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068B1 -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068B1
KR102477068B1 KR1020220029294A KR20220029294A KR102477068B1 KR 102477068 B1 KR102477068 B1 KR 102477068B1 KR 1020220029294 A KR1020220029294 A KR 1020220029294A KR 20220029294 A KR20220029294 A KR 20220029294A KR 102477068 B1 KR102477068 B1 KR 10247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zone
discharged
plasma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덕
Original Assignee
전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덕 filed Critical 전종덕
Priority to KR102022002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8Air douches f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94Gaseous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시에 유해바이러스 등의 병원성 세균을 완벽하게 살균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도록 형성한 플라즈마 에어샤워용 출입소독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 상기 대인방역기 본체부에 배출되는 것으로 모터가 형성된 이송팬에서 배출되는 오존값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형성한 오존감지센서; 출입되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형성한 인체감지센서; 상기 본체부의 사람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장비 밖으로 배출된 공기는 공기중 부유 세균을 살균하고, 인체 또는 의복에 묻어있는 병원균을 제거하도록 흡입된 공기에 플라즈마에 의한 오존을 생성하도록 형성한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 상기 오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오존값에 따라 플라즈마발생부 및 촉매필터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도록 형성한 제어부; 외부공기 흡입관과 흡입팬과 노즐로 분배하도록 형성한 이송팬; 살균소독 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배출흡입관을 통하여 촉매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해균의 살균과 코로나19 등의 전염성 병원균을 살균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Disinfection device for entrance}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 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시에 유해바이러스 등의 병원성 세균을 완벽하게 살균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도록 형성한 플라즈마 에어샤워용 출입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이물질과 세균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시설로는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 학교의 급식실, 연구소, 식품회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시설에는 근무자 및 출입자들의 몸을 통해 이물질이나 병원균 등과 같은 것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살균장치를 출입구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고, 근래에는 이러한 살균장치는 전염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다중이용시설인 영화관, 놀이동산, 터미널과 같은 장소를 넘어 가정에서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살균장치로는 살균액으로 손이나 발을 세척하는 장치와 공기 중으로 미세한 입자의 살균액을 분무하여 공기 중의 미세한 살균액이 사람의 몸을 전반적으로 살균하게 하는 장치 및 적외선이나 오존을 방출하여 적외선 및 오존의 살균력에 의해 사람의 몸을 살균하는 장치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중, 살균액을 사용하는 장치는 손과 발 등에만 국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오존이나 적외선을 사용하는 장치는 살균력을 높이기 위해서 진입자가 일정시간 머물러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공기 중으로 살균액을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무하는 장치는 공기 중으로 살균액이 분무되고 미세한 입자로 공기 중에 떠있는 살균액은 지나가는 사람의 몸에 부착되는 구조이므로 진입자가 머물지 않고 지나가기만 하여도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살균액이 몸의 전 구역에 충분히 부착되어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살균액을 분무하는 기능만을 가진 종래의 살균 장치들은 살균되는 사람의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살균액을 분무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진입자에게는 과다한 양의 살균액을 분무하는 문제가 있고, 이렇게 과다하게 사용된 살균액은 진입자의 몸에 부착되지 않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 한 뒤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개발되었던 살균액을 분무하는 장치들은 진입자의 키가 최대한인 경우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며, 분무노즐의 높이보다 작은 키를 가진 진입자들은 살균액이 얼굴로 분무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와 같이 살균액이 얼굴로 분무되는 경우에는 진입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물론, 진입자의 머리 위로 분무되는 살균액은 살균에 사용되기보다는 공기 중에 잠시 섞인 뒤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져 낭비된다.
또한, 바닥에 떨어진 살균액은 바닥을 미끄럽게 하는 주요 원인이기도 하며, 바닥이 미끄러우면 출입자들이 미끄러져 낙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도 있다.
상기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진입로에 설치되어 진입자의 키에 맞게 살균액이 분무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진입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하거나 또한, 출입구에 설치시 진입자의 키를 고려하여 적절한 양의 살균액을 신체부위에 적절하게 분무하되, 진입자에게 만 살균액을 분무하고, 진출자에게는 살균액을 미분무하여 최소한의 살균액을 사용하여 살균액이 낭비되는 하지 않도록 개발하였으나 이와 같이 형성하여도 액체를 분사량이 동일하기 때문에 바닥등에 떨어지거나 휘날리면서 분산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효율성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1990호(2020.08.3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16846호(2021.09.2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즈마와 공기가 교반하여 흐르게 하여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오존을 생성하여 내부로 순환하도록 형성하여 효율을 상승시킨 플라즈마를 이용한 위생용 출입소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사람이 출입시 너무 많은 곳에서 사람이 안전하게 출입하도록 구성한 플라즈마를 이용한 위생용 출입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위생용 출입소독장치는,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 상기 대인방역기 본체부에 배출되는 것으로 모터가 형성된 이송팬에서 배출되는 오존값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형성한 오존감지센서; 출입되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형성한 인체감지센서; 상기 본체부의 사람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장비 밖으로 배출된 공기는 공기중 부유 세균을 살균하고, 인체 또는 의복에 묻어있는 병원균을 제거하도록 흡입된 공기에 플라즈마에 의한 오존을 생성하도록 형성한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 상기 오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오존값에 따라 플라즈마발생부 및 촉매필터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도록 형성한 제어부; 외부공기 흡입관과 흡입팬과 노즐로 분배하도록 형성한 이송팬; 살균소독 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배출흡입관을 통하여 촉매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플라즈마에 의한 오존을 생성하도록 형성한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를 통하여 공기와 믹싱하여 노즐을 통하여 뿌려줌으로서 위생적으로 살균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통과 개방형으로 형성한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자동 개폐도어가 형성한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에 설치하여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기존의 액체로 뿌려줌으로서 이물질에 대한 거부감이 발생되고 그로 인한 별동의 세척이 필요하여 이중으로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해결 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미세오존을 공기와 믹싱하여 출입시에 살균을 위해 형성한 본체부에 샤워식으로 뿌려주도록 하여 병원균을 옷등에서 털어내거나 묻어있는 균을 강한 에어와 함께 살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의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의 결합 단면도.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개폐도어가 있는 밀폐형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는,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1000); 상기 대인방역기 본체부에 배출되는 것으로 모터(170)가 형성된 이송팬(140)에서 배출되는 오존값을 감지하여 제어부(400)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형성한 오존감지센서(100); 출입되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형성한 인체감지센서(200); 상기 본체부의 사람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배출된 공기는 공기중 부유 세균을 살균하고, 인체 또는 의복에 에 묻어있는 병원균을 제거하도록 흡입된 공기에 플라즈마에 의한 오존을 생성하도록 형성한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300); 상기 오존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오존값에 따라 플라즈마발생부(300) 및 촉매필터(570)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도록 형성한 제어부(400); 외부공기 흡입관(110)과 흡입팬(120)과 노즐(130)로 분배하도록 형성한 이송팬(140); 살균소독 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배출흡입관(540)을 통하여 촉매필터(5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1000); 상기 대인방역기 본체부에 배출되는 오존감지센서(100), 인체감지센서(200),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300), 제어부(400), 외부공기 흡입관(110), 흡입팬(120), 노즐(130)로 분배하도록 형성한 이송팬(140),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촉매필터(570)를 포함한다.
상기 오존감지센서(200)는 모터(170)가 형성된 이송팬(140)에서 배출되는 오존값을 감지하여 제어부(400)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인체감지센서(200)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오존감지센서(200)에서 감지된 오존값에 따라 플라즈마발생부(300) 및 촉매필터(570)의 동작을 온/오프시킨다.
상기 제어부(400)는 본 장치의 중앙처리부로서 각종 팬, 전액제어, 램프 ON/OFF 제어, 각종 센서 감지에 의한 데이터 입출력 및 관리가 가능하다.
공기공급팬(120)은 공기를 흡입하여 배관(220)으로 송풍시킨다. 흡입관(110)은 공기공급팬에서 유입된 공기를 배관으로 보내지고, 공기가 주변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 밀폐하여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300)로 보내지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3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온/오프되어 흡입된 공기에 플라즈마에 의한 오존을 발생한다.
상기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300)를 통과한 공기를 이송팬을 거쳐 분배관(190)을 통하여 샤워식으로 뿌려지도록 배출구인 노즐(130)을 통하여 인체에 뿌려지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노즐(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부유 공기중 세균을 살균한 공기를 전달하는 배관으로 통과하는 또는 서있는 사람의 몸쪽에 묻어있는 세균들을 불어냄과 동시에 살균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노즐(13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강하게 에어가 뿌려지도록 에어를 배출하고, 상기 배출된 공기가 주변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밀폐하거나 흡입하여 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배출 흡입팬(550)은 상기 노즐로 배출되어 대인방역을 마친 공기를 다시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배출 흡입관(550)은 배출 흡입팬에서 유입된 공기를 촉매필터(570)로 보내는 배관(560)으로, 공기가 주변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밀폐 또는 흡입하여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제2의 감염원인을 제거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촉매필터(570)는 상기 배출 흡입관으로 송풍된 공기를 통과시켜 상기 오존을 분해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인체의 접근을 감지할 경우, 상기 공기공급팬(210)과 벌크용 플라즈마 발생부(300) 및 촉매필터(570)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되는 오존을 제거하도록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촉매필터(570)는 망간촉매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망간촉매필터는 망간산화물계열 나노촉매를 세라믹계열 필터에 균일하게 코팅해 나노촉매 필터를 만들고, 이 필터의 나노촉매 표면에서는 공기 중의 오존이 분해되면서 산소라디칼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300)는,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팬(210); 회전용모터(230)와 상기 회전용모터의 중앙의 축(240)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250)와 상기 고정너트부(25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머리부(260)와 상기 머리부에는 공기흐름이 바꿀 수 있는 가이드판(270)과 다수개의 끼움구(280)가 형성된 전원 분할부(290)와, 상기 전원 분할부(290)에 끼워져 고정되는 절곡된 날개형 간살전극부(310)가 대각선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고정하고, 끝단에는 한 개로 모아지도록 중앙에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320)이 형성된 전극고정센터부(330)로 이루어진 회전전압전극(360); 상기 회전전압전극(360)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 전압전극에 대향하는 접지전극(370)이 형성된 원통형관부(380); 상기 날개형 간살전극부(310)의 회전전압전극(360)과 접지전극(370)의 원통형관부(380)에 전원을 공급한 전원공급부(350); 상기 외부공기를 공급량과 오존량을 감지하는 오존감지센서(200)와 플라즈마의 오존 방출량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외부의 공기공급량과 플라즈마 방출을 제어하도록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플라즈마의 방출되는 오존량을 감지하는 오존감지센서(200)를 통하여 전원공급부(380)의 전압의 세기를 제어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고압의 전원을 회전전압전극(360)과 접지전극(370)이 형성된 원통형관부(380)에 연결하여 상기 회전하도록 형성하면 날개형 간살전극부(310)에서 접지전극으로 방전이 이루어짐으로서 플라즈마가 발생하도록 하되 다수개의 간살전극부(310)에서 서로 다르게 교차 방전이 이루어도록 함으로 공기중에 섞여서 방출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교환이 편리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끼움구(280)가 형성된 전원 분할부(29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배출 흡입관(540)은,
하부에 배관(560)을 형성하여 배출 흡입팬(55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촉매필터(570)로 배출이 이루어져, 배출시 필터링하여 제2의 감염원인을 제거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1000)에 작동하기 위해 온시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부와 각종 센서와 공기공급팬과 이송팬과 배출 이송팬이 동작되도록 형성하였다.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1000)에 사람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장비 밖으로 배출된 공기는 공기중 부유 세균을 살균하고, 인체 또는 의복에 에 묻혀있는 병원균을 제거하여 크린시간을 늘리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관을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공기공급팬이 회전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하고, 이때 회전용모터가 회전하여 머리부와 공기의 가이드판이 횐전함과 동시에 간극전극부가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고압의 회전전압전극(360)과 상기 회전 전압전극에 대향하는 접지전극(370)이 형성된 원통형관부(350)에 방전이 이루어짐으로 다수개의 간극전극부는 번갈아 가면서 아크가 발생되어 오존을 만들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고압방전으로 인한 오존이 발생되어 이송팬으로 강하게 분배관을 통하여 노즐로 배출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사용용도는 통과 개방형으로 형성한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1000) 또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900)에 자동 개폐도어(800)가 형성한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1000)에 설치하여 형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100: 오존센서 200: 인체감지센서
300: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 400: 제어부
540: 배출 흡입관 550: 흡입팬
560: 배관 570: 촉매필터
800: 자동 개폐도어 900: 케이스
1000: 대인방역기 본체부

Claims (3)

  1.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는,
    출입할 수 있도록 대인방역기 본체부(1000);
    상기 대인방역기 본체부에 배출되는 것으로 모터(170)가 형성된 이송팬(140)에서 배출되는 오존값을 감지하여 제어부(400)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형성한 오존감지센서(100);
    출입되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형성한 인체감지센서(200);
    상기 본체부에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장비 밖으로 배출된 공기는 공기중 부유 세균을 살균하고, 인체 또는 의복에 에 묻어있는 병원균을 제거하도록 흡입된 공기에 플라즈마에 의한 오존을 생성하도록 형성하고,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팬(210)과, 회전용모터(230)와 상기 회전용모터의 중앙의 축(240)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250)와 상기 고정너트부(25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머리부(260)와, 상기 머리부에는 공기흐름이 바꿀 수 있는 가이드판(270)과 다수개의 끼움구(280)가 형성된 전원 분할부(290)와, 상기 전원 분할부(290)에 끼워져 고정되는 절곡된 날개형 간살전극부(310)가 대각선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고정하고, 끝단에는 한 개로 모아지도록 중앙에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320)이 형성된 전극고정센터부(330)로 이루어진 회전전압전극(360)과, 상기 회전전압전극(360)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 전압전극에 대향하는 접지전극(370)이 형성된 원통형관부(350)과, 상기 외부공기를 공급량과 오존량을 감지하는 오존감지센서(200)와 플라즈마의 오존 방출량을 오존감지센서에서 검출되는 량에 따라 방출되는 량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벌크용 플라즈마발생부(300);
    상기 오존감지센서(200)에서 감지된 오존값에 따라 플라즈마발생부(300) 및 촉매필터(150)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도록 형성한 제어부(400);
    외부공기 흡입관(110)과 흡입팬(120)으로 유입된 공기를 각 노즐(130)로 분배하도록 형성한 이송팬(140);
    살균소독 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배출 흡입관을 통하여 촉매필터(1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흡입관(540)은,
    하부에 배관(560)을 형성하여 배출 흡입팬(55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촉매필터(570)로 배출이 이루어져, 배출시 필터링하여 제2의 감염원인을 제거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KR1020220029294A 2022-03-08 2022-03-08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KR10247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94A KR102477068B1 (ko) 2022-03-08 2022-03-08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94A KR102477068B1 (ko) 2022-03-08 2022-03-08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068B1 true KR102477068B1 (ko) 2022-12-19

Family

ID=8453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294A KR102477068B1 (ko) 2022-03-08 2022-03-08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0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356A (ko) * 2004-05-27 2005-12-02 황정호 공기순환식 유인 오존 살균시스템 및 방법
KR101269865B1 (ko) * 2011-07-25 2013-05-30 (주)엔퓨텍 인체 소독박스
KR20200076163A (ko) * 2018-12-19 2020-06-29 이영재 플라즈마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KR102151990B1 (ko) 2020-04-16 2020-09-04 나영선 출입 게이트형 살균 소독 장치
KR20210116846A (ko) 2020-03-18 2021-09-28 노택민 연무소독 및 uv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출입구 방역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356A (ko) * 2004-05-27 2005-12-02 황정호 공기순환식 유인 오존 살균시스템 및 방법
KR101269865B1 (ko) * 2011-07-25 2013-05-30 (주)엔퓨텍 인체 소독박스
KR20200076163A (ko) * 2018-12-19 2020-06-29 이영재 플라즈마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KR20210116846A (ko) 2020-03-18 2021-09-28 노택민 연무소독 및 uv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출입구 방역장치
KR102151990B1 (ko) 2020-04-16 2020-09-04 나영선 출입 게이트형 살균 소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029B1 (ko) 살균 장치의 내측 및 외측의 상이한 소독 모드들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살균 장치
JP5312416B2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及び除菌・消臭方法
JP2009034159A (ja) 噴霧式の生化学的清浄化システム
KR101309292B1 (ko) 고주파 소독연무를 이용한 소독 시스템
KR20120113324A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US20130283629A1 (en) Dryer, especially hand dryer
KR20120026151A (ko) 대인 소독용 구조물
KR20130090961A (ko) 터널형 소독장치
KR102188123B1 (ko) 출입자 소독 장치
KR102237928B1 (ko) 무인 휴먼 클린 게이트
KR20130025565A (ko) 광고판이 구비된 공기 살균 정화기
JP2018130535A (ja) 室内殺菌装置
KR102203323B1 (ko) 공기순환 살균기
KR20200071240A (ko) 다중 분사구가 형성되는 출입자용 소독장치
KR101112037B1 (ko) 소방 장비 세척기구 및 이를 이용한 감염방지장치
KR102477068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어샤워용 위생용 출입소독장치
JP5051337B2 (ja) 除菌バリアー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5246471B2 (ja) 除菌清浄システム
KR102204144B1 (ko) 양손과 휴대폰을 동시에 자동으로 소독·건조하는 장치
KR20110127373A (ko) 습한 오존과 공기 와류 생성을 이용한 공기살균장치 및 공기살균방법
CN212522507U (zh) 一种雾化消毒系统的双模式控制电路
KR102411054B1 (ko) 게이트형 살균 및 소독 장치
JP2004028532A (ja) 空気浄化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シャワー装置
KR102660129B1 (ko) 대인 무균소독기
KR20220036410A (ko)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