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553B1 - 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553B1
KR102479553B1 KR1020210064738A KR20210064738A KR102479553B1 KR 102479553 B1 KR102479553 B1 KR 102479553B1 KR 1020210064738 A KR1020210064738 A KR 1020210064738A KR 20210064738 A KR20210064738 A KR 20210064738A KR 102479553 B1 KR102479553 B1 KR 10247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bot cleaner
docking station
cleaning unit
ai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7099A (en
Inventor
김장석
박민지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53B1/en
Publication of KR20220157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적어도 제1공기청정유닛(20) 및 제2공기청정유닛(30)이 상하로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적층되어 송풍량 및 흡기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하측에 위치한 공기 청정기에는 로봇 청소기(40)가 드나들면서 충전할 수 있도록 도킹 스테이션(10)이 구비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킹 스테이션(10);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공기청정유닛(20); 상기 제1몸체부(21)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는 제2공기청정유닛(30);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을 드나들면서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for a robot cleaner, and more specifically, at least a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a second air cleaning unit 30 are stacked in a vertically separable manner to generate air flow and intake air. It relates to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a docking station 10 so that the robot cleaner 40 can be charged while the robot cleaner 40 is in and out of the lower air purifie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docking station 10; a first air cleaning unit 20 disposed above the docking station 10; a second air cleaning unit 30 that can be detachably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 The robot cleaner 4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rge while moving in and out of the docking station 10 and cleans the floor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side.

Description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of a robot cleaner {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적어도 제1공기청정유닛 및 제2공기청정유닛이 상하로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적층되어 송풍량 및 흡기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하측에 위치한 공기 청정기에는 로봇 청소기가 드나들면서 충전할 수 있도록 도킹 스테이션이 구비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of a robot cleaner, and more specifically, at least a first air cleaning unit and a second air cleaning unit are stacked in a detachable form to increase airflow and intake, and The air purifier located in relates to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a docking station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be charged while coming in and out.

최근 미세먼지가 나날이 심각해지면서 현재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악의 수준이다. 또한, 최근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환경 문제 또한 관심이 증가되기 시작과 동시에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소형가전제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Recently, as fine dust has become more serious day by day, Korea is currently at the worst level among OECD countries. In addition, with the recent spread of the virus,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has also increased, and as the time to stay at home increases, the market for small home appliances is growing.

또한,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공기청정기, 청소기 등 소형가전제품에 대한 시장이 나날로 커지고 있다.In addition, as the time to stay at home is getting longer due to the recent corona virus, the market for small home appliances such as air purifiers and vacuum cleaners is growing day by day due to changes in lifestyle.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세먼지가 심한 날, 청소하며 문을 열어 환기하는 것이 꺼려지게 되고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며 청소해야 하기 때문에 역으로 실외보다 실내 공기의 질이 나빠지고 실정이다.However, in this situation, on days when fine dust is severe, it is reluctant to open the door to ventilate while cleaning, and since it is necessary to open the window to ventilate and clean, the in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outdoor air quality.

그리고 청소기는 먼지를 빨아들이는 필터에 의해 역으로 안좋은 공기가 외부로 표출될 수 있어 실내 공기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vacuum cleaners have a problem in that indoor air quality is degraded because bad air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by a filter that sucks up dust.

아울러,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오염공기가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송풍기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and after polluted air is purified by passing through a filter, a flow of air is induced by a blow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송풍기에 의해 흡입량, 송풍량이 조절될 수 있어 흡입량, 송풍량의 최대치에 한계가 존재하고, 공기 정화성능 향상을 위해 다수의 공기 청정기를 구비하면 공간의 바닥에 병렬로 배치해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한계가 존재한다.Since these conventional air purifiers can control the intake and airflow by a blower, there is a limit to the maximum intake and airflow, and if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re provided to improv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they must b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floor of the space. There are limitations that take up a lot of space.

즉, 흡입량과 송풍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공간 배치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at 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ir purifier capable of efficiently configuring space arrangement while maximizing intake and airflow.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2593호(2020.10.0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2593 (2020.10.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 청소기의 가동 시 공기 정화를 위해 로봇 청소기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robot cleaner to purify air when the robot cleaner is operating and can be used conveniently. will b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청정기의 하측에 로봇 청소기가 드나들면서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기능성 편의가 증대된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for a robot cleaner, which is configured to be charged while a robot cleaner comes in and out of the air purifier and has increased multifunctional convenienc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측에 위치한 공기 청정기에 형성된 제1수용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지지레그부를 구비하여 상측 구성들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로봇 청소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구성된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support leg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the air purifier located on the lower side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components and to allow the robot cleaner to freely move in and out.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of the cleaner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도킹 스테이션;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상측에 배치되고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후 배출되도록 제1배출구가 형성된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제1필터부와, 상기 제1필터부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송풍기를 포함하는 제1공기청정유닛; 상기 제1몸체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고,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후 배출되도록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제2필터부와, 상기 제2필터부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2송풍기를 포함하는 제2공기청정유닛;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드나들면서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object is a docking station; A first body portion having a first inlet disposed above the docking station and through which polluted air is introduced, and a first outlet form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is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and installed in the first body. A first air cleaner comprising a first filter unit to purify polluted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and a first blower to induce a flow of air so that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unit; A second body that can be detachably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and has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flows in and a second outlet to purify and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let; A second filter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to purify the polluted air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and a second blower to induce a flow of air so that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A second air cleaning unit including;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rge while going in and out of the docking station, and a robot cleaner that cleans the floor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side.

그리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드나들며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양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몸체부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레그부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accommodating space having one side and both sides open is formed in the docking station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pass in and out, and a support leg is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support the load of the first body. It can be.

이때, 상기 지지레그부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일측으로 진입하는 상기 로봇 청소기에 의해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의 타측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leg part slides while being push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long the rails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by the robot cleaner entering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또한, 상기 지지레그부에는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봇 청소기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었다가 인출될 경우에 상기 지지레그부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걸림돌부에 대응되어 맞물리며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걸림돌부가 형성된 연결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first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upport leg portion, and the robot cleaner corresponds to the first protrusion so as to move the support leg portion to one side when i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n withdrawn. A connection member formed with a second holding protrusion configured to be engaged and connected may be mounted.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측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제1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경우에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상측과 접촉하여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And, on the upper side of the robot cleaner, when the robot clean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es upward to contact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to support the load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more can be 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청정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공기청정유닛 및 제2공기청정유닛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공기청정유닛과 제2공기청정유닛이 분리되어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됨을 도시한 사용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지지레그부와 로봇 청소기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지지레그부의 슬라이딩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결부재와 고정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레그부에 연결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a first air cleaning unit and a second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air cleaning unit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and installed in different place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support leg unit and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upport le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nnecting to the support leg part using a connecting member and a fixing 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청정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공기청정유닛 및 제2공기청정유닛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공기청정유닛과 제2공기청정유닛이 분리되어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됨을 도시한 사용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for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the first air cleaning unit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usage diagram showing that the units are separated and installed in different places.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와 공기청정유닛을 함께 구비하면서 공기청정유닛의 하측에 도킹 스테이션이 구비되어 사용 편의가 향상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having a robot cleaner and an air purifying unit together and having a docking station provided below the air purifying unit to improve user convenienc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도킹 스테이션(10), 제1공기청정유닛(20), 제2공기청정유닛(30), 로봇 청소기(40),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asically include a docking station 10, a first air cleaning unit 20, a second air cleaning unit 30, a robot cleaner 40, and a control unit 50.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은 후술되는 구성인 로봇 청소기(4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으로서 로봇 청소기(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charging the robot cleaner 40, which is a configuration described later, and may include a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robot cleaner 40.

여기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에는 로봇 청소기(40)가 드나들며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양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1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Here,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having one side and both sides open is formed in the docking station 10 so that the robot cleaner 40 can come in and out.

그리고 상기 제1수용공부(11)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40)와 접촉하면서 상기 로봇 청소기(40)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로봇 청소기(40)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일측으로 진입하여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the robot cleaner 4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robot cleaner 4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robot cleaner 40 is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10. ) can be accommodated by entering one side.

여기서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하측에는 일측으로 들어오는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수용위치를 가이드 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홈부(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groove 12 gradually narrowing in wid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to guide the accommodation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40 entering one side.

그리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하측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수용된 상태에서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바퀴의 밀림을 방지하여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스토퍼(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And, at the low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the robot cleaner 40 is smoothly charged while being accommodated, and at least one protruding upward to prevent random separation by preventing the wheel of the robot cleaner 40 from being pushed. A pair of stoppers 13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오염공기를 유입하여 공기를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다.Also,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is disposed above the docking station 10 and is configured to introduce contaminated air, purify the air, and then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에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be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or integrally formed.

그리고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은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22)와, 상기 제1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후 배출되도록 제1배출구(23)가 형성된 제1몸체부(2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has a first inlet 22 through which polluted air flows in and a first outlet 23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22 is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It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21.

그리고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은, 상기 제1몸체부(2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입구(22)로부터 유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제1필터부(24)와, 상기 제1필터부(24)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송풍기(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24 installed in the first body 21 to purify polluted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22; It may include a first blower 25 for inducing a flow of air so that the air purified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제1필터부(24)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등을 포함하여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 뒤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ilter unit 2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e-filter, a HEPA filter, a deodorizing filter, and the like to purify and discharg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그리고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의 상측에는 제2공기청정유닛(30)이 적층될 수 있다.A second air cleaning unit 30 may be stacked above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

그리고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은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32)와 상기 제2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후 배출되도록 제2배출구(33)가 형성된 제2몸체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has a second inlet 32 through which polluted air is introduced and a second outlet 33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let 32 is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body parts (31).

더불어,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은 상기 제2몸체부(3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입구(32)로부터 유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제2필터부(34)와, 상기 제2필터부(34)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2송풍기(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includes a second filter unit 34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31 to purify polluted air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32,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4 . A second blower 35 may be further included to induce a flow of air so that the air purified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제2필터부(34)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등을 포함하여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 뒤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filter unit 3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e-filter, a HEPA filter, a deodorizing filter, and the like to purify and discharg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또한, 상기 제2송풍기(35)는 상기 제1몸체부(21)와 상기 제2몸체부(31)가 상하로 적층될 경우에 상기 제1송풍기(25)와 직렬로 배치되므로, 상기 제1송풍기(25)와 상기 제2송풍기(35)가 모두 작동될 경우에 더욱 강한 흡입력과 송풍량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공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blower 35 is disposed in series with the first blower 25 whe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31 are vertically stacked, the first When both the blower 25 and the second blower 35 are operated, a stronger suction force and an effect of blowing air can be obtained, so that the air can be quickly and effectively purified.

이때, 상기 제2몸체부(31)의 바닥면은 상기 제1송풍기(25)와 상기 제2송풍기(35)가 직렬 배치되어 강력한 공기 흐름을 유도하도록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제1몸체부(21)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31 is configured in an open form so that the first blower 25 and the second blower 35 are arranged in series to induce a strong air flow, so that the first body portion ( 21) may be made of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더불어, 본 발명은 제1공기청정유닛(20)과 제2공기청정유닛(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로봇 청소기(40)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송신 가능한 통신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의 방식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40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As the method of the communication unit,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and Wi-Fi can be applied.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작동 시 상기 로봇 청소기(40)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 및 제2공기청정유닛(30)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청정유닛(20, 30)을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robot cleaner 40 when the robot cleaner 40 operate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At least one air cleaning unit 20 or 30 may be operated, an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과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의 작동뿐만 아니라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의 작동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50 is formed in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it interworks with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perform not onl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but also the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can also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50)는 로봇 청소기(40)와 연동되어 로봇 청소기(40) 사용 시 각 공기청정유닛(20, 30)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청소 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정화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 공기청정유닛(20, 30)의 풍량세기, 작동모드 등을 자동 및 수동으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50 is interlocked with the robot cleaner 40 to automatically operate each air cleaning unit 20, 30 when the robot cleaner 40 is in use, so that the indoor air can be purified comfortably during cleaning, improving usability. It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nd manually set the air volume intensity, operation mode, etc. of each air cleaning unit (20, 30).

여기서 제1공기청정유닛(20)과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에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데이터에 의해 각 공기청정유닛(20, 30)의 풍량, 작동모드 등을 제어하여 제1공기청정유닛(20)과 제2공기청정유닛(30)이 서로 다른 풍량세기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sensors for measuring air quality are mounted o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respectively, and the controller 50 controls each air cleaning unit (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may be independently controlled with different air volume intensities by controlling the air volume and operation mode of 20 and 30 .

그리고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은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의 상측에 적층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이도록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공기청정유닛만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may be stacked on top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operate simultaneously to increas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and only one air cleaning un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40)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을 드나들면서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40 is configured to be charged while moving in and out of the docking station 10, and can clean the floor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side.

그리고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 또는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의 상부에는 표시부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충전 상태, 실내 공기의 정화 상태,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충전모드 표시, 날짜 및 on/off 표시, 실시간 미세먼지 수치, 제1공기청정유닛(20)과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의 분리모드 상태표시 등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A display unit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or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and on the display unit, the charging state of the robot cleaner 40, the purification state of indoor air, To display the charging mode display of the robot cleaner 40, date and on/off display, real-time fine dust level, separation mode status display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etc. can be configured.

그리고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의 제2몸체부(31)는 상기 제1몸체부(21)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됨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portion 31 of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is detachably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의 상측에 직렬로 적층하여 흡입량 및 풍량을 더욱 강하게 제어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과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을 병렬로 이격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서로 다른 공간에서 사용할 수도 있어 활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it may be stacked in series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used to more strongly control the amount of suction and air flow. As shown in FIG. 3, the first Since the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may be spaced apart in parallel and used, they may be used in different spaces, and thus have excellent usability.

아울러, 상기 제2몸체부(31)에는 상기 제1몸체부(21)로부터 분리하여 이동할 경우에 분리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부(36)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part 36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econd body part 31 so that it is convenient to separate and move when moving apart from the first body part 21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과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30)은 직렬로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되어 공기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작동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된 형태로 병렬로 이격배치되어 서로 다른 바닥에 각각 장착됨을 통해 넓은 공간에 대해 공기 정화하도록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As such, in Embodi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may be stacked in a separable manner in series to maximize air cleaning efficiency, ,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urify the air for a wide space through being spaced apart in parallel in a form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ounted on different floors, respectively.

[실시예 2][Example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10)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10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구성을 포함하면서 실시예 1에서 도킹 스테이션(10)의 개방부를 보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도록 한다.Embodiment 2 is composed of a structure capable of reinforcing the opening of the docking station 10 in Embodiment 1 while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Embodiment 1,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Embodiment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로봇 청소기(40)의 도킹 스테이션(10)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지지레그부와 로봇 청소기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레그부의 슬라이딩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인출 시 연결부재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10 of a robot cleaner 4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leg and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FIG.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liding operation of a le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rawing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도킹 스테이션(1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5 to 8 ,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docking station 10 .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면,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수용을 위해 일측 및 양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형태의 제1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이루어지고, 상기 로봇 청소기(40)는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일측으로 진입하여 들어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cking station 10, one side and both sides are opened to accommodate the robot cleaner 40, and a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in an open form is formed. The robot cleaner 40 may enter and enter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

그리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에는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10) 또는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10)과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20)이 적층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10) 또는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10)과 상기 제2공기청정유닛(20)의 하중을 지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And since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 or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20 are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 is configured to be stacked. It should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unit 10 or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20.

이를 위해,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개방으로 인한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일측에서 상기 제1몸체부(21) 또는 상기 제1몸체부(21)와 제2몸체부(3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레그부(15)가 설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ocking station 10 has the first body portion at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docking station 10 due to the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21) Alternatively, at least two support leg parts 15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s of the first body part 21 and the second body part 31 may be installed.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용공간(11) 양측의 상단 및 하단에 레일부(14)가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레일부(14)에는 지지레그부(15)가 설치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일측에서 상측에 위치한 구성인 상기 제1몸체부(21) 및 상기 제2몸체부(3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rail parts 14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respectively, and support leg parts 15 are installed on the rail parts 14 to accommodat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first body part 21 and the second body part 31, which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from one side of the space 11.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부(15)는, 상기 제1수용공간(11) 내에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수용되기 위해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일측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진입할 경우에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상기 지지레그부(15)에 접촉하면서 상기 로봇 청소기(40) 몸체 자체가 이동하면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레그부(15)가 레일부(14)를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타측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leg part 15 is configured when the robot cleaner 40 enters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so that the robot cleaner 4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While the body of the robot cleaner 40 moves while the robot cleaner 40 contacts the support leg part 15, the support leg part 15 moves along the rail part 14 by the pushing force.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while being push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아울러, 상기 지지레그부(15)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에 수용되었던 로봇 청소기(40)가 인출될 경우에 로봇 청소기(40)와 연결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40)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된 제1수용공간(11)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robot cleaner 40 accommodated in the docking station 10 is withdrawn, the support leg part 15 is connected to the robot cleaner 40 and opened while moving to one side by the robot cleaner 40. It is made to reinforce the bearing capacity for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이를 위해, 상기 지지레그부(15)에는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로봇 청소기(40)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되었다가 인출될 경우에 상기 지지레그부(15)를 끌어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걸림돌부(15a)에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2걸림돌부(41a)가 형성된 연결부재(41)가 장착될 수 있다.To this end, a protruding first protrusion 15a is formed in the support leg part 15, and when the robot cleaner 4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and then withdrawn, the support leg A connecting member 41 having a second holding protrusion 41a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protrusion 15a may be mounted so as to pull the portion 15 and move it to the other side.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1)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이 벌어지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는 상기 로봇 청소기(40)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connecting members 41 may be configured as a pair with a gap widen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drawn out while being embedded in the robot cleaner 40. there is.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1)가 한 쌍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연결부재(41) 사이의 간격을 오므라든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링(4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Here, when the connecting members 41 are configured as a pair, a fixing ring 43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robot cleaner 40 to maintain a closed state between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It could be.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40)에는 제2걸림돌부(41a)가 형성된 연결부재(41)가 장착되고,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에 들어오면서 상기 제2걸림돌부(41a)가 상기 지지레그부(15)의 제1걸림돌부(15a)에 맞물려 끼워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connection member 41 having a second protrusion 41a is mounted on the robot cleaner 40, and the second protrusion 41 enters the docking station 10 while the robot cleaner 40 enters the docking station 10. (41a) may be fitted in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5a) of the support leg portion (15).

이때, 한 쌍의 지지레그부(15) 사이의 폭은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몸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에 들어오는 로봇 청소기(40)에 의해 타측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support leg parts 15 is formed smaller than the body of the robot cleaner 40, and can slide while being pushed to the other side by the robot cleaner 40 entering the docking station 10. .

아울러, 상기 로봇 청소기(40)는 상기 제1수용공간(11)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11)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1수용공간(11) 내에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과 접촉하여 일측을 지지하여 상부에 위치한 구성인 제1몸체부(21)를 포함하는 제1공기청정유닛(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지지부(4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40 is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so as to facilitate entry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and the robot cleaner with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 In the state in which the 40 is accommodated, it contacts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to support one side to stably support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including the first body portion 21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42 protruding upward so as to be further formed.

다음으로 도면과 더불어 로봇 청소기(40)에 의한 상기 지지레그부(15)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upport leg part 15 by the robot cleaner 40 together with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도 7의 (a)는 로봇 청소기(40)가 도킹 스테이션(10) 내에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진입에 의해 지지레그부(15)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린 상태를 도시하였다.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40 enters the docking station 10, and the support leg part 15 is push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by the entry of the robot cleaner 40. has been shown.

이때,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상기 제1수용공간(11)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일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지지부(42)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에 접하면서 제1공기청정유닛(20) 또는 제1공기청정유닛(20) 및 제2공기청정유닛(30)의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4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the protruding support part 4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robot cleaner 40 is folded onto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It is configured to more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or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while doing so.

그리고 도 7의 (b)는 로봇 청소기(40)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연결부재(42)가 상기 지지레그부(15)에 연결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2)를 끌어 상기 연결부재(42)가 일측으로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7(b)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cleaner 40 is pulled out of the docking station 10, and the connection member 42 of the robot cleaner 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part 15 ), and as the robot cleaner 40 moves from the other side to one side, the connecting member 42 can be pulled and the connecting member 42 can slide along the rail to one side.

이를 통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레그부(15)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상측의 구성인 제1공기청정유닛(20)의 하중을 지탱하여 안정적으로 지지 보강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rough this, as shown in (c) of FIG. 7 ,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40 is completely withdrawn from the docking station 10, the support leg part 15 is at one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It can have a support reinforcement structure stably by supporting the load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which is an upper configuration, while being located on the upper side.

즉,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의 상측에 제2공기청정유닛(30)이 적층되어 하중이 증가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레그부(15)의 구성을 통해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여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is stacked on top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d the load is increased, the supporting force of the docking station 10 is increas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leg portion 15.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reinforcing to form a stable support structure.

다음으로 도면과 더불어 로봇 청소기(40)에 구비된 연결부재(41)와 고정링(43)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레그부(15)와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part 15 using the connecting member 41 and the fixing ring 43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40 together with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연결부재(41) 및 상기 고정링(43)은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41 and the fixing ring 43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inside the robot cleaner 40 .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결부재와 고정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레그부에 연결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1), 고정링(43), 지지레그부(15)의 연결 구조 설명을 위해 로봇 청소기(40)의 몸체 구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8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connecting the support leg part using a connecting member and a fixing 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41, the fixing ring 43, and the support leg For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it 15, the figure of the body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40 is omit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1)는 상하로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연결부재(41)는 서로의 간격이 변경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ng members 41 may be configured as a pair disposed vertically, and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may be coupled in a form in which a distance between each other may be changed.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부(15)의 제1걸림돌부(15a)에는 한 쌍의 연결부재(41)의 간격이 좁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홈(15b)이 더 형성될 수 있다.Also, a first groove 15b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15a of the support leg 15 so that the pair of connection members 41 may be inserted in a stat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narrowed.

즉,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는 작은 부피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홈(15b)에 삽입된 후 펼쳐지면서 제1걸림돌부(15a)와 제2걸림돌부(41a)가 서로 맞물려 걸리면서 지지레그부(15)를 끌어줄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pair of connection members 4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5b in a state of having a small volume and then unfolded while the first protrusion 15a and the second protrusion 41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caught. It can be connected so that the support leg part 15 can be pulled.

더욱 구체적으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는 서로의 간격이 좁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홈(15b)에 삽입된 후 원래의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면서 상기 제1걸림돌부(15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a) of FIG. 8,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5b in a stat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narrowed, and then move up and down at the original distance. It may be caught and fixed by the first protrusion 15a while widening each other in the direction.

이를 통해, 상기 제1걸림돌부(15a)와 상기 제2걸림돌부(41a)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면서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인출 시 상기 지지레그부(15)를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일측으로 당기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rst holding protrusion 15a and the second holding protrusion 41a are interlock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robot cleaner 40 is withdrawn, the support leg portion 15 is mov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It can be moved while pulling to one side of.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는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인출에 의해 상기 지지레그부(15)를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게 변형된 후 상기 제1홈(15b)을 통해 상기 제1걸림돌부(15a)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상기 지지레그부(15)와 연결된 상태를 해지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b) of FIG. 8, after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move the support leg part 15 to one side by the withdrawal of the robot cleaner 40,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After being narrowly deformed, the state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part 15 can be released while escap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part 15a through the first groove 15b.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 사이의 간격은, 로봇 청소기(40) 내에 배치된 고정링(43)에 삽입됨을 통해 조절 가능하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can be adjus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43 disposed in the robot cleaner 40.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링(43)로부터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가 인출되면서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상기 제1걸림돌부(15a)에 걸리는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레그부(15)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가 상기 고정링(43) 내로 삽입되면 간격이 서로 좁아지면서 상기 제1홈(15b)을 통해 상기 제1걸림돌부(15a)와 분리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are withdrawn from the fixing ring 43 installed inside the robot cleaner 40, the gap is widened and caught on the first protrusion 15a. When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43 after the movement is completed while being connected to move the support leg part 15, the gap between them narrows and the first groove 15b ),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rusion 15a.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는 상기 고정링(43) 내로 더욱 깊게 삽입되면서 서로의 간격이 좁게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용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c) of FIG. 8,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can be accommodated while maintaining a deformed state with a narrow distance from each other while being inserted more deeply into the fixing ring 43.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는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외측으로 빠져나온 경우에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41 are drawn outward when the robot cleaner 40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station 10, and the robot cleaner 40 is pulled out of the docking station 10. When it comes out, it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ally or entirely accommodated in the docking station 10 .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는 상기 로봇 청소기(40) 내에서 탄성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40)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걸림돌부(15a) 걸리면서 탄성부재가 신장되면서 인출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connection members 41 are connected to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n the robot cleaner 40 to mainta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robot cleaner 40, and the first protrusion ( 15a)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drawn while the elastic member is stretched while being cau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는 제1공기청정유닛(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고 제1공기청정유닛(20)의 상측에 적층된 제2공기청정유닛(30)을 적층하여 하중이 증가한 경우에도 도킹 스테이션(10)을 제1수용공간(11)을 보강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에 적층된 구성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Embodiment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30 stacked on top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is stacked to load the load. Even when this is increased, the docking station 10 has an effect of reinforcing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to improv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configuration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hat you can do

10 : 도킹 스테이션 11 : 제1수용공간
12 : 가이드홈 13 : 스토퍼
14 : 레일부 15 : 지지레그부
15a : 제1걸림돌부 15b : 제1홈
20 : 제1공기청정유닛 21 : 제1몸체부
22 : 제1유입구 23 : 제1배출구
24 : 제1필터부 25 : 제1송풍기
30 : 제2공기청정유닛 31 : 제2몸체부
32 : 제2유입구 33 : 제2배출구
34 : 제2필터부 35 : 제2송풍기
36 : 손잡이 40 : 로봇 청소기
41 : 연결부재 41a : 제2걸림돌부
42 : 돌출지지부 43 : 고정링
50 : 제어부
10: docking station 11: first accommodation space
12: guide groove 13: stopper
14: rail part 15: support leg part
15a: first protrusion 15b: first groove
20: first air cleaning unit 21: first body
22: first inlet 23: first outlet
24: first filter unit 25: first blower
30: second air cleaning unit 31: second body
32: second inlet 33: second outlet
34: second filter unit 35: second blower
36: handle 40: robot cleaner
41: connecting member 41a: second holding protrusion
42: protruding support 43: fixing ring
50: control unit

Claims (5)

도킹 스테이션(10);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22)와 상기 제1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후 배출되도록 제1배출구(23)가 형성된 제1몸체부(21)와, 상기 제1몸체부(2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입구(22)로부터 유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제1필터부(24)와, 상기 제1필터부(24)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송풍기(25)를 포함하는 제1공기청정유닛(20);
상기 제1몸체부(21)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고,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32)와 상기 제2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후 배출되도록 제2배출구(33)가 형성된 제2몸체부(31)와, 상기 제2몸체부(3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입구(32)로부터 유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제2필터부(34)와, 상기 제2필터부(34)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2송풍기(35)를 포함하는 제2공기청정유닛(30);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을 드나들면서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40);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드나들며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양측이 개방된 형태의 제1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11)에는 상기 제1몸체부(21)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레그부(15)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레그부(15)는,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일측으로 진입하는 상기 로봇 청소기(40)에 의해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레일부(14)를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11)의 타측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docking station 10;
A first inlet 2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and into which polluted air is introduced, and a first outlet 23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22 is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1 body part 21, a first filter part 24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21 to purify the polluted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22, and the first filter part 24 ) A first air cleaning unit 20 including a first blower 25 for inducing a flow of air so that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passing through;
It can be detachably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21, and the second inlet 32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let 32 are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A second body portion 31 having two outlets 33 formed therein, and a second filter portion 34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31 to purify polluted air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let port 32; a second air cleaning unit 30 including a second blower 35 for inducing a flow of air so that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3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robot cleaner 40 configured to be charged while moving in and out of the docking station 10 and to clean the floor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side;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having one side and both sides open is formed in the docking station 10 so that the robot cleaner 40 can enter and exit,
A support leg part 15 is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to support the load of the first body part 21,
The support leg part 15,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along the rails 14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by the robot cleaner 40 entering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for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slides while being pushed to the other side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부(15)에는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로봇 청소기(40)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되었다가 인출될 경우에 상기 지지레그부(15)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걸림돌부(15a)에 맞물리며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걸림돌부(41a)가 형성된 연결부재(4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ding first protrusion 15a is formed on the support leg portion 15,
The robot cleaner 40 is configured to be engag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holding protrusion 15a to move the support leg part 15 to one side when i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and then withdrawn.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for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mber 41 having the second holding protrusion 41a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40)의 상측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40)가 상기 제1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될 경우에 상기 도킹 스테이션(10)의 상측과 접촉하여 상기 제1공기청정유닛(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지지부(42)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On the upper side of the robot cleaner 40,
When the robot cleaner 4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 it contacts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10 and protrudes upward to support the load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20. An air purifier having a docking station of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protruding support portion 42 is further formed.
KR1020210064738A 2021-05-20 2021-05-20 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 KR102479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38A KR102479553B1 (en) 2021-05-20 2021-05-20 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38A KR102479553B1 (en) 2021-05-20 2021-05-20 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99A KR20220157099A (en) 2022-11-29
KR102479553B1 true KR102479553B1 (en) 2022-12-19

Family

ID=8423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38A KR102479553B1 (en) 2021-05-20 2021-05-20 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553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839A (en) * 2009-05-29 2010-12-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Robot cleaner external charging apparatus an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the same
KR20200112593A (en) 2019-03-19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purify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air purifying system
US11471813B2 (en) * 2019-04-26 2022-10-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99A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761B1 (en) air cleaner
AU2005218490B2 (en)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cyclonic vacuum module
US8468645B2 (en) Cleaning robot having exhaust air feedback function
WO2010102399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10219567A1 (en) Reconfigurable upright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powered brush motor
KR102479553B1 (en) Air purifier with docking station of robot vacuum cleaner
KR101185250B1 (en) Air cleaner
KR100963337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190000114A (en) A seperatable air cleaner
CN101242770A (en) Filter mount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JP2010125009A (en) Electric cleaner
CN216823274U (en) Sewage tank and cleaning device
CN100455924C (en) Air cleaner
KR100492317B1 (en) Air purifier
KR100765336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ir outlet in air cleaner
CN109008795B (en) Brush body, cleaning brush and dust collector
KR100464510B1 (en) Air purifier
KR20040056152A (en) Air purifier
KR100464511B1 (en) Air purifier
KR100259380B1 (en) Fixing apparatus of electric dust collector for airconditioner
KR101926375B1 (en) De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CN216823273U (en) Sewage tank and cleaning device
KR100464517B1 (en) Air purifier
KR101199662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135787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Air-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