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728B1 -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 Google Patents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728B1
KR102478728B1 KR1020210162853A KR20210162853A KR102478728B1 KR 102478728 B1 KR102478728 B1 KR 102478728B1 KR 1020210162853 A KR1020210162853 A KR 1020210162853A KR 20210162853 A KR20210162853 A KR 20210162853A KR 102478728 B1 KR102478728 B1 KR 10247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uilding
pipe
reverse motor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라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21016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7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fighting pipe installation structure, which can be stably maintained, comprising: a fixing unit including a housing, a pair of rotating rollers, and a pair of transfer wires; and a spray device including a transfer body, a pair of fixing rings, and a transfer pipe.

Description

소방 배관 설치구조{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Fire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본 발명은 소방 배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스프링클러와 연결되는 소방 배관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건축물의 천장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스프링클러의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소방 배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fighting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fighting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that enables a sprinkler to be used by conveniently installing it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even when a firefighting piping connected to a sprinkler is not installed in the building. It is about.

건축물에는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이에 반응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각종 소방시설과 소방기구 등이 배치되거나 구비되어 있다.When a fire is detected in a building, various firefighting facilities and firefighting tools capable of extinguishing the fire in response to this are disposed or provided.

이러한 소방시설과 소방기구 등은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에체 소방시설이 위치되도록 이루어지거나, 건축물의 실내에 소방기구를 배치하여 건축물에 발생된 화재에 신속히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These firefighting facilities and firefighting devices are made so that the firefighting facilities are located on the ceiling or walls of the building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uilding, or by arranging firefighting devices inside the building to quickly respond to a fire occurring in the building.

이때, 가장 보편적으로 구비되는 것은 스프링클러로서,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건축물에 구비되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건축물에 발생 된 화재를 스프링클러가 감지하는 경우,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천장에서 바닥면의 방향으로 배관을 통하여 흐르는 물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ost commonly provided is a sprinkler, which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pipe provided in the building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uilding. It is configured so that water flowing through it is sprayed.

위와 같은 스프링클러는 대개, 건축물의 시공 과정에서 천장에 설치되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미리 설치되는 것이 보통으로, 건축물의 시공을 이루기 전에 스프링클러의 위치와 갯수 등을 미리 계산하여 설치되는 것이다.The above sprinkler is usually installed in advance to be connected to a pipe installed on the ceiling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building, and is installed by calculating the location and number of sprinklers in advance before constructing the building.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노후 된 건물이나 가건물과 같은 경우에는 스프링클러를 새로 설치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common for sprinklers to be install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building. In the case of an old building or a temporary building where no sprinkler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and use a new sprinkler.

이는 즉,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클러의 구성을 노후된 건물이나 가건물과 같은 경우에는 용이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어, 건축물에 발생된 화재에 신속히 대응하며 화재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That is, as in Document (1), it may be difficult to easily apply the sprinkler configuration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to an old building or a temporary building. It could have caused problems that were difficult to respond to and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20-0329043(2003.09.25)(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registration number 20-0329043 (2003.09.2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건축물에 구비된 배관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스프링클러의 설치와 사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use a sprinkler even when a sprinkler is not installed in a pipe provided in a building.

둘째, 천장의 하단으로 고정장치와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사장치의 설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형태나 실내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스프링클러의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Second, even when a fixing device and a spraying device are installed and used at the bottom of the ceiling, the user can adjus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raying device and use it, thereby flexibly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shape of the building or the indoor environment and using the sprinkler make it possible to achieve

셋째, 건축물에 구비된 배관의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도 물공급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스프링클러의 사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Third,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use the pipe provided in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the sprinkl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넷째, 결합 분리가 가능한 고정장치, 분사장치, 물공급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유지, 보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fixing device, spraying device, and water supply devic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install and use the sprinkler in the place where the sprinkler is to be installed, and if any one of the components is damaged during use, it can be flexibly handled. Respond and ensure stable maintenance and repai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천장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어기와,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판의 상면 양측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와 인접하게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 마주보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와, 일단이 상기 정역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와 이송롤러의 상부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와이어로 구성된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의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가 상면에 구비된 이송몸체와, 상기 이송몸체의 양측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와, 상기 이송몸체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이송몸체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프링클러가 구비된 이송배관과,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기의 조절에 따라 정역모터가 작동될 시, 상기 가이드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모듈로 정역모터의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스위치와, 상기 이송몸체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제어모듈과 기울기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울기센서를 통하여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모듈로 작동대기신호를 전달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to which bolts are coupled ar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and a fixing plate having a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and the fixing plate A housing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housing, a forward and reverse motor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and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A pair of rotation roll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 pair of transfer rollers provided facing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adjacent to the rotation rollers, one end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and the other end transferred to the rotation roller A fixing device composed of a pair of conveying wires connect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roller, a conveying body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and having a guide bar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n the upper surface; A pair of fixing rings provided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transfer body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wire is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sprinklers installed to be fixed inside the transfer body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at the lower end are provided. It consists of a transfer pipe and a conne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p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moves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when the forward/reverse motor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ncludes a control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and an operation signal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o the control module. A control switch that transmits a control switch, a plurality of tilt sensor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ransfer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tilt sensor to transmit an operation standby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tilt sens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er that does.

이때, 상기 이송배관에는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이송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가 더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함이 구비된 설치브라켓과, 상기 물수용함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배관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자바라 구조의 연장부가 구비된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수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water supply devic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supplies water to the transfer pipe is further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the water supply device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to which bolts are couple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body. and an installation bracket having a water container for accommodating water on the front side, a drain pump installed inside the water container,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pipe having an extension of the bellows structure, and an operation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pump and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건축물에 구비된 배관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스프링클러의 설치와 사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use the sprinkler even when the sprinkler is not installed in the pipe provided in the building.

둘째, 천장의 하단으로 고정장치와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사장치의 설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형태나 실내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스프링클러의 사용을 이룰 수 있다.Second, even when a fixing device and a spraying device are installed and used at the bottom of the ceiling, the user can adjus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raying device and use it, thereby flexibly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shape of the building or the indoor environment and using the sprinkler can achieve

셋째, 건축물에 구비된 배관의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도 물공급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스프링클러의 사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Third,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use the pipe provided in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the sprinkl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넷째, 결합 분리가 가능한 고정장치, 분사장치, 물공급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유지, 보수를 이룰 수 있다.Four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fixing device, spraying device, and water supply devic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install and use the sprinkler in the place where the sprinkler is to be installed, and if any one of the components is damaged during use, it can be flexibly handled. Responsive and stable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인 소방 배관 설치구조가 건축물의 천장과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소방 배관 설치구조가 건축물의 천장과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장치의 하단에 설치된 분사장치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고정장치의 하단에 설치된 분사장치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정단면도.
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e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walls of a building.
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e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walls of a building.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jection devic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is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jection devic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is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mmon or dictionary meaning, but 'the inventor must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ca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many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1)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천장(1)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b)이 형성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정역모터(13)와, 상기 정역모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12)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어기(14)와, 상기 하우징(12)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판(11)의 상면 양측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15)와, 상기 회전롤러(15)와 인접하게 상기 고정판(11)의 하단에 마주보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16)와, 일단이 상기 정역모터(1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15)와 이송롤러(16)의 상부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와이어(17)로 구성된 고정장치(10)와, 상기 고정장치(10)의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1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21a)가 상면에 구비된 이송몸체(21)와, 상기 이송몸체(21)의 양측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와이어(17)의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2)와, 상기 이송몸체(21)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이송몸체(21)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프링클러(23a)가 구비된 이송배관(23)과, 상기 천장(1)에 설치되는 배관(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배관(23)에 연결되는 연결배관(24)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기(14)의 조절에 따라 정역모터(13)가 작동될 시, 상기 가이드홈(11b)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분사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4)는 상기 정역모터(13)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14a)과, 상기 제어모듈(1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축물의 벽체(3)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모듈(14a)로 정역모터(13)의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스위치(14b)와, 상기 이송몸체(21)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기울기센서(14c)와, 상기 제어모듈(14a)과 기울기센서(14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울기센서(14)를 통하여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모듈(14a)로 작동대기신호를 전달하는 수신기(14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1 of the building,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a to which bolts P are coupled ar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1, and a guide groov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11b) is formed on the fixing plate 11, the housing 12 is installed o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1,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 and the forward and reverse A controller 1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13 and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 and a pair of rota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 around the housing 12 A roller 15, a pair of conveying rollers 16 provided facing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11 adjacent to the rotating roller 15, one end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and the other end A fixing device 10 composed of a pair of conveying wires 17 connect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s of the rotary roller 15 and the conveying roller 16, and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10, The guide bar 21a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b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body 21 and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transport body 21 to provide a A transfer pipe equipped with a pair of fixing rings 22 to which the other end is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sprinklers 23a that ar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transfer body 21 and protrud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21 at the lower end. 23, and a connection pipe 2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pe 2 installed on the ceiling 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3,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When the forward/reverse motor 13 is operated, a spraying device 20 that moves along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guide groove 11b is included, and the controller 14 controls rotation of the forward/reverse motor 13. A control module (14a) electrically conne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4a) and installed on the wall (3) of the building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of the forward/reverse motor (13) to the control module (14a). switch (14b) And, a plurality of tilt sensors 14c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body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4a and the tilt sensor 14c, and a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ilt sensor 14 In this ca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er 14d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tandby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4a.

상기 고정판(11)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1) 하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천장(1)의 하단에 용이한 설치를 이루기 위하여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견고한 재질을 이루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ixing plate 11 is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1 of the building,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achieve easy installation at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1, Preferably, it is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ing a solid material.

또한, 상기 고정판(11)은 상기 천장(1)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1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천장(1)의 하단에 고정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11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a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1,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1 through bolts P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s 11a. fixedly installed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고정판(11)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정역모터(13), 제어기(14)를 고정판(11)의 상측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정역모터(13)와 제어기(14)가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12 is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fixing plate 11, and when insta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and the controller 14,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late 11, the forward and reverse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motor 13 and the controller 1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being damaged.

또한, 상기 정역모터(13)는 상기 제어기(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14)의 조절에 따라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rward/reverse motor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4 and configured to ro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또한, 상기 제어기(14)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역모터(13)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12)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정역모터(13)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14a)과, 상기 제어모듈(1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축물의 벽체(3)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모듈(14a)로 정역모터(13)의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스위치(14b)와, 상기 이송몸체(21)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기울기센서(14c)와, 상기 제어모듈(14a)과 기울기센서(14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울기센서(14)를 통하여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모듈(14a)로 작동대기신호를 전달하는 수신기(14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ntroller 14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and controls rot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A control module (14a)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ro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4a) and installed on the wall (3) of the building to transfer the operation signal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to the control module (14a) a control switch 14b, a plurality of inclination sensors 14c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body 2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4a and the inclination sensor 14c to operate the inclination sensor 14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er (14d)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tandby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4a)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기(14)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3)에 설치되는 제어스위치(14b)를 통하여 재어모듈(14a)로 작동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4a)을 통하여 정역모터(13)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이송몸체(21)의 상부로 복수개의 기울기센서(14c)가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기울기센서(14c)를 통하여 이송몸체(21)의 기울기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울기센서(14c)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가 수신기(14d)로 전달되어, 상기 수신기(14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모듈(14a)로 작동대기신호를 전달하게 구성되는 것이다.Describing this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ntroller 14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4a through the control switch 14b installed on the wall 3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14a, and a plurality of inclination sensors 14c are provided above the transfer body 21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When a change in the tilt of the transfer body 21 is detected through the tilt sensor 14c, the signal sensed through the tilt sensor 14c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14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14d.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 operation standby signal to the connected control module 14a.

이는 즉, 사용자가 벽체(3)에 설치된 제어스위치(14b)를 조절하여 정역모터(13)의 회전을 조절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울기센서(14c)를 통하여 이송몸체(21)의 기울기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수신기(14d)를 통하여 제어모듈(14b)로 작동대기신호가 전달되어 정역모터(13)의 회전이 멈출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even when the user adjusts the rotation of the forward/reverse motor 13 by adjusting the control switch 14b installed on the wall 3, the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transfer body 21 is detected through the inclination sensor 14c. In this case, the operation standb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4b through the receiver 14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can be stopped.

또한, 상기 회전롤러(15)는 상기 고정판(11)의 상면 양측부에 한쌍이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이송롤러(16)는 상기 고정판(11)의 하단에 회전롤러(15)와 인접하도록 마주보게 구비된다.In addition, a pair of the rotating rollers 15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11, and the conveying roller 16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plate 11 to be adjacent to the rotating roller 15. are provided face to face.

이러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정역모터(13)에 일단이 연결된 이송와이어(17)가 상기 회전롤러(15)와 이송롤러(16)의 안내를 받으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분사장치(20)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 to 4, the transfer wire 17,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is guided by the rotation roller 15 and the transfer roller 16,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jector 20 to be done.

또한, 상기 분사장치(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10)의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장치(10)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이송몸체(21)와, 상기 이송몸체(21)의 양측부에 돌출 구비되는 고정고리(22)와, 상기 이송몸체(21)의 하부로 돌출되는 이송배관(23)과, 상기 천장(1)에 설치되는 배관(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배관(23)에 연결되는 연결배관(24)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4, the injection device 2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10, and as a configuration for this,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10. a transfer body 21, a fixing ring 2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transfer body 21, a transfer pipe 23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21, and the ceiling 1 ) It consists of a connection pipe 2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pe 2 installed i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3.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몸체(21)는 상면에 가이드바(21a)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장치(11)의 가이드홈(11b)에 상기 가이드바(21a)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Describing this configuration in detail, the transfer body 21 is provided with a guide bar 21a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guide bar 21a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b of the fixing device 11.

즉, 상기 가이드홈(11b)과 가이드바(21a)가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장치(10)의 하단에서 이송몸체(21)가 도 3 및 4에서와 같이, 이동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고리(22)에는 상기 정역모터(13)에 일단이 연결된 이송와이어(17)가 연결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어기(14)를 통하여 정역모터(13)의 작동이 제어되는 경우에도, 상기 정역모터(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송와이어(17)가 이동을 이루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몸체(21)를 고정장치(10)의 하단에서 이동시켜 위치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roug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guide groove 11b and the guide bar 21a are coupled, the transfer body 21 is configured to move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1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xing ring 22 is configured so that the transfer wire 17,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is connected,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14. , The transfer wire 17 is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transfer body 21 can be moved and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10. It will be composed.

또한, 상기 이송배관(23)은 하단에 복수개의 스프링클러(23a)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몸체(21)의 위치 이동에 따라 이송배관(23)의 하단에 복수개 구비된 스프링클러(23a)의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ransfer pipe 23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prinklers 23a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as the transfer body 21 moves, the plurality of sprinklers 23a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pipe 23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and achieve use.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24)은 건축물의 천장(1)에 설치되는 배관(2)과 상기 이송배관(23)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배관(2)을 통하여 이송되는 물이 연결배관(24)을 통하여 복수개의 이송배관(23)의 스프링클러(23a)로 전달되게 구성됨으로써,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어 스프링클러(23a)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배관(2)의 물이 화재 발생지점으로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24 is installed to connect the pipe 2 installed on the ceiling 1 of the building and the transfer pipe 23, so that the water transported through the pipe 2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4. By being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the sprinklers 23a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pipes 23, even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and the sprinklers 23a operate, the water in the pipes 2 can be easily sprayed to the fire point. There is.

더하여, 상기 이송배관(23)에는 건축물의 벽체(3)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이송배관(23)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30)가 더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물공급장치(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체(3)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31a)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함(31b)이 구비된 설치브라켓(31)과, 상기 물수용함(31b)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수펌프(32)와, 상기 배수펌프(3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배관(23)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자바라 구조의 연장부(33a)가 구비된 배출파이프(33)와, 상기 배수펌프(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3)의 전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pipe 23 is configured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3 of the building and furthe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30 for supplying water to the transfer pipe 23, the water supply device 30 As shown in FIGS. 1 to 4,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1a to which bolts P are coupled ar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3, and a water container 31b in which water is received on the front surface The installation bracket 31 provided therewith, the drain pump 32 installed inside the water container 31b,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3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3 A discharge pipe 33 equipped with an extension 33a of a bellows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peration switch 3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pump 32 and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wall 3 ) is composed of.

상기 설치브라켓(31)은 체결공(31a)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건축물의 벽체(3)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The installation bracket 3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3 of the building through a bolt P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31a, and is made of a solid metal materi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그리고 상기 설치브라켓(31)은 벽체(3)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경우, 전면에 구비된 물수용함(31b)이 벽체(1)의 전면 방향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물수용함(31b)의 내측으로 물을 용이하게 공급하여 채울 수 있게 구성된다.And when the installation bracket 3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3, the water container 31b provided on the front is installed to be expos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wall 1, so that the inner side of the water container 31b It is configured to easily supply and fill with water.

또한, 상기 배수펌프(32)는 상기 물수용함(31b)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3)의 전면에 설치된 작동스위치(34)를 사용자가 조절하는 경우, 물수용함(31b)의 내측에 수용된 물을 상기 이송배관(23)과 연결된 배출파이프(33)의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ain pump 32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container 31b and when the user adjusts the operation switch 34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wall 3, the inside of the water container 31b It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33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3.

이러한 구성은 즉, 건축물의 벽체(3)에 설치된 작동스위치(34)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배수펌프(32)를 작동시킴으로써, 물수용함(31b)의 내측에 수용된 물이 배출펌프(33)를 따라 이송배관(23)의 방향으로 공급되어 이송배관(23)의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클러(23a)로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that is, by operating the drainage pump 32 by adjusting the operation switch 34 installed on the wall 3 of the building by the user, the water accommodated inside the water container 31b operates the discharge pump 33.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pipe 23 and supplied to the sprinkler 23a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ransfer pipe 23.

이는, 건축물의 천장(1)에 설치된 배관(2)이 기능을 이루지 못하거나, 상기 배관(2)과 이송배관(23)의 연결 상태가 불리하여 이송배관(23)으로 배관(2)의 물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물수용함(31b)의 내측에 수용된 물을 이송배관(23)과 연결된 스프링클러(23a)의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어, 건출물에 발생된 화재에 더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pipe 2 installed on the ceiling 1 of the building does not function, or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ipe 2 and the transfer pipe 23 is unfavorable, and the water in the pipe 2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ipe 23. Even when this is not supplied, the water contained inside the water container 31b can be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sprinkler 23a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3, so that it can respond more flexibly to a fire occurring in the building will be.

또한, 상기 배출파이프(33)는 자바라 구조의 연장부(33a)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고정장치(10)의 하단에서 분사장치(20)가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분사장치(20)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으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33 is configured by having an extension 33a of a bellows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jection device 20 moves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10, as shown in FIGS. 3 and 4. Even when forming, the movement of the injector 20 is not hindered and can be used easily.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천장 2: 배관
3: 벽체 10: 고정장치
11: 고정판 11a: 결합공
11b: 가이드홈 12: 하우징
13: 정역모터 14: 제어기
14a: 제어모듈 14b: 제어스위치
14c: 기울기센서 14d: 수신기
15: 회전롤러 16: 이송롤러
17: 이송와이어 20: 분사장치
21: 이송몸체 21a: 가이드바
22: 고정고리 23: 이송배관
23a: 스프링클러 24: 연결배관
30: 물공급장치 31: 설치브라켓
31a: 체결공 31b: 물수용함
32: 배수펌프 33: 배출파이프
33a: 연장부 34: 작동스위치
P: 볼트
1: ceiling 2: plumbing
3: wall 10: fixture
11: fixed plate 11a: coupling ball
11b: guide groove 12: housing
13: forward and reverse motor 14: controller
14a: control module 14b: control switch
14c: tilt sensor 14d: receiver
15: rotating roller 16: transfer roller
17: transfer wire 20: injector
21: transfer body 21a: guide bar
22: fixing ring 23: transfer pipe
23a: sprinkler 24: connection pipe
30: water supply device 31: installation bracket
31a: fastening hole 31b: water container
32: drain pump 33: discharge pipe
33a: extension 34: operating switch
P: Volt

Claims (2)

건축물의 천장(1)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천장(1)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b)이 형성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정역모터(13)와, 상기 정역모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12)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어기(14)와, 상기 하우징(12)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판(11)의 상면 양측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15)와, 상기 회전롤러(15)와 인접하게 상기 고정판(11)의 하단에 마주보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16)와, 일단이 상기 정역모터(1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15)와 이송롤러(16)의 상부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와이어(17)로 구성된 고정장치(10)와,
상기 고정장치(10)의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1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21a)가 상면에 구비된 이송몸체(21)와, 상기 이송몸체(21)의 양측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와이어(17)의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2)와, 상기 이송몸체(21)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이송몸체(21)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프링클러(23a)가 구비된 이송배관(23)과, 상기 천장(1)에 설치되는 배관(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배관(23)에 연결되는 연결배관(24)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기(14)의 조절에 따라 정역모터(13)가 작동될 시, 상기 가이드홈(11b)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분사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4)는
상기 정역모터(13)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14a)과,
상기 제어모듈(1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축물의 벽체(3)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모듈(14a)로 정역모터(13)의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스위치(14b)와,
상기 이송몸체(21)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기울기센서(14c)와,
상기 제어모듈(14a)과 기울기센서(14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울기센서(14)를 통하여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모듈(14a)로 작동대기신호를 전달하는 수신기(14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설치구조.
I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eiling (1) of the building,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a) to which bolts (P) are coupled ar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1), and a guide groove (11b)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The formed fixing plate 11, the housing 12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fixing plate 11,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 and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A controller 14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 and a pair of rotating rollers 1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 around the housing 12 And, a pair of transfer rollers 16 provided facing the lower end of the fixed plate 11 adjacent to the rotation roller 15, one end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roller ( 15) and a fixing device 10 composed of a pair of conveying wires 17 connect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conveying roller 16;
I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device 10 and has a guide bar 21a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ody 21 and the transfer body 21. A pair of fixing rings 22 protruding from both sides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wire 17 is connected,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transfer body 21, and at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body 21 A transfer pipe 23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prinklers 23a protruding into and a conne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pe 2 installed on the ceiling 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3 ( 24) and includes an injection device 20 that moves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1b when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The controller 14 is
A control module 14a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rol rot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A control switch 14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4a and installed on the wall 3 of the building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to the control module 14a;
A plurality of inclination sensors 14c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body 21;
Including a receiver 14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4a and the tilt sensor 14c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tandby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4a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tilt sensor 14 Fire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배관(23)에는 건축물의 벽체(3)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이송배관(23)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30)가 더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장치(30)는
상기 벽체(3)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31a)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함(31b)이 구비된 설치브라켓(31)과,
상기 물수용함(31b)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수펌프(32)와,
상기 배수펌프(3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배관(23)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자바라 구조의 연장부(33a)가 구비된 배출파이프(33)와,
상기 배수펌프(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3)의 전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설치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pipe 23 is further connected to a water supply device 30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3 of the building and supplies water to the transfer pipe 23,
The water supply device 30 is
An installation bracket 31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1a to which bolts P are coupl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3 and having a water container 31b for receiving water on the front side,
A drainage pump 32 installed inside the water container 31b;
A discharge pipe 3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3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3 and having an extension part 33a of a bellows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e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on switch (3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pump (32) and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wall (3).



KR1020210162853A 2021-11-24 2021-11-24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KR102478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53A KR102478728B1 (en) 2021-11-24 2021-11-24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53A KR102478728B1 (en) 2021-11-24 2021-11-24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728B1 true KR102478728B1 (en) 2022-12-20

Family

ID=8453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853A KR102478728B1 (en) 2021-11-24 2021-11-24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7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43Y1 (en) 2003-07-11 2003-10-10 김종범 fixing structure of sprinkler
KR101978990B1 (en) * 2019-02-22 2019-05-17 (주)지여이앤씨 Fire fighting equipments for ho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43Y1 (en) 2003-07-11 2003-10-10 김종범 fixing structure of sprinkler
KR101978990B1 (en) * 2019-02-22 2019-05-17 (주)지여이앤씨 Fire fighting equipments for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6219B1 (en) Laser align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080093092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936056B1 (en) sprinkler head for fire fighting
KR102286742B1 (en)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US20020005288A1 (en)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protection application
KR102478728B1 (en)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KR102359476B1 (en)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KR20160002166U (en) Sprinkler system for spraying up and down
KR102349302B1 (en) Apparatus of protection fire spread using cable support tray
KR101994299B1 (en) Connecting Device of Sprinkler Head
CN112316343B (en) Application of flow switch in fire-fighting system of high-rise building with height of more than 250 meters
US20080185159A1 (en) Foam fire suppression apparatus
KR102484755B1 (en)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KR20200008419A (en) Fire fighting equipment for buildings
KR101704409B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KR102449861B1 (en)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JPH04266773A (en) Feed water pressure control system f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200470466Y1 (en) up and down device of connecting pipe of water springkler head
KR102402770B1 (en) The fireproof petal which is establish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KR102360326B1 (en) A preventing fire spread between floor of a building
KR100276207B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building
KR101647971B1 (en) Sprinkler for firefighting
KR20220076813A (en) Automatic fire fighting system in utility tunne
KR102209213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for fire protection
KR102428999B1 (en) Fire piping structure for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