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821B1 -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821B1
KR102476821B1 KR1020220061689A KR20220061689A KR102476821B1 KR 102476821 B1 KR102476821 B1 KR 102476821B1 KR 1020220061689 A KR1020220061689 A KR 1020220061689A KR 20220061689 A KR20220061689 A KR 20220061689A KR 102476821 B1 KR102476821 B1 KR 10247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valuation
risk
evacuation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봉
이지만
김선규
정무헌
최경진
심재화
허윤택
Original Assignee
한국소방안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방안전원 filed Critical 한국소방안전원
Priority to KR102022006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산업, 공익 용도별 사업장의 화재위험성평가를 통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선대책을 제공할 수 있는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hazard assessment methods for fire safety diagnosis of facility}
본 발명은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교통, 산업, 공익 용도별 사업장의 화재위험성평가를 통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선대책을 제공할 수 있는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불의의 원인에 의해 원하지 않는 공간에 발생할 수 있고, 재산상의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에 대한 치명적인 피해를 초래할 수 있음에 따라 화재의 예방은 물론, 화재 발생시 효과적인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4가 있다.
특허문헌 1은 하이시스(HYSYS) 모델 텍스트 파일, 세그먼트 텍스트 파일, 화재 위험도 분석용 데이터, 및 폭발 위험도 분석용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입력부; 세그먼트 내의 장비 리스트를 이용하여 장비 유형별 수량을 산출하고, 세그먼트 내의 장비 연결 정보 및 장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배관 경로를 예측하며, 세그먼트 내의 장비 크기 정보, 장비 온도 및 압력 정보, 및 인벤토리 양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누출률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시나리오 구성부; 장비 유형별 수량을 OGP(International Association of Oil & Gas Producers) 데이터에 적용하여 누출빈도를 계산하고, 누출률에 따른 점화확률을 획득하고, 점화확률에 누출빈도를 곱하여 화재 발생 빈도를 계산하며, 폭발 점화 확률에 누출빈도를 곱하여 폭발 발생 빈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빈도 계산부; 세그먼트 내의 인벤토리 양 정보, 누출률, 및 화재 위험도 분석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별 열 유속분포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화재 결과 분석부; 시나리오별 열 유속 분포와 화재 발생 빈도를 결합하여 임의의 위치에서의 초과 곡선을 결정하고, 기준 빈도에 해당하는 설계 열 유속 값을 결정하고, 설계 열 유속 값을 이용하여 설계 열 유속 등고선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초과 곡선 및 설계 열 유속 등고선 생성부; 세그먼트 내의 장비 리스트, 장비 위치, 및 설계 열 유속 등고선의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 전체의 고장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화재 위험 평가부; 세그먼트 내의 장비 위치 정보, 누출률, 및 폭발 위험도 분석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별 과압력 분포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폭발 결과 분석부; 시나리오별 과압력 분포와 폭발 발생 빈도를 결합하여 임의의 위치에서의 초과 곡선을 결정하고, 기준 빈도에 해당하는 설계 과압력 값을 결정하며, 설계 과압력 값을 이용하여 설계 과압력 등고선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초과 곡선 및 설계 과압력 등고선 생성부; 및 세그먼트 내의 장비 리스트 정보, 장비 위치 정보, 및 설계 과압력 등고선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 전체의 고장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폭발 위험 평가부;를 포함하는 화재 및 폭발 위험도 평가 시스템이고,
특허문헌 2는 건물의 화재 예측 및 건물의 화재 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초 데이터를 변환하여 건물 노후도를 포함하는 특징을 추출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전처리부; 전처리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사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전 데이터 생성부; 사전 데이터에 대해서 기초 데이터를 행으로 하고 사전 데이터를 열로 하는 혼동 행렬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 모델을 조정하여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예측 모델 생성부; 및 예측 모델 및 전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의 화재 예측 및 건물의 화재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는 화재 발생 예측 분석부를 포함하는 건물의 화재 예측 분석 장치이며,
특허문헌 3은 플랫폼에 1계층, 2계층 및 3계층으로 분류되어 입력된 화재 원인에 대해, 각 계층 별로 쌍별비교가 수행되도록하여 각 계층의 항목 별 중요도 계수가 계산되고, 계산된 중요도 계수를 이용하여 3계층 항목들의 점수가 표준화되어, 3계층 항목 별로 계산된 변환점수가 평가지표에 입력되며 평가지표가 생성되는 평가지표 서버; 평가지표에 입력되는 입력값을 평가지표 서버로 전송하는 입력부; 및 평가지표 서버에 수신된 입력값을 통해 평가지표의 평가점수가 계산되고, 계산된 평가점수를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통시장의 화재 위험도를 평가하는 전통시장 화재 위험도 평가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화재 예방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사전에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여 미리 대책을 세울 수 있는 기술은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95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55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982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통, 산업, 공익 용도별 사업장의 화재위험성평가를 사전에 수행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선대책을 제공할 수 있게 함에 따라 화재의 발생 여지를 줄 일 수 있게 한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은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는 평가 방법에 있어서, 화재통계 자료 및 전문가의 계층 분석을 이용, 사전 화재위험도를 결정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위험도를 찾아내는 화재 위험요소발견 단계; 상기 위험요소발견 단계에서 발견된 위험요소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위험성평가 단계;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에서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예상 시나리오를 근거로 대응훈련을 수행한 결과를 평가하는 대응훈련평가 단계; 상기한 각 단계에서의 결과를 종합하여 용도별 사업장 내 물적, 인적 위험요소를 포함하는 화재에 영향을 주는 종합적인 위험을 판정, 평가하고 개선 대책을 수립하는 종합평가 및 개선대책수립 단계; 각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는 DATA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는 용도별 화재발생장소, 발생원인의 통계자료를 활용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최근의 통계자료를 재구성하는 통계적 평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는 화재역학공식(Fire Dynamics Equation)을 활용한 엑셀(Excel)형식의 툴(Tool) 및 화재, 피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는 상기 대응훈련평가 단계에서 실시한 실제 무 각본, 불시 비상대응훈련 결과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인적평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ATA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전 단계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은 교통, 산업, 공익 용도별 사업장의 화재위험성평가를 사전에 수행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선대책을 제공할 수 있게 함에 따라 화재의 발생 여지를 줄 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사용되는 체크리스트의 일부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사용되는 체크리스트의 다른 일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사용되는 체크리스트의 다른 일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평가 결과 산출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화재위험성평가 항목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대응훈련평가 결과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대응훈련평가 결과에 따른 지적사항 양식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대응훈련평가에서 평가 기준 참고 사항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대응훈련평가에서 평가 결과 환산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화재위험성평가를 사전에 수행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선대책을 제공할 수 있게 함에 따라 화재의 발생 여지를 줄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은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는 평가 방법으로, 화재통계 자료 및 전문가의 계층 분석을 이용, 사전 화재위험도를 결정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위험도를 찾아내는 화재 위험요소발견 단계; 상기 위험요소발견 단계에서 발견된 위험요소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위험성평가 단계;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에서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예상 시나리오를 근거로 대응훈련을 수행한 결과를 평가하는 대응훈련평가 단계; 상기한 각 단계에서의 결과를 종합하여 용도별 사업장 내 물적, 인적 위험요소를 포함하는 화재에 영향을 주는 종합적인 위험을 판정, 평가하고 개선 대책을 수립하는 종합평가 및 개선대책수립 단계; 각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는 DATA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요소발견 단계는 평가 대상 건축물의 구조나 장비 등 화재와 관련된 요소들을 과거 유사한 화재통계 자료 및 전문가의 계층 분석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사전 화재위험도를 결정한 체크리스트와 대비하여 위험요소를 찾아내는 단계이다.
체크리스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험물 분야, 전기 분야, 가스 분야, 기타 분야로 구분된다.
위험물 분야에서 점검할 사항은 무허가 위험물 저장 취급 여부, 유별 취급 방법 준수 여부, 표지 및 게시판의 설치 상태 (규격, 내용 등), 방유턱을 포함하는 유출방지 조치 여부, 탱크 설치 기준 적합성, 운반용기와 수납용기 적절성, 점검 여부와 일반점검표, 안전관리자의 선임여부와 자격, 안전환기 / 배출장치 / 유분리장치의 유무 및 관리상태의 기타 위험물 안전 등이 될 수 있다.
전기 분야는 변압기의 누유 등 이상 유무, 개폐기와 차단기의 열화 및 손상 여부, 배전반과 분전반의 설치위치 및 관리상태, 전선의 열화/ 노후/ 피복손상 여부, 콘센트의 사용 상태 및 과부하차단기 설치 여부, 전열기의 관리상태, 접지 여부(종별 적합) / 접지선 열화 / 피복손상, 누전차단기의 설치 및 정상작동 여부, 비상발전기의 정기점검 여부 / 연료 상태 / 축전지 및 충전장치 여부, 방폭전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안전관리자 선임 여부가 점검 항목이 될 수 있다.
가스 분야는 저장설비 등의 화기와의 거리, 정압기의 가스누출검지통보설비 및 이상압력통보장치 설치 및 작동상태(도시가스), 가스용기의 설치장소/ 보관실 적정성 관리상태, 배관의 누설/ 부식 및 파손 여부와, 미사용 배관 막음 상태와, 호스 3m 이하에 T 연결 여부, 가스누설자동차단장치의 설치 및 작동 상태, 연소기구의 환기구 및 급기구 설치여부와, 배기통 설치 상태, 안전관리자 선임과 표시 등의 기타 가스 안전 관련 항목이 될 수 있다.
기타 점검 분야는 주방, 보일러실 등의 상태, 주방 후드 화재 위험성, 흡연 등 관리, 소량 인화성 물질 등 기타 발화원 관리. 용접, 용단 등 화기 작업 시 안전 조치 등을 포함하는 발화원 관리와; 가연성 샌드위치 패널 사용, 알코올 손세정제 실내 적재 여부에 대한 가연물 제한 여부와; 방염물품 사용 여부; 및 CCTV 등 설치 및 관리상태 등 기타 화재위험 요인 발생 및 조치 사항 등이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는 소방시설유지관리를 포함하고, 소방시설유지관리의 구체적인 항목은 도 3a 및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 분야, 경보 분야, 피난 분야 소화활동 분야, 구조 분야, 구획 분야, 건축 피난 시설 분야 등이 있다.
소화 분야는 소화기의 종류, 배치, 압력 적합성과 기타 소화기구의 적합성을 포함하는 소화기구 항목; 펌프 성능 및 작동 상태/ 방수압력 적절성 / 기타 소화전설비의 적절성을 포함하는 옥내외 소화전 항목; 펌프 성능 및 작동 상태/ 가스계소화설비 등 의 작동 상태/ 헤드 및 감지기의 작동 여부/ 자동 작동 및 유지관리 상태/ 기타 자동소화설비의 적절성을 포함하는 자동소화설비 항목이 있다.
경보 분야는 화재 감시상태 및 유지관리/ 특수(공간) 감지기 적응성 및 기능 상태를 포함하는 자동화재탐지설비 항목; 경보 소리측정하는 경보 소리 항목; 감시 등의 기능 적함성을 포함하는 기타 경보설비 항목을 포함한다.
피난 분야는 피난기구의 설치위치 및 사용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피난기구 항목; 인명구조기구의 기능 및 사용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인명구조기구 항목; 기타 피난구조설비의 기능 및 사용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피난구조설비을 포함한다.
소화활동 분야는 fan, damper 등 기능/ 최소 차압 및 개방력/ 시스템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제연설비 항목; 기타 소화활동설비의 기능 및 사용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타 소화활동설비 항목을 포함한다.
구조 분야는 내화구조 및 내화피복 등 상태을 점검하는 내화구조 항목; 내부, 외부 및 필로티 마감재료의 불연, 준불연, 난연성을 판단하는 마감재 항목을 포함한다.
구획 분야는 면적별, 층별, 용도별/ 관통부 마감재 처리/ 필로티 주차장 구획/ 방재실, 발전기실 특수용도 등을 점검하는 방화구획 항목; 방화문 상태의 적절성/ 자동폐쇄 시 정상 작동 여부/ 폐쇄 장애 여부를 점검하는 방화문 항목; 방화셔터의 설치 적절성/ 자동폐쇄 시 정상 작동 여부/ 폐쇄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방화셔터 항목을 포함한다.
피난 시설 분야는 계단, 복도, 출입구의 유효 너비, 장애물 비치 등을 점검하는 계단, 복도, 출입구 항목; 계단의 특비, 피난, 직통, 옥외 계단의 구조를 점검하는 계단의 구조 항목; 직통계단 간 통로 연결 여부/ 직통계단에서 거실 보행거리 적합성을 판단하는 직통 계단 항목; 도로로 통하는 통로 확보 여부/ 건물 바깥쪽으로 출구 적절성을 판단하는 주출입구 항목; 피난 가능 여부 및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의 기능을 점검하는 옥상 피난 항목; 헬리포트(대피공간) 유지관리(피난 가능) 항목; 양방향 피난 가능 여부/ 보행거리 적정 여부를 판단하는 양방향 피난 항목; 비상구 피난 가능 여부 항목; 무허가 증축 여부 항목; 내진 등 기타 건축피난시설 적절성을 판단하는 기타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체크리스트는 소방계획 및 피난계획을 포함하고, 소방계획 및 피난계획 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영의지 및 안전관리 분야, 예산 분야, 소방 및 피난 계획 분야, 설비계획 분야를 포함한다.
경영의지 및 안전관리 분야는 중요 정책에 소방, 안전 포함 여부 (인터뷰 등), 안전관련 규정, 매뉴얼 수립 및 이행, 위험요인 평가 및 조치와 관련된 경영자 의식 항목; 안전조직 규모, 체계, 운영, 위원회 구성 및 운영 관련 안전조직 항목; 지위, 권한, 선임 년수, 보유자격, 임무 및 책임 인지도를 포함하는 소방안전관리자 항목; 소방계획서(적절성, 이행), 피난계획도 및 피난안내도를 점검하는 관련 서류 항목; 소방시설점검 및 조치 상태를 점검하는 관련 행정 항목; 현수막, 포스터 등 안전 홍보 실적을 포함하는 소방 홍보 항목; 자위소방대 임무카드, 실별 대피 방법 등의 자료 배포 여부를 점검하는 안전자료 배포 항목을 포함한다.
예산 분야는 화재 예방과 관련된 투자 여부를 점검한다.
소방 및 피난 계획 분야는 화재예방 및 일상적 안전관리 계획 수립 여부와 관련된 예방 및 완화 항목; 자위소방대 구성 및 교육 훈련 계획 수립 여부와 관련된 대비 항목; 초기 대응 및 피난 계획 수립 여부와 관련된 대응 항목; 복구 계획 수립 항목을 포함한다.
설비계획 분야는 공간 내 주요 화재위험요인에 대비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 선정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감지 항목; 공간 내 주요 화재위험요인에 대비할 수 있는 자동소화방법 선정 여부를 판단하는 자동소화 항목; 공간 내 주요 화재위험요인에 대비할 수 있는 수직/수평 방화구획 선정 여부를 판단하는 구획 항목; 공간 내 주요 화재위험요인에 대비할 수 있는 내화구조 선정 여부를 판단하는 내화구조 항목; 공간 내 주요 화재위험요인에 대비할 수 있는 피난용량(비상구, 피난로폭, 등) 확보 여부를 판단하는 피난설비 항목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는 상기 위험요소발견 단계에서 발견된 위험요소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로, 상기한 각 평가항목의 평가결과에 따라 점수를 부여할 수 있고, 부여된 점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가결과를 제출할 수 있다.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는 용도별 화재발생장소, 발생원인의 통계자료를 활용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최근의 통계자료를 재구성하는 통계적 평가와, 화재역학공식(Fire Dynamics Equation)을 활용한 엑셀(Excel)형식의 툴(Tool) 및 화재, 피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정량적 평가, 및 대응훈련평가 단계에서 실시한 실제 무 각본, 불시 비상대응훈련 결과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인적평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에서 평가되는 평가 항목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방 분야, 화재감지 분야, 자동소화 분야, 피난/대응 분야, 내화구조 및 구획 분야, 3D시뮬레이션 분야를 포함한다.
예방 분야는 개구부, 공간크기, 가연물 적재량 등의 공간 내 섬락(Flashover) 가능 여부를 평가하는 섬락 가능성 평가 항목; 공간 내 가연물을 기준으로 화재 열방출량, 화염의 높이, 등 예측하는 화재 규모 크기 예측 항목; 주유 중 화재 발생 시 액면 화재(pool fire)의 크기 및 복사열 예측하는 액면 화재의 규모 및 화재 전파 가능성 평가 항목; 유체제어(Spill Control)로 설치된 방유제의 용적이 안전성 확보를 위해 충분한지 평가하는 방유제 용적 적정성 평가 항목을 포함한다.
화재감지 분야는 공간 내 설치된 열감지기의 작동 시간 계산하는 열감지기 작동 시점 적절성 평가 항목; 공간 내 설치된 연감지기의 작동 시간 계산하는 연감지기 작동 시점 적절성 평가 항목; 들보와 같은 구조로 구획되어 있는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기의 화재 탐지 시간 계산하는 교차회로로 설계된 자동화재탐지 방법의 적절성 평가 항목을 포함한다.
자동소화 분야는 공간 내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작동 시간 계산한다.
피난/대응 분야는 천정부근 연기온도, 연기의 깊이 계산하는 터미널 거주가능시간 평가 항목; 피난용량(Egress Capacity) 계산하는 피난용량 평가 항목; 피난/대응에 필요한 제연/배연 성능 평가하는 제연 용량 적정성 평가 항목을 포함한다.
내화구조 및 구획 분야는 주요 구조물 내화기준 시간 평가하는 것으로 화재 시 구조물 온도 변화 계산한다.
3D시뮬레이션 분야는 감지기 종류/위치/등 적정성, 제연 적정성, 화재하중(Fire Load) 위험성 평가, 스프링클러 시스템(Sprinkler System) 설계 적정성을 평가하는 실내화재 평가 항목; 연료 누출 가능 지점이 건물과 30m 이내에 존재할 경우, 화재위험성평가 필요,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들인 연료 누출 지점, 연료 누출량, pool 크기, ramp drainage 설계, 화염에 노출된 벽체가 받는 피해, 벽체의 개구부 (창문, 문, 등) 피해영향, 건물 내부 화재로 이어질 경우(pool 화재로부터 22.9m 이격된 유리창도 깨질 수 있으며, 또한 복사열에 의한 건물 내부로의 2차 화재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음) 등의 연료 유출에 의한 유류 화재 및 폭발을 고려한 소방 및 피난계획 설계 여부 평가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대응훈련평가 단계는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에서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예상 시나리오를 근거로 대응훈련을 수행한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로, 무 각본으로 훈련이 이루어고, 평가항목은 화재발견/신고/전파, 비상연락/지원요청, 지휘 및 상황통제, 초동조치/의료구호, 피난/방호조치, 사후복구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화재발견/신고/전파 분야는 이상징후를 포착한 재실자는 신속히 화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즉시 반응 여부, 화재발견자는 화재발생을 명확히 전파 여부, 발신기를 신속히 동작시켰는지 여부, 화재발견자는 119에 신속히 신고 여부, 화재발견자는 화재상황을 정확히 119에 신고 여부, 화재발견자 또는 재실자는 관련부서에 신속히 통보하였는지 여부, 화재발견자는 화재상황을 안전부서(방재실)에 정확히 통보하였는지 여부, 안전부서(방재실)는 화재발생여부에 대한 확인을 즉시 지시하였는지 여부, 안전부서(방재실)에는 방송내용 매뉴얼이 준비되어 있는지 여부, 안전부서(방재실)는 화재상황에 대한 안내방송을 즉시 실시했는지 여부, 안전부서(방재실)에서는 방송내용을 반복방송 여부, 안전부서(방재실)는 각 대응조직에 즉시 연락을 취했는지 여부, 현장과의 연락수단(무전기 등)은 준비되어 있는지 여부, 통보를 받은 부서에서는 화재상황에 대해 119로 신고했는지 여부, 안내방송은 현장에서 모두 들을 수 있는 적합한 음량으로 잘 들리는지 여부, 화재경보(안내)를 받은 재실자는 경보에 즉시 반응 여부, 화재인지 후 거실 내로 재진입하는 재실자가 있는지 여부, 안내방송의 내용은 적절했는지 여부, 대규모사고인 경우 사고현장 주변지역 주민들에게 대피안내를 적절히 실시했는지 여부가 구체적인 평가할 항목이다.
비상연락/지원요청 분야는
비상연락체계가 구축되어 있는지 여부, 비상대응계획을 비치하고 있는지 여부, 비상연락체계 가동은 적시에 이루어지는지 여부, 비상연락체계가 실재 근무자 명단에 맞게 업데이트 되었는지 여부, 비상연락메시지 전달매체(유선, SMS 등)를 적절히 사용하였는지 여부, 유형별, 상황별 비상메시지가 준비되어 있는지 여부, 비상사태 알림 메시지 내용은 명확한지 여부, 상급부서 또는 기관에 사고발생 사실을 즉시 보고하였는지 여부, 사고발생의 지원 등을 위한 외부기관과의 연락체계는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 외부기관으로의 지원요청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 내부보고 단계 및 절차는 간소한지 여부를 평가한다.
지휘 및 상황통제 분야는 상황실은 피해현황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전파하는지 여부, 상황실은 피해현황에 대해 정확히 보고하는지 여부, 야간 및 휴일근무 시 대리자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 사고발생 시 상황관련 기록을 작성하는지 여부, 화재수신기, 비상방송 등 관련 장비를 적정하게 운용할 수 있는지 여부, 비상대책위원회는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 비상대책위원회 설치 결정 후 신속하게 위원회를 개최하였는지 여부, 비상대책위원회 개최 시 위원장 및 위원들이 신속히 집결하였는지 여부, 비상대책위원(장)은 사고 발생 시 본인들의 임무를 사전에 숙지하고 있는지 여부, 비상대책위원회는 피해상황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수집하고 파악하는지 여부, 비상대책위원회는 사고위험등급에 따라 비상사태를 선포하는지 여부, 비상대책위원장은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렸으며 합리적으로 지원자원을 배분하고 조정하였는지 여부, 비상대책위원회는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최우선적으로 다루었는지 여부, 현장지휘소는 안전한 장소에 위치하였는지 여부, 현장지휘소는 전기, 통신 등 운영시설이 적절히 갖추어져 있는지 여부, 현장지휘부는 즉시 구성되었는지 여부, 지휘부 구성인원은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숙지하고 있는지 여부, 지휘부로의 사고현황에 대한 보고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 지휘부의 구성원들은 상호정보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 보고현황을 상황판에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등 정보공유가 적시에 이루어지는지 여부, 현장지휘자는 사고발생 시 즉시 활동을 개시하는지 여부, 현장지휘자는 사고현장에 대한 종합적인 지휘통제 역량을 보유하였는지 여부, 현장지휘자는 현장지휘권 인계 시 사고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였는지 여부, 비상통제자는 사고발생 시 활동을 즉시 개시하는지 여부, 비상통제자는 비상대응조직 및 지원조직에 대해 적절히 지휘하는지 여부, 비상통제자와 비상대책위원회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한지 여부, 대변인 선정 및 발표창구는 일원화 되어있는지 여부, 언론대응에 대한 보고체계가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 언론대응에 대한 보고체계에 맞게 대응하였는지 여부, 언론대응을 위한 보도자료는 준비되어 있는지 여부, 언론대응담당자는 현장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는지 여부, 언론브리핑은 사실에 입각하여 정확하게 실시되었는지 여부, 현장에 대한 사진촬영시 언론대응이 적절하였는지 여부, 언론기관 및 유관부처 대기장소는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 언론보도자료의 작성 및 배포는 신속하고 정확하였는지 여부, 사실의 왜곡, 추측성 보도 등 오보 발생 시 정정브리핑을 실시하는지 여부, 사고대응정보에 대한 유관기관과의 공유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여부, 사고대응을 위해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출입통제를 위한 적정한 인력이 배치되었는지 여부, 출입 인가자, 차량 등에 대한 식별 체계 및 출입기록은 적절히 작성되었는지 여부, 위험지역 출입 시 보호장비를 적절히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초동조치/의료구호 분야는 소화기 사용자는 소화기를 신속하게 작동시키는지 여부, 소화기에 의해 화재는 진압되었는지 여부, 소화기의 방사거리는 적정한지 여부, 소화기의 분사노즐이 화점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 소화기의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누르는지 여부, 초기소화실패시 다른 피난 임무를 적절히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 주변의 동원 가능한 소화기를 적절히 사용했는지 여부, 옥내소화전 사용자는 화재진압을 위해 절차에 맞게 옥내소화전을 사용하는지 여부, 옥내소화전 사용자는 2인 1조가 되어 사용했는지 여부, 옥내소화전 사용자는 호스를 꼬이지 않게 원활히 전개하였는지 여부, 관창수는 창문 등의 아래, 개구부 옆 등을 피해 적절한 방수위치를 잡았는지 여부, 소화전호스가 방화문등의 폐쇄를 방해하고 있지 않는지 여부, 관창을 잡은 사람이 방수 반동 등에 적절히 대비한 상태에서 소화전을 개방하였는지 여부, 화재진압 시 소방대장과 소방대원간의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는지 여부,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및 가스 등 관련설비 작동을 즉시 차단하였는지 여부, 초기대응을 위한 역할 분담이 적절한지 여부, 초기대응조직의 대원들은 자신의 임무를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지 여부, 초동조치를 위해 대원은 즉시 출동하였는지 여부, 초동조치를 위해 필요한 개인안전장비 등을 적절히 착용하였는지 여부, 초동조치를 위해 필요한 장비를 적절히 운용하였는지 여부, 물질에 따른 적응성 있는 소화약제를 적절히 사용하였는지 여부, 유해물질 유.누출시 대응인원은 적정한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화재규모 및 형태에 따라 적정한 진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 사고현장 접근 시 풍향을 고려해 적절히 진입하는지 여부, 사고현장 접근 시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였는지 여부, 주변 인화물질 제거 등 인근 구역 등으로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를 적절히 취했는지 여부, 현장지휘자 및 대원들의 사고현장에 대한 상황판단 및 대응은 적절하였는지 여부, 현장 대응작업 시 2인 이상이 임무를 수행하는지 여부, 현장상황에 따른 사고현장 진입여부 결정은 합리적이었는지 여부, 화재진압 종료 후 지휘부에 보고하였는지 여부, 부상자를 발견한 사람은 즉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지 여부, 반응이 없는 부상자 발생시 절차에 따라 부상자 소생을 위한 적절한 대응을 하는지 여부, 심폐소생술 시행 전 주변의 한 사람을 지목하여 119에 도움요청을 하는지 여부, 부상자가 안전한 장소에 있지 않다면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지 여부, 구내 의료부서에서는 요구조자 신고접수 후 즉시 출동하는지 여부, 환자처치를 위한 구급차는 현장에 신속하게 도착하였는지 여부, 환자별, 증상별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졌는지 여부, 의료구호반원은 적절한 감염예방장비를 갖추고 출동하였는지 여부, 화상환자 발생 시 화상부위를 노출시키고 화기를 없애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지 여부, 화상부위에 워터젤 또는 찬수건등으로 덮어 병원에 이송하는지 여부, 출혈 시 깨끗한 거즈 또는 수건으로 압박하는지 여부, 출혈 부위는 항상 심장보다 높게 유지하는지 여부, 골절 시 골절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 등을 활용하여 적절히 고정시키는지 여부, 골절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하고 냉찜질을 실시하는 등 적절히 처치하는지 여부, 집결지내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및 후송조치는 적정했는지 여부, 부상자 후송시 커뮤니케이션 담당자가 동승하는지 여부, 응급처치에 필요한 적정 장비를 보유했으며 사용방법 또한 숙지하였는지 여부, 현지 의료시설 현황에 따른 부상자 후송 대책이 적절히 마련되었는지 여부, 병원 이송환자에 대한 추적관리(병원명칭, 사상자 인적사항 및 환자상태 등)는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여부, 사상자 발생 시 관련 가족에게 신속하고 차분하게 연락을 취했는지 여부, 전체 병동을 대상으로 환자분류 리스트는 적절히 작성되었는지 여부, 재해약자 중 자력피난가능자와 자력피난 불가능자의 구분이 명확한지 여부, 대피 환자를 안전한 장소(인근 병원 등)로 최종 이송하였는지 여부, 후송환자 분류(3단계)를 적절히 하였는지 여부, 무호흡 또는 심정지 환자 발생시 가슴압박을 적절히 시행하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피난/방호조치는 피난 유도반은 환자 및 보호자(간병인 등 포함)를 안전한 통로로 유도하고 지정된 피난장소를 알려주는 등 유도방법이 적절하였는지 여부, 현장 피난유도 시 확성기 등을 활용하여 충분히 큰 소리로 유도했는지 여부, 피난유도자는 대피자가 알아보기 쉬운 복장을 착용하였는지 여부, 피난유도원은 E/V 근처, 계단 근처 등 적절히 배치되었는지 여부, 대피자들은 평소 피난장소와 피난경로를 잘 알고 있는지 여부, 대피자들은 사전에 피난장소와 피난경로에 대한 안내를 충분히 받았는지 여부, 환자 및 보호자는 피난 유도반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대피장소로 신속히 이동하였는지 여부, 환자 및 보호자는 지정된 대피 경로에 따라 신속히 이동하였는지 여부, 대피한 환자의 소속병동은 정확히 파악되었는지 여부, 대피한 환자의 위치는 정확히 파악되었는지 여부, 건물 옥상 대피자의 경우 옥외로 안전하게 대피시켰는지 여부, 대피하지 못한 인원에 대한 정보를 상황실에 즉시 보고하였는지 여부, 일시적 위험회피를 위한 임시안전구역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임시안전구역에서 피난 및 구조요청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거동불편자에 대한 전담 피난 보조자가 지정되었는지 여부, 거동불편자의 피난을 위한 현장 피난유도자 및 보조자의 도움은 적절한지 여부, 와상환자에 대한 피난방법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피난유도교사를 위한 손전등, 방연마스크 등 안전장비를 적절히 사용하였는지 여부, 피난유도교사는 대피동선에 따라 적절히 대피시키는지 여부, 피난유도교사는 피난기구(구조대 등) 사용법을 잘 알고 있는지 여부, 피난통로는 장애물 없이 원활한 피난이 가능한지 여부, 교정시설의 잠금장치를 즉시 개방하였는지 여부, 피난시 교정대상자의 경로이탈이나 도주사고 방지를 위해 피난유도인력이 적절히 배치되었는지 여부, 피난안내는 침착한 어조로 반복하여 방송하였는지 여부, 대피자는 비상상황 안내후 즉각적인 대피를 하였는지 여부, 대피자는 침착하고 질서있게 대피하였는지 여부, 대피자는 방화문이나 출입구를 닫는 등 화재확산 방지조치를 적절히 하였는지 여부, 마지막 재실자가 화재발생장소(화재층) 밖으로 신속히 대피하는지 여부, 화재층에 대피하지 못하고 남아있는 인원이 있는지 여부, 마지막 재실자가 건물 밖으로 신속히 대피하는지 여부, 건물 내 모든 재실자가 대피하였는지 여부, 방화셔터가 재실자의 피난에 장애가 되지는 않는지 여부,
병목현상 방지를 위해 양방향 피난이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여부, 재실자는 피난방향으로 대피하는지 여부, 피난유도자는 대피시 재해약자를 우선 유도하는지 여부, 출입구의 손잡이 열기를 확인후 대피하는지 여부, 피난후 건물 안으로 재진입하는 사람이 있는지 여부, 피난안전구역이 있는 경우, 이를 식별, 활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적절한지 여부, 실내에 고립되거나 옥상에 대피한 사람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행동이 적절했는지 여부, 연기가 체류할 경우 대피자는 낮은 자세로 대피하였는지 여부, 계단 등의 피난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해당층의 피난기구를 적절히 이용하여 대피하는지 여부, 사고 유형별 대피계획(대상인원, 대피경로, 집결지 선정 등)은 적절히 수립되었는지 여부, 대피 명령은 신속하고 적절한 방법(비상방송 등)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재해약자(고령, 장애인 등) 및 부상자에 대한 대피계획은 마련되어있는지 여부, 재해약자의 대피보조는 적절하였는지 여부, 효과적인 대피유도를 위한 적정한 인력이 배치되었는지 여부, 사상자 및 실종자에 대한 탐색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 건물 내 대피경보를 위한 탐색은 신속히 이루어졌는지 여부, 대피 중 부상자 목격시 적절히 대응하는지 여부, 사전에 지정된 대피집결지가 있는지 여부, 대피집결지는 사용가능하며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 대피집결지에 대한 식수, 생필품 등의 공급계획은 적절히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 대피자는 대피집결지에 즉시 집결하는지 여부, 대피반장의 인원파악과 보고가 충분히 신속하고 정확한지 여부, 집결지 이탈 시 반장에게 통보 후 이탈하는지 여부, 반장은 미확인 인원발생시 즉시 조치하는지 여부, 사고현장 통제라인 설치 및 주요 출입구에 인원,차량 통제 등 현장통제가 적절한지 여부, 비상사태 유형(화재/폭발, 유/누출 등) 및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안전구역이 적절히 설정되었는지 여부, 각 병동의 의료 가스는 차단시켰는지 여부, 외부소방차량 및 응급차량 유도가 충분히 신속하고 안전한지 여부, 사고현장 출입자에 대한 기록/통제 등 침입우려에 대한 대책이 적절히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 반출자산을 신속하게 반출장소로 이동시키고 모두 반출을 완료하였는지 여부, 반출장소는 안전한 곳에 위치하였으며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반출된 자산에 표찰을 붙이는 등 관리가 적절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사후복구 분야는 재발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잔화정리를 적절히 하였는지 여부, 시설/설비에 대한 신속한 응급복구(전기, 가스, 통신 설비 등)가 이뤄졌는지 여부, 보호자에게 해당상황을 정확히 통보하였는지 여부, 비상상황 종료 시 명확하게 상황을 전파하였는지 여부, 피해상황에 대한 집계 및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여부, 사고원인 조사 및 신속한 복구를 위한 적절한 계획을 수립하였는지 여부, 비상사태로 인해 파생되는 2차피해(생산 중단, 피해보상 등)에 대한 조사가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여부, 대관/대민/언론에 대해 필요한 사후 조치사항이 검토가 적절한지 여부를 평가한다.
대응훈련 평가 결과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식의 평가표로 만들 수 있고, 지적사항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식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평가과정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해당 평가 대상 건축물의 상황을 고려하여 평가 기준을 용도별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서 대응훈련평가에서 평가 결과 환산표로 도 5의 평가표의 목록인 화재발견/신고/전파, 비상연락/지원요청, 지휘 및 상황통제, 초동조치/의료구호, 피난/방호조치, 사후복구 등의 평가 분야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도 10의 환산 방법에 따라 점수를 환산할 수 있다.
즉, 환산점수(Convert Score) = (x*z)/y로 구해질 수 있고 여기서, x는 분야별 가중치(전체 점수를 100점으로 하여 그 분야가 차지하는 중요도 점수 -> 훈련설계자가 정함)이고, y는 해당분야 평가항목별 만점 점수 합계이며, z는 평가획득점수이다.
최종환산점수에 따른 훈련수준은 85점 이상은 A, 85미만 70이상은 B, 70미만에서 55이상은 C, 55미만에서 40이상은 D, 40미만은 E로 구분할 수 있고, A는 매우양호로 평상시 직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것이고, B는 양호로 대체로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필요로 하는 결과이고, C는 보통으로 좀 더 적극적인 관심과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하는 결과이며, D는 미흡으로 다소 미흡하오니 안전의식의 변화 등 보완이 요구되는 결과 이고, E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시급한 보완 및 체계적 훈련체계가 요구되는 결과 이다.
상기와 같이 평가가 이루어진 후에는 제반 종합평가 및 개선대책수립 단계에서는 위험요소 발견, 정량적 평가, 비상대응훈련 평가 결과를 종합 평가하여 점수화 및 등급화하고, 개선대책 수립 시 단계별 환류를 통한 개선 시 등급 산정한다.
평가가 종료되면 DATA화 단계에서 제반 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정리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는 다른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ATA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전 단계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5)

  1. 화재통계 자료 및 전문가에 의해 첫째 대항목으로 화재위험요인에 속하는 중항목으로 위험물, 전기, 가스로 분류하고, 둘째 대항목으로 소방계획 및 피난계획에 속하는 중항목으로 경영의지 및 안전관리, 예산, 소방 및 피난계획, 설비계획으로 분류하고, 셋째 대항목으로 소방시설유지 관리에 속하는 중항목으로 소화, 경보, 피난, 소화활동(용수)로 분류하고, 넷째 비상대응조직 및 교육훈련에 속하는 중항목으로 화재발견/신고/전파, 비상연락/지원요청, 지휘 및 상황통제, 초동조치/의료구호, 피난방호조치 다섯째 대항목으로 화재위험성 평가에 속하는 중항목으로 예방, 화재감지, 자동소화, 3D화재시뮬레이션으로 대항목와 중항목 계층으로 분류하여 사전 화재위험도를 결정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위험도를 찾아내는 화재 위험요소발견 단계; 상기 위험요소발견 단계에서 발견된 위험요소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위험성평가 단계;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에서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예상 시나리오를 근거로 대응훈련을 수행한 결과를 평가하는 대응훈련평가 단계; 상기한 각 단계에서의 결과를 종합하여 용도별 사업장 내 물적, 인적 위험요소를 포함하는 화재에 영향을 주는 종합적인 위험을 판정, 평가하고 개선 대책을 수립하는 종합평가 및 개선대책수립 단계; 각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는 DATA화 단계를 포함하는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으로,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는 용도별 화재발생장소, 발생원인의 통계자료를 활용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최근의 통계자료를 재구성하는 통계적 평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는 화재역학공식(Fire Dynamics Equation)을 활용한 엑셀(Excel)형식의 툴(Tool) 및 화재, 피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성평가 단계는 상기 대응훈련평가 단계에서 실시한 실제 무 각본, 불시 비상대응훈련 결과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인적평가를 더 포함하며,
    상기 DATA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전 단계에 반영하는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에 있어서,
    대응훈련평가 단계의 평가결과는 환산점수로 출력할 수 있고, 환산점수(Convert Score) = (x*z)/y로 구해지며,
    여기서, x는 분야별 가중치(전체 점수를 100점으로 하여 그 분야가 차지하는 중요도 점수 -> 훈련설계자가 정함)이고, y는 해당분야 평가항목별 만점 점수 합계이며, z는 평가획득점수이며, 최종환산점수에 따른 훈련수준은 85점 이상은 A, 85미만 70이상은 B, 70미만에서 55이상은 C, 55미만에서 40이상은 D, 40미만은 E로 구분할 수 있고, A는 매우양호로 평상시 직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것이고, B는 양호로 대체로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필요로 하는 결과이고, C는 보통으로 좀 더 적극적인 관심과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하는 결과이며, D는 미흡으로 다소 미흡하오니 안전의식의 변화 등 보완이 요구되는 결과 이고, E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시급한 보완 및 체계적 훈련체계가 요구되는 결과를 종합 평가하여 점수화 및 등급화하고, 개선대책 수립 시 단계별 환류를 통한 개선 시 등급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61689A 2022-05-19 2022-05-19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 KR102476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89A KR102476821B1 (ko) 2022-05-19 2022-05-19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89A KR102476821B1 (ko) 2022-05-19 2022-05-19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821B1 true KR102476821B1 (ko) 2022-12-13

Family

ID=8443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689A KR102476821B1 (ko) 2022-05-19 2022-05-19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3910A (zh) * 2023-07-03 2023-08-29 济南达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桥架火灾风险分析方法及系统
CN116703036A (zh) * 2023-06-25 2023-09-05 成都信息工程大学 一种高温防灾措施生成方法及系统及装置及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491A (ko) * 2014-05-15 2015-11-25 주식회사 엘아이지시스템 화재 위험 지수를 이용한 화재 위험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2089568B1 (ko) 2019-11-12 2020-03-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 및 폭발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5150A (ko) * 2019-11-06 2021-05-17 (주)하몬소프트 가상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10098234A (ko) 2020-01-31 2021-08-10 한국물환경 주식회사 전통시장 화재 위험도 평가지표 시스템 및 방법
KR102315580B1 (ko) 2019-12-26 2021-10-25 한국국토정보공사 건물의 화재 예측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20003242A (ko) * 2020-07-01 2022-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대피 훈련과 이와 관련된 상품의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491A (ko) * 2014-05-15 2015-11-25 주식회사 엘아이지시스템 화재 위험 지수를 이용한 화재 위험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20210055150A (ko) * 2019-11-06 2021-05-17 (주)하몬소프트 가상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089568B1 (ko) 2019-11-12 2020-03-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 및 폭발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315580B1 (ko) 2019-12-26 2021-10-25 한국국토정보공사 건물의 화재 예측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98234A (ko) 2020-01-31 2021-08-10 한국물환경 주식회사 전통시장 화재 위험도 평가지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242A (ko) * 2020-07-01 2022-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대피 훈련과 이와 관련된 상품의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3036A (zh) * 2023-06-25 2023-09-05 成都信息工程大学 一种高温防灾措施生成方法及系统及装置及介质
CN116703036B (zh) * 2023-06-25 2023-11-28 成都信息工程大学 一种高温防灾措施生成方法及系统及装置及介质
CN116663910A (zh) * 2023-07-03 2023-08-29 济南达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桥架火灾风险分析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821B1 (ko) 시설물의 화재예방안전진단을 위한 단계별 위험성평가방법
KR101025550B1 (ko) 재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Nadzim et al. Appraisal of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s at educational buildings
Suryoputro et al. Active and passive fire protection system in academic building KH. Mas Mansur, Islamic University of Indonesia
Irwanto et al. Evaluation of Fire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in dr. R. Koesma Regional General Hospital of Tuban Regency in 2021
Dewi et al. Preparedness of Rumah Ilmu Library in Facing Fire Disasters: Safety Education for Campus Society
Galea Interim Phase 1 Recommendations for the Grenfell Inquiry
유정최 et al. The Scenarios to Improve Job Competence of Fire Safety Managers
Chow et al. Review on fire safety objectives and application for airport terminals
덕곤배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critical risk factors assessment in a construction site
Hume Firefighting in under-ventilated compartments: Literature review
ACHINE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ADEQUACY OF EXISTING FIRE SAFETY MEASURES IN FUTMINNA STUDENTS’HOSTELS
Fadhilah et al. Do Safety Education Show in Implementation of Health and Safety Standard?
Ismail et al. Assessment of fire protection system in student accommodation at Universiti Sains Malaysia (USM) main campus
Thompson The three Rs of fire safety, emergency action, and fire prevention planning: promoting safety at the worksite
Mallett Two-Storey Office Building
Garis et al. Construction Site Fire Response
Napitupulu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PASSIVE PROTECTION AND FIRE MANAGEMENT SYSTEMS IN THE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BUILDING UPN VETERAN JAKARTA YEAR 2020
Vyas et al. To Study Factors Affecting Fire Safety in High-Rise Buildings and Their Implementation Attributes
Center Department of the Air Force
Nystedt Tolerable Fire Risk Criteria for Hospitals
Bochnak hOw tO establIsh INDUstrIal lOss preveNtION aND FIre prOteCtION
Ismail et al. Appraisal of passive and active fire protection systems in student’s accommodation
Isa et al. Fire Safety Audit Of Buildings (UM Press)
Baker Fire and Life Safety Analysis of The Production Facility (PF)-87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