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467B1 -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 Google Patents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467B1
KR102479467B1 KR1020200105466A KR20200105466A KR102479467B1 KR 102479467 B1 KR102479467 B1 KR 102479467B1 KR 1020200105466 A KR1020200105466 A KR 1020200105466A KR 20200105466 A KR20200105466 A KR 20200105466A KR 102479467 B1 KR102479467 B1 KR 10247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body
body holder
hole
sca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915A (ko
Inventor
양영일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4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치과용 스캔바디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캔바디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치과용 스캔바디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는 치부 안쪽에 치간 사이가 좁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스캔바디홀더를 사용하여 스캔바디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스캔바디홀더{DENTAL SCAN BODY HOLDER}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캔바디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져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 픽스쳐에 삽입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 및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감싸도록 접착되는 보철물로 구성된다.
픽스쳐는 턱뼈에 식립되어 치근의 역할을 하고, 보철물은 치아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인공치아의 외형을 이루며, 어버트먼트는 보철물을 픽스쳐에 고정시키며 보철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픽스쳐와 턱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치과에서의 캐드캠시스템은 설계에서 제품제조에 이르는 모든 공정을 컴퓨터로 관리하는 것으로, 기존에는 보철물을 수작업으로 재현하였으나, 수작업으로 재현하는 경우 보철물의 재현도가 매우 낮은 반면에, 캐드캠시스템을 이용한 보철물 재현도는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높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을 위하여 캐드캠시스템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스캔바디(scanbody)는 임플란트 보철물을 위한 캐드 작업 시 임플란트/스캔바디 라이브러리를 통해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를 컴퓨터 화면에 띄우기 위한 도구이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상을 채득한 후 스캔바디를 연결하여 모델 스캐닝을 할 수 있고, 또는 구강내에 스캔바디를 바로 연결하여 구강스캐닝을 통해 3차원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는 구조물의 조립구조에 따라서 헥사타입(hexa type) 또는 논헥사타입(non-hexa type)으로 크게 구분된다. 헥사타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조립부가 다각형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어버트먼트의 끼움 방향이 특정되는 구조이며, 논헥사타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조립부가 단순히 원기둥 형태의 쐐기 구조로 있으며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강제로 끼워 조립하는 구조이며 방향성이 없이 조립되는 구조이다.
헥사타입은 어버트먼트가 조립되는 방향이 특정되기 때문에 스캔바디의 구조도 어버트먼트와 같이 방향이 특정되게 조립하면 스캔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캔바디와 어버트먼트와의 정보를 대비하여 라이브러리(스캔바디를 기준점으로 하여 보철물 제작을 위한 모든 데이터 정보)를 활용하여 캐드캠시스템으로 보철물 설계가 가능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치과용 스캔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픽스쳐에 삽입하여 나사에 의해 고정시킬 때, 구치부 안쪽에 치간 사이가 좁을 경우 스캔바디를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픽스쳐에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캔바디를 픽스쳐에 삽입한 후 드라이버를 구치부 안쪽으로 넣어서 나사를 조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과용 스캔바디를 구강 내로 옮기는 경우에도 스캔바디를 직접 손으로 잡고 구강 내로 옮기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특히 스캔바디의 홀에 나사를 삽입한 상태로 이들을 구강 내로 옮기는 것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7980호(2014.07.03.)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상부(410), 중간부(420), 하부(430) 및 홀(440)을 포함하는 스캔바디홀더(400)에 있어서,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형성된 평면인 제1-1면(401-1) 및 이와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타면에 형성된 제1-2면(401-2)을 포함하며, 제1-1면(401-1)의 일단과 제1-2면(401-2)의 일단을 잇는 제2-1면(402-1) 및 제1-1면(401-1)의 타단과 제1-2면(401-2)의 타단을 잇는 제2-2면(402-2)을 포함하며, 제2-1면(402-1)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2-2면(402-2)의 적어도 일부분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이며, 홀(440)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를 관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 및 헤드부(530), 나사부(540), 포스트(520), 및 파지부(510)를 포함하는 드라이버(500);를 포함하며, 드라이버(500)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의 조립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의 하부를 형성하는 다각형 중 어느 한 평면 또는 하나의 모서리와 상부의 제4면의 평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의 수직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결합된 치과용 스캔바디, 나사, 치과용 스캔바디 홀더, 및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 홀더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와 유사하게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결합된 치과용 스캔바디, 나사, 치과용 스캔바디 홀더, 및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의 홀의 하부의 음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의 조립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적어도 일부가 픽스쳐(200)에 삽입되어 나사(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나사(300)는 드라이버의 헤드부와 결합하여 회전 힘을 받도록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301), 머리부(301)로부터 아래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302), 및 픽스쳐(200) 상부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단에 형성된 제1 나사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300)는 또한 머리부(301)와 제1 나사부(303) 사이인 몸통부(30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제2 나사부(304)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301), 몸통부(302), 제1 나사부(303), 및 제2 나사부(304)는 스캔바디(100)의 홀(140)에 삽입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머리부(301)와 제1 나사부(303)에 의해, 또는 머리부(301)와 제2 나사부(304)에 의해 나사(300)와 치과용 스캔바디(100)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더욱 상세한 설명을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나사부(303)는 픽스쳐(200)에 체결되어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픽스쳐(200)에 고정할 수 있다.
치과용 스캔바디(100)는 상부(110), 중간부(120), 하부(130) 및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110)는 이격되어 배치된 제1-1면(111-1)과 제1-2면(111-2), 제1-1면(111-1)의 일단과 제1-2면(111-2)의 일단에 일단이 각각 이어지는 제2-1면(112-1)과 제2-2면(112-2), 제1-1면(111-1)의 타단과 제1-2면(111-2)의 타단을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평면에 의해 연결하는 제3면(113), 제2-1면(112-1)의 타단과 제2-2면(112-2)의 타단을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평면에 의해 연결하는 제4면(114), 그리고 제3면(113)과 제4면(114)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중간부(120)와 연결하는 경사면(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면(111-1), 제1-2면(111-2), 제2-1면(112-1), 및 제2-2면(112-2)은 평면으로 상부(11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간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3면(113)은 곡면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3면(113)은 원기둥의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되어 분리되되 원기둥의 중심부를 포함하지 않는 절단부의 곡면 부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면(113)은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제4면(114)은 곡면과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4면(114)은 상부와 하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는 제3면(113)과 유사하게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 중에서 제2-1면(112-1) 및 제2-2면(112-2)과 이어지는 부분에서 외향으로 적어도 일부 이격되어 수직 하방으로 절개되어 노출된 평면(114-2)과 잘린 원호 부분(114-3, 114-4)으로 구성되고, 하부는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114-1)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부의 잘린 원호 부분(114-3, 114-4)과 하부의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114-1)의 곡률반경은 동일하다. 제4면(114)의 상부가 평면(114-2)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작업시 손가락을 이용하여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더욱 쉽게 파지할 수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제3면(113)의 곡률반경과 제4면(114) 중 곡면(114-1, 114-3, 114-4)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3면(113)의 곡률반경과 제4면(114) 중 곡면(114-1, 114-3, 114-4)의 곡률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면(111-1)과 제1-2면(111-2)은 마주보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1면(112-1)과 제2-2면(112-2)은 스캔바디의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가면서 이들 두 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1면(111-1)과 제1-2면(111-2) 사이의 거리가 제3면(113)의 최외곽부와 제4면(114)의 하부 곡면의 최외각부 사이의 수평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바디(100)의 중심부에서 제4면(114)쪽으로 갈수록 스캔바디(1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점점 넓어지게 되므로 좁은 치간에서도 사용하기 편리하며, 특히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픽스쳐(200)에 오체결한 경우에도 스캔바디(100)를 조금 들어올려 하부(130)를 픽스쳐(200)로부터 이격시킨 후 회전시켜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다시 올바른 위치로 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면(112-1)과 제2-2면(112-2)은 마주보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면(111-1)과 제1-2면(111-2)은 스캔바디의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가면서 이들 두 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1면(112-1)과 제2-2면(112-2) 사이의 거리가 제3면(113)의 최외곽부와 제4면(114)의 하부 곡면의 최외각부 사이의 수평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바디(100)의 중심부에서 제3면(113)쪽으로 갈수록 스캔바디(1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점점 넓어지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좁은 치간에서도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경사면(115-1, 115-2)은 각각 제3면(113)과 제4면(114), 더욱 상세하게는 제4면(114)의 곡면(114-1)을 중간부(120)와 연결하는 면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경사면(115-1, 115-2)은 수평 단면이 원호 형상이되 상부(110)에서 중간부(120)로 향하면서 스캔바디(100)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제3면(113)과 경사면(115-1)이 이어지는 수평선까지의 직선 거리와, 상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제4면(114) 더욱 상세하게는 제4면(114)의 곡면(114-1)과 경사면(115-2)이 이어지는 수평선까지의 직선 거리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
상부(110)의 상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캔바디(100)의 상부(110)에 스캔시 굴곡, 길이 및 각도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제1면(111), 제2면(112), 제3면(113) 및 제4면(114)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120)는 상부(110) 아래에 구비되어 상부(110)와 하부(130)를 연결한다. 중간부(120)는 중공형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120)의 중심에는 후술하는 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제1-1면(111-1)과 제1-2면(111-2)이 마주보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도 1의 A 참조), 중공형 원기둥 형상의 중간부(120)의 바깥 지름(외경, Outside Diameter)이 제1-1면(111-1)과 제1-2면(111-2)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2-1면(112-1)과 제2-2면(112-2)이 마주보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도 1의 B 참조), 중공형 원기둥 형상의 중간부(120)의 바깥 지름(외경, Outside Diameter)이 제2-1면(112-1)과 제2-2면(112-2)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상부(110)의 제1-1면(111-1), 제1-2면(111-2), 제2-1면(112-1), 및 제2-2면(112-2)의 적어도 일부가 중공형 원기둥 형상의 중간부(120)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상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중간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상부(110)의 제3면(113)과 제4면(114)의 곡면(114-1)은 중공형 원기둥 형상의 중간부(120)의 외주면보다 스캔바디(100) 중심부를 기준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제3면(113)과 제4면(114)의 곡면(114-1)은, 수평 단면이 원호 형상이되 상부(110)에서 중간부(120)로 향하면서 스캔바디(100)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된 곡면 형상의 경사면(115-1, 115-2)에 의해 각각 중간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스캔바디(100)에 있어서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스캐닝되는 스캔 구역은 상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제3면(113) 및 제4면(114)의 곡면(114-1)까지의 구역이다. 즉 스캔바디(100)의 하부(130)가 픽스쳐(200)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스캔바디(100)의 중간부(120)는 물론 경사면(115-1, 115-2)의 적어도 일부가 치은 및 치조골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 치은과 치조골의 깊이의 합은 일반적으로 최대 7mm일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중간부(120)의 수직 높이와 경사면(115-1, 115-2)의 수직 높이의 합은 구강 스캔에 유리하도록 7mm 이상일 수 있다.
하부(130)는 중간부(120) 아래에 구비된다.
하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픽스쳐(200)에 삽입되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픽스쳐(200)에 삽입된 하부(130)에 의해 치과용 스캔바디(100)가 회전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2는 하부(130)를 형성하는 다각형 중 어느 한 평면(131) 또는 하나의 모서리(132)와 상부(110)의 제4면(114)의 평면(114-2)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하부(130)를 형성하는 다각형 중 어느 한 평면(131)은 상부(110)의 제4면(114)의 평면(114-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하부(130)를 형성하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132)가 상부(110)의 제4면(114)의 평면(114-2)의 가상의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면(114)의 평면(114-2)의 방향을 통해 하부(130)의 평면(131) 또는 모서리(132)의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110)의 제4면(114)의 평면(114-2)을 기준으로 하부(130)의 평면(131) 또는 모서리(132)의 방향을 인식하여 쉽고 정확하게 픽스쳐(200)에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삽입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수직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40)은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부(110), 중간부(120), 및 하부(130)를 통하여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상부(110)에 위치하는 홀(140)의 내면에 나사산(141)이 형성될 수 있다. 홀(140)의 나사산(141)은 나사(300)의 제1 나사부(303)와 제2 나사부(304)는 회전으로 통과하고 머리부(301)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140)의 나사산(141)은 암나사산 일 수 있으며, 제1 나사부(303)와 제2 나사부(304)는 각각 수나사산 일 수 있다. 홀(140)에 나사(300)를 회전시켜 삽입할 때, 제1 나사부(303)가 나사산(141)을 통과한 후, 이어서 제2 나사부(304)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나사부(304)가 나사산(141)을 통과한다. 그러나 머리부(301)는 나사산(141)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나사(300)의 머리부(301)와 제1 나사부(303), 또는 제2 나사부(304)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나사부(304) 사이에 나사산(141)이 위치함으로써 나사(300)와 치과용 스캔바디(100)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홀(140)에 삽입된 나사(300)를 픽스쳐(200)에 체결할 때 머리부(301)가 홀(140)의 나사산(141)에 걸려서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픽스쳐(200) 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은 치과용 스캔바디, 특히 나사가 삽입된 상태의 치과용 스캔바디를 구강 내로 옮기고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삽입한 후,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나사를 조임으로써 스캔바디를 픽스쳐에 체결하기 위한 치과용 스캔바디홀더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결합된 치과용 스캔바디, 나사,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및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스캔바디홀더는 수직 절개도로 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적어도 일부가 픽스쳐(미도시)에 삽입되어 나사(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300)가 삽입된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적어도 일부가 스캔바디홀더(400)의 하단에 삽입되고, 드라이버(500)의 적어도 일부가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단에 삽입되며, 드라이버(500)의 헤드부가 나사(300)의 상단과 맞물려 드라이버(500)의 회전 힘을 나사(300)에 전달함으로써 스캔바디(100)를 픽스쳐(미도시)에 삽입 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홀더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홀더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C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치과용 스캔바디홀더의 정면도, 저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는 상부(410), 중간부(420), 하부(430) 및 홀(4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는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형성된 평면인 제1-1면(401-1) 및 이와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타면에 형성된 제1-2면(40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1면(401-1)과 제1-2면(401-2)은 평면이며 면대칭을 이룬다.
스캔바디홀더(400)는 또한 제1-1면(401-1)의 일단과 제1-2면(401-2)의 일단을 잇는 제2-1면(402-1) 및 제1-1면(401-1)의 타단과 제1-2면(401-2)의 타단을 잇는 제2-2면(4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면(402-1)과 제2-2면(402-2) 또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면대칭을 이룬다.
제2-1면(402-1)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2-2면(402-2)의 적어도 일부분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일 수 있다.
제2-1면(402-1)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2-1A면(402-1A), 제2-1B면(402-1B), 및 제2-1C면(402-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의 일측면은 제2-1A면(402-1A)으로 구성되고, 중간부(420)의 일측면은 제2-1B면(402-1B)으로 구성되고, 하부(430)의 일측면은 제2-1C면(402-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제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은 곡면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 각각은 원기둥의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되어 분리되되 원기둥의 중심부를 포함하지 않는 절단부의 곡면 부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은 각각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스캔바디홀더(400)의 중간부(420)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제2-1B면(402-1B)은 상부(41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제2-1A면(402-1A)과 제2-1C면(402-1C)을 이어주는 면이다. 제2-1B면(402-1B) 또한 곡면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구체예에서 제2-1B면(402-1B)은 상부(41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제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과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제2-1B면(402-1B)의 중심부로 향하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2-1B면(402-1B)은 수직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의 곡면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2-1B면(402-1B)은 제1-1면(401-1)의 일단 및 제1-2면(401-2)의 일단과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제2-1B면(402-1B)의 중심부로 향하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며 점차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2-1B면(402-1B)은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의 곡면일 수 있다.
제2-2면(40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1면(402-1)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면대칭을 이룬다. 제2-2면(402-2)은 전술한 제2-1면(402-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2면(402-2)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2A면(402-2A), 제2-2B면(402-2B), 및 제2-2C면(402-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의 타측면은 제2-2A면(402-2A)으로 구성되고, 중간부(420)의 일측면은 제2-2B면(402-2B)으로 구성되고, 하부(430)의 일측면은 제2-2C면(402-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제2-2면(402-2)의 구성은 전술한 제2-1면(402-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캔바디홀더(400)의 제2-1면(402-1)과 제2-2면(402-2)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캔바디홀더(4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면과 하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와 유사하게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결합된 치과용 스캔바디, 나사,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및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치과용 스캔바디, 나사,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및 드라이버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홀더의 하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를 관통할 수 있다.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또한 상부(441), 중간부(442), 및 하부(443)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드라이버(500)는 파지부(510), 포스트(520), 및 헤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520)의 하부에서 헤드부(53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나사부(5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의 상부(441) 및 중간부(442)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는 삽입될 수 있으나 이보다 직경이 큰 파지부(510)는 삽입될 수 없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의 상부(441)의 내면에 나사산(444)이 형성될 수 있다. 홀(440)의 나사산(444)은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가 회전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440)에 드라이버(500)의 포스트(520)를 삽입할 때, 헤드부(530)가 통과한 후 포스트(52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540)가 홀(440)의 나사산(444)을 회전으로 통과한다. 예를 들면, 홀(440)의 나사산(444)은 암나사산 일 수 있으며, 드라이버(500)의 나사부(540)는 수나사산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버(500)의 파지부(510)와 나사부(540) 사이에 홀(440)의 나사산(444)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드라이버(500)와 스캔바디홀더(4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의 중간부(442)는 나사부(540)가 형성된 드라이버(500)의 포스트(52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440)의 중간부(442)는, 홀(440)의 나사산(444)을 통과한 포스트(520)의 나사부(540)의 외주면과 홀(440)의 중간부(442)의 내주면이 밀접하게 접촉되되 드라이버(500)의 포스트(52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의 하부(443)는 상대물인 스캔바디(100)의 상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입구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홀(440)의 하부(443)는 스캔바디(100)를 홀딩하기 위하여 스캔바디(100)의 상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후 끼워맞춤되도록 음각 가공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홀(440)의 하부(443)는 하부 상단(443-1)과 하부 하단(44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홀(440)의 하부(443)에 스캔바디 상부(110)가 삽입될 때 스캔바디 상부(110)의 외면이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가 형성되고, 이후 스캔바디 상부(110)가 계속 삽입되면서 스캔바디 상부(1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 상단(443-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끼워맞춤되도록 하부 상단(443-1)의 음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440)의 하부(443)에 스캔바디 상부(110)가 삽입될 때 하부 하단(443-2)까지는 가압 없이 삽입될 수 있으나 이후 하부 상단(443-1) 부분에서는 가압에 의해서만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홀(440)의 하부(443)는 하부 상단(443-1)과 하부 하단(443-2)으로 구성되며, 하부 상단(443-1)과 하부 하단(443-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홀(440)의 하부(443)에 있어서, 하부 상단(443-1)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외향으로 돌출되어 하부 하단(443-2)의 외주면이 형성되도록 단차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의 하부(443)에 상대물인 스캔바디 상부(110)를 삽입할 때, 가압 없이 스캔바디 상부(110)가 삽입되도록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상단(443-1)의 음각부는 하부 하단(443-2)에 삽입된 스캔바디 상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가압에 의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일단 홀(440)의 하부 하단(443-2)에 스캔바디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가압 없이 삽입된 후, 스캔바디홀더(400) 및/또는 상대물인 스캔바디(100)를 가압함으로써 스캔바디 상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홀(440)의 하부 하단(443-2)에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상단(443-1)과 하부 하단(443-2) 사이에 형성된 단차는 삽입되는 스캔바디 상부가 완만하게 미끄러지면서 하부 하단(443-2)으로부터 하부 상단(443-1)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는 상대물인 스캔바디(100)와 접촉될 때 스캔바디(100)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의 하부(443)의 음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치과용 스캔바디, 나사,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및 드라이버가 체결된 상태의 절개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L-L'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의 하부(443)에 스캔바디(100)가 삽입된 상태는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C는 참고도로서 스캔바디(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캔바디(100)의 상부(110)는 제3면(113)과 제4면(114)의 잘린 원호 부분(114-3, 11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캔바디홀더(400)의 제2-1면(402-1)과 제2-2면(402-2) 또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면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제2-1C면(402-1C)과 제2-2C면(402-2C) 또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면대칭을 이룬다.
한편 또 다른 구체예에서, 스캔바디홀더(400)의 제2-1C면(402-1C)과 제2-2C면(402-2C)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는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의 일부가 각각 제3면(113)과 제4면(114)의 잘린 원호 부분(114-3, 114-4)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끼워맞춤되도록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스캔바디 상부(110)의 제3면(113)의 곡률반경, 제4면(114) 중 곡면(114-1, 114-3, 114-4)의 곡률반경, 및 스캔바디홀더(400)의 제2-1C면(402-1C)과 제2-2C면(402-2C)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는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의 곡률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바디(100)와 스캔바디홀더(400)의 형상에 의해 스캔바디(100)와 스캔바디홀더(400)를 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스캔바디홀더(400)를 파지하여 스캔바디(100)를 구강 내로 옮기고, 구강 내에서 스캔바디홀더(400)를 파지하여 스캔바디(100)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스캔바디(100)를 드라이버(5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픽스쳐에 삽입 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개시의 어느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 및 헤드부(530), 나사부(540), 포스트(520), 및 파지부(510)를 포함하는 드라이버(500);를 포함하며, 드라이버(500)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상부(441), 중간부(442), 및 하부(443)로 구성되며, 상부(441) 및 중간부(442)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기둥 형상이되,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는 삽입될 수 있으나 이보다 직경이 큰 파지부(510)는 삽입될 수 없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홀(440)의 상부(441)의 내면에 나사산(444)이 형성되며, 나사산(444)은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가 회전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부(410), 중간부(420), 하부(430) 및 홀(440)을 포함하는 스캔바디홀더(400)에 있어서,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형성된 평면인 제1-1면(401-1) 및 이와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타면에 형성된 제1-2면(401-2)을 포함하며,
제1-1면(401-1)의 일단과 제1-2면(401-2)의 일단을 잇는 제2-1면(402-1) 및 제1-1면(401-1)의 타단과 제1-2면(401-2)의 타단을 잇는 제2-2면(402-2)을 포함하며,
제2-1면(402-1)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2-2면(402-2)의 적어도 일부분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이며,
홀(440)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를 관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2) 제2-1면(402-1)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2-1A면(402-1A), 제2-1B면(402-1B), 및 제2-1C면(402-1C)으로 구성되며,
제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은 각각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제2-1B면(402-1B)은 상부(41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제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과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제2-1B면(402-1B)의 중심부로 향하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된 곡면 형상이며,
제2-2면(402-2)은 제2-1면(402-1)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면대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3) 제2-1면(402-1)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2-1A면(402-1A), 제2-1B면(402-1B), 및 제2-1C면(402-1C)으로 구성되며,
제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은 각각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제2-1B면(402-1B)은 제1-1면(401-1)의 일단 및 제1-2면(401-2)의 일단과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제2-1B면(402-1B)의 중심부로 향하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며 점차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곡면 형상이며,
제2-2면(402-2)은 제2-1면(402-1)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면대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4)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상부(441), 중간부(442), 및 하부(443)로 구성되며,
상부(441) 및 중간부(442)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기둥 형상이되, 사용되는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는 삽입될 수 있으나 이보다 직경이 큰 파지부(510)는 삽입될 수 없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홀(440)의 상부(441)의 내면에 나사산(444)이 형성되며,
나사산(444)은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가 회전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5) 구성(4)에서, 하부(443)는 상대물인 스캔바디(100)를 홀딩하기 위하여 스캔바디(100)의 상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후 끼워맞춤되도록 음각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6) 구성(5)에서, 홀(440)의 하부(443)는 하부 상단(443-1)과 하부 하단(443-2)으로 구성되며,
홀(440)의 하부(443)에 스캔바디 상부(110)가 삽입될 때 스캔바디 상부(110)의 외면이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가 형성되고, 이후 스캔바디 상부(110)가 계속 삽입되면서 스캔바디 상부(1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 상단(443-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끼워맞춤되도록 하부 상단(443-1)의 음각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7) 구성(2) 또는 구성(3)에서, 스캔바디홀더(400)는 상부(110), 중간부(120), 하부(130) 및 홀(140)을 포함하는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홀딩하기 위한 스캔바디홀더(400)이며,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상부(110)는 이격되어 배치된 제1-1면(111-1)과 제1-2면(111-2), 제1-1면(111-1)의 일단과 제1-2면(111-2)의 일단에 일단이 각각 이어지는 제2-1면(112-1)과 제2-2면(112-2), 제1-1면(111-1)의 타단과 제1-2면(111-2)의 타단을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평면에 의해 연결하는 제3면(113), 제2-1면(112-1)의 타단과 제2-2면(112-2)의 타단을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평면에 의해 연결하는 제4면(114), 그리고 제3면(113)과 제4면(114)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중간부(120)와 연결하는 경사면(115)을 포함하며,
제3면(113)은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제4면(114)은 곡면과 평면을 포함하되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며,
제4면(114)의 상부는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 중에서 제2-1면(112-1) 및 제2-2면(112-2)과 이어지는 부분에서 외향으로 적어도 일부 이격되어 수직 하방으로 절개되어 노출된 평면(114-2)과 잘린 원호 부분(114-3, 114-4)으로 구성되며,
제4면(114)의 하부는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114-1)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스캔바디홀더(400)의 제2-1C면(402-1C)과 제2-2C면(402-2C)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는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의 일부가 각각 제3면(113)과 제4면(114)의 잘린 원호 부분(114-3, 114-4)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끼워맞춤되도록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8) 구성(7)에서, 스캔바디 상부(110)의 제3면(113)의 곡률반경, 제4면(114) 중 곡면(114-1, 114-3, 114-4)의 곡률반경, 및 스캔바디홀더(400)의 제2-1C면(402-1C)과 제2-2C면(402-2C)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는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의 곡률반경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9) 구성(1)부터 구성(6) 중 어느 하나에서, 스캔바디홀더(400)는 비금속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10) 구성(1)부터 구성(6)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 및
헤드부(530), 나사부(540), 포스트(520), 및 파지부(510)를 포함하는 드라이버(500);
를 포함하며,
드라이버(500)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
(11) 구성(10)에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상부(441), 중간부(442), 및 하부(443)로 구성되며,
상부(441) 및 중간부(442)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기둥 형상이되,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는 삽입될 수 있으나 이보다 직경이 큰 파지부(510)는 삽입될 수 없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홀(440)의 상부(441)의 내면에 나사산(444)이 형성되며,
나사산(444)은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가 회전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
(12) 구성(7)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 및
헤드부(530), 나사부(540), 포스트(520), 및 파지부(510)를 포함하는 드라이버(500);
를 포함하며,
드라이버(500)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
(13) 구성(12)에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상부(441), 중간부(442), 및 하부(443)로 구성되며,
상부(441) 및 중간부(442)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기둥 형상이되,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는 삽입될 수 있으나 이보다 직경이 큰 파지부(510)는 삽입될 수 없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홀(440)의 상부(441)의 내면에 나사산(444)이 형성되며,
나사산(444)은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가 회전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는 구치부 안쪽에 치간 사이가 좁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스캔바디홀더를 사용하여 스캔바디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는 또한 스캔바디를 픽스쳐에 삽입한 후 드라이버를 구치부 안쪽으로 넣어서 나사를 조이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캔바디홀더를 사용하여 스캔바디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캔바디를 나사를 활용하여 픽스쳐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는 또한 치과용 스캔바디를 구강 내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하며, 특히 스캔바디의 홀에 나사를 삽입한 상태로 이들을 구강 내로 용아히게 옮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3)

  1. 상부(410), 중간부(420), 하부(430) 및 홀(440)을 포함하는 스캔바디홀더(400)에 있어서,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형성된 평면인 제1-1면(401-1) 및 이와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타면에 형성된 제1-2면(401-2)을 포함하며,
    제1-1면(401-1)의 일단과 제1-2면(401-2)의 일단을 잇는 제2-1면(402-1) 및 제1-1면(401-1)의 타단과 제1-2면(401-2)의 타단을 잇는 제2-2면(402-2)을 포함하며,
    제2-1면(402-1)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2-2면(402-2)의 적어도 일부분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이며,
    홀(440)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를 관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1면(402-1)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2-1A면(402-1A), 제2-1B면(402-1B), 및 제2-1C면(402-1C)으로 구성되며,
    제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은 각각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제2-1B면(402-1B)은 상부(41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제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과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제2-1B면(402-1B)의 중심부로 향하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된 곡면 형상이며,
    제2-2면(402-2)은 제2-1면(402-1)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면대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1면(402-1)은 스캔바디홀더(400)의 상부(410), 중간부(420), 및 하부(430) 각각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2-1A면(402-1A), 제2-1B면(402-1B), 및 제2-1C면(402-1C)으로 구성되며,
    제2-1A면(402-1A) 및 제2-1C면(402-1C)은 각각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제2-1B면(402-1B)은 제1-1면(401-1)의 일단 및 제1-2면(401-2)의 일단과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제2-1B면(402-1B)의 중심부로 향하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며 점차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곡면 형상이며,
    제2-2면(402-2)은 제2-1면(402-1)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면대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상부(441), 중간부(442), 및 하부(443)로 구성되며,
    상부(441) 및 중간부(442)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기둥 형상이되, 사용되는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는 삽입될 수 있으나 이보다 직경이 큰 파지부(510)는 삽입될 수 없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홀(440)의 상부(441)의 내면에 나사산(444)이 형성되며,
    나사산(444)은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가 회전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부(443)는 상대물인 스캔바디(100)를 홀딩하기 위하여 스캔바디(100)의 상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후 끼워맞춤되도록 음각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6. 청구항 5에 있어서,
    홀(440)의 하부(443)는 하부 상단(443-1)과 하부 하단(443-2)으로 구성되며,
    홀(440)의 하부(443)에 스캔바디 상부(110)가 삽입될 때 스캔바디 상부(110)의 외면이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가 형성되고, 이후 스캔바디 상부(110)가 계속 삽입되면서 스캔바디 상부(1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 상단(443-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끼워맞춤되도록 하부 상단(443-1)의 음각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스캔바디홀더(400)는 상부(110), 중간부(120), 하부(130) 및 홀(140)을 포함하는 치과용 스캔바디(100)를 홀딩하기 위한 스캔바디홀더(400)이며,
    치과용 스캔바디(100)의 상부(110)는 이격되어 배치된 제1-1면(111-1)과 제1-2면(111-2), 제1-1면(111-1)의 일단과 제1-2면(111-2)의 일단에 일단이 각각 이어지는 제2-1면(112-1)과 제2-2면(112-2), 제1-1면(111-1)의 타단과 제1-2면(111-2)의 타단을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평면에 의해 연결하는 제3면(113), 제2-1면(112-1)의 타단과 제2-2면(112-2)의 타단을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평면에 의해 연결하는 제4면(114), 그리고 제3면(113)과 제4면(114)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중간부(120)와 연결하는 경사면(115)을 포함하며,
    제3면(113)은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제4면(114)은 곡면과 평면을 포함하되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며,
    제4면(114)의 상부는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 중에서 제2-1면(112-1) 및 제2-2면(112-2)과 이어지는 부분에서 외향으로 적어도 일부 이격되어 수직 하방으로 절개되어 노출된 평면(114-2)과 잘린 원호 부분(114-3, 114-4)으로 구성되며,
    제4면(114)의 하부는 스캔바디(100)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곡면(114-1)으로서 수평 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스캔바디홀더(400)의 제2-1C면(402-1C)과 제2-2C면(402-2C)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는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의 일부가 각각 제3면(113)과 제4면(114)의 잘린 원호 부분(114-3, 114-4)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끼워맞춤되도록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8. 청구항 7에 있어서,
    스캔바디 상부(110)의 제3면(113)의 곡률반경, 제4면(114) 중 곡면(114-1, 114-3, 114-4)의 곡률반경, 및 스캔바디홀더(400)의 제2-1C면(402-1C)과 제2-2C면(402-2C)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는 홀(440)의 하부 하단(443-2)의 음각부의 곡률반경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9. 청구항 1부터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스캔바디홀더(400)는 비금속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더(400).
  10. 청구항 1부터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 및
    헤드부(530), 나사부(540), 포스트(520), 및 파지부(510)를 포함하는 드라이버(500);
    를 포함하며,
    드라이버(500)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상부(441), 중간부(442), 및 하부(443)로 구성되며,
    상부(441) 및 중간부(442)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기둥 형상이되,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는 삽입될 수 있으나 이보다 직경이 큰 파지부(510)는 삽입될 수 없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홀(440)의 상부(441)의 내면에 나사산(444)이 형성되며,
    나사산(444)은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가 회전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
  12. 청구항 7에 따르는 스캔바디홀더(400); 및
    헤드부(530), 나사부(540), 포스트(520), 및 파지부(510)를 포함하는 드라이버(500);
    를 포함하며,
    드라이버(500)는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스캔바디홀더(400)의 홀(440)은 상부(441), 중간부(442), 및 하부(443)로 구성되며,
    상부(441) 및 중간부(442)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기둥 형상이되,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는 삽입될 수 있으나 이보다 직경이 큰 파지부(510)는 삽입될 수 없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홀(440)의 상부(441)의 내면에 나사산(444)이 형성되며,
    나사산(444)은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30), 나사부(540) 및 포스트(520)가 회전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바디홀딩 조립체.
KR1020200105466A 2020-08-21 2020-08-21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KR102479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466A KR102479467B1 (ko) 2020-08-21 2020-08-21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466A KR102479467B1 (ko) 2020-08-21 2020-08-21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915A KR20220023915A (ko) 2022-03-03
KR102479467B1 true KR102479467B1 (ko) 2022-12-21

Family

ID=8081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466A KR102479467B1 (ko) 2020-08-21 2020-08-21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4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2150A (ja) 1998-08-12 2002-07-23 ノーベル ビウカーレ アーベー ワンステップねじ山付きインプラント
KR100918997B1 (ko) 2007-10-26 2009-09-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KR101515790B1 (ko) * 2014-04-23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힐링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924B1 (ko) * 2010-11-10 2012-09-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시술기구
KR101417980B1 (ko) 2013-08-26 2014-07-0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2224795B1 (ko) * 2018-09-06 2021-03-09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2150A (ja) 1998-08-12 2002-07-23 ノーベル ビウカーレ アーベー ワンステップねじ山付きインプラント
KR100918997B1 (ko) 2007-10-26 2009-09-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KR101515790B1 (ko) * 2014-04-23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힐링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915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466B1 (ko) 치과용 스캔바디
US9545293B2 (en) Dental implant,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and combination thereof and an implant set
JP2021176564A (ja) 歯科インプラント、歯科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埋入ツール、ならびに歯科インプラントと埋入ツールの組み合わせ
US20060084035A1 (en) Dental implant
KR101359377B1 (ko)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
KR101707905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9636190B2 (en) Bone pen, bone pin, bone pen set, bone pin set and bone pen kit including the same and initial drill
KR101731541B1 (ko) 치유 어버트먼트
KR102204414B1 (ko) 힐링 어버트먼트
KR200493678Y1 (ko)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EP1733698A2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2470652B1 (ko) 향상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코핑
CN1491096A (zh) 由销保持的镶嵌牙桥及其制造和安装方法
US20070290385A1 (en) Blank for a Tooth Replacement Part and Method of Producing a Tooth Replacement Part
KR102479467B1 (ko) 치과용 스캔바디홀더
KR102209274B1 (ko)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RU2005131719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ротеза с цементно-винтовой фиксацией и абатмент для протеза с цементно-винтовой фиксацией
KR10211993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치유지대주 및 인상용캡 복합체
KR20180136718A (ko) 힐링 어버트먼트
KR101653798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EP2787919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customised abutment
US7665990B2 (en) Dental implant with positioning means
KR200483373Y1 (ko) 스캔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세트
JP2010252902A (ja) イン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