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147B1 - 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147B1
KR102477147B1 KR1020210116492A KR20210116492A KR102477147B1 KR 102477147 B1 KR102477147 B1 KR 102477147B1 KR 1020210116492 A KR1020210116492 A KR 1020210116492A KR 20210116492 A KR20210116492 A KR 20210116492A KR 102477147 B1 KR102477147 B1 KR 10247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enter link
coupling
chain
trolley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세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웅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1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326Chains, cables or the like
    • B65G2812/02376Chains, cabl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 B65G2812/02396Links and their attac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and a trolley chain including the same. The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and a trolley chain including the same may prevent breakage even when bending stress is concentrated by extreme side loads by firmly connecting first and second ribs between left and right walls of the center link made of SAE 8640 alloy steel, strengthen a coupling force between brackets when coupling the brackets with a coupling tool such as a bolt, a nut, and the like as a coupling plate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penetration unit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ibs without interference, prevent a tilt of the trolley in a rising and dropping section of a rail to enable a cloud motion of a bearing (or roller) on the rail to be smoothly performed, and control the tilt of the trolley by centrifugal force in a horizontal rotation section of the rail to have a structure that enables the bearing (or roller) to stably rotate.

Description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터 링크의 좌측 및 우측 벽부 사이에 2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센터 링크를 강건화하여 트롤리 결합 사용시 체인이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는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and a trolley chain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two ribs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center link to strengthen the center link so that the chain can be smoothly connected when the trolley is used. It relates to a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capable of movement and a trolley chain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트롤리(Trolley)는 짐을 매달은 체인을 지지하고 레일 위를 주행하는 브래킷(bracket)이 달린 작은 쇠바퀴를 의미하는 것으로, 건물 등의 천장에 부설한 레일을 따라 움직이며, 각종 제품이나 부품, 반제품과 같은 작업물을 운반시키거나 운반중에 세척, 도장, 건조, 조립, 검사 포장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자동화라인의 제품이송장치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trolley refers to a small iron wheel with a bracket that supports a chain on which a load is suspended and runs on a rail, and moves along a rail attached to the ceiling of a building, etc., and various products or parts. It is used as a product transport device of an automated line that transports workpieces such as semi-finished products or carries out tasks such as cleaning, painting, drying, assembly, inspection and packaging during transport.

이러한 트롤리 체인 부품은 안전과 연관되어 강한 내구성이 요구되는 것으로,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917539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These trolley chain parts are related to safety and require strong durability. As an example, Registration Patent No. 10-1917539 (Reference 1) has been proposed.

참고문헌 1은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그 센터 링크를 포함한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는 특히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좌측 측벽과 우측 측벽; 및 상기 좌측 측벽의 중앙에서 우측 측벽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어 좌측 측벽과 우측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좌우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탈 플로우가 단속되지 않도록 상단면과 하단면이 각각 좌측 측벽과 우측 측벽의 각 상단면과 하단면에서 일정한 깊이의 단차를 형성한다. Reference 1 relates to a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and a trolley including the center link, wherein the center link of the trolley chain includes, in particular, a left side wall and a right side wall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bridge that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left side wall toward the center of the right side wall and integrally connects the left side wall and the right side wall, wherein the bridge has an upper surface so that the metal flow is not interrup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ower surface form a step of a certain depth 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ft side wall and the right side wall, respectively.

그리고, 각 트롤리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의 좌우측 안내홈에 각각 끼워져 안내되는 1쌍의 롤러와, 상기 각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트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트의 하단은 절개홈의 2개의 센터 링크 결합부로 분할되고, 측벽에는 센터 링크의 측벽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each trolley includes a pair of rollers inserted into and guided in the left and right guide grooves of the rail to move along the rail, and a bracket rotatably supporting each of the rollers.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is divided into two center link coupling parts of a cutout groove,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sidewall of the center link is fitted and coupled is formed on a side wall.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센터 링크는 트롤리의 브라켓트의 2개의 센터 링크 결합부가 각각의 관통구멍안으로 통과하도록 끼워 브라켓트의 측벽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센터 링크의 아래쪽에서 하부 결합판이 결합되어 핀으로 고정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enter link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side wall of the bracket so that the two center link coupling parts of the trolley bracket pass through each through hole, and the lower coupling plate is coupled and fixed with a pin at the bottom of the center link. do.

그런데, 참고문헌 1에 제안된 센터 링크 및 그 센터 링크를 포함한 트롤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However, the center link proposed in Reference 1 and the trolley including the center link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우선 참고문헌 1에 제안된 센터 링크는 하나의 브릿지만 구비되어 있어 센터 링크의 중앙부에는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부 구간과 회전운동 또는 상하운동 구간에서 극심한 측면하중을 받음으로써 굽힘응력이 집중되어 쉽게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of all, the center link proposed in Reference 1 is provided with only one bridge, so that the central part of the center link is easily broken due to concentration of bending stress by receiving extreme side load in the drive section and rotational motion or vertical motion section where power is transmitted. There is a problem.

이에 더해 참고문헌 1에 제안된 센터 링크는 상기 좌측 측벽의 중앙에서 우측 측벽의 중앙을 향하여 하나의 브릿지가 형성되고, 브릿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트롤리의 브라켓트 하단은 절개홈의 2개의 센터 링크 결합부로 분할됨은 물론 하부 결합판 역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하부 결합판이 구조적으로 취약할 뿐만 아니라, 하부 결합판을 브라켓트에 고정시 하부 결합판의 분할된 홈에 핀이 결합되므로 하부결합판과 브라켓트간 결합력도 약하다. In addition, in the center link proposed in Reference 1, one bridge is formed from the center of the left side wall to the center of the right side wall, and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bridge,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of the trolley combines two center links in a cutout groove. In addition to being divided into parts, the lower coupling plate must also have a divided structure, so the lower coupling plate is structurally weak, and when the lower coupling plate is fixed to the bracket, since the pin is coupled to the divided groove of the lower coupling plate, the gap between the lower coupling plate and the bracket The binding force is also weak.

아울러, 참고문헌 1에 제안된 트롤리는 상승(Up)구간 및 하강(Down)구간에서 트롤리의 쏠림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수평회전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한 트롤리의 쏠림현상이 발생하여 롤러의 구름운동이 원활하지 않고 불안정적으로 회전하며 롤러의 편마모 또는 파손 등의 우려 역시 높다.In addition, the trolley proposed in Reference 1 not only causes the trolley to tilt in the Up section and the Down section, but also causes the trolley to tilt by centrifugal force in the horizontal rotation section, resulting in roller rolling motion. It is not smooth and rotates unstable, and there is also a high concern about uneven wear or damage of the roller.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917539호Reference 1: Registered Patent No. 10-1917539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센터 링크의 좌측 및 우측 벽부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극심한 측면하중을 받아 굽힘응력이 집중되더라도 파단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결합판과 브라켓간 결합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breakage even if bending stress is concentrated under extreme side load by firmly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center link,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capable of reinforc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a coupling plate and a bracket and a trolley chain including the same.

특히, 본 발명은 센터 링크의 중앙부에 좌측 및 우측 벽부를 연결하는 2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굽힘하중을 분산시키고 센터 링크를 강건화하여 트롤리를 결합하여 사용시 체인이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는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wo ribs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s at the center of the center link to distribute the bending load and strengthen the center link to combine the trolley and provide a trolley chain in which the chain can move smoothly when us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enter link and a trolley chain includ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일의 상승 및 하강 구간에서 트롤리의 쏠림현상을 방지하여 레일에서 베어링의 구름운동이 원활하고 레일의 수평회전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한 트롤리의 쏠림현상을 잡아주어 베어링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trolley from tilting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ections of the rail, so that the rolling motion of the bearing on the rail is smooth, and the bearing rotates stably by catching the trolley's tilt due to centrifugal force in the horizontal rotation section of the rai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that can be used and a trolley chain including the same.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센터 링크에 2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트롤리를 결합함으로써 트롤리에 형성되는 볼트 구멍을 분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볼트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and a trolley chain including the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that allows bolts to be firmly coupled because two ribs are formed on the center link to couple the trolley so that the bolt holes formed in the trolley do not have to be divided. But it has a purpose.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에 있어서, 상기 센터 링크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좌측 및 우측 벽부와, 트롤리가 결합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벽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를 제공한다. In the center link of the trolley chain, the center link includes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ribs connec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to form a through portion to which the trolley is coupled. Provides a center link of the characterized trolley chain.

이때, 상기 제1 리브는 좌측 및 우측 벽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연결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좌측 및 우측 벽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연결되어 제1 리브와 제2 리브 사이에는 트롤리가 결합되는 관통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브와 좌측 및 우측 벽부의 양단부 사이에는 연결핀이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rib is biasedly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and the second rib is biasedly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so that the trolley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rib and the second ri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and a connecting hole to which a connecting pin is connec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ibs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그리고, 상기 트롤리는 레일의 제1 및 제2 안내홈에 각각 끼워져 안내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과,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의 하단에는 제1 및 제2 결합부가 하향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외측에는 상기 센터 링크의 좌측 및 우측 벽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trolley includes first and second bearings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guided 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of the rail, and first and second brackets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bearings;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protrude downward from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into which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of the center link are fitted and coupled to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It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아울러, 상기 제1 결합부에는 한쌍의 제1 결합공이 상기 제1 결합홈의 상측 및 하측에 좌우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한쌍의 제2 결합공이 상기 제2 결합홈의 상측 및 하측에 좌우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판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first coupling part, a pair of first coupling holes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I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bolt for coupling a coupling plat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그리고, 상기 결합판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에 대응하는 제3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ird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s and the second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아울러, 상기 센터 링크는 합금강의 일종인 SAE 8640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enter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SAE 8640, which is a kind of alloy steel.

또한, 본 발명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가 결합되는 센터 링크와, 상기 센터 링크의 양단에 연결되는 사이드 링크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제1 및 제2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1 및 제2 브라켓 하단에 제1 및 제2 결합부가 하향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외측에는 제1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 링크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좌측 및 우측 벽부 사이에 제1 및 제2 리브가 연결되어 상기 트롤리의 제1 및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체인도 제공한다.In the trolley chain including a trolley, a center link to which the trolley is coupled, and side link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er link, the trolley is at lower ends of first and second brackets on which first and second bearings are supported.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protrude downward,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nd the center link is provided between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It also provides a trolle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ib is connected to form a through portion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of the trolley are coupled.

이때, 상기 제1 결합부에는 한쌍의 제1 결합공이 상기 제1 결합홈의 상측 및 하측에 좌우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한쌍의 제2 결합공이 상기 제2 결합홈의 상측 및 하측에 좌우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의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에 대응하는 제3 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판이 삽입되어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pair of first coupling holes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I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 third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coupling plate is inserted and coupled with a fasten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 링크의 좌측 및 우측 벽부 사이에 제1 및 제2 리브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극심한 측면하중을 받아 굽힘응력이 집중되더라도 파단을 방지하고 제1 및 제2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로 결합판이 간섭없이 삽입 고정됨에 따라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시 브라켓간에 결합력도 강화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rmly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of the center link with the first and second ribs to prevent breakage even when bending stress is concentrated under an extreme side load, and to the penetra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ibs. As the coupling plate is inserted and fixed without interferen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rackets is also strengthened when coupling with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 링크의 가운데에 좌측 및 우측 벽부를 연결하는 2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굽힘하중을 분산시키고 센터 링크를 강건화 하여 트롤리 결합 사용시 트롤리 체인이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상승 및 하강 구간에서 트롤리의 쏠림현상을 방지하여 레일(Rail)위에서의 베어링(또는 롤러)의 구름운동이 원활하고 레일의 수평회전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한 트롤리의 쏠림현상을 잡아주어 베어링(또는 롤러)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ribs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link to distribute the bending load and strengthen the center link, so that the trolley chain can move smoothly when the trolley is used, and the rail The rolling motion of the bearing (or roller) on the rail is smooth by preventing the trolley from tilting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ections of the rail, and the trolley tilting phenomenon caused by the centrifugal force is prevented in the horizontal rotation section of the rail, so the bearing (or roller) ) can rotate stably.

또한, 본 발명은 센터 링크에 2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볼트 구멍이 분할되지 않은 트롤리를 결합함으로써 볼트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by forming two ribs on the center link so that the bolts are firmly coupled by coupling the trolley in which the bolt holes are not di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체인을 구성하는 센터 링크와 트롤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체인을 구성하는 센터 링크와 트롤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체인을 구성하는 트롤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체인을 구성하는 트롤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체인을 구성하는 센터 링크와 사이드 링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체인을 구성하는 센터 링크와 사이드 링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center link constituting a trolley chain and a tro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to expla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enter link and the trolley constituting the trolley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trolley constituting the trolley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trolley constituting the trolley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to expla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enter link and the side links constituting the trolley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enter link and a side link constituting a trolley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롤리 체인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link of the trolley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olley chain including the same will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in detail.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y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many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체인(1)은 트롤리(100)와, 상기 트롤리(100)가 결합되는 센터 링크(200)와, 상기 센터 링크(200)의 양단에 연결되는 사이드 링크(300)를 포함한다. 1 to 6, the trolley chai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trolley 100, a center link 200 to which the trolley 100 is coupled, and both ends of the center link 200. It includes a side link 300 to be.

물론, 상기 트롤리(100)는 센터 링크(200)에 일대일로 결합되고, 상기 센터 링크(200) 양단에는 사이드 링크(300)가 연결핀(400)을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각각의 구성은 복수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트롤리 체인(1)을 구성한다.Of course, the trolley 100 is coupled to the center link 200 one-to-on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side links 30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er link 200 via connection pins 400,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is organically connected to constitute the trolley chain (1).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상기 트롤리(100)는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10)은 단면이 'I'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측과 우측에 제1 및 제2 안내홈(11,12)이 각기 대칭되게 형성된다.First, the trolley 100 moves along the rail 10, and the rail 10 has an 'I'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11 and 12 are symmetric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formed to be

이러한 레일(10)에 안내되는 트롤리(100)는 레일(10)의 제1 및 제2 안내홈(11,12)에 각각 끼워져 안내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또는 롤러)(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110,1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130,140)을 포함한다. The trolley 100 guided by the rail 10 includes first and second bearings (or rollers) 110 and 120 which are gu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11 and 12 of the rail 10, respectively;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brackets 130 and 140 rotatab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bearings 110 and 120 .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30,14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좌측과 우측에 대칭되게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30,140)은 각각 하단에 분할되지 않는 하나의 제1 및 제2 결합부(132,142)가 각기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30 and 14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assembl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wo coupling parts 132 and 142 are respectively formed.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브라켓(130)의 상단에는 제1 베어링(110)이 지지되고, 제1 브라켓(130)의 하단에는 제1 결합부(132)가 하향돌출되며, 상기 제1 결합부(132)의 외측에는 상기 센터 링크(200)의 좌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결합홈(132a)이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earing 110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racket 13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32 protrudes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acket 130. A first coupling groove 132a into which the left portion of the center link 200 is fitte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32 .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140)의 상단에는 제2 베어링(120)이 지지되고, 제2 브라켓(140)의 하단에는 제2 결합부(142)가 하향돌출되며, 상기 제2 결합부(142)의 외측에는 상기 센터 링크(200)의 우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2 결합홈(142a)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bearing 120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acket 14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42 protrudes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racket 14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42 ) The outer side of the center link 200 is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groove (142a) into which the right portion is fitted and coupled.

물론,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110,12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는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는 제1 및 제2 그리스 니플(150,160)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30,140)의 상단에 구비된다.Of course, first and second grease nipples 150 and 160 capable of injecting grease capable of inducing smooth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earings 110 and 120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30 and 140.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132)에는 한쌍의 제1 결합공(132b,132c)이 상기 제1 결합홈(132a)의 상측 및 하측에 좌우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142)에는 한쌍의 제2 결합공(142b,142c)이 상기 제2 결합홈(142a)의 상측 및 하측에 좌우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결합공(132b,132c) 및 제2 결합공(142b,142c)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130,140)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판(500)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600)인 볼트(610)가 관통한다.Further,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2, a pair of first coupling holes 132b and 132c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32a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142, a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142b and 142c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142a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 coupling holes 132b and 132c and the second coupling holes 142b and 142c are fastening means 600 for coupling the coupling plate 500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30 and 140 The phosphor bolt 610 passes through.

한편, 상기 센터 링크(200)는 상기 트롤리(100)가 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와, 가운데에 상기 트롤리(100)의 제1 및 제2 결합부(130,140)가 관통하는 관통부(202)가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사이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리브(230,24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nter link 200 is coupled to the trolley 100,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210 and 220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30 and 140 of the trolley 100 in the center. ) includes first and second ribs 230 and 240 connec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210 and 220 to form a through portion 202 passing through.

이때, 상기 제1 리브(230)는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의 일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연결되고, 상기 제2 리브(240)는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연결됨으로써 제1 리브(230)와 제2 리브(240)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202)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rib 230 is biasedly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210 and 220, and the second rib 240 is biasedly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210 and 220. Between the first rib 230 and the second rib 240, a through portion 202 is formed that penetrates vertically.

이와 같이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 사이에 제1 및 제2 리브(230,240)가 연결 형성됨으로써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센터 링크(200)의 강도가 더욱 향상되어 극심한 측면하중을 받아 굽힘응력이 집중되더라도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As the first and second ribs 230 and 240 are connec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210 and 220 in this way,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210 and 220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trength of the center link 200 is further improved, resulting in extreme side effects. Even if the bending stress is concentrated under a load, it can prevent fracture.

특히, 이러한 구조는 센터 링크(200)의 중앙부에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를 연결하는 2개의 리브(230,240)를 형성하여 굽힘하중을 분산시키고 센터 링크를 강건화하여 트롤리 결합 사용시 체인이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is structure forms two ribs 230 and 240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210 and 220 at the center of the center link 200 to distribute the bending load and strengthen the center link so that the chain can be smoothly operated when the trolley is used. You can exercise.

이에 더해 상기 제1 및 제2 리브(230,240)는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의 일단부 및 타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연결됨에 따라 제1 및 제2 리브(230,240)와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의 양단 사이에는 연결핀(400)이 연결되는 연결공(20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the first and second ribs 230 and 240 are biasedly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wall parts 210 and 220, the first and second ribs 230 and 240 and the left and right wall parts 210 and 220 are connected. A connecting hole 204 to which the connecting pin 400 is connected is formed between both ends.

그리고, 상기 연결핀(400)을 매개로 사이드 링크(300)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링크(300)는 한쌍의 상측 사이드 링크(310) 및 하측 사이드 링크(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핀(400)은 사이드 링크(300)를 센터 링크(200)에 결합시키는 경우 분리 및 이탈이 방지되도록 양단에 각각 헤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end of the side link 300 is connected via the connecting pin 400. At this time, the side link 300 is composed of a pair of upper side links 310 and lower side links 320, and the connection pin 400 is separated when the side link 300 is coupled to the center link 200. And it is preferable that each head is provided at both ends to prevent separation.

물론, 상기 사이드 링크(300)의 양단에도 연결핀(400)이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됨은 당연하다.Of course, it is natural that connection holes to which the connection pins 400 are connected are also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link 300 .

한편, 상기 트롤리(100)의 제1 및 제2 브라켓(130,140)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132)와 제2 결합부(142) 사이에는 결합판(500)이 삽입된다. 상기 결합판(500)은 제1 및 제2 브라켓(132,142)을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132,142)에 형성되는 제1 결합공(132b,132c) 및 제2 결합공(142b,142c)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결합공(510,520)이 형성된다. Meanwhile, a coupling plate 50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2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30 and 140 of the trolley 100 . The coupling plate 500 has a function of firml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32 and 142 integrally,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a surfac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32 and 142. Third coupling holes 510 and 52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s 132b and 132c and the second coupling holes 142b and 142c.

즉, 상기 결합판(50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판 구조로 이루어져 견고하며 표면 상측 및 하측에 원형으로 제3 결합공(510,520)을 형성함으로써 트롤리(100)의 제1 및 제2 브라켓(130,140)에 체결수단(600)인 볼트(610)를 관통한 후 너트(620)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That is, the coupling plate 500 is made of a plate shape but is made of a single plate structure that is not divided, and is rigid, and third coupling holes 510 and 520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rface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510 and 520 of the trolley 100. After penetrating the bolt 610, which is the fastening means 600, to the second brackets 130 and 140, the nut 620 is screwed and fixed.

이러한 결합판(500)은 일 예로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트롤리(10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130,140)의 제1 및 제2 결합부(132,142) 사이에 삽입시 센터 링크(200)의 간섭이 없어 제3 결합공(510,520)이 분할되지 않고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견고하며 체결수단(600)으로 제1 및 제2 결합부(132,142)와 결합판(500)의 결합시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upling plate 5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 example, when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32 and 142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30 and 140 constituting the trolley 100. Since there is no interference of the center link 200, the third coupling holes 510 and 520 are not divided and maintain the circular shape, so it is strong and the fastening means 600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32 and 142 and the coupling plate 500 At the time of bonding, the bonding strength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 같은 결합판(50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센터 링크(200)의 관통부(202)에 트롤리(10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130,140)의 제1 및 제2 결합부(132,142)를 삽입한 후 이격시켜 제1 및 제2 결합부(132,142)의 제1 및 제2 결합홈(132a,142a)에 좌측 및 우측 벽부(210,2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결합부(132,142) 사이에 삽입하며, 이후 체결수단(600)을 구성하는 볼트(610)를 제1 내지 제3 결합공(132b,132c)(142b,142c)(510,520)을 관통한 후 너트(620)로 체결해줌으로서 결합판(500)과 트롤리(100)를 일체로 결합하여 센터 링크(200)와의 분리 이탈 역시 방지하게 된다.In order to fix such a coupling plate 500,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32 and 142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30 and 140 constituting the trolley 100 in the through portion 202 of the center link 200. ) is inserted and spaced apart so that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210 and 220 are suppor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32a and 142a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32 and 142. (132,142), after passing the bolt 610 constituting the fastening means 600 through the first to third coupling holes 132b, 132c, 142b, 142c, 510, 520, the nut 620 By fastening to, the coupling plate 500 and the trolley 100 are integrally coupl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enter link 200 as well.

한편, 상기 센터 링크(200)는 합금강의 일종인 SAE 8640으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SAE 8640은 고품질 탄소 구조강을 기반으로 하며 한 가지 또는 여러가지 합금 원소(총 함량이 5%를 초과하지 않음)를 적절히 가미해 만든 강종이다. Meanwhile, the center link 200 is preferably formed of SAE 8640, which is a kind of alloy steel. These SAE 8640 are based on high-quality carbon structural steels and are made by appropriately adding one or several alloying elements (total content not exceeding 5%).

이러한 SAE 8640는 C(탄소) 0.38 ~ 0.43%, Mn(망간) 0.75 ~ 1.00%, P(인) 최대 0.040%, S(황) 최대 0.040%, Si(실리콘) 0.15 ~ 0.35%, Ni(니켈) 0.40 ~ 0.70%, Cr(크롬) 0.40 ~ 0.60%, Mo(몰리브덴) 0.15 ~ 0.25%를 함유한다.These SAE 8640 contain 0.38 to 0.43% C (carbon), 0.75 to 1.00% Mn (manganese), P (phosphorus) up to 0.040%, S (sulfur) up to 0.040%, Si (silicon) 0.15 to 0.35%, Ni (nickel) ) 0.40 ~ 0.70%, Cr (chrome) 0.40 ~ 0.60%, Mo (molybdenum) 0.15 ~ 0.25%.

이때, C(탄소) 함유량이 높을수록 강재의 경도가 높고(항복점과 인장 강도 상승), Si(규소)는 환원제와 탈산제로서 강철의 경도를 높일 수 있으나 가소성과 인성이 저하되며, Mn(망간)은 강철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 저렴하고 Fe(철)와 무한정 용해 될 수 있기 때문에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가소성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아 강철의 강화 원소로 널리 사용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모든 탄소강에는 Mn(망간)이 포함되며, Ni(니켈)은 고강도, 높은 인성, 우수한 경화성, 높은 전기 저항 및 높은 내부식성을 나타내는 한편 강철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철의 인성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며, P(인)은 유해한 원소로 철강의 가소성과 인성을 현저히 저하 시키며 일반적으로 철강의 인 함량은 0.045% 미만이어야하며 고품질 철강의 인 함량은 더 낮게 요구 되어되며, S(황)은 인과 같이 유해한 원소로 유황 함량이 높은 강은 고온 압력 가송시 취성되기 쉬워 강의 연성 및 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유황 함량은 0.055% 미만, 고품질 강철은 0.040% 미만이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higher the C (carbon) content, the higher the hardness of the steel (increase in yield point and tensile strength), and Si (silicon) can increase the hardness of steel as a reducing agent and deoxidizer, but plasticity and toughness decrease, Mn (manganese) As a component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of steel, it is inexpensive and can be dissolved indefinitely with Fe (iron), so it increases strength and has relatively little effect on plasticity, so it is widely used as a reinforcing element for steel. It is basically all carbon steel. contains manganese (Mn), and nickel (Ni) exhibits high strength, high toughness, excellent hardenability, high electrical resistance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while greatly improving the strength of steel and maintaining the toughness of iron at a very high level. P (phosphorus) is a harmful element that significantly lowers the plasticity and toughness of steel. In general, the phosphorus content of steel should be less than 0.045%, and the phosphorus content of high-quality steel is required to be lower. As a harmful element, steel with high sulfur content is easily brittle during high-temperature pressure processing, which reduces the ductility and toughness of the steel. Generally, the sulfur content should be less than 0.055%, and high-quality steel should be less than 0.040%.

이러한 SAE 8640로 제조되는 센터 링크(200)는 경도를 높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물에 담금질하면 빈 공간을 통해 균열이 발생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 후에 유냉 냉각 공법을 이용해 냉각한다. 유냉 냉각 공법은 열처리 과정에서 천천히 냉각하기 때문에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제거하여 강재의 경도와 내마모성을 높이고 가소성과 인성을 개선하여 변형 및 균열을 제거하기 때문에 균열이 적고, SAE 8640은 다량의 니켈이 포함되어 경화성이 우수하여 담금질시 경화성을 향상시킨다. 강재의 담금질 능력으로 경화성(Hardenability)이 높을수록 균열 가능성이 적어진다.When the center link 200 made of SAE 8640 is artificially quenched in water to increase hardness, cracks occur through the empty space, so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heat treatment, it is cooled using an oil cooling method. Since the oil cooling method cools slowly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it removes the stress generated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to increase the hardness and wear resistance of the steel and improves plasticity and toughness to eliminate deformation and cracks, so there are few cracks, and SAE 8640 has a large amount of nickel It contains excellent hardenability and improves hardenability during quenching. The higher the hardenability,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cracking.

이에 반해 MT-15(저탄소강)는 탄소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유냉이 쉽지 않기 때문에 수냉 방식을 이용하는데, 수냉 방식은 급속 냉각의 수단으로 금속 표면을 더 단단하게 만들지만 균열의 가능성이 크고, 크랙 자체가 취성 파손의 주된 원인이기 때문에 체인 사용 과정 중 미세한 크랙이라도 발생하면 위험성이 큰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MT-15 (low carbon steel) uses a water cooling method because the amount of carbon is relatively small and oil cooling is not easy. Since cracks themselves are the main cause of brittle failure, even minute cracks during chain use have a high risk.

따라서, 본 발명의 센터 링크(200)는 MT-15(저탄소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SAE 8640으로 성형 또는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center link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MT-15 (low carbon steel), but is preferably molded or made of SAE 8640.

물론, 본 발명에서는 센터 링크(200) 이외에도 트롤리(100), 사이드 링크(300), 연결핀(400), 결합판(500) 역시 MT-15(저탄소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강도 향상시켜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SAE 8640으로 성형 또는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enter link 200, the trolley 100, the side link 300, the connecting pin 400, and the coupling plate 500 can also be made of MT-15 (low carbon steel), but the strength is improved It is preferred to mold or manufacture from SAE 8640 to prevent breakag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트롤리 체인 10: 레일
100: 트롤리 110: 제1 베어링
120: 제1 베어링 130: 제1 브라켓
132: 제1 결합부 140: 제2 브라켓
142: 제2 결합부 200: 센터 링크
202: 관통부 210: 좌측 벽부
220: 우측 벽부 230: 제1 리브
240: 제2 리브 300: 사이드 링크
400: 연결핀 500: 결합판
600: 체결수단
1: trolley chain 10: rail
100: trolley 110: first bearing
120: first bearing 130: first bracket
132: first coupling part 140: second bracket
142: second coupling part 200: center link
202: penetration part 210: left wall part
220: right wall portion 230: first rib
240: second rib 300: side link
400: connecting pin 500: coupling plate
600: fastening means

Claims (8)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에 있어서,
상기 센터 링크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좌측 및 우측 벽부와, 트롤리가 결합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벽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좌측 및 우측 벽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연결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좌측 및 우측 벽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연결됨으로써 제1 리브와 제2 리브 사이에는 트롤리가 결합되는 관통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브와 좌측 및 우측 벽부의 양단부 사이에는 연결핀이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벽부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측면하중에 의한 굽힘응력이 집중에도 파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센터 링크는 C(탄소) 0.38 ~ 0.43%, Mn(망간) 0.75 ~ 1.00%, P(인) 최대 0.040%, S(황) 최대 0.040%, Si(실리콘) 0.15 ~ 0.35%, Ni(니켈) 0.40 ~ 0.70%, Cr(크롬) 0.40 ~ 0.60%, Mo(몰리브덴) 0.15 ~ 0.25%를 함유하는 SAE 8640을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열처리 후 유냉 냉각 공법에 의해 냉각하여 경화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체인의 센터 링크.
In the center link of the trolley chain,
The center link includes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ribs connec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to form a through portion to which a trolley is coupled,
The first rib is biasedly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and the second rib is biasedly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so that the through portion to which the trolley is coupl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ib and the second rib.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A connecting hole to which a connecting pin is connec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ibs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The left and right wall portions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improve strength, thereby preventing breakage even when bending stress due to side load is concentrated,
The center link is C (carbon) 0.38 ~ 0.43%, Mn (manganese) 0.75 ~ 1.00%, P (phosphorus) maximum 0.040%, S (sulfur) maximum 0.040%, Si (silicon) 0.15 ~ 0.35%, Ni (nickel ) 0.40 ~ 0.70%, Cr (chrome) 0.40 ~ 0.60%, Mo (molybdenum) 0.15 ~ 0.25% made by molding SAE 8640 containing,
A center link of a trolle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hardenability is improved by cooling by an oil cooling method after heat treat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따른 센터 링크와, 상기 센터 링크가 결합되는 트롤리와, 상기 센터 링크의 양단에 연결되는 사이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체인.
A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center link according to claim 1, a trolley to which the center link is coupled, and side link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er link.
삭제delete
KR1020210116492A 2021-09-01 2021-09-01 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KR1024771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492A KR102477147B1 (en) 2021-09-01 2021-09-01 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492A KR102477147B1 (en) 2021-09-01 2021-09-01 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147B1 true KR102477147B1 (en) 2022-12-15

Family

ID=8443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492A KR102477147B1 (en) 2021-09-01 2021-09-01 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14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2796A (en) * 1979-02-09 1981-04-21 Jervis B. Webb Company Conveyor chain and trolley assembly
KR101737042B1 (en) * 2016-01-06 2017-05-18 주식회사 에스제이씨 Iva trolly chain
KR101917539B1 (en) 2017-10-12 2019-01-24 박영한 Centerlink of trolly chain and trolly having the same
CN208761471U (en) * 2018-08-31 2019-04-19 苏州环球科技股份有限公司 Curved path walking chain and carrier cha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2796A (en) * 1979-02-09 1981-04-21 Jervis B. Webb Company Conveyor chain and trolley assembly
KR101737042B1 (en) * 2016-01-06 2017-05-18 주식회사 에스제이씨 Iva trolly chain
KR101917539B1 (en) 2017-10-12 2019-01-24 박영한 Centerlink of trolly chain and trolly having the same
CN208761471U (en) * 2018-08-31 2019-04-19 苏州环球科技股份有限公司 Curved path walking chain and carrier ch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0056B2 (en) High-Strength and Highly Fatigue-Resistant Steel Rai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219332B1 (en) Centrifugally cast composite roll and its production method
US20210309265A1 (en) Trolley
CN104176633B (en) A kind of double-track trolley group travelling mechanism of ultra-large type gantry crane
US20140152086A1 (en) Undercarriage track link
KR102477147B1 (en) Center link of trolley chain and trolley chain comprising the same
CN106629365A (en) Stainless steel step chain
CN201883113U (en) Quenching frame lifting device
CN101457326A (en) Medium-carbon and low-alloy structural steel and its application in caterpillar machinery chassis member
GB2574474A (en) Trolley
CN107893556A (en) A kind of combined type vertical circulation multi-storied garage chain commutation guide rai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7128763A (en) Steel for high strength mechanical structure and track link for endless track caterpillar band
CN209012245U (en) A kind of small-sized aviation piston engine rises disconnected formula connecting rod
CN104591040B (en) Supporting arm for fixing forklift gant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206188167U (en) Vertical lift mechanism
CN207660344U (en) A kind of combined type vertical circulation stereo garage chain commutation guide rail
CN213231243U (en) Guide wheel assembly for precise elongated steel tube electrogalvanizing gantry crane and gantry crane
KR101917539B1 (en) Centerlink of trolly chain and trolly having the same
CN111254349A (en) Steel for single-track turnout with extremely low yield ratio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207158726U (en) A kind of pallet fork
RU128585U1 (en) FREIGHT Wagon Trolley
CN105256338B (en) A kind of electrolytic copper suspender
CN209383300U (en) A kind of Novel steel wire rope directive wheel
EP0226986A2 (en) Bush conveyer chain
CN211503666U (en) Trolley type resistance furnace walking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