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484B1 - 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484B1
KR102480484B1 KR1020210172653A KR20210172653A KR102480484B1 KR 102480484 B1 KR102480484 B1 KR 102480484B1 KR 1020210172653 A KR1020210172653 A KR 1020210172653A KR 20210172653 A KR20210172653 A KR 20210172653A KR 102480484 B1 KR102480484 B1 KR 10248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verage cup
holder
cup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진혁
김지수
오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버스
Priority to KR102021017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up reuse sort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judging reusability of a beverage cup using the same.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er unit fixing any beverage cup in an upside-down status; a reuse determination unit fixed to the holder unit and acquiring a bottom surface image of the beverage cup facing an upper par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everage cup can be reused through the acquired image; and a container washing unit performing washing by spraying a washing water into the beverage cup fixed to the holder uni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beverage cup seated on the holder unit is reusable.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ocial and economic waste.

Description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 컵의 바닥면 측에 빛을 조사한 상태로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up reusability sorting device and a method for judging the reusability of a beverage cup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up through an image obtained while irradiating light on the bottom side of the beverage cup. It relates to a beverage cup reusability screen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creening for reusability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usability of a beverage cup using the same.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전세계 국가의 정책도 저탄소 성장, 나아가 탄소 배출 제로를 달성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각 국 정부 정책 기조에 따라 친환경 관련 제품 또는 서비스가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이 중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단연 폐 플라스틱 배출과 관련하여 플라스틱 쓰레기를 어떻게 저감해야 하는 지에 대한 이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폐 플라스틱을 재사용 불가능한 플라스틱과 분리하여 수거하여 플라스틱 쓰레기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been greatly increased, and in response to this, policies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lso focused on achieving low-carbon growth and zero carbon emissions. Many eco-friendly products or services are being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se government policies, but the issue of how to reduce plastic waste in relation to waste plastic discharge is by far the most attention-grabbing issu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plastic waste by collecting reusable waste plastics separately from non-reusable plastics.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군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품 중 하나는 음료와 같은 액체를 담아 마실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음료용 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음료용 컵은 미리 음료가 담긴 상태로 유통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용량 음료 등을 나누어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회용 또는 다회 사용이 가능한 형태 등으로 컵 자체로만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One of the most widely used items among various product groups on the market is a beverage cup that is provided to contain liquids such as beverages. In many cases, cups are provided only as cups in a form that can be used once or for multiple uses in order to divide and drink large amounts of beverages.

이와 같은 음료용 컵은 그 재질에 따라 재사용의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데, 재질적 특성을 기반으로 재사용 가부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Reusability of such a beverage cup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its material, but it is not an easy task to determine reusability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이와 같은 이유로 제품 사용자들이 분리 수거 작업을 사전에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잘못된 분리 작업으로 인해 후속 처리 공정에서 작업자들이 추가적인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있어, 사회적경제적인 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For this reason, even if product users perform separate collection work in advance, there is a problem that social and economic losses are great because workers perform additional sorting work in the subsequent treatment process due to incorrect separation work.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194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194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자동으로 사전 선별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후속 선별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사회적경제적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so tha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re-select whether or not a cup for drinking can be reused, thereby preventing social and economic waste due to performing additional subsequent screening operations. may have a purpose fo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는, 임의의 음료용 컵을 뒤집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홀더유닛, 상기 홀더유닛에 고정되어 상부를 향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재사용 판단유닛 및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에 의해 상기 홀더유닛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홀더유닛에 고정된 음료용 컵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용기세척유닛을 포함한다.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lder unit for fixing any beverage cup in an inverted state, fixed to the holder unit and the bottom image of the beverage cup facing upwards and a reus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everage cup is reusable through the obtained imag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everage cup seated in the holder unit is reusable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the holder unit and a container washing unit that performs washing by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beverage cup.

이때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음료용 컵을 고정시키는 고정홀더,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홀더 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홀더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고정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고정홀더에 전달하여 상기 고정홀더를 회전 궤도 상에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der unit has a fixed holder for fixing the beverage cup, a holder drive unit for generating rotational driving force around an up-and-down rotation shaft,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holder drive uni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xed holder. , A connecting member for transferr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holder driving unit to the fixed holder to move the fixed holder on a rotational orbit.

또한 상기 홀더 구동부는,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에 의해 상기 홀더유닛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용기세척유닛에 의한 세척 과정 이후 제1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에 의해 상기 홀더유닛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driving uni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a first direction after the washing process by the container wash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nking cup seated in the holder unit is reusable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and the reus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beverage cup seated in the holder unit is not reusable,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generated.

그리고 상기 고정홀더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세척유닛의 세척노즐이 노출된 베이스 스테이지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지는, 상기 홀더 구동부의 제1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더가 이동하는 회전 궤도상에 위치되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음료용 컵이 낙하되도록 하는 제1낙하홀과, 상기 홀더 구동부의 제2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더가 이동하는 회전 궤도 상에 위치되어 재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음료용 컵이 낙하되도록 하는 제2낙하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base stag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holder to which the washing nozzle of the container washing unit is exposed, and the base stage is on a rotational track on which the fixed holder moves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holder driving unit in the first direction. A beverage determined to be unreusable is located on a rotational track in which the fixing holder moves by a first drop hole through which a beverage cup determined to be reusable is dropped, and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holder driving unit. A second drop hole through which the cup is dropped may be formed.

한편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은, 상기 홀더유닛에 고정되어 상부를 향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측에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상기 광 조사부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기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is fixed to the holder unit, a light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facing upward, and an ima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by the light irradiation unit. It may include an imaging unit for taking pictures and an arithmetic unit for identif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nking cup can be reused.

여기서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각인된 문양에 음영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form a shadow on the pattern engrav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s the light is irradi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또한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서로 다른 명도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패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irradiate light in a pattern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having different brightness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를 이용한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은, 임의의 음료용 컵을 뒤집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a)단계, 상부를 향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측에 빛을 조사하는 (b)단계,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And the method for judging the reusability of a beverage cup using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step (a) of fixing any beverage cup in an upside down state, the beverage facing upwards Step (b) of irradiating light on the bottom side of the cup for drinking, step (c) of obtaining an ima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for drinking, and reuse of the cup for drinking through the image obtained by the step (c). It includes the step (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이때 상기 (b)단계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각인된 문양에 음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b), as light is irradi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 pattern engrav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may form a shadow.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서로 다른 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패턴이 형성되도록 빛을 조사할 수 있다.In the step (b), light may be irradiated so that a plurality of patterns having different brightness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은, 홀더유닛에 음료용 컵을 뒤집어 고정시킨 상태로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획득하여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재사용 가능할 경우 용기세척유닛을 동해 세척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선별함에 따라, 분리 수거의 수작업에 따른 작업량 및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잘못된 분류 작업으로 인한 추가적인 후속 선별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사회적경제적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everage cup reusability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judging the reusability of the beverage cup using the same acquire the bottom image of the beverage cup in a state where the beverage cup is upside down and fixed to the holder unit. If it is reusable, the vessel washing unit is automatically screened by freezing and washing,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work and fatigue caused by manual work of separate collection, and additional costs due to incorrect classification work.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ocial and economic waste due to performing the subsequent screening opera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에 있어서, 재사용 판단유닛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를 통해 음료용 컵의 재사용 여부를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의 재사용 판단유닛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reuse determination unit in a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screening whether or not to reuse a beverage cup through a beverage cup reuse scre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9 to 11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images obtained through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of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And Figures 3 and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는 하우징(10), 홀더유닛(100), 재사용 판단유닛(200) 및 용기세척유닛(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holder unit 100, a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and a container washing unit 300 includes

하우징(10)은 음료용 컵 재사용 처리장치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10)의 내부에 홀더유닛(100), 재사용 판단유닛(200) 및 용기세척유닛(300)이 각각 수용된다.The housing 10 form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beverage cup reuse processing device, 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unit 100,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and the container washing unit 300 are respectively inside the housing 10 Accepted.

또한 하우징(10)에는 사용자가 내측에 음료용 컵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커버(11)가 구비되며, 이와 인접하여 구동버튼(12)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투입커버(11)를 열어 음료용 컵을 내부에 넣은 후 구동버튼(12)을 조작하게 될 경우, 후술할 음료용 컵의 재사용 선별 및 세척 과정이 수행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n input cover 11 into which a user can insert a cup for a drink, and a drive button 12 is provided adjacent thereto. When the user operates the drive button 12 after opening the input cover 11 and inserting the cup for beverage therein, a process of sorting and washing the cup for reus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더불어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배출커버(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커버(13)의 내측에는 후술할 재사용 선별 과정에 의해 분류된 재사용 가능한 음료용 컵 및 재사용 불가능한 음료용 컵이 분리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panel 20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0, and a discharge cover 13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 Inside the discharge cover 13, reusable beverage cups and non-reusable beverage cups classified by a reuse selec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eparately accommodated.

홀더유닛(100)은 임의의 음료용 컵을 뒤집은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만 홀더유닛(100)에 고정되는 음료용 컵은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된 것(뒤집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를 택할 수 있다.The holder unit 100 is provided to fix any beverage cup in an upside down state. However, the beverage cup fixed to the holder unit 100 is not limited to having an opening facing downward (upside down), and in some cases, any one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take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홀더유닛(100)은 음료용 컵을 고정시키는 고정홀더(110)와,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홀더 구동부(120)와, 일측이 홀더 구동부(120)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타측이 고정홀더(110)에 연결되어, 홀더 구동부(120)의 회전 구동력을 고정홀더(110)에 전달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holder unit 10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xed holder 110 for fixing a drinking cup and a holder drive unit 120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round a vertical axis of rotation. )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holder driving unit 120,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xed holder 110, the connecting member 130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holder driving unit 120 to the fixed holder 110 include

이에 따라 고정홀더(110)는 홀더 구동부(120)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궤도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회전 궤도는 원의 원주를 따라 회전하는 원 궤적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ed holder 110 is formed to be movable on a rotational track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holder driving unit 120 . The rotational trajectory may be a circular trajectory that rotat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circle.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홀더(110)의 내측에는 음료용 컵이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공간(111)이 형성되며, 고정홀더(110)의 측벽은 후방 영역이 전방 영역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음료용 컵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음료용 컵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xed space 111 is formed inside the fixed holder 110 in which a beverage cup is accommodated and fixed, and the side wall of the fixed holder 110 has a rear area higher than the front area so that the user can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beverage cup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beverage cup.

재사용 판단유닛(200)은 홀더유닛(100)에 고정되어 상부를 향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홀더유닛(100)의 상부 측에 구비된다. Reusability judgment unit 200 is fixed to the holder unit 100 and obtains an ima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facing upward, and determines whether the beverage cup can be reused through the obtained image. ,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unit 1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에 있어서, 재사용 판단유닛(20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in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사용 판단유닛(200)은 홀더유닛(100)에 고정되어 상부를 향하는 음료용 컵의 바닥면 측에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20)와, 광 조사부(220)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230)와, 촬상부(23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기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부(미도시)와, 이들 각 구성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하우징(21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5,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is fixed to the holder unit 100, the light irradiation unit 220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bottom side of the beverage cup facing upward,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220 An imaging unit 230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irradiated with light by the imaging unit 230, and an arithmetic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everage cup can be reused by identify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230 (not shown ) and a cover housing 210 provided to cover each of these components.

이때 광 조사부(220)는 음료용 컵의 바닥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표시된 문양/이미지에 음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빛을 조사하는 각도는 촬상부(230)와의 각도를 고려하여 컵의 바닥면 전체가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각도를 이루도록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ght irradiation unit 220 may form a shadow on the pattern/image display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by irradiating l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nd forming a shadow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The angle at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may be changed to form an optimal angle that enables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cup to be photographed in consideration of the angle with the imaging unit 230 .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양각 또는 음각 등으로 형성된 문양에 음영이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식별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해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maximize discrimination by forming a shadow on the pattern formed by embossing or intaglio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nd through this,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beverage cup can be reused do.

또한 광 조사부(220)는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서로 다른 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패턴이 형성되도록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 역시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표시 또는 각인된 문양/이미지의 인식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명도에 의해 경계가 구분되는 패턴의 형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광의 패턴은 광 조사부 자체적으로 그러한 패턴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광 조사부 전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 격자(grating)를 설치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ight irradiation unit 220 may irradiate light so that a plurality of patterns having different brightness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This is also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 pattern/image marked or engrav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nd the shape of the pattern whose boundary is divided by brightness can be set in various ways. The light pattern may be designed so that the light emitter itself emits light having such a pattern, or a pattern grating for forming a pattern may be install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 emitter.

한편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재사용 판단유닛(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홀더유닛(100)에 고정되는 음료용 컵의 규격이 다양하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는 음료용 컵에 맞추어 재사용 판단유닛(2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S. 3 and 4 ,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400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 This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fixed beverage cup, since the specifications of the beverage cup fixed to the holder unit 100 vary.

본 실시예에서 높이조절유닛(40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높이조절 구동모터410)와, 이와 같은 높이조절 구동모터41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재사용 판단유닛(200)에 연결되는 높이조절부(430)와, 높이조절부(4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2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0 is formed to be vertically movable by a height adjustment driving motor 410 generating driving force and the height adjustment driving motor 410, and has a height connected to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It includes an adjustment unit 430 and a guide unit 420 for guid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430 .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커버하우징(21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커버부재(211)에는 광 조사부(220)에 의해 조사된 빛이 통과하여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조사될 수 있도록 광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광 통과홀의 주변부에는 컵 인식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irradiation unit 220 passes through the lower cover member 211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o reac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 light passage hole may be formed to be irradiated, and a cup recognition unit 212 may be provided at a periphery of the light passage hole.

컵 인식부(212)는 형성하는 하부커버부재(2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하부커버부재(211)보다 하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The cup recognition unit 212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ormed lower cover member 211 and has a shap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cover member 211 .

이와 같은 컵 인식부(212)는 음료용 컵의 종류에 따라 재사용 판단유닛(200)의 높이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음료용 컵을 홀더유닛(10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높이조절유닛(400)을 통해 재사용 판단유닛(200)의 높이를 점차 하향시켜 컵 인식부(212)가 상부를 향한 상태로 구비되는 음료용 컵의 바닥부에 접촉될 경우, 높이조절 구동모터(410)는 센서의 신호를 통해 이를 인식하여 구동력을 차단함에 따라 높이조절부(43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Such a cup recognition unit 212 is intended to appropriately adjust the height of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cup. Specifically, while the beverage cup is fixed to the holder unit 100, the height of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is gradually lower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0 so that the cup recognition unit 212 is facing upward. When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beverage cup, the height adjustment driving motor 410 fixes the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430 by recognizing it through a signal from the sensor and blocking the driving force.

용기세척유닛(300)은 재사용 판단유닛(200)에 의해 홀더유닛(100)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홀더유닛(100)에 고정된 음료용 컵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When the container washing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drinking cup seated on the holder unit 100 is reusable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washing water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drinking cup fixed to the holder unit 100. It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cleaning by spraying.

본 실시예에서 용기세척유닛(300)은 홀더유닛(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우징(10) 내에 구비되는 세척수탱크(30, 도 2 참조)에 구비된 펌프를 통해 세척수를 전달받아 세척노즐(311)을 통해 세척수를 음료용 컵의 내측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모듈(310)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washing unit 300 is provided below the holder unit 100, receives washing water through a pump provided in the washing water tank (30, see FIG. 2)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uses the washing nozzle It includes a washing module 310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drinking cup through 311.

그리고 홀더 구동부(120)는, 재사용 판단유닛(200)에 의해 홀더유닛(110)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용기세척유닛(300)에 의한 세척 과정 이후 제1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재사용 판단유닛(200)에 의해 상기 홀더유닛(110)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And the holder drive unit 120,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that the drinking cup seated on the holder unit 110 is reusable, after the washing process by the container washing unit 300 in the first direction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everage cup seated in the holder unit 110 is not reusable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

즉 홀더유닛(110)에 안착된 음료용 컵은 재사용 가능 여부에 따라 홀더 구동부(120)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That is, the beverage cups seated on the holder unit 110 may be transported in different directions by the holder driving unit 120 depending on whether they can be reus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홀더(110)의 하부에는 용기세척유닛(300)의 세척노즐(311)이 노출된 베이스 스테이지(500)가 구비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stage 500 where the washing nozzle 311 of the container washing unit 300 is exposed may be provided under the fixing holder 110 .

이와 같은 베이스 스테이지(500)는 홀더 구동부(120)의 제1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고정홀더(110)가 이동하는 회전 궤도 상에 위치되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음료용 컵이 낙하되도록 하는 제1낙하홀(510)과, 홀더 구동부(120)의 제2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고정홀더(110)가 이동하는 회전 궤도 상에 위치되어 재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음료용 컵이 낙하되도록 하는 제2낙하홀(520)이 형성된다.The base stage 500 is positioned on a rotational track on which the fixed holder 110 moves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holder driving unit 120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beverage cup determined to be reusable falls down. The drop hole 510 and the holder driving unit 120 are located on the rotational track on which the fixed holder 110 moves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drop allows the beverage cup determined to be non-reusable to fall. A hole 520 is formed.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를 통해 음료용 컵의 재사용 여부를 선별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lecting whether to reuse a beverage cup through the beverage cup reuse scre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를 통해 음료용 컵의 재사용 여부를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6 to 8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screening whether or not to reuse a beverage cup through a beverage cup reuse scre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은,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음료용 컵(1)을 뒤집은 상태로 고정홀더(110)에 고정시키는 (a)단계가 수행된다.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usability of a beverag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6, a step (a) of fixing an arbitrary beverage cup 1 to the fixing holder 110 in an inverted state is perform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재사용 판단유닛(200)은 높이조절유닛(400)에 의해 고정된 음료용 컵(1)에 맞는 높이로 세팅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may be set to a height suitable for the beverage cup 1 fix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0 .

이후에는, 재사용 판단유닛(200)의 광 조사부(220)가 상부를 향하는 음료용 컵(1)의 바닥면 측에 빛을 조사하는 (b)단계와, 재사용 판단유닛(200)의 촬상부(230)가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c)단계가 수행된다.Thereafter, the light irradiation unit 220 of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irradiates ligh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1 facing upward, and the image pickup unit of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 230) step (c) of acquiring the bottom image of the beverage cup is performed.

이어 재사용 판단유닛(200)의 연산부는 (c)단계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음료용 컵(1)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d)단계를 수행한다.Subsequently, the calculation unit of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performs step (d)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p 1 for drinking can be reused through the image acquired by step (c).

여기서 (b)단계는 음료용 컵(1)의 바닥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음료용 컵(1)의 바닥면에 각인된 문양에 음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음료용 컵(1)의 바닥면에 서로 다른 명도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패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Here, step (b) can form a shadow on the pattern engrav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1 by irradiating l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1, and also Light may be irradiated in a pattern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having different brightnes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gon cup 1 .

도 9 내지 도 11에는, 이와 같은 (b)단계 내지 (d)단계의 과정에서 재사용 판단유닛(200)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의 예시가 각각 도시된다.9 to 11 show examples of images obtained through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in the process of steps (b) to (d), respectively.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음료용 컵(1)의 재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음료용 컵(1)의 선별 작업이 이루어진다.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beverage cup 1 is reused, and then the beverage cup 1 is sorted.

즉 재사용 판단유닛(200)에 의해 홀더유닛(110)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7과 같이 용기세척유닛(300)에 의한 세척 과정이 이루어지고, 이후 도 8과 같이 홀더 구동부(120)의 제1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고정홀더(110) 및 음료용 컵(1)이 제1낙하홀(510)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음료용 컵(1)이 낙하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that the drinking cup seated in the holder unit 110 is reusable, a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container washing unit 300 as shown in FIG. 7, and then shown in FIG. 8 and Likewise, the fixed holder 110 and the beverage cup 1 are moved toward the first drop hole 510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holder drive unit 12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beverage cup 1 determined to be reusable it falls

또한 재사용 판단유닛(200)에 의해 홀더유닛(110)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후 홀더 구동부(120)의 제2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고정홀더(110) 및 음료용 컵(1)이 제2낙하홀(520)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재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음료용 컵(1)이 낙하되어 선별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200 that the beverage cup seated in the holder unit 110 is not reusable, then the fixed holder 110 and beverage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holder drive unit 120 in the second direction As the cup 1 is moved toward the second drop hole 520, the drink cup 1 determined to be non-reusable is dropped and sor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matter of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음료용 컵
10: 하우징
11: 투입커버
12: 구동버튼
13: 배출커버
20: 디스플레이 패널
30: 세척수탱크
100: 홀더유닛
110: 고정홀더
111: 고정공간
120: 홀더 구동부
130: 연결부재
200: 재사용 판단유닛
210: 커버하우징
211: 하부커버부재
212: 컵 인식부
220: 광 조사부
230: 촬상부
300: 용기세척유닛
310: 세척모듈
311: 세척노즐
400: 높이조절유닛
410: 높이조절 구동모터
420: 가이드부
430: 높이조절부
500: 베이스 스테이지
510: 제1낙하홀
520: 제2낙하홀
1: Drink cup
10: housing
11: input cover
12: drive button
13: discharge cover
20: display panel
30: washing water tank
100: holder unit
110: fixed holder
111: fixed space
120: holder driving unit
130: connecting member
200: reuse judgment unit
210: cover housing
211: lower cover member
212: cup recognition unit
220: light irradiation unit
230: imaging unit
300: container washing unit
310: washing module
311: washing nozzle
400: height adjustment unit
410: height adjustment drive motor
420: guide unit
430: height adjustment unit
500: base stage
510: first drop hole
520: second drop hole

Claims (10)

임의의 음료용 컵을 고정시키는 홀더유닛;
상기 홀더유닛에 고정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재사용 판단유닛; 및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에 의해 상기 홀더유닛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홀더유닛에 고정된 음료용 컵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용기세척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음료용 컵을 고정시키는 고정홀더;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고정홀더를 원 궤적을 가지는 회전 궤도 상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홀더 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고정홀더가 이동하는 원 궤적의 중심에 위치되는 상기 홀더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고정홀더에 전달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구동부는,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에 의해 상기 홀더유닛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용기세척유닛에 의한 세척 과정 이후 제1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에 의해 상기 홀더유닛에 안착된 음료용 컵이 재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고정홀더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세척유닛의 세척노즐이 노출된 베이스 스테이지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스테이지에는,
상기 홀더 구동부의 제1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더가 이동하는 원 궤적의 회전 궤도 상에 위치되어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음료용 컵이 낙하되도록 하는 제1낙하홀과, 상기 홀더 구동부의 제2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더가 이동하는 원 궤적의 회전 궤도 상에 위치되어 재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음료용 컵이 낙하되도록 하는 제2낙하홀이 형성되고,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은,
상기 홀더유닛에 고정되어 상부를 향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측에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음영을 형성하되, 서로 다른 명도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패턴으로 빛을 조사하는,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
A holder unit for fixing any beverage cup;
a reuse judgment unit acquiring a bottom image of the beverage cup fixed to the holder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everage cup can be reused through the obtained image; and
a container wash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washing by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drinking cup fixed to the holder uni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reusability determination unit that the drinking cup seated on the holder unit is reusable;
including,
The holder unit,
a fixing holder for fixing the beverage cup;
a holder driving unit that horizontally moves the fixed holder on a rotational track having a circular trajectory by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round an up-and-down rotational axis; 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holder driving uni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trajectory along which the fixed holder moves,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xed holder to transfer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holder driving unit to the fixed holder;
Including,
The holder drive uni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beverage cup seated in the holder unit is reusable,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a first direction is generated after the washing process by the container washing unit, and the holder is determined by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everage cup seated in the unit is not reusable,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base stage exposed to the washing nozzle of the container washing uni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holder,
In the base stage,
A first drop hole for allowing a beverage cup determined to be reusable to be dropped by being positioned on a rotational trajectory of a circular trajectory in which the fixed holder moves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holder driving unit, and a first drop hole of the holder driving unit A second drop hole is formed to allow the beverage cup determined to be non-reusable to fall, which is located o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circular trajectory along which the fixing holder moves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wo directions,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A light irradiation unit fixed to the holder unit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facing upward,
The light irradiation unit forms a shadow 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by irradiating l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but includes a plurality of areas having different brightnesses. Irradiate light in a pattern that is formed,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판단유닛은,
상기 광 조사부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기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는,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use determination unit,
an imaging unit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irradiated with light by the light irradiation unit; and
a calculation unit for identif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nking cup can be reused;
Including mor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를 이용한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음료용 컵을 뒤집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a)단계;
상부를 향하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측에 빛을 조사하는 (b)단계;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음료용 컵의 재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
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usability of a beverage cup using the beverage cup reuse sorting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or 5,
(a) step of fixing any beverage cup in an upside down state;
(b) step of irradiating ligh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facing upward;
(c) acquiring a bottom surface image of the beverage cup; and
(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nking cup can be reused through the image acquired by step (c);
including,
A method for judging the reusability of beverage cup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어 빛을 조사함에 따라 상기 음료용 컵의 바닥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음영을 형성하는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step (b),
Forming a shadow 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s the light is irradi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 method for judging the reusability of beverage cup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서로 다른 명도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패턴으로 빛을 조사하는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step (b),
Irradiate light in a pattern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having different brightness
A method for judging the reusability of beverage cups.
KR1020210172653A 2021-12-06 2021-12-06 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 KR1024804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653A KR102480484B1 (en) 2021-12-06 2021-12-06 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653A KR102480484B1 (en) 2021-12-06 2021-12-06 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84B1 true KR102480484B1 (en) 2022-12-22

Family

ID=8457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653A KR102480484B1 (en) 2021-12-06 2021-12-06 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295A (en) * 1999-03-10 1999-09-06 최기창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washing supply of re-usable cup
KR20110082878A (en) * 2010-01-12 2011-07-20 주식회사 오피에스이앤씨 Sorting method for re-using bottle
KR20180031946A (en) 2016-09-21 2018-03-29 승병선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stic bottle and paper cup
KR20200130026A (en) * 2019-05-10 2020-11-18 (주)컵프리랩 The separation and 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295A (en) * 1999-03-10 1999-09-06 최기창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washing supply of re-usable cup
KR20110082878A (en) * 2010-01-12 2011-07-20 주식회사 오피에스이앤씨 Sorting method for re-using bottle
KR20180031946A (en) 2016-09-21 2018-03-29 승병선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stic bottle and paper cup
KR20200130026A (en) * 2019-05-10 2020-11-18 (주)컵프리랩 The separation and 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048B1 (en) Optical granular substance sorter
CN1155814C (en) Nephelometer and turbidimeter combination
US5265169A (en) Method of discriminating particle aggregation pattern
AU746244B2 (en) Automatic lens inspection system
JP6357897B2 (en) Medal identification device and medal identification method
WO2021195563A1 (en) Arrangements for digital marking and reading of items, useful in recycling
CN1071895C (en) Illumination and imaging subsystems for a lens inspection system
CN1079949C (en) 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ophthalmic lenses
JP20085085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tainers
JP7012746B2 (en) Label correction method and equipment during sample evaluation
RU2006130742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POLLUTION IN TARE
Wahab et al. Development of a prototype automated sorting system for plastic recycling
US200301422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the transparent bottoms of bottles
KR102480484B1 (en) Recycling Sorting Apparatus of Drink Cup and Reusability Estimation Method of Drink Cup Using the Same
US20220055071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orting items, useful in recycling
CN102713579B (en)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KR20180092901A (en) Contact lens inspection in a plastic shell
CN1748138A (en) Imaging device
JP2006300875A (en) Liquid level detecting method, liquid amount detecting method, liquid level detector, liquid amount detector, and dispensing device
JP20090924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raman scattering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lastic
JP5508106B2 (en) Foreign matter detection method, foreign matter detection device and foreign matter detection program in fluid
CN116140225A (en) Defect detection system and defect detection method
US10591747B2 (en) Contact lens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JP2004257937A (en) Foreign matter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JP2016004331A (en) Medal identification device and medal identif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