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040B1 -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 Google Patents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040B1
KR102479040B1 KR1020210077138A KR20210077138A KR102479040B1 KR 102479040 B1 KR102479040 B1 KR 102479040B1 KR 1020210077138 A KR1020210077138 A KR 1020210077138A KR 20210077138 A KR20210077138 A KR 20210077138A KR 102479040 B1 KR102479040 B1 KR 10247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eam
water
heat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5771A (en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김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욱 filed Critical 김재욱
Publication of KR2021015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부; 및 상기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과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 모두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Steam)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증기공급기구가 공급한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함께 상기 용기에 대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grain;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one open side of the container; a pressur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ntainer, wherein the pressure control unit includes a steam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increase both the internal pressur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The heating unit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a cooking method for heating the vessel so that external heating of the vessel is performed together with internal heating by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device.

Description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본 발명은 곡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a cooking method for cooking food using grains.

조리장치는 곡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컨대, 조리장치는 쌀, 보리, 현미 등과 같은 곡물에 물을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게 익힌 음식인 밥을 조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cooking device is used to cook food using grains. For example, the cooking device may be used to cook rice, which is a food cooked by pouring water into grains such as rice, barley, brown rice, etc., so that the grains do not loosen.

종래에는 용기에 곡물과 물을 담고, 물의 비등점보다 높은 온도로 용기를 가열하여 용기에 담긴 물을 끓임으로써 음식을 조리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food was cooked by putting grains and water in a container and heating the container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to boil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ccordingly, in the prior art, there wer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에는 용기만을 가열하여 용기에 담긴 물을 끓이는 방식이었으므로, 용기를 가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림에 따라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First, in the prior art, since only the container was heated to boil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time required for cooking to be completed increased as it took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heat the container.

둘째, 종래에는 용기가 위치한 주변환경이 압력이 낮으면 물이 더 낮은 온도에서 끓어서 음식이 설익는 등 주변환경의 압력에 따라 음식의 품질이 변화되므로, 음식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Second, in the prior art, when the pressur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container is located is low, the quality of food changes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boiling water at a lower temperature and undercooking the food, so it is difficult to maintain constant food quality. there was.

셋째, 종래에는 용기에 담긴 물을 끓여야만 음식이 조리되었으므로, 용기에 담긴 물이 과다하게 끓음에 따라 물이 넘치는 등으로 인해 용기에 많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문제가 있었다.Third, in the prior art, since food was cooked only by boil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many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container due to overflow of water as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was excessively boil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and a cooking method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until cooking is completed.

본 발명은 주변환경의 압력에 따라 음식의 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and a cooking method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maintaining the quality of foo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물의 끓음으로 인해 용기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and a cook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a container due to boiling of water.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부; 및 상기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과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 모두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Steam)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증기공급기구가 공급한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함께 상기 용기에 대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grain;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one open side of the container; a pressur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And it may includ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ntainer. The pressure control unit may include a steam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increase both the internal pressur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The heating unit may heat the container so that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is performed together with internal heating by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곡물과 물이 수용된 용기의 내부압력과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 모두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Steam)를 공급하는 단계;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함께 상기 용기에 대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에 대한 증기 공급과 상기 용기에 대한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increase both the internal pressur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grains and water; heating the container so that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is performed together with internal heating by steam; and stopping supply of steam to the vessel and heating of the vessel.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가열부에 의한 외부가열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용기에 대한 내부가열과 외부가열을 이용하여 음식의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o that internal heating by steam and external heating by the heating unit are performed toge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time taken until the cooking of food is completed by u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증기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압력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주변환경의 압력이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변환경의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음식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o cook food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increased using stea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process of cooking foo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uniform quality of food even when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s.

본 발명은 증기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압력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므로, 용기에 담긴 물이 끓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용기에 담긴 물의 끓음으로 인해 용기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 등에 대한 세척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oks food in a state whe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increased using steam, the degree of boiling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container due to the boiling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cleaning the container or the lik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1 and 2 are schematic side views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chematic front views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쌀, 보리, 현미 등과 같은 곡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곡물을 이용하여 밥을 조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oking food using grains such as rice, barley, and brown rice. For example,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ok rice using grains.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용기(2), 뚜껑(3), 압력조절부(4), 및 가열부(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ainer 2, a lid 3, a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a heating unit 5.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용기(2)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용기(2)는 수용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에 의해, 상기 용기(2)는 내부가 비어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2)는 상기 수용홈을 이용하여 곡물과 물을 수용할 수 있고, 조리된 음식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2)의 일측은 상기 수용홈에 의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곡물과 물을 공급하는 작업과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조리된 음식을 꺼내는 작업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2)는 상기 가열부(5)에 안착되어서 상기 가열부(5)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용기(2)는 상기 가열부(5)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용기(2)는 SUS(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ontainer 2 is for accommodating grain. The container 2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not shown). By the receiving groove, the container 2 may be formed to be empty inside. The container 2 can accommodate grains and water and cooked food using the accommodating groove. One side of the container 2 may be formed open by the receiving groove. Through one open side of the container 2, an operation of supplying grain and water to the receiving groove and an operation of taking out cooked food from the receiving groove may be performed. The container 2 may be seated on the heating unit 5 and heated by the heating unit 5 . The container 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heated by the heating unit 5 . For example, the container 2 may be formed of SUS (Stainless Steel).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가 밥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용기(2)는 내솥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oks rice, the container 2 may be implemented as an inner pot.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뚜껑(3)은 상기 용기(2)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용기(2)의 개방될 일측은 상기 용기(2)의 상부(上部)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뚜껑(3)은 상기 용기(2)의 상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용기(2)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뚜껑(3)은 힌지결합 등을 통해 상기 용기(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뚜껑(3)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간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뚜껑(3)이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뚜껑(3)은 상기 용기(2)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뚜껑(3)이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뚜껑(3)은 상기 용기(2)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용기(2)에 곡물과 물을 공급하는 작업, 상기 용기(2)로부터 조리된 음식을 꺼내는 작업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뚜껑(3)은 승하강을 통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간에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뚜껑(3)은 탈부착을 통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간에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뚜껑(3)과 상기 용기(2)는 분리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뚜껑(3)은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간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뚜껑(3)은 상기 용기(2)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자전(自轉)됨으로써,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간에 이동될 수도 있다.1 to 4, the lid 3 is for opening and closing one open side of the container 2. One side of the container 2 to be opened may be an upper part of the container 2 . In this case, the lid 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2 to close the open top of the container 2 . The lid 3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2 through a hinge coupling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lid 3 can be rotated between a clos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When the lid 3 is positioned in the closed position, the lid 3 can clos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 In this state, an operation of cooking food may be performed. When the lid 3 is positioned in the open position, the lid 3 can ope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 In this state, an operation of supplying grain and water to the container 2 and an operation of taking out cooked food from the container 2 may be performed. The lid 3 may be moved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by elevating and descending. The lid 3 may mov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rough detachability. In this case, the lid 3 and the container 2 may be separably implemented. For example, the lid 3 can be moved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by a separate transfer device. The lid 3 may be moved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by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seated on the container 2 .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뚜껑(3)에는 패킹부재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뚜껑(3)이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용기(2)와 상기 뚜껑(3)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한 뚜껑(3)과 상기 용기(2)를 잠그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a pack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lid 3. When the lid 3 is positioned in the closed position, the packing member can seal between the container 2 and the lid 3.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cking part for locking the lid 3 and the container 2 in the closed position.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뚜껑(3)에는 과압배기밸브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과압배기밸브는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이 과다하게 증가되면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 overpressure exhaust valve may be coupled to the lid 3. The overpressure exhaust valve may discharge the internal ga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2 to the outsid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is excessively increased.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기 등과 같은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4)가 상기 기체공급량을 증가시킬수록,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4)가 상기 기체공급량을 감소시킬수록,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is for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 The pressure controller 4 can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by adjusting the gas supply amount for supplying gas such as ai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 As the pressure regulator 4 increases the gas supply amoun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may increase. As the pressure regulator 4 reduces the gas supply amoun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vessel 2 may decrease. The pressure control unit 4 may discharge gas present in the container 2 .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용기(2)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용기(2)의 외면을 가열하는 외부가열을 통해 상기 용기(2)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에 의해,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2)가 가열됨에 따라,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용기(2)는 상기 가열부(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5)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에는 상기 용기(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는 전원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5)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는 인덕션 히터(Induction Heate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가 되도록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기준온도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용기(2)의 하측에서 상기 용기(2)를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용기(2)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heating part 5 is for heating the container 2 . The heating unit 5 may heat the container 2 through external heating that heat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 .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may be performed by the heating unit 5 . As the container 2 is heate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may increase. The vessel 2 may be heated by the heating unit 5 while seated on the heating unit 5 . A seating groove (not shown) for seating the container 2 may be formed in the heating unit 5 . The heating unit 5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rough a power connection unit (not shown). 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5 may heat the container 2 using electricity. The heating unit 5 may be implemented as an induction heater. The heating unit 5 may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becomes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preset by an operator. The heating unit 5 may heat the container 2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2 . In this case, the pressure regulator 4 may supply gas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2 .

상기 가열부(5)는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의 전체적인 뼈대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작업장의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홈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2)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본체(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The main body 10 constitutes the entire skeleton of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may be supported on the floor of a workplace where cooking is performed. The heating unit 5 may be built into the body 10 . In this case, the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heating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groove.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2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and seated on the main body 10 , the heating unit 5 may perform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과 상기 용기(2)에 대한 내부가열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조절부(4)는 증기공급기구(41)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and in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may be implemented together. To this end, the pressure control unit 4 may include a steam supply mechanism 41 .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Steam)를 공급하는 것이다. 증기는 물 등과 같은 액체가 가열되어 발생된 것으로, 고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증기가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것이면, 증기는 100도 이상의 온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급한 증기는, 열원으로 기능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급한 증기는, 기체로 기능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와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 모두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1 to 5,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supplies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Steam is generated by heating a liquid such as water, and may be formed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if the steam is generated by heating water, the steam may have a temperature of 100 degrees or more. Accordingly, the steam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by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functions as a heat source to he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thereby increa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there is. In addition, the steam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by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functions as a gas and can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 In this way,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can increase both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by using steam. Therefore,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공급한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상기 가열부(5)에 의한 외부가열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용기(2)에 대한 내부가열과 외부가열을 이용하여 음식의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열부(5)에 의한 외부가열만을 이용하는 비교예는 대략 10분 정도의 조리시간으로 밥의 조리를 완료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상기 가열부(5)에 의한 외부가열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대략 2분 내지 3분 정도의 조리시간만으로 밥의 조리를 완료할 수 있다.First,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o that internal heating by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device 41 and external heating by the heating unit 5 are performed together. Accordingly,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time taken until the cooking of food is completed by u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 For example, the comparative example using only external heating by the heating unit 5 completes cooking of rice with a cooking time of about 10 minutes, whereas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internal heating by steam and the above By using the external heating by the heating unit 5 together, cooking of rice can be completed with only a cooking time of about 2 to 3 minutes.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공급한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주변환경의 압력이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주변환경의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음식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Second,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cook food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is increased using the steam supplied by the steam supply device 41 . Accordingly, since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process of cooking food, even if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s, the quality of the food can be maintained uniformly.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기설정된 기준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준압력은 대기압에 비해 더 높은 압력범위로, 물의 끓는점을 높일 수 있는 압력범위이다. 예컨대, 상기 기준압력은 물의 끓는점을 110℃ 이상으로 높일 수 있는 압력범위일 수 있다. 상기 기준압력은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can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by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 The reference pressure is a higher pressure range than atmospheric pressure, and is a pressure range capable of increasing the boiling point of water. For example, the reference pressure may be a pressure range capable of raising the boiling point of water to 110° C. or higher. The reference pressure may be preset by an operator.

상기 증기공급기구(41)에 의해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으로 조절됨으로써 상기 용기(2)에 수용된 물의 끓는점이 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보다 더 높아지므로, 상기 가열부(5)는 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보다 더 높은 온도로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2)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로 인해 상기 용기(2)에 담긴 물이 끓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용기(2)에 담긴 물의 끓음으로 인해 상기 용기(2)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용기(2) 등에 대한 세척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에 담긴 물의 끓는점을 높임으로써, 물이 끓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더 높은 온도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음식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is adjusted to the reference pressure by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the boiling poi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is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so that the heating unit 5 may heat the container 2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is increas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Accordingly,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egree of boiling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due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 Therefore,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ase of cleaning the container 2 by reducing th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container 2 due to boiling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can make it In addition,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boiling poi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using steam, so that the boiling degree of water can be reduced and cooking can be performed at a higher temperature. Therefore,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food.

한편, 상기 가열부(5)는 상기 기준압력에서의 물의 끓는점 미만으로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용기(2)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로 인해 상기 용기(2)에 담긴 물이 끓는 정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heating unit 5 may heat the container 2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is adjusted below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the reference pressure. Accordingly,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reduce the boiling degre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due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뚜껑(3)이 갖는 주입구(31)를 통해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주입구(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주입구(31)에 삽입되면, 상기 증기공급기구(41)와 상기 주입구(31)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공급기구(41)와 상기 주입구(3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기체가 유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기공급기구(41)와 상기 주입구(31) 사이에는 오링(O-ring) 등과 같은 밀폐부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주입구(31)에는 상기 뚜껑(3)의 내부와 상기 뚜껑(3)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주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주입공을 통해 상기 주입구(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뚜껑(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may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through the inlet 31 of the lid 3 . The steam supply device 41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let 31 . When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is inserted into the inlet 31,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and the inlet 31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leakage of internal ga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2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team supply device 41 and the inlet 31 can be blocked. In this case, a sealing member such as an O-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team supply device 41 and the inlet 31. An injection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injection hole 31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lid 3 with the outside of the lid 3 . In this case, the steam supply device 41 may be inserted into the inlet 31 through the injection hole.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lid 3.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압력조절부(4)는 증기발생기구(4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pressure regulator 4 may include a steam generator 42 .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발생시킨 증기를 상기 증기공급기구(41)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증기발생기구(42)로부터 공급된 증기를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호스(Hose), 배관 등을 통해 상기 증기공급기구(41)에 연결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42 generates steam. The steam generator 42 may supply generated steam to the steam supply unit 41 . In this case, the steam supply device 41 may supply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ing device 42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 The steam generating mechanism 42 may be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ing mechanism 41 through a hose, pipe, or the like.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급하는 증기의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의 증기를 발생시켜서 상기 증기공급기구(4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증기발생기구(42)가 발생시킨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상기 기준압력으로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3kg/㎠ 압력의 증기를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4.5kg/㎠ 압력의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steam generating device 42 may generate steam having a higher pressure than the pressure of the steam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by the steam supplying device 41 and supply the steam to the steam supply device 41 . Accordingly,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vessel 2 at the reference pressure using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42 . For example, when the steam supply device 41 supplies steam at a pressure of 3 kg/cm 2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the steam generating device 42 may generate steam at a pressure of 4.5 kg/cm 2 .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히터(Heater) 등과 같은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상기 가열장치가 발생시킨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42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The steam generator 42 may be built into the main body 10. The steam generating mechanism 4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team supplying mechanism 41 . The steam generator 42 may include a heating device such as a heater. The steam generator 42 may generate steam us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device.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압력조절부(4)는 승강기구(4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pressure control unit 4 may include an elevating mechanism 43 .

상기 승강기구(43)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승강기구(43)가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하강시키면,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주입구(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연통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가열부(5)가 상기 용기(2)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이 증가되고, 상기 용기(2)에 대한 내부가열과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이 함께 수행됨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설정된 조리시간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면, 상기 승강기구(43)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기체가 상기 주입구(31)를 통해 상기 용기(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기구(43)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주입구(31)로부터 이격되는 위치까지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조리시간은 조리가 시작되기 이전에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43)가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상승시킨 시점부터 설정된 배출시간이 경과되면,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이 출력될 수 있다. 알람은 알람부(미도시)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배출시간은 상기 용기(2) 내부의 잔여압력이 모두 빠져나갈 때까기 걸리는 시간으로, 조리가 시작되기 이전에 작업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람이 출력되는 동안 또는 상기 알람이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용기(2)를 상기 가열부(5)로부터 상승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용기(2)가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반출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작업자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levating mechanism 43 elevates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 When the elevating mechanism 43 lowers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 In this case, the steam supply device 41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let 31 . In this state,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supplies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and the heating unit 5 can heat the container 2. Accordingl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is increased, and the in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and the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are performed together, so that cooking can be performed. When cooking is performed during the set cooking time, the elevating mechanism 43 may elevate the steam supplying mechanism 41 . Accordingly, the internal ga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 through the inlet 31 . In this case, the lifting mechanism 43 may lift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to a position where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is spaced apart from the inlet 31 . Meanwhile, the cooking time may be preset by an operator before cooking starts. When a set discharge time elapses from the point at which the lifting mechanism 43 raises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an alarm notifying that cooking is completed may be output. An alarm may be output by an alarm unit (not shown). The discharge time is the time taken until the residual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2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may be set in advance by an operation prior to the start of cooking. Meanwhile, while the alarm is output or before the alarm is output, an operation of raising the container 2 from the heating unit 5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container 2 can be easily taken out by the operator after cooking is complet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operator.

상기 승강기구(43)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증기공급기구(41)는 상기 승강기구(43)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43)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lifting mechanism 43 is a cylinder method using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a ball screw method using a motor and a ball screw, a gear method using a motor,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and a belt using a motor, a pulley, and a belt.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may be raised and lowered using a method, a linear motor method using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or the like.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may be coupled to the elevating mechanism 43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lifting mechanism 43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센서부(6)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6.

상기 센서부(6)는 센싱을 통해 조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6)는 센싱을 통해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센서부(6)가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센서부(6)가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6 acqui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oking through sensing. The sensor unit 6 may ob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through sensing. In this case, the pressure controller 4 may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using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unit 6 . The heating unit 5 may perform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using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unit 6 .

상기 센서부(6)는 압력센서(6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6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61 .

상기 압력센서(61)는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61)는 획득한 압력정보를 상기 압력조절부(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압력센서(61)로부터 제공된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급하는 증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압력센서(61)로부터 제공된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상기 기준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61)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압력정보를 상기 압력조절부(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61)는 상기 용기(2)와 상기 뚜껑(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61 measu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vessel 2 to obtain pressure information. The pressure sensor 61 may provide the obtained pressure information to the pressure control unit 4 . The pressure controller 4 may adjust the flow rate of steam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ssel 2 using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essure sensor 61 . In this case, the pressure control unit 4 may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to the reference pressure using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essure sensor 61 . The pressure sensor 61 may provid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pressure control unit 4 usin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pressure sensor 61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 2 and the lid 3.

상기 센서부(6)는 온도센서(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6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62 .

상기 온도센서(62)는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센서(62)는 획득한 온도정보를 상기 가열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온도센서(62)로부터 제공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가 되도록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2)는 획득한 온도정보를 상기 압력조절부(4)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온도센서(62)로부터 제공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에 대한 내부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가 되도록 상기 용기(2)에 대한 내부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2)는 획득한 온도정보를 상기 가열부(5)와 상기 압력조절부(4) 모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5)와 상기 압력조절부(4)는 상기 온도센서(62)가 획득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과 상기 용기(2)에 대한 내부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2)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온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2)는 상기 용기(2)와 상기 뚜껑(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62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to obtain temperature information. The temperature sensor 62 may provide the obtain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heating unit 5 . The heating unit 5 may perform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using tempera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62 . 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5 may perform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becomes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ensor 62 may provide the obtain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pressure controller 4 . The pressure controller 4 may perform internal heating of the vessel 2 using tempera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62 . In this case, the pressure regulator 4 may perform in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becomes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ensor 62 may provide the obtain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both the heating unit 5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4 . In this case, the heating unit 5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4 perform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and in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us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2. heating can be performed. The temperature sensor 62 may provide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temperature sensor 62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 2 and the lid 3.

상기 센서부(6)는 용기센서(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6 may include a vessel sensor 63.

상기 용기센서(63)는 상기 용기(2)의 안착여부를 감지하여 안착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용기센서(63)는 획득한 안착정보를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는 상기 안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가 조리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리위치는 상기 압력조절부(4)에 의한 증기 공급과 상기 가열부(5)에 의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2)의 위치이다. 예컨대, 상기 조리위치는 상기 용기(2)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용기센서(63)는 상기 가열부(5) 또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센서(63)는 근접센서, 중량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ainer sensor 63 detects whether the container 2 is seated and obtains seating information. The vessel sensor 63 may provide the obtained seating information to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 The pressure control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can check whether the container 2 is located in the cooking position using the seating information. The cooking position is a position of the container 2 where steam can be supplied by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external heating by the heating unit 5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cooking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2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The container sensor 63 may be coupled to the heating part 5 or the main body 10 . The container sensor 63 may be implemented as a proximity sensor, a weight sensor, or an optical sensor.

상기 센서부(6)는 뚜껑센서(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6 may include a lid sensor 64.

상기 뚜껑센서(64)는 상기 뚜껑(3)이 상기 용기(2)를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폐쇄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뚜껑센서(64)는 획득한 폐쇄정보를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는 상기 폐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뚜껑(3)이 상기 용기(2)를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안착정보를 통해 상기 용기(2)가 상기 조리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됨과 아울러 상기 폐쇄정보를 통해 상기 뚜껑(3)이 상기 용기(2)를 폐쇄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압력조절부(4)가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작업과 상기 가열부(5)가 상기 용기(2)를 가열하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기발생기구(42)가 증기를 발생시켜서 상기 증기공급기구(41)에 공급하고,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뚜껑센서(64)는 상기 뚜껑(3)과 상기 용기(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뚜껑센서(64)는 근접센서, 중량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뚜껑센서(64)는 상기 용기(2)에 대해 상기 뚜껑(3)이 상대적으로 회전된 각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폐쇄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lid sensor 64 detects whether the lid 3 closes the container 2 and obtains closing information. The lid sensor 64 may provide the obtained closing information to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can check whether the lid 3 has closed the container 2 using the closing information. When it is confirmed through the seating information that the container 2 is located at the cooking position and also through the closing information that the lid 3 closes the container 2,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 to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and the heating unit 5 to heat the container 2 may proceed. In this case, an operation in which the steam generator 42 generates steam and supplies it to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and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supplies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may proceed. there is. The lid sensor 64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lid 3 and the container 2 . The lid sensor 64 may be implemented as a proximity sensor, a weight sensor, an optical sensor, and the like. The lid sensor 64 may acquire the closing information by detecting an angle at which the lid 3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2 .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어부(7)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ler 7.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센서부(6)가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7)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6)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상기 제어부(7)를 이용하여 조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using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unit 6 . The control unit 7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6 usin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usin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o that cook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using the control unit 7 .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압력센서(61)로부터 제공된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이 될 때까지,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가열부(5)가 상기 용기(2)를 가열하지 않도록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이 되면,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가열부(5)가 상기 용기(2)를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가 상기 용기(2)의 가열을 시작한 시점부터 상기 용기(2)의 가열을 종료할 때까지,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4)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using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essure sensor 61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 can control the pressure control unit 4 using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pressure control unit 4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is adjusted to the reference pressure. Unti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reaches the reference pressure, 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heating unit 5 so that the heating unit 5 does not heat the container 2. .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becomes the reference pressure, 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heating unit 5 so that the heating unit 5 heats the container 2 . From the time the heating unit 5 starts heating the container 2 until the heating of the container 2 ends, 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to be the reference pressu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so as to be maintained.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온도센서(62)로부터 제공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로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에는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별로 그에 대응되는 기준압력이 룩업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이 변동되면, 변동된 내부압력에 대응되는 기준온도로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압력정보에 따라 증기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4)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상기 기준압력으로 조절하고, 상기 온도정보에 따라 상기 가열부(5)의 가열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를 상기 기준온도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를 상기 기준온도로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4)를 제어하지 않고, 상기 가열부(5)만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us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62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 can control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us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pressure control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is adjusted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7 may store reference pressures corresponding to each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as data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fluctuates, the controller 7 controls the pressure controller 4 and the heating unit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to a referenc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fluctuated internal pressure. (5)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e pressure control unit 4 so that the supply amount of steam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thereb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to the reference pressure, and the heat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may be adjusted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5 so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unit 5 is adjust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only the heating unit 5 without controlling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in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용기센서(63)로부터 제공된 안착정보와 상기 뚜껑센서(64)로부터 제공된 폐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안착정보를 통해 상기 용기(2)가 상기 조리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됨과 아울러 상기 폐쇄정보를 통해 상기 뚜껑(3)이 상기 용기(2)를 폐쇄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압력조절부(4)와 상기 가열부(5)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증기발생기구(42)가 증기를 발생시켜서 상기 증기공급기구(41)에 공급하고,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증기발생기구(42)와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승강기구(43)가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승강기구(4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7)는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승강기구(43)가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기구(43)를 제어한 후에, 설정된 배출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알람부가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using the sea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ainer sensor 63 and the clo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id sensor 64 . When the control unit 7 confirms that the container 2 is located in the cooking position through the seating information and also confirms that the lid 3 closes the container 2 through the clos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essure adjusting unit 4 and the heating unit 5 to operat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at the steam generator 42 generates steam and supplies it to the steam supply unit 41, and the steam supply unit 41 supplies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eam generator 42 and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to supply. The controller 7 may control the elevating mechanism 43 so that the elevating mechanism 43 lowers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 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e elevator mechanism 43 to raise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when the set cooking time elapses, and then controls the alarm unit 43 when the set discharge time elapses. The alarm unit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n alarm.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물공급부(8)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8 .

상기 물공급부(8)는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용기(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기(2)는 공급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위치는 상기 조리위치로부터 이격된 곳으로, 상기 물공급부(8)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공급위치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가 상기 공급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용기(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위치에 위치된 용기(2)는 상기 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용기(2)가 상기 공급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센서가 상기 공급위치에 위치된 용기(2)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7)는 상기 물공급부(8)가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물공급부(8)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는 근접센서, 중량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용기(2)를 상기 공급위치와 상기 조리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2)를 상기 공급위치와 상기 조리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작업은, 별도의 이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water supply unit 8 supplies water. The water supply unit 8 may supply water to the container 2 . In this case, the container 2 may be placed in the supply position. The supply posi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ooking position and may be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8 . The water supply unit 8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supply position. As shown by dotted lines in FIGS. 4 and 5 , when the container 2 is located at the supply position, the water supply unit 8 can supply water to the container 2 . The container 2 positioned at the supply position may be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 . A position senso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detect whether the container 2 is located at the supply position. When the position sensor detects the container 2 located at the supply position, the control unit 7 can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8 so that the water supply unit 8 supplies water. The position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proximity sensor, a weight sensor, or an optical sensor. The operation of moving the container 2 between the supply position and the cooking position may be performed by a worker. The operation of moving the container 2 between the supply position and the cooking position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moving device (not shown).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용기(2)에 수용되는 곡물의 양에 대응되는 물의 양(이하, '기준유량'이라 함)보다 더 적은 양의 물을 상기 용기(2)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용기(2)의 내부로 공급한 증기가 조리과정에서 물로 변환되므로, 상기 물공급부(8)가 상기 기준유량에 해당하는 물을 상기 용기(2)에 공급하면 곡물의 양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기준유량에서 증기로부터 변환될 물의 유량을 감산한 유량에 해당하는 물을 상기 용기(2)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증기를 이용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증기에 의한 물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양의 물을 공급하여 음식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와 상기 제어부(7)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공급할 증기의 유량별로 상기 용기(2)에 공급하여야 하는 물의 유량이 룩업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8 may supply a smaller amount of water to the container 2 than the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grai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ndard flow rate'). Since the steam supplied by the steam supply unit 41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is converted to water during the cooking process, when the water supply unit 8 supplies water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flow rate to the container 2 This is because it provides more water than grain.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unit 8 may supply water corresponding to a flow rat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low rate of water to be converted from steam from the reference flow rate to the container 2 . Therefore,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cooking time by using steam, and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food by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water caused by steam. In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unit 8 and the control unit 7, the flow rate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2 for each flow rate of steam to be supplied by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can be stored as data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there is.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증기발생기구(42)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증기발생기구(42)는 상기 물공급부(8)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에, 증기를 상기 증기공급기구(4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는 호스(Hose), 배관 등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구(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용기(2)에 수용되는 곡물의 양에 따라 상기 증기발생기구(42)에 공급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와 상기 제어부(7)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용기(2)에 수용되는 곡물의 양별로 상기 증기발생기구(42)에 공급하여야 하는 물의 유량이 룩업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안착정보를 통해 상기 용기(2)가 상기 조리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됨과 아울러 상기 폐쇄정보를 통해 상기 뚜껑(3)이 상기 용기(2)를 폐쇄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증기발생기구(4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The water supply unit 8 may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42 . The steam generator 42 heat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8 to generate steam, and then supplies the steam to the steam supply unit 41 . The water supply unit 8 may b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42 through a hose, pipe, or the like. The water supply unit 8 may adjust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42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i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 In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unit 8 and the control unit 7, the flow rate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42 for each amount of grai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is stored as data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can When the water supply unit 8 confirms that the container 2 is located in the cooking position through the seating information and also confirms that the lid 3 closes the container 2 through the closing information, ,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42. The water supply unit 8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물공급부(8)에는 수위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물공급부(8)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물공급부(8)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위센서는 수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수위정보가 수신되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작업자에게 물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물을 보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위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water level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unit 8 . The water level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8. Whe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8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water level, the water level sensor may generate water level information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alarm unit. The alarm unit may output an alarm when water leve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Accordingly,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uce the worker to replenish water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water level to the worker. The reference water level may be preset by an operator.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곡물공급부(9)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rain supply unit 9.

상기 곡물공급부(9)는 곡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곡물공급부(9)는 상기 용기(2)에 곡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기(2)는 상기 공급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곡물공급부(9)는 상기 공급위치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곡물공급부(9)와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공급위치의 상측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가 상기 공급위치에 위치된 용기(2)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곡물공급부(9)가 곡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곡물공급부(9)를 제어할 수 있다.The grain supply unit 9 supplies grain. The grain supply unit 9 may supply grain to the container 2 . In this case, the container 2 may be disposed at the supply position. The grain supply unit 9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supply position. The grain supply unit 9 and the water supply unit 8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bove the supply position. When the position sensor detects the container 2 located at the supply position, the control unit 7 can control the grain supply unit 9 so that the grain supply unit 9 supplies grain.

상기 곡물공급부(9)는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에 공급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입력정보는 작업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입력정보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조리할 음식의 인분수(人分數)를 입력하면, 상기 조작부는 입력된 인분수에 해당하는 입력정보를 생선한 후에 상기 곡물공급부(9)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곡물공급부(9)는 상기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양의 곡물을 상기 용기(2)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곡물공급부(9)와 상기 제어부(7)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인분수별로 상기 용기(2)에 공급하여야 하는 곡물의 유량이 룩업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입력정보를 상기 물공급부(8)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물공급부(8)는 상기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양의 물을 상기 용기(2)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양의 물을 상기 증기발생기구(42)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곡물공급부(9)는 상기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인분수, 전원 온/오프(On/Off), 음식의 종류, 곡물의 종류 등에 관한 정보가 입력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증기를 공급하는 압력, 상기 증기발생기구(42)가 증기를 발생시키는 압력, 상기 증기발생기구(42)가 발생시킨 증기의 온도, 상기 가열부(5)의 가열온도, 조리시간, 배출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알람 등과 같은 정보를 영상, 이미지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The grain supply unit 9 can adjust the amount of grain supplied to the container 2 using the input information. The inpu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an operator's input. Input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a manipulation unit (not shown)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When a worker inputs the number of servings of food to be cooked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of servings and then provide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grain supply unit 9 . The grain supply unit 9 may supply an amount of grain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ainer 2 . In at least one of the grain supply unit 9 and the control unit 7, the flow rate of grains to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2 for each serving may be stored as data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input information to the water supply unit 8 . The water supply unit 8 may supply an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ainer 2 and may supply an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steam generator 42 . The grain supply unit 9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to input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servings, power on/off, type of food, type of grain, and the like. The operator controls the pressure at which the steam supply device 41 supplies steam, the pressure at which the steam generator 42 generates steam,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42, and the heating unit 5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cooking time, discharge time, etc. can be set.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an alarm in the form of a video or image.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곡물공급부(9)에는 곡물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곡물센서는 상기 곡물공급부(9)에 저장된 곡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곡물공급부(9)에 저장된 곡물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잔량에 도달하면, 상기 곡물센서는 잔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상기 곡물센서로부터 잔량정보가 수신되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는 작업자에게 곡물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곡물을 보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기준잔량은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grain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grain supply unit 9. The grain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grain stored in the grain supply unit (9). When the amount of grain stored in the grain supply unit 9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remaining amount, the grain sensor may generat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alarm unit. The alarm unit may output an alarm when remaining quantit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grain sensor. Accordingly,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uce the worker to replenish the grain by providing the worker with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grain. The standard remaining amount may be set in advance by an operator.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곡물공급부(9)에는 진동발생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기는 상기 곡물공급부(9)를 진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곡물공급부(9)가 곡물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기는 상기 곡물공급부(9)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곡물공급부(9)의 토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vibration generator may be coupled to the grain supply unit 9. The vibration generator vibrates the grain supply unit 9. When the grain supply unit 9 supplies grain, the vibration generator can prevent the discharge port of the grain supply unit 9 from being clogged by vibrating the grain supply unit 9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곡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곡물을 이용하여 밥을 조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1 to 6,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oking food using grains. For example,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cooking rice using grains.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S20), 및 증기 공급과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a container (S10), heating the container (S20), and stopping steam supply and heating (S30).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는,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S10)는 증기공급기구(4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를 통해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가 공급되면,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과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 모두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용기(2)에는 곡물과 물이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This step (S10) may be performed by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When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through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bot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may increase. there is. Grains and w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S20)는, 상기 용기(2)를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S20)는 상기 가열부(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S20)를 통해,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함께 상기 용기(2)에 대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상기 용기(2)에 대한 내부가열과 외부가열을 이용하여 음식의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도록 구현되므로, 주변환경의 압력이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주변환경의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음식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S20)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는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heating of the container (S20) may be performed by heating the container 2. This step (S20) may be performed by the heating unit 5. Through the step of heating the container (S20),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in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internal heating by steam. Therefore,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time taken until the cooking of food is completed by u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2 . In addition, since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cook food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is increased using steam,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process of cooking food can be reduced. . Therefore,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uniform quality of food even when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s. The step of heating the container (S20) and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상기 증기 공급과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S30)는, 상기 용기(2)에 대한 증기 공급과 상기 용기(2)에 대한 가열을 중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S30)는 상기 증기공급기구(41)의 작동과 상기 가열부(5)의 작동이 중지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기공급기구(41)의 작동과 상기 가열부(5)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증기 공급과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S30)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가 시작된 시점 및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S20)가 시작된 시점 중에서 늦은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Stopping the supply of steam and heating (S30) may be performed by stopping supply of steam to the container 2 and heating of the container 2. This step (S30) may be performed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5. The operation of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5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 In the step of stopping the steam supply and heating (S30), the cooking time set from the later of the time when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and the time of starting the step of heating the container (S20) is started. It can be done when it has elapsed.

여기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는, 상기 용기(2)에 수용된 물의 끓는점이 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보다 더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상기 기준압력으로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S20)는 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보다 더 높은 온도로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2)를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로 인해 상기 용기(2)에 담긴 물이 끓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용기(2)에 담긴 물의 끓음으로 인해 상기 용기(2)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에 담긴 물의 끓는점을 높임으로써 물이 끓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더 높은 온도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음식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 is adjusted to the reference pressure so that the boiling poi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is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It can be done by doing In this case, the step of heating the container (S20) may be performed by heating the container 2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Accordingly, since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egree of boiling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due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the boiling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causes the container 2 to boil. (2)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adhering to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boiling poi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using steam,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boiling of water and cooking at a higher temperature. Therefore,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food.

한편,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S20)는 상기 기준압력에서의 물의 끓는점 미만으로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용기(2)를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상기 용기(2)의 내부온도로 인해 상기 용기(2)에 담긴 물이 끓는 정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heating of the container (S20) may be performed by heating the container 2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is adjusted below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the reference pressure. Accordingly,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reduce the degree of boiling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due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 .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내부기체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6 ,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scharging internal ga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S40).

상기 내부기체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40)는, 상기 증기 공급과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S30)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기체를 상기 용기(2)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S40)는 상기 주입구(31)를 통해 상기 내부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는 상기 주입구(31)를 통해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tep of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S40), after the step of stopping the steam supply and heating (S30) is performed, the internal ga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2 is discharged to the container ( 2) can be achieved by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is step (S40) may be performed by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through the inlet 31. In this case,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through the inlet 31.

한편, 상기 내부기체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40)는, 상기 승강기구(43)가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상승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는, 상기 승강기구(43)가 상기 증기공급기구(41)를 하강시킨 이후에 상기 증기공급기구(41)가 상기 주입구(31)를 통해 상기 용기(2)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S40) may be performed by the lifting mechanism 43 lifting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In this case, in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after the lifting mechanism 43 lowers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the steam supply mechanism 41 moves to the inlet 31 It can be made by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through.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generating steam (S50).

상기 증기를 발생시키는 단계(S50)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가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S50)는 상기 증기발생기구(4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기를 발생시키는 단계(S50)는 상기 용기(2)의 내부에 공급하는 증기의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의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2)의 내부압력을 상기 기준압력으로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steam (S50) may be performed by generating steam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before the step of supplying the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is performed. This step (S50) may be performed by the steam generator 42. The step of generating the steam (S50) may be performed by generating steam having a higher pressure than the pressure of the steam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 Accordingly,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vessel 2 at the reference pressure using steam.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물을 공급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upplying water (S60).

상기 물을 공급하는 단계(S60)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가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용기(2)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S60)는 상기 물공급부(8)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을 공급하는 단계(S60)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S10)가 수행되기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물을 공급하는 단계(S60)는 상기 용기(2)에 수용되는 곡물의 양에 대응되는 물의 양보다 더 적은 양의 물을 상기 용기(2)에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증기를 이용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증기에 의한 물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양의 물을 공급하여 음식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step of supplying water (S60)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er 2 before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is performed. This step (S60) may be performed by the water supply unit 8. The step of supplying water (S60)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10) is performed. The supplying of water (S60)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a smaller amount of water to the container 2 than the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grai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Accordingly,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oking time by using steam, and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food by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water caused by steam.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곡물을 공급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upplying grains (S70).

상기 곡물을 공급하는 단계(S70)는 상기 물을 공급하는 단계(S60)가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용기(2)에 곡물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S70)는 상기 곡물공급부(9)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lying of grains (S70)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grains to the container 2 before the supplying of water (S60) is performed. This step (S70) may be performed by the grain supply unit 9.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utputting an alarm.

상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기체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40)가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배출시간이 경과되면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알람이 출력되는 동안 또는 상기 알람이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용기(2)를 상기 가열부(5)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은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용기(2)가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반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tep of outputting the alarm may be performed by outputting an alarm when a set discharge time elapses from the point at which the step of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S40) starts. Meanwhile, the step of outputting the alarm may be performed by raising the container 2 from the heating unit 5 while the alarm is output or before the alarm is output. Accordingly, the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ainer 2 to be easily taken out by the operator after cooking is completed, thereby improving operator convenien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 : 조리장치 10 : 본체
2 : 용기 3 : 뚜껑
31 : 주입구 4 : 압력조절부
41 : 증기공급기구 42 : 증기발생기구
43 : 승강기구 5 : 가열부
6 : 센서부 61 : 압력센서
62 : 온도센서 63 : 용기센서
64 : 뚜껑센서 7 : 제어부
8 : 물공급부 9 : 곡물공급부
1: cooking device 10: main body
2: container 3: lid
31: inlet 4: pressure control unit
41: steam supply mechanism 42: steam generator mechanism
43: lifting mechanism 5: heating unit
6: sensor unit 61: pressure sensor
62: temperature sensor 63: vessel sensor
64: lid sensor 7: control unit
8: water supply unit 9: grain supply unit

Claims (13)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부; 및
상기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과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 모두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Steam)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증기공급기구가 공급한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함께 상기 용기에 대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증기공급기구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물의 끓는점이 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보다 더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을 기설정된 기준압력으로 조절하며,
상기 가열부는 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보다 더 높은 온도로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기준압력에서의 물의 끓는점 미만으로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containers for holding grain;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side of the container;
a pressur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and
Including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ntainer,
The pressure control unit includes a steam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increase both the internal pressur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The heating unit heats the container so that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is performed together with internal heating by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device,
The steam supply mechanism adjust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so that the boiling poi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s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The heating unit heats the container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and heats the container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is adjusted to less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the reference pressure. Characterized by a cook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증기공급기구가 삽입되기 위한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공급기구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steam supply mechanism is inserted,
The steam supply device supplies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in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증기공급기구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증기공급기구가 상기 주입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증기공급기구를 하강시키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기체가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증기공급기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ressure control unit includes a lifting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team supply mechanism,
The lifting mechanism lowers the steam supply mechanism so that the steam supply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let, and raises the steam supply mechanism so that internal ga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inlet. Characterized by a cook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공급기구는 상기 증기발생기구로부터 공급된 증기를 상기 용기의 내부에 공급하며,
상기 증기발생기구는 상기 증기공급기구가 상기 용기의 내부에 공급하는 증기의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의 증기를 발생시켜서 상기 증기공급기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ressure control unit includes a steam generating mechanism for generating steam,
The steam supply mechanism supplies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ing mechanis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team generating device generates steam having a pressure higher than that of the steam supplied by the steam supply device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supplies the steam to the steam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곡물의 양에 대응되는 물의 양보다 더 적은 양의 물을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er,
The water supply unit supplies an amount of water to the container that is smaller than an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grai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곡물과 물이 수용된 용기의 내부압력과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 모두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Steam)를 공급하는 단계;
증기에 의한 내부가열과 함께 상기 용기에 대한 외부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에 대한 증기 공급과 상기 용기에 대한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물의 끓는점이 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보다 더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의 내부압력을 기설정된 기준압력으로 조절하며,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는 대기압에서의 물의 끓는점보다 더 높은 온도로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기준압력에서의 물의 끓는점 미만으로 상기 용기의 내부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increase both the internal pressur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grains and water;
heating the container so that external heating of the container is performed together with internal heating by steam; and
Stopping supply of steam to the vessel and heating of the vessel;
In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so that the boiling poi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The heating of the container may include heating the container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and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to be low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at the reference pressure. A cook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hea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대한 증기 공급과 상기 용기에 대한 가열이 중지된 이후에,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기체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시킨 뚜껑의 주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며,
상기 내부기체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기체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According to claim 8,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fter the supply of steam to the container and the heating of the container are stopped;
In the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an inlet of a lid closing one side of the open side of the container,
The step of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may include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through the in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기 이전에, 상기 용기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공급하는 증기의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According to claim 8,
Generating steam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efore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step of generating steam is a cook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steam at a pressure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steam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기 이전에, 상기 용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곡물의 양에 대응되는 물의 양보다 더 적은 양의 물을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According to claim 8,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efore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 the step of supplying water, an amount of water smaller than an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grai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KR1020210077138A 2020-06-16 2021-06-15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KR1024790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3121 2020-06-16
KR1020200073121 2020-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771A KR20210155771A (en) 2021-12-23
KR102479040B1 true KR102479040B1 (en) 2022-12-19

Family

ID=7917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138A KR102479040B1 (en) 2020-06-16 2021-06-15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0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8879A (en) 2009-05-20 2010-12-0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Rice cooker
JP2012187295A (en) * 2011-03-11 2012-10-04 Panasonic Corp Rice cooker
JP2019030647A (en) 2017-08-07 2019-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oking device
CN209284984U (en) * 2018-09-28 2019-08-23 九阳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ooker and automatic cooking utensil of automatic supplying hot w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8879A (en) 2009-05-20 2010-12-0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Rice cooker
JP2012187295A (en) * 2011-03-11 2012-10-04 Panasonic Corp Rice cooker
JP2019030647A (en) 2017-08-07 2019-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oking device
CN209284984U (en) * 2018-09-28 2019-08-23 九阳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ooker and automatic cooking utensil of automatic supplying hot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771A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108B1 (en) Electric rice cooker
US20180325313A1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US20110256287A1 (en) Steam injection cooking device and method
CA2713015A1 (en) Electric rice cooker and method of cooking rice
KR101984999B1 (en)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CN111095368B (en) Stretched noodle quick cooking device of stretched noodle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10213984B (en) Pressure type rice cooker
JP2007244565A (en) Rice cooker
KR101985000B1 (en)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KR101541615B1 (en) Device for cooking in a double boiler
KR102479040B1 (en)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KR101979943B1 (en)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JP2008093409A5 (en)
JP2017063957A (en) Pressure rice cooking device and rice cook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7044304A (en) Pressure heating cooker
CN108402890A (en) Cooking control method for cooking apparatus
JP5754839B2 (en) Steaming device
CN114098418B (en) Cooking appliance,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425485B2 (en) Rice cooker and rice cooking control method
JP5754838B2 (en) Steaming device
JP7117596B2 (en) rice cooker
JP2013039296A (en) Pressure-type rice cooker
JP2021194233A (en) Heat cooker
JP2022172863A (en) rice cooker
JP6905750B2 (en) Bottled beverage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