)가 와이어(490)가 풀리는 방향, 즉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풀리(410)가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시킴으로써 몸체(1)를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킬 수 있다.The wire 490 is located inside with respect to the neutral plane 25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 When the body 1 is converted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bent state, the length of the neutral plane 25 does not change, but the length of the wire 490 occupied by the body 1 is shortened. Therefore, the initial length of the wire 490,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wire 490 when the body 1 is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length of the wire 490 occupied by the body 1 in a bent state leeway is created. As described above, rotation of the pulley 410 in the first direction A1 is permitted, and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pulley 410 so as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1 by the first elastic member 420. has been Therefore, when the body 1 is bent, the pulley 410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A1 and winds the wire 490 by the marginal length. When the body 1 is converted from a bent state to an unfolded state, the length of the wire 490 occupied by the body 1 increases. Therefore, the wire 490 must be unwound from the pulley 410 . When the locking lever 440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position, the pulley 410 is not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490 is released, that is, in the second direction A2. Accordingly, the body 1 may be locked in a bent state by locking the pulley 410 so as not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A2.

몸체(1)를 펼치기 위하여는 걸림 레버(440)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이를 위하여, 몸체(1), 예를 들어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는 해제 버튼(460)이 마련될 수 있다. 해제 버튼(460)을 누르면, 걸림 레버(440)가 제2탄성부재(45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해제 위치로 전환되며, 풀리(410)가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몸체(1)를 펼쳐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복귀 스프링(3)에 의하여 몸체(1)에는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의 탄성력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 버튼(460)을 누르면,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몸체(1)가 펼쳐진 상태로 복귀된다.In order to unfold the body 1, the engaging lever 440 is switched to a releasing position. To this end, a release button 46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1, for example, the second end segmental member 310-n. When the release button 460 is pressed, the engaging lever 44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50 to be switched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pulley 410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do. Thus,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body 1 into an unfolded stat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switching to the unfolded state is applied to the body 1 by the return spring 3. Therefore, when the release button 460 is pressed, the body 1 returns to the unfolded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몸체(1)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시킬 수 있다. 도 12는 몸체(1)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펼쳐진 상태에서 걸림 레버(440)는 제2탄성부재(4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 위치에 유지된다. 몸체(1)는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몸체(1)를 구부리면, 와이어(410)에 여유 길이가 생긴다. 제1탄성부재(420)에 의하여 풀리(410)에는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에 가해진다. 걸림 레버(440)는 걸림부(430)와 간섭되어 로킹 위치로부터 풀리(410)의 제1방향(A1)의 회전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의 전환을 반복하며, 풀리(410)는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410)를 감아들인다. 몸체(1)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방향의 외력을 제거하면, 몸체(1)에는 복귀 스프링(3)에 의하여 펼쳐지는 방향의 탄성력이 작용된다. 그러나, 걸림 레버(44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되어 걸림부(430)에 걸려 있으므로, 풀리(410)가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몸체(1)는 펼쳐지지 않고 구부러진 상태에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몸체(1)를 도 12의 (b), (c), (d), (e),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시킬 수 있다. 전자 기기를 펼쳐진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는 예를 들어 해제 버튼(460)을 눌러 걸림 레버(440)를 걸림부(430)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몸체(1)는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로 복귀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body 1 can be locked in a plurality of bent state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1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body (1). Referring to FIG. 12, as shown in (a), when the body 1 is unfolded, the engaging lever 440 is maintained in the locking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50. The body 1 is maintained in the unfolded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 When the body 1 is bent in this state, an extra length is created in the wire 410 .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pulley 410 by the first elastic member 420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1. The locking lever 440 interferes with the locking portion 430 to repeat the transition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allowing the pulley 410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1, and the pulley 4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wire 410 is wound while being rotated in (A1). When the external force in the bending direction applied to the body 1 is removed, the elastic force in the unfolding direction is applied to the body 1 by the return spring 3. However, since the locking lever 440 is positioned at the locking position and is hooked to the locking portion 430, the pulley 410 cannot be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2. Thus, the body 1 is kept in a bent state without unfolding.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ody 1 can be locked in a plurality of bent states as shown in (b), (c), (d), (e), and (f) of FIG. 12 . In order to return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unfolded state, for example, pressing the release button 460 shifts the locking lever 440 to a release position released from the locking portion 430 . Then, the body 1 returns to the unfolded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도 12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펼쳐진 상태는 예를 들어 여러 장의 사진의 길이방향(L)으로의 배열, 시간의 경과(timeline)에 따른 정보 표시 등의 사용 형태에 유리하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used in an unfolded state as shown in (a) of FIG. 12 . The unfolded state is advantageous for use, such as arranging several photos in the lengthwise direction (L) and 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timeline).

전자 기기는 필요에 따라서 도 12의 (b)~(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는 손목, 팔목, 등 인체에 착용하는 착용형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기기를 도 12의 (d), (e),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위의 굵기에 맞추어 적절한 곡률로 구부려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가 자전거의 핸들, 유모차의 핸들, 쇼핑 카트의 핸들 등에 설치될 때에도, 전자 기기를 도 12의 (d), (e),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위의 굵기에 맞추어 적절한 곡률로 구부려서 설치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used in a bent stat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indicated by (b) to (f) of FIG. 12 ,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human body such as a wrist, wrist, etc.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is adjusted to the thickness of the worn part as shown in (d), (e), and (f) of It can be worn by bending it to an appropriate curvature. In addition,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installed on the handle of a bicycle, a handle of a stroller, a handle of a shopping cart, etc., the electronic device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thickness of the worn part as shown in (d), (e), and (f) of FIG. It can be installed by bending it with curvature.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에는 전자 기기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전자 부품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되므로, 전자 부품들 역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또 환형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re disposed in the body 1. Since the electronic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switched between the unfolded state and the bent state, the electronic components also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ranged in an annularly bendable form.

도 13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몸체(1)는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몸체(1)의 내부에는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5)이 마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5)은 예를 들어 다수의 분절부재(310) 각각에 마련된 분절 수용부(35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절 수용부(350)은 서로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부(100)의 하면(105)과 하부커버(200)의 상면(205)이 서로 이격되어 분절 수용부(350)를 형성한다.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13, the body 1 is in an annularly bent state. Referring to FIG. 13 , an accommodation space 5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components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 . Referring to FIG. 7 , the accommodating space 5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segment accommodating portions 350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gment accommodating portion 350 may be formed by an upper cover 100 and a lower cover 200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 surface 105 of the upper cover 100 and the upper surface 205 of the lower cover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egment accommodating portion 350 .

전자 부품은 예를 들어 제어부(500)와, 배터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다수의 전기회로부(501)(502)(503)(50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전기회로부(501)(502)(503)(504) 각각은 인쇄회로기판(510)과, 인쇄회로기판(510)에 실장되는 회로소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0)의 길이(L1), 회로소자(520)가 실장될 수 있는 실장 영역의 길이(L2)와 두께(h)는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수용공간(5)의 내측 곡률반경(R)과 반경방향의 높이(H)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전기회로부(501)(502)(503)(504)는 유연한 전기연결부재(531)(532)(533)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환형으로 구부러지는 몸체(1) 내부에 제어부(500)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Electronic compon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troller 500 and a battery 600 . The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ic circuit units 501, 502, 503, and 504.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circuit units 501 , 502 , 503 , and 504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510 and a circuit element 520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0 . The length (L1)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0, the length (L2) and the thickness (h) of the mounting area where the circuit element 520 can be mounted are the accommodation space (5) in a state where the body (1) is bent in an annular shape. It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and the height (H) in the rad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 units 501, 502, 503, and 50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531, 532, and 533.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500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side the annularly bent body 1 .

배터리(6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601)(602)(603)(6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배터리 모듈(601)(602)(603)(604)은 유연한 전기연결부재(611)(612)(613)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수의 배터리 모듈(601)(602)(603)(604) 각각의 길이(L3)와 두께(h2)는 역시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수용공간(5)의 내측 곡률반경(R)과 반경방향의 높이(H)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600)는 예를 들어 유연한 전기연결부재(614)에 의하여 제어부(500), 예를 들어 전기 회로부(501)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600)의 용량은 대체로 배터리(600)의 크기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배터리 모듈(601)(602)(603)(604)을 유연한 전기연결부재(611)(612)(613)로 연결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환형으로 구부러지는 몸체(1) 내부에 소망하는 용량을 갖는 배터리(600)를 배치할 수 있다.The battery 600 may include one or more battery modules 601, 602, 603, and 604.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601, 602, 603, and 60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611, 612, and 613. The length (L3) and thickness (h2)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601, 602, 603, and 604) are also the inner curvature radius (R) of the accommodation space (5) in a state where the body (1) is annularly bent. ) and the height (H) in the radial direction. The battery 6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for example, the electric circuit unit 501, for example by means of a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614. The capacity of the battery 600 is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battery 60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601, 602, 603, 604 with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611, 612, 613, the annularly bent body 1 of the electronic device ), a battery 600 having a desired capacity may be placed therein.

전자 부품은 전술한 제어부(500)와 배터리(600) 이외에,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700), 전화 수신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에 통합된 터치 패널(22)의 터치입력여부를 알리기 위한 진동자(800)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피커(700)와 진동자(800)는 도시되지 않은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제어부(500), 예를 들어 전기회로부(504)에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control unit 500 and battery 600, electronic components include a speaker 700 for sound output, a vibrator for receiving a phone call or notifying whether or not a touch input is received from the touch panel 22 integrated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 (800) and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The speaker 700 and the vibrator 8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for example, the electric circuit unit 504 by a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not shown).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몸체(1) 전체를 덮는 형태로 배치되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배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몸체(1)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도 있다. 도 14와 도 1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배치 형태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몸체(1)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몸체(1)에 길이방향(L)으로 일측으로 치우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제1단부 분절부재(310-1) 쪽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몸체(1)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몸체(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s disposed to cover the entire body 1, but the arrangement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s not limited thereto.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may partially cover the body 1 . 14 and 15 are side views of an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 Referring to FIG. 14 ,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partially covers the body 1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For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may be positioned biased toward the first end segmental member 310-1. Referring to FIG. 15 ,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partially covers the body 1 and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분절부재(310)의 길이와 폭이 동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분절부재(310)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와 폭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분절부재와 다를 수 있다. 도 16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가운데에 위치되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L5)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길다. 제1분절부재(360)의 폭은 다른 분절부재의 폭과 동일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길이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와 동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분절부재(360)를 제외한 다수의 분절부재(310)는 제1분절부재(360)를 인체의 착용부위 또는 몸체(1)가 설치되는 자전거 등의 설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휘어지지 않고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어, 평탄한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case in which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gmental member 310 are the same has been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length and width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segmental member 310 may be different from other segmental members. 1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FIG. 1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6 is annularly bent. Referring to FIG. 16 , the length L5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positioned in the middle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is longer than other segmental members. The width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is the same as that of the other segmental members. The length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 and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s supported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7, in a state where the body 1 is annularly bent,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310 excluding the first segment member 360 move the first segment member 360 to the human body. It can function as a fixing band for fixing the wearing part of the body 1 to the installation part of a bicycle or the like where it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17 , even when the body 1 is bent in an annular shape,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4 does not bend and can be flatly supported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so that a flat screen can be implemented. .

도 18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가운데에 위치되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L5)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길다. 제1분절부재(360)의 폭은 다른 분절부재의 폭과 동일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다수의 분절부재(310) 전체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 기기를 환형으로 구부려 인체에 착용하거나 또는 자전거 등에 설치하였을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 중에서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2a)은 평탄하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평면 형태의 화면 표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1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Referring to FIG. 18 , the length L5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positioned in the middle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is longer than other segmental members. The width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is the same as that of the other segmental members.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s supported by the entirety of the plurality of articulating members 310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bent into an annular shape and worn on the human body or installed on a bicycle, the portion 2a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supported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is fla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partially flat screen display area.

도 19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가운데에 위치되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L5)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길다. 제1분절부재(360)의 폭(W5)은 다른 분절부재의 폭보다 크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길이와 폭은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와 폭과 동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분절부재(360)를 제외한 다수의 분절부재(310)는 제1분절부재(360)를 인체의 착용부위 또는 몸체(1)가 설치되는 자전거 등의 설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휘어지지 않고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어, 평탄한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1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Referring to FIG. 19 , the length L5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positioned in the middle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is longer than other segmental members. The width W5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segmental members. The length and width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 and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s supported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1 is annularly bent,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310 excluding the first segment member 360 attach the first segment member 360 to a worn part of the human body or the body 1 ) can function as a fixing band that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part of a bicycle or the like to be installed. Even when the body 1 is bent in an annular shape,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4 does not bend and can be flatly supported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so that a flat screen can be realized.

도 20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가운데에 위치되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L5)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길다. 제1분절부재(360)의 폭(W5)은 다른 분절부재의 폭보다 크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제1 내지 제3소자(2a)(2b)(2c)를 포함한다. 제1소자(2a)는 제1분절부재(360)에 지지되며, 그 길이와 폭은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와 폭과 동일하다. 제2, 제3소자(2b)(2c)는 각각 제1분절부재(360)의 양쪽에 위치된 다수의 제2분절부재(362) 및 다수의 제3분절부재(363)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제1소자(4)는 휘어지지 않고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어, 평탄한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3소자(2b)(2c)를 더 구비함으로써, 표시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제2, 제3소자(2a)(2b)(2c)는 별개의 소자일 수 있으며, 일체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제2, 제3소자(2a)(2b)(2c)는 각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제1, 제2, 제3표시영역(2a)(2b)(2c)이다. 2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Referring to FIG. 20 , the length L5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positioned in the middle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310 is longer than other segmental members. The width W5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segmental members.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includes first to third elements 2a, 2b, and 2c. The first element 2a is supported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and its length and width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The second and third elements 2b and 2c ar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econd segmental members 362 and a plurality of third segmental members 36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body 1 is bent in an annular shape, the first element 4 does not bend and can be supported evenly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360, so that a flat screen can be realized. In addition, by further including the second and third elements 2b and 2c,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can be increas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elements 2a, 2b, and 2c may be separate elements or may be integrated. In this ca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elements 2a, 2b, and 2c a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regions 2a, 2b, and 2c of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2, respectively. .

도 2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는 몸체(1)와, 몸체(1)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와, 몸체(1)를 착용부 또는 설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한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제1단부 분절부재(310-1)에 연결된 제1밴드(910)와,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 연결된 제2밴드(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밴드(910) 또는 제2밴드(920)의 단부에는 제1, 제2밴드(910)(9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930)이 마련된다. 연결수단(930)은 예를 들어 버클, 등일 수 있다. 제1, 제2밴드(910)(920)는 예를 들어 가죽 밴드, 플라스틱 밴드, 사슬 구조의 금속 밴드 등일 수 있다. 2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FIG. 2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1 is annularly bent. Referring to FIG. 21 ,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ody 1, a flexible display element 2 supported by the body 1,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body 1 to a wearing part or an installation part. The fix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band 910 connected to the first end segmental member 310-1 and a second band 920 connected to the second end segmental member 310-n. A connecting means 93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ands 910 and 920 to each othe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band 910 or the second band 920 . The connecting means 930 may be, for example, a buckle or the like. The first and second bands 910 and 920 may be, for example, a leather band, a plastic band, or a metal band having a chain structure.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밴드(910)(920)를 서로 연결하면, 전자 기기를 인체에 착용하거나 또는 자전거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몸체(1)는 곡률을 가지도록 구부러진다. As shown in FIG. 22, when the first and second bands 910 and 9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or installed on a bicycle. At this time, the body 1 is bent to have a curvature.

도 23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제2밴드(910)(920)는 제1, 제2단부 분절부재(310-1)(310-n)에 탄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유 상태에서 몸체(1)는 평탄한 상태로 유지된다. 전자 기기를 착용부에 착용하거나 설치부에 설치하면, 제1, 제2밴드(910)(920)가 제1, 제2단부 분절부재(310-1)(310-n)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착용부 또는 설치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몸체(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같이 곡률을 가지도록 구부러진다. 2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FIG. 2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3 is annularly bent. Referring to FIG. 23 , the first and second bands 910 and 920 may b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nd segment members 310-1 and 310-n. In a free state, the body 1 remains flat.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worn on the wearable part or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part, the first and second bands 910 and 920 are elastically ope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end segment members 310-1 and 310-n. While being supported,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earing part or the installation part. The body 1 is bent to have a curvature as shown in FIG. 24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몸체 2...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3...복귀 스프링 100...상부커버
200...하부커버 310...분절부재
320...연결부재 410...풀리
420...제1탄성부재 430...걸림부
440...걸림 레버 450...제2탄성부재
460...해제 버튼 500...제어부
501, 502, 503, 504...전기 회로부 600...배터리
601, 602, 603, 604...배터리 모듈
531, 532, 533, 611, 612, 613, 614...유연한 전기연결부재
1...Body 2...Flexible display element
3...return spring 100...top cover
200 ... lower cover 310 ... segment member
320 ... connection member 410 ... pulley
420 ... first elastic member 430 ... hanging part
440 ... engaging lever 450 ... second elastic member
460 ... release button 500 ... control unit
501, 502, 503, 504 ... electric circuit part 600 ... battery
601, 602, 603, 604... battery module
531, 532, 533, 611, 612, 613, 614...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Claims (14)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회동에 의해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몸체가 구부러진 상태일 때 상기 몸체가 상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몸체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1단부 분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타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2단부 분절부재쪽으로 연장된 와이어;
상기 제2단부 분절부재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풀리의 상기 와이어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시키는 전자 기기.
A body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pivotable, and can be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and a bent state by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a flexible display element supported by the body;
a return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body is converted to the unfolded state when the body is in a bent state;
A locking unit for locking the body in a plurality of bent state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The locking unit,
A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first end segment member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and extend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toward the second end segment member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
A pulley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end segment member and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including,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locking unit locks the body in the plurality of bent states by selectively allowing rotation of the pulle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unwou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풀리에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풀리에 마련되는 다수의 걸림부;
상기 다수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풀리의 상기 와이어를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로킹위치와, 상기 다수의 걸림부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를 갖는 걸림 레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unit,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wound around the pulley;
A plurality of hooking parts provided on the pulley;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locking lever having a locking position for blocking rotation of the pulle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unwound by being caught on the plurality of hooking parts, and a release position released from the plurality of hooking par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풀리가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걸림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atching part switches the catching lever to the releasing position when the pulley is rotated in a direction of winding the wi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걸림 레버에 상기 로킹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걸림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는 해제 버튼;을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4,
The locking unit,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lever in a direction positioned at the locking position;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button for converting the engaging lever to the release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몸체가 펼쳐진 상태인 때에 초기 변형량을 갖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eturn spring has an initial deformation amount when the body is in an unfold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은 초탄성 재료로 형성된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eturn spring is an electronic device formed of a superelastic material.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회동에 의해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몸체가 구부러진 상태일 때 상기 몸체가 상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몸체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분절 부재는 폭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큰 제1분절부재와, 상기 제1분절부재의 양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2, 제3분절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 body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pivotable, and can be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and a bent state by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a flexible display element supported by the body;
a return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body is converted to the unfolded state when the body is in a bent state;
A locking unit for locking the body in a plurality of bent state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include a first segmental member having at least one of a width and a length greater than other segmental memb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and third segmental member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gmental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1분절부재에 지지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is supported by the first segmental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1 내지 제3분절부재에 지지되는 제1 내지 제3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includes first to third elements supported by the first to third segmental mem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제2단부 분절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밴드;
상기 제1, 제2밴드를 연결하는 버클;을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first and second band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nd segment members;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uckl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a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제2단부 분절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 밴드;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nd segment members and elastically de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by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s;
A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a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electrically connected by a flexible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ntrol unit and the battery are accommodated in the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마련된 분절 수용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 기기.
According to claim 13,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y segment accommodating portions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members.
KR1020150147552A 2015-06-05 2015-10-22 electronic device KR102481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74,282 US10185364B2 (en) 2015-06-05 2016-03-18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71348P 2015-06-05 2015-06-05
US62/171,348 2015-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77A KR20160143477A (en) 2016-12-14
KR102481014B1 true KR102481014B1 (en) 2022-12-23

Family

ID=5757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552A KR102481014B1 (en) 2015-06-05 2015-10-22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0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297B1 (en) * 2017-09-01 2021-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Shape retain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9479A1 (en) 2012-10-10 2014-04-10 Emory Krall Flexible screen backed with rigid rib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579A (en) * 1984-01-18 1985-08-09 Seiko Epson Corp Band for electronic wrist watch
WO1997002513A1 (en) * 1995-07-05 1997-01-23 Motorola Inc. Conformal power supply
KR20140002243A (en) * 2012-06-28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014445B1 (en) * 2013-09-27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KR102171118B1 (en) * 2013-09-30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9479A1 (en) 2012-10-10 2014-04-10 Emory Krall Flexible screen backed with rigid rib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77A (en)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5364B2 (en) Electronic device
KR102014445B1 (en) Wearable device
CN113766771B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1231754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71032B2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EP2728433A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JP4584717B2 (en) Flexible conductor connected between two part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123436A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EP2728432A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EP2728434A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20140049911A (en) Flexible hinge device and flexible hinge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devices
US20140118899A1 (en) Electronic device and linkage mechanism thereof
CN116336072A (en) Arm structure, hing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hinge structure
KR102481014B1 (en) electronic device
US20230393632A1 (en)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with foldable structure
TWI755876B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20070024697A (en) Mobile terminal
KR20190129297A (en) Display apparatus
EP4344173A1 (en) Hinge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0796944B1 (en) Elastic module using integrate-type spring wound on both directions by spiral form,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having the elastic module
KR101946952B1 (en) Mobile phone case
JP2003156634A (en) Optical fiber holder
CA2828860A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20130051863A (en) Hinge apparatus and the device having it
CN110740206A (en) Terminal pro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