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477B1 -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477B1
KR102480477B1 KR1020200066026A KR20200066026A KR102480477B1 KR 102480477 B1 KR102480477 B1 KR 102480477B1 KR 1020200066026 A KR1020200066026 A KR 1020200066026A KR 20200066026 A KR20200066026 A KR 20200066026A KR 102480477 B1 KR102480477 B1 KR 10248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reflective polarizing
particles
coating lay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8744A (en
Inventor
조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77B1/en
Publication of KR2021014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7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66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volving the reflection of light at a particular angle of incidence, e.g. Brewster's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반사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반사편광필름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K-value 값이 145 내지 175인 입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직경이 1 내지 20 ㎛이고 상기 입자의 평균직경의 ±50% 크기를 갖는 입자가 전체 입자 부피의 90% 이상의 다분산 입자일 수 있다.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a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disclosed reflective polarizing film includes a substrate; and a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coating layer includes at least one particle having a K-value of 145 to 175, the particle has a diameter of 1 to 20 μm, and an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 Particles with a size of ±50% may be polydisperse particles of 90% or more of the total particle volume.

Description

반사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반사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a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표시장치,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는 현재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모니터, 액정 TV, 자동차, 항공기 등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은 백라이트로부터 발사되는 광의 이용효율이 높다고 할 수 없다. 백라이트로부터 발사되는 광 중 50% 이상이 편광필름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백라이트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광학캐비티와 액정어셈블리 사이에 반사편광필름이 설치된다.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is currently being used in laptop computers, personal computer monitors, liquid crystal TVs, automobiles, and airplanes. An optical film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cannot be said to have high utilization efficiency of light emitted from a backlight. This is because more than 5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is absorbed by the polarizing fil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backlight us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installed between the optical cavity and the liquid crystal assembly.

반사편광필름은 광학캐비티의 최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폐능력을 가져야 하고, 동시에 휘도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입자 코팅층을 포함하고 있다.Sinc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optical cavity, it must have shielding ability and at the same time include a particle coating layer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teriorate luminance performance.

그러나 일반적으로 코팅층에 사용하는 입자는 차폐성과 광투과율 및 저굴절 성능은 만족하지만 경도가 강하여 프리즘과의 마찰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액정 디스플레이상에서 흑점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휘도를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however, the particles used in the coating layer are satisfactory in shielding, light transmittance, and low refractive performance, but may cause friction with the prism due to their strong hardness. This has a problem of reducing luminance as well as generating black spots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따라서 일정 수준의 차폐 능력을 갖추면서 프리즘과의 갈림을 발생시키지 않는 반사편광필름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있다. Therefore, there is still a need for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having a certain level of shielding ability and not causing splitting with the prism.

일 측면은 우수한 광투과율 및 휘도를 가지면서 프리즘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편광필름이 제공된다.One aspect is provided with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capable of preventing friction with a prism while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and luminance.

다른 측면은 상기 반사편광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Another aspect is provided with a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또다른 측면은 상기 반사편광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Another aspect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일 측면에 따라,According to one aspect,

기재; 및 write; and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코팅층;을 포함하고,Including; a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코팅층은 K-value 값이 145 내지 175인 입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The coating layer includes at least one particle having a K-value of 145 to 175,

상기 입자의 직경이 1 내지 20 ㎛이고 Th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1 to 20 μm

상기 입자의 평균직경의 ±50% 크기를 갖는 입자가 전체 입자 부피의 90% 이상의 다분산 입자인, 반사편광필름이 제공된다.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provided in which the particles having a size of ±50% o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are polydisperse particles of 90% or more of the total particle volume.

상기 입자의 굴절률은 1.00 내지 1.50일 수 있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may be 1.00 to 1.50.

상기 입자의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광투과율은 85% 이상일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articles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may be 85% or more:

<식 1><Equation 1>

입자의 광투과율(%) = [{(투과광의 광량 + 굴절광의 광량)/입사광의 광량} x 100]Particle light transmittance (%) = [{(light amount of transmitted light + light amount of refracted light) / light amount of incident light} x 100]

상기 입자는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이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cles may include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코팅층은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 binder.

상기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층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2 중량%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articles may be 0.2% to 8.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entire coating layer.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VA) 수지,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수지, 에폭시(EP) 수지, 요소(UF) 수지, 멜라닌(MF) 수지, 폴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수지,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또는 이들 조합일 수 있다.The substrate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co-polyethylene naphthalate (co-PEN), polycarbonate (PC),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urethane (PU), Polyimide (PI) Polyvinyl Chloride (PVC), StyreneAcrylonitrile (SAN) ) resin,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polyamide (PA), polyacetal (POM), phenol resin, epoxy (EP) resin, urea (UF) resin, melanin (MF) resin, polyester (UP), It may be a silicone (SI) resin, a cycloolefin polymer (COP),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휘도는 85% 이상일 수 있다.The luminan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be 85% or more.

상기 반사편광필름은 상기 기재와 코팅층 사이에 스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further include a skin layer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oating layer.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두께는 125 ㎛ 내지 350 ㎛일 수 있다.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125 μm to 350 μm.

다른 측면에 따라,According to other aspects,

전술한 반사편광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A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provided.

또다른 측면에 따라,According to another aspect,

전술한 반사편광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provided.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편광필름은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K-value 값이 145 내지 175인 입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직경이 1 내지 20 ㎛이고 상기 입자의 평균직경의 ±50% 크기를 갖는 입자가 전체 입자 부피의 90% 이상의 다분산 입자이기에, 우수한 광투과율 및 휘도를 가지면서 프리즘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ubstrate, and the coating layer includes at least one particle having a K-value of 145 to 175, and the diameter of the particle is 1 to 20 μm Since the particles having a size of ±50% o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are polydisperse particles of 90% or more of the total particle volume, friction with the prism can be prevented while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and brightness.

도 1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편광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b는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편광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작된 반사편광필름의 코팅층을 프리즘과 맞닿게 하고 하중이 200g인 추를 올려서 20N의 힘을 이용하여 좌우로 100회 문지른 후에 프리즘 상면 사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작된 반사편광필름의 코팅층에 포함된 입자의 입경 분포도이다.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a to 2d show the coating layer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prepared in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prism, and a weight having a load of 200 g was raised and rubbed left and right 100 times using a force of 20 N. Here is a picture of the top of the prism.
3a to 3d are particle size distribution diagrams of particles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반사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 backlight assembl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examples are only presented as example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case of conflict,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definitions, will control.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Although methods and materials similar or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in the practice or te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e methods and materials are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앞에 "적어도 일 면"이라는 표현은 상기 구성요소의 "일 면" 또는 "양 면"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들의 앞에 "적어도 1종", "1종 이상", 또는 "하나 이상"이라는 표현은 전체 구성요소들의 목록을 보완할 수 있고 상기 기재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at least one side" in front of a component means to include both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mponent.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ne or more”, or “one or more” in front of elements herein means that they can complement the entire list of elements and can complement individual elements in the description. I never do that.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기재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및/또는"을 의미한다.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is meant to include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items listed in relation to it. The term "or" as used herein means "and/or".

본 명세서에서 "포함"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또는/및 개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 조합"이라는 용어는 앞서 기술한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혼합물 또는 합금 등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계 수지"라는 용어는 "~ 수지" 또는/및 "~ 수지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include" is used to indicate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or/or intervened, not ex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term "combination of these" is used herein to denote a mixture or alloy of two or more of the foregoing components, or the lik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resin" is used to denote a broad concept including "~ resin" or/and "~ resin derivative".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 간의 중량비율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unit "parts by weight" means the weight ratio between each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일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거나 상기 구성요소들 사이에 개재된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면)에 직접" 배치되어 언급되는 경우, 개재된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sposed "on" another element, one element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other element, or there may be intervening elements between the elements. It can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placed “directly on” another element, intervening elements may not exist.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액정 부분은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부분을 움직이게 함에 따라 변경되는 광학 상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처리는 정보를 실은 '픽셀'을 특정 방향의 편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는 편광을 유도하는 전면 광학필름 및 배면 광학필름을 포함한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광학필름은 백라이트로부터 발사되는 광의 이용 효율이 높다고 할 수 없기에, 광학캐비티와 액정어셈블리 사이에 반사편광필름이 설치된다.In general, in a liquid crystal display, a liquid crystal part has an optical state that is changed as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y applying a voltage to two electrodes moves the liquid crystal part. This process displays an image by using information-loaded 'pixels' polarized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For this reason, liquid crystal displays include a front optical film and a rear optical film for inducing polarization. Since the optical film u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cannot be said to have high efficiency in the use of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installed between the optical cavity and the liquid crystal assembly.

그러나 반사편광필름의 최상면에 배치된 코팅층에 포함된 입자는 차폐성, 광 투과율, 및 저굴절 성능 외에 경도가 강하여 프리즘과의 마찰을 유발하기에 이로 인해 액정 디스플레이상에서 흑점을 발생시키고 휘도가 감소될 수 있다. However, particles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have strong hardness in addition to shielding properties, light transmittance, and low refractive performance, causing friction with the prism, which may cause black spots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decrease in luminance. there i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반사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 the following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a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편광필름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K-value 값이 145 내지 175인 입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직경이 1 내지 20 ㎛이고 상기 입자의 평균직경의 ±50% 크기를 갖는 입자가 전체 입자 부피의 90% 이상의 다분산 입자일 수 있다.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and a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coating layer includes at least one particle having a K-value of 145 to 175, the particle has a diameter of 1 to 20 μm, and an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 Particles with a size of ±50% may be polydisperse particles of 90% or more of the total particle volume.

상기 반사편광필름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include a substrate and a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VA) 수지,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수지, 에폭시(EP) 수지, 요소(UF) 수지, 멜라닌(MF) 수지, 폴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수지,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또는 이들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는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클리콜, 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 등의 단량체들이 적절하게 중합된 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카보네이트(PC)의 혼합 필름일 수 있다. The substrate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co-polyethylene naphthalate (co-PEN), polycarbonate (PC),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urethane (PU), Polyimide (PI) Polyvinyl Chloride (PVC), StyreneAcrylonitrile (SAN) ) resin,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polyamide (PA), polyacetal (POM), phenol resin, epoxy (EP) resin, urea (UF) resin, melanin (MF) resin, polyester (UP), It may be a silicone (SI) resin, a cycloolefin polymer (COP),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substrate is co-polyethylene naphthalate (co-PEN) in which monomers such as dimethyl-2,6-naphthalene dicarboxylate, dimethyl terephthalate, ethylene glycol, and cyclohexanedimethanol (CHDM) are appropriately polymerized. ) can be. For example, the substrate may be a mixed film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carbonate (PC).

상기 기재는 그 내부에 복수의 분산체가 랜덤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 확산을 통한 시야각 특성의 강화 및 랜덤하게 분산된 분산체와 기재 간의 경계에서의 광변조 효과를 보다 용이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와 기재 내부에 포함되는 분산체 간에 복굴절 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bstrate may have a plurality of dispersions randomly dispersed therei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through light diffusion and more easily express the light modulation effec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andomly dispersed dispersion and the substrate. A birefringent interf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dispersion included inside the substrate.

상기 분산체의 재료는 상술한 기재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이를 포함하는 재료일 수 있다. 상기 분산체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산체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분산체의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The material of the dispersion may be the same as or including the material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The dispersion may be, for example,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dispers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of the dispersion commonly available in the art can be used.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스킨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기재와 코팅층 사이에 스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은 기재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킨층은 별도의 접착층 없이 기재와 함께 공압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기재와 일체로 형성된 스킨층은 접착층으로 인한 광학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두께에 많은 층을 부가할 수 있어 광학물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와 일체로 형성된 스킨층은 공압출된 후 연신 공정이 수행되므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연신된 스킨층과 비교하여 표면경도가 향상되어 내스크래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기재와 스킨층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A skin layer may be inclu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other words, a skin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oating layer. The skin layer serves to supplement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ubstrate. For example, the skin layer may be integrally formed by co-extrusion with a substrate without a separate adhesive layer. The skin layer integrally formed with such a substrate can not only prevent deterioration of optical properties due to the adhesive layer, but also significantly improve optical properties because many layers can be added to a limited thickness. In addition, since the skin lay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is co-extruded and then subjected to a stretching process, it may be stretche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Through this, surface hardness may be improved compared to the unstretched skin layer, and thus scratch resistance may be improved. In some cases, a separate adhesive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kin layer.

상기 스킨층의 재료는 반사편광필름의 지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킨층의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킨층의 재료는 상술한 기재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이를 포함하는 재료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kin layer may be a material of a skin layer commonly used to perform the supporting func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skin layer may be the same as or including the material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예를 들어, 상기 기재의 두께는 20 ~ 18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50 ~ 500㎛일 수 있다. 또한 전체 분산체의 개수는 32인치를 기준으로 기재의 두께가 120㎛일 때 25,000,000 ~ 80,000,000 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of 20 to 180 μm. For example, the ski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50 to 500 μm. 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dispersions may be 25,000,000 to 80,000,000 wh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120 μm based on 32 inch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코팅층은 K-value 값이 145 내지 175인 입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K-value값이 너무 높으면 프리즘에 손상을 가할 수 있고, 상기 입자의 K-value값이 너무 낮으면 반사편광필름을 손상시킬 수 있다. The coating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particle having a K-value of 145 to 175. If the K-value of the particles is too high, the prism may be damaged, and if the K-value of the particles is too low,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be damaged.

상기 입자의 직경은 1 내지 20 ㎛이고 상기 입자의 평균직경의 ±50% 크기를 갖는 입자가 전체 입자 부피의 90% 이상의 다분산 입자일 수 있다. 만약, 입자가 단분산 입자라면, 입자와 프리즘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갈림 발생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1 to 20 ㎛, and the particles having a size of ±50% o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may be polydisperse particles of 90% or more of the total particle volume. If the particles are monodisperse particl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rticles and the prism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cracking may increase.

상기 입자의 굴절률은 1.0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입자가 상기 굴절률 범위를 벗어난다면, 광의 확산을 일으키며 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may be 1.00 to 1.50. If the particle is out of the refractive index range, it may cause light diffusion and decrease luminance.

상기 입자의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광투과율은 85% 이상일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articles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may be 85% or more:

<식 1> <Equation 1>

입자의 광투과율(%) = [{(투과광의 광량 + 굴절광의 광량) / 입사광의 광량} x 100]Light transmittance of particles (%) = [{(Amount of transmitted light + Amount of refracted light) / Amount of incident light} x 100]

상기 반사편광필름이 포함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유닛의 하단에서 올라오는 빛들이 입자에 의해서 손실되어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uminance from deteriorating due to loss of light coming from the bottom of the backlight assembly unit including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due to particles.

상기 입자는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이들 조합을 포함하는 유기입자일 수 있다. The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organic particles including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코팅층의 입자는 K-value값, 입자의 직경 범위, 및 다분산 입자의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우수한 광투과율 및 휘도를 가지면서 프리즘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articles of the coating layer can prevent friction with the prism while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and luminance when all of the K-value value, the diameter range of the partic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disperse particle are satisfied.

상기 코팅층은 기재층 상에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입자,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슬립제, 소포제, 습윤분산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coating layer on a base laye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may include the aforementioned particles, a binder, and a solvent. If necessary,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a slip agent, an antifoaming agent, a wetting and dispers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 leveling agent, and a light stabilizer.

상기 바인더는 돌기를 형성하는 입자를 반사편광필름의 기재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인더로는 열경화 및 자외성 경화 수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수지일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우레탄 아크릴계 수지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binder serves to attach particles forming protrusions to the substrat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s the binder, both thermosetting and ultraviolet curable resins may be used. For example, the binder may be an acrylic resin, an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epoxy resin, a melamine resin, a polyurethane resin, a urethane acrylic resin,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상기 용매는 메틸프로필렌글리콜,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용매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the solvent, methyl propylene glycol, toluene, methyl ethyl ketone, or ethyl acetate may be used. If necessary,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입자의 함량은 상기 코팅층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2 중량%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입자의 함량이 0.2 중량% 이하라면, 입자의 함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프리즘과의 마찰에서 반사편광필름의 코팅층 손상을 유발 할 가능성이 있으며 적절한 헤이즈를 부과하지 못해 반사편광필름 하단에 위치하는 타 필름의 결점을 차폐시키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함량이 8.0 중량% 이상이라면, 백라이트 어셈블리 유닛의 하단으로부터 오는 빛을 손실 시키고 확산시켜 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may be 0.2% to 8.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entire coating layer. If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s less than 0.2%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s not sufficient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damage to the coating layer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due to friction with the prism, and an appropriate haze cannot be applied to other film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not be able to mask its flaws. If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s 8.0% by weight or more, light com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acklight assembly unit is lost and diffused, thereby reducing luminance.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휘도는 85% 이상일 수 있다.The luminan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be 85% or more.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125 ㎛ 내지 350 ㎛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be, for example, 125 μm to 350 μm.

도 1a는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편광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1b는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편광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a을 참조하면, 코어층(1)의 양면에 코팅층(4)에 배치되어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코어층(11)의 양면에 스킨층(12)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어층(11)과 접하는 스킨층(12)의 반대면에 코팅층(14)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코어층(11) 및 스킨층(12)을 합하여 기재(13)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A , a coating layer 4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1 . Referring to FIG. 1B, skin layers 1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11, and coating layers 14 ar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kin layer 12 in contact with the core layer 11, respectively. . The substrate 13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core layer 11 and the skin layer 12 .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전술한 반사편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described above.

또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전술한 반사편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reflective polarizing film.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inten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Example]

실시예 1: 반사편광필름Example 1: Reflective polarizing film

기재로서, 약 300 ㎛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레이첨단소재(주))을 사용하였다. 상기 기재 위에 하기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메이어바로 5 ㎛ 두께로 도포한 후 90 ℃에서 30 초간 건조하고 5 mpm 속도로 300 mW/cm2 광량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반사편광필름을 제작하였다.As a substrat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Toray Advanced Materials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0 μm was used. After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substrate to a thickness of 5 μm with a Meyer bar, drying at 90 ° C. for 30 seconds and using a light amount of 300 mW / cm 2 at a rate of 5 mpm,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s shown in FIG. 1 described later produced.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Forming Coating Layer>

아크릴계 수지 바인더(SH-340, 삼화페인트): 50 중량% Acrylic resin binder (SH-340, Samhwa Paint): 50% by weight

경화제(IRG184, Ciba): 1 중량% Curing agent (IRG184, Ciba): 1% by weight

아크릴계 고분자 슬립제(BYK-UV3500, BYK-Chemie GmbH.): 0.5 중량% Acrylic polymer slip agent (BYK-UV3500, BYK-Chemie GmbH.): 0.5% by weight

메틸프로필렌글리콜: 45 중량% Methyl Propylene Glycol: 45% by weight

나일론 입자(SP-10, 평균직경: 10 ㎛, Toray): 3.5 중량% Nylon particles (SP-10, average diameter: 10 μm, Toray): 3.5% by weight

실시예 2: 반사편광필름Example 2: Reflective polarizing film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나일론 입자(SP-10, 평균직경: 10 ㎛, Toray) 3.5 중량% 대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입자(TCP5010, 평균 직경: 10 ㎛, ㈜ 투에이취켐) 3.5 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편광필름을 제작하였다.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ating layer, except for using 3.5%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articles (TCP5010, average diameter: 10 μm, 2H Chem Co., Ltd.) instead of 3.5% by weight of nylon particles (SP-10, average diameter: 10 μm, Toray)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1: 반사편광필름Comparative Example 1: Reflective polarizing film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나일론 입자(SP-10, 평균직경: 10 ㎛, Toray) 3.5 중량% 대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MF5FD, 평균직경: 5 ㎛, 코오롱) 3.5 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편광필름을 제작하였다.Except for using 3.5%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particles (MF5FD, average diameter: 5 ㎛, Kolon) instead of 3.5% by weight of nylon particles (SP-10, average diameter: 10 ㎛, Toray)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2: 반사편광필름Comparative Example 2: Reflective polarizing film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나일론 입자(SP-10, 평균직경: 10 ㎛, Toray) 3.5 중량% 대신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GB-05S, 평균직경: 5 ㎛, AICA KOGYO) 3.5 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편광필름을 제작하였다.In the coating layer forming composition, 3.5 wt% of polybutyl methacrylate particles (GB-05S, average diameter: 5 μm, AICA KOGYO) were used instead of 3.5 wt% of nylon particles (SP-10, average diameter: 10 μm, Toray) Except,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평가예 1: 반사편광필름의 물성 평가 Evaluation Example 1: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reflective polarizing film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작된 반사편광필름의 물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도 2a~도 2d, 및 도 3a~도 3d에 나타내었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S. 2a to 2d, and FIGS. 3a to 3d .

(1) 상대휘도 평가(1) Relative luminance evaluation

상기 각각의 반사편광필름의 코팅층 및 반사편광원반을 프리즘과 맞닿게 한 후 미놀타 휘도측정장치(CA-210)로 정면 휘도(nit)를 측정하였다. 이후, 반사편광원반 휘도 100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의 반사편광필름의 휘도, 즉 상대휘도(%)를 계산하였다.After bringing the coating layer of each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the reflective polarizing disc into contact with the prism, the frontal luminance (nit) was measured with a Minolta luminance measuring device (CA-210). Thereafter, the luminance of each reflective polarizing film, that is, the relative luminance (%), was calculated based on the luminan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disk 100 as a standard.

(2) 프리즘과의 갈림평가(2) Difference evaluation with Prism

상기 각각의 반사편광필름의 코팅층을 프리즘과 맞닿게 하고 하중이 200g인 추를 올려서 20N의 힘을 이용하여 좌우로 100회 문지른 후 반사필름 코팅층 표면과 프리즘 면의 스크래치 발생 정도를 사진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2a~도 2d에 나타내고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갈림평가를 하였다. The coating layer of each reflective polarizing film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ism, and a weight having a load of 200 g was raised and rubbed from side to side 100 times using a force of 20 N, and then the degree of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coating layer and the prism surface was confirmed by a photograph.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2a to 2d, and the split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O: 갈림 강O: Forking River

△: 갈림 약△: about splitting

X: 갈림 없음X: no split

(3) 입자의 광투과율 평가(3) Evaluation of light transmittance of particles

상기 각각의 반사편광필름의 코팅층에 포함된 입자에 대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기를 이용하여 하기 식 1에 따라 광투과율을 계산하였다.For the particles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of each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s, the light transmittanc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using a UV/VIS spectrophotometer.

<식 1><Equation 1>

입자의 광투과율(%) = [{(투과광의 광량 + 굴절광의 광량)/입사광의 광량} x 100]Particle light transmittance (%) = [{(light amount of transmitted light + light amount of refracted light) / light amount of incident light} x 100]

(4) K-value값(입자 경도) 평가 (4) Evaluation of K-value (particle hardness)

상기 각각의 반사편광필름의 코팅층에 포함된 입자의 K-value값(입자 경도)를 Micro Compression Tester 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K-value (particle hardness) of the particles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of each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s was measured using a Micro Compression Tester.

(5) 입경 분포도 평가(5) Evalu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상기 각각의 반사편광필름의 코팅층에 포함된 입자의 입경을 입도분석기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a ~ 도 3d에 나타내었다.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of each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s was measured using a particle size analyz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3A to 3D.

구분division 입자 종류particle type 입자함량
(중량%)
particle content
(weight%)
상대휘도
(%)
relative luminance
(%)
갈림여부split 입자의
광투과율
(%)
of particles
light transmittance
(%)
K-value값K-value value
실시예 1Example 1 나일론nylon 3.53.5 89.689.6 8585 160160 실시예 2Example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3.53.5 89.289.2 8585 17017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3.53.5 90.790.7 OO 8787 37537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polybutyl methacrylate 3.53.5 90.290.2 OO 8585 20520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2에서 제작된 반사편광필름은 비교예 1~2에서 제작된 반사편광필름과 비교하여 입자의 광투과율 및 상대휘도는 유사한 수준이나 도광판(프리즘)과의 갈림여부에 있어서 향상된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has a similar level of light transmittance and relative luminance to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but the light guide plate (prism) It can be confirmed that it exhibits improved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inding.

또한 도 3a~도 3d를 참조하면, 실시예 1~2에서 제작된 반사편광필름은 비교예 1~2에서 제작된 반사편광필름과 비교하여 평균직경 10 ㎛의 ±50% 크기를 갖는 입자가 전체 입자 부피의 90% 이상의 다분산 입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3A to 3D,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has particl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10 μm and a size of ±50% compared to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t can be confirmed that more than 90% of the particle volume is polydisperse particles.

1, 11: 코어층, 4, 14: 코팅층,
10, 20: 반사편광필름, 12: 스킨층, 13: 기재
1, 11: core layer, 4, 14: coating layer,
10, 20: reflective polarizing film, 12: skin layer, 13: substrate

Claims (12)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K-value 값이 145 내지 175인 입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직경이 1 내지 20 ㎛이고
상기 입자의 평균직경의 ±50% 크기를 갖는 입자가 전체 입자 부피의 90% 이상의 다분산 입자이고,
상기 입자의 함량이 상기 코팅층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2 중량% 내지 8.0 중량%인, 반사편광필름.
write; and
Including; a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coating layer includes at least one particle having a K-value of 145 to 175,
Th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1 to 20 μm
Particles having a size of ±50% o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are polydisperse particles of 90% or more of the total particle volume,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s 0.2% to 8.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co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굴절률이 1.00 내지 1.50인, 반사편광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is 1.00 to 1.50,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광투과율이 85% 이상인, 반사편광필름:
<식 1>
입자의 광투과율(%) = [{(투과광의 광량 + 굴절광의 광량)/입사광의 광량} x 100]
According to claim 1,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85% or more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of the particles:
<Equation 1>
Particle light transmittance (%) = [{(light amount of transmitted light + light amount of refracted light) / light amount of incident light} x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이들 조합을 포함하는, 반사편광필름.
According to claim 1,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particles include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반사편광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coating layer further comprises a binder,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VA) 수지,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수지, 에폭시(EP) 수지, 요소(UF) 수지, 멜라닌(MF) 수지, 폴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수지,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또는 이들 조합인, 반사편광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co-polyethylene naphthalate (co-PEN), polycarbonate (PC),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urethane (PU), Polyimide (PI) Polyvinyl Chloride (PVC), StyreneAcrylonitrile (SAN) ) resin,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polyamide (PA), polyacetal (POM), phenol resin, epoxy (EP) resin, urea (UF) resin, melanin (MF) resin, polyester (UP),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that is a silicone (SI) resin, a cycloolefin polymer (COP),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휘도가 85% 이상인, 반사편광필름.
According to claim 1,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luminan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85%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편광필름은 상기 기재와 코팅층 사이에 스킨층을 더 포함하는, 반사편광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further comprises a skin layer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o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두께가 125 ㎛ 내지 350 ㎛인, 반사편광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has a thickness of 125 μm to 350 μm.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사편광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A backlight assembly comprising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to 10.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사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to 10.
KR1020200066026A 2020-06-01 2020-06-01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80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026A KR102480477B1 (en) 2020-06-01 2020-06-01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026A KR102480477B1 (en) 2020-06-01 2020-06-01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744A KR20210148744A (en) 2021-12-08
KR102480477B1 true KR102480477B1 (en) 2022-12-22

Family

ID=7886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026A KR102480477B1 (en) 2020-06-01 2020-06-01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7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8743A (en) * 2002-12-18 2004-07-15 Keiwa Inc Optical shee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701B2 (en) * 1998-04-06 2003-08-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olarization separation sheet, optical sheet lamin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type display device
KR101742512B1 (en) * 2010-10-26 2017-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ptica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 light unit having the optical sheet
KR101362112B1 (en) * 2011-04-12 2014-02-12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Optical sheet, optical uni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136894A (en) * 2011-06-10 2012-12-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High luminance reflective film for light guide plate, light source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01354417B1 (en) * 2011-12-30 2014-01-2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Reflective polizer having bead coating layer
KR101354414B1 (en) * 2011-12-30 2014-01-2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Multilayer reflective polizer having bead coating 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8743A (en) * 2002-12-18 2004-07-15 Keiwa Inc Optical sheet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744A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1748A1 (en) Antireflectiv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842701B1 (en) Antireflection film, its production method, optical device, and image display
US7569269B2 (en) Hard coat film, antireflection hard coat film, optical element and image display
US20060134400A1 (en) Hard-coated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007371A1 (en) Polariz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US20080252974A1 (e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US20070202273A1 (en)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44625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5309401A (en)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2005031621A (en) Optical film, polarizing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H11326608A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film and transmission type display device
JP2002267818A (en) Light diffusible sheet and optical element
JP3724801B2 (en) Polariz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70195243A1 (en)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2005266696A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10143822A (en) Anti-reflectio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06113203A (en) Multilayer optical film, elliptic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7244490B2 (en) Anti-newton ring sheet
KR20070087750A (en) Antistatic light diffusion film
KR100822688B1 (en) Polariz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3779723B2 (en) Polariz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480477B1 (en) Reflective polarizing film,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5292719A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picture display device
JP2002207109A (en) Glare-proof film, polarizing film and transmission type display
JP4233443B2 (en)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