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240B1 -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 Google Patents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240B1
KR102477240B1 KR1020200189118A KR20200189118A KR102477240B1 KR 102477240 B1 KR102477240 B1 KR 102477240B1 KR 1020200189118 A KR1020200189118 A KR 1020200189118A KR 20200189118 A KR20200189118 A KR 20200189118A KR 102477240 B1 KR102477240 B1 KR 10247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ing
block chain
hash value
blockchai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557A (ko
Inventor
심왕섭
심채현
변진원
Original Assignee
심왕섭
심채현
변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왕섭, 심채현, 변진원 filed Critical 심왕섭
Priority to KR102020018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2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에 있어서,
수입과 지출에 대한 전반적인 회계정보(D)가 작성, 관리되는 회계관리수단(100);과, 상기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된 회계정보(D)가,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회계정보(D)를 가공, 블록데이터(Db)로 변환시키는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과, 상기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를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하는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과, 상기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된 블록데이터(Db)를 해시 값으로 변환, 생성시켜,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생성시키는 해시값변환수단(400); 및 상기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생성된 해시 값을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하는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과, 상기 회계관리수단(100)으로부터 회계정보(D)를 별도로 추출하고,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 해시값변환수단(400),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 및 상기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에 의해 추출된 회계정보(D)를 수집, 저장하는 추출회계정보저장수단(DA);으로 구성되되,
제 1블록체인(BC1)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비공개 블록체인인,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으로,
제 2블록체인(BC2)은, 접근 제한이 없는 블록체인인, 개방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구성되어,
제 1블록체인(BC1)으로 인해서는,
제 1전자화폐(EC1)를 이용한 제 1스페셜노드(SN1)와의 거래로,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가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을 통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 관리되는 회계정보(D)의 보안성, 기밀성 및 처리, 저장 속도를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블록체인(BC2)으로 인해서는,
제 2전자화폐(EC2)를 이용한 제 2스페셜노드(SN2)와의 거래로,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을 통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 관리되는 회계정보(D)의 객관성 및 투명성이 강화, 확보되도록 하되,
제 1스페셜노드(SN1)와 거래되는 제 1전자화폐(EC1)는,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의 거래 승인 및 블록 생성 권한을 보유한 관리주체로부터 발행되고,
제 2스페셜노드(SN2)와 거래되는 제 2전자화폐(EC2)는,
디지털 화폐로, 매매, 사용, 배분이 전자적 방식으로 이루어져, 분산형 P2P 네트워크로, 중앙 집중적인 기관이나 개인이 통제하지 않는, 독립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이 적용된 회계정보 관리 수단으로서,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기록되는 회계정보 관리의 객관성 및 투명성을 제고, 특정의 경제적 실체에 관하여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신뢰성이 극대화된 재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Means for accounting and management using dual block chain system}
본 발명은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자에 의해 작성되는 회계정보를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 분산 저장함으로서, 회계정보의 객관성 및 투명성의 강화는 물론, 보안성, 기밀성 및 처리(저장) 속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경제주체의 자원에 관한 정보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경제주체가 관리하는 자원을 금전적으로 평가한 재무정보가 핵심이다.
정보이용자들은 가계의 재산은 얼마인지, 기업의 순자산은 얼마인지, 국가부채 총액은 얼마인지와 같은 재무적 정보에 관심이 많다.
회계는 경제주체의 자원을 재무적으로 측정해 보고하는 시스템이다.
가계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서 갚아야 할 부채를 차감한 금액을 재산(또는 순재산)이라 하며, 기업에서는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을 자본 또는 순자산이라 한다.
정부의 경우, 자산은 대부분 공공목적으로 사용되어 처분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자부담이 생기는 부채에 관심이 집중된다.
즉, 회계는 정보이용자가 합리적 판단과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경제적 정보를 식별하고 측정하여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블록체인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하여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 관리 기술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분산 데이터 저장 기술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호화폐 거래에 사용된다.
암호화폐의 거래 과정은, 탈중앙화된 전자 장부에 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많은 사용자들의 각 컴퓨터에서 서버가 운영되어, 중앙에 존재하는 은행 없이 개인 간의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에서 중개기관을 거치지 않은 개인간의 P2P 거래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고안되었다.
비트코인은 승인을 기다리는 신규 거래들을 블록이라는 단위로 모아서, 작업 증명이라는 채굴 과정을 거쳐 승인을 받게 하고, 이전에 승인받은 블록에 이어 붙여서 체인을 만드는 식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불리는 이러한 구조는 누구나 작업증명만 통과하면 승인권한을 가진다는 개방성을 부여하는 반면, 거래 처리 용량의 제한으로 인한 확장성 부족 및 장부에 기입하는 데이터의 포맷 한정, 작업증명(채굴) 과정에서의 막대한 비용 발생 등과 같은 커다란 문제들도 초래하였다.
따라서, 비트코인에 처음 등장한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 의료, 무역, 공공행정 등, 다양한 분야로 응용되는 과정에서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라 불리는 변형된 형태의 블록체인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는, 비트코인 등의 퍼블릭 블록체인이 작업증명 등, 채굴과정만 거치면 누구에게나 거래 승인권한을 주는 반면에, 네트워크의 운영주체 등, 검증자 역할을 하는 사람에게만 거래의 승인을 주는 시스템이며, 네트워크에 참여할 자격에도 제한을 두고 있다.
이러한 변형의 결과, 작업증명을 통한 채굴 과정이 불필요하게 되었으며, 더욱 빠른 거래 속도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은 비트코인과 같은 개방성과 탈중앙화를 기대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라이빗 블록체인 역시 장부에 다수에게 분산되어 보안성이 향상되며, 이미 쓰여진 기록을 사후에 무단으로 수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기록의 신뢰성이 높아진다는 블록체인의 고유한 장점을 유지하고 있다.
해시 값은,
복사된 디지털 증거의 동일성을 입증하기 위해 파일 특성을 축약한 암호같은 수치로 일반적으로 수사과정에서 '디지털 증거의 지문'으로 통한다.
다양한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를 가진 데이터로 매핑(mapping)한 값이다.
즉,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은, 해시 값, 해시 코드, 해시 체크섬 또는 간단하게 해시라고 한다.
그 용도 중, 하나는, 해시 테이블이라는 자료 구조에 사용되며, 매우 빠른 데이터 검색을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널리 사용된다.
해시 함수는 큰 파일에서 중복되는 레코드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검색이나 테이블 검색의 속도를 가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경제적 지표가 되는 회계정보를 작성, 관리하는 회계 시스템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분산저장하여 공공 거래 장부로서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되,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을 동시에 이용하여, 각각의 장점을 살려, 회계 시스템의 효용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회계정보의 객관성 및 투명성, 신뢰성, 기밀성, 처리(저장) 속도가 강화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견고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을 구축,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751호의 "세무회계 관리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세무회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와, 회원가입된 사업장의 세무회계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세무회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위치, 업종, 대표자성명, 사업장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가 포함된 사업장 정보와, 하나 이상의 신용카드를 등록한 정보인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수신부, 상기 사업장정보를 기반으로 금융기관에 접속하여 상기 금융기관으로부터 상기 사업장의 재무정보를 수집하는 재무정보수집부, 상기 카드정보에 등록된 신용카드의 카드결제가 상기 사업장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이내 지역에서의 결제인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반경 이내 지역에서 결제된 것으로 판단된 카드결제정보를 전송하는 판단부 및 상기 재무정보수집부로부터 상기 재무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판단부로부터 상기 카드결제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매출, 매입 및 거래내역이 포함된 회계실적, 현금손익실적 및 납부예상세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세무회계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세무회계 결과로부터 상기 사업장의 경영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 구성하여, 해당 사업장의 회계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세무회계처리 과정을 간편화한 세무회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3709호의 "블록체인에서 복수개의 거래를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2'라 함.)으로,
블록체인은 예를 들어, 비트코인 블록체인일 수 있으며, 제 1 거래와 관련된 제 1 수량의 암호화폐를 전송하기 위해 제 1 사용자와 연관된 제 1 노드로부터 제 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거래와 관련된 제 2 수량의 암호화폐를 전송하기 위해 제 2 사용자와 연관된 제 2 노드로부터 제 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거래는 제 2 요청의 수신에 조건부이고, 제 2 거래는 제 1 요청의 수신에 조건부로, 제 1 요청 및 제 2 요청을 수신하는 조건부 단계 모두가 만족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요청 및 제 2 요청 검증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요청 및 제 2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블록 출력에 데이터 출력을 전송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거래와 관련된 암호화폐의 전송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사용자로부터 제 2 사용자로의 제 1 거래 및 제 2 사용자로부터 제 1 사용자로의 제 2 거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상의 다수의 사용자들 간에 다수의 거래를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각각 간편하게 사업장의 회계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두 명의 사용자 간의 양방향 거래를 실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기술분야는 유사하나, 듀얼 복합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자에 의해 작성된 회계정보를 관리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차이가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회계를 관리하는 수단으로부터 작성, 기록되는 회계정보를 듀얼 블록체인 기술에 적용시키기 위해, 블록체인으로 결합될 데이터로 변환하여, 암호화하되, 사용자가 때에 따라, 용이하게 블록체인으로 결합된 데이터를 리딩, 정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데이터를 해시 값으로 변환하여, 해시 값 또한 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정보의 관리의 객관성 및 투명성, 신뢰성, 기밀성의 강화는 물론, 처리(저장) 속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관리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와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이로 인해 발휘되는 발명의 효과에 있어 차이가 있으므로,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할 것이다.
참고하여,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2018년 12월 24일자에 출원하고, 2020년 3월 18일자에 등록된 등록번호 제10-2092757호의 개량 발명이라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751호 (2018.06.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3709호 (2018.11.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계정보를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서, 회계정보의 객관성 및 투명성, 보안성, 기밀성, 처리(저장) 속도를 강화, 향상시키는 회계정보 관리 수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회계정보가 관리되도록 함으로서, 추후, 블록체인으로 결합, 등록된 회계정보를 기반으로 용이하게, 신뢰성이 높은 재무제표를 작성,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인해, 회계정보의 기밀성, 보안성 및 분산 저장되는 처리(저장)속도를 향상시켜, 회계정보 관리의 정확성을 극대화시키는 회계정보 관리 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있어서,
수입과 지출에 대한 전반적인 회계정보가 작성, 관리되는 회계관리수단;
상기 회계관리수단에 작성된 회계정보가,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에 의해 제 1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회계정보를 가공, 블록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
상기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를 제 1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
상기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에 의해 제 1블록체인에 기록된 블록데이터를 해시 값으로 변환, 생성시켜, 제 2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블록데이터에 대한 해시 값을 생성시키는 해시값변환수단;
상기 해시값변환수단에 의해 생성된 해시 값을 제 2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
상기 회계관리수단으로부터 회계정보를 별도로 추출하고,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 해시값변환수단,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
상기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에 의해 추출된 회계정보를 수집, 저장하는 추출회계정보저장수단;으로 구성되되,
제 1블록체인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비공개 블록체인인,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으로,
제 2블록체인은, 접근 제한이 없는 블록체인인, 개방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구성되어,
제 1블록체인으로 인해서는,
제 1전자화폐를 이용한 제 1스페셜노드와의 거래로,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가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을 통해 제 1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관리수단에 작성, 관리되는 회계정보의 보안성, 기밀성 및 처리, 저장 속도를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블록체인으로 인해서는,
제 2전자화폐를 이용한 제 2스페셜노드와의 거래로, 해시값변환수단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에 대한 해시 값을,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을 통해 제 2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관리수단에 작성, 관리되는 회계정보의 객관성 및 투명성이 강화, 확보되도록 하되,
제 1스페셜노드와 거래되는 제 1전자화폐는,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의 거래 승인 및 블록 생성 권한을 보유한 관리주체로부터 발행되고,
제 2스페셜노드와 거래되는 제 2전자화폐는,
디지털 화폐로, 매매, 사용, 배분이 전자적 방식으로 이루어져, 분산형 P2P 네트워크로, 중앙 집중적인 기관이나 개인이 통제하지 않는, 독립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해시값변환수단은,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에 대한 해시 값을 생성시키는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
블록데이터와, 해당 블록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로부터 생성된 해시 값을 연결, 저장하는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
상기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로부터 생성된 해시 값으로,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해시 값에 연결된 블록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데이터해시값검색부;로 구성되어,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를 해시 값으로 변환, 생성하여, 해시 값만이 제 2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에 의해 기록되는 회계정보를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산 저장, 작성함으로서, 회계정보의 관리의 객관성 및 투명성, 보안성, 기밀성, 처리(저장) 속도를 강화, 향상시켜, 경제적 지표로서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회계정보가 가공, 암호화되고,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에 의해 가공, 암호화된 회계정보가 비공개 블록체인인 제 1블록체인으로 결합, 등록되므로, 해킹이 불가능하다.
또한,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가공, 암호화된 회계정보를 제 1블록체인으로 결합, 등록되도록 함으로서, 처리, 저장 속도가 우수하다.
또한,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가공, 암호화된 회계정보를 해시 값으로 변환하여, 제 2블록체인으로 결합, 등록함으로서, 회계정보의 투명성 및 객관성, 신뢰성이 향상됨은 물론,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된 해시 값이 취급되므로, 데이터 관리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제 2블록체인에 결합, 등록된 해시 값의 형식만으로도 데이터의 종류를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어, 추후, 데이터 검색이 용이해지도록 한다.(참여자들에 의해 제 2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는 대부분의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을 통해 기록된 데이터의 종류를 쉽게 구분, 알 수 있다.)
또한, 제 2블록체인에 기록됨으로서, 회계정보의 분산화로 인한 데이터의 보안성, 신뢰성이 향상된다.
즉, 듀얼 블록체인으로 회계정보가 결합, 등록되어 있으므로, 회계정보의 안전성, 기밀성 및 저장성, 신뢰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회계정보를 작성하는 회계관리수단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제 1블록체인 및 제 2블록체인으로 결합, 등록된 회계정보는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회계정보가 관리되도록 함으로서, 추후, 블록체인으로 결합, 등록된 회계정보를 기반으로 용이하게, 신뢰성이 높은 재무제표를 작성,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또한, 국세청 및 외부 회계 감사 기관에서 회계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듀얼 블록체인에 결합, 등록된 투명한 회계정보를 바탕으로 기업(사용자)의 탈세를 방지하고, 평등하게 과세가 징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회계정보의 공유를 넘어, 신뢰를 부여함과 동시에, 보안, 기밀성 및 안정성을 강화하여, 회계정보의 관리의 객관성 및 투명성, 용이성을 제고시킨다.
궁극적으로는, 기업 간의 거래정보가 블록체인으로 결합, 등록되어, 거래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제고되므로, 부가가치세의 신고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대한 회계정보의 관리 순서를 간략하게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메타데이터에 대한 실시 예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를,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을 통해 제 1블록체인에 기록을 요청하여, 승인된 결과에 대한 실시 예와,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을 통해 제 2블록체인에 기록을 요청하여, 승인된 결과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해시값변환수단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대한 회계정보의 관리 순서를 간략하게 순서도로, 도 4는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메타데이터에 대한 실시 예를 표로, 도 5는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를,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을 통해 제 1블록체인에 기록을 요청하여, 승인된 결과에 대한 실시 예와,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을 통해 제 2블록체인에 기록을 요청하여, 승인된 결과에 대한 실시 예를, 도 6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해시값변환수단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에 있어서,
수입과 지출에 대한 전반적인 회계정보(D)가 작성, 관리되는 회계관리수단(100);
상기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된 회계정보(D)가,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회계정보(D)를 가공, 블록데이터(Db)로 변환시키는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
상기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를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하는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
상기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된 블록데이터(Db)를 해시 값으로 변환, 생성시켜,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생성시키는 해시값변환수단(400);
상기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생성된 해시 값을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하는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
상기 회계관리수단(100)으로부터 회계정보(D)를 별도로 추출하고,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 해시값변환수단(400),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
상기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에 의해 추출된 회계정보(D)를 수집, 저장하는 추출회계정보저장수단(DA);으로 구성되되,
제 1블록체인(BC1)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비공개 블록체인인,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으로,
제 2블록체인(BC2)은, 접근 제한이 없는 블록체인인, 개방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구성되어,
제 1블록체인(BC1)으로 인해서는,
제 1전자화폐(EC1)를 이용한 제 1스페셜노드(SN1)와의 거래로,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가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을 통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 관리되는 회계정보(D)의 보안성, 기밀성 및 처리, 저장 속도를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블록체인(BC2)으로 인해서는,
제 2전자화폐(EC2)를 이용한 제 2스페셜노드(SN2)와의 거래로,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을 통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 관리되는 회계정보(D)의 객관성 및 투명성이 강화, 확보되도록 하되,
제 1스페셜노드(SN1)와 거래되는 제 1전자화폐(EC1)는,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의 거래 승인 및 블록 생성 권한을 보유한 관리주체로부터 발행되고,
제 2스페셜노드(SN2)와 거래되는 제 2전자화폐(EC2)는,
디지털 화폐로, 매매, 사용, 배분이 전자적 방식으로 이루어져, 분산형 P2P 네트워크로, 중앙 집중적인 기관이나 개인이 통제하지 않는, 독립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회계 관리 수단에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을 적용하여, 퍼블릭 블록체인의 장점인 정보의 객관성 및 투명성은 물론,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장점인 보안성, 기밀성, 처리, 저장 속도를 향상시켜, 회계정보(D)의 관리가 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회계정보(D)에 대한 신뢰성 및 관리의 용이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제 1블록체인(BC1)은, 거래 장부를 분산하고, 작업증명과 채굴 과정을 생략하고, 중앙의 관리주체가 거래의 승인 및 블록 생성 권한을 보유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는 작업증명과 채굴 과정이 불필요해지므로, 거래 속도의 대폭 향상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블록체인(BC2)은,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장부의 분산 및 기록의 비가역성으로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커니즘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에 접속하고,(▶ S100, 시스템 접속단계)
관리자가 회계관리수단(100)을 이용하여 제 1블록체인(BC1)과 거래될 회계정보(D)를 작성,(▶ S200, 회계정보 작성단계)
작성된 회계정보(D)가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블록데이터(Db)로 변환되어,(▶ S300, 블록데이터 생성단계)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에 기록된다.(▶ S500, 제 1블록체인 기록단계)
이때,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블록데이터(Db)가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될 시에, 관리주체로부터 발행된 제 1전자화폐(EC1)를 이용, 제 1스페셜노드(SN1)와의 거래를 성사시켜, 블록데이터(Db)가 권한이 주어진 참여자에 의한 승인으로 제 1블록체인(BC)에 기록되도록 한다.(▶ S400, 참여자 승인단계)
상기 블록데이터 생성단계(S300)는,
관리자에 의해 회계관리수단(100)으로부터 작성된 회계정보(D)가 메타데이터생성부(210)에 의해 메타데이터(D')로 변환되는 메타데이터 생성단계(S310);
메타데이터(D')가 코드데이터생성부(220)에 의해 코드데이터(D")로 변환되는 코드데이터 생성단계(S320);
코드데이터(D")가 16진수텍스트데이터생성부(230)에 의해 16진수텍스트데이터(D^)로 변환되는 16진수텍스트데이터 생성단계(S330);로 구성되어,
회계정보(D)를 블록데이터(Db)로 변환시킨다.
또한, 블록데이터 생성단계(S300)에서 생성된 블록데이터(Db)는,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해시 값으로 변환, 생성되고,(▶ S600, 해시값 생성단계)
블록데이터(Db)에 해당되는 해시 값은,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에 의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된다.(▶ S800, 제 2블록체인 기록단계)
이때,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에 의해 블록데이터(Db)가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될 시에, 전자화폐거래소로부터 발행된 제 2전자화폐(EC2)를 이용, 제 2스페셜노드(SN2)와의 거래를 성사시켜, 블록데이터(Db)가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한다.(▶ S700, 전자화폐 사용단계)
상기 참여자 승인단계(S400)에서, 블록데이터(Db)를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전자화폐(EC1)는, 거래 승인 및 블록 생성 권한을 보유한 관리주체로부터 발행된 것이고,
전자화폐 사용단계(S700)에서,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화폐(EC)는, 종래, 퍼블릭 블록체인 거래 시, 소요되는 디지털 화폐이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흐름 속에서, 회계정보(D)가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암호화하여, 블록데이터(Db)로서 변환시키는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은, 좀 더 구체적으로,
관리자에 의해 회계관리수단(100)으로부터 작성된 회계정보(D)를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하기 위해, 회계정보(D)를 메타데이터(D')로 변환하는 메타데이터생성부(210);
상기 메타데이터생성부(210)에 의해 작성된 메타데이터(D')를 가공하여, 암호화된 코드데이터(D")로 변환시키는 코드데이터생성부(220);
상기 코드데이터생성부(220)에 의해 암호화된 코드데이터(D")를 제 1블록체인(BC1)에 사용되는 형식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코드데이터(D")를 가공하여, 16진수텍스트데이터(D^)로 변환시키는 16진수텍스트데이터생성부(230);로 구성되어,
관리자에 의해 회계관리수단(100)으로부터 작성된 회계정보(D)를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될 수 있는 블록데이터(Db)로 변환시키되,
메타데이터생성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계정보(D)에 고유 거래 아이디를 부여하는 타이틀생성모듈(211);
회계정보(D)로부터 적요를 추출, 입력하는 적요추출모듈(212);
회계정보(D)로부터 거래날짜를 추출, 입력하는 거래날짜추출모듈(213);
회계정보(D)로부터 차변의 계정과목을 추출, 입력하는 차변계정명추출모듈(214);
회계정보(D)로부터 차변의 금액을 추출, 입력하는 차변금액추출모듈(215);
회계정보(D)로부터 대변의 계정과목을 추출, 입력하는 대변계정명추출모듈(216);
회계정보(D)로부터 대변의 금액을 추출, 입력하는 대변금액추출모듈(217);로 구성되어,
회계정보(D)를 메타데이터(D')로 변환시킨다.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수입과 지출에 대한 전반적인 회계정보(D)가 작성, 관리되는 회계관리수단(100)은 분개전표가 발생할 때마다 트랜잭션(transaction)이 일어나게 된다.
물론, 복수의 분개전표가 발생한 것을 한꺼번에 모아서 집단(batch)처리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월 1일 은행에서 5천원을 차입"이라는 거래가 성사되었다면,
회계정보(D)는 "차변) 현금 5000원 대변) 차입금 5000원"과, "은행에서 5천원을 차입"이라는 적요와, "2018년 1월 1일"이라는 날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거래 일련번호인 "0001"과 같은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회계정보(D)를 메타데이터(D')로 변환시키는 메타데이터생성부(210)는, 도 4와 같은 속성을 갖는다.
메타데이터(D')는, 도 4와 같은 방식으로 변환되지만, 실제로는 평문(text)과 구분 문자(delimiter)를 사용하여 작성되게 된다.
여기서, 구분 문자(delimiter)를 ";"라 가정하고, 예제를 작성하면,
"0001;은행에서 5천원을 차입;20180101;현금;5000;차입금"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대변금액은 생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차변의 금액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메타데이터(D')는, 코드데이터생성부(220)에 의해 가공, 암호화되어 코드데이터(D")로 변환된다.
이가, 간단하게 암호화(encryption)된 것을 예를 들면,
"0001;은행에서 5천원을 차입;20180101;현금;5000;차입금"을 암호화(encryption)하면, "1112;??엑석 6??음 착잇;31291212;?급;6111;착잇급"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암호화(encryption)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문자에 1을 더하여 암호화한 것이다.
한편, 제 1블록체인(BC1)에서는, 거래 기록 이외에도 별도의 기록을 담을 수 있는 임의 데이터 변수를 마련하고 있다.
이는, 현재 나와있는 가상화폐인 이더리움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도 가능하다.
비트코인의 경우에는, OP_RETURN을 임의 데이터 변수를 이용할 수 있다.
단지, 변수의 길이가 40[byte] 혹은 80[byte]로 한정적일 수 있다.
한편, 16진수텍스트데이터생성부(230)는, 상기 코드데이터생성부(220)에 의해 작성된, 암호화된 코드데이터(D")를 제 1블록체인(BC1)에 사용되는 형식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암호화된 코드데이터(D")를 가공하여, 16진수텍스트데이터(D^)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 1블록체인(BC1)의 임의 데이터 변수는, 16진수의 텍스트(hexadecimal)를 사용한다.
따라서, "i love, love."와 같은 평문(text)은, "69206C6F76652C206C6F76652E"로 변환이 된다.
이에, 상기의 코드데이터(D")의 예시와 같은, "1112;??엑석 6??음 착잇;31291212;?급;6111;착잇급"이 16진수텍스트데이터생성부(230)에 의해, "313131323BEC9D83ED968FEC9791EC849D2036ECB29FEC9B93ECB0A9EC9E873BED9887EAB8893B363131313BECB0A9EC9E87EAB889"로 변환된다.
이때, 블록데이터(Db)의 생성과정 중, 상기 코드데이터생성부(230)와, 상기 16진수텍스트데이터생성부(230)는, 작업의 순서가 바뀌어도 무관하다.
즉, 회계정보(D)로부터 메타데이터(D')가 생성되고, 메타데이터(D')에서 코드데이터(D")로, 코드데이터(D")에서 16진수텍스트데이터(D^)로 변환되어, 최종,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될 블록데이터(Db)가 생성되거나, 메타데이터(D')에서 16진수텍스트데이터(D^)로, 16진수텍스트데이터(D^)에서 코드데이터(D")로 변환되어, 블록데이터(Db)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 love, love."와 같은 평문(text)은, "69206C6F76652C206C6F76652E"로 변환되는데, 변환된 16진수의 텍스트(hexadecimal)를, 1을 더하여 암호화(encryption)하여, "7A317D7087763D317D7087763F"로 변환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회계정보(D)가 담긴 가공, 암호화된 블록데이터(Db)를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하는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은,
제 1전자화폐(EC1)를 이용한 거래를 담당하는 관리주체전자화폐거래부(310);
블록데이터(Db)를 제 1블록체인(BC1)으로 기록하는 제 1블록체인기록부(320);로 구성되어,
거래 승인 및 블록 생성 권한을 보유한 관리주체로부터 발행되는, 일정 단위 개수의 제 1전자화폐(EC1)를 이용한 거래로, 블록데이터(Db)가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한다.
즉,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블록데이터(Db)가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므로, 회계정보(D)의 기밀성 및 저장성, 안정성의 확보는 물론, 처리(저장) 속도의 향상으로, 관리의 효율성 또한 향상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소정 금액의 전자화폐(EC)를 제 1스페셜노드(SN1)의 주소로 송금하는 거래와 함께, 상기 16진수텍스트데이터생성부(230)에 의하여 변환된 16진수텍스트데이터(D^)를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은,
제 1블록체인(BC1) 상의 제 1스페셜노드(SN1)의 주소를 얻은 다음, 그 주소로 소정 금액을 보내면서, 임의 데이터 변수에 "313131323BEC9D83ED968FEC9791EC849D2036ECB29FEC9B93ECB0A9EC9E873BED9887EAB8893B363131313BECB0A9EC9E87EAB889"를 덧붙여 송금한다.
상기의 소정 금액은, 제 1블록체인(BC1)에 한 번의 분개를 기록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 수수료 혹은, 제 1블록체인(BC1)에 거래를 하면, 거래 수수료(transaction fee)가 될 수 있다.
보통은, 사용 수수료와 거래 수수료(transaction fee) 양자가 모두 발생하게 된다.
송금하는 방식은, 제 1블록체인(BC1)에서 제공되는 화면에서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프로세서의 일부인, 본 발명의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제 1스페셜노드(SN1)의 어드레스(address)가 "1Ks8A9hGkxeMVN8U8bAdcC3JpU2GbbHzhe"이고,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이 있는 노드(본 발명의 시스템)의 주소는, "17hnhRj5UW1wnphkTRdKpSPiK5dmVnYBMw"라고 가정한다면,
"17hnhRj5UW1wnphkTRdKpSPiK5dmVnYBMw"에서, "1Ks8A9hGkxeMVN8U8bAdcC3JpU2GbbHzhe"로 0.0009 BTC를 보내는데 OP_RETURN으로, "313131323BEC9D83ED968FEC9791EC849D2036ECB29FEC9B93ECB0A9EC9E873BED9887EAB8893B363131313BECB0A9EC9E87EAB889"를 세팅하고, 송금(send)한다.
그러면, 제 1블록체인(BC1)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가 승인되어 돌아온다.
도 5의 (a)는, 비공개 블록체인(private block chain)인 관리주체로부터 발행된 프라이빗 코인 시스템을 통해 거래를 실행한 실시 예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 1전자화폐(EC1)를 0.0009 BTC 보낸 것인데, 그 중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 수수료는 0.0008 BTC이고, 제 1블록체인(BC1) 거래 수수료는 0.0001 BTC인 것을 알 수 있다.(제 1블록체인(BC1)과 거래 시 사용되는 제 1전자화폐(EC1)의 통화 단위를, 비트코인의 통화 단위로 예를 들어 표시하였다.)
이때, 도 5의 (a)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암호화(encryption)를 생략한 채로 진행하고, 제 1블록체인(BC1)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의 (b)는, 제 2블록체인(BC2)과 거래 시, 승인되어 돌아오는 개방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인 비트코인(bitcoin) 시스템을 통해 거래를 실행한 실시 예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 2전자화폐(EC2)를 0.0009 BTC(bit coin) 보낸 것인데, 그 중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 수수료는 0.0008 BTC이고, 제 2블록체인(BC2) 거래 수수료는 0.0001 BTC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5의 (b)는,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된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이, 제 2블록체인(BC2)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생성된 회계정보(D)가 담긴 가공, 암호화된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을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하는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은,
제 2전자화폐(EC2)를 이용한 거래를 담당하는 전자화폐거래부(510);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을 제 2블록체인(BC2)으로 기록하는 제 2블록체인기록부(520);로 구성되어,
일정 단위 개수의 제 2전자화폐(EC2)를 이용한 거래로,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한다.
즉,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에 의해,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므로, 회계정보(D)의 객관성 및 신뢰성의 확보되도록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소정 금액의 제 2전자화폐(EC2)를 제 2스페셜노드(SN2)의 주소로 송금하는 거래와 함께,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을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은,
제 2블록체인(BC2) 상의 제 2스페셜노드(SN2)의 주소를 얻은 다음, 그 주소로 소정 금액을 보내면서, 임의 데이터 변수에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을 덧붙여 송금한다.
상기의 소정 금액은, 제 2블록체인(BC2)에 한 번의 분개를 기록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 수수료 혹은, 제 2블록체인(BC2)에 거래를 하면, 거래 수수료(transaction fee)가 될 수 있다.
보통은, 사용 수수료와 거래 수수료(transaction fee) 양자가 모두 발생하게 된다.
송금하는 방식은, 제 2블록체인(BC2)에서 제공되는 화면에서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프로세서의 일부인, 본 발명의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제 2스페셜노드(SN2)의 어드레스(address)가 "2Ks8A9hGkxeMVN8U8bAdcC3JpU2GbbHzhe"이고,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이 있는 노드(본 발명의 시스템)의 주소는, "27hnhRj5UW1wnphkTRdKpSPiK5dmVnYBMw"라고 가정한다면,
"27hnhRj5UW1wnphkTRdKpSPiK5dmVnYBMw"에서, "2Ks8A9hGkxeMVN8U8bAdcC3JpU2GbbHzhe"로 0.0009 BTC를 보내는데 OP_RETURN으로,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을 세팅하고, 송금(send)한다.
그러면, 제 2블록체인(BC2)에서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가 승인되어 돌아온다.
또한, 본 발명의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계관리수단(100)으로부터 회계정보(D)를 별도로 추출하고,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 해시값변환수단(400),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은,
회계관리수단(100)에 다양하게 입력되는 회계정보(D) 중, 분개 정보를 추출하여,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을 통해서는, 블록데이터(Db)가 생성되도록 하고,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을 통해서는, 블록데이터(Db)가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하고,
해시값변환수단(400)을 통해서는, 블록데이터(Db)가 해시 값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을 통해서는, 해시 값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에는,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에 의해 추출된 회계정보(D), 즉, 회계관리수단(100)으로부터 추출한 분개 정보, 분개 정보가 가공된 블록데이터(Db), 블록데이터(Db)가 가공된 해시 값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수집, 저장되는 추출회계정보저장수단(DA)이 구성되고,
이로 인해, 제 1블록체인(BC1)과,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될, 그리고, 기록된 정보만을 취급하여, 시스템의 안정화 및 속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즉,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은, 추출회계정보저장수단(DA)을 이용,
다양하고 방대한 회계정보(D) 중, 분개 정보만을 취급하여, 관리자에 의한 정보 관리의 용이성은 물론, 외부 회계 감사 기관으로부터의 감사(監査) 또한, 빠르게 진행되도록 하여, 보다 철저하고 투명한 회계정보(D) 감사(監査)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은 또한,
암호키를 이용,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된 블록데이터(Db)를 확인하거나, 검색,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정보의 가시성 및 객관성을 극대화시키는 블록데이터정보검색수단(6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블록데이터정보검색수단(600)을 통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하여, 블록데이터(Db)의 회계정보(D)를 관리주체의 승인 후, 검색,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암호키를 이용,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된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을 확인하거나, 검색,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키는 블록데이터연결해시값검색수단(7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데이터연결해시값검색수단(700)을 통해 검색된 해시 값으로, 그에 해당되는 블록데이터(Db)를 제 1블록체인(BC1)에서 검색,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기록 데이터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블록데이터정보검색수단(600)은,
고유 거래 아이디를 통해 특정 회계정보(D)가 저장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틀검색부(610);
적요를 통해 특정 회계정보(D)가 저장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적요검색부(620);
거래날짜를 통해 특정 회계정보(D)가 저장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거래날짜검색부(630);
차변의 계정과목을 통해 특정 회계정보(D)가 저장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변계정과목검색부(640);
차변의 금액을 통해 특정 회계정보(D)가 저장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변금액검색부(650);
대변의 계정과목을 통해 특정 회계정보(D)가 저장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대변계정과목검색부(660);
대변의 금액을 통해 특정 회계정보(D)가 저장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대변금액검색부(670);로 구성되어,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블록데이터(Db)를 로딩, 정렬하여, 추후에, 블록데이터(Db)에 담긴 회계정보(D)를 기반으로 용이하게, 객관적이고, 투명한, 신뢰성 있는 재무제표가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하여,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은, 운용디바이스(DE)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운용디바이스(DE)라 함은,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이 운용될 수 있는 운영체계를 갖춘 기기 및 장치로, 예를 들어, 전용 단말기,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는, 도 4를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의 구성요소 중,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1)으로부터 기록이 승인된 정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의 (b)는,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에 의해 제 2블록체인(BC2)으로부터 기록이 승인된 정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제 1스페셜노드(SN1)라 함은,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변환되어 생성된 회계정보(D)를 담은 블록데이터(Db)가,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 등록되어 분산 저장되도록,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과 제 1전자화폐(EC1)를 통해 관리주체의 승인에 따라 거래하는 노드이며,
제 2스페셜노드(SN2)라 함은,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변환되어 생성된 회계정보(D)를 담은 블록데이터(Db)를, 해시값변환수단(400)으로 해시 값을 생성시켜, 생성된 해시 값만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 등록되어 분산 저장되도록,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과 제 2전자화폐(EC2)를 통해 거래하는 노드이다.
즉, 제 1스페셜노드(SN1)는,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블록데이터(Db)와의 거래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관리주체의 승인에 따라, 제 1전자화폐(EC1)를 발행하는 전자화폐거래소의 역할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스페셜노드(SN2)는,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어 있는 모드 해시 값과의 거래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전자화폐(EC2)를 발행하는 전자화폐거래소의 역할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국세청 및 회계정보(D)의 감사를 위한 외부 감사 기관이 제 1블록체인(BC1) 및 제 2블록체인(BC2)에 임시 계정(노드)을 만들어, 일회적인 암호키를 제공, 블록데이터(Db)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어, 해당 기업의 회계정보(D)의 객관성, 투명성 및 신뢰성이 부여되므로, 경제적으로 깨끗한 경영이 이루어지도록 도모한다.
또한, 수입과 지출에 대한 전반적인 회계정보(D)란, 분개장 혹은 분개전표에 기록되는 데이터이다.
한편, 해시값변환수단(400)은,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생성시키는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410);
블록데이터(Db)와, 해당 블록데이터(Db)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410)로부터 생성된 해시 값을 연결, 저장하는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420);
상기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410)로부터 생성된 해시 값으로,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해시 값에 연결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데이터해시값검색부(430);로 구성되어,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를 해시 값으로 변환, 생성하여, 해시 값만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블록데이터연결해시값검색수단(700)을 통해 제 2블록체인(BC2)에서 해시 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해시 값이 제 1블록체인(BC1)에 거래된 블록데이터(Db)와 관계가 있는 해시 값인지를 블록데이터해시값검색부(430)를 이용, 검색, 확인하게 되면,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해당 해시 값과, 그 해시 값과 연결된 블록데이터(Db)의 정보를 열람,
제 1블록체인(BC1)으로부터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회계정보(D)를 확인,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블록데이터해시값검색부(430)는,
해당 블록데이터(Db)의 해시 값 정보를 저장,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시값정보검색모듈(431);
해당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생성시킨 시각 정보가 저장,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시값생성시각검색모듈(432);
해당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된 시각 정보가 저장,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블록체인기록시각검색모듈(433);
해당 해시 값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될 시, 사용된 제 2전자화폐(EC2) 정보가 저장,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블록체인전자화폐사용정보검색모듈(434);로 구성되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된 해시 값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된 블록데이터(Db)에 해당되는 해시 값인지를 확인,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데이터 관리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참고하여, 제 2블록체인(BC2)에는 해시 값만 기록되므로, 블록데이터연결해시값검색수단(700)을 통해 검색되는 정보만으로는 그 해시 값에 해당되는 회계정보(D)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된 해시 값에 대한 회계정보(D)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블록데이터연결해시값검색수단(700)을 통해 검색, 확인된 해시 값 정보를, 블록데이터해시값검색부(430)를 이용하여 검색,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검색한 해시 값 정보와 연결된 블록데이터(Db)를 추출하여, 회계정보(D)를 열람, 검증한다.
또한, 상기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적용되는 해시 값을 생성하는 해시 함수는,
예를 들어,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SHA-256(secure hash algorithm)으로 적용될 수 있다.
MD5는, 128비트의 해시 값을 생성하는 해시 함수이다.
주로 프로그램이나 파일이 원본 그대로인지를 확인하는 무결성 검사 등에 사용된다.
SHA-256은, 256비트의 해시 값을 생성하는 해시 함수이다.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 의해 공표된 표준 해시 알고리즘인 SJA-2 계열 중 하나이며, 블록체인 기술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MD5 해시 함수를 통해 해시 값(128bit)을 생성하고, Hex string으로 변환하기 위한 코드로는,
fun main() {
val planText = input(blockdata(D^))
val md = MessageDigest.getInstance("MD5")
md.update(planText.toByteArray())
val digest = DatatypeConverter.printHexBinary(md.digest())
println("planText: ${planText}")
println("MD5 encoding result: ${digest}")
}
를 작성하여,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128bit)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드를 이용하면,
"313131323BEC9D83ED968FEC9791EC849D2036ECB29FEC9B93ECB0A9EC9E873BED9887EAB8893B363131313BECB0A9EC9E87EAB889"이,
"bafe7498554e44260a2d3e9d2be35ba7"로 변환, 생성된다.
또 다른 예로,
SHA-256 해시 함수를 통해 해시 값(256bit)을 생성하고, Hex string으로 변환하기 위한 코드로는,
fun main() {
val planText = input(blockdata(D^))
val md = MessageDigest.getInstance("SHA-256")
md.update(planText.toByteArray())
val digest = DatatypeConverter.printHexBinary(md.digest())
println("planText: ${planText}")
println("SHA-256 encoding result: ${digest}")
}
를 작성하여,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256bit)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드를 이용하면,
"313131323BEC9D83ED968FEC9791EC849D2036ECB29FEC9B93ECB0A9EC9E873BED9887EAB8893B363131313BECB0A9EC9E87EAB889"이,
"21034ad50c4c6ec45f65b6b63e1d809d9ffabb5274a415ffbb78efc484f3881b"로 변환, 생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계정보(D)를 관리함에 있어,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과, 개방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이루어진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적용하여, 각 블록체인의 장점인, 정보의 객관성, 신뢰성, 기밀성, 빠른 처리(저장) 속도를 극대화하여, 회계정보(D)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하여, 회계관리수단(100)은,
관리자가 직접 회계정보(D)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비용 정보가 담긴 영수증을 스캔하여, 자동으로 비용 정보가 추출되어 회계정보(D)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시스템을 제작하고, 구축하여 안정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관련 산업,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어 회계정보를 작성, 관리하는 회계업무 및 세무업무 관련 시스템 분야 증진은 물론,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다양한 시스템 관련 보안 기술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100: 회계관리수단 200: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
210: 메타데이터생성부 211: 타이틀생성모듈
212: 적요추출모듈 213: 거래날짜추출모듈
214: 차변계정명추출모듈 215: 차변금액추출모듈
216: 대변계정명추출모듈 217: 대변금액추출모듈
220: 코드데이터생성부 230: 16진수텍스트데이터생성부
300: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 310: 관리주체전자화폐거래부
320: 제 1블록체인기록부 400: 해시값변환수단
410: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 420: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
430: 블록데이터해시값검색부 431: 해시값정보검색모듈
432: 해시값생성시각검색모듈 433: 제 2블록체인기록시각검색모듈
434: 제 2블록체인전자화폐사용정보검색모듈
500: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 510: 전자화폐거래부
520: 제 2블록체인기록부 600: 블록데이터정보검색수단
610: 타이틀검색부 620: 적요검색부
630: 거래날짜검색부 640: 차변계정과목검색부
650: 차변금액검색부 660: 대변계정과목검색부
670: 대변금액검색부 700: 블록데이터연결해시값검색수단
S100: 시스템 접속단계 S200: 회계정보 작성단계
S300: 블록데이터 생성단계 S310: 메타데이터 생성단계
S320: 코드데이터 생성단계 S330: 16진수텍스트데이터 생성단계
S400: 참여자 승인단계 S500: 제 1블록체인 기록단계
S600: 해시값 생성단계 S700: 전자화폐 사용단계
S800: 제 2블록체인 기록단계
D: 회계정보 D': 메타데이터
D": 코드데이터 D^: 16진수텍스트데이터
BC: 블록체인 Db: 블록데이터
DE: 운용디바이스 EC1: 제 1전자화폐
EC2: 제 2전자화폐 SN1: 제 1스페셜노드
SN2: 제 2스페셜노드
CT: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 DA: 추출회계정보저장수단

Claims (2)

  1.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1)에 있어서,
    수입과 지출에 대한 전반적인 회계정보(D)가 작성, 관리되는 회계관리수단(100);
    상기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된 회계정보(D)가,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회계정보(D)를 가공, 블록데이터(Db)로 변환시키는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
    상기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를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하는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
    상기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에 의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된 블록데이터(Db)를 해시 값으로 변환, 생성시켜,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생성시키는 해시값변환수단(400);
    상기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생성된 해시 값을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하는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
    상기 회계관리수단(100)으로부터 회계정보(D)를 별도로 추출하고,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 해시값변환수단(400),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
    상기 듀얼블록체인시스템제어수단(CT)에 의해 추출된 회계정보(D)를 수집, 저장하는 추출회계정보저장수단(DA);으로 구성되되,
    제 1블록체인(BC1)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비공개 블록체인인,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으로,
    제 2블록체인(BC2)은, 접근 제한이 없는 블록체인인, 개방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구성되어,
    제 1블록체인(BC1)으로 인해서는,
    제 1전자화폐(EC1)를 이용한 제 1스페셜노드(SN1)와의 거래로,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가 제 1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300)을 통해 제 1블록체인(BC1)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 관리되는 회계정보(D)의 보안성, 기밀성 및 처리, 저장 속도를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블록체인(BC2)으로 인해서는,
    제 2전자화폐(EC2)를 이용한 제 2스페셜노드(SN2)와의 거래로, 해시값변환수단(4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제 2회계블록체인기록수단(500)을 통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서, 회계관리수단(100)에 작성, 관리되는 회계정보(D)의 객관성 및 투명성이 강화, 확보되도록 하되,
    제 1스페셜노드(SN1)와 거래되는 제 1전자화폐(EC1)는,
    전용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의 거래 승인 및 블록 생성 권한을 보유한 관리주체로부터 발행되고,
    제 2스페셜노드(SN2)와 거래되는 제 2전자화폐(EC2)는,
    디지털 화폐로, 매매, 사용, 배분이 전자적 방식으로 이루어져, 분산형 P2P 네트워크로, 중앙 집중적인 기관이나 개인이 통제하지 않는, 독립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해시값변환수단(400)은,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에 대한 해시 값을 생성시키는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410);
    블록데이터(Db)와, 해당 블록데이터(Db)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410)로부터 생성된 해시 값을 연결, 저장하는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420);
    상기 블록데이터해시값생성부(410)로부터 생성된 해시 값으로, 블록데이터해시값관계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해시 값에 연결된 블록데이터(Db)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데이터해시값검색부(430);로 구성되어,
    블록체인데이터생성수단(2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Db)를 해시 값으로 변환, 생성하여, 해시 값만이 제 2블록체인(BC2)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KR1020200189118A 2020-12-31 2020-12-31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KR102477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18A KR102477240B1 (ko) 2020-12-31 2020-12-31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18A KR102477240B1 (ko) 2020-12-31 2020-12-31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557A KR20220096557A (ko) 2022-07-07
KR102477240B1 true KR102477240B1 (ko) 2022-12-14

Family

ID=8239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118A KR102477240B1 (ko) 2020-12-31 2020-12-31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2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551B1 (ko) 2019-05-31 2020-01-23 심왕섭 인공지능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회계 관리시스템
KR102092757B1 (ko) 2018-12-24 2020-03-24 심왕섭 블록체인을 이용한 회계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05032D0 (en) 2016-03-24 2016-05-11 Eitc Holdings Ltd Recording multiple transactions on a peer-to-peer distributed ledger
CN107453896B (zh) * 2017-06-27 2020-08-0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多重区块链网络数据处理方法、装置及服务器
KR101874751B1 (ko) 2017-07-21 2018-07-04 김동원 세무회계 관리 시스템
KR102134511B1 (ko) * 2018-07-10 2020-07-15 정초영 블록 체인 기반의 회계 처리 시스템
KR102135502B1 (ko) * 2018-08-09 2020-07-17 현대위아 주식회사 사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장비 라이선스 확인 시스템, 등록 방법 및 인증 방법
KR20200087598A (ko) * 2019-01-11 2020-07-21 (주)인트리플 블록체인 기반의 회계 처리 시스템
KR20200095206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 기반 회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9902091B (zh) * 2019-02-21 2021-08-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区块在区块链上记录的方法、领导记账节点和介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757B1 (ko) 2018-12-24 2020-03-24 심왕섭 블록체인을 이용한 회계 관리시스템
KR102069551B1 (ko) 2019-05-31 2020-01-23 심왕섭 인공지능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회계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557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The challenges and countermeasures of blockchain in finance and economics
US20210357927A1 (en) Transaction authent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Skaf Cryptocurrencies and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s
KR102022453B1 (ko) 채권자산 기반 암호화화폐 발행을 이용한 채권 회수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92757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회계 관리시스템
Palihapitiya Blockchain Revolution in Banking Industry
Khedekar et al. Protection to Personal Data Using Decentralizing Privacy of Blockchain.
Wijaya et al. Smart Stamp Duty
Adelowotan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nd implications for accounting practice
US20230049791A1 (en) Federated data room server and method for use in blockchain environments
KR102618815B1 (ko)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트 정보 관리 수단
KR102477240B1 (ko) 듀얼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정보 관리 수단
Senthilkumar Data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uthentication
Ashfaq et al.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and the Global Financial System: Theory and Practice
JP7316921B2 (ja) 電子資産管理方法、及び電子資産管理装置
Wu et al. Bitcoin: The future of money
Barde Blockchain and Cryptocurrencies: Technique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KR102509565B1 (ko)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계약정보 관리 수단
MEIRYANI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DIGITALIZATION OF RECORDING ACCOUNTING TRANSACTIONS
Nirolia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banking and financial sector in India
Septiawan et al. APPLICATION OF TRIPLE-ENTRY BOOKKEEPING WITH BLOCKCHAIN TECHNOLOGY AS AN EFFORT TO PREVENT ACCOUNTING FRAUD
Lukina et al. Electronic payment systems and blockchain as a constituent part
Sun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Asset Securitization
KR102720583B1 (ko) 공금 처리 관리 시스템
Zug Technical White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