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041B1 -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0041B1 KR102480041B1 KR1020180046261A KR20180046261A KR102480041B1 KR 102480041 B1 KR102480041 B1 KR 102480041B1 KR 1020180046261 A KR1020180046261 A KR 1020180046261A KR 20180046261 A KR20180046261 A KR 20180046261A KR 102480041 B1 KR102480041 B1 KR 1024800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dio link
- search
- node
- wireless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대 노드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은, 상대 노드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무선 링크 재설정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단계;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탐색된 빔을 이용해 상대 노드와의 무선 링크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성 통신이 이용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LTE/LTE-A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급증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서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의 할당이 가능한 밀리미터파(30-300Ghz) 대역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 LTE/LTE-A의 마이크로파 대역(sub-6GHz) 대비 밀리미터파 대역의 경우 큰 경로 손실의 특징이 존재하며, 그에 따라 기존의 셀 커버리지가 보장되도록 밀리미터파 대역의 큰 경로손실을 해결하기 위해 빔포밍, 다중안테나 빔형성 기술들을 통한 방향성 통신이 고려되고 있다.
전송 노드가 네트워크 내에 접속되어 다른 전송 노드와 방향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두 전송 노드 간에 선택된 특정한 한 방향으로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특정 방향의 빔을 사용한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밀리미터파를 활용하는 네트워크에서 전송 노드 간에 설정된 무선링크는 기존의 무선링크와 다르게 방해물(blockage)등에 의한 갑작스러운 무선링크의 손실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링크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무선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마이크로파 대역(< 6GHz)을 사용하는 무선 링크의 재설정 절차와 달리 두 전송 노드 간의 송수신을 위하여 빔방향을 결정하는 절차가 추가로 필요하며, 이를 위해 빔 탐색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빔탐색 절차를 통한 빔획득에 필요한 지연을 줄임으로써 전체 무선링크 재설정 절차에 필요한 지연을 줄일 수 있는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은, 상대 노드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상대 노드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무선 링크 재설정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탐색된 빔을 이용해 상기 상대 노드와의 무선 링크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는, 탐색 시작 빔의 방향, 탐색의 스텝 사이즈, 및 탐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상기 무선통신 노드의 전체 빔 중 탐색을 시작하는 빔의 인덱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상기 무선링크의 활성화 정보, 상대 노드의 이동성, 및 빔 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는, 상기 무선 링크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었던 마지막 빔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은 상기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마스터인 상대 노드가 전송하는 복수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대 노드가 전송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대 노드 중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 방향이 고정된 경우 상기 스텝 사이즈를 고정 사이즈로 결정하고, 상기 탐색 방향은 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텝 사이즈를 서브 그룹 단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그룹별로 하나의 빔을 선택하여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의 정확성이 높은 경우 상기 탐색 진행 방향을 매회 변경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상대 노드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상대 노드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무선 링크 재설정이 필요한지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및 탐색된 빔을 이용해 상기 상대 노드와의 무선 링크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는, 탐색 시작 빔의 방향, 탐색의 스텝 사이즈, 및 탐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상기 무선통신 노드의 전체 빔 중 탐색을 시작하는 빔의 인덱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상기 무선링크의 활성화 정보, 상대 노드의 이동성, 및 빔 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는, 상기 무선 링크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었던 마지막 빔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은 상기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단말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을 활용하면, 밀리미터파 대역을 활용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큰 경로 손실을 해결하기 위해 빔포밍, 다중안테나 빔형성 기술들을 통한 방향성 통신이 이용되면서 전송 노드 간의 무선링크 설정 절차에서도 방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여 발생되는 추가 절차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재설정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전체 탐색 방식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2b는 계층적 탐색 방식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작 빔 방향 결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 노드 간에 수행되는 빔 획득을 위한 빔탐색 절차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의 결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는 전체 탐색 방식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2b는 계층적 탐색 방식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작 빔 방향 결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 노드 간에 수행되는 빔 획득을 위한 빔탐색 절차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의 결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oto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은 셀의 형태에 따라 매크로(Macro) 셀, 원격무선(remote radio head, RRH) 셀, 피코(Pico) 셀, 마이크로(Micro) 셀, 펨토(Femto) 셀 등의 기지국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재설정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이동통신 네트워크인 경우 전송 노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eNB) 및 단말(UE), 중계기(Re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전송 노드가 기지국과 단말인 경우를 도시한다.
LTE/LTE-A 시스템에서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링크장애(radio link failure), 핸드오버 실패(handover failure), RRC 연결 재구성 실패(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등의 이유가 발생했을 때이며, 도 1에서는, 무선링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과 단말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링크 장애가 발생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하고, 기지국이 단말과의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면 RRC 재설정 절차가 완료된다.
한편,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을 활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전송 노드 간의 방향성(directional) 송수신의 빔포밍(beamforming)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빔탐색(beam search) 절차의 수행을 통해 빔획득(beam acquisition)이 이루어진다. 빔탐색 절차를 위한 방법으로 전체 탐색(exhaustive search)방식과 계층적 탐색(Hierarchical search)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a는 전체 탐색 방식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체 탐색 방식의 경우 고정된 빔폭(beamwidth)을 이용해 주변 모든 방향에 대해 빔 탐색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송신빔 결정을 위한 송신빔 스윕(tx. beam sweeping)과 수신빔 결정을 위한 수신빔 스윕(rx. beam sweeping)절차가 별개로 수행된다. 따라서, 전체 탐색 방식에 따라 빔 탐색 절차가 완료되는 데 필요한 시간은 송신빔의 개수(M)와 수신 빔의 개수(N)의 곱에 비례한다.
도 2b는 계층적 탐색 방식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계층적 탐색 방식은 넓은 빔 폭의 빔으로 주변 모든 방향에 대한 빔 스윕을 개략적으로 수행한 후 선택된 방향에 대해서만 빔 폭을 줄여 세밀한 빔 방향 탐색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전체 탐색 방식에 따라 빔 탐색 절차가 완료되는 데 필요한 시간은, 2단계 방식을 취하는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의 넓은 빔폭의 전체 개수(송신 빔에 대한 Mw 및 수신 빔에 대한 Nw)와 두 번째 단계에서의 세밀한 빔 폭의 빔 개수(송신 빔에 대한 Mn 및 수신 빔에 대한 Nn)를 가정할 때, 넓은 빔 폭의 송신 빔과 수신 빔 개수의 곱에 세밀 빔 폭의 송신 빔과 수신 빔 개수의 곱을 더한 값에 비례한다. 이러한 방식은, 이전 단계에서 선택된 빔 방향에서 다음 단계의 세밀한 빔 방향을 찾는 방식이므로 초기 단계에서의 정확성이 전체 성능을 결정한다. 따라서, 세밀 빔 폭을 전체 탐색 방식에서의 빔 폭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경우(M = MwMn, N = NwNn)에, 계층적 탐색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전체 탐색 방식 대비 빔 탐색의 수행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는 두 노드, 즉, 마스터 노드(100) 및 슬레이브 노드(200) 간에 이루어지는 무선링크 재설정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을 활용하는 무선 링크는 두 전송 노드 간에 설정되며, 설정된 무선링크의 관리 및 상대 전송 노드의 제어를 담당하는 전송 노드는 마스터(master) 역할, 마스터 전송 노드를 통해 자원할당 및 제어를 받는 전송 노드는 슬레이브(slave) 역할로 두 전송 노드 간에 설정된 무선링크를 운용하게 된다. 즉, 마스터는 기존 LTE/LTE-A 등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는 단말의 역할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리미터파를 활용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 노드 간에 설정된 무선링크가 전송 노드의 이동성(mobility) 및 방해물(blockage) 등으로 인해 유지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무선링크를 빠르게 재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체 가능한 방향에 대한 탐색 후 방향을 결정하여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대신 기존 설정된 무선링크 운용 과정 중에 획득된 정보를 초기 방향으로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빔 방향을 신속하게 결정하여 링크 재설정 시의 지연을 감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터 노드(100) 및 슬레이브 노드(200) 간에 무선 링크가 설정된 상태(S301)에서, 무선링크의 손실이 발생한 경우(S301) 또는 두 전송 노드 간의 무선링크가 설정은 되어 있지만 실제 트래픽의 송수신이 중단된 비활성(inactive) 상태에서 전송할 데이터의 발생으로 인한 활성화(active) 상태로 변경과 송수신을 위한 동기 획득이 필요한 상황 등에서 무선링크 재설정 절차가 고려된다(S310). 여기서, 슬레이브 노드(200)는 마스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기준신호(reference signal, RS)을 통해 무선 링크의 품질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슬레이브(200)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관련 이벤트(event) 발생을 고려하여 운용 중인 무선 링크의 재설정을 판단한다.
무선 링크의 손실 등에 따른 무선 링크의 재설정이 결정되면, 두 전송 노드 간의 밀리미터파 대역을 통한 방향성 통신을 위한 빔 획득 절차가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빔 획득은 빔 탐색 절차(S310)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빔 탐색 절차(S310)는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 탐색 파라미터는, 탐색 시작 빔의 방향, 탐색의 스텝 사이즈, 및 탐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상기 무선통신 노드의 전체 빔 중 탐색을 시작하는 빔의 인덱스일 수 있다. 또한,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무선링크의 활성화 정보, 상대 노드의 이동성, 및 빔 유지시간을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무선링크의 활성화 정보는, 무선 링크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었던 마지막 빔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대 노드의 이동성은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대 노드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 탐색은 전체 탐색 방식 또는 계층적 탐색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빔 탐색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상대 노드의 이동 방향이 고정된 경우 상기 스텝 사이즈를 고정 사이즈로 결정하고, 탐색 방향은 한 방향으로 유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스텝 사이즈를 서브 그룹 단위로 설정하고, 서브그룹별 하나의 빔을 선택하여 빔 탐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의 정확성이 높은 경우 탐색 진행 방향을 매회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빔 탐색 절차(S310)를 통해 빔 획득이 이루어지면, 슬레이브 노드(200)은 마스터 노드(100)로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하고(S321), 마스터 노드(100)가 슬레이브 노드(200)와의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면(S322) RRC 재설정 절차가 완료된다(S32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빔 탐색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전송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빔 탐색의 결과로 수신에 이용될 빔을 획득한다. 여기서, 전송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로 기지국 또는 단말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빔 탐색을 위한 변수로 횟수를 설정하고, 탐색 횟수가 기 설정된 전체 탐색 횟수 n에 도달하였는지 체크한다(S401). 해당 회차에서의 누적 탐색 횟수가 n 이하인 경우에는 빔 탐색의 시작 빔의 방향을 우선 결정한다(S402). 여기서, 탐색을 시작할 시작 빔 방향은 두 전송 노드 간에 설정된 무선 링크를 운용하면서 사전에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시작 빔 방향의 신호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이면(S403의 예), 해당 빔 방향을 무선링크 재설정을 위한 빔 방향으로 결정하고(S420) 빔 탐색 절차가 종료된다. 반대로 시작 빔 방향의 신호 세기가 기준 값 미만이라면(S403의 예), 결정된 시작 빔 방향에서 이후 탐색을 진행할 방향(k)과 스텝 사이즈(Δs)를 결정한다(S404). 전송 노드는, 시작빔 방향, 탐색 방향 및 스텝 사이즈를 이용해 빔 방향, 즉 빔 인덱스 d(i+1)를 새롭게 결정하고(S405), 시작 빔 방향을 기준으로 모든 빔 방향(즉, 2π)에 대한 탐색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406).
시작 빔 방향을 기준으로 빔 탐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S406의 아니오). 새롭게 결정된 빔 방향 d(i+1)의 신호세기가 기준 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407). 판단 결과, 해당 빔 방향에서 기준 값 이상의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해당 빔 방향을 무선링크의 재설정을 위한 빔 방향으로 결정하고(S440) 빔 탐색 절차를 종료한다. 단계 S405 내지 S407은 신호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인 빔 방향이 발견될 때까지 반복된다.
시작 빔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방향을 모두 다 탐색한 경우(2π 탐색)이면(S406의 예), 탐색한 빔 방향들 중 가장 큰 값의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확인한다(S430). 확인된 최대 신호세기 값을 가지는 방향이 시작 빔 방향과 같은 경우(S431의 예)에는 횟수를 증가시키고(S432) 스텝 사이즈 조정을 수행하여 단계 S401 내지 단계 S432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즉, 스텝 사이즈를 더 작은 값으로 조정하여 해당 영역에서 좀더 정확한 빔 탐색을 수행한다.
최대 신호 값을 가지는 방향이 기존의 시작 빔 방향과 다른 경우에는(S431의 아니오), 횟수를 증가시키고(S434), 해당 최대 신호세기의 빔 방향을 새로운 시작 빔 방향으로 변경하고 이를 기준으로 방향 및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여 단계 S404 내지 단계 S432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 때, 스텝 사이즈는 새롭게 결정될 수도 있고, 기존의 스텝 사이즈를 재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절차는 반복 횟수가 정해진 값 이내인 경우에만 수행된다. 또한, 반복 횟수는 전체 빔 방향의 수와 스텝 사이즈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반복 횟수는 스텝사이즈의 설정에 따라 계층적 탐색과 유사하게 빔탐색을 수행하는 경우, 계층을 구성하는 빔방향의 개수와 일치할 수 있다. 즉, 스텝 사이즈 Δs = 2 라면 반복 횟수는 2로 결정될 수 있으며. 고정된 스텝 사이즈로 시작 빔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반복 횟수만큼 반복하면 전체 빔 방향에 대한 탐색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작 빔 방향은 유지하면서 스텝 사이즈를 변경하여 시작 빔방향 주변을 더 세밀하게 탐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설정된 반복 횟수를 초과한 경우, 전체 탐색 방식을 적용하여 순차적으로 모든 빔 방향을 탐색하여 빔 방향을 결정하도록 한다(S410). 탐색 방향의 결정은 결정된 시작 빔방향의 정확성 및 이동방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무선링크가 활성화 상태에서 빔 유지시간 경과 전에 무선링크 손실 등이 발생하여 무선링크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라면 시작 빔 방향의 정확성을 높게 보고 주변 빔들을 먼저 탐색할 수 있도록, 탐색 방향을 매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반면, 무선 링크가 비활성인 경우 및 이동 방향이 고정된 경우라면 탐색 방향은 일정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작 빔 방향 결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탐색에서 시작할 빔의 방향(즉, 시작 빔 방향)은 두 전송 노드 간에 설정된 무선링크를 운용하면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링크 운용 중 획득된 정보는 무선링크의 활성화 정보, 전송 노드의 이동성 정보 및 기존 무선링크를 위한 각 전송 노드의 빔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노드의 이동성 정보는 노드의 속도 및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절차를 통해 시작 빔 방향을 결정하면, 신호 세기가 기준 이상인 빔 방향을 발견하기까지 탐색해야 할 빔 방향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송 노드는 우선,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를 확인한다(S510). 즉, 전송 노드는 설정된 무선링크를 통한 트래픽의 송수신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발생했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전송 노드의 기존 빔 방향 정보(previous beam index(mt-1) 또는 outdated previous beam index(mt-j))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한다. 일정 시간 전에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직전의 시작 빔 방향, 즉 빔 인덱스 (mt- 1)이 시작 빔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고,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는 빔 인덱스 (mt-j) 가 시작 빔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후, 해당 노드는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를 확인한다(S521, S522).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확인 절차는 일정한 시간 내 무선링크 활성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521) 및 존재하지 않는 경우(S522) 각각에 대해 수행된다.
상대 노드의 이동성(peer mobility)이 있는 경우이면(moving인 경우), 앞서 결정한 기준 빔 방향인 mt-1 또는 mt-j 에 대해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는 기준 빔 방향에 대한 보정(Δm1 또는 Δm2)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한다.
여기서, 상대 전송 노드의 이동성 정보는 상대적인 이동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해당 전송 노드가 고정형이고 상대 전송 노드가 이동하는 경우, 상대 전송 노드의 이동 속도 및 방향이 그대로 이동성 정보로 활용된다. 또한 해당 전송 노드가 이동형이고 상대 전송 노드가 고정형이면 해당 전송 노드 기준으로 상대 전송 노드의 이동성 정보가 결정된다. 두 전송 노드 모두가 이동형인 경우에도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성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고정된 빔폭을 운용하는 경우 빔 방향에 대한 보정 값 은 빔 유지시간(beam dwell time, td)과 이동성을 고려하여(S530) 결정될 수 있다. 즉, 상대 노드가 이동성을 가지고 빔 유지 시간이 만료된 경우, 기준 빔 방향 mt-1 에 대해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541).
예를 들어, 기존 빔 방향 mt- 1 을 획득한 이후, 이동 시간을 빔 유지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변경된 빔 방향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시작 빔 방향의 보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무선링크가 활성 상태에서 재설정되는 상황으로, 기존 빔 방향(mt-1)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이다.
또한, 보정값은 로 결정될 수도 있다(S544). 이러한 상황은 정확성이 낮은 기존 빔 방향(mt-j)을 기준 시작 빔 방향으로 결정(S510의 아니오)한 이후, 무선링크의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방향성 변경 부분(α)을 이동성(S522에서의 moving)과 함께 고려하여 보정값(Δm2)이 결정되는 경우이다.
한편, 상대 노드의 이동성이 없는 경우에는 이전 시간 구간에서의 무선링크 활성화 정보가 존재하는 빔 인덱스(mt-1 또는 mt-j)를 그대로 시작 빔 방향으로 결정하게 된다(S542, S543).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절차를 통해 무선링크 재설정을 위한 전송 노드의 빔탐색에 관한 시작 빔방향, 스텝 사이즈, 탐색 진행 방향이 결정되면 이를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빔 탐색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 도 6a 내지 도 6c를 통해 다양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빔 탐색 방법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6a의 빔 탐색 방안은 탐색을 시작할 시작 빔 방향을 결정한 후 고정된 스텝 사이즈(Δs)로 일정한 방향으로 빔 탐색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때 스텝 사이즈는 고정 빔 폭의 빔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a의 실시예에서 스텝 사이즈 Δs=2 에 해당된다. 이때, 탐색 빔의 방향 d(i+1)=d(i)+(+/-)Δs =d(1)+(+/-)(i)Δs 일 수 있으며, d(1)=d(0)+Δm1(or Δm2), d(0)= mt-1 또는 d(0)= mt-j, k=+1/-1 이 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는 획득된 이동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동방향이 고정된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도 6b에 도시된 빔 탐색 방법은 도 6a의 실시예에서의 스텝 사이즈를 서브그룹(예를 들어, 섹터) 단위로 설정한 예에 해당된다. 즉, 서브그룹별 하나의 빔을 선택하여 빔방향을 탐색하는 방법에 해당된다. 이러한 방법은 빔 폭을 변경하지 않고 고정된 빔 폭의 빔들을 활용하여 계층적 빔 탐색 방식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6c의 빔 탐색 방법은 도 6a 및 6b에서 일정한 탐색 방향으로 빔 탐색을 수행하는 것과 다르게 탐색 방향을 매번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해당 실시예는 시작 빔 방향의 정확성이 높다고 판단한 경우로, 탐색을 시작할 초기 빔 방향을 결정한 후 시작빔 방향 주변으로 빔 탐색을 수행하는 방안에 해당된다. 이 때 탐색 방향은 고정된 스텝 사이즈(Δs)를 고려하면서 변경된다. 도 6c의 실시예에서 스텝 사이즈 Δs = 2 이고, 이 때, 탐색 빔의 방향, 즉, 빔 인덱스 d(i+1)=d(i)+(-1)i+1(i)Δs 로 정의될 수 있고, 탐색 진행 방향 k는 k=(-1)i + 1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 노드 간에 수행되는 빔 획득을 위한 빔탐색 절차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빔탐색 절차는 빔 상호성(beam reciprocity)이 있는 경우의 세부 절차도이다. 빔 상호성을 갖는다는 것은 수신 빔 방향과 송신 빔 방향이 동일한 경우를 의미하며, 따라서 수신 빔 탐색 절차가 마스터 노드와 슬레이브 노드의 두 전송 노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마스터 노드(100)의 경우 빔탐색을 위한 주기적인 기준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S)을 모든 빔 방향으로 차례로 전송한다(S710). 이러한 기준 신호의 전송은 무선링크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노드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초기 접속하는 노드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무선링크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슬레이브(200)는 마스터 전송 노드가 전송하는 여러 방향의 기준 신호(DRS(m) 중 자신이 수신할 빔 방향을 결정하며, 이때, 슬레이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수신 빔 방향 및 빔 탐색 절차를 이용해 수신 빔의 방향을 결정한다(S720).
이후 마스터 노드(100)가 슬레이브가 전송하는 여러 방향의 기준 신호(DRS(s))를 수신하고(S730), 여러 기준 신호가 갖는 방향 중 자신의 수신 빔 방향을 결정할 때(S74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빔 탐색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자신의 수신 빔을 결정한 마스터 노드(100)는 피드백 또는 액세스 응답을 슬레이브(200)로 전송함으로써(S750) 빔 탐색 절차가 완료된다.
한편, 재설정 절차를 위한 기준 신호는 초기접속을 위한 기준신호와 분리해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마스터가 전송하는 기준신호(DRS(m))의 전송 빔의 결정 시에 도 4와 같은 빔 탐색 절차를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송 노드의 이동성으로 인해 무선링크 재설정 과정에서 마스터 노드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 A와의 관계에서 슬레이브인 단말(200)이 기지국 B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두 전송 노드 간 무선링크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기에 앞서 기지국 A와 기지국 B 중 마스터 노드를 결정해야 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의 결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서 슬레이브 노드(200)는 마스터 A 및 마스터 B로부터 기준 신호를 수신하며(S910, S920), 수신 신호에 따라 마스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마스터 노드가 송신하는 빔에 적합한 수신 빔을 탐색한다(S930). 이후 슬레이브 노드는 자신의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S940), 마스터 노드 B는 빔 탐색을 수행하여 자신의 수신 빔 방향을 결정한다(S950).
자신의 수신 빔을 결정한 마스터 노드(100)가 피드백 또는 액세스 응답을 슬레이브(200)로 전송함으로써(S960) 빔 탐색 절차가 완료된다.
도 9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마스터 노드의 결정 절차는 다수의 마스터 노드의 기준신호 수신 절차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마스터 노드의 결정 절차는 도 4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빔 탐색 절차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디바이스(30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다른 디바이스와의 관계에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통신 디바이스(300)는 프로세서(310)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디바이스(300)는 또한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상대 노드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무선 링크 재설정이 필요한지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및 탐색된 빔을 이용해 상기 상대 노드와의 무선 링크를 다시 설정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마스터 노드 200: 슬레이브 노드
300: 무선통신 디바이스 310: 프로세서
320: 메모리 330: 통신 모듈
300: 무선통신 디바이스 310: 프로세서
320: 메모리 330: 통신 모듈
Claims (18)
- 상대 노드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상대 노드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무선 링크 재설정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탐색된 빔을 이용해 상기 상대 노드와의 무선 링크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탐색된 빔은 마스터인 상대 노드로부터 수신한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빔인,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는,
탐색 시작 빔의 방향, 탐색의 스텝 사이즈, 및 탐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상기 상대 노드의 전체 빔 중 탐색을 시작하는 빔의 인덱스인,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상기 무선링크의 활성화 정보, 상대 노드의 이동성, 및 빔 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결정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는, 상기 무선 링크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었던 마지막 빔의 방향을 포함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은 상기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대 노드가 전송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대 노드 중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 방향이 고정된 경우 상기 스텝 사이즈를 고정 사이즈로 결정하고, 상기 탐색 진행 방향은 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텝 사이즈를 서브 그룹 단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그룹별로 하나의 빔을 선택하여 빔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의 정확성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탐색 진행 방향을 매회 변경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 상대 노드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링크를 재설정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상대 노드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링크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무선 링크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무선 링크 재설정이 필요한지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무선 링크의 활성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빔 탐색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링크 재설정에 필요한 빔 탐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및
탐색된 빔을 이용해 상기 상대 노드와의 무선 링크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탐색된 빔은 마스터인 상대 노드로부터 수신한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빔인, 무선통신 디바이스.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빔 탐색 파라미터는,
탐색 시작 빔의 방향, 탐색의 스텝 사이즈, 및 탐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탐색 시작 빔의 방향은,
무선링크의 활성화 정보, 상대 노드의 이동성, 및 빔 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결정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무선링크의 활성화 정보는 상기 무선링크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었던 마지막 빔의 방향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성은 상기 무선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상대 노드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삭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디바이스는 단말 또는 기지국인, 무선통신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261A KR102480041B1 (ko) | 2018-04-20 | 2018-04-20 |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US16/232,361 US10609752B2 (en) | 2018-04-20 | 2018-12-26 | Method of reestablishing radio link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261A KR102480041B1 (ko) | 2018-04-20 | 2018-04-20 |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2452A KR20190122452A (ko) | 2019-10-30 |
KR102480041B1 true KR102480041B1 (ko) | 2022-12-21 |
Family
ID=6823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261A KR102480041B1 (ko) | 2018-04-20 | 2018-04-20 |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609752B2 (ko) |
KR (1) | KR1024800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72172B2 (en) * | 2018-10-05 | 2021-04-06 |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 Method for fast beam sweeping and device discovery in 5G millimeter wave and upper centimeter-wave systems |
CN113825146B (zh) * | 2020-06-19 | 2023-01-06 | 华为技术有限公司 | 波束确定方法和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36510A1 (en) * | 2009-11-04 | 2016-02-04 | Nec Corporation | Control method of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40537A (ko) * | 2011-10-14 | 2013-04-24 | 한국과학기술원 | 빔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
EP3123802B1 (en) * | 2014-03-25 | 2018-10-03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System and method for beam-based physical random-access |
US9451536B2 (en) | 2014-06-18 | 2016-09-20 | Qualcomm Incorporated | UE initiated discovery in assisted millimeter wavelength wireless access networks |
US9414285B2 (en) | 2014-06-30 | 2016-08-09 | Qualcomm Incorporated | Handover with integrated antenna beam training in wireless networks |
US9363683B2 (en) | 2014-07-15 | 2016-06-07 | Qualcomm Incorporated | Asymmetric capability-driven methods for beam tracking in mm-wave access systems |
KR102289945B1 (ko) * | 2014-12-16 | 2021-08-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초고주파 대역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
KR102233630B1 (ko) | 2014-12-19 | 2021-03-3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빔 스위칭 방법 및 장치 |
US9955491B2 (en) | 2014-12-30 | 2018-04-24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EP3275227B1 (en) | 2015-04-24 | 2019-06-12 | MediaTek Inc. | An on-demand reconfigurable control plane architecture (orca) integrating millimeter-wave small cell and microwave macro cell |
KR101881166B1 (ko) * | 2016-05-17 | 2018-07-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동무선백홀 네트워크의 빔 포밍 통신 장치 및 방법 |
WO2018013596A1 (en) | 2016-07-11 | 2018-01-18 | Intel IP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ation of beam switching |
KR20180007653A (ko) | 2016-07-13 | 2018-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액세스 프리앰블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CN108377559B (zh) * | 2016-11-04 | 2021-03-30 | 华为技术有限公司 | 基于波束的多连接通信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
KR102417833B1 (ko) * | 2017-07-28 | 2022-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2018
- 2018-04-20 KR KR1020180046261A patent/KR1024800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26 US US16/232,361 patent/US1060975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36510A1 (en) * | 2009-11-04 | 2016-02-04 | Nec Corporation | Control method of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2452A (ko) | 2019-10-30 |
US20190327783A1 (en) | 2019-10-24 |
US10609752B2 (en) | 2020-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21658B1 (en) | Link monitoring with self-backhauling for wireless networks | |
US1095914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link | |
US20220417889A1 (en) | Gnss measurement gaps | |
EP359350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high frequency multi-carrier operations with spatial quasi co-locations | |
CN107836086B (zh) | 支持移动性的方法以及用户设备 | |
EP345608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ighbors in a communications system with beamforming | |
US11923945B2 (en) | Facilitating efficient multi-beam beam recovery | |
CN114616766A (zh) | 终端接收波束管理的方法和装置 | |
KR20180124969A (ko) | 밀리미터파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US11431397B2 (en) | Beam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in a beam management procedure | |
EP3345425B1 (en) | Radio network nodes and methods for enabling mobility between said nodes | |
EP3466155B1 (en) | Handling of beam link failure | |
KR20140095912A (ko) | 클라우드 셀 통신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셀 멤버 결정 방법 및 장치 | |
JP6543738B2 (ja) | 制御シグナリング | |
US2022028692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 of machine learn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for handover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 |
WO2018082509A1 (en) | Method of operating uplink beacons to support inter-frequency mobility | |
KR102480041B1 (ko) | 무선 링크 재설정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
WO2016010468A1 (en) | Making handover decisions in a wireles network | |
CN107466093B (zh) | 通信方法、终端设备和基站 | |
KR20180079638A (ko) |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접속 방법 | |
US20230027215A1 (en) | Resumed beamformed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device | |
Yilmaz et al. | Vertical sectorization in self-organizing LTE-advanced networks | |
US20230370179A1 (en) | Measurement accuracy monitoring | |
KR20190110882A (ko) | 무선통신 노드 간의 대안 경로 구성 방법, 대안 경로 구성을 위한 릴레이 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 |
US20230319798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control channel to reduce or avoid collis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