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529B1 -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 Google Patents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529B1
KR102479529B1 KR1020220109024A KR20220109024A KR102479529B1 KR 102479529 B1 KR102479529 B1 KR 102479529B1 KR 1020220109024 A KR1020220109024 A KR 1020220109024A KR 20220109024 A KR20220109024 A KR 20220109024A KR 102479529 B1 KR102479529 B1 KR 10247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pring
support plate
key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진
이진한
박미영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29B1/ko
Priority to PCT/KR2023/012786 priority patent/WO20240491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01H13/707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characterised by springs, e.g. Eule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는, 복수 개의 키 블록; 하부 하우징과, 내부 공간을 갖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키 블록이 위치하는 부위가 관통된 관통공을 가진 상부 하우징을 포함한 하우징; 상기 키 블록이 결합하는 관통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된 서포트 플레이트;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체결공이 관통된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블록 누름 조작 시 상기 키 블록에 접하여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PCB;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저면 일 측에서 상기 PCB의 체결공을 지나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까지 기립 연장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타건감을 강화한 키보드에 의하면, 스프링을 매개로 키 블록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그 하부의 PCB가 유동될 수 있어 더욱 부드럽고 유연한 타건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Keyboard with enhanced supple typing feel}
본 발명은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키 블록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PCB를 지나 하부 하우징까지의 경로를 따라 신축하는 스프링을 매개로 서포트 플레이트와 PCB가 유동되면서 키 블록과 PCB가 접하여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키 블록의 매커니즘과 별개로 더욱 유연하고 부드러운 타건감을 강화할 수 있는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는 복수 개의 문자가 각인된 키를 타격으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는 컴퓨터 등의 전형적인 입력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여러 부속장치 중에서 사용자와 밀접한 관계를 맺다보니 이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감 차이가 다른 부속장치에 비해 심한 편이다.
즉, 키보드의 기종에 따라 키감과 키배열이 제각각이고 키를 조작하는 세부 구성을 가진 스위치의 조작 방식도 상당히 다양해서 실로 다양한 키감, 즉 타건감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키보드는 상당히 다양한 기종이 존재하는데, 이 중에서 스위치의 핀이 PCB의 접점에 접촉하면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기계식 키보드는 확연히 다양한 타건감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현재까지 꾸준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식 키보드는 비록 타자 시 소음이 발생하거나 제한적인 입력 신호를 갖는다는 단점도 있으나 편안한 타이핑을 보장하는 것은 구름타법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는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계식 키보드의 타건감을 다양하게 처리하기 위해, 체리사가 제작한 키보드는 갈축, 적축, 청축 등의 스위치의 매커니즘을 통해 제안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의 매커니즘과 별개로 타건감을 향상하기 위한 키보드에 대한 선행기술이 상당수 존재하는바, 예를 들어 국내 특허 제 2363950호인 타건감이 우수한 키보드는 버튼의 타건을 감지하는 PCB; 상기 PCB의 상부에 배열되고, 관통배치되는 상기 버튼을 잡아주는 보강판; 상기 PCB가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보강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보강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홀이 형성되어, 보강판의 가장자리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할 여지가 늘어나 가장자리에 배치된 버튼의 타건에 따른 타건감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고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에 의하면 적지 않은 키(버튼) 중에서 보강판의 가장자리에 배치한 제한된 키를 타격하였을 때만 타건감이 개선된다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버튼의 특정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버튼의 타건감을 개선하되 특히 보강판의 유동성을 확보하여 더욱 부드럽고 유연한 타건감을 강화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키보드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국내 특허 제 2363950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키 블록을 지지하는 보강판 또는 중판이라 명명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에서부터 PCB를 지나 하부 하우징까지의 경로를 따라 신축되는 스프링을 장착하여 서포트 플레이트는 물론 PCB가 부드럽게 승강하면서 키 블록과 접할 수 있어 더욱 부드럽고 유연한 타건감을 강화할 수 있는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포트 플레이트와 PCB 사이에 신축 패드를 설치하여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강 시 PCB에 불필요하게 부딪혀 반발력이 발생함으로 유연한 타건감을 제공하는데 방해되는 요소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포트 플레이트는 물론 신축 패드의 세부 영역별로 신축성이나 탄성 또는 휨성 차이를 두어 다이내믹한 타건감을 선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하부 하우징에서 스프링이 접하는 부위를 타공하여 이에 나사산 결합하는 높이 조절구의 조절 깊이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계수 및 신축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타건감을 손쉽게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는, 복수 개의 키 블록; 하부 하우징과, 내부 공간을 갖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키 블록이 위치하는 부위가 관통된 관통공을 가진 상부 하우징을 포함한 하우징; 상기 키 블록이 결합하는 관통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된 서포트 플레이트;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체결공이 관통된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블록 누름 조작 시 상기 키 블록에 접하여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PCB;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저면 일 측에서 상기 PCB의 체결공을 지나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까지 기립 연장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보드는, 신축성을 가진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PCB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키 블록을 결합하는 관통공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패드 체결공이 관통된 신축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상기 스프링이 접하는 부위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관통된 베이스 체결공이 설치되고, 상기 키보드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하단에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체결공에 나사산 결합하는 높이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에 의하면,
1) 스프링을 매개로 키 블록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그 하부의 PCB가 유동될 수 있어 더욱 부드럽고 유연한 타건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2) 서포트 플레이트와 PCB 사이에 설치된 신축 패드의 쿠션을 통하여 불필요한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3) 서포트 플레이트는 물론 신축 패드의 세부 영역별로 신축성이나 탄성 또는 휨성 차이를 두어 더욱 다이내믹한 타건감을 보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스프링의 신축 길이 조절을 손쉽게 수행하여 다양한 타건감을 편리하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키보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키보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키보드에서 상판 하우징과 키 블록을 제외한 상태로 노출된 서포트 플레이트가 하우징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포트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 하우징에 가이드 기둥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하판 하우징에 자성 패드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하판 하우징에 높이 조절구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키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키보드는 구동 원리에 따라 스프링/비스프링 방식과 무키캡 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키보드는 사용자의 타건감을 중요시한다는 본질적 목적에 따라 스프링 방식의 기계식 키보드의 기본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키보드는 공지의 키보드에서 필수적으로 포함된 구성이라 할 수 있는 키 블록(10)을 포함한 하우징(100) 내에 서포트 플레이트(20)와 PCB(30) 및 스프링(50)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우선 하우징(100)은 2개의 유닛이 조립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2개의 유닛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하우징(120)은 바닥에 접하도록 하우징(100)의 하부를 이루는 것이고, 상부 하우징(110)은 키 블록(10)이 위치할 부위가 관통/개방된 관통공(111)을 가진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120)을 덮으면서 하우징(100)의 상부를 이룬다.
이러한 상부/하부 하우징(110,120)의 결합체 내에는 내부 공간이 발생되는데, 이를 위해 상부/하부 하우징(110,120)은 판상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이 'ㄱ'자 또는 'ㄷ'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취하여 다른 하나가 결합하였을 때 이들 사이에 내부 공간을 발생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상부 하우징(110)의 관통공(111)은 키 블록(10)이 배치되는 영역을 하나의 구멍으로 통합하여 관통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키 블록(10)별로 개별 관통된 복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서포트 플레이트(20)의 관통공(21)이 이같이 키 블록(10)별로 복수의 구멍으로 관통된 것을 도시하였다.
키 블록(10)은 공지의 키보드에서 스위치(switch: 스위치의 구동 수단 포함한 스위치 조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공지의 기계식 키보드에 적용된 키캡, 슬라이더, 자켓, 스프링, 핀을 포함한 복합 구조를 취한다.
이 키 블록(10)은 사용자의 조작(타격)으로 후술할 PCB(30)의 접점(단자)에 핀이 접하면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세부 구조 차이(예를 들어 체리사의 청축, 적축, 갈축 구조 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타건감을 선사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사용자의 개별적인 타건감 조절을 위하여 공지된 다양한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고, 슬라이더, 자켓 등의 구체적인 구조는 공지된 스위치를 참조하면 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키보드에서 상판 하우징과 키 블록을 제외한 상태로 노출된 서포트 플레이트가 하우징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서포트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서포트 플레이트(20)는 키 블록(10)이 결합하는 관통공(21)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1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판상체로서, 보강판이나 중판(中板)이라고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플레이트(20)는 키보드의 내구성을 보강하면서 키 블록(10)을 고정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서포트 플레이트(20)의 관통공(21)은 상부 하우징(110)과 달리 개별적인 키 블록(10)의 개수와 결합 위치에 상응하게 복수 개로 관통되어 각각의 키 블록(1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서포트 플레이트(20)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소섬유 폴리머, POM, 폴리카보네이트, 황동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재질(탄성, 신축성 여부 등)에 따라 키 블록(10)의 타건감이 달라질 수 있는데, 특히 후술하겠지만 스프링(50)의 신축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서포트 플레이트(20)와 PCB(30)의 재질 차이를 두어 다양한 타건감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서포트 플레이트(20)는 후술할 스프링(50)의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역할을 추가로 제공하는바,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스프링(50)이 결합하는 복수의 위치에 지지 슬릿(22)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슬릿(22)은 스프링(50)의 둘레 형상에 상응하게 원형을 따라 절개되되 중간에 절개되지 않은 부위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서, 지지 슬릿(22)이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저면에 스프링(50)의 상단을 체결하여 스프링(50)을 고정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지 슬릿(22)은 스프링(50)의 개수와 위치에 상응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PCB(30)는 공지의 기계식 키보드의 PCB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키 블록(10)(스위치)를 눌렀을 때 키 블록(10)의 하부에 있는 핀이 PCB(30)의 접점에 접촉하면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통해 해당 키 블록의 문자를 생성(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PCB(30)는 서포트 플레이트(20)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지지 슬릿(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관통된 구조를 취한다. 이 체결공(31)은 스프링(50)이 하부 하우징(120)까지 수축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때, 서포트 플레이트(20)와 PCB(30)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이 공간을 빈 상태로 둘 수도 있으나 후술하겠지만 신축 패드(40)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프링(50)은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저면 일 측(지지 슬릿)에 상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PCB(30)의 체결공(31)을 지나 이 체결공(31)의 대응 위치(체결공의 수직 연장 라인에 해당하는 위치)인 하부 하우징(120)의 상면(내측 면)까지 기립 연장된 것으로서, 이때 스프링은 다양한 구조나 종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일정 높이로 기립된 상태에서 원활한 신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헬리컬 스프링 등의 다양한 구조 적용 가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키보드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키 블록(10)에 압력을 가하면 키 블록의 매커니즘에 의하여 공지의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세부 구조의 특성에 따라 고유의 타건감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눌린다.
이때, 공지의 키보드는 PCB와 중판이 하우징의 내부 일 측에 볼팅(bolting)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때 스위치를 잡은 중판이 리지드(rigid)하게, 다시 말해 별다른 유격이나 유연성 없이 스위치를 지지하고 있어 딱딱하거나 어색한 타건감을 가질 뿐 아니라 사용자 고유의 타건감을 갖고자 중판을 분리하여 고유의 매커니즘을 가진 스위치를 장착하면서 커스텀 키보드를 제작할 때 볼트를 풀어 분해한 다음 각 키 블록 또는 중판 전체를 들어내면서 특정 키 블록을 교체하는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될 수 밖에 없었다.
더불어, PCB 역시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어 스위치의 핀이 PCB에 접할 때 발생하는 반발감으로 딱딱한 타건감을 야기하는 또 다른 문제가 따라 결과적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타건감을 제공하도록 초점을 맞추기에 역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키보드는 키 블록(10)을 관통공(21)을 매개로 지지하는 중판, 즉 서포트 플레이트(20)는 물론 PCB(30)가 스프링(50)의 수축과 함께 하강하면서 키 블록(10)의 단자가 하강하는 도중에 PCB(30)의 접점에 접하는 방식을 취하여 결과적으로 딱딱한 기분이나 느낌을 현저히 줄이면서 유연하고 부드러운 타건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 PCB(30) 역시 스프링(50)의 수축으로 함께 하강하므로 반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추가적으로 스프링(50)의 수축력이나 탄성계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현재 유행하는 구름 타법이 더욱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키보드는 스프링(50)의 수축에 의하여 서포트 플레이트(20)와 PCB(30)가 같이 하강하면서 키 블록(10)의 핀이 하강 중인 PCB(30)의 접점에 접촉하는 원리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유연하고 부드러운 타건감과 키감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프링(50)의 탄성계수 조절과 스프링(50)이 설치되는 위치와 개수 조절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커스터마이징 키보드로서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키보드의 가변화 및 고급화를 동시에 지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키보드는 신축 패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 패드(40)는 신축성 재질(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기본적으로 신축성(또는 탄성)을 가진 상태에서 서포트 플레이트(20)와 PCB(30)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서, 스프링(50)이 지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PCB(30)의 체결공(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패드 체결공(42)이 관통되어 있을 뿐 아니라 키 블록(10)이 위치/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41)이 키 블록(10)의 개수와 위치에 맞게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 패드(40)는 서포트 플레이트(20)와 PCB(30) 사이에서 마치 쿠션과 같은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폰지,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신축 패드(40)는 서포트 플레이트(20)의 하강 시 PCB(30)에 불필요하게 부딪혀 유연한 타건감을 제공하는데 방해되는 요소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서포트 플레이트(20)의 하강 시 1차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서포트 플레이트(20)의 하강에 따른 힘을 완화하여 더욱 부드럽고 유연한 타건감을 선사하는 것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신축 패드(40)는 부위별로 신축력, 즉 탄성계수의 차이를 두어 더욱 다양한 타건감을 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 패드(30)를 평면(신축패드의 좌우가 길고 상하가 짧은 직사각형 형상이 나오는 관찰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위에서 아래 방향 순서로 상부 영역을 A 영역, 중부 영역을 B 영역, 하부 영역을 C 영역으로 구분(그룹 처리)한 다음 이 A,B,C 영역을 이루는 재질을 다르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신축 패드(30)에서 손가락이 멀리 뻗는 영역인 A 영역의 탄성계수를 가장 낮게 처리한 다음 B,C 영역 순으로 순차적으로 탄성계수를 높이도록 조절하여 사용자의 장시간 타자 시 발생하는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물론 A,B,C 영역을 좌측/중앙/우측 영역으로 그룹 처리하거나 상술한 예와 다른 방식으로 탄성계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서포트 플레이트(20)는 PCB(30)보다 휨성이 큰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즉, PCB(30)보다 먼저 키 블록(10)의 하강 압력(키압)을 받는 서포트 플레이트(20)의 휨성을 강화하여 타건감의 유연성을 더욱 보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서포트 플레이트(20)의 휨성 확보로 인해 키보드의 좌측/우측과 중앙 부위에서 휘어지는 정도를 다르게 처리하여 더욱 다양한 타건감, 다시 말해 키 블록(10)별로 서로 다른 차별적인 타건감을 선사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다.
이와 같은 키 블록(10)별 타건감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키 블록(10) 역시 키보드에 배치되는 위치별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그룹 처리한 다음 키 블록(10)의 각 영역에 배치(해당 영역에 근접하거나 주변에 위치)한 스프링(50)의 탄성계수를 차등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룹 처리된 키 블록(10)의 각 영역에 배치된 스프링(50)은 다양한 탄성계수를 가져 사용자의 감각에 맞는 커스터마이징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키보드를 바닥에 배치하였을 때 편평한 구조를 취하기보다는 하부 하우징(120)의 저면에서 상측 부위에 설치된 레그(130)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이때, 레그는 하부 하우징의 대응 위치에서 함입된 합입 공간 내에 배치되고 이는 공지의 레그 구조와 같다)되면서 키보드의 상측 부위가 높은 위치를 가지면서 하측 부위를 향해 하강하도록 기울어져 키 블록(10)에 각인된 글자를 손쉽게 읽을 수 있는 구조를 기반으로 스프링(50)의 탄성계수를 특정한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그(130)가 펼쳐져 키보드의 상측 부위가 높은 위치를 가지며 하측 부위로 하강하도록 기운 경우 키 블록(10)의 글자가 잘 보일 수는 있으나 오히려 손목과 손가락의 관절과 인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키보드의 하측 둘레 주변에 팜레스트를 설치하는 공지의 방식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키 블록(10)이 배치되는 영역을 상부 둘레 영역과 하부 둘레 영역으로 구분한 다음 상부 둘레 영역에 배치된 키 블록(10)을 담당하는 스프링(50)보다 하부 둘레 영역에 배치된 키 블록(10)을 담당하는 스프링(50)의 탄성계수를 더 크게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상부 둘레 영역의 키 블록(10)을 사용자가 타격할 때 손목을 위로 꺾지 않도록 적은 힘으로도 키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 위치에 배치된 스프링(50)의 탄성계수를 낮추는 대신, 하부 둘레 영역의 키 블록(10)에 배치된 스프링(50)은 이보다 탄성계수를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타건감은 물론 손목을 굳이 위로 꺽을 필요 없이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키 블록을 타격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 하우징에 가이드 기둥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50)이 하강 수축하면서 하부 하우징(120)에 접하는 부위(상면 또는 내측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스프링(5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중공)을 확보한 상태로 일정 높이(스프링의 하부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기립된 가이드 기둥(140)이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기둥(140)은 스프링(50)이 하강 신축할 때 급격한 수축 등으로 정 위치에서 이탈하여 불편하고 어색한 타건감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스프링(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50)의 적어도 하부 부위를 수용하여 스프링(50)의 신축 방향을 따른 정 위치에 스프링(50)의 하단이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이드 기둥(140)은 상술한 PCB(30)의 체결공(31)과 신축 패드(40)의 패드 체결공(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중공이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6은 하판 하우징에 자성 패드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하부 하우징(120)에서 스프링(50)에 접하는 부위(하부 하우징의 상면 또는 내측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성 패드(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스프링(50)에서 적어도 하측 부위에는 자성 패드(150)에 인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프링(50)의 하측 부위(밑부분)가 N극으로 이루어진 것에 대응하여 하부 하우징(120)에서 스프링(50)에 접하는 부위에는 S극의 상면을 가진 자성 패드가 설치(적층 또는 부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스프링(50)의 하강 신축 시 자성 패드(150)가 스프링(50)의 하단에 인력을 제공하여 더욱 손쉽게 스프링(50)이 하강할 수 있어 독특하면서 손쉬운 타건감은 물론 더욱 유연한 구름 타법을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도 7은 하판 하우징에 높이 조절구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20)에서 스프링(50)이 접하는 부위(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부 하우징의 상면 또는 내측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관통된 베이스 체결공(16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스프링(50)이 하강 신축될 때 스프링(50)의 하부 일부가 이 베이스 체결공(160) 내로 일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키보드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에서 스프링(50)의 하단에 접하도록 베이스 체결공(160)에 나사산 결합하는 높이 조절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구(170)의 정/역 방향 회전으로 베이스 체결공(160)에 나사산 결합하면서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하면서 스프링(50)의 신축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높이 조절구(170)가 베이스 체결공(160)의 상단까지 삽입되면 스프링(50)의 신축 길이가 짧아져 결과적으로 이 스프링(50) 주변에 설치된 키 블록(10)이 PCB(30)의 접점에 접하는 압력, 즉 키압을 낮출 수 있다.
반대로 높이 조절구(170)가 베이스 체결공(160)의 하단에 걸치도록 삽입되면 스프링(50)의 신축 길이가 길어져 이 스프링(50) 주변의 키 블록(10)의 키압을 높일 수 있다.
정리하면, 스프링(50)의 신축 범위(길이)를 높이 조절구(170)의 정/역 회전으로 조절하면서 편리하게 이 주변의 키 블록(10)의 키압을 상당히 손쉽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에 더욱 특화된 타건감을 제공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키 블록 20: 서포트 플레이트
21: 관통공 22: 지지 슬릿
30: PCB 31: 체결공
40: 신축 패드 41: 관통공
42: 패드 체결공 50: 스프링
100: 하우징 110: 상부 하우징
111: 관통공 120: 하부 하우징
130: 레그 140: 가이드 기둥
150: 자성 패드 160: 베이스 체결공
170: 높이 조절구

Claims (9)

  1.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로서,
    복수 개의 키 블록;
    하부 하우징과, 내부 공간을 갖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키 블록이 위치하는 부위가 관통된 관통공을 가진 상부 하우징을 포함한 하우징;
    상기 키 블록이 결합하는 관통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된 서포트 플레이트;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체결공이 관통된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키 블록 누름 조작 시 상기 키 블록에 접하여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PCB;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저면 일 측에서 상기 PCB의 체결공을 지나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까지 기립 연장된 스프링;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상기 스프링이 접하는 부위에 설치된 것으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관통된 베이스 체결공;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하단에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체결공에 나사산 결합하는 높이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신축성을 가진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PCB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키 블록을 결합하는 관통공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패드 체결공이 관통된 신축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패드는,
    위치별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그룹 처리되되, 상기 그룹별로 탄성계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PCB보다 휨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블록은,
    위치별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그룹 처리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키 블록의 상기 영역별로 탄성계수를 차등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에서 상부 영역에는,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는 레그가 설치되고,
    상기 영역은, 상부 둘레 영역 및, 하부 둘레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상부 둘레 영역에 배치된 것보다 상기 하부 둘레 영역에 배치된 것이 탄성계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상기 스프링이 접하는 부위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일정 높이로 기립된 가이드 기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상기 스프링이 접하는 부위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성 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에서 적어도 하측 부위에는,
    상기 자성 패드에 인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9. 삭제
KR1020220109024A 2022-08-30 2022-08-30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KR102479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24A KR102479529B1 (ko) 2022-08-30 2022-08-30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PCT/KR2023/012786 WO2024049162A1 (ko) 2022-08-30 2023-08-29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24A KR102479529B1 (ko) 2022-08-30 2022-08-30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529B1 true KR102479529B1 (ko) 2022-12-20

Family

ID=8453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024A KR102479529B1 (ko) 2022-08-30 2022-08-30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9529B1 (ko)
WO (1) WO20240491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62A1 (ko) * 2022-08-30 2024-03-07 잘만테크 주식회사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078A (ko) * 2007-12-05 2009-06-10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US20120092263A1 (en) * 2009-10-15 2012-04-19 Pacinian Corporation Haptic keyboard featuring a satisfying tactile keypress experience
JP2020086649A (ja) * 2018-11-19 2020-06-04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KR102354264B1 (ko) * 2021-09-15 2022-01-21 몬스타 주식회사 타건감이 우수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KR102363950B1 (ko) 2020-06-23 2022-02-17 염혜선 타건감이 우수한 키보드
JP2022111628A (ja) * 2021-01-20 2022-08-01 金井電器産業株式会社 キー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529B1 (ko) * 2022-08-30 2022-12-20 잘만테크 주식회사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078A (ko) * 2007-12-05 2009-06-10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US20120092263A1 (en) * 2009-10-15 2012-04-19 Pacinian Corporation Haptic keyboard featuring a satisfying tactile keypress experience
JP2020086649A (ja) * 2018-11-19 2020-06-04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KR102363950B1 (ko) 2020-06-23 2022-02-17 염혜선 타건감이 우수한 키보드
JP2022111628A (ja) * 2021-01-20 2022-08-01 金井電器産業株式会社 キーボード
KR102354264B1 (ko) * 2021-09-15 2022-01-21 몬스타 주식회사 타건감이 우수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62A1 (ko) * 2022-08-30 2024-03-07 잘만테크 주식회사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9162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529B1 (ko) 타건감의 유연성을 강화한 키보드
TWI489503B (zh) 力回饋鍵盤結構
JP2005242983A (ja)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US8772659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30088924A (ko) 키스위치
US20180366284A1 (en) Thin keyboard, keyboard overlay and keyswitch
US6497521B1 (en) No-impact keyboard
US5562203A (en) Keyswitch
CN102568899A (zh) 键盘和电子设备
US5933133A (en) Low-impact keyboard
CN106504928A (zh) 一种使薄型键盘具有击打声音的弹性件
US20190220101A1 (en) Key structure
US10496201B2 (en) Touch input device
KR102380716B1 (ko) 키보드 스위치
US20060187622A1 (en) Computer keyboard
TWI744149B (zh) 鍵盤裝置
CN112992587B (zh) 具有震动功能的键盘
GB2421218A (en) Computer input device
TWI711065B (zh) 具有震動功能之鍵盤
CN114171338A (zh) 键盘装置
CN110071004B (zh) 键盘装置
KR200419266Y1 (ko) 자석을 이용한 키 스위치
JP2933574B2 (ja) キーボード
TWI728209B (zh) 鍵盤開關
CN113589971B (zh) 触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