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976B1 -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976B1
KR102480976B1 KR1020210042910A KR20210042910A KR102480976B1 KR 102480976 B1 KR102480976 B1 KR 102480976B1 KR 1020210042910 A KR1020210042910 A KR 1020210042910A KR 20210042910 A KR20210042910 A KR 20210042910A KR 102480976 B1 KR102480976 B1 KR 10248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ell
battery cells
pl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6789A (en
Inventor
송경의
가창업
정윤석
김도형
문진영
정준태
Original Assignee
비나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나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나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976B1/en
Publication of KR2022013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18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against thermal overloads, e.g.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플레이트형 단자로서,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 및 상기 단자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의 부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를 저감하는 단차저감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type terminal attached to and used on one surface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a supercapacitor module, comprising: a terminal unit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to transmit current of the battery cell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including a heat condu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part to conduct heat and a step difference reduc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part to reduce a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formed by the attachment of the terminal part It relates to a plate-type terminal of and a super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same}

본 발명은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and a super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배터리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전력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나 기타 용도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필요한 용량에 따라 수 십 개 또는 백 개 이상의 단위 배터리 셀(Battery cell)이 집합된 배터리 팩으로 구성된다.Batteries are used as power sources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Batteries used for electric vehicles or other purposes are composed of battery packs in which dozens or hundreds of unit battery cells are aggregated depending on the required capacity.

배터리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터리 셀들의 전압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이 구비되어 배터리 팩의 각 배터리 셀들을 충전 또는 방전하면서 각 셀의 전압을 적정한 레벨로 유지시킨다.In order to increase the use efficiency of the batter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ame voltage level of the battery cells, and for thi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is provided to charge or discharge each battery cell of the battery pack and Keep the voltage at an appropriate level.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수소전기차(FC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that are proposed as a solution to air pollution caused by conventional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Plug-In HEV) and fuel cell electric vehicles (FCEV)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배터리 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이 사용된다.While one or two to three or four battery cells are used per device in small mobile devices, a supercapacitor module electrically connecting multiple battery cells is used in medium to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due to the need for high power and large capacity.

슈퍼 캐패시터 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배터리 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Since the supercapacitor module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as much as possible, prismatic batteries and pouch-type batteries that can be loaded with high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 compared to capacity are mainly used as battery cells (unit cells) of the supercapacitor module. there is. In particular, a pouch-type battery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as an exterior member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due to advantages such as light weight,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shape deformation.

이러한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전지모듈에 널리 사용되는 파우치형 전지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열전도성이 낮은 고분자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셀 전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Since the battery cells constituting such a supercapacitor module are composed of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such high-output and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ies generate a large amount of heat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es. In particular, since the surface of the laminate sheet of the pouch-type battery widely used in the battery module is coated with a polymer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ol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battery cell.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전지모듈의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전지모듈의 열화를 촉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또는 폭발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배터리팩에는 그것이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 셀들을 냉각시키는 냉각시스템이 필요하다.If the heat of the battery module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discharging process is not effectively removed, heat accumulation occurs and consequently accelerates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module, which may cause ignition or explosion in some cases. Therefore, a high-output and large-capacity battery pack requir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battery cells in which it is built.

한편, 배터리 셀들을 냉각시키기 위해 금속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단자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히트싱크 작용을 하도록 하는 플레이트형 단자가 제안되었으나, 플레이트형 단자를 배터리 셀에 부착 시에 플레이트형 단자의 두께로 인하여 플레이트형 단자가 마련되지 아니한 부분은 단차가 발생되었고, 이 단차는 배터리 셀간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On the other hand, a plate-type terminal that serves as a terminal by using a metal plate to cool battery cells and serves as a heat sink has been proposed, but due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type terminal when attaching the plate-type terminal to the battery cell, A level difference was generated in the part where the mold terminal was not provided, and this level difference acted as a factor inducing movement between battery cells.

이 때문에 일렬로 정렬된 배터리 셀이 진동이나 특정 외력에 의해 흐트러질 수가 있고, 배터리 셀간의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있었다.For this reason, battery cells arranged in a row may be disturbed by vibration or a specific external force, and there is room for problems in that power supply between battery cells is not smooth.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전류를 전달하면서도 히트싱크 작용을 하여 냉각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형 단자에 있어서,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함께 갖추어 배열된 배터리 셀간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te-type terminal having a cooling function by being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battery cell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nd acting as a heat sink while transmitting curr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equipped with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plate type terminal having a step difference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to prevent disorder between arranged battery cell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플레이트형 단자로서,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 및 상기 단자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의 부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를 저감하는 단차저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late-type terminal of the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late-type terminal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constituting the supercapacitor module and used, a terminal unit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nd transmitting current of the battery cell; It may include a heat condu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unit to conduct heat and a step reduction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unit to reduce a level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formed by the attachment of the terminal unit.

여기서, 상기 단차저감부는, 탄성 및 전기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되,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을 갖는 연결매개체에 의해 상기 단자부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step reducing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by a connection medium having heat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또한, 상기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을 갖는 연결매개체는, 열가소성 수지나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베이스에, 실리콘을 첨가한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dium having heat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in which silicone is added to a base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or aramid fiber.

또한, 상기 연결매개체는, 상기 단자부 및 단차저감부와 일체화되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dium may be injection molded to be integrated with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step reduction portion.

또한, 상기 플레이트형 단자는, 상기 단자부와 연결매개체 사이 또는 상기 연결매개체와 단차저감부 사이에 복수의 양각이 조합을 이루는 결속부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type terminal may be injection-molded to form a bind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embossed angles are combined betwee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ion medium or between the connection medium and the step reducing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 캐패시터 모듈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전극 리드가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일렬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일면에 각기 부착되어,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 또는 배터리 셀과 프레임 전극 리드 사이에서 전류를 전달하는 플레이트형 단자; 상기 프레임의 각 단부와 배열 최 외측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형 단자는,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 및 상기 단자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의 부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를 저감하는 단차저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upercapaci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electrode leads provided at one or more ends of both ends of the lengt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frame; plate-type terminals respectiv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transfer current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or between the battery cells and frame electrode leads;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each end of the frame and an outermost battery cell in the array and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plate-type terminal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 terminal unit that is configured to transmit current of the battery cell; It may include a heat condu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unit to conduct heat and a step reduction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unit to reduce a level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formed by the attachment of the terminal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은, 전류 전달과 냉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를 구성함에 있어,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함께 갖추어 배열된 배터리 셀간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uper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constitute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capable of implementing current transmission and cooling func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order between arranged battery cells by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이로 인해, 배터리 셀이 진동이나 특정 외력에도 흐트러짐 없도록 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간의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하여 배터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battery cell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even by vibration or a specific external force, and power can be smoothly supplied between the battery cells to increase battery efficiency.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contents, and may further include all effects predictable from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 변화 수단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단자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보아 열전도부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의 (a)는 단차저감부가 마련되지 아니한 상태의 배터리 셀간의 움직임 유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저감부가 마련된 상태의 배터리 셀간의 움직임이 방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차저감부가 연결매개체로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차저감부와 연결매개체 또는 연결매개체와 단자부간에 결속부로 결속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ercapacitor module including plate-type terminals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parts of the supercapacitor module of FIG. 1 are disassembled.
FIG. 3 is a view showing plate-type terminals of the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of FIG. 1 .
4(a) and (b)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by a heat chang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heat conducting portion of a plat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a planar direction.
Figure 6 (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tion inducing state between battery cells in a state where the step reduction unit is not provide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p reduction unit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movement between battery cells This is an example showing the status.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p reduction unit of FIG. 6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medium.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step reduction unit and a connection medium or between a connection medium and a terminal unit are bound by a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 addition, the content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per se,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dica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should be construed, and understood not to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uper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ercapacitor module including plate-type terminals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the supercapacitor module of FIG. 1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1)은, 프레임(10), 배터리 셀(20), 플레이트형 단자(30), 탄성부재(40) 및 제어기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supercapacitor module 1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a battery cell 20, a plate-type terminal 30, and an elastic member 40. ) and a control board 50.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프레임이 조합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셀(2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보수의 프레임이 조합을 이룰 수 있으며, 복수의 프레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프레임(11), 후면 프레임(12), 바닥 프레임(13), 상면 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ame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frame or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Preferably, the repair frames can be combined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battery cells 20, and the plurality of frames include a front frame 11, a rear frame 12, and a bottom frame 13 as shown in the drawing.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upper surface frame (14).

여기서, 바닥 프레임(13)과 상면 프레임(14)은 각각 정면 프레임(11)과 후면 프레임(12)에 조립되는 형태이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bottom frame 13 and the top frame 14 may be assembled to the front frame 11 and the rear frame 12, respectively, or may be integrally formed.

그러나, 상술한 복수의 프레임의 형태는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프레임(10)의 구성은 다양하게 조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frames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 10 may be variously composed.

프레임(10)의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전극 리드(11a)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의 양단부를 정면 프레임(11)과 후면 프레임(12)이 구성할 경우, 전극 리드(11a)는 정면 프레임(11)과 후면 프레임(12)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Electrode leads 11a may be provided at one or more ends of both ends of the frame 10 . That is, when both ends of the frame 10 are constituted by the front frame 11 and the rear frame 12, the electrode lead 11a may be provided on one or more of the front frame 11 and the rear frame 12. .

전극 리드(11a)는 배터리 셀(20)이 일렬로 배열을 이룰 때 최 외측에 위치한 배터리 셀(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셀(2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전극 리드(11a)에 접속하는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The electrode lead 11a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most battery cell 20 when the battery cells 20 are arranged in a row, and thus receive current from the battery cell 20 to the electrode lead 11a.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device.

여기서, 전극 리드(11a)는 배터리 셀(20)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단자(3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플레이트형 단자(30)를 포함하는 데 일 특징이 있는 것으로, 플레이트형 단자(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Here, the electrode lead 11a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20, but may be preferably connected through the plate-shaped terminal 30.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the plate-type terminal 30,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late-type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later.

배터리 셀(20)은 복수로 마련되어 프레임(10)을 따라 일렬로 배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20)은 전류의 공급을 위해 단자(미도시)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배터리 셀의 단자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셀(20)에 내재되는 내면 단자일 수 있다.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frame 10 . Here, the battery cell 20 is formed to have a terminal (not shown) for supplying curren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is not limited, but may preferably be an inner surface terminal inherent in the battery cell 20.

배터리 셀(20)이 내면 단자를 가짐으로써 단자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후술하는 플레이트형 단자(30)가 일면에 부착될 수가 있다.Since the battery cell 20 has terminals on the inner surface, exposure of the terminals can be minimized, and plate-type terminals 30 described later can be attached to one surface.

한편, 플레이트형 단자(30)가 부착되는 배터리 셀(20)은 일렬로 배열 시에 플레이트형 단자(30)간 마주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인접한 배터리 셀(20) 사이에는 1개의 플레이트형 단자(30)만 위치되도록 배터리 셀(20)이 배열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when the battery cells 20 to which the plate-type terminals 30 are attached are arranged in a row, the plate-type terminals 30 may not face each other. That is, the battery cells 20 may be arranged so that only one plate-type terminal 30 i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battery cells 20 .

플레이트형 단자(30)는 일부는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고, 일부는 탄성 및 전기절연성을 갖는 소재로서,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일부를 통해 각 배터리 셀(20)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 셀(20)의 단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형 단자(30)가 배터리 셀(20)의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plate-type terminal 30 is a material having some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ome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and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each battery cell 20 through a portion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o that the battery cell 20 ) may be connected to a terminal (not shown). This means that the plate type terminal 30 can receive current from the battery cell 20 .

플레이트형 단자(3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late-type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여기서,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로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티타늄 등의 다른 금속이나 탄소복합소재 등 설정되는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에 맞춰진다면 다른 소재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Here, as a material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t may be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other metals such as titanium or carbon composite materials may be used if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re set. It could be possible.

또한, 탄성 및 전기절연성을 갖는 소재로서, 고무나 실리콘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및 전기절연성을 갖는 소재라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it may be rubber or silic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may be used in various ways.

플레이트형 단자(30)는 부착된 배터리 셀(20)로부터 전류를 공급 받아 타 배터리 셀(20)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최 외측에 배치된 배터리 셀(20)의 플레이트형 단자(30)일 경우 부착된 배터리 셀(20)로부터 전류를 공급 받아 프레임(10)의 전극 리드(11a)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The plate-type terminal 30 may receive current from the attached battery cell 20 and transfer the current to another battery cell 20, and the plate-type terminal 30 of the outermost battery cell 20 may In this case, current can be supplied from the attached battery cell 20 and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lead 11a of the frame 10 .

한편, 플레이트형 단자(30)는 상기와 같이 전류를 공급하는 것 외에 방열 또는 흡열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기판(50)의 제어신호를 배터리 셀(20)로 전달하여 배터리 셀(20)이 제어하도록 하면서 배터리 셀(20)의 상태신호를 제어기판(50)으로 전달하여 배터리 셀(20)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type terminal 30 may be configured to easily dissipate or absorb heat in addition to supplying current as described above, and transfe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board 50 to the battery cell 20 to allow the battery cell 20 ) may be configured to monitor the battery cell 20 by transferring the state signal of the battery cell 20 to the control board 50 while controlling the battery cell 20 .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들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플레이트형 단자(30)의 각 구성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plate-type terminal 30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탄성부재(40)는 프레임(10)의 각 단부와 배터리 셀(20)의 배열 중 최 외측 배터리 셀(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0)는 프레임(10)을 지지 삼아 배터리 셀(20)을 압축 방향으로 압착하여 배터리 셀(20) 간의 밀착성을 높이면서 배터리 셀(20)과 프레임(10) 사이를 완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0)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40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end of the frame 10 and the outermost battery cell 20 among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y cells 20 .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40 supports the frame 10 and presses the battery cell 20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o increase adhes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20 and to buffer the space between the battery cells 20 and the frame 10. can The elastic member 40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a plate spring and a coil spring.

제어기판(50)은 배터리 셀(20)과 연결되어 배터리 셀(20)을 제어 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기판(50)은 연결된 배터리 셀(20)로부터 상태신호를 전송 받아 배터리 셀(2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control board 5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20 to control the battery cell 20 . In addition, the control board 50 can detect the state of the battery cell 20 by receiving a state signal from the connected battery cell 20, and through this, the battery cell 20 can be monitored.

여기서, 배터리 셀(20)의 상태신호는 배터리 셀(20)의 작동여부나 배터리 셀(20)의 배터리 잔량 등에 대한 상태신호 일 수 있으며, 제어기판(50)은 플레이트형 단자(30)를 매개로 제어기판(50)과 연결되어 배터리 셀(20)을 제어하거나 배터리 셀(20)로부터 상태신호를 전송 받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state signal of the battery cell 20 may be a state signal for whether the battery cell 20 is operating or remaining battery power of the battery cell 20, and the control board 50 mediates the plate-type terminal 30.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50 to control the battery cell 20 or receive a status signal from the battery cell 20 to perform monitoring.

제어기판(50)은 배터리 셀(20)의 상태 감지 시에 이상 여부를 감지할 경우 LED로 발광하거나 스피커로 소리를 발산하고, 또는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문자 등을 전송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알림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배터리 셀(20)의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가 있다.When the control board 50 detects an abnormality when detecting the state of the battery cell 20, the control board 50 performs notification in various ways, such as emitting an LED light, emitting sound through a speaker, or sending a text message to a connected user terminal. It is configured so that monitoring of the battery cell 20 can be performed.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 변화 수단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단자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보아 열전도부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plate-type terminals of the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of FIG. 1, and FIG.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heat conducting portion of a plat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a planar direction.

또한, 도 6의 (a)는 단차저감부가 마련되지 아니한 상태의 배터리 셀간의 움직임 유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저감부가 마련된 상태의 배터리 셀간의 움직임이 방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차저감부가 연결매개체로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차저감부와 연결매개체 또는 연결매개체와 단자부간에 결속부로 결속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In addition, (a) of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otion inducing state between battery cells in a state in which a step reduction unit is not provided, an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vement between battery cells in a state in which a step reduction unit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is is prevented, and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p reduction unit of FIG. 6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medium, and FIG. 8 is an example view showing a step reduction unit and a connection medium or a connection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orm of binding between the and the terminal part by the binding part.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플레이트형 단자(30)는 단자부(31), 열전도부(32) 및 단차저감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8 , the plate-type terminal 30 may include a terminal unit 31 , a heat conduction unit 32 and a step reduction unit 33 .

구체적으로, 단자부(31)는 평판 형태로서 배터리 셀(20)의 마련된 단자와 연결되도록 배터리 셀(2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단자부(31)는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 등으로 마련되어 배터리 셀(20)의 전류를 전달받아 타 배터리 셀(20)이나 전극 리드(11a)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rminal unit 31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20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2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t this time, the terminal unit 31 may be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terial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current from the battery cell 20 and transfer it to another battery cell 20 or electrode lead 11a. .

열전도부(32)는 단자부(3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자부(31)의 연장선상에 있는 평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열전도부(32)는 단자부(31)와 같이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 등으로 마련되어 단자부(31)와 열전도부(32)가 마주하는 공간이나 장치 사이에서 열을 전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eat conduction unit 3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unit 31, and preferably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terminal unit 31. At this time, the heat conducting part 32 is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terial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like the terminal part 31 so as to conduct heat between spaces or devices where the terminal part 31 and the heat conducting part 32 face each other. can be configured.

예컨대, 열전도부(32)가 공기층과 마주할 경우, 단자부(31)가 전류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기층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혹여 단자부(31)에서 발생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열을 방출하는 장치와 마주할 경우, 해당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자부(31)로 전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eat conduction unit 32 faces the air layer, the terminal unit 31 may be configured to emit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current to the air layer, or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terminal unit 31 When confronted with a device that emits heat of, it may be configured to conduct heat generated in the device to the terminal unit 31.

이를 이용하여, 열전도부(32)는 인접한 위치에 열 변화 수단(60)이 마련될 수 있다.Using this, a heat changing unit 6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heat conducting unit 32 .

열 변화 수단(60)은 단자부(31)보다 높은 온도를 형성하는 마련되는 발열체이거나 단자부(31)보다 낮은 온도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냉각체로서, 발열체로 마련될 경우 열전도부(32)를 매개로 단자부(31)로 열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냉각체로 마련될 경우 열전도부(32)를 매개로 단자부(31)의 열을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changing means 60 is a heating element provided to form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terminal part 31 or a cooling element provided to form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terminal part 31. When provided as a heating element, the heat conducting part 32 is used as a medium. It may be formed to supply heat to the terminal unit 31, and when provided as a cooling body, may be formed to receive heat from the terminal unit 31 through the heat conducting unit 32.

즉, 열전도부(32)는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열 변화 수단(60)의 열 변화에 따라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31)의 열을 방출시키거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31)로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전도부(32)의 작동을 하도록 만드는 열 변화 수단(60)은 공냉, 수냉 또는 냉매식의 냉각파이프나, 히트싱크, 히터, 전열소자 등 열 변화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heat conducting part 32 releases heat from the terminal part 31 as shown in (a) of FIG. 4 according to the heat change of the heat changing means 60 installed in the adjacent position or (b of FIG. 4). As shown in ), i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heat to the terminal part 31, and the heat conversion means 60 that makes the heat conduction part 32 work is an air-cooled, water-cooled or refrigerant-type cooling pipe or a heat It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means capable of changing heat, such as a sink, a heater, or a heating element.

상기와 같은 열 변화 수단(60)은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반드시 마련되는 것은 아니며, 열 변화 수단(60)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열전도부(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층과 마주하도록 구성되어 단자부(31)의 열을 공기층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eat changing means 60 as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necessarily provided, and when the heat changing means 60 is not provided, the heat conducting part 32 is configured to face the air layer as described above, ) may be configured to dissipate the heat of the air layer.

한편, 열전도부(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절곡부(32b)와 함께 표면에 절연층(32a)을 형성하도록 표면처리 될 수 있다. 표면에 절연층(32a)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된 열전도부(32)는 냉각 시 발생할 수 있는 결로 등의 수분으로 인한 쇼트 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 the heat conducting portion 32 may be surface-treated to form an insulating layer 32a on the surface together with a bent portion 32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rface of the thermal conductive part 32 treated to form the insulating layer 32a on the surface thereof can prevent short-circuiting due to moisture such as condensation that may occur during cooling.

여기서,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일 경우, 열전도부(32)는, 하드 아노다이징(Hard Anodizing) 공정으로 표면처리 될 수 있다. 하드 아노다이징 공정으로 표면처리되는 열전도부는 표면에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산화알루미늄 피막층이 절연층(32a)의 역할을 할 수 있다.Here, when the material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terial, the heat conductive portion 32 may be surface treated by a hard anodizing process. An aluminum oxide (Al2O3) film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conductive part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by the hard anodizing process, and this aluminum oxide film layer can serve as the insulating layer 32a.

보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마련되는 열전도부(32)에 양극(Anode)으로 걸쳐 희석-산의 액으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열전도부(32)의 표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산화알루미늄 피막층이 형성된다. 이 산화알루미늄 피막층은, 내식성, 내마모성, 전기적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가져 쇼트 방지를 수행하는 절연층(32a)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electrolysis is performed with a diluted-acid solution across the anode over the heat conducting part 32 made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material, the oxygen generated at the anode strongly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heat conducting part 32. An aluminum oxide coating layer is formed. This aluminum oxide film layer has properties such as corrosion resistance, wear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and can serve as an insulating layer 32a to prevent short circuits.

더불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표면에 하드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할 경우, 열전도부(32)의 경도가 강화될 수 있고, 염수를 포함한 수분에 매우 강한 성질을 지닐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hard anodiz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the hardness of the heat conductive part 32 can be enhanced, and it can have very strong properties against moisture including salt water.

또한, 열전도부(32)는 배터리 셀(20)의 일측면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절곡부(32b)는 단자부(31)에서 열전도부(32)에 이르는 평면 상의 맨 끝단에 위치하여 배터리 셀(20)의 일측면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열전도부(32)의 열 전달 면적을 넓히고 플레이트형 단자(30)를 배터리 셀(20) 상에 일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conducting portion 32 may include a bent portion 32b bent toward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20 . The bent portion 32b is located at the far end of a plane extending from the terminal portion 31 to the heat conductive portion 32 and is formed to be bent to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20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heat conductive portion 32 and plate The mold terminals 30 may be regularly aligned on the battery cell 20 .

단차저감부(33)는 단자부(31)의 타측에 마련되어 배터리 셀(20)에 대한 단자부(31)의 부착으로 인해 발생되는 배터리 셀(20)간의 단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The step reduction unit 3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unit 31 to reduce a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y cells 20 cau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erminal unit 31 to the battery cell 20 .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부(31)는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로서 배터리 셀(20)에 부착될 경우, 단자부(31)가 부착되지 않는 배터리 셀(20)의 일부분은 단자부(31) 두께만큼의 단차가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단차 공간은 배터리 셀(20)을 일렬로 적재 시에 배터리 셀(20)간의 움직임을 유발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terminal portion 31 is a plate having a thickness and is attached to the battery cell 20, a portion of the battery cell 20 to which the terminal portion 31 is not attached has a ste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portion 31. Inevitably, such a stepped space can act as a space that can cause movement between the battery cells 20 when the battery cells 20 are stacked in a row.

이 때문에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정렬된 배터리 셀(20)이 진동이나 특정 외력에 의해 흐트러질 수가 있고, 배터리 셀(20)간의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가 있는데, 본 발명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31)와 열전도부(32)가 마련되지 않는 단자부(31)의 타측으로 단차저감부(33)를 구비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For this reason, as shown in (a) of FIG. 6, the battery cells 20 arranged in a row may be disturbed by vibration or a specific external force, and power supply between the battery cells 20 may not be smooth. As shown in (b) of FIG. 6,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providing a step reducing portion 33 to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31 where the terminal portion 31 and the heat conductive portion 32 are not provided. .

상기의 단차저감부(33)는 배터리 셀(20)간의 단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자부(31)와 동일 또는 유사한 두께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셀(20)간의 충격을 완화하고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 및 전기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reducing portion 33 has the same or similar thickness as the terminal portion 31 in order to minimize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y cells 20, and to relieve shock between the battery cells 20 and prevent a short circuit.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여기서, 탄성 및 전기절연성을 갖는 소재로서,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및 전기절연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may be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may be used.

이때, 단차저감부(33)는 단자부(31)와는 따로 제조되어 단자부(31)에 결합되거나 융착되어 단자부(31) 타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을 갖는 연결매개체(33a)에 의해 단자부(31)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reducing portion 33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portion 31 and coupled or fused to the terminal portion 31 to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31, but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7, heat resistance and It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31 by a connection medium 33a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을 갖는 연결매개체(33a)는 단자부(31)의 전기전도로 인한 발열 시에 단차저감부(33)에 직접적으로 열이 가해져 단차저감부(33)가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를 예방할 수가 있다.The connection medium 33a having heat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can prevent the step reducing portion 33 from melting when heat is directly applied to the step reducing portion 33 when heat is generated due to electrical conduction of the terminal portion 31, Fire can be prevented.

이러한 연결매개체(33a)는 테프론, PEEK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베이스에, 실리콘을 첨가한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테프론, PEEK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는 대략 200℃ 내지 300℃의 온도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고, 아라미드 섬유는 400℃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며, 실리콘은 전기절연성을 높이도록 작용될 수 있다.Such a connection medium (33a)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Teflon or PEEK resin or a synthetic resin in which silicon is added to a base composed of aramid fibers.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Teflon and PEEK resin have heat resistance that can withstand temperatures of about 200° C. to 300° C., aramid fibers have heat resistance that can withstand temperatures of about 400° C., and silicone can be used to increase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예로써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소재는 상기 구성 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preferred example, and the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above configuration.

한편, 연결매개체(33a)는 단자부(31) 및 단차저감부(33)와 일체화되도록 사출 성형될 수가 있다. 이때, 사출로에서 단자부(31)를 형성할 때에 단차저감부(33)와 단자부(31)의 용융재료도 함께 투입하여 일체화 시킬 수가 있거나, 단자부(31) 및 단차저감부(33)를 먼저 사출 후에 단자부(31) 및 단차저감부(33) 사이로 연결매개체(33a)의 사출을 수행하는 이중 사출을 수행하는 것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on medium 33a may be injection molded to be integrated with the terminal part 31 and the step reduction part 33 . At this time, when forming the terminal part 31 in the injection furnace, the step reducing part 33 and the molten material of the terminal part 31 can be injected together and integrated, or the terminal part 31 and the step reducing part 33 can be injected first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double inj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medium 33a is injected between the terminal portion 31 and the stepped portion 33 later.

즉, 연결매개체(33a)를 단자부(31) 및 단차저감부(33)와 일체화하도록 하는 사출 방식은 한정되지 아니한다.That is, an injection method for integrating the connection medium 33a with the terminal portion 31 and the step reducing portion 33 is not limited.

이때, 단자부(31)와 연결매개체(33a) 사이 또는 연결매개체(33a)와 단차저감부(33)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양각이 조합을 이루는 결속부(33b)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between the terminal part 31 and the connection medium 33a or between the connection medium 33a and the step reduction part 33, as shown in FIG. Can be injection molded.

예컨대, 결속부(33b)는 수평의 양각과 수직의 양각이 조화를 이루는 'T'형 돌기 형태로 마련되거나 수평의 양각 1개와 수직의 양각 2개가 조화를 이루는 'F'형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설명되지 아니하였으나 결속부(33b)는 이외에도 다양한 양각의 조합을 이루어 형성될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binding portion 33b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shaped protrusion in which horizontal embossing and vertical embossing are harmonized, or in the form of an 'F'-shaped protrusion in which one horizontal embossment and two vertical embossments are in harmony. can In addition, although not described, the binding portion 33b may be formed by combining various embossments.

이러한 결속부(33b)는, 사출 시 단자부(31)와 연결매개체(33a) 사이 또는 연결매개체(33a)와 단차저감부(33) 사이에 마련됨으로써, 단자부(31)와 연결매개체(33a) 간의 결속력과, 연결매개체(33a)와 단차저감부(33)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The coupling part 33b is provided between the terminal part 31 and the connection medium 33a or between the connection medium 33a and the step reduction part 33 during injection,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erminal part 31 and the connection medium 33a. It may be formed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an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connection medium 33a and the step reduction unit 33.

아울러, 플레이트형 단자(30)는 연결부(3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34)는 배터리 셀(20)을 제어하는 제어기판(50)과 단자부(31)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플레이트형 단자(30)에서 제어기판(50) 설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te-type terminal 3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34 . The connecting portion 34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control board 50 that controls the battery cell 20 and the terminal portion 31, and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plate-type terminal 30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board 50. can

이때, 연결부(34)는 도면에 열전도부(32)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상부 프레임(10)을 피해 제어기판(50)에 연결되기 위함으로, 제어기판(50)에 따라 돌출 위치는 달라질 수 있어 돌출 위치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34 is shown as protruding from the heat conducting part 32 in the drawing, but this is to avoid the upper frame 10 and be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50, and the protruding position depends on the control board 50. It can vary, so the protruding position is not limited.

제어기판(50)은 연결부(34)를 매개로 배터리 셀(20)에 접속하여 배터리 셀(20)을 제어하거나, 배터리 셀(2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board 5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2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34 to control the battery cell 20 or to monitor the state of the battery cell 20 .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them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are not restrictive.

1 : 슈퍼 캐패시터 모듈
10 : 프레임
11 : 정면 프레임
11a : 전극 리드
12 : 후면 프레임
13 : 바닥 프레임
14 : 상면 프레임
20 : 배터리 셀
30 : 플레이트형 단자
31 : 단자부
32 : 열전도부
32a: 절연층
32b : 절곡부
33 : 단차저감부
33a : 연결매개체
33b : 결속부
34 : 연결부
40 : 탄성부재
50 : 제어기판
60 : 열 변화 수단
1: Supercapacitor module
10 : frame
11: front frame
11a: electrode lead
12: rear frame
13: bottom frame
14: top frame
20: battery cell
30: plate type terminal
31: terminal part
32: heat conduction unit
32a: insulating layer
32b: bent portion
33: step reduction unit
33a: connection medium
33b: binding part
34: connection part
40: elastic member
50: control board
60: thermal change means

Claims (6)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플레이트형 단자로서,
평판 형태로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고, 배터리 셀에 내재된 내면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로부터 배터리 셀의 모서리에 도달하는 연장선상에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에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 및
상기 단자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의 부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를 저감하는 단차저감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A plate-type terminal attached to and used on one side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a supercapacitor module,
A terminal unit that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terminal inherent in the battery cell to transmit current of the battery cell;
A heat conduction portion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on an extension line reaching the edge of the battery cell from the terminal portion and conducting heat to the terminal portion; and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difference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including a step difference reduc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and reducing a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formed by attaching the termina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저감부는,
탄성 및 전기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되,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을 갖는 연결매개체에 의해 상기 단자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reduction unit,
It is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by a connection medium having heat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을 갖는 연결매개체는,
열가소성 수지나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베이스에, 실리콘을 첨가한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medium having heat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with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with silicon added to a base composed of thermoplastic resin or aramid fi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매개체는,
상기 단자부 및 단차저감부와 일체화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According to claim 2,
The linking agent is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characterized in that injection molded to be integrated with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step reduction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와 연결매개체 사이 또는 상기 연결매개체와 단차저감부 사이에 복수의 양각이 조합을 이루는 결속부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According to claim 4,
A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capacitor module having a step reduction function between battery c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molding is formed so that a coupling portion forming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embossments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ion medium or between the connection medium and the step reduction portion.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전극 리드가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일렬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일면에 각기 부착되어,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 또는 배터리 셀과 프레임 전극 리드 사이에서 전류를 전달하는 플레이트형 단자;
상기 프레임의 각 단부와 배열 최 외측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형 단자는,
평판 형태로 배터리 셀의 일면에 부착되고, 배터리 셀에 내재된 내면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셀의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로부터 배터리 셀의 모서리에 도달하는 연장선상에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에 열을 전도하는 열전도부 및
상기 단자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부의 부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배터리 셀간의 단차를 저감하는 단차저감부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ed with electrode leads at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lengt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frame;
plate-type terminals respectiv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transfer current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or between the battery cells and frame electrode leads;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each end of the frame and the outermost battery cell of the array, and
It includes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battery cell,
The plate type terminal,
A terminal unit that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terminal inherent in the battery cell to transmit current of the battery cell;
A heat conduction portion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on an extension line reaching the edge of the battery cell from the terminal portion and conducting heat to the terminal portion; and
A supercapacitor module comprising a step redu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to reduce a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formed by the attachment of the terminal portion.
KR1020210042910A 2021-04-01 2021-04-01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80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10A KR102480976B1 (en) 2021-04-01 2021-04-01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10A KR102480976B1 (en) 2021-04-01 2021-04-01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89A KR20220136789A (en) 2022-10-11
KR102480976B1 true KR102480976B1 (en) 2022-12-23

Family

ID=8359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10A KR102480976B1 (en) 2021-04-01 2021-04-01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976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446B1 (en) * 2009-07-07 2011-07-22 주식회사 프로파워 Battery case
US9203065B2 (en) * 2010-08-10 2015-12-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2018719B1 (en) * 2016-02-12 2019-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Busbar for cooling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reof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5052호(2017.08.22.) 1부.*
인용발명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4856호(2012.02.20.) 1부.*
인용발명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3912호(2011.01.1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89A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4532B2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743356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084969B1 (en) Battery Module Having Temperature Sensor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10027002B2 (en) Vehicle battery pack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KR101991925B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Cartridge Having Gripping Part
JP5136078B2 (en) Battery assembly
KR101501026B1 (en) Battery Module with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and Compact Structure
US20140234691A1 (en) Battery module with novel structure
US20110189526A1 (en) Energy storage unit
KR20170095052A (en) Busbar for cooling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reof
KR20140039350A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KR20110063007A (en) Battery module with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and compact structure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KR20150131759A (en) Battery Module Having Thermoelectric Element
US11888253B2 (en) Connector, battery management unit, and battery pack
KR102480948B1 (en)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80976B1 (en)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 function of reduc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80953B1 (en) Plate-type terminal of Surface-treated super capacitor module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80964B1 (en)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with alignment function of battery cells and a super capaci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3690504A (en) Battery module with temperature regulation
KR101976589B1 (en) Heat dissipation cartridge and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KR101966183B1 (en) Heat dissipation cartridge and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KR20200104620A (en) Battery module having all-around heat transfer path
US20180130982A1 (en) Battery module wit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battery
CN214672758U (en) Electric heating automobile battery
KR102659994B1 (en) Multi-faceted plate-type terminal of a super capacito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