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852B1 - Portable table - Google Patents

Portabl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852B1
KR102479852B1 KR1020220123982A KR20220123982A KR102479852B1 KR 102479852 B1 KR102479852 B1 KR 102479852B1 KR 1020220123982 A KR1020220123982 A KR 1020220123982A KR 20220123982 A KR20220123982 A KR 20220123982A KR 102479852 B1 KR102479852 B1 KR 102479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folded
base panel
suppo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태현
위재길
Original Assignee
장태현
위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현, 위재길 filed Critical 장태현
Priority to KR102022012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8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8Foldable reading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Abstract

Provided is a portable stand. The portabl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anel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 lower plat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base panel to be foldable; an upper plat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base panel to be foldable; a first support unit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base panel to be foldable; and a second support unit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base panel to be foldable. In a status in which the base panel and the lower plate are folded vertically,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are fold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addition, the upper plate may be folded and supported at upper ends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Provided is the portable stand which can be easily carried.

Description

휴대용 받침대{PORTABLE TABLE}Portable pedestal {PORTABLE 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tand.

일반적으로 책상은 일정한 평면적을 가지는 평판의 하부 사방 모서리마다 고정 설치되는 고정받침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독서나 필기를 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왔다.[0002] In general, desks are composed of fixed supports fixed to all four lower corners of a flat plate having a certain plane area, so that a user can sit in a comfortable posture and read or write.

이와 같은 통상의 책상은 평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받침대로 인하여, 처음 제작된 정해진 부피가 그대로 유지하고, 이동 및 휴대가 어려운 구조적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책상을 이용하는 데 제한받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이유로 책상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소규모의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의 장소에서는 바닥에 책 또는 노트를 놓고 허리를 구부린 자세로 독서나 필기를 하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Such a conventional desk has a structural defect in that it maintains a fixed volume initially manufactured and is difficult to move and carry due to a fixed support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at plate. Therefore, it results in limitations in using the desk regardless of location. For this reason, in places such as small-scale lecture rooms or conference rooms where desks are not provided, it is inconvenient to read or take notes in a bent posture with a book or note placed on the floo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81372호(2021.07.19.)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81372 (2021.07.19.)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독서나 필기 등을 할 수 있도록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radle that is easy to carry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read or take notes regardless of location.

또한, 간단한 구조의 폴딩 방식으로 형성되어,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간단한 조립만으로 책상 형태로 만들어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portable stand that is formed in a folding method of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store and move by reducing the volume, and can be used by making it in the form of a desk with a simple assembly.

또한, 부피를 줄여 가방 등에 보관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책걸상이 부족한 강습소나 현장학습을 위한 야외수업 또는 낚시터 등과 같은 곳에서 간이 책상 또는 간이 독서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can be easily carried by storing it in a bag by reducing the volume, so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simple desk or a simple reading stand in places such as workshops lacking desks and chairs, outdoor classes for field trips, or fishing grounds.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크기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단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단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판;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 측단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 측단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하판이 수직을 이루도록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하판 상면에 위치되도록 폴딩되고, 상기 상판이 폴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panel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 lower plat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base panel to be foldable; a top plat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base panel to be foldable; a first suppor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se panel in a foldable manner;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base panel,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nel and the lower plate are folded vertically. It is folded to be positioned, and the top plate is folded to provide a portabl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upported on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좌우 방향에 따른 기 설정된 지점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하 방향을 따라 체결홈부와 체결돌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좌우 방향에 따른 기 설정된 지점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하 방향을 따라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홈부 각각이 상기 체결홈부와 상기 체결돌부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includes a fastening part in which fastening grooves and fastening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a predetermined poin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ncludes a left and right direction.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a predetermined 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in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pedestal comprising a;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되,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지지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폴딩되어,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하판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지지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폴딩되어,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하판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체결홈부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돌부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is folded based on the fasten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is fol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support part,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i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is position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and the coupling part is fol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support part, while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fol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to fac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하단의 일정 영역에서 소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돌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하단의 일정 영역에서 소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에는, 폴딩된 상태의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끼움돌편 및 폴딩된 상태의 상기 제2 지지부의 상기 끼움돌기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redetermined area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is formed, and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a predetermined area of the lower end is formed at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lower plate 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s are formed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a folded state and the fitting protrusion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 a folded state are respectively f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독서나 필기 등을 할 수 있도록 휴대가 용이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arry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read or write, regardless of location.

또한, 간단한 구조의 폴딩 방식으로 형성되어,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간단한 조립만으로 책상 형태로 만들어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formed in a folding method with a simple structure, so it is easy to store and move by reducing the volume, and it is possible to use it by making it in the form of a desk with simple assembly.

또한, 부피를 줄여 가방 등에 보관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책걸상이 부족한 강습소나 현장학습을 위한 야외수업 또는 낚시터 등과 같은 곳에서 간이 책상 또는 간이 독서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easily carried by storing it in a bag by reducing its volume, so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simple desk or a simple reading stand in places such as training centers lacking desks and chairs, outdoor classes for field trips, or fishing groun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가 책상 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형태로 조립된 휴대용 받침대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가 보관을 위해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가 보관을 위해 부피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공급부가 더 설치된 휴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커버공급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가 더 설치된 휴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따른 차단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1에 따른 차단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2에 따른 차단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의 보관 시 휴대용 받침대가 접힘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자동접이부가 더 설치된 휴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의 보관 시 휴대용 받침대가 접힘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자동접이부가 더 설치된 휴대용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5 내지 도 17에 따른 자동접이부가 작동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development of a portable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portable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the form of a desk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portable stand assembled in a desk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or storag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olume of the portab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for storage
9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pedestal further installed with a cov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over supply unit according to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cradle further installed with a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unit according to FIG. 11 is rotated;
1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locking unit according to FIG. 11
1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locking unit according to FIG. 12
15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able cradle further installed with an automatic folding unit for guiding the portable cradle to be in a folded state during storage of the portab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views showing a portable cradle further installed with an automatic folding unit for guiding the portable cradle to be in a folded state during storage of the portab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folding unit according to FIGS. 15 to 17 by way of examp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가 책상 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형태로 조립된 휴대용 받침대(1)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evelopment of a portable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portable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desk shape, and FIG. 5 is a portable stand 1 assembled in a desk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는 폴딩 방식의 조립을 통해 독서대 또는 책상이나 테이블 등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휴대가 용이하도록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휴대용 받침대(1)는 종이 박스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이 박스로 형성되는 경우, 접이선을 통해 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portable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eading stand, desk, table, etc. through folding assembly, or can be reduced in volume for easy portability. The portable support 1 may be made of a paper box or a plastic material. When formed into a paper box, through a folding 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는 베이스패널(10), 하판(20), 상판(30), 제1 지지부(40) 및 제2 지지부(50)를 포함한다.A portable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nel 10, a lower plate 20, an upper plate 30, a first support part 40 and a second support part 50.

베이스패널(10)은 기 설정된 크기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패널(10)은 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anel 10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the base panel 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하판(20)은 베이스패널(10)의 하단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판(20)은 베이스패널(10)의 하측 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베이스패널(10)과 접힐 수 있는 폴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plate 2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ase panel 10 to be foldable. Specifically, the lower plate 20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base panel 10 and may be formed in a foldable form that can be folded with the base panel 10 .

하판(20)에는 끼움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21)은 제1 지지부(40)의 끼움돌편(42) 및 제2 지지부(50)의 끼움돌기(52)가 끼워질 수 있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40)가 하판(20) 내측의 영역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40)의 끼움돌편(42)이 하판(20)의 끼움홈(21)에 끼워질 수 있고, 제2 지지부(50)가 하판(20) 내측의 영역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50)의 끼움돌기(52)가 끼워질 수 있다. 즉, 하판(20)에는 끼움돌편(42) 및 끼움돌기(52) 각각이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끼움홈(21)이 형성된다. 이때, 2개의 끼움홈(21)이 하면에 형성되는 위치는, 제1 지지부(40)와 제2 지지부(50)가 하판(20) 내측 영역으로 폴딩된 상태가 되었을 때 끼움돌편(42)과 끼움돌기(52)가 하판(20) 상면에 위치되는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끼움홈(21)은 하판(20)에서 "ㅅ"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끼움홈(21) 각각은 "/"형태와, "/"가 좌우 대칭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fitting groove 21 may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20 . The fitting groove 2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52 of the fitting protrusion 42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fitting protrusion 52 of the second support part 50 may be fitted. Specifically, in a state where the first support part 40 is folded to the inn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the fitting protrusion 42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can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1 of the lower plate 20, , The fitting protrusion 52 of the second support part 50 can be fitted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upport part 50 is folded to the inn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 That is, the lower plate 20 is formed with two fitting grooves 21 into which each of the fitting protrusion 42 and the fitting protrusion 52 can be fitted.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two fitting grooves 21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is, when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are folded to the inn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the fitting protrusion 42 and The fitting protrusion 5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 . For example, the two fitting grooves 21 may be formed in a "ㅅ" shape in the lower plate 20.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two fitting grooves 21 may be formed in a “/” shape and a left-right symmetrical “/” shape.

상판(30)은 베이스패널(10)의 상단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30)은 베이스패널(10)의 상측 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베이스패널(10)과 접힐 수 있는 폴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p plate 30 may b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base panel 10 to be foldable. Specifically, the top plate 30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nel 10 and may be formed in a foldable form that can be folded with the base panel 10 .

제1 지지부(40)는 베이스패널(10)의 일 측단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40)는 베이스패널(10)의 우측 변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베이스패널(10)과 접힐 수 있는 폴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40)의 좌우 길이는 베이스패널(10)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1 지지부(40)의 상하 길이는 베이스패널(10)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4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base panel 10 in a foldable manner. 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base panel 10 to the right, and may be formed in a foldable form that can be folded with the base panel 10 .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base panel 10,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may be formed equal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base panel 10. .

제1 지지부(40)는 체결부(41) 및 끼움돌편(42)을 포함한다.The first support part 40 includes a fastening part 41 and a fitting protrusion 42 .

체결부(41)는 제1 지지부(40)의 좌우 방향에 따른 기 설정된 지점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41)는 체결홈부(411)와 체결돌부(412)가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41 may b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a predetermined point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 Specifically, the fastening part 41 may be formed by alternating fastening grooves 411 and fastening protrusions 412 .

즉, 체결부(41)는, 제1 지지부(40) 상에서 좌우 길이의 일 지점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체결홈부(411)와 체결돌부(412)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체결부(41)가 형성된 부분은 체결부(41) 라인을 중심으로 제1 지지부(40)의 일정 영역이 폴딩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40)는, 베이스패널(10)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폴딩 가능하고, 체결부(41)가 형성된 부분에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astening part 41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point of the left and right length on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fastening groove 411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are formed alternately. In the portion where the fastening part 41 is forme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may be folded around the line of the fastening part 41 . That is,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 and to be foldable at a portion where the fastening portion 41 is formed.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40)가 하판(20) 상측에 위치되도록 베이스패널(10)과 폴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지지부(40)가 베이스패널(10)과 연결되는 부분이 폴딩되어 하판(20)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40)가 체결부(41)를 기준으로 폴딩될 때, 체결부(41)가 제2 지지부(50)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41)를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의 제1 지지부(40)는 하판(20)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40)가 폴딩된 상태로 하판(20)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될 때, 하판(20)의 우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may be folded with the base panel 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lower plate 20 . In this way, when the first support part 40 is folded based on the fastening part 41 in a state where the part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 is folded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20, , The fastening part 41 may be fol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support part 50 side.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art 40 in a folded state based on the fastening part 41 may be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 When the first support part 40 i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in a folded state, it may be locat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

즉, 제1 지지부(40)는, ">"자 형태로 폴딩되어, 하판(20)의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upport part 40 may be folded in a “>” shape and positioned with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

끼움돌편(42)은 제1 지지부(40)의 하단의 일정 영역에서 소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편이다. 구체적으로, 끼움돌편(42)은, 제1 지지부(40)에서 체결부(41)를 중심으로 단부와 인접한 외측(즉, 우측) 영역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편(42)은 하판(20)의 끼움홈(21)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 길이 및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rotrusion 42 is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a predetermined area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 Specifically, the fitting protrusion 42 may protrude from a lower end of an outer (ie, right) area adjacent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around the fastening portion 41 . The fitting protrusion 42 may be protruded in a size, length and shap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1 of the lower plate 20.

제2 지지부(50)는 베이스패널(10)의 일 측단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50)는 베이스패널(10)의 좌측 변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베이스패널(10)과 접힐 수 있는 폴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50)의 좌우 길이는 베이스패널(10)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2 지지부(50)의 상하 길이는 베이스패널(10)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5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base panel 10 in a foldable manner. 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of the base panel 10 to the right, and may be formed in a foldable form that can be folded with the base panel 10 .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base panel 10,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may be formed equal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base panel 10. .

제2 지지부(50)는 결합부(51) 및 끼움돌기(52)를 포함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50 includes a coupling part 51 and a fitting protrusion 52 .

결합부(51)는 제2 지지부(50)의 좌우 방향에 따른 기 설정된 지점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51)는 결합홈부(512)와 결합돌부(511)가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51 may b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a predetermined point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art 50 . Specifically, the coupling portion 51 may be formed by alternating coupling grooves 512 and coupling protrusions 511 .

즉, 결합부(51)는, 제2 지지부(50) 상에서 좌우 길이의 일 지점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결합홈부(512)와 결합돌부(511)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지지부(50)는, 결합홈부(512)와 결합돌부(511)가 교번하여 형성된 결합부(51) 라인을 중심으로 제2 지지부(50)의 일정 영역이 폴딩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50)는, 베이스패널(10)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폴딩 가능하고, 결합부(51)가 형성된 부분에서 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portion 51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point of the left and right length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an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coupling grooves 512 and coupling protrusions 511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50,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support part 50 may be folded around a line of the coupling part 51 formed by alternating the coupling grooves 512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511. That is,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 and to be foldable at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portion 51 is formed.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50)가 하판(20) 상측에 위치되도록 베이스패널(10)과 폴딩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지지부(50)가 베이스패널(10)과 연결되는 부분이 폴딩되어 하판(20)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50)가 결합부(51)를 기준으로 폴딩될 때, 결합부(51)가 제1 지지부(40)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51)를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의 제2 지지부(50)는 하판(20)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may be folded with the base panel 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lower plate 20 . In this way, when the second support part 50 is folded based on the coupling part 51 in a state where the part where the second support part 50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 is folded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20 , The coupling part 51 may be fol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support part 40 side.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part 50 in a folded state based on the coupling part 51 may be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

즉, 제2 지지부(50)는, ">"자 형태로 폴딩되어, 하판(20)의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0)가 폴딩된 상태로 하판(20)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될 때, 하판(20)의 좌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upport part 50 may be folded in a “>” shape and positioned with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 When the second support part 50 i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in a folded state, it may be located in the left region of the lower plate 20 .

끼움돌기(52)는 제2 지지부(50)의 하단의 일정 영역에서 소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이다. 구체적으로, 끼움돌기(52)는, 제2 지지부(50)에서 결합부(51)를 중심으로 단부와 인접한 외측(즉, 좌측) 영역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52)는 하판(20)의 끼움홈(21)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 길이 및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rotrusion 52 i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redetermined area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50 . Specifically, the fitting protrusion 52 may protrude from a lower end of an outer (ie, left) area adjacent to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50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51 . The fitting protrusion 52 may be protruded in a size, length, and shap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1 of the lower plate 2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40)와 상기 제2 지지부(50)가 베이스패널(10)의 내측 영역으로 폴딩되는 경우, 제1 지지부(40)의 체결홈부(411)와 제2 지지부(50)의 결합돌부(511)는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제1 지지부(40)의 체결돌부(412)와 제2 지지부(50)의 결합돌부(511)는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As shown in FIG. 2 , when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are folded into the inner region of the base panel 10, the fastening groove part 411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The coupling protrusions 511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412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511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체결홈부(411)에는 결합돌부(511)가 삽입되고, 체결돌부(412)는 결합홈부(512)에 삽입되며, 제1 지지부(40)와 제2 지지부(50)가 베이스패널(10) 내측 영역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측 방향으로 베이스패널(10)과 폴딩된 상태의 하판(20) 끼움홈(21)에 폴딩된 상태의 제1 지지부(40)의 끼움돌편(42) 및 폴딩된 상태의 제2 지지부(50)의 끼움돌기(52)가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40)와 제2 지지부(50)가 폴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51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1 formed to face each other, the coupling protrusion 4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12,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are Base panels 10 may be fixed to each other in the inner region. 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42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in a folded state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n a folded state ( 50) of the fitting protrusions 52 can be fitted, respectively. Therefore, the folded state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can be stably fixed.

구체적으로, 베이스패널(10)과 상기 하판(20)이 수직을 이루도록 폴딩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40)와 제2 지지부(50)가 하판(20) 상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패널(10) 내측 영역으로 폴딩되고, 상판(30)이 폴딩되어 제1 지지부(40)와 제2 지지부(5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책상, 테이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nel 10 and the lower plate 20 are folded vertically, the base panel 10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 It is folded to the inner region, and the top plate 30 is folded so that it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 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5, a desk or a table may be form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가 보관을 위해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가 보관을 위해 부피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crad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or storage,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crad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torage. It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olume has been reduced for the purpos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는 각 판을 폴딩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6 to 8 , the portable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and store by folding each plate to reduce the volume.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상판(30)과 베이스패널(10)이 마주보도록 상판(30)이 폴딩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10)과 마주보도록 폴딩된 상판(30)과 하판(20)이 마주보도록, 하판(20)이 폴딩될 수 있다. 이후, 제1 지지부(40)가 하판(20)과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제2 지지부(50)가 제1 지지부(40)와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상판(30), 하판(20), 제1 지지부(40) 및 제2 지지부(50)가 모두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폴딩되어 부피가 줄어든 상태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the top plate 30 may be folded so that the top plate 30 and the base panel 10 face each other. Then, as shown in FIG. 7 , the lower plate 20 may be folded so that the upper plate 30 and the lower plate 20, which are folded to face the base panel 10, face each other. Thereafter,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may be folded to face the lower plate 20 ,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50 may be folded to face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 the upper plate 30 , the lower plate 20 ,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are all fol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y can be stored and moved in a reduced volume state.

다만, 상판(30)이 폴딩되기 전에 하판(20)이 먼저 폴딩될 수도 있고, 제1 지지부(40)가 폴딩되기 전에 제2 지지부(50)가 먼저 폴딩될 수도 있다. 상판(30)과 하판(20)의 폴딩 순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지지부(40)와 제2 지지부(50)의 폴딩 순서도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 lower plate 20 may be folded first before the upper plate 30 is folded,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may be folded first before the first support part 40 is folded. The folding order of the upper plate 30 and the lower plate 20 is not limited, and the folding order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is also not limi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공급부(60)가 더 설치된 휴대용 받침대(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커버공급부(6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pedestal 1 in which a cover supply unit 60 is further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supply unit 60 according to FIG. 9 .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는 커버공급부(6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portable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supply unit 60 .

커버공급부(60)는 베이스패널(10)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다.The cover supply unit 60 may b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anel 10 .

구체적으로, 커버공급부(60)는 하우징(61), 커팅부(62) 및 받침부(63)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over supply unit 60 includes a housing 61, a cutting unit 62 and a support unit 63.

하우징(61)은 상면이 개방된 소정 폭의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1) 내부에는 커버지가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커버지는 코팅재질로 형성되고, 상판(30)의 상면에 배치되어, 휴대용 받침대(1) 사용 시 상판(30)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는 커버지는 종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판(30)의 상면에 배치되어, 휴대용 받침대(1) 사용 시 메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housing 6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cover paper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61 . The cover is formed of a coating material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30 to prevent the top plate 30 from being contaminated when the portable cradle 1 is used. Alternatively, the cover paper is formed in the form of paper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30, so that a memo can be easily written when the portable stand 1 is used.

이때, 커버지는 절단된 상태의 복수개가 하우징(61)에 수용되는 형태가 아니라, 서로 연결된 길이가 긴 커버지가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을 그리고 하우징(61) 내부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In this case, instead of a plurality of cut cover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61 , long covers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bent in a zigzag shape an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61 .

커팅부(62)는 하우징(61)의 상부에 설치되어, 커버지(P)를 절단할 수 있다. 커팅부(62)는 하우징(61)의 상부에서 후방부에 설치되되, 내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팅부(62)의 내측 단부에는 칼날부(6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칼날부(621)는 하우징(61) 내측에 위치된 상태이다.The cutting part 62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61 to cut the cover paper P. The cutting part 62 is installed in the rear part from the top of the housing 61, and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and ou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blade unit 621 may be installed at an inner end of the cutting unit 62 . At this time, the blade unit 621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61.

받침부(63)는 커팅부(62)와 마주보도록 하우징(6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받침부(63)는 하우징(61)의 상부에서 전방부에 설치되되, 커팅부(62)와 마주보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커팅부(62)와 마주보는 받침부(63)의 내측면에는 칼날부(621)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63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61 to face the cutting part 62 . That is, the support part 63 is installed in the front part from the top of the housing 61, and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facing the cutting part 62.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lade portion 6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63 facing the cutting portion 62 .

커팅부(62)가 하우징(61)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이동되어, 칼날부(621)가 하우징(61) 내측으로 보다 더 삽입됨에 따라, 칼날부(621)가 절단홈(631)으로 삽입되면서, 칼날부(621)와 받침부(63)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커버지가 칼날부(621)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As the cutting part 62 is 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61 to the in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blade part 621 is inserted further into the housing 61, the knife part 621 is inserted into the cutting groove 631. While doing so, the cover paper positioned between the blade portion 621 and the support portion 63 may be cut by the blade portion 621 .

사용자는 커버지(P) 단부를 당겨서, 커버지의 필요한 길이만큼 하우징(61)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커버지가 상판(30)의 상면을 덮도록 하우징(61)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이 후, 커팅부(62)를 가압하여, 커버지가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can pull the end of the cover sheet P and withdraw it from the housing 61 by a required length of the cover sheet. For example, the user may withdraw the cover from the housing 61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30 . Then, the cover sheet may be cut by pressing the cutting unit 62 .

따라서, 사용자는 상판(30)에 커버지를 배치하여, 상판(3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독서 또는 책상으로 이용하면서 낙서 및 메모를 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place a cover on the top plate 30 to prevent the top plate 30 from being contaminated, or may scribble or take notes while reading or using it as a desk.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70)가 더 설치된 휴대용 받침대(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차단부(70)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1에 따른 차단부(7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에 따른 차단부(7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pedestal 1 with a blocking part 70 further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art 70 according to FIG. 11 is rotated, 1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locking unit 70 according to FIG. 11, an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locking unit 70 according to FIG.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가 차단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판(30)과 하판(20)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to 14 , the portable pedest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ortion 70 .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30 and the lower plate 2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차단부(70)는 상판(3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판(30) 내측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거나, 상판(3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판(30)의 하측 영역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다.The blocking part 70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top plate 30 and is disposed in a form protruding upward of the top plate 30 to block the inner region of the top plate 30 from the outside or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top plate 30. Arranged in a shap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lower area of the top plate 30 from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차단부(70)는 연결축(71), 가림판(72) 및 연장판(73)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locking part 70 includes a connecting shaft 71, a cover plate 72, and an extension plate 73.

연결축(71)은 상판(30)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축(71)은 상판(30)의 좌측단부, 우측단부, 전방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haft 71 may be installed on the rim of the top plate 30 . Specifically, the connecting shaft 71 may be installed at the left end, right end, and front end of the top plate 30 , respectively.

연결축(71)은 샤프트(711), 회전축(712) 및 구동부(713)를 포함한다.The connecting shaft 71 includes a shaft 711 , a rotating shaft 712 and a driving unit 713 .

샤프트(711)는 회전축(71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관 형태의 축일 수 있다. 즉, 샤프트(711) 내측으로 회전축(712)이 삽입 고정되어, 회전축(712)이 구동부(7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따라 샤프트(711)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713)는 회전축(712)의 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712)을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shaft 711 may be a tubular shaft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shaft 712 . That is, as the rotating shaft 712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haft 711 and the rotating shaft 712 receives power from the drive unit 713 and rotates, the shaft 711 may also rotate. The driving unit 713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712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712 in a reverse or forward direction.

샤프트(711)의 일 지점에는 가림판(7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711)의 외주면에는 자성부(7111) 및 비자성부(7112)가 형성될 수 있다.A cover plate 72 may be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shaft 711 , and a magnetic portion 7111 and a non-magnetic portion 711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711 .

구체적으로, 샤프트(711)에 가림판(72)이 설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측의 절반은 자성을 띄는 자성부(7111)가 형성되고, 타측의 절반은 자성을 띄지 않는 비자성부(7112)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cover plate 72 is installed on the shaft 711, a magnetic portion 7111 with magnetic properties is formed on one half, and a non-magnetic portion 7112 is formed on the other half. can be formed

가림판(72)은 연결축(71)의 샤프트(71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림판(72)은 연결축(71)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림판(72)은 샤프트(711)에 고정 설치되어, 샤프트(711)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cover plate 72 may be installed on the shaft 711 of the connecting shaft 71 . Specifically, the cover plate 72 is form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haft 71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cover plate 7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haft 711 and may rotate together as the shaft 711 rotates.

연장판(73)은 가림판(72) 내부에서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판(73)이 가림판(72)에서 소정 길이 돌출됨에 따라, 가림판(72)의 총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The extension plate 73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protrude or be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plate 72 . As the extension plate 73 protrudes from the cover plate 72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total length of the cover plate 72 may be extended.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3의 경우, 가림판(72)은 상판(30)의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연장판(73)이 가림판(72)에서 돌출되어, 연장판(73)의 단부가 하판(20)의 단부와 인접한 높이까지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40), 제2 지지부(50)와 가림판(72) 사이의 빈 공간에 물건을 임시 보관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FIGS. 11 and 13 , the cover plate 72 may be rotated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30 . At this time, the extension plate 73 protrudes from the cover plate 72, so th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73 can descend to a height adjacent to the end of the lower plate 20. Therefore, objects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and the cover plate 72 .

또한, 가림판(72)이 상판(30)의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샤프트(711)의 자성부(7111)가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동일한 휴대용 받침대(1)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휴대용 받침대(1)의 샤프트(711)의 자성부(7111)와, 다른 하나의 휴대용 받침대(1)의 샤프트(711)의 자성부(7111)가 서로 자성의 성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휴대용 받침대(1) 각각에 설치되는 샤프트(711)의 자성부(7111)는 서로 자기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s극과 n극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휴대용 받침대(1)의 상판(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샤프트(711)의 자성부(7111)는 n극이고, 다른 하나의 휴대용 받침대(1)의 상판(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샤프트(711)의 자성부(7111)는 s극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휴대용 받침대(1)를 연결하여 넓은 테이블로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late 72 is rotated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30, the magnetic portion 7111 of the shaft 711 may be positioned to face outward. At this time, by arranging the same portable stand 1 adjacent to each other, the magnetic part 7111 of the shaft 711 of one portable stand 1 and the shaft 711 of the other portable stand 1 The magnetic parts 7111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the nature of magnetism. At this time, the magnetic part 7111 of the shaft 711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supports 1 may be made of various s poles and n poles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That is, the magnetic part 7111 of the shaft 711 located in front of the top plate 30 of one portable stand 1 is n-pole, and the front of the top plate 30 of the other portable stand 1 The magnetic part 7111 of the shaft 711 located at may be an s p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 wide tabl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rtable supports (1).

도 12 및 도 14의 경우에는, 가림판(72)이 상판(30)의 상방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판(30) 내측 영역을 소정 높이 내에서 상판(30) 외측 영역과 차단함으로써, 비말 등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S. 12 and 14 , the cover plate 72 may be rotated to face the top plate 30 upward. Therefore, by blocking the inner region of the top plate 30 from the outer region of the top plate 30 within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possible to block the movement of droplets.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의 보관 시 휴대용 받침대(1)가 접힘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자동접이부(80)가 더 설치된 휴대용 받침대(1)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의 보관 시 휴대용 받침대(1)가 접힘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자동접이부(80)가 더 설치된 휴대용 받침대(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5 내지 도 17에 따른 자동접이부(80)가 작동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able cradle 1 further provided with an automatic folding portion 80 for guiding the portable cradle 1 to be in a folded state during storage of the portable crad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show a portable cradle 1 further provided with an automatic folding portion 80 for guiding the portable cradle 1 to a folded state during storage of the portable crad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folding unit 80 according to FIGS. 15 to 17 by way of example.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받침대(1)는 자동접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5 to 18 , the portable sta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folding portion 80 .

자동접이부(80)는 베이스패널(10), 제1 지지부(40) 및 제2 지지부(50)와 연결되어, 제1 지지부(40) 및 제2 지지부(50)가 자동으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지지부(40) 및 제2 지지부(50)가 베이스패널(10)과 수평 방향으로 폴딩된 이후에, 상판(30)과 하판(20)이 폴딩될 수 있다.The automatic folding unit 8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panel 10, the first support unit 4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50 so that the first support unit 4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50 are automatically folded. there is. In this case, after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are 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ase panel 10, the upper plate 30 and the lower plate 20 may be folded.

구체적으로, 자동접이부(80)는 고무줄(81), 고정부(82), 제1 밴드(83), 제2 밴드(84) 및 조절부(85)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tomatic folding unit 80 may include a rubber band 81, a fixing unit 82, a first band 83, a second band 84, and an adjusting unit 85.

고무줄(81)의 양 단 각각은 제1 지지부(40)의 우측 단부 측과 제2 지지부(50)의 좌측 단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고무줄(81)의 일 단은 제1 지지부(40)에서 끼움돌편(42)이 형성된 라인을 따라 제1 지지부(40)의 높이 중간에서 고정부(82)에 의해 고정되고, 고무줄(81)의 타 단은 제2 지지부(50)에서 끼움돌기(52)가 형성된 부분 라인을 따라 제2 지지부(50)의 높이 중간에서 고정부(8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Each of both ends of the rubber band 81 may be installed at the right end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left end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50 . For example, one end of the rubber band 81 is fixed by the fixing part 82 in the middle of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along the line where the protrusion 42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rubber band ( The other end of 81) may be fixed by the fixing part 82 in the middle of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part 50 along the partial line where the fitting protrusion 52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50.

고무줄(81)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면 인장될 수 있고, 가해지던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The rubber band 81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can be stretch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disappears.

고정부(82)는 제1 지지부(40) 및 제2 지지부(50) 각각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각 고정부(82)의 일 측에는 고무줄(81)이 고정되고, 타 측에는 밴드가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82 may pass through each of the first support part 4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0 and be fixed thereto. A rubber band 81 may be fixed to one side of each fixing part 82, and a band may be fixed to the other side.

제1 밴드(83)는 제1 지지부(40)에 설치된 고정부(82)의 타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밴드(83)의 일 단은 고정부(82)와 고정되고, 타 단은 베이스패널(10) 외측에 설치된 조절부(85)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밴드(83)는 탄성력을 가지지 않는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and 83 may b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art 82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art 40 . One end of the first band 83 may be fixed to the fixing part 82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adjusting part 85 installed outside the base panel 10 . The first band 8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ring having no elasticity.

제2 밴드(84)는 제2 지지부(50)에 설치된 고정부(82)의 타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밴드(84)의 일 단은 제2 지지부(50)에 설치된 고정부(82)와 고정되고, 타 단은 베이스패널(10) 외측에 설치된 조절부(85)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밴드(84)는 탄성력을 가지지 않는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and 84 may b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art 82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50 . One end of the second band 84 may be fixed to the fixing part 82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50,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adjusting part 85 installed outside the base panel 10. The second band 8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ring having no elasticity.

조절부(85)는 베이스패널(10) 외측에서 2개가 각각 설치되며, 각각에는 제1 밴드(83)와 제2 밴드(8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Two control units 85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panel 10, and a first band 83 and a second band 84 may be connected to each.

조절부(85)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조절부(85)가 회전됨에 따라 제1 밴드(83) 또는 제2 밴드(84)가 조절부(85)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Adjusting unit 85 is installed to be axially rotatabl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as each adjusting unit 85 rotates, the first band 83 or the second band 84 is wound or unwound around the adjusting unit 85. It can be.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83)와 연결된 조절부(8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조절부(85)에 제1 밴드(83)가 권취될 수 있다. 조절부(85)와 연결된 제1 밴드(83)의 타단이 조절부(85)에 권취됨에 따라, 제1 밴드(83)의 일 단이 점차 조절부(85)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밴드(83)의 일 단과 연결된 고정부(82)도 함께 베이스패널(10) 측으로 당겨지면서, 제1 지지부(40)가 도 18a와 같이 폴딩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8 , when the adjusting unit 85 connected to the first band 83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band 83 may be wound around the adjusting unit 85 . As the other end of the first band 83 connected to the adjusting part 85 is wound around the adjusting part 85, one end of the first band 83 may be gradually pulled toward the adjusting part 85. Accordingly, while the fixing part 8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band 83 is also pulled toward the base panel 10, the first support part 40 may be folded as shown in FIG. 18A.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밴드(84)와 연결된 조절부(8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조절부(85)에 제2 밴드(84)가 권취될 수 있다. 조절부(85)와 연결된 제2 밴드(84)의 타단이 조절부(85)에 권취됨에 따라, 제2 밴드(84)의 일 단이 점차 조절부(85)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밴드(84)의 일 단과 연결된 고정부(82)도 함께 베이스패널(10) 측으로 당겨지면서, 제2 지지부(50)가 도 18b와 같이 폴딩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adjusting unit 85 connected to the second band 84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band 84 may be wound around the adjusting unit 85 . A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84 connected to the adjusting unit 85 is wound around the adjusting unit 85, one end of the second band 84 may be gradually pulled toward the adjusting unit 85. Accordingly, while the fixing part 8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band 84 is also pulled toward the base panel 10, the second support part 50 can be folded as shown in FIG. 18B.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 휴대용 받침대
10: 베이스패널 20: 하판
21: 끼움홈 30: 상판
40: 제1 지지부 41: 체결부
411: 체결홈부 412: 체결돌부
42: 끼움돌편 50: 제2 지지부
51: 결합부 511: 결합돌부
512: 결합홈부 52: 끼움돌기
60: 커버공급부 61: 하우징
62: 커팅부 621: 칼날부
63: 받침부 631: 절단홈
70: 차단부 71: 연결축
711: 샤프트 7111: 자성부
7112: 비자성부 712: 회전축
713: 구동부 72: 가림판
73: 연장판 80: 자동접이부
81: 고무줄 82: 고정부
83: 제1 밴드 84: 제2 밴드
85: 조절부
1: portable stand
10: base panel 20: lower plate
21: fitting groove 30: top plate
40: first support part 41: fastening part
411: fastening groove 412: fastening protrusion
42: fitting protrusion 50: second support
51: coupling part 511: coupling protrusion
512: coupling groove 52: fitting protrusion
60: cover supply unit 61: housing
62: cutting part 621: blade part
63: supporting portion 631: cutting groove
70: blocking part 71: connecting shaft
711: shaft 7111: magnetic part
7112: non-magnetic part 712: rotation shaft
713: drive unit 72: cover plate
73: extension plate 80: automatic folding unit
81: rubber band 82: fixing part
83: first band 84: second band
85: control unit

Claims (4)

기 설정된 크기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하단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단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판;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 측단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 측단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하판이 수직을 이루도록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하판 상면에 위치되도록 폴딩되고, 상기 상판이 폴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에 지지되되,
상기 제1 지지부는,
좌우 방향에 따른 기 설정된 지점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하 방향을 따라 체결홈부와 체결돌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좌우 방향에 따른 기 설정된 지점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하 방향을 따라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홈부 각각이 상기 체결홈부와 상기 체결돌부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받침대.
A base panel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 lower plat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base panel to be foldable;
a top plat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base panel to be foldable;
a first suppor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se panel in a foldable manner;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base panel;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nel and the lower plate are folded vertically,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fold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top plate is folded to form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A fastening part formed by alternating fastening grooves and fastening protrusion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cluding,
In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lternately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the lower en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A portable pedestal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that i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되,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지지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폴딩되어,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하판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폴딩되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지지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폴딩되어,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하판 상측 영역 내에 위치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체결홈부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돌부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part is folded based on the fasten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is fol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support part,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i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The second support part is folded based on the coupling part, and the coupling part is fol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support part,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i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folded, the engag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하단의 일정 영역에서 소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돌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하단의 일정 영역에서 소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에는, 폴딩된 상태의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끼움돌편 및 폴딩된 상태의 상기 제2 지지부의 상기 끼움돌기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redetermined area at the bottom of the first support part; is form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redetermined area at the bottom,
The portable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s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s of the first support part in a folded state and the fitting protrusions of the second support part in a folded state are respectively inserted are formed on the lower plate.
KR1020220123982A 2022-09-29 2022-09-29 Portable table KR102479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82A KR102479852B1 (en) 2022-09-29 2022-09-29 Portabl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82A KR102479852B1 (en) 2022-09-29 2022-09-29 Portable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852B1 true KR102479852B1 (en) 2022-12-20

Family

ID=8453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82A KR102479852B1 (en) 2022-09-29 2022-09-29 Portabl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85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9702A1 (en) * 2018-02-13 2020-06-24 InnoDo AG Folding body
KR102281372B1 (en) 2020-03-26 2021-07-26 백원기 Folding portable stand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9702A1 (en) * 2018-02-13 2020-06-24 InnoDo AG Folding body
KR102281372B1 (en) 2020-03-26 2021-07-26 백원기 Folding portable stand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670B2 (en) Elevated screen
JP5174650B2 (en) Blackboard apparatus and screen installation method
JP5405897B2 (en) Blackboard device with mobile screen
KR102479852B1 (en) Portable table
JP5612341B2 (en) Blackboard equipment
CN112293946A (en) Automatic multifunctional computer table who accomodates
JP5895036B2 (en) Blackboard equipment
CN211062224U (en) Multimedia display device based on japanese teaching usefulness
US7889424B2 (en) Collapsing projection screen consisting of a reflecting fabric retracted in a box behind a wall decoration
KR200396911Y1 (en) The desk
KR20170053953A (en) A portable partition
JP2005035163A (en) Blackboard device
CN216590682U (en) Electronic device
CN215382879U (en) Exhibition stand
CN206836576U (en) A kind of Dust-proof computer table
KR101369503B1 (en) Colour board type multi-whiteboard easy to mov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0347031Y1 (en) A portable partition for desk
JP4581362B2 (en) Projection screen
KR20190110208A (en) Voting booth
CN215006237U (en) Portable show is with removing curtain
CN208973121U (en) A kind of exhibition frame of Drama, Film and TV Literature multifunction teaching
CN208225459U (en) A kind of immersion animation demonstration device
KR101482451B1 (en) a study method by teaching aids
CN218350702U (en) Screen frame and projection screen
KR101302449B1 (en) De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