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596B1 - 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 - Google Patents

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596B1
KR102477596B1 KR1020200153867A KR20200153867A KR102477596B1 KR 102477596 B1 KR102477596 B1 KR 102477596B1 KR 1020200153867 A KR1020200153867 A KR 1020200153867A KR 20200153867 A KR20200153867 A KR 20200153867A KR 102477596 B1 KR102477596 B1 KR 10247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ladder
work
connec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7306A (en
Inventor
강순택
Original Assignee
강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택 filed Critical 강순택
Priority to KR102020015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596B1/en
Publication of KR2022006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3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5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manual picking, e.g. ladders, c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을 채집하여 수납용기에 담은 고소 작업이 이루어지는 고소 작업지점에 충분한 작업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 안정성과 편리성이 확보되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발판들이 상하 이격하여 형성된 사다리 본체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판상체로 구성되며, 전방변에 연결축이 형성된 연결 테이블과; 상단에 힌지 연결단이 형성되어, 연결 테이블의 연결축에 힌지 연결단를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사다리 본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연결 테이블의 전방에 배치되어, 고소 작업공간에서 수확된 과일, 또는 수확된 과일을 수납하는 수확용기를 거치하는 확장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ladder for harvesting fruit that is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and secures work stabili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work at height while securing sufficient work space at the place where work at height is performed by collecting fruits and putting them in a storage container. As for
In the present invention, a ladder body formed by a plurality of scaffol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nection table composed of a plate-shaped bod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adder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shaft formed at a front side; A support leg having a hinge connection end formed at the top and assembling the upper and lower hinge structures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end on the connection shaft of the connection table to support the ladder body at an angle; and an extension holder disposed in front of the linking table and holding a fruit harvested in the high-altitude work space or a harvest container accommodating the harvested fruit.

Description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

본 발명은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을 채집하여 수납용기에 담은 고소 작업이 이루어지는 고소 작업지점에 충분한 작업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 안정성과 편리성이 확보되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ladder for harvesting fruit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work space at the place where work at height is performed by collecting fruits and putting them in a storage container, while being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work at height. It relates to a work ladder for fruit harvesting that ensures work stability and convenience.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각종 산업현장 및 농가 등에서 여러 장소로 이동하면서 고소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이다.In general, a ladder is an item used to perform work at height while moving from various industrial sites and farmhouses to various places.

그리고, 농가에서는 전통적으로 과수의 수확시 사다리를 설치하여 사다리를 통해 높은 곳에 위치한 과일을 수확하고 있으며, 최근 리프트 장치 등이 개발 상용화되어 보급되고 있으나, 리프트 장치의 진입이 어려운 곳에서는 현재도 사다리를 사용하여 과일을 수확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farms traditionally install ladders when harvesting fruit trees to harvest fruits located in high places through the ladders. Recently, lif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but in places where access to lift devices is difficult, ladders are still used. It is used to harvest fruit.

상기 농업용 사다리는 복수의 발판이 이격되게 배치된 사다리 본체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단에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사다리 본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암을 포함한다.The agricultural ladder includes a ladder main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scaffolds are spaced apart; It includes a support arm that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ladder body by a hinge structure and supports the ladder body at an angle.

그런데, 종래 농업용 사다리에는 과일을 수납하는 수확용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아니한 관계로, 작업자가 한 손에 광주리 등의 수확용기를 들고 사다리 본체를 딛고 올라선 다음, 나머지 한 손으로 과수에 열린 열매를 수확하여 수확용기에 담는 형태로 과일 수확이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gricultural ladder does not have a space for holding a harvest container for storing fruits, the worker steps on the ladder body with a harvest container such as a basket in one hand, and then climbs the fruit tree with the other hand. Fruit harvesting is carried out in the form of harvesting the open fruit and putting it in a harvesting container.

그런데, 상기 과일이 담긴 수확용기는 중량이 무거워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수확용기에 과일이 차면 작업자는 과일의 수확을 중단하고 사다리 본체를 따라 지면으로 내려와 새로운 과일 수확용기로 교환한 다음, 사다리에 다시 올라가 과일을 수확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However, the harvest container containing the fruit is heavy and not only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worker, but when the harvest container is filled with fruit, the worker stops harvesting the fruit and comes down to the ground along the ladder body to exchange for a new fruit harvest container. , climbing up the ladder again and harvesting the fruit.

그러나, 이러한 작업형태는 과일의 수확과정에 주기적으로 수확용기를 운반하여야 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과일 수확에 따른 작업의 연속성이 저해되어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한다.However, this type of work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work efficiency decreases because the continuity of the work according to the fruit harvest is disturbed because the harvesting container must be periodically transported during the fruit harvesting process.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2011-0003434호에서는 좌우 1쌍으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레그 및 상기 레그에서 높이 차이를 가지고 복수 개로 수평 형성되어 있는 발판으로 구성된 사다리; 상기 레그의 상부에서 일정 면적을 가지고 수평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 및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을 연결한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 주변에 발생한 공간으로서 수확 박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확 박스 수용부로 구성된 상판; 상기 레그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레그의 하단 단면적보다 넓게 분포 형성되어 지면 밀착 면적을 가지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실 수확용 작업대를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3434 discloses a pair of left and right legs extending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top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ly formed scaffolds having a height difference in the legs A ladder consisting of; It is formed horizontally with a certain area at the top of the leg, and a supporter connecting the frame so that the frame forming the frame and the operator can step on it, and a space generated around the supporter to accommodate the harvest box A top plate composed of a harvest box receiving portion; I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and it proposes a multi-purpose fruit harvesting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edestal having a ground contact area formed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end of the leg.

상기 과실 수확용 작업대는 수확용기를 거치할 수 있는 상판이 형성되어 수확용기를 작업자가 한 손으로 드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은 해소되었으나, 여러 개의 수확용기를 거치할 수 없고, 또 부피가 커 운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The fruit harvesting workbench has a top plate for holding harvest containers, and the cumbersome work process of the operator holding the harvest containers with one hand has been eliminated. It has significant downside problems.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고 제 10-0369366호에서는 사다리 본체에 과일을 낱개씩 이송하는 이송구조를 부가하여, 이송구조를 통해 수확된 과일을 낱개씩 지면으로 이송하도록 한 과일 이송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0369366 proposes a fruit transport device in which a transport structure for transporting fruits one by one is added to the ladder body to transport the harvested fruits to the ground one by one through the transport structure.

상기 과일 이송장치는 수확된 과일을 자동으로 이송 가능하므로 과일의 이송에 따른 편리성은 확보되지만, 매번 수확된 과일을 적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특히 부가된 이송구조에 의해 부피가 비대하고 무게가 무거워 운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Since the fruit transport device can automatically transport the harvested fruits, the convenience of transporting the fruits is secured, but the inconvenience of loading the harvested fruits every time occurs, and in particular, the added transport structure increases the volume and weight.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heavy and has poor transportability.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고 제 10-036936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tice No. 10-0369366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2011-0003434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3434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등반하여 고소 작업공간에 위치된 과일을 수확하여 상자에 포집함에 있어, 휴대과정에서는 부피를 축소하여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수확과정에서는 수확을 요하는 과일이 위치된 고소 작업공간의 안정적인 확보함과 동시에, 수확된 과일을 담는 상자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자 거치대가 형성된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at a worker climbs and harvests fruits located in a high-altitude work space and collects them in a box. In the carrying process, the volume is reduced and stable movement is possible, and the harvest process To provide a work ladder for harvesting fruit with a box holder that enables stable mounting of a box containing the harvested fruit while stably securing the high-altitude work space where the fruit to be harvested is located.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는,The working ladder for fruit harve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발판들이 상하 이격하여 형성된 사다리 본체와; A ladder body formed by a plurality of scaffol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판상체로 구성되며, 전방변에 연결축이 형성된 연결 테이블과;a connection table composed of a plate-shaped bod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adder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shaft formed at a front side;

상단에 힌지 연결단이 형성되어, 연결 테이블의 연결축에 힌지 연결단를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사다리 본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다리; 및A support leg having a hinge connection end formed at the top and assembling the upper and lower hinge structures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end on the connection shaft of the connection table to support the ladder body at an angle; and

상기 연결 테이블의 전방에 배치되어, 고소 작업공간에서 수확된 과일, 또는 수확된 과일을 수납하는 수확용기를 거치하는 확장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ink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nsion holder for holding a fruit harvested in the high-altitude work space or a harvest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harvested fru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다리의 일지점에는 무단 구속부가 형성되고,Preferably, an endless restraining portion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leg,

상기 확장 거치대는 설정면적의 거치공간을 갖는 확장 프레임과; 상기 확장 프레임의 후방변에 형성되어 확장 프레임을 연결 테이블의 전방에 형성된 연결축에 상하 힌지구조로 연결하는 힌지 브라켓; 및 상기 확장 프레임의 일지점에 일단을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하고 하단부는 지지다리의 일지점에 형성된 무단 구속부를 통해 고정되어서,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여 수평을 유지한 확장 프레임을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tension holder includes an extension frame having a mounting space of a set area; A hinge bracket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xtension frame and connecting the extension frame to a connection shaft form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table in a vertical hinge structure; And one end of the extension frame is assembled in a hinge link structure at one point, and the lower end is fixed through an endless restriction form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leg, pivoting up and down around the connecting axis to support the horizontal extension frame in a horizontal st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support arm that does.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다리는, 연결 테이블에 연결축을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일자형의 상부 다리부와, 상기 상부 다리부의 하부에 "∧"형으로 분지되어 하단부를 지면에 각각 지지하는 분지형 하부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support leg is a straight upper leg assembled in an upper and lower hinge structure through a connecting shaft to a connecting table, and a "∧" shape bran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leg to support the lower end on the ground, respectively. It is composed of a terrain lower leg par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하 경사지게 지지된 지지다리와 사다리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 테이블의 전방에, 고소 작업공간에서 채집된 과일이나, 상기 과일들을 담은 수확용기를 수평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확장 거치대를 부가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ront of the connecting tabl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legs and the ladder body, fruits collected in the high-altitude work space or harvest containers containing the fruits can be mounted in a horizontal state An extension stand is added.

이와 같이 확장 거치대를 형성하면, 고소 작업공간에 위치한 작업자가 과일을 수확함에 따른 충분한 고소 작업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사다리 본체의 발판을 딛고 고소 작업공간에 올라선 작업자가 광주리 등의 수확용기를 한 손으로 들고 또 다른 한 손으로 과일을 채집함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이 해소된다.In this way, when the extension cradle is form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high-altitude work space according to the harvesting of fruits by the worker located in the high-altitude work space. Inconvenience in the work of picking fruits with one hand while holding the fruit with the other hand is eliminated.

특히, 상기 확장 거치대는 연결 테이블과 지지다리 사이에 절첩 링크구조로 연결되어서, 지지다리의 전개각의 변화에 따라 유기적으로 상하 선회하여서, 항시 안정된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채집된 과일이나 수확용기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expansion cradle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table and the support leg by a folding link structure, and rotates up and down organical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eployment angle of the support leg to maintain a stable horizontal state at all times, so that the collected fruit or harvest container A stable stand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다리를 일자형의 상부 다리부의 하부에 분지형의 하부 다리부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하여, 고소 작업공간에서는 지지다리에 의한 간섭 발생이 최소화되고 또 저소 작업공간에서는 지지다리가 지면에 2점 지지된 관계로, 지면에 보다 안정된 지지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eg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branched lower le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raight upper leg portion, so that interference caused by the support leg is minimized in a high-altitude work space, and in a low work space, the support leg is ground It has the specificity of being able to form a more stable support state on the ground due to the two-point supported relationship.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4에서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를 이용한 과일의 수확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1 and 2 are combined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orking ladder for fruit harvesting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in Figure 2, and Figure 4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ork ladder for fruit harvesting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ction state of part 'B' in Figure 4,
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harvesting state of fruits using the working ladder for fruit harvesting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orking ladder for harvesting fruit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4에서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를 이용한 과일의 수확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1 and 2 are combined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working ladder for fruit harvesting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2, FIG. 4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orking ladder for fruit harvesting, which is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action state of part 'B' in FIG. 4, and FIG. It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harvesting state of fruits using the working ladder for fruit harvesting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일 수확 작업용 사다리(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발판(11)들이 상하 이격하여 형성된 사다리 본체(10)와;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판상체로 구성되며, 전방변에 연결축(23)이 형성된 연결 테이블(20)과; 상단에 힌지 연결단(31a)이 형성되어, 연결 테이블(20)의 연결축(23)에 힌지 연결단(31a)을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사다리 본체(1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다리(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adder 1 for fruit harvesting work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dder body 10 formed by spaced up and down a plurality of scaffolds 11; A connection table 20 composed of a plate-shaped bod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adder body 10 and having a connection shaft 23 formed at a front side; A hinge connection end (31a) is formed at the top, and is assembled in a vertical hinge structure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end (31a) to the connection shaft 23 of the connection table 20, Supporting leg supporting the ladder body 10 inclinedly (30).

상기 연결 테이블(20)은 연결축(23)을 통해 사다리 본체(10)와 지지다리(30)를 힌지구조로 연결하여, 지지다리(30)의 상하 선회를 통해 사다리 본체(10)의 경사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The connection table 20 connects the ladder body 10 and the support leg 30 in a hinge structure through a connecting shaft 23, and the inclination of the ladder body 10 is adjusted through the up and down rotation of the support leg 30 configured to set

여기서, 상기 과일 수확 작업용 사다리(1)를 구성하는 사다리 본체(10)와, 연결 테이블(20)과 지지다리(30)는 가볍고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되어서, 적은 힘으로도 농민들이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ladder body 10 constituting the ladder 1 for fruit harvesting work, the connecting table 20, and the support leg 30 are made of aluminum alloy material having light weight and excellent durability, so that farmers can use less force. It is designed to be easily portable.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2'는 사다리 본체와 지지다리 사이가 임의 전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안전로프임****** Unexplained code '12' on the drawing is a safety rope that prevents the random deployment between the ladder body and the support leg ***

특히, 도 2와 도 4에서 보는 같이 상기 연결 테이블(20)은 후미를 사다리 본체(10)의 좌우 양편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사다리 본체(10)의 상부 좌우 양편에 대칭하여 배치되며 전방에 조립공(21a)이 좌우 관통되게 형성된 중공의 압출 프레임(21); 및 상기 중공의 압출 프레임(21) 사이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편(22); 및 상기 좌우 이격된 압출 프레임(21)의 조립공(21a)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연결축(23)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connecting table 20 is fixed by wel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dder body 10 at the rear end, and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ladder body 10, and is located in the front A hollow extrusion frame 21 formed so that the assembly hole 21a penetrates left and right; And a support piece 22 fixed through welding between the hollow extrusion frame 21; And a connecting shaft 23 fixed by penetrating the assembly hole 21a of the left and right spaced extrusion frames 21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 테이블(20)은 중공의 압출 프레임(21)을 통해 안정된 지지강도가 확보되고, 또 연결축(23)은 압출 프레임(21)에 형성된 조립공(21a)에 관통하여 지지된 관계로 지지다리(30)와 후술되는 확장 거치대(40)를 힌지구조로 연결하더라도 비틀림 등의 변형 발생이 억제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able 20 is secured with stable support strength through the hollow extrusion frame 21, and the connection shaft 23 is supported by penetrating the assembly hole 21a formed in the extrusion frame 21. Due to this relationship, deformation such as torsion is suppressed even when the support leg 30 and the extension holder 4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by a hinge structure.

그리고, 상기 과일 수확 작업용 사다리(1)를 통한 과수의 수확과정은 작업자가 지지다리(30)를 설정각도로 전개하여 사다리 본체(10)가 지지다리(30)에 의해 소정의 기립각도로 경사지게 지지되어 지면에 경사지게 기립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harvesting process of fruit trees through the ladder 1 for fruit harvesting work, the worker deploys the support leg 30 at a set angle, and the ladder body 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30 at a predetermined standing angle. so as to form an inclined standing state on the ground.

이후, 작업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경사지게 기립된 사다리 본체(10)의 발판(11)들을 순차적으로 딛고 올라서, 과수에 열린 과일 등을 채집하여 수확용기(B)에 수납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6, the worker sequentially steps on the scaffolds 11 of the ladder body 10 standing obliquely on the ground, collects fruits and the like from fruit trees, and stores them in the harvest container B. .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 테이블(20)을 통해 사다리 본체(10)의 상부에 힌지 구조로 조립되어, 사다리 본체(1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다리(30)를 개량하여 고소 작업공간(HS)의 공간 활용도를 저해하지 아니하면서도 사다리(1)의 기립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eg 30 is assembled in a hinge structure on the top of the ladder body 10 through the connection table 20 to support the ladder body 10 at an angle, thereby improving the high-altitude work space (HS) The standing safety of the ladder 1 is ensured without compromising the utilization of spac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다리(30)는 상반부는 일자형의 상부 다리부(31)로 구성하여 좌우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소 작업공간(HS)에 위치한 과수의 가지나 열매, 그리고 작업자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하반부는 "∧"형으로 분지된 분지형 하부 다리부(32)로 구성하여서, 분지형 하부 다리부(32)를 통해 지면에 넓은 폭으로 2점 지지되어 기립 안정성을 확보한다.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half of the support leg 30 is composed of a straight upper leg portion 31 to minimize the left and right width,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branches or fruits of fruit trees located in the high-altitude work space HS and workers. is minimized, and the lower half is composed of a branched lower leg 32 branched in a "∧" shape, and is supported by two points on the ground with a wide width through the branched lower leg 32 to secure standing stability.

그리하여, 지면에 2점 지지를 통해 지면에 2점 지지되는 사다리 본체(10)와 지지다리(30)는 지면에 4점 지지되어서, 작업자가 사다리 본체(10)를 등반하여 고소 작업공간(HS)에서 고소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향상된 작업 안정성이 확보된다.Thus, the ladder body 10 and the support leg 30 supported by 2 points on the ground through 2-point support on the ground are supported by 4 points on the ground, so that the worker climbs the ladder body 10 to create a high-altitude work space (HS) In carrying out work at height, more improved work stability is secur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과일 수확 작업용 사다리(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설정각도로 전개된 지지다리(30)와 상기 지지다리(30)에 의해 지면에 경사지게 기립된 사다리 본체(10)에 의해 고소 작업공간(HS)에 형성된 연결 테이블(20)의 전방에 확장 거치대(40)를 마련하여서, 작업자에 의해 고소 작업공간(HS)에서 채집되는 과일이나, 채집된 과일을 수납하는 수확용기(B)를 안정되게 거치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implementing the ladder 1 for fruit harvesting work, the support leg 30 deployed at the set angle and the ladder body 10 standing inclined on the ground by the support leg 30 A harvest container ( B) can be stably mounted.

이와 같이 확장 거치대(40)를 형성하면, 고소 작업공간에 위치한 작업자가 과일을 수확함에 따른 충분한 고소 작업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사다리 본체(10)의 발판(11)을 딛고 고소 작업공간(TS)에 올라선 작업자가 광주리 등의 수확용기를 한 손으로 들고 또 다른 한 손으로 과일을 채집함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이 해소된다.When the extension holder 40 is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high-altitude work space according to the harvesting of fruits by workers located in the high-altitude work space, and in particular, step on the footrest 11 of the ladder main body 10 to work at high altitude ( TS)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work due to the worker holding a harvest container such as a basket with one hand and collecting fruits with the other hand.

본 실시에에 따른 확장 거치대(40)는, 상부에 수확용기 등을 거치하는 고소 거치공간이 형성된 확장 프레임(41)을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장 프레임(41)을 연결 테이블(30)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되지 아니하고 연결 테이블(20)의 전방과 지지다리(30)의 일지점 사이에 링크구조로 조립하여서 확장 거치대(40)의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extension cradl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xtension frame 41 having a high place mounting space for mounting a harvest container or the like on the top,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frame 4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able 30 It is not formed by extending integrally to the front of the linking table 20 and is assembled in a link structure between the front of the linking table 20 and one point of the support leg 30 so that the extension holder 40 can be folded and deployed.

따라서, 휴대 및 보관시에는 확장 프레임(41)은 링크구조를 통해 절첩되어 지지다리(30)와 사다리 본체(10)에 밀착되어 부피를 축소하여 보관 및 운반에 따른 용이성을 확보하고, 또 사용시에는 지지다리(30)와 사다리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고소 작업공간(TS)에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서 채집된 과일이나 수확용기(B)를 안정되게 거치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carrying and storing, the extension frame 41 is folded through the link structure and adheres to the support leg 30 and the ladder body 10 to reduce the volume to ensure eas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when in use Maintain a horizontal state in the high-altitude work space (T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leg 30 and the ladder body 10 to stably mount the collected fruit or harvest container (B).

즉, 상기 확장 거치대(40)는 설정면적의 거치공간을 갖는 확장 프레임(41)과; 상기 확장 프레임(41)의 후방변에 형성되어 확장 프레임(41)을 연결 테이블(20)의 전방에 형성된 연결축(23)에 상하 힌지구조로 연결하는 힌지 브라켓(42); 및 상기 확장 프레임(41)의 일지점에 일단을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하고 하단부는 지지다리(30)의 일지점에 형성된 무단 구속부(33)를 통해 고정되어서, 연결축(23)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여 수평을 유지한 확장 프레임(41)을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암(43)을 포함한다.That is, the extension holder 40 includes an extension frame 41 having a mounting space of a set area; A hinge bracket 4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xtension frame 41 and connecting the extension frame 41 to the connection shaft 23 formed in the front of the connection table 20 in a vertical hinge structure; And one end is assembled in a hinge link structure at one point of the extension frame 41, and the lower end is fixed through an endless restraining portion 33 form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leg 30, centering on the connecting shaft 23 It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arm 43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ly extended frame 41 by pivoting up and down.

이때, 상기 상기 지지다리(30)의 힌지 연결단(31a)와 확장 거치대(40)의 힌지 브라켓(42)은, 연결 테이블(20)에 형성된 동일 연결축(23)을 통해 동심되게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hinge connection end 31a of the support leg 30 and the hinge bracket 42 of the extension cradle 40 are concentric through the same connection shaft 23 formed on the connection table 20. Up and down hinge structure is assembled with

그리고, 상기 지지다리(30)의 일지점 형성된 무단 구속부(33)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구속볼트(33b)가 체결된 고정 슬리브(33a)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 거치대(40)의 수평 지지암(43)은 고정 슬리브(33a)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고정 슬리브(33a)를 따라 진출하여 확장 프레임(41)의 경사각을 조절하여서 확장 프레임(41)이 수평을 유지되도록 한 다음, 구속볼트(33b)에 의해 압입하여 지지다리(30)의 일지점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endless restraining part 33 form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leg 30 basically includes a fixing sleeve 33a to which a restraining bolt 33b is fastened, as shown in FIGS. 2 to 5, and the extension holder The horizontal support arm 43 of 40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xed sleeve 33a and advances along the fixed sleeve 33a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xtension frame 41 so that the extension frame 41 remains horizontal. Then, it is press-fitted by the restraining bolt (33b) and fixed to one point of the support leg (30).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 지지암(43)이 관통하는 고정 슬리브(33a)에에는, 수평 지지암(43)의 하단부를 관통되게 고정하는 견착공(34a)과; 상기 고정 슬리브(34a)에 편심단(34b)을 견착하여 견착공(34a)을 통해 수평 지지암(43)을 빗면구조로 견착하여 고정하는 견착 구속편(34)이 더 형성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sleeve 33a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arm 43 passes has a shoulder hole 34a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arm 43 through; A shoulder restraint piece 34 is further formed by attaching the eccentric end 34b to the fixing sleeve 34a to attach and fix the horizontal support arm 43 in an inclined plane structure through the shoulder hole 34a.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슬리브(33a)의 외측 일지점에는 견착 구속편(34)의 편심단(34b)을 견착하는 견착홈(33c)가 형성되어서, 상기 견착 구속편(34)은 견착홈(33c)에 견착된 편심단(34b)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a shoulder strap 33c is formed at one point o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sleeve 33a to hold the eccentric end 34b of the shoulder strap 34, so that the shoulder strap 34 has a shoulder strap 34. It is configured to rotate up and down around the eccentric end 34b attached to (33c).

따라서, 작업자는 저소공간(LS)에서 최초 지지다리(30)의 전개각을 조절하여 사다리 본체(10)를 요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기립하여서 수확을 요하는 고소 작업지점에 연결 테이블(20)을 위치한 다음, 저소 작업공간(LS)에서 고정 슬리브(33a)를 관통한 확장 거치대(40)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암(43)을 파지하여 고소 작업공간(HS)에 위치된 확장 프레임(41)을 연결축(23)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여 수평상태로 정렬한 다음, 구속볼트(33b)를 통해 고정 슬리브(33a)를 관통한 수평 지지암(43)의 하단부를 고정하여서, 고소 작업공간(HS)에 위치된 연결 테이블(20)의 전방에 수평으로 전개된 확장 거치대(40)를 형성한다.Therefore, the operator adjusts the deployment angle of the first support leg 30 in the low space LS to stand up the ladder main body 10 at an angle required, and places the connection table 20 at the high-altitude work point requiring harvesting. Next, by gripping the horizontal support arm 43 constituting the extension holder 40 penetrating the fixed sleeve 33a in the low working space LS, the extension frame 41 located in the high working space HS is connected. After turning up and down around the axis 23 to align them in a horizontal state, fixing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arm 43 passing through the fixing sleeve 33a through the restraining bolt 33b fixes the high-place work space (HS) In front of the connecting table 20 located on the horizontally deployed extension cradle 40 is formed.

그리하여, 작업자가 사다리 본체(10)의 발판(11)을 내딛어 고소 작업공간(HS)으로 이동하여 과일을 채집함에 있어, 고소 작업공간(HS)에 위치한 작업자는 과일의 채집시 고소 작업공간(HS)에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수확용기(B)를 수평 지지한 수확용기(B)에 채집된 과일이나 수확용기를 안정되게 거치하도록 한다.Thus, when the worker steps on the footrest 11 of the ladder main body 10 and moves to the high place work space HS to collect fruits, the worker located in the high place work space HS collects fruit at the high place work space HS ) to keep the harvest container (B)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collected fruits or harvest containers are stably mounted on the harvest container (B) that supports the harvest container (B) horizontally.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저소 작업공간(LS)에서 수평 설정이 가능한 확장 거치대(40)를 통해 고소 작업공간(HS)에 위치된 작업자가 과일을 수확함에 따른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사다리 본체(10)의 발판(11)을 딪고 고소 작업공간(HS)에 올라선 작업자가 광주리 등의 수확용기를 한 손으로 들고 또 다른 한 손으로 과일을 채집함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이 해소된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for a worker located in the high-altitude working space (HS) to harvest fruit through the horizontally settable extension holder (40) in the low-level working space (LS), In particular, the operator who climbs the scaffold 11 of the ladder body 10 and climbs the high-altitude work space HS lifts a harvest container such as a basket with one hand and collects fruits with the other hand. do.

그리고, 상기 견착 구속편(34)과 구속볼트(33b)를 통해 2중 구속구조가 형성된 무단 구속부(33)는 구속볼트(33b)의 풀림이 발생되어 구속볼트(33b)에 의한 수평 지지암(43)의 견착 구속상태가 불량해지더라도, 상기 견착 구속편(34)을 통해 수평 지지암(43)은 빗면구조로 견착된 관계로, 확장 프레임(41), 및 확장 프레임(41)에 안착된 수확용기의 처짐 발생이 예방된다.In addition, in the endless restraining part 33 in which the double restraining structure is formed through the shoulder restraining piece 34 and the restraining bolt 33b, the loosening of the restraining bolt 33b occurs and the horizontal support arm by the restraining bolt 33b Even if the shoulder restraint state of (43) is poor, the horizontal support arm 43 is seated on the extension frame 41 and the extension frame 41 through the shoulder restraint piece 34 in a relation to the shoulder attachment in an oblique structure. The occurrence of sagging of the harvesting container is prevented.

1. 과일 수확 작업용 사다리
10. 사다리 본체 11. 발판
12. 안전체인
20. 연결 테이블 21. 압출 프레임
21a. 조립공 22. 지지편
23. 연결축
30. 지지다리 31. 일자형 상부 다리부
31a. 힌지 연결단 32. 분지형 하부 다리부
33. 무단 구속부 33a. 고정 슬리브
33b. 구속볼트 33c. 견착홈
34. 견착 구속편 34a. 견착공
34b. 편심단
40. 확장 거치대 41. 확장 프레임
42. 힌지 브라켓 43. 수평 지지암
HS. 고소 작업공간 LS. 저소 작업공간
1. Ladders for fruit harvesting
10. Ladder body 11. Scaffolding
12. Safety chain
20. Connection table 21. Extrusion frame
21a. Assembler 22. Support piece
23. Linking shaft
30. Support leg 31. Straight upper leg
31a. Hinge connection end 32. Branched lower leg
33. Unauthorized restraints 33a. fixed sleeve
33 b. Restraint bolt 33c. shoulder groove
34. Shoulder restraints 34a. shoulder striker
34 b. eccentric
40. Extension cradle 41. Extension frame
42. Hinge bracket 43. Horizontal support arm
HS. Altitude workspace LS. small workspace

Claims (3)

복수의 발판들이 상하 이격하여 형성된 사다리 본체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판상체로 구성되며, 전방변에 연결축이 형성된 연결 테이블과;
상단에 힌지 연결단이 형성되어, 연결 테이블의 연결축에 힌지 연결단를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사다리 본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연결 테이블의 전방에 배치되어, 고소 작업공간에서 수확된 과일, 또는 수확된 과일을 수납하는 수확용기를 거치하는 확장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다리의 일지점에는 무단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 거치대는 설정면적의 거치공간을 갖는 확장 프레임과; 상기 확장 프레임의 후방변에 형성되어 확장 프레임을 연결 테이블의 전방에 형성된 연결축에 상하 힌지구조로 연결하는 힌지 브라켓; 및 상기 확장 프레임의 일지점에 일단을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하고 하단부는 지지다리의 일지점에 형성된 무단 구속부를 통해 고정되어서,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여 수평을 유지한 확장 프레임을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
A ladder body formed by a plurality of scaffol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nection table composed of a plate-shaped bod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adder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shaft formed at a front side;
A support leg having a hinge connection end formed at the top and assembling the upper and lower hinge structures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end on the connection shaft of the connection table to support the ladder body at an angle; and
I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table and includes an extension holder for holding a fruit harvested in the high-altitude work space or a harvest container for storing the harvested fruit,
An endless restraining part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leg, and the extension frame has a mounting space of a set area for the extension holder; A hinge bracket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xtension frame and connecting the extension frame to a connection shaft form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table in a vertical hinge structure; And one end of the extension frame is assembled in a hinge link structure at one point, and the lower end is fixed through an endless restriction form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leg, pivoting up and down around the connecting axis to support the horizontal extension frame in a horizontal state. Working ladder for fruit harvest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support arm to do.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연결 테이블에 연결축을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일자형의 상부 다리부와;
상기 상부 다리부의 하부에 "∧"형으로 분지되어 하단부를 지면에 각각 지지하는 분지형 하부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용 작업 사다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leg is a straight upper leg assembled in a vertical hinge structure through a connecting shaft to the connecting table;
A work ladder for harvesting fru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nched lower leg portion branched in a "∧" shap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leg portion to support each lower portion on the ground.
KR1020200153867A 2020-11-17 2020-11-17 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 KR102477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67A KR102477596B1 (en) 2020-11-17 2020-11-17 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67A KR102477596B1 (en) 2020-11-17 2020-11-17 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306A KR20220067306A (en) 2022-05-24
KR102477596B1 true KR102477596B1 (en) 2022-12-13

Family

ID=8180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67A KR102477596B1 (en) 2020-11-17 2020-11-17 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5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2904A1 (en) * 2003-10-31 2005-05-12 Wing Enterprises Adjustable stepladder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760U (en) * 1995-05-30 1996-12-18 정차수 Improvement ladder
KR19980019887U (en) * 1996-10-08 1998-07-15 김종진 Internal diameter measuring aid
KR100369366B1 (en) 2000-12-28 2003-02-05 우 찬 한 A transferring device for fruit
KR20100078235A (en) * 2008-12-30 2010-07-08 김민하 Workplate for a high place
KR20110003434A (en) 2009-07-05 2011-01-12 김법수 Mobileos content business mod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2904A1 (en) * 2003-10-31 2005-05-12 Wing Enterprises Adjustable stepladder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306A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888A (en) Folding ladder stand
US4579198A (en) Collapsible tree stand assembly
US4951696A (en) Hunting stand
US5009283A (en) Hunting stand system
US5195611A (en) Portable observation and hunting stand
US5253732A (en) Portable folding tree stand
US4552247A (en) Deer stand
US20070114096A1 (en) Modular ladder and tree stand system with pivoting joint
US4614252A (en) Portable observation structure
US4782918A (en) Portable collapsible tree stand
US20120024630A1 (en) Ladder Supported Tree Stand
US7717232B2 (en) Ladder stand with optional extension member, kit for constructing height-adjustable ladder stand, and method of using same
US5538101A (en) Adjustable, portable combination tree stand
US5816362A (en) Modular safety ladder system
US20110011674A1 (en) Ladder equipped with safety bar
US6668977B2 (en) Removable and replaceable tree stand
US20120125715A1 (en) Ergonomic lightweight climbing stick
EP0109398A1 (en) Bracket for a work platform.
KR102477596B1 (en) Work ladder for fruits harvest
US5685391A (en) Triladder
US10501991B2 (en) Multi-axial position adjustable ladder support assembly affixed to an elevated mounting location
US6457559B1 (en) Foldable ladder
US10519715B2 (en) Intermediate rung apparatus for a ladder
US4595079A (en) Tree climbing platform
US5316105A (en) Portable tree stand for deer h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