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364B1 -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 Google Patents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364B1
KR102479364B1 KR1020220061386A KR20220061386A KR102479364B1 KR 102479364 B1 KR102479364 B1 KR 102479364B1 KR 1020220061386 A KR1020220061386 A KR 1020220061386A KR 20220061386 A KR20220061386 A KR 20220061386A KR 102479364 B1 KR102479364 B1 KR 10247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crosspiece
ladder
slip
ste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호현
Original Assignee
조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호현 filed Critical 조호현
Priority to KR102022006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3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2Connections between rungs or treads and longitudinal members
    • E06C7/083Bracket type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ladder, and specifically to the safety ladder for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In the present invention, a non-slip member is attached to a cross bar in a form of a round bar, and a stepping member is installed in a form of a square cylinder with open bottom and both sides at both ends of the cross bar so that a worker grips the cross bar with his/her hand, and can go up and down with the foot by stepping on the stepping member, thereby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by expanding an area to step on. The safety ladder for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includes a vertical bar, a cross bar, a stepping member, and a fixing bracket.

Description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안전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환봉 형태의 가로대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부착하고, 가로대 양단에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태의 발디딤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가로대를 파지하고, 발로 발디딤 부재를 밟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로 밟는 면적을 넓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ladder, and more particularly, by attaching anti-slip members to a crossbar in the form of a round bar, and installing stepping members in the form of a square cylinder with open bottom and both sides at both ends of the crossbar, so that a worker can grip the crossbar with his han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widening the area to step on by stepping on a stepping member with the feet.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기 위해 가입자 단말기와 이동전화 교환국 사이에 위치하여 가입자 단말기와의 무선전송과 이동전화 교환국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 단말기의 이동상황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입자의 수에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In general, a base station is located between a subscriber terminal and a mobile telephone exchange to perform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wireless conversion, and transmission/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It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scriber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to identify

상기와 같은 기지국은 흔히 건물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를 포함하여 일컬어 지고, 옥외용 기지국은 건물의 옥상이나 나대지 및 산악에 설치되어 사업자의 원활한 송, 수신을 제공한다.The base station as described above is often referred to as including a repeater installed inside a building, and an outdoor base station is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or on bare land and mountains to provide sm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operators.

이에 따라 최고의 통화품질과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기지국의 시설관리나 품질측정을 통한 유지보수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call quality and information, maintenance of the base station through facility management or quality measurement must be thoroughly performed.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기지국은 통상 옥상에서도 더 높은 곳(예를 들어, 계단실 위, 엘리베이터실 위)에 설치되는 데, 유지보수를 위해 점검 사다리가 설치된다.A base station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is usually installed at a higher place (eg, above a stairwell or an elevator room) even on the roof, and an inspection ladder is installed for maintenance.

이러한 점검 사다리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67414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873428호와 같이 수직으로 벽체 및 바닥에 고정된다.Such an inspection ladder is vertically fixed to the wall and floor as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7414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3428.

상기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67414호인 교량의 안전점검통로 출입 사다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50)의 측면에 점검자 등 사람이 통과할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안전 보호대(55)가 설치되고, 이 안전보호대(55)에는 교량(50)의 하측에 위치되는 안전점검통로(53)까지 연결된 사다리(6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7414, the safety inspection passage access ladder of the bridge, has a safety guard 55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people such as inspectors can pass on the side of the bridge 50, , A ladder 60 connected to the safety inspection passage 53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idge 50 is installed on the safety guard 55.

여기서, 상기 사다리(60)는 상기 안전 보호대(55)를 중심으로 교량(50)의 맞은편에 위치된다. 즉, 상기 사다리(60)를 이용하는 점검자가 교량(50)을 등진 상태에서 타고 내려가거나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Here, the ladder 6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ridge 50 with the safety guard 55 as the center. That is,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inspector using the ladder 60 can ride down or climb the bridge 50 while standing back.

상기 안전 보호대(55)는 수직 방향으로 교량(50)측에 고정된 두 개의 지지봉(55a)이 세워지고, 이 지지봉(55) 사이와 양측면에는 사다리(60) 이용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다수의 보호봉(55b)이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디귿자'형으로 하부 지지대(55c)가 설치된다.The safety guard 55 has two support rods 55a fixed to the side of the bridge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ection rods between the support rods 55 and on both sides to prevent users of the ladder 60 from falling. (55b) is installed, and a lower support (55c)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in the form of a 'Digutja'.

상기 사다리(60)는 수직대(60a)와 가로대(60b)로 이루어져 상기 안전 보호대(55)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안전점검통로(53)까지 연결된다.The ladder 60 consists of a vertical stand 60a and a crossbar 60b and is fixed to the safety guard 55, and its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safety inspection passage 53.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국내 특허등록 제10-1873428호인 사다리(10)는 고정 사다리부(100) 및 이동 사다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 2, the ladder 10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3428 includes a fixed ladder part 100 and a movable ladder part 200.

고정 사다리부(100)는 사이드 레일(110) 및 가로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사다리부(100)는 구조물(20)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xed ladder unit 100 includes a side rail 110 and a crossbar 120. The fixed ladder unit 100 may be fixed to the structure 20 .

이동 사다리부(200)는 사이드 레일(210) 및 가로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사다리부(200)는 고정 사다리부(100)의 사이드 레일(110) 끝단에 사이드 레일(110)의 연장 방향으로 고정 사다리부(100)에 연결된다. 즉, 고정 사다리부(100)의 사이드 레일(110)과 이동 사다리부(200)의 사이드 레일(210)이 일렬로 배치되어 고정 사다리부(100)와 이동 사다리부(20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The movable ladder unit 200 includes a side rail 210 and a crossbar 220. The movable ladder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fixed ladder unit 100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de rail 110 at the end of the side rail 110 of the fixed ladder unit 100 . That is, the side rail 110 of the fixed ladder part 100 and the side rail 210 of the movable ladder part 200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 fixed ladder part 100 and the movable ladder part 200 can be connected. .

고정 사다리부(100)와 이동 사다리부(200)가 연결됨에 전체적인 사다리(10)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고정 사다리부(100)의 가로대(120)와 이동 사다리부(200)의 가로대(220)를 이용하여 구조물(2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fixed ladder unit 100 and the movable ladder unit 200 are connected, the entire ladder 10 may be configured. That is, the user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20 by using the rung 120 of the fixed ladder unit 100 and the rung 220 of the movable ladder unit 200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사다리의 경우 가로대를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해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데, 이렇게 가로대가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발을 디딜 때 면적이 좁아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vertically fixed ladder, the crossba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bar for the operator to grip by hand. There are problems that can cause accidents.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67414호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7414 국내 특허등록 제10-1873428호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8734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 막대 형태의 가로대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부착하고, 가로대 양단에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태의 발디딤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가로대를 파지하고, 발로 발디딤 부재를 밟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로 밟는 면적을 넓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ttaching a non-slip member to a crossbar in the form of a circular bar, and installing a footing member in the form of a square cylinder with open bottom and both sides at both ends of the crossbar, so that a worker can manu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by expanding an area to be stepped on by stepping on a stepping member with the foot and allowing the foot to step on the stepping mem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중공상의 원형 기둥 형태로 한 쌍이 구비되고, 각각의 내측 동일 위치에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수직대와; 중공상의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대의 각각의 결합홀에 수평하게 삽입후 용접 결합되고, 외측면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부착되는 가로대와;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의 양단 상면에 고정되는 발디딤 부재; 및 상기 수직대를 벽체 및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hollow circular pillars, each of which has a circular coupling hole formed at the same inner position; a cross bar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ircular bar, inserted horizontally into each coupling hole of the upright bar and then welded together, and having a non-slip member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thereof; a footing member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cylinder with a bottom surface and both sides open and fixed to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crosspiece; and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upright stand to a wall and a floor.

여기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미끄럼 방지 도료 또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이다.Here, the anti-slip member is anti-slip paint or anti-slip tape.

여기에서 또한, 상기 발디딤 부재는 표면에 미끄럼 방지 요철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tepping member is provided with non-slip unevenness on the surface.

여기에서 또, 상기 발디딤 부재는 상기 가로대에 리벳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가로대가 내부에 수납되어 밀착되도록 내측 폭이 상기 가로대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되고, 높이가 상기 가로대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다.Here again, the stepping member is fixed to the crosspiece by rivets, and the inner width is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osspiece so that the crossbar is received and adhered to the inside, and the height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osspiece. formed higher.

여기에서 또, 상기 발디딤 부재는 상기 가로대와 밀착되어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내측 상단 모서리에 밀착 부재가 구비된다.Here again, the stepp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member at an inner upper edge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pressur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rossbar.

여기에서 또, 상기 발디딤 부재는 알루미늄으로 "기억자" 형태로 사출되고, 상면에 미끄럼 방지 요철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대와 동일 곡률을 가지며 상기 가로대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면, 상단 저면에 횡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연장 부분과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가로대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본체의 가이드 돌기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상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한다.Here again, the footstep member is injected in the form of a "rememberer" of aluminum, has anti-slip unevenness on the upper surface, and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crossbar on one side and extends to surround the crossbar. a body in which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connection bracket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o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rossbar in a symmetrical shape with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o be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에 따르면, 원형 막대 형태의 가로대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부착하고, 가로대 양단에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태의 발디딤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가로대를 파지하고, 발로 발디딤 부재를 밟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로 밟는 면적을 넓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fety ladder for a 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anti-slip member is attached to a crossbar in the form of a circular bar, and stepping members in the form of a square cylinder with open bottom and both side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rossbar, so that the worker can manually By gripping the crossbar and stepping on the stepping member to step on the stepping member, the area to be stepped on by the foot is widened,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도 1 및 도 2은 종래의 점검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inspection ladd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3 .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coupled state of Figure 6;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부분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1)는 수직대(10)와, 가로대(20)와, 고정캡(30)과, 발디딤 부재(40) 및 고정 브라켓(50)으로 구성된다.3 to 5, a safety ladder 1 for a commun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bar 10, a cross bar 20, a fixing cap 30, a stepping member 40, and a fixing bracket. It consists of (50).

먼저, 수직대(1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중공상의 원형 기둥 형태로 한 쌍이 구비되고, 각각의 내측 동일 위치에 원형의 결합홀(11)이 형성된다. 이때, 수직대(10) 상단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upright stand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metal materials such as stainless steel in the form of a hollow circular column, and a circular coupling hole 11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side each of the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upright stand 10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so that the operator can hold it by hand and go up and down.

그리고, 가로대(2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는 중공상의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대(10)의 각각의 결합홀(11)에 수평하게 삽입후 용접 결합되고, 외측면에 미끄럼 방지 부재(21)가 부착된다. 이때, 미끄럼 방지 부재(21)는 미끄럼 방지 도료 또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끄럼 방지 부재(21)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축광 물질과 반사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ossbar 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ircular rod having a diameter that can be gripped by the operator's hand, and is inserted horizontally into each coupling hole 11 of the vertical stand 10. It is welded, and the non-slip member 21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ti-slip paint or anti-slip tape is applied to the anti-slip member 21 . 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21 preferably includes a photoluminescent material and a reflective material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location with the naked eye.

또한, 고정캡(30)은 가로대(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로대(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대(10)에 용접 고정된다. 이때, 고정캡(30)은 수직대(10)의 곡률과 동일하게 결합면에 곡률을 가진다.In addition, the fixing cap 30 is welded and fixed to the upright bar 10 in a state where the cross bar 20 is inserted to prevent the cross bar 20 from being separated. At this time, the fixing cap 30 has the same curvature of the coupling surface as the curvature of the upright stand 10.

또, 발디딤 부재(4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어 가로대(20)의 양단 상면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stepping member 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cylinder with open bottom and both sides, and is fixed to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cross bar 20 .

발디딤 부재(40)는 표면에 미끄럼 방지 요철(41)이 구비된다.The stepping member 40 is provided with anti-skid unevenness 41 on the surface.

발디딤 부재(40)는 가로대(20)에 리벳에 의해 고정되고, 가로대(20)가 내부에 수납되어 밀착되도록 내측 폭이 가로대(2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되고, 높이가 가로대(2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다.The stepping member 40 is fixed to the crossbar 20 by rivets, and has an inner width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ossbar 20 so that the crossbar 20 is received and adhered therein, and a height of the crossbar 20. ) is formed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iameter of

발디딤 부재(40)는 가로대(20)와 밀착되어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내측 상단 모서리에 밀착 부재(43)가 구비된다. 이때, 밀착 부재(43)는 가로대(20)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로대(20)가 밀착되는 면에 복수의 조(Jaw, J)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otrest member 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member 43 at an inner upper corner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pressur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rossbar 2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jaws (J) are form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crossbar 20 is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adhesion member 43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on the crossbar 20 .

발디딤 부재(40)는 발로 안정적으로 디디면서도 손으로 가로대(20)의 파지에 간섭되지 않도록 그 길이가 15~2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tepping member 40 be formed to be 15 to 25 cm so as not to interfere with gripping of the crossbar 20 by hand while stably stepping on it with the foot.

이어서, 고정 브라켓(50)은 수직대(10)의 저면 및 배면에 용접 고정되어 벽체와 바닥에 앵커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Subsequently, the fixing bracket 50 is fixed by welding to the lower and rear surfaces of the upright stand 10 and fixed to the wall and the floor by means of anchor bolt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Meanwhile,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6 and 7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in a coupled state.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디딤 부재(40)는 본체(45)와 연결 브라켓(47)로 구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stepping member 40 is composed of a main body 45 and a connecting bracket 47 .

본체(45)는 알루미늄으로 "기억자" 형태로 사출되고, 상면에 미끄럼 방지 요철(41)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가로대(20)와 동일 곡률을 가지며 가로대(20)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면, 상단 저면에 횡방향으로 가이드 돌기(46)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45)의 연장 부분 내측에는 가로대(20)에 고정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복수의 조(J)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ain body 45 is made of aluminum and is injected in the form of a “rememberer”, has an anti-slip concave-convex 41 on the top surface, and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crossbar 20 on one side and extends to surround the crossbar 20. , Guide protrusions 46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jaws (J)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main body 45 to be fixed to the crossbar 20 to prevent rotation.

연결 브라켓(47)은 본체(45)의 연장 부분과 대칭되는 형태로 가로대(20)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본체(45)의 가이드 돌기(46)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상단에 가이드홈(48)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 브라켓(47)의 내측면에는 가로대(20)에 고정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복수의 조(J)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bracket 47 surrounds the rest of the crossbar 20 in a symmetrical form with the extension of the main body 45, and is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46 of the main body 45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 is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jaws (J)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racket 47 to be fixed to the crossbar 20 to prevent rotation.

발디딤 부재(40)는 발로 안정적으로 디디면서도 손으로 가로대(20)의 파지에 간섭되지 않도록 그 길이가 15~2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tepping member 40 be formed to be 15 to 25 cm so as not to interfere with gripping of the crossbar 20 by hand while stably stepping on it with the fo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의 조립 및 설치 과정과 사용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process and method of use of the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한 쌍의 수직대(10)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가로대(20)의 양단에 고정캡(30)을 결합한 다음 수직대(10)의 각각의 결합홀(11)에 가로대(20)를 삽입시킨다. 이때, 가로대(20)에 발디딤 부재(40)의 결합을 위해 리벳홀(미도시)이 형성되기 때문에 가로대(20)의 리벳홀이 상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방향성을 가지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홀(11)과 가로대(20)에 별도로 가이드 홀과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First,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vertical bars 10 are spaced apart, the fixing caps 3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ross bar 20, and then the cross bar 20 is inserted into each coupling hole 11 of the vertical bar 10. let it At this time, since a rivet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rossbar 20 for coupling of the stepping member 40, it is preferable to fix the rivet hole of the crossbar 20 in a direction so that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coupling Guide holes and guide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hole 11 and the crossbar 20 so as to be coupled in place.

그리고, 가로대(20)를 결합홀(11)에서 용접시켜 고정한다.Then, the crossbar 20 is fixed by welding in the coupling hole 11.

가로대(20)의 용접이 완료되면, 고정캡(30)을 수직대(10) 측으로 밀어 밀착시킨 상태에서 테두리를 용접하여 고정캡(30)을 수직대(10)에 고정시킨다.When the welding of the crossbar 20 is completed, the fixing cap 30 is fixed to the vertical stand 10 by welding the rim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cap 30 is pushed toward the vertical stand 10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it.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각각의 가로대(20)를 수직대(10)에 각각 수평하게 고정시킨다.By repeating this process, each cross bar 20 is horizontally fixed to the vertical bar 10, respectively.

각각의 가로대(20)의 고정이 완료되면, 발디딤 부재(40)를 각각의 가로대(20) 상면 양측에 각각 결합한 상태에서 리벳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발디딤 부재(40)의 내측 상면에 밀착 부재(43)가 고정되어 일체화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xing of each cross bar 20 is completed, the stepping member 40 is fixed with rivets while being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each cross bar 2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on member 43 is fix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tepping member 40 and is integrated.

발디딤 부재(4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 수직대(10)의 저면과 배면 일정 높이에 고정 브라켓(50)을 용접 고정시킨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tepping members 40 is completed, the fixing brackets 50 are welded and fixed to the bottom and rear surfaces of each upright stand 10 at a predetermined height.

조립이 완료되면, 설치 장소로 이동한 후 고정 브라켓(50)을 벽체와 바닥에 고정시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1)를 벽체에 수직으로 설치한다.When the assembly is completed, after moving to the installation site, the fixing bracket 50 is fixed to the wall and the floor to vertically install the safety ladder 1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all.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1)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오르내리고자 하는 경우 손으로 가로대(20)의 중앙 부분을 파지하고, 발로는 가로대(2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평평하게 형성된 발디딤 부재(40)를 밟으며 한스텝씩 이동하며 올라간다.In the state where the safety ladder 1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hen a worker wants to climb up and down, the central part of the crossbar 20 is gripped with his hands, and his feet have a wider area than the crossbar 20 and are formed flat. While stepping on the stepping member 40, it moves one step at a time and goes up.

따라서, 본 발명인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에 따르면, 원형 막대 형태의 가로대에 미끄럼 방지 부재를 부착하고, 가로대 양단에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태의 발디딤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가로대를 파지하고, 발로 발디딤 부재를 밟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로 밟는 면적을 넓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n-slip members are attached to the crossbar in the form of a circular bar, and stepping members in the form of a square cylinder with open bottom and both side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rossbar, so that the operator can grip the crossbar with his hands. And, by stepping on the stepping member with the foot to step on and dow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expanding the area to step on with the foot.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take various forms, 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t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10 : 수직대 20 : 가로대
30 : 고정캡 40 : 발디딤 부재
41 : 미끄럼 방지 요철 50 : 고정 브라켓
10: vertical bar 20: cross bar
30: fixed cap 40: foot member
41: non-slip unevenness 50: fixed bracket

Claims (6)

중공상의 원형 기둥 형태로 한 쌍이 구비되고, 각각의 내측 동일 위치에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단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직대와;
중공상의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대의 각각의 결합홀에 수평하게 삽입후 용접 결합되고, 외측면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축광 물질과 반사 물질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도료 또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인 미끄럼 방지 부재가 부착되는 가로대와;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의 양단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가로대에 리벳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가로대가 내부에 수납되어 밀착되도록 내측 폭이 상기 가로대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되고, 높이가 상기 가로대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되며, 표면에 미끄럼 방지 요철이 구비되며, 상기 가로대와 밀착되어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내측 상단 모서리에 밀착되고, 상기 가로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로대가 밀착되는 면에 복수의 조(Jaw)가 형성되는 밀착 부재가 구비되는 발디딤 부재; 및
상기 수직대를 벽체 및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발디딤 부재는,
알루미늄으로 "기억자" 형태로 사출되고, 상면에 미끄럼 방지 요철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대와 동일 곡률을 가지며 상기 가로대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면, 상단 저면에 횡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연장 부분과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가로대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본체의 가이드 돌기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상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설물용 안전 사다리.
a vertical stand having a pair in the shape of a hollow circular column, having a circular coupling hole at the same inner position, and having a curvature at an upper end so that a worker can hold it by hand and go up and down;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ircular rod, is inserted horizontally into each coupling hole of the vertical stand, and then welded together, and an anti-slip paint or slipper containing a phosphorescent material and a reflective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location with the naked eye. a crossbar to which an anti-slip member, which is an anti-slip tape, is attached;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cylinder with open bottom and both sides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rosspiece, and is fixed to the crosspiece by rivets, and the inner wid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osspiece so that the crosspiece is stored inside and closely adheres to the crosspiece. It is formed small, has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osspiece, has anti-slip protrusions on the surface, adheres to the inner upper corner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pressur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rosspiece, and rotates on the crosspiece. a stepping member provided with a contac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jaws formed on a surface on which the crosspiece is in close contact to prevent the crossbar from being attached; and
It includes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upright stand to a wall and a floor,
The stepping member,
When aluminum is injected in the form of a "rememberer",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nti-skid irregularities, and one side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crossbar and extends to surround the crossbar,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with the body;
A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comprising a connection bracket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to surround the rest of the crossbar in a form symmetrical to the extension of the main body and to be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61386A 2022-05-19 2022-05-19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KR102479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86A KR102479364B1 (en) 2022-05-19 2022-05-19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86A KR102479364B1 (en) 2022-05-19 2022-05-19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364B1 true KR102479364B1 (en) 2022-12-20

Family

ID=8453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386A KR102479364B1 (en) 2022-05-19 2022-05-19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36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17Y2 (en) * 1980-05-30 1984-01-27 小林金物株式会社 ladder
KR200167414Y1 (en) 1999-08-04 2000-02-15 김동필 A ladder of a bridge
DE202013006181U1 (en) * 2013-07-10 2013-08-08 Günzburger Steigtechnik Munk GmbH Protective device for rungs and ladder
KR101627774B1 (en) * 2014-12-30 2016-06-07 한국중부발전(주) Nonskid apparatus for ladder
KR20160142080A (en) * 2015-06-02 2016-12-12 최재영 Vertical ladder
KR101873428B1 (en) 2016-06-09 2018-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adder
KR20190133829A (en) * 2018-05-24 2019-12-04 박일웅 non slip tape and safe ladde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17Y2 (en) * 1980-05-30 1984-01-27 小林金物株式会社 ladder
KR200167414Y1 (en) 1999-08-04 2000-02-15 김동필 A ladder of a bridge
DE202013006181U1 (en) * 2013-07-10 2013-08-08 Günzburger Steigtechnik Munk GmbH Protective device for rungs and ladder
KR101627774B1 (en) * 2014-12-30 2016-06-07 한국중부발전(주) Nonskid apparatus for ladder
KR20160142080A (en) * 2015-06-02 2016-12-12 최재영 Vertical ladder
KR101873428B1 (en) 2016-06-09 2018-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adder
KR20190133829A (en) * 2018-05-24 2019-12-04 박일웅 non slip tape and safe ladder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6996C (en) Ladder docking device
KR102105858B1 (en) Deckroad guardrai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3459277A (en) Ladder jacks
US3158223A (en) Scaffold support
KR102479364B1 (en) Safety ladder for communication facilities
US6167987B1 (en) Adjustable roofing scaffold assembly and method of use
EP1700973B1 (en) Ladder support bracket
US4807719A (en) Scaffolding ascent apparatus
KR101848008B1 (en) Fixed device for ladder
US20190078339A1 (en) Adjustable roofing scaffold system and method of use
CN214576005U (en) Simple shaping passage stair device for all-steel climbing frame
EP0606948A1 (en) Universal supporting construction
US6394227B1 (en) Scaffold structure
KR200472094Y1 (en) Ladder with auxiliary ladder
US11280097B2 (en) Ladder-based winch-powered plank scaffold
GB2477812A (en) Scaffolding tool for attaching handrail
US628662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work platform to a ladder
US20120000727A1 (en) Safe Ascend Bosun's Chair
KR101646555B1 (en) Safety Ladder for the Outer Wall Working of Building
DE69822386D1 (en) Ladder set for fire ladders
KR102652873B1 (en) pole support
CN215291304U (en) A installation device that is used for building enclosure outer wall rock wool battenboard
CN216616754U (en) Scaffold for building engineering
CN210150666U (en) A liftable operation panel for public cable distribution box
JPH0436176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