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529B1 -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 - Google Patents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529B1
KR102476529B1 KR1020200182962A KR20200182962A KR102476529B1 KR 102476529 B1 KR102476529 B1 KR 102476529B1 KR 1020200182962 A KR1020200182962 A KR 1020200182962A KR 20200182962 A KR20200182962 A KR 20200182962A KR 102476529 B1 KR102476529 B1 KR 102476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roller
driving
driving device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9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1842A (en
Inventor
김인수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Priority to KR102020018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29B1/en
Publication of KR2022009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배터리의 연결 구조가 개시된다. 배터리 연결 구조는 차량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 구동 장치와 연결되고, 구동 장치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배터리,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제어기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2배터리 및 제2배터리에 연결된 필터 회로를 포함하고, 제1배터리 및 구동 장치는 제1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제2배터리 및 제어기는 제2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필터 회로는 제1전류 경로와 제2전류 경로 사이에 배치된다.A connection structure of a vehicle battery is disclosed.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operate the vehicle, a first battery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ing devic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devic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 second battery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second battery and a filt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wherein the first battery and the driving device form a first current path, and the second battery and the controller form a second current path. and the filter circu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rent path and the second current path.

Description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배터리 연결 구조{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d stability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

본 발명은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배터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성 향상을 위한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ing sta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vehicle for stability improvement.

차량 내에는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예컨대, 모터, 램프 및 이그니션 코일 등) 및 이러한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배치된다. 구동 장치는 비교적 큰 양의 전류 또는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제어기는 비교적 작은 양의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동작하는데 이 때, 제어기의 전류와 전압은 노이즈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모터의 솔레노이드, 이그니션 코일 및 램프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구성들은 노이즈를 발생시킨다.A driving device for driving (eg, a motor, a lamp, an ignition coil, etc.)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 are disposed in the vehicle. The driving device operates us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urrent or voltage, and the controller operates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voltage or current. At this time, the current and voltage of the controller preferably do not include noise. For example, most components, including motor solenoids, ignition coils, and lamps, generate noise.

이러한 노이즈는 전선을 통해서 전파되고, 해당 회로와 연결된 다른 기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제어기는 이러한 노이즈의 영향에 취약하므로 제어기의 앞단에 이러한 노이즈를 차단하는 필터 회로를 적용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서 대부분의 제어기에 대해 추가적인 비용을 들여 필터 회로를 부가하고 있다.This noise is propagated through wires and affects other device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In particular, since the controller is vulnerable to the influence of such noise, a filter circuit to block such noise must be applied to the front of the controller, and for this reason, a filter circuit is added to most controllers at an additional cost.

예컨대, 제어기는 모터에서 전자파 노이즈는 모터와 연결된 전선을 통해 모터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주변의 전자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노이즈는 주변의 전자 기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전자 기기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차량의 경우, 노이즈에 의한 오작동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transfer electromagnetic noise from the motor to nearby electronic device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through a wire connected to the motor. The transmitted noise may affect nearby electronic devices and cause mal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s. In the case of a vehicl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due to malfunction due to noise may increase.

특히, 최근의 차량은 운전자의 편리성 및 운행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많은 전자 제어기들이 탑재되며, 전자 제어기는 전자적인 제어를 통해 차량 내의 장치들을 제어한다. 이 때, 차량 내의 구동 장치로부터 생성된 전자파 노이즈가 전선을 통해 전자 제어기로 전달되는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전자 제어기는 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필터 회로를 구비한다. 그러나, 전자 제어기 각각에 대해 필터 회로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또한 전자 제어기 회로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recent vehicles are equipped with many electronic controllers for reasons such as driver's convenience and driving safety, and the electronic controller controls devices in the vehicle through electronic control.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magnetic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 in the vehicle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nic controller through the wire, a big problem may occur, so the electronic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filter circuit for blocking the electromagnetic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However, it takes a lot of cost to provide a filter circuit for each electronic controll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electronic controller circuit increas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내의 구동 장치로부터 발생한 노이즈가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rranged so that noise generated from a driving device in a vehicle is not transferred to a controller of the driving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동 장치와 연결된 제1배터리와 분리되고, 제어기와 연결되는 제2배터리를 구비하여, 구동 장치 및 제1배터리로 구성되는 제1전류 경로와 제어기 및 제2배터리로 구성되는 제2전류 경로를 분리함으로써, 구동 장치로부터 발생한 노이즈가 전선 등을 통해 제어기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배터리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 battery that is separated from a first battery connected to a driving device and connected to a controller, and includes a first current path composed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first battery, the controller, and the second batte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that prevents noise generated from a driving device from being transferred to a controller through wires or the like by separating the configured second current path.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의 연결 구조는, 차량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 구동 장치와 연결되고, 구동 장치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배터리,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제어기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2배터리 및 제2배터리에 연결된 필터 회로를 포함하고, 제1배터리 및 구동 장치는 제1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제2배터리 및 제어기는 제2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필터 회로는 제1전류 경로와 제2전류 경로 사이에 배치된다.A connection structure of a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a vehicle, a first battery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 a controller configured, a second batter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controller, and a filt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wherein the first battery and the driving device form a first current path; The battery and controller form a second current path, and the filter circu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rent path and the second current path.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에 따르면, 구동 장치와 연결된 제1배터리와 분리되고, 구동 장치의 제어기와 연결되는 제2배터리를 구비하여, 구동 장치 및 제1배터리로 구성되는 제1전류 경로와 제어기 및 제2배터리로 구성되는 제2전류 경로를 분리함으로써, 구동 장치로부터 발생한 노이즈가 전선 등을 통해 제어기로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attery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and a second batter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of the driving device are provided, and the first current composed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first battery By separating the path from the second current path composed of the controller and the second battery,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wires or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에 따르면, 구동 장치 및 제1배터리로 구성되는 제1전류 경로와 제어기 및 제2배터리로 구성되는 제2전류 경로 사이에 필터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제어기 내부의 필터 회로를 제거 또는 간소화 할 수 있어, 제어기 각각에 대한 필터 회로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ilter circuit between the first current path consisting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current path consisting of the controller and the second battery, the inside of the controller Since the filter circuit can be removed or simplified, the cost of providing the filter circuit for each controller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1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conventional vehicle.
2 shows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ively illustrate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currently disclosed content, and are not interpreted i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종래의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발전기(11), 배터리(12), 구동 장치(13) 및 제어기들(14, 15)을 포함한다. 종래의 경우, 발전기(11)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12)로 전달되고, 배터리(12)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1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conventional vehicle. 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10 includes a generator 11 , a battery 12 , a driving device 13 and controllers 14 and 15 . In the conventional cas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generator 11 is transferred to the battery 12, and the battery 12 stores the stored electric energy.

구동 장치(13)는 배터리(12)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한다. 제어기들(14, 15) 또한 배터리(12)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The driving device 13 operates using electrical energy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12 . Controllers 14 and 15 also operate based on electrical energy delivered from battery 12 .

한편, 구동 장치(13)로부터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고, 발생된 노이즈는 전선을 따라 배터리(12)와 제어기들(14, 15)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10)의 경우, 제어기들(14, 15)의 안정성을 위해 제어기들14, 15) 각각은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필터 회로(14a, 15a)를 포함한다. Meanwhile, noise may b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 13, and the generated noise may be transmitted to the battery 12 and the controllers 14 and 15 along wire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10, for the stability of the controllers 14 and 15, each of the controllers 14 and 15 includes filter circuits 14a and 15a for blocking noise.

제어기들(14, 15) 각각은 필터 회로(14a, 15a) 및 제어 회로들(14b, 15b)을 포함한다.Controllers 14 and 15 each include filter circuits 14a and 15a and control circuits 14b and 15b.

필터 회로(14a, 15a) 각각은 제어기들(14, 15) 각각에 전단에 설치되어, 제어기들(14, 15)과 연결된 전선을 통해 입력되는 노이즈를 저감(또는 필터링)한다.The filter circuits 14a and 15a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controllers 14 and 15, respectively, and reduce (or filter) noise input through wires connected to the controllers 14 and 15.

제어 회로들(14b, 15b)는 필터 회로(14a, 15a)를 통해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고, 제어기들(14, 15)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circuits 14b and 15b may operate using electrical energy transmitted through the filter circuits 14a and 15a, and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lers 14 and 15.

제어기들(14, 15)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각 제어기들(14, 15)에 포함되는 필터 회로(14a, 15a)의 개수들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에, 필터 회로들(14a, 15a)을 구비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12) 주변 회로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controllers 14 and 15 increases, the number of filter circuits 14a and 15a included in each of the controllers 14 and 15 also increases. As a result, not only the cost for providing the filter circuits 14a and 15a increases, but also the size of the circuit around the battery 12 may increas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구동 장치(110), 발전기(120), 제어기(130), 제1배터리(140) 및 제2배터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2 shows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a vehicle 100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110 , a generator 120 , a controller 130 , a first battery 140 and a second battery 150 .

구동 장치(110)는 차량(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구동 장치(110)는 제어기(130)의 제어에 따라, 차량(100)의 이동, 정지, 이동 재시작, 조향, 가속, 감속, 주차, 점등, 도어 개폐 또는 경보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driving device 110 may be a device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driving device 110 performs movement, stop, movement restart, steering, acceleration, deceleration, parking, lighting, door opening and closing, or alarming of the vehicl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can

예컨대, 구동 장치(110)는 모터, 조향 장치, 변속 장치, 브레이크, 조명 장치(예컨대, 컨버터), 점화 장치(예컨대, 점화 코일)를 구동 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구동 장치(11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device 110 may be a device for driving a motor, a steering device, a transmission device, a brake, a lighting device (eg, a converter), and an ignition device (eg, an ignition coil). It is not limited.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driving device 110 may include a coil.

발전기(120)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발전기(120)는 구동 장치(110)에 의해 생성된 기계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100)이 전기 자동차인 경우, 발전기(120)는 배터리일 수 있다. 발전기(120)로부터 생성되어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터들(140 및 150)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발전기(120)는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거나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Generator 120 may generate or store electrical energy.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generator 120 may generate electrical energy 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echanical energy generated by the driving device 110 . When the vehicle 100 is an electric vehicle, the generator 120 may be a battery. Electrical energy generated and stored from the generator 120 may be transferred to the batters 140 and 150. For example, the generator 120 may include circuitry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or supplying stored electrical energ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제어기(130)는 차량(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기(130)는 구동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기(130)는 구동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구동 장치(110)로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driving device 11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 110 and outpu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device 110 .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기(130)는 구동 장치(11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이 가속, 감속, 정지 또는 조향, 도어의 개폐 및 램프의 점등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130)는 대응하는 구동 장치(110)로의 전원(즉,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riving device 110 to control acceleration, deceleration, stop or steering of the vehicle 100, opening/closing of doors, and lighting of lamp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supply of power (ie, electrical energy) to the corresponding driving device 110 .

즉, 제어기(130)는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연산들 또는 판단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130)는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130)는 ECU(Electronic Controller Unit), BCU(Body Controller unit),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ABS(Anti-lock Braking System), ETC(Electronic Throttle Controller)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refer to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series of calculations or decisions for controlling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be a processor on which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vehicle 100 is execu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be an electronic controller unit (ECU), a body controller unit (BCU),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an anti-lock braking system (ABS), or an electronic throttle controller (ETC). Examples are not limited thereto.

배터리들(140 및 150)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배터리들(140 및 150)은 발전기(120)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들(140 및 150)은 납축전지, 리튬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atteries 140 and 150 may store electrical energy.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batteries 140 and 150 may stor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generator 120 . For example, the batteries 140 and 150 may be lead acid batteries, lithium cadmium batteries, nickel metal hydride batteries, lithium ion batteries, or lithium polymer batteries,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배터리(140)는 발전기(120)와 구동 장치(1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 장치(11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제1배터리(140)의 (+) 단자는 구동 장치(110)와 연결되고, 제1배터리(140)의 (-) 단자는 차량(100)의 차체(CB)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배터리(140)는 구동 장치(110) 용 배터리일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battery 14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enerator 120 and the driving device 110 and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ing device 110 .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14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10, and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14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CB of the vehicle 100. For example, the first battery 140 may be a battery for the driving device 110 .

실시 예들에 따라, 제2배터리(150)는 발전기(120)와 제어기(130)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기(13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제2배터리(150)의 (+) 단자는 제어기(130)와 연결되고, 제2배터리(150)의 (-) 단자는 차량(100)의 차체(CB)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배터리(150)는 제어기(130) 용 배터리일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econd battery 15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enerator 120 and the controller 130 and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controller 130 .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0, and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CB of the vehicle 100. For example, the second battery 150 may be a battery for the controller 130 .

예컨대, 제1배터리(140)의 용량 또는 전압은 제2배터리(150)의 용량 또는 전압보다 크거나 또는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capacity or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140 may be higher or lower than the capacity or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1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구동 장치(110)용 배터리인 제1배터리(140)와 제어기(130)용 배터리인 제2배터리(150)의 전류 경로를 분리함으로써, 구동 장치(110) 및 제1배터리(140) 사이의 전류 경로에 존재하는 노이즈가 제어기(130) 및 제2배터리(150) 사이의 전류 경로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current path of the first battery 140, which is a battery for the driving device 110, and the second battery 150, which is a battery for the controller 130, the driving device 110 and the second battery 150 are separated. Noise existing in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first battery 140 may not be transferred to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controller 130 and the second battery 15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연결 구조는 구동 장치(110), 발전기(120), 제어기(130), 제1배터리(140), 제2배터리(150) 및 필터 회로(160)를 포함할 수 있다.3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110, a generator 120, a controller 130, a first battery 140, a second battery 150, and a filter circuit 160. .

제1배터리(140)는 발전기(120) 및 구동 장치(110) 사이에 연결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배터리(140)의 (+) 단자와 구동 장치(110)(또는 구동 장치(110)에 포함된 코일)의 (+) 단자가 서로 연결되고, 제1배터리(140)의 (-) 단자와 구동 장치(110)의 (-)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구동 장치(110) 및 제1배터리(140)는 제1전류 경로(PATH1)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battery 140 is connected between the generator 120 and the driving device 11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 terminal of the driving device 110 (or the coil included in the driving devic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attery 140 The (-) terminal of and the (-) terminal of the driving device 1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driving device 110 and the first battery 140 may form a first current path PATH1.

제2배터리(150)는 발전기(120) 및 제어기(130) 사이에 연결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배터리(150)의 (+) 단자와 제어기(130)의 (+) 단자가 서로 연결되고, 제2배터리(150)의 (-) 단자와 제어기(130)의 (-)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어기(130) 및 제2배터리(150)는 제2전류 경로(PATH2)를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battery 150 is connected between the generator 120 and the controller 130.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 terminal of the controller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 terminal of the controller 130 ) terminal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and the second battery 150 may form a second current path PATH2.

필터 회로(160)는 전류/전압 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회로일 수 있다. 예컨대, 필터 회로(160)는 필터 회로(160)가 연결된 전선을 통해 유입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회로일 수 있다. The filter circuit 160 may be a circuit configured to remove noise included in current/voltage. For example, the filter circuit 160 may be a circuit configured to remove noise introduced through a wire to which the filter circuit 160 is connected.

필터 회로(160)는 제2배터리(15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배터리(150)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 회로(160)의 일단은 제2배터리(150)와 연결되고, 필터 회로(160)의 타단은 발전기(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류 경로(PATH1)로부터 발전기(120)를 통해 제2전류 경로(PATH2)로 전달되는 노이즈가 필터 회로(16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The filter circuit 16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battery 150 and may block noise flowing into the second battery 150 .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lter circu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circu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generator 120 . Accordingly, noise transmitted from the first current path PATH1 to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through the generator 120 may be blocked by the filter circuit 160 .

한편, 도 3에는 필터 회로(160)가 제1전류 경로(PATH1)와 제2전류 경로(PATH2)에 직렬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들에 따라, 필터 회로(160)는 제1전류 경로(PATH1)와 제2전류 경로(PATH2)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 회로(160)의 제1단자는 제1배터리(140) 및 제2배터리(150)의 제1단자와 연결되고, 필터 회로(160)의 제2단자는 제1배터리(140) 및 제2배터리(150)의 제2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제1전류 경로(PATH1)와 제2전류 경로(PATH2)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필터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에 따르면, 구동 장치(110)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제1배터리(140)와 분리된 별개의 제2배터리(150)를 구비하고, 제2배터리(150)를 통해 제어기(13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장치(110)로부터 발생한 노이즈가 제어기(1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Meanwhile, although the filter circuit 160 is shown as being connected in series to the first current path PATH1 and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in FIG. 3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lter circuit 160 may (PATH1) and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of the filter circuit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s of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lter circuit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140 and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In addition,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 circuits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the first current path PATH1 and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That is, 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econd battery 150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140 that transmits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ing device 110 is provided, and the second battery Electrical energy may be supplied to the controller 130 through 150. Accordingly,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 110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에 따르면, 별도의 배터리를 더 구비함으로써, 구동 장치(110)의 제1전류 경로(PATH1)와 제어기(130)의 제2전류 경로(PATH2)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including a separate battery, the first current path PATH1 of the driving device 110 and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of the controller 130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130)는 제1배터리(140)로부터 구동 장치(110)로의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130)는 제1배터리(140)로부터 구동 장치(110)로의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차단하거나 또는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4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ransfer of electrical energy from the first battery 140 to the driving device 11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or may not block transmission of electrical energy from the first battery 140 to the driving device 110 .

제어기(130)는 스위치 회로(131) 및 제어 회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switch circuit 131 and a control circuit 133 .

스위치 회로(131)는 제1배터리(140)와 구동 장치(110)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회로(133)의 제어에 따라 제1배터리(14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구동 장치(11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스위치 회로(131)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 회로(131)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witch circuit 131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driving device 110, and the electric energy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ttery 140 is transferred to the driving device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133. can be conveyed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switch circuit 131 may include a switching element. For example, the switch circuit 131 may include a relay,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제어 회로(133)는 제어기(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 회로(133)는 제어기(130)의 동작에 필요한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고, 연산의 결과를 데이터(또는 전압)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회로(133)는 연산 처리 기능을 갖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GPU(Graphic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circuit 133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control circuit 133 may perform operation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and output the result of the operation as data (or voltage). For example, the control circuit 133 may perform operation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 Processing Unit (MCU), or Graphical Processing Unit (GPU) having a processing function.

제어 회로(133)는 제2배터리(15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회로(133)는 제2배터리(150)를 공급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133 may operate using electrical energ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ttery 150 . For example, the control circuit 133 may use the second battery 150 as a power source.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 회로(133)는 스위치 회로(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회로(133)는 스위치 회로(131)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어 회로(133)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배터리(140)와 구동 장치(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터리(140)로부터 구동 장치(110)로 전기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control circuit 133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circuit 131 . For example, the control circuit 133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circuit 131, and the control circuit 133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driving device 110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re is. Accordingly, electrical energy may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battery 140 to the driving device 110 .

한편, 제2배터리(150)의 전단에 노이즈 차단을 위한 필터 회로(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장치(110)로부터 생성된 노이즈는 필터 회로(160)에 의해 저감되므로, 제2배터리(150)의 전류 경로 상의 노이즈는 전반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기(130)에 영항을 미치는 노이즈가 저감되므로, 제어기(130)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a filter circuit 160 for blocking noise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battery 150 . Accordingly, sinc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 110 is reduced by the filter circuit 160, the noise on the current path of the second battery 150 can be generally reduced, thereby affecting the controller 130. Since the noise affecting the noise is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ntroller 130 can be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내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장치(110)는 모터(110A), 점화 장치(110B) 및 조명 장치(11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모터 제어기(130A), 점화 제어기(130B) 및 조명 제어기(130C)를 포함할 수 있다.5 illustratively illustrate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5 , the driving device 110 may include a motor 110A, an ignition device 110B, and a lighting device 110C. Also,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motor controller 130A, an ignition controller 130B and a lighting controller 130C.

실시 예들에 따라, 모터(110A)는 모터 제어기(130A)의 제어에 따라 작동할 수 있고, 점화 장치(110B)는 점화 제어기(130B)의 제어에 따라 작동할 수 있고, 조명(110C)은 조명 제어기(130C)의 제어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motor 110A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motor controller 130A, the ignition device 110B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ontroller 130B, and the lighting 110C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lighting It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C.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터리(140)는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과 연결되고, 제2배터리(150)는 제어기들(130A, 130B, 130C)과 연결될 수 있다. 필터 회로(160)는 제2배터리(15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 회로(160)는 제2배터리(150)와 발전기(12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구동 장치(110)는 제1그룹의 구동 장치들을 포함하고, 제어기(130)는 각각이 제1그룹의 구동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 회로(160)는 제2그룹의 제어기들과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first battery 140 may be connected to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and the second battery 150 may be connected to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The filter circuit 16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battery 150 . For example, the filter circuit 16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generator 120 .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device 110 includes a first group of drive devices, and the controller 130 includes a second group of controllers each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group of drive devices. can include At this time, the filter circuit 160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s of the second group.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 및 제1배터리(140)는 제1전류 경로(PATH1)를 형성할 수 있고, 제어기들(130A, 130B, 130C) 및 제2배터리(150)는 제2전류 경로(PATH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전류 경로(PATH1)로부터 발전기(120)를 통해 제2전류 경로(PATH2)로 전달되는 노이즈는 필터 회로(16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들(130A, 130B, 130C)은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로부터 생성된 노이즈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and the first battery 140 may form a first current path PATH1, and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and The second battery 150 may form a second current path PATH2. In this case, noise transmitted from the first current path PATH1 to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through the generator 120 may be blocked by the filter circuit 160 . Accordingly,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have an effect of being relatively less affected by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또한, 제2전류 경로(PATH2)로 전달되는 노이즈는 하나의 필터 회로(160)에 의해 차단(또는 저감)되고, 노이즈가 차단된 전류(또는 전기 에너지)가 제2전류 경로(PATH)로 전달되므로, 제어기들(130A, 130B, 130C) 각각에 대한 필터 회로가 구비되지 않거나 또는 필터 성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필터 회로가 구비되더라도 제어기들(130A, 130B, 130C)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어, 제어기들(130A, 130B, 130C)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공간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noise transmitted to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is blocked (or reduced) by one filter circuit 160, and the current (or electrical energy) from which the noise is blocked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urrent path PATH. Therefore, even if a filter circuit for each of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is not provided or a filter circuit having relatively weak filter performance is provided,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can be secured, The space and cost required to configure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can be reduc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 발전기(120), 제어기들(130A, 130B, 130C) 및 배터리들(140, 150)가 나타나 있다. 6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drive units 110A, 110B and 110C, generator 120 ,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and batteries 140 and 150 are shown.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은 제1배터리(140)와 연결될 수 있고, 제어기들(130A, 130B, 130)은 제2배터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배터리(140)의 (+) 단자와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의 (+)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고(도 6의 실선), 제1배터리(140)의 (-) 단자와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의 (-)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6의 쇄선). 이에 따라, 제1배터리(140) 및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는 제1전류 경로(PATH1)를 형성할 수 있다.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150.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 terminals of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lid line in FIG. 6), and the first battery 140 The (-) terminal of and (-) terminals of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dashed line in FIG. 6 ). Accordingly,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may form a first current path PATH1.

또한, 제2배터리(150)의 (+) 단자와 제어기들(130A, 130B, 130C)의 (+)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고(도 6의 실선), 제2배터리(150)의 (-) 단자와 제어기들(130A, 130B, 130C)의 (-)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6의 쇄선). 이에 따라, 제2배터리(150) 및 제어기(130A, 130B, 130C)는 제2전류 경로(PATH2)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 terminals of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lid line in FIG. 6), and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Terminals and (-) terminals of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dashed line in FIG. 6 ). Accordingly,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may form a second current path PATH2.

예컨대, (+) 단자들과 (-) 단자들은 서로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 단자들은 차체(CB)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 terminals and (-)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wir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ehicle body CB.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에서 발생한 노이즈는 제2배터리(150)의 전단에 배치된 필터 회로(160)에 의해 저감되어, 제2배터리(150)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the noise generated by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is reduced by the filter circuit 160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battery 150, thereby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second battery 150. It may not be delivered to (150).

또한,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는 (+) 단자를 잇는 전선을 따라 주로 전파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0A)에서 발생한 노이즈는 모터(110A)와 제1배터리(110A)를 연결하는 전선(특히, (+) 단자를 잇는 전선)을 따라 주로 전파된다. In addition,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is mainly propagated along the wire connecting the (+) termin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noise generated by the motor 110A mainly propagates along a wire connecting the motor 110A and the first battery 110A (in particular, a wire connecting a (+)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의 (+) 단자와 제1배터리(140)의 (+) 단자를 연결하는 전선들과, 제어기들(130A, 130B, 130C)의 (+) 단자와 제2배터리(150)의 (+) 단자를 연결하는 전선들은 필터 회로(160)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제어기들(130A, 130B, 130C)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의 (+) 단자와 제1배터리(140)의 (+) 단자를 연결하는 전선들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 영역과, 제어기들(130A, 130B, 130C)의 (+) 단자와 제2배터리(150)의 (+) 단자를 연결하는 전선들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 영역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예컨대, 전선들이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구성들을 배치하는 경우,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제어기들(130A, 130B, 130C)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제1전류 경로(PATH1)와 제2전류 경로(PATH2)가 공통적으로 차체(CB)를 통해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위 배치에 따르면, 구동 장치들(110A, 110B, 110C)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제어기들(130A, 130B, 130C)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s connecting the (+) terminal of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110C and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controllers 130A, 130B, 130C Wires connecting the (+) terminal of ) and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filter circuit 160 therebetween, so that the Noise may not pass to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For example, the electromagnetic field created by the wires connecting the (+) terminal of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and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 and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when the components are arranged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s generated by the wires connecting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do not overlap each other (eg, the wires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driving Noise generated by devices 110A, 110B, and 110C may not be transmitted to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In particular, even if the first current path PATH1 and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are commonly formed through the vehicle body CB, 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s 110A, 110B, and 110C is reduced. It may not be communicated to the controllers 130A, 130B, and 130C.

도 7은 종래의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7 shows a conventional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nd FIG. 8 shows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 연결 구조에서, 제어기(14)는 구동 장치(13)와 연결되어, 구동 장치(13)를 제어한다. 배터리(12)는 구동 장치(13) 및 제어기(14)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7 , in the conventional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the controller 14 is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3 and controls the driving device 13 . The battery 12 supplies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ing device 13 and the controller 14 .

배터리(12)는 제1포트(P1) 및 제4포트(P4)를 통해 제어기(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기(14)는 제2포트(P2) 및 제3포트(P3)를 통해 구동 장치(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attery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4 through the first port P1 and the fourth port P4.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3 through the second port P2 and the third port P3.

구체적으로, 배터리(12)의 (+) 단자와 제어기(14)의 제1포트(P1)가 전선을 통해 연결된다.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전선을 지나 제1포트(P1)로 유입되고, 제1포트(P1)로 유입된 전류는 필터 회로(14a) 및 제2포트(P2)로 전달된다. 또한, 필터 회로(14a)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제어 회로(14b)로 전달된다. 또한, 구동 장치(13)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제3포트(P3)를 통해 제4포트(P4)로 유출되고, 제어 회로(14b)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제4포트(P4)로 유출된다. 제4포트(P4)로부터 유출된 전류는 배터리(12)의 (-) 단자로 유입된다.Specifically, the (+) terminal of the battery 12 and the first port P1 of the controller 14 are connected through a wire. The current output from the battery 12 passes through the wire and flows into the first port P1, and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P1 is transferred to the filter circuit 14a and the second port P2. Also, the current output from the filter circuit 14a is passed to the control circuit 14b. In addition, the current output from the driving device 13 flows out to the fourth port P4 through the third port P3, and the current output from the control circuit 14b flows out to the fourth port P4. The current flowing out from the fourth port P4 flows into the (-) terminal of the battery 12 .

즉, 종래의 배터리 연결 구조에 따르면, 배터리(12)로부터 유입된 전류는 제어기(14)를 거쳐 구동 장치(13)로 유입되어, 다시 배터리(12)로 복귀한다. 다시 말하면, 배터리(12) 및 구동 장치(13)로 구성되는 전류 경로와, 배터리(12) 및 제어기(14)로 구성되는 전류 경로가 분리되지 않고 중첩된다. 이에 따라, 구동 장치(13)로부터 발생한 노이즈는 전선을 통해 배터리(12) 및 제어기(14)로 전달되어, 제어기(14)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the current introduced from the battery 12 flows into the driving device 13 via the controller 14 and returns to the battery 12 again. In other words, the current path composed of the battery 12 and the driving device 13 and the current path composed of the battery 12 and the controller 14 overlap without being separated. Accordingly,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 13 is transferred to the battery 12 and the controller 14 through the wire, and may cause a failure of the controller 14.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에서, 제어기(130)는 구동 장치(130)와 연결되어, 구동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in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30 and control the driving device 130 .

제1배터리(140)는 구동 장치(110)와 연결되어, 구동 장치(11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제2배터리(150)는 제어기(130)와 연결되어, 제어기(13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battery 14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10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ing device 110 . The second battery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0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controller 130 .

실시 예들에 따라, 제1배터리(140)는 제2포트(P2) 및 제3포트(P3)를 통해 구동 장치(11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배터리(150)는 제1포트(P1) 및 제4포트(P4)를 통해 제어기(130)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battery 14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10 through the second port P2 and the third port P3, and the second battery 1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rt P1. And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0 through the fourth port (P4).

구체적으로, 제1배터리(140)의 (+) 단자와 제2포트(P2)가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제1배터리(140)의 (-) 단자와 제3포트(P3)가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터리(140)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전선을 통해 제2포트(P2)로 유입되어 구동 장치(11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110)로부터 유출된 전류는 제3포트(P3)로부터 유출되어 전선을 통해 제1배터리(14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1배터리(140) 및 구동 장치(110)는 제1전류 경로(PATH1)를 형성한다.Specifically,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second port P2 are connected through a wire, and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third port P3 are connected through a wire.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battery 140 may flow into the second port P2 through the wire and be transferred to the driving device 110 . In addition, the current flowing out from the driving device 110 may flow out from the third port P3 and be transferred to the first battery 140 through the wire. That is, the first battery 140 and the driving device 110 form a first current path PATH1.

마찬가지로, 제2배터리(150)의 (+) 단자와 제1포트(P1)가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제2배터리(150)의 (-) 단자와 제4포트(P4)가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배터리(150)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전선을 통해 제1포트(P1)로 유입되어 제어기(130)(또는 제어 회로(131))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또는 제어 회로(131))로부터 유출된 전류는 제4포트(P4)로부터 유출되어 전선을 통해 제2배터리(15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2배터리(150) 및 제어기(130)는 제2전류 경로(PATH2)를 형성한다.Similarly,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first port P1 are connected through a wire, and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fourth port P4 are connected through a wire. can Accordingly, the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battery 150 may flow into the first port P1 through the wire and be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130 (or the control circuit 131). In addition, the current flowing out from the controller 130 (or the control circuit 131) may flow out from the fourth port P4 and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battery 150 through the wire. That is, the second battery 150 and the controller 130 form a second current path PATH2.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배터리 연결 구조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에 따르면, 제1전류 경로(PATH1)와 제2전류 경로(PATH2)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전류 경로(PATH1)와 제2전류 경로(PATH2) 사이에는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필터 회로(160)가 배치되므로, 제1전류 경로(PATH1)로부터 발전기(120)를 통해 제2전류 경로(PATH2)로 전달되는 노이즈가 필터 회로(16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Unlike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current path PATH1 and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may be separated. 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since the filter circuit 160 for blocking nois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rent path PATH1 and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the first current path ( Noise transferred from PATH1 to the second current path PATH2 through the generator 120 may be blocked by the filter circuit 160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연결 구조에 따르면, 구동 장치(110)로부터 발생한 노이즈가 전선을 통해 제어기(13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제어기(130)의 동작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device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130 through the wire, so that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ntroller 130 can be increased. There are possible effects.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차량 110: 구동 장치
120: 발전기 130: 제어기
140: 제1배터리 150: 제2배터리
100: vehicle 110: driving device
120: generator 130: controller
140: first battery 150: second battery

Claims (9)

차량용 배터리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장치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배터리;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2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에 연결된 필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구동 장치는 제1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배터리 및 상기 제어기는 제2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 회로는 상기 제1전류 경로와 상기 제2전류 경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구동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2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회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배터리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의 상기 구동 장치로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구조.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battery,
a drive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a vehicle;
a first battery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ing devic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device;
a second batter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controller; and
a filter circuit coupled to the second battery;
The first battery and the driving device form a first current path;
The second battery and the controller form a second current path;
the filter circu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rent path and the second current path;
The controller,
a switch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attery and the dri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receive electrical energy from the first battery; and
A control circuit coupled to the second battery and configured to control transfer of electrical energy transferred from the first battery to the driving device by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witch circuit.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모터, 조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변속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브레이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조명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점화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배터리 연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device,
A motor mounted in the vehicle,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steering device,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transmission,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brake,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lighting device, and a drive device for driving an ignition device. at least one of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모터, 조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변속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브레이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조명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점화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터리 연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 motor mounted in the vehicle,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steering device,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transmission,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brake, a drive device for driving a lighting device, and a drive device for driving an ignition devic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 경로로부터 생성된 노이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 회로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2전류 경로로 전달되지 않는,
배터리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art o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first current path is blocked by the filter circuit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current path.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의 (+) 단자와 상기 구동 장치의 (+) 단자가 제1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배터리의 (+) 단자와 상기 제어기의 (+) 단자가 제2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 단자와 상기 제2배터리의 (-) 단자는 상기 차량의 차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 terminal of the driving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wire,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and the (+) terminal of the controll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cond wire,
The (-) terminal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 terminal of the second batter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ody of the vehicl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이 상기 필터 회로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배터리, 상기 제2배터리,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제어기가 배치되는,
배터리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battery, the second battery, the driving device and the controller are disposed so that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filter circuit therebetween,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제1그룹의 구동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각각이 상기 제1그룹의 구동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제어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회로는 상기 제2그룹의 제어기들과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device comprises a first group of driving devices;
The controller includes a second group of controllers each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group of driving devices;
The filter circuit is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controllers of the second group,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KR1020200182962A 2020-12-24 2020-12-24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 KR1024765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962A KR102476529B1 (en) 2020-12-24 2020-12-24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962A KR102476529B1 (en) 2020-12-24 2020-12-24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42A KR20220091842A (en) 2022-07-01
KR102476529B1 true KR102476529B1 (en) 2022-12-13

Family

ID=8239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962A KR102476529B1 (en) 2020-12-24 2020-12-24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529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621B1 (en) * 2008-12-24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Noise filter and motor controll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102387308B1 (en) * 2017-01-24 2022-04-15 주식회사 스토리지안 Electric generat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42A (en)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5771B (en) Switching device for vehicle-mounted power supply and vehicle-mounted power supply
CN105383412B (en) Th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vehicle
JP6837132B2 (en) Vehicles with automatic vehicle electrical system and automatic vehicle electrical system
JP2018196252A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10103855B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
JP2017537828A (en) On-board power supply network
CN109075597A (en) Relay-set and power supply device
CN105050853B (en) Vehicle on-board power network
US2003000075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 motor vehicle
US10534030B2 (en) Vehicle high voltage shield based interlock
KR102476529B1 (en)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stability
CN109263582B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automobile and automobile
US11066026B2 (en) Power supply box having a bypass
US20180290607A1 (en)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JP2000023380A (en) Power-supply control device
CN110843707A (en) Automobile power distribution system
JP6426955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s
JP7425997B2 (en) power distribution module
CN110549966B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KR101582531B1 (en) IG3 electric source providing module
US20190054870A1 (en)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US20130106424A1 (en) Quick reference relay diagnostic circuit
US20220410825A1 (en) Wiring module and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325550B2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JP7439713B2 (en) Mobile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