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778B1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778B1
KR102479778B1 KR1020220017866A KR20220017866A KR102479778B1 KR 102479778 B1 KR102479778 B1 KR 102479778B1 KR 1020220017866 A KR1020220017866 A KR 1020220017866A KR 20220017866 A KR20220017866 A KR 20220017866A KR 102479778 B1 KR102479778 B1 KR 102479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ditional expression
refractive power
convex
objec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4344A (ko
Inventor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2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344A/ko
Priority to KR102022017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 모듈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 측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인 제6렌즈;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0.3 < SD/f < 0.5
상기 조건식에서 SD는 조리개 구멍의 크기[㎜]이고, f는 렌즈 모듈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6매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를 갖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기능이 점차 커지면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고해상도 및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또는 경량화되는 추세이므로, 고해상도 및 고성능의 카메라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카메라의 렌즈를 유리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고 있으며, 고해상도의 구현을 위해 5매 이상의 렌즈로 렌즈 모듈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는 유리 재질의 렌즈에 비해 색수차 개선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밝은 광학계를 구현하기 어렵다.
참고로, 본원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4가 있다.
KR 2008-0057738 A KR 2008-0061461 A JP 2011-085733 A US 2012-0194726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 측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인 제6렌즈;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0.36 < SD/f < 0.48
상기 조건식에서 SD는 조리개 구멍의 크기[㎜]이고, f는 렌즈 모듈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3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3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1 < TTL/f < 1.4
상기 조건식에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렌즈 모듈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V4 - V5 < 5.0
상기 조건식에서 V4는 제4렌즈의 아베수이고, V5는 제5렌즈의 아베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R2| - |R1| > 0
상기 조건식에서 R1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2는 제1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SA < 36
상기 조건식에서 SA는 제6렌즈의 상 측면의 스윕 각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를 포함하고,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V5 < 30
상기 조건식에서 V5는 제5렌즈의 아베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3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3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1 < TTL/f < 1.4
상기 조건식에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렌즈 모듈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V4 - V5 < 5.0
상기 조건식에서 V4는 제4렌즈의 아베수이고, V5는 제5렌즈의 아베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R2| - |R1| > 0
상기 조건식에서 R1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2는 제1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SA < 36
상기 조건식에서 SA는 제6렌즈의 상 측면의 스윕 각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0.36 < SD/f < 0.48
상기 조건식에서 SD는 조리개 구멍의 크기[㎜]이고, f는 렌즈 모듈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은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6렌즈는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또한, 앞쪽이라 함은 렌즈 모듈에서 물체측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뒤쪽이라 함은 렌즈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면은 물체 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면)을 의미하고, 제2면은 상 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TTL, SL, IMGH,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 및 각 렌즈의 초점거리에 대한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아울러,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은 6매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 모듈은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이 6매의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은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sto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은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은 광학계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즉, 촬상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은 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계를 구성하는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 내지 제6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렌즈 내지 제6렌즈의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로 구성된 광학계는 2.4 이하의 F No.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선명한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저조도 조건(예를 들어, 100 lux 이하)에서도 피사체의 상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는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0.36 < SD/f < 0.48
조건식 1에서 SD는 조리개 구멍의 지름[㎜]이고, f는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는 조건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1.1 < TTL/f < 1.35
조건식 2에서 TTL은 제1렌즈의 제1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길이[㎜]이고, f는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여기서, 상기 조건식 2의 하한값을 벗어나는 렌즈 모듈은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어렵고, 상기 조건식 2의 상한값을 벗어나는 렌즈 모듈은 소형화가 어려울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는 조건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 V4 - V5 < 5.0
조건식 3에서 V4는 제4렌즈의 아베 값이고, V5는 제5렌즈의 아베 값이다.
여기서, 조건식 3을 만족하는 렌즈 모듈은 소형화가 용이할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는 조건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 |R2| > |R1|
조건식 4에서 R2는 제1렌즈의 제2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1은 제1렌즈의 제1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여기서, 조건식 4를 만족하는 제1렌즈는 형상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공차에 따른 민감도를 낮출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는 조건식 5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 SA < 36
조건식 5에서 SA는 제6렌즈의 제2면의 스윕 앵글(sweep angle)이다.
여기서, 조건식 5는 제6렌즈의 전반사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수치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식 5의 상한값을 벗어나는 렌즈 모듈은 내면반사가 발생하기 쉽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는 조건식 6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6] 0 < f1/f4 < 0.8
조건식 6에서 f1은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4는 제4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는 조건식 7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7] f5/f6 > 0.8
조건식 7에서 f5는 제5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6은 제6렌즈의 초점거리[㎜]이다.
다음에서는 광학계를 구성하는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를 설명한다.
제1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물체 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1렌즈는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는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3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제3렌즈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물체 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 또는 물체 측으로 볼록한 평면-볼록(plano-convex) 형상일 수 있다. 제3렌즈는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제3렌즈는 제1렌즈 및 제2렌즈보다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유효 지름(즉, 실질적으로 유효광이 입사되어 굴절되는 부분의 지름)은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유효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제4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4렌즈는 제1면이 오목하고 제2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상 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 또는 상 측으로 볼록한 평면-볼록(plano-convex)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4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5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제1면이 오목하고 제2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상 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는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5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6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6렌즈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6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의 제2면은 광축 중심에서 오목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렌즈는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6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6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실시 예들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렌즈로부터 제3렌즈로 갈수록 렌즈의 유효 지름이 작아지다가, 제4렌즈로부터 제6렌즈로 갈수록 렌즈의 유효 지름이 커지도록 렌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로 투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 모듈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은 화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수차를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은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은 경량화가 용이하고 제작단가를 낮추는데 유리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제5렌즈(50), 제6렌즈(60)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70), 이미지 센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렌즈(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10)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2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렌즈(20)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렌즈(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3렌즈(30)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4렌즈(40)는 제1면이 오목하고 제2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5렌즈(50)는 제1면이 오목하고 제2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렌즈(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6렌즈(60)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6렌즈(60)는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60)의 제2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조리개(S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ST)는 제2렌즈(20)와 제3렌즈(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1조리개(ST)는 광량의 조절과 비네팅(vignetting)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렌즈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렌즈의 곡률 반지름, 두께 및 거리 등을 나타낸 표이고, 도 5는 렌즈의 비구면 값을 나타낸 표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A(1)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을 나타내고, 도 4의 A(2)는 제1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을 나타낸다. 여기서, A(1), A(2),A(i) 값은 도 5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1)에 대응하는 값은 도 5에서 세로축의 A(1)과 가로축의 CURV에 대응하는 값의 역수이다. 일 예로, 제3렌즈(30)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A(5))은 도 5에서 세로축의 A(5)와 가로축의 CURV에 대응하는 0.109435의 역수인 9.138[㎜]이다. 다른 예로, 제4렌즈(40)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A(8))은 도 5에서 세로축의 A(8)과 가로축의 CURV에 대응하는 -0.162472의 역수인 -6.155[㎜]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두께 및 렌즈 간의 거리는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10)의 두께는 도 4에서 세로축의 1과 가로축의 두께/거리에 대응하는 0.49[㎜]이고, 제1렌즈(10)와 제2렌즈(20) 간의 거리는 상기 값의 아래쪽에 기재된 0.0995[㎜]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굴절률 및 아베수는 도 4의 GLA 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20)의 굴절률은 1.544이고, 아베수는 56.0이다. 다른 예로, 제3렌즈(30)의 굴절률은 1.639이고, 아베수는 23.0이다.
다음에서는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제5렌즈(50), 제6렌즈(60)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단 필터(70), 이미지 센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렌즈(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10)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2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렌즈(20)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렌즈(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3렌즈(30)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4렌즈(40)는 제1면이 오목하고 제2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5렌즈(50)는 제1면이 오목하고 제2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렌즈(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6렌즈(60)는 제1면이 볼록하고 제2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6렌즈(60)는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60)의 제2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조리개(S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ST)는 제2렌즈(20)와 제3렌즈(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1조리개(ST)는 광량의 조절과 비네팅(vignetting)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렌즈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도 9는 렌즈의 곡률 반지름, 두께 및 거리 등을 나타낸 표이고, 도 10은 렌즈의 비구면 값을 나타낸 표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A(3)은 제2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을 나타내고, 도 9의 A(4)는 제2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을 나타낸다. 여기서, A(1), A(2),A(i) 값은 도 10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3)에 대응하는 값은 도 10에서 세로축의 A(3)과 가로축의 CURV에 대응하는 값의 역수이다. 일 예로, 제2렌즈(20)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A(3))은 도 10에서 세로축의 A(3)과 가로축의 CURV에 대응하는 0.434377의 역수인 2.302[㎜]이다. 다른 예로, 제2렌즈(20)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A(4))은 도 10에서 세로축의 A(4)와 가로축의 CURV에 대응하는 -0.006798의 역수인 -147.102[㎜]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두께 및 렌즈 간의 거리는 도 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30)의 두께는 도 9에서 세로축의 3과 가로축의 두께/거리에 대응하는 0.28[㎜]이고, 제3렌즈(30)와 제4렌즈(40) 간의 거리는 상기 값의 아래쪽에 기재된 0.45[㎜]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굴절률 및 아베수는 도 10의 GLA 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50)의 굴절률은 1.639이고, 아베수는 23.0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각 실시 예들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광학 특성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본 발명의 조건식 1 내지 7을 모두 만족한다.
Figure 112022015354804-pat00001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렌즈
20 제2렌즈
30 제3렌즈
40 제4렌즈
50 제5렌즈
60 제6렌즈
70 적외선 차단 필터
80 이미지 센서

Claims (15)

  1.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1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2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4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인 제6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내지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렌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렌즈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렌즈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는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렌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렌즈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모듈.
    |R2| > |R1|
    (상기 조건식에서 R1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2는 제1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모듈.
    f5/f6 > 0.8
    (상기 조건식에서 f5는 상기 제5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6은 상기 제6렌즈의 초점거리이다)
  11.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1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2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제4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인 제6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내지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렌즈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모듈.
    |R2| > |R1|
    (상기 조건식에서 R1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고, R2는 제1렌즈의 상 측면의 곡률 반지름[㎜]이다)
  13. 제1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모듈.
    V4 - V5 < 5
    (상기 조건식에서 V4는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고, V5는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이다)
  14. 제1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모듈.
    0 < f1/f4 < 0.8
    (상기 조건식에서 f1은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4는 상기 제4렌즈의 초점거리[㎜]이다)
  15. 제1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모듈.
    f5/f6 > 0.8
    (상기 조건식에서 f5는 상기 제5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6은 상기 제6렌즈의 초점거리[㎜]이다)
KR1020220017866A 2013-10-24 2022-02-11 렌즈 모듈 KR102479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547A KR102575218B1 (ko) 2013-10-24 2022-12-14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227 2013-10-24
KR20130127227 2013-10-24
KR1020210035316A KR102372999B1 (ko) 2013-10-24 2021-03-18 렌즈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316A Division KR102372999B1 (ko) 2013-10-24 2021-03-18 렌즈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547A Division KR102575218B1 (ko) 2013-10-24 2022-12-14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344A KR20220024344A (ko) 2022-03-03
KR102479778B1 true KR102479778B1 (ko) 2022-12-22

Family

ID=53053928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093A KR101514574B1 (ko) 2013-10-24 2013-12-16 렌즈 모듈
KR1020140038625A KR101899437B1 (ko) 2013-10-24 2014-04-01 렌즈 모듈
KR1020180108275A KR102009428B1 (ko) 2013-10-24 2018-09-11 렌즈 모듈
KR1020190094274A KR102126410B1 (ko) 2013-10-24 2019-08-02 렌즈 모듈
KR1020200068951A KR102232422B1 (ko) 2013-10-24 2020-06-08 렌즈 모듈
KR1020210035316A KR102372999B1 (ko) 2013-10-24 2021-03-18 렌즈 모듈
KR1020220017866A KR102479778B1 (ko) 2013-10-24 2022-02-11 렌즈 모듈
KR1020220174547A KR102575218B1 (ko) 2013-10-24 2022-12-14 렌즈 모듈
KR1020230114809A KR20230132403A (ko) 2013-10-24 2023-08-30 렌즈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093A KR101514574B1 (ko) 2013-10-24 2013-12-16 렌즈 모듈
KR1020140038625A KR101899437B1 (ko) 2013-10-24 2014-04-01 렌즈 모듈
KR1020180108275A KR102009428B1 (ko) 2013-10-24 2018-09-11 렌즈 모듈
KR1020190094274A KR102126410B1 (ko) 2013-10-24 2019-08-02 렌즈 모듈
KR1020200068951A KR102232422B1 (ko) 2013-10-24 2020-06-08 렌즈 모듈
KR1020210035316A KR102372999B1 (ko) 2013-10-24 2021-03-18 렌즈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547A KR102575218B1 (ko) 2013-10-24 2022-12-14 렌즈 모듈
KR1020230114809A KR20230132403A (ko) 2013-10-24 2023-08-30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9) KR101514574B1 (ko)
CN (1) CN1045702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007B1 (ko) * 2015-08-10 2017-07-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170093504A (ko) * 2016-02-05 2017-08-16 오필름코리아(주) 촬상 장치용 광학 시스템
CN107976788B (zh) * 2018-01-22 2023-11-21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CN108508581B (zh) * 2018-04-12 2023-07-07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
CN108535845A (zh) * 2018-06-06 2018-09-14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镜片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9091A (zh) * 2011-06-10 2012-12-12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影像撷取透镜组
TW201305595A (zh) * 2012-10-22 2013-02-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擷取光學鏡片系統
CN103592746A (zh) 2012-08-13 2014-02-19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镜片系统组
KR101504035B1 (ko) 2013-10-23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738A (ko) 2006-12-20 2008-06-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내부 조리실을 갖는 전자레인지
KR20080061461A (ko)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터 부착 장치 및 방법
JP5426313B2 (ja) * 2009-10-15 2014-02-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
CN201974571U (zh) 2011-01-27 2011-09-14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撷取镜头组
TWI432823B (zh) * 2011-06-10 2014-04-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拾取透鏡組
TWI460465B (zh) * 2012-04-20 2014-11-1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鏡頭系統組
TWI452332B (zh) * 2012-08-08 2014-09-1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攝影鏡片系統
TWI438521B (zh) 2012-10-02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系統鏡頭組
TWI451123B (zh) 2012-10-30 2014-09-0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攝影系統組
TWI461779B (zh) * 2013-04-25 2014-11-21 Largan Precision Co Ltd 結像鏡組
TWI463169B (zh) * 2013-07-25 2014-12-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系統鏡片組及取像裝置
TWI480574B (zh) * 2014-01-24 2015-04-1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取像鏡頭、取像裝置及可攜裝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9091A (zh) * 2011-06-10 2012-12-12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影像撷取透镜组
CN103592746A (zh) 2012-08-13 2014-02-19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镜片系统组
TW201305595A (zh) * 2012-10-22 2013-02-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擷取光學鏡片系統
KR101504035B1 (ko) 2013-10-23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455A (ko) 2021-03-26
KR102232422B1 (ko) 2021-03-26
KR20200069277A (ko) 2020-06-16
KR20220024344A (ko) 2022-03-03
KR20180103807A (ko) 2018-09-19
KR20190095213A (ko) 2019-08-14
CN104570281B (zh) 2017-09-29
KR102126410B1 (ko) 2020-06-25
KR102009428B1 (ko) 2019-08-12
KR20150047412A (ko) 2015-05-04
KR20230132403A (ko) 2023-09-15
KR102372999B1 (ko) 2022-03-14
KR102575218B1 (ko) 2023-09-08
KR101899437B1 (ko) 2018-09-17
CN104570281A (zh) 2015-04-29
KR101514574B1 (ko) 2015-04-23
KR20230002187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849B1 (ko) 렌즈 모듈
KR101539845B1 (ko) 렌즈 모듈
KR102009429B1 (ko) 촬상 광학계
KR102479778B1 (ko) 렌즈 모듈
KR101681383B1 (ko) 렌즈 모듈
KR101627133B1 (ko) 렌즈 모듈
KR102009430B1 (ko) 촬상 광학계
KR101709838B1 (ko) 렌즈 모듈
KR101762004B1 (ko) 촬상 광학계
KR101598266B1 (ko) 렌즈 모듈
KR101452150B1 (ko) 렌즈 모듈
KR101504029B1 (ko) 렌즈 모듈
US9176303B2 (en) Lens module
KR102037832B1 (ko) 렌즈 모듈
KR102526440B1 (ko) 촬상 광학계
KR101504033B1 (ko) 렌즈 모듈
KR101762100B1 (ko) 촬상 광학계
KR101681424B1 (ko) 렌즈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