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453B1 -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 - Google Patents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453B1
KR102476453B1 KR1020220098599A KR20220098599A KR102476453B1 KR 102476453 B1 KR102476453 B1 KR 102476453B1 KR 1020220098599 A KR1020220098599 A KR 1020220098599A KR 20220098599 A KR20220098599 A KR 20220098599A KR 102476453 B1 KR102476453 B1 KR 102476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lower plate
plate
indoor
outdoor s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기석
Original Assignee
(주)필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드테크 filed Critical (주)필드테크
Priority to KR102022009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4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4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13/04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the prefabricated single units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 which prevents slips and absorbs impacts to allow a user to show the best athletic performance.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 comprises: an upper plate formed in a flat shape and provided with a wood design pattern or a grid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ower plate (200) formed in a flat shape, provided with a wood design pattern or a grid patter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0). Middle coupling parts (130, 230) are formed on a middl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a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Edge coupling parts (140, 240)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The middle coupling parts (130, 230) include: a pair of middle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131, 231) formed on a middl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a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nd a pair of middle coupling part fastening containers (132, 232) separated to one side by a prescribed distance to be formed to be symmetric with the middle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131, 231). The middle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131, 231) and the middle coupling part fastening containers (132, 232) have a rectangular shape.

Description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

본 발명은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충격흡수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related to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that absorbs shock and prevents slipping so that users can exhibit the best performance.

체육활동을 위한 경기장 바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바닥덮개가 개발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견목바닥의 경우 되튐특성 등에 있어서 안락하지만 고가이기에 보수 및 유지하기가 어렵다.A wide range of floor coverings have been developed to be used as stadium floors for sports activities. For example, hardwood floors are comfortable in terms of bounce characteristics, but are expensive and difficult to repair and maintain.

따라서, 대부분의 경기용 바닥의 경우 시멘트 바닥에 도포형 접착제인 우레탄에 의해 만들어져 왔으나 이와 같은 우레탄으로 형성된 바닥은 사용자가 넘어질 경우 화상 및 찰과상 등의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으며, 목재 및 고정된 타일 또는 시멘트 바닥은 체육활동을 하는 운동인들이 점핑, 달리기 및 운동방향의 갑작스러운 방향전환을 포함하는 스포츠 활동에 공통되는 가로방향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Therefore, most of the competition floors have been made with urethane, which is an application type adhesive on the cement floor, but the floor formed with such urethane always has the risk of causing injuries such as burns and abrasions when the user falls, And the fixed tile or cement floor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absorb the impact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common to sports activities involving jumping, running, and sudden change of direction by athletic peop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기용 바닥이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competition floors have been disclos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75841호 "가로방향 충격력 흡수 모듈러 타일"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075841 "Modular tile absorbing horizontal impact force" is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적으로 모듈러 타일로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었으며 대개는 그리드 구조를 채용하여 타일 표면이 그리드 교차로부터 아래로 뻗어져 가까이 떨어져 있는 지지레그를 갖는 십자패턴이다. The prior art is structurally a modular tile made of plastic material and usually adopts a grid structure so that the tile surface extends down from the grid intersection and is a cross pattern with closely spaced support legs.

그러나, 종래 기술은 팽창조인트 및 교차 보강부재 또는 스티프너의 사용을 포함하고, 그리드 구조는 연속된 편평한 표면을 갖는 모듈러 타일이기에 오히려 더 구부러지고 곡해되기 쉽고, 표면은 중합체가 온도변화를 받게되는 때 훨씬 더 비틀리고 구부러지는 경향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종래기술은 연속되고 편평한 표면을 갖는 모듈러이고 순환하는 방식으로 연동되는 플라스틱 타일이 사용될 수 없도록 하였다.However, the prior art involves the use of expansion joints and cross-reinforcing members or stiffeners, and since the grid structure is a modular tile with a continuous flat surface, it is rather prone to bending and twisting, and the surface is much more flexible when the polymer is subjected to temperature changes. It tends to twist and bend more. As a result, the prior art does not allow the use of modular, circular interlocking plastic tiles with continuous flat surfaces.

또한, 종래 기술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지 못하므로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prior art does not have a device capable of mitigating the shock,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hock is transmitted as it is to the user performing the exerci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5216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5216 "Flooring for Indoor and Outdoor Sports Stadiums" is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평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패턴형 탄성부, 상기 패턴형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 그리고 상기 관통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며,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탄성 재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에 탄성 재료부를 추가하여 충격 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탄성 재료부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경기장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하고, 본체부의 격자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향상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ior art body portion formed in a planar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grids; and a patterned elastic p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penetrating part connected to the patterned elastic part and penetrating the main body part, and a shock absorb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penetrating part, the elastic material being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 improve the shock absorption and anti-slip function by adding an elastic material to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stadium flooring, and to more easily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stadium flooring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material, and the lattice structure of the main bod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re improved anti-slip function by improving the.

그러나, 종래 기술은 본체부의 상면에 경기장 조명의 빛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에 빛번짐 또는 눈부심 현상을 발생시켜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light of stadium lighting is ref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causing light smearing or glare to the user's eyes,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hibit the best performance.

따라서, 충격 흡수 및 미끄럼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바닥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빛번짐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판과 하판을 변경하여 환경에 알맞게 설치가 가능한 스포츠 바닥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a flooring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shock and mitigating slippage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light bleed is prevented so that users can exert the best performance, and sports that can be installed to suit the environment by changing the upper and lower boards as needed. There is a need to develop flooring materials.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75841호 (1994.04.28. 공고)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075841 (Announced on April 28, 1994)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1695216호 (2017.01.12. 공고)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01695216 (2017.01.12. Not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판 상부면 또는 하부판의 하부면에 나무무늬패턴의 형성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발바닥과 나무무늬패턴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 또는 상부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판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탄성체에 의해 미끄럼 방지 성능이 증대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wood pattern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so that it occurs between the sole of the user's foot and the wood pattern patter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in which anti-slip performance is increased by frictional force or an elastic bod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또한, 상부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판의 하부판에 형성되는 나무무늬패턴에 의해 햇빛 또는 조명의 빛이 비산되거나 흡수됨으로써 빛번짐에 의해 사용자의 경기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light of sunlight or lighting is scattered or absorbed by the wood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plate, thereby preventing the influence on the user's performance due to light spreading Provide a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that can be prevented want to do

또한, 중앙 결합부와 둘레 결합부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의 설치가 가능한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 double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by the center coupling part and the circumferenc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further increased, preventing the dome curl phenomenon in which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is bent, enabling the installation of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with increased dimensional stability. We want to provide sports flooring.

또한, 상부판과 하부판 각각에 형성되는 하중분산레그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이 접촉되었을 때 하중을 분산시켜줌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바닥재에 전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흡수함으로써 충격흡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distributing the load wh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load distribution leg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es,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user to the sports flooring is dispersed and absorbed, thereby increasing the shock absorbing effect indoors and outdoors. We want to provide sports flooring.

본 발명의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는, 평면형으로 형성되되 상부면에 나무무늬패턴 또는 격자패턴이 형성되는 상부판(100), 평면형으로 형성되되 하부면에 나무무늬패턴 또는 격자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판(20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중앙 부분과 하부판(200) 상부면 중앙 부분 각각에는 중앙 결합부(130, 2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와 하부판(200) 상부면 둘레 각각에는 둘레 결합부(140, 24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130, 230)는,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중앙부분과 하부판(200)의 상부면 중앙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100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having a tree pattern or grid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anar shape having a wooden pattern or grid patter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plate ( 100), and central coupling parts 130 and 230 are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respectively. Perimeter coupling parts 140 and 240 are form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coupling parts 130 and 230 ar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100. A pair of central joint fastening hooks 131 and 231 form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rfac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respectively,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one sid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s 131 and 231 It includes a pair of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132 and 232 formed by forming, and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131 and 231 and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132 and 232 form a rectangular shape. do.

또한, 상부판(100) 하부면과 하부판(200)의 상부면 각각에는 복수의 지지부(110, 2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110, 210)의 사이에는 복수의 결합홈(120, 220)과 결합돌기(121, 221)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and 210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 120 and 2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또한, 상부판(100)의 상부면 및 하부판(200)의 하부면이 격자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과 하부판(200)의 하부면에는 탄성체(3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re formed in a grid pattern, the elastic body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characterized by

또한, 탄성체(300)는,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 모두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판(100)이나 하부판(200)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both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or coupled only to either the upper plate 100 or the lower plate 200.

또한, 격자패턴은,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십자형 보강리브(270),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팔각형 보강리브(271) 및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271)를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고정하는 고정리브(2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id pattern includes cross-shaped reinforcing ribs 270 form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grids,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form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grids, and the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rib 272 fixed to each of the lattice of.

또한,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또한,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은, 신재 열가소성 수지 및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한 혼합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ade of a mixture of a new thermoplastic resin and a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또한, 신재 열가소성 수지 및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한 혼합수지는, 신재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20중량부 이상을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ixed resin in which the new thermoplastic resin and the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are mix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blending 20 parts by weight or more of the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new thermoplastic resin.

또한, 나무무늬패턴은,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 및 하부판(200)의 하부면을 0.1mm 내지 0.5mm 깊이로 부식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od pattern is formed by corro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to a depth of 0.1 mm to 0.5 mm.

또한, 복수의 결합돌기(121, 221)의 높이는 상기 결합홈(120, 2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21, 221)와 결합홈(120, 220)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r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upling grooves 120 and 220,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nd the coupling grooves 120 and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의 4면 또는 하부판(200)의 상부면 둘레의 4면에는 하중분산레그(150) 복수개가 일정 이격거리를 가지고 일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on legs 150 are formed in a line with a certain distance apart on four surfaces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or four surfaces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또한, 둘레 결합부(140, 240)는,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의 4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과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 둘레의 4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과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s 140 and 240 include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s fastening cylinders 141 formed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four circumferences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41 formed in the direction, the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tubes 141 and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41,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41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rectangular shape.

또한, 상부판(100)의 하부면 측면부분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후크(160)가 일정간격 이격거리를 갖고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통(260)이 일정간격 이격거리를 갖고 일렬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은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후크(160)가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에 덮어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통(260)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에 덮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hooks 160 are form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hooks 160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The barrels 260 are formed in a lin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d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alternate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extension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The fastening hook 160 is not cover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cylinders 260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r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not covered.

또한, 탄성체(300)는,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판(20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패턴형 탄성부(301), 상기 패턴형 탄성부(301)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을 관통하는 관통연결부(302), 상기 관통연결부(302)의 단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3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300 has a patterned elastic part 301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nd is connected to the patterned elastic part 301 to form the upper plate. (100), a through-connection portion 302 passing through the lower plate 200, and a shock absorbing portion 303 formed at an end of the through-connection portion 302.

또한, 탄성체(300)는, 상기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성형 사출시 이중사출에 의해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에 결합된 상태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ject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by double injection during molding and injection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

또한, 나무무늬패턴이 형성되거나 탄성체(300)가 결합되는 상부판(100) 또는 하부판(200)은 미끄럼 저항성능이 80BPN 내지 110BP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100 or the lower plate 200 to which the tree pattern pattern is formed or the elastic body 300 is coupl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p resistance is formed to 80 BPN to 110 BP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는 상부판 상부면 또는 하부판의 하부면에 나무무늬패턴의 형성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발바닥과 나무무늬패턴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 또는 상부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판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탄성체에 의해 미끄럼 방지 성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wood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ole of the user's foot and the wood pattern pattern or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nti-slip performance by the elastic body coupled to the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또한, 상부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판의 하부판에 형성되는 나무무늬패턴에 의해 햇빛 또는 조명의 빛이 비산되거나 흡수됨으로써 빛번짐에 의해 사용자의 경기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unlight or light is scattered or absorbed by the tree pattern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plate, thereby preventing the light scattering from affecting the user's performance.

또한, 중앙 결합부와 둘레 결합부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double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by the center coupling part and the circumferenc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further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dome curl phenomenon in which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is bent, enabling the installation of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with increased dimensional stability. there is

또한, 상부판과 하부판 각각에 형성되는 하중분산레그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이 접촉되었을 때 하중을 분산시켜줌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바닥재에 전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흡수함으로써 충격흡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that the shock absorption effect can be increased by distributing and absorbing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user to the sports flooring by distributing the load wh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load distribution leg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es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의 격자패턴이 형성된 상부판과 격자패턴이 형성된 하부판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나무무늬패턴이 형성된 상부판과 격자패턴이 형성된 하부판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패턴이 형성된 상부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부판 하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부판의 하부면을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패턴이 형성된 하부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부판 상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하부판 하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하부판의 상부면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격자패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판과 하부판의 또 다른 부분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late having a grid pattern and a lower plate having a grid pattern of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late having a tree pattern pattern and a lower plate having a lattice pattern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of Figure 1 viewed from the upper side.
FIG. 4 is a top view illustrating FIG. 2 viewed from the top.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plate on which a grid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FIG. 6 by enlarging it.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plate on which a grid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FIG. 8 .
FIG.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FIG. 8 .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an enlarged manner.
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side of the low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grid pattern of FIG. 6 in an enlarged manner.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upled portion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larged manner.
1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upling portion of another portion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shown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의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Referring to FIG. 1,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late 100 and a lower plate 200 of a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utually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는 스포츠가 실시되는 실내 경기장 또는 외부의 운동장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미끄러짐이 없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스포츠 경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place such as an indoor stadium or an external playground where sports are conducted so that users can play sports in a safer environment without slipping.

또한, 상부판(100)의 상부면 및 하부판(2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나무무늬패턴의 미끄럼 저항성능 또는 상부판(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판(20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탄성체(300)에 의해 사용자가 운동경기 중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미끄럼에 의해 온전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lip resistance of the wood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or the elastic bod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300),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user from slipping during athletics,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unable to fully demonstrate his or her skills or from causing injury due to slipping.

또한, 나무무늬패턴에 의해 햇빛 또는 조명의 빛 등을 비산시키거나 흡수하여 빛반사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바닥재를 통해 반사되는 빛에 의한 눈부심으로 온전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cattering or absorbing sunlight or lighting light by the tree pattern pattern, light reflection can be reduced, so that the user can sol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display full skills due to glare caused by light reflected through the flooring material.

또한, 중앙 결합부(130, 230)와 둘레 결합부(140, 240)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double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by the central coupling parts 130 and 230 and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s 140 and 240,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further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dome curl phenomenon in which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is bent.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installation of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with increased dimensional stability.

이러한,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는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includes an upper plate 100 and a lower plate 200.

이하, 도면 1 내지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는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n upper plate 100 and a lower plate 200.

본 발명의 상부판(100)과 및 하부판(200)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거나, 신재 열가소성 수지와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한 혼합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or a mixed resin of a new thermoplastic resin and a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이때, 신재 열가소성 수지와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한 혼합수지는 신재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20중량부 이상을 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ixed resin obtained by mixing the new thermoplastic resin and the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may be formed by mixing 20 parts by weight or more of the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new thermoplastic resin.

이러한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은 어느 하나의 판이 상판 또는 하판으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하판으로 사용되기도 할 수 있다.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not limited to either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and may be used as an upper plate or a lower plate as needed.

또한, 선택적으로 상부판(100)의 상부면과 하부판(200)의 하부면에 나무무늬패턴 또는 격자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tree pattern or grid pattern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부판(100)의 상부면이 나무무늬패턴으로 형성되고 하부판(200)의 하부면이 격자패턴으로 형성되어 사용되는 경우로 상정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is formed in a tree patter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is formed in a lattice pattern in order to enhance convenience and understanding of explanation.

상부판(100)은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 사출하여 형성되는 상부면에는 나무무늬패턴 또는 격자패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복수의 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00 may have a tree pattern or grid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formed by molding and injection mold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상부판(100)은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부면이 나무무늬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100 may be formed in a wood pattern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is installed.

나무무늬패턴은 상부판(100)의 상부면을 0.1mm 내지 0.5mm 깊이로 부식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wood grain pattern may be formed by corro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to a depth of 0.1 mm to 0.5 mm.

이러한 나무무늬패턴을 형성할 때 미끄럼 저항성능이 80BPN 내지 110BPN으로 형성되어야 한다.When forming such a wood pattern, the slip resistance should be between 80 BPN and 110 BPN.

이와 같은 범주의 미끄럼 저항성능은 사용자가 나무무늬패턴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수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p resistance performance in this category is formed to a value enough to allow the user to exhibit the best performance by preventing slipping by the wood pattern.

상부판(100)은 필요에 따라 상부면에 격자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A gri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if necessary.

격자패턴은 사각형상의 격자의 내부에 형성되는 십자형 보강리브(270), 팔각형 보강리브(271) 및 고정리브(27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lattice pattern may be formed by cross-shaped reinforcing ribs 270,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and fixing ribs 272 formed inside the square-shaped lattice.

팔각형 보강리브(271)는 격자 각각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십자형 보강리브(270)는 팔각형 보강리브(271) 내부에 형성되며, 고정리브(272)는 팔각형 보강리브(271)가 격자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may be formed inside each of the grids, the cross-shaped reinforcing ribs 270 are formed inside the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and the fixed ribs 272 are the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of the grid. It can be fixed inside.

이러한, 격자패턴은 후술하는 하부판(100)에 형성되는 격자패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Such a grid pattern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 grid pattern formed on the lower plate 100 to be described later.

상부판(10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110)는 상부판(100)의 하부면의 하측에 돌기의 형태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110)는 후술하는 하부판(200)에도 형성됨으로써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결합되었을 때 상부판(100)과 하부판(200)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110)가 상호 대칭되도록 위치하고 상호 지지부(110)의 사이에 일정공간 공극이 형성되어 바닥재(1)가 설치되어 운용될 때 다양한 하중에 의해 상판이 하판 측으로 탄성변형될 때 복수의 지지부(110)가 상호 접촉되어 상판 및 바닥재(1)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력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in the form of protrusions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are also formed on the lower plate 2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when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combined,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formed on each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formed. They are locat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a certain space gap is formed between the mutual support parts 110. When the flooring material 1 is installed and operated, when the upper plate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lower plate by various loads,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Not only can absorb shocks acting on the top plate and the flooring material 1, but also can generate bearing force.

상부판(100)의 복수의 지지부(110)의 사이에는 복수의 결합홈(120)과 결합돌기(121)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and coupling protrusions 121 may b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10 of the upper plate 100 .

즉, 상부판(10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지지부(110)와 복수의 결합홈(120)과 결합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and coupling protrusions 12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복수의 결합홈(12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하부판(2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21)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e a hollow central portion so that coupling protrusions 221 formed on the lower plate 20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each other.

복수의 결합돌기(121)는 격자형상의 저면부와 저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121)의 돌기부는 후술하는 하부판(200)의 복수의 결합홈(220)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 may include a lattice-shaped bottom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20 of the lower plate 200 to be described later.

즉, 복수의 결합홈(120)과 결합돌기(121)는 본 발명의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의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기본 결합 구조라고 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and coupling protrusions 121 can be said to be a basic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mutually coupling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of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러한, 복수의 결합돌기(121)의 높이는 복수의 결합홈(1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결합돌기(121)가 후술하는 하부판(200)의 복수의 결합홈(2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 Therefore,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20 of the lower plate 200 to be described later.

상부판(100)의 하부면 중앙부분에는 중앙 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A central coupling part 130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중앙 결합부(130)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와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entral coupling portion 130 may include a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s 131 and a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s 132 .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는 상부판(100)의 하부면 중앙부분의 일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1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는 상부판(100)의 하부로 연장되는 원기둥과 원기둥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 131 may include a cylindrical column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0 and hook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column.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는 후술하는 하부판(2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하부판(2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에 체결될 수 있다.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13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232 formed in the lower plate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ook is attached to the engaging part of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232 of the lower plate 200. By being caught, it can be fastened to the central joint fastening cylinder 232 .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의 일측에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s 13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s 131 . That is, a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s 132 may be formed at a por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one sid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s 131.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은 상부판(100)의 하부로 연장되는 원통과 원통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joint fastening cylinder 132 may include a cylinder extending below the upper plate 100 and a pair of hooking part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에는 후술하는 하부판(2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가 삽입되고 걸림부에 갈고리부가 걸려짐으로써 상부판(1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에 하부판(2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가 체결될 수 있다.A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 231 formed on the lower plat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 132, and the hook portion is caught on the hanging portion, thereby causing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tube 132 of the upper plate 100 to be inserted. )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231 of the lower plate 200 may be fastened.

즉, 상부판(100)의 중앙 결합부(130)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와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이 한 조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하부판(2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230)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entral coupling part 130 of the upper plate 100 is formed by a pair of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131 and a pair of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tubes 132 as a set to the lower plate 200 described later. By being mutually coupled with the formed central coupling portion 230,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can be firmly coupled.

또한, 상부판(100)의 둘레 부분에는 둘레 결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140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0 .

둘레 결합부(140)는 상부판(100)의 둘레에 4방향에 설치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14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tubes 141 installed around the upper plate 100 in four directions.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은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의 네방향의 단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joint fastening cylinders 141 may be formed at end portions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은 상부판(100)의 하부로 연장되는 원통과 원통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141 may include a cylinder extending below the upper plate 100 and a hooking part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cylinder.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에는 후술하는 하부판(200)에 형성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가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상부판(100)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에 체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41 formed on the lower plat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141, and hooks are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141 of the upper plate 100. ) It can be fastened to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tube 141 by being caught on the hanging part.

또한, 상부판(100)의 둘레 부분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140)는 필요에 따라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을 대신하여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ortion 140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0 may be formed as a circumferenti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 instead of the circumference coupling portion fastening tube 141, if necessary.

즉, 상부판(100)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140)는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로도 형성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140 formed on the upper plate 100 is not limited to only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tube 141 and can also be formed as a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so that the desig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따라서, 상부판(100)의 둘레 결합부(140)는 상부판(100)의 둘레의 네방향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이 한 조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하부판(200)에 형성되는 하부판(200)의 둘레 결합부(240)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140 of the upper plate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141 formed in each of the four directions around the upper plate 100, thereby forming a lower plate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can be firmly coupled by being mutually coupled with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240 of the lower plate 200 formed in the.

또한, 전술한 중앙 결합부(130)는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둘레 결합부(140)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entral coupling part 13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 131 and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 132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ortion 140 has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ortions. The fastening cylinder 141 may be arranged to form a rectangular shape.

즉, 중앙 결합부(130)가 이루는 직사각형은 작은 반경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둘레 결합부(140)가 이루는 직사각형은 상대적으로 큰 반경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중앙 결합부(130)와 둘레 결합부(140)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바닥재(1)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rectangle formed by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130 is formed as a rectangle with a small radius, and the rectangle formed by the peripheral coupling portion 140 is formed as a rectangle with a relatively large radius, so that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peripheral coupling portion 140 ), the double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further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dome curl phenomenon in which the flooring 1 is bent, enabling the installation of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with increased dimensional stability.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에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레그(150)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on legs 150 capable of distributing the load may be form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하중분산레그(150)는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의 4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ad distribution legs 150 may be formed on four surfaces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상부판(100)에 형성되는 하중분산레그(150)는 복수개가 일정 이격거리를 가지고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on legs 150 formed on the upper plate 100 may be formed in a line with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하중분산레그(150)는 후술하는 하부판(200)의 복수의 지지부(210)와 접촉되어 상부판(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본 발명의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의 충격흡수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load distribution leg 150 i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0 of the lower plate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disperse the load acting on the upper plate 100 to improve the shock absorption and durability of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augmented.

이하, 하부판(2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ower plat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하부판(200)은 전술한 상부판(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판일 경우이며 하부면에 격자패턴이 형성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The lower plate 200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00 described above, and a case in which a grid patter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will be described.

하부판(200)은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 사출하여 형성되되 상부면에는 복수의 지지부(210)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격자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200 is formed by molding and injection mold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gri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격자패턴은 사각형상의 격자의 내부에 형성되는 십자형 보강리브(270), 팔각형 보강리브(271) 및 고정리브(27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lattice pattern may be formed by cross-shaped reinforcing ribs 270,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and fixing ribs 272 formed inside the square-shaped lattice.

팔각형 보강리브(271)는 격자 각각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십자형 보강리브(270)는 팔각형 보강리브(271) 내부에 형성되며, 고정리브(272)는 팔각형 보강리브(271)가 격자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may be formed inside each of the grids, the cross-shaped reinforcing ribs 270 are formed inside the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and the fixed ribs 272 are the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of the grid. It can be fixed inside.

또한, 하부판(100)은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하부면이 나무무늬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may be formed in a wood pattern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is installed.

나무무늬패턴은 하부판(100)의 하부면을 0.1mm 내지 0.5mm 깊이로 부식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wood grain pattern may be formed by corro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to a depth of 0.1 mm to 0.5 mm.

이와 같이 나무무늬패턴이 형성된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은 미끄럼 저항성능이 80BPN 내지 110BPN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having the wood pattern as described above may have slip resistance of 80 BPN to 110 BPN.

이와 같은 범주의 미끄럼 저항성능은 사용자가 나무무늬패턴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수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p resistance performance in this category is formed to a value enough to allow the user to exhibit the best performance by preventing slipping by the wood pattern.

하부판(200)은 상기 전술한 상부판(100)과 동일하게 상부면에는 복수의 지지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210)는 하부판(200)의 상부면의 상측에 돌기의 형태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210)는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결합되었을 때 상부판(100)과 하부판(200)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110, 210)가 상호 대칭되도록 위치하고 상호 지지부(110, 210)의 사이에 일정공간 공극이 형성되어 바닥재(1)가 설치되어 운용될 때 다양한 하중에 의해 상판이 하판 측으로 탄성변형될 때 복수의 지지부(110, 210)가 상호 접촉되어 바닥재(1)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A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plate 100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When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combined,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0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and 210 formed on each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mutual support part ( 110, 210), when the floor material 1 is installed and operated,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and 2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plate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lower plate by various loads when the flooring material 1 is installed and operated. ) to absorb the impact.

하부판(200)의 복수의 지지부(210)의 사이에는 복수의 결합홈(220)과 결합돌기(221)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20 and coupling protrusions 221 may b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10 of the lower plate 200 .

하부판(2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홈(220)과 결합돌기(221)는 전술한 상부판의 복수의 결합홈(120)과 결합돌기(1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20 and coupling protrusions 221 formed on the lower plate 2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and coupling projections 121 of the upper plate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복수의 결합홈(120, 220)과 결합돌기(121, 221)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can be mutually coupled by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and 2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

복수의 결합홈(22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상부판(100)의 결합돌기(121)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e a hollow central portion so that the above-described coupling protrusions 121 of the upper plate 100 are coupled.

복수의 결합돌기(221)는 격자형상의 저면부와 저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221)의 돌기부는 전술한 상부판(100)의 복수의 결합홈(120)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21 may include a lattice-shaped bottom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21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of the upper plate 100 described above.

이러한, 복수의 결합돌기(221)의 높이는 복수의 결합홈(2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결합돌기(221)가 상부판(100)의 복수의 결합홈(1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21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20 . Thus,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21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of the upper plate 100 .

하부판(200)의 상부면 중앙부분에는 중앙 결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A central coupling portion 230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중앙 결합부(230)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와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entral coupling portion 230 may include a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s 231 and a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s 232 .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는 하부판(200)의 상부면 중앙부분의 일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는 상부판(100)의 하부로 연장되는 원기둥과 원기둥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 231 may include a cylindrical column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0 and hook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column.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는 전술한 상부판(100)에 형성된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상부판(1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에 체결될 수 있다.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23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132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upper plate 100, and the hook is the engaging part of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132 of the upper plate 100. It can be fastened to the central joint fastening cylinder 132 by being caught on.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의 일측에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s 23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s 231 . That is, a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s 232 may be formed at a por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pair of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s 231 .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은 하부판(200)의 상부로 연장되는 원통과 원통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232 may include a cylinder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late 200 and a pair of hooking part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에는 전술한 상부판(100)에 형성된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가 삽입되고 걸림부에 갈고리부가 걸려짐으로써 하부판(2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에 상부판(1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가 체결될 수 있다.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 131 formed on the above-described upper plate 100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 232, and the hook portion is caught on the hanging portion, thereby causing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tube 232 of the lower plate 200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131 of the upper plate 100 can be fastened to.

즉, 하부판(200)의 중앙 결합부(230)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와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이 한 조로 형성됨으로써 상부판(1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130)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entral coupling part 230 of the lower plate 200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100 by forming a pair of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31 and a pair of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232 as a set. By being mutually coupled with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130,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can be firmly coupled.

또한, 하부판(200)의 둘레 부분에는 둘레 결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240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late 200 .

둘레 결합부(240)는 하부판(200)의 둘레에 4방향에 설치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로 형성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24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41 installed around the lower plate 200 in four directions.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는 하부판(200)의 상부면 둘레의 네방향의 단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fastening hooks 241 may be formed at end portions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는 하부판(200)의 상부로 연장되는 원기둥과 원기둥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fastening hooks 241 may include a cylinder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late 200 and hook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cylinder.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는 전술한 상부판(100)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상부판(100)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에 체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41 are inserted into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141 formed in the upper plate 100 described above, and the hooks ar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141 of the upper plate 100 It can be fastened to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 141 by being caught on the hanging part of the.

또한, 하부판(200)의 둘레 부분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240)는 필요에 따라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를 대신하여 둘레 결합부 체결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ortion 240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late 200 may be formed as a circumferenti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tube instead of the circumference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 241, if necessary.

즉, 상부판(200)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240)는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둘레 결합부 체결통으로도 형성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240 formed on the upper plate 200 is not limited to only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241 and can also be formed as a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tube, so that the desig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따라서, 하부판(200)의 둘레 결합부(240)는 하부판(200)의 둘레의 네방향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가 한 조로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상부판(100)에 형성된 상부판(100)의 둘레 결합부(140)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240 of the lower plate 2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241 formed in each of the four directions around the lower plate 200, so that the above-described upper plate 100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can be firmly coupled by mutual coupling with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140 of the formed upper plate 100 .

또한, 전술한 중앙 결합부(230)는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둘레 결합부(240)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entral coupling part 23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hook 231 and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fastening cylinder 232 form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ortion 240 has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ortions. The fastening hook 241 may be arranged to form a rectangular shape.

즉, 중앙 결합부(230)가 이루는 직사각형은 작은 반경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둘레 결합부(240)가 이루는 직사각형은 상대적으로 큰 반경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중앙 결합부(230)와 둘레 결합부(240)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바닥재(1)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rectangle formed by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230 is formed as a rectangle with a small radius, and the rectangle formed by the peripheral coupling portion 240 is formed as a rectangle with a relatively large radius, so that the central coupling portion 230 and the peripheral coupling portion 240 are formed. ), the double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further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dome curl phenomenon in which the flooring 1 is bent, enabling the installation of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with increased dimensional stability.

하부판(200)의 하부면 둘레에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레그(250)가 형성될 수 있다.A load distribution leg 250 capable of dispersing a load may be formed around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하중분산레그(250)는 하부판(200)의 상부면 둘레의 4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ad distribution legs 250 may be formed on four surfaces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하부판(200)에 형성되는 하중분산레그(250)는 복수개가 일정 이격거리를 가지고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on legs 250 formed on the lower plate 200 may be formed in a lin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하중분산레그(250)는 전술한 상부판(100)의 복수의 지지부(110)와 접촉되어 바닥재(1)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본 발명의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의 충격흡수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load distribution leg 250 i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of the upper plate 100 described above to distribute the load acting on the flooring material 1 to improve the shock absorption and durability of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augmented.

상부판(100)의 상부면과 하부판(200)의 하부면에는 탄성체(300)가 결합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3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탄성체(300)는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3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

즉, 상부판(100)과 하부판(200) 모두에 탄성체(300)가 결합될 수도 있고, 상부판(100)에만 탄성체(300)가 결합되거나 하부판(200)에만 탄성체(300)가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elastic body 300 may be coupled to both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the elastic body 300 may be coupled only to the upper plate 100, or the elastic body 300 may be coupled only to the lower plate 200. have.

따라서,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에 탄성체(300)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가 적용되는 공간에 알맞게 변경하여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selectively applying the elastic body 300 to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nd installed to suit the space to which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is applied,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It can.

탄성체(300)는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성형 사출시 이중사출에 의해 하부판(200)에 결합된 상태로 사출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300 may be inject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lower plate 200 by double injection during molding and injection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

탄성체(300)는 재활용이 가능한 TP(Thermo Plastic)계열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3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recyclable TP (Thermo Plastic) series resin.

탄성체(300)는 상부판(100)의 상부면과 하부판(20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부판(100)은 사용자의 발바닥면과의 접지력 및 마찰력이 증대되고 하부판(200)은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의 접지력 및 마찰력이 증대되어 미끄러짐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바닥재(1) 설치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elastic body 300 is formed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so that the upper plate 100 increases the grip and frictional force with the sole surface of the user's foot, and the lower plate 200 is indoors and outdoor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installa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1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lippage by increasing the gripping force and frictional force with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sports flooring material 1 is installed.

탄성체(300)는 패턴형 탄성부(301), 관통연결부(302) 및 충격 흡수부(303)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300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patterned elastic part 301 , a through connection part 302 , and a shock absorbing part 303 .

패턴형 탄성부(301)는 상부판(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판(20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관통연결부(302)는 패턴형 탄성부(301)와 연결되어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patterned elastic part 30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nd the through connection part 302 is connected to the patterned elastic part 301 to form the upper plate 100 and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plate 200.

또한, 충격 흡수부(303)는 관통연결부(302)의 단부인 상부판(100)의 하면 및 하부판(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탄성체(300)를 상부판(100) 또는 하부판(200)에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03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which are ends of the through-connection part 302, to attach the elastic body 300 to the upper plate 100 or the lower plate 200. make it fixed

또한, 충격 흡수부(303)는 상부판(100)의 복수의 지지부(110) 또는 하부판(200)의 복수의 지지부(210)가 접촉되어 바닥재(1)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er 303 absorbs the impact caus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flooring 1 by conta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of the upper plate 100 or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210 of the lower plate 200. can

따라서, 바닥재(1)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flooring material 1 can occur.

패턴형 탄성부(301)는 팔각형으로 형성되거나, 그 외의 다양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형 탄성부(301)는 상기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십자형 보강리브(260), 팔각형 보강리브(261) 또는 고정리브(262) 상에 다양한 도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턴형 탄성부(301)가 팔각형 형태의 넓은 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닥재(1)의 하부면이 바닥재(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보다 증대된 접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atterned elastic part 301 may be formed in an octagonal shape or in various other shapes. More specifically, the patterned elastic parts 301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on the cross-shaped reinforcing ribs 260, the octagonal reinforcing ribs 261, or the fixed ribs 262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It can be. Therefore, as the patterned elastic part 301 is formed in a large area in an octagonal shap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ing material 1 and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flooring material 1 is installed is widened, so that it can have an increased gripping force. there will be

이와 같이 탄성체(300)가 결합된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은 미끄럼 저항성능이 80BPN 내지 110BPN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to which the elastic body 300 is coupled may have slip resistance of 80 BPN to 110 BPN.

상부판(100)의 하부면 측면부분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후크(160)가 일정간격 이격거리를 갖고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hooks 160 may be form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하부판(2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통(260)이 일정간격 이격거리를 갖고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tubes 260 may be form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은 상호 엇갈리게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may be alternately coupled to each other.

즉,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이 결합될 때 격자 한칸정도로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combined, they may be coupled in a staggered manner by about one lattice.

따라서, 상부판(1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후크(160)가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에 덮어지지 않도록 하고, 하부판(2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통(260)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에 덮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hooks 160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re not cover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nd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ng cylinders 260 from being cover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이는, 어느 하나의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의 복수의 연결 체결후크(160)와 복수의 연결 체결통(260)에 또 다른 바닥재(1)의 복수의 연결 체결후크와 복수의 연결 체결통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connection fastening hooks 16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fastening tubes 260 of on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ar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fastening hooks of another flooring material 1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fastening tubes. can be made

따라서, 복수의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가 상호 결합되어 넓은 반경에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 plurality of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 can be installed in a wide radius.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Technical idea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100 : 상부판
110 : 지지부
120 : 결합홈 121 : 결합돌기
130 : 중앙 결합부 131 :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
132 : 중앙 결합부 체결통
140 : 둘레 결합부 141 : 둘레 결합부 체결통
150 : 하중분산레그
160 : 연장 연결 체결후크
200 : 하부판
210 : 지지부
220 : 결합홈 221 : 결합돌기
230 : 중앙 결합부 231 :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
232 : 중앙 결합부 체결통
240 : 둘레 결합부 241 :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
250 : 하중분산레그
260 : 연장 연결 체결통
270 : 십자형 보강리브 271 : 팔각형 보강리브
272 : 고정리브
300 : 탄성부
301 : 패턴형 탄성부 302 : 관통연결부
303 : 충격 흡수부
1: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100: top plate
110: support
120: coupling groove 121: coupling protrusion
130: central coupling part 131: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132: central joint fastening cylinder
140: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141: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tube
150: load distribution leg
160: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hook
200: lower plate
210: support
220: coupling groove 221: coupling protrusion
230: central coupling part 231: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232: central joint fastening cylinder
240: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241: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
250: load distribution leg
260: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cylinder
270: cross-shaped reinforcing rib 271: octagonal reinforcing rib
272: fixed rib
300: elastic part
301: pattern-type elastic part 302: through-connection part
303: shock absorber

Claims (16)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에 사용되는 스포츠 바닥재에 있어서,
평면형으로 형성되되 상부면에 나무무늬패턴 또는 격자패턴이 형성되는 상부판(100);
평면형으로 형성되되 하부면에 나무무늬패턴 또는 격자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판(20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중앙 부분과 하부판(200) 상부면 중앙 부분 각각에는 중앙 결합부(130, 2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와 하부판(200) 상부면 둘레 각각에는 둘레 결합부(140, 24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130, 230)는,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중앙부분과 하부판(200)의 상부면 중앙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In sports flooring used for indoor and outdoor sports venues,
An upper plate 100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having a tree pattern or lattice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lower plate 200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tree pattern or grid pattern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100; includes,
Central coupling parts 130 and 230 are form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central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respectively.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s 140 and 240 are form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respectively.
The central coupling part 130, 230,
a pair of central fastening hooks 131 and 231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respectively;
A pair of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132 and 232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one sid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131 and 231; including,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131, 231) and the centr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132, 232) ar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rectangular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0) 하부면과 하부판(200)의 상부면 각각에는 복수의 지지부(110, 2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110, 210)의 사이에는 복수의 결합홈(120, 220)과 결합돌기(121, 221)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and 210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respectively.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220) and coupling protrusions (121, 221)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10, 2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 및 하부판(200)의 하부면이 격자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과 하부판(200)의 하부면에는 탄성체(3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re formed in a grid pattern, the elastic body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Featured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00)는,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 모두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판(100)이나 하부판(200)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3,
The elastic body 300,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both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or only coupled to either the upper plate 100 or the lower plate 2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자패턴은,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십자형 보강리브(270);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팔각형 보강리브(271); 및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271)를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고정하는 고정리브(2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lattice pattern,
Cross-shaped reinforcing ribs 270 form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grids;
Octagonal reinforcing ribs 271 form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grids; and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omprising a fixing rib 272 for fixing the octagonal reinforcing rib 271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rid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은,
신재 열가소성 수지와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한 혼합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ixture of a new thermoplastic resin and a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신재 열가소성 수지와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한 혼합수지는,
신재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재활용된 열가소성 수지를 20중량부 이상을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7,
The mixed resin, which is a mixture of the new thermoplastic resin and the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lending 20 parts by weight or more of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new thermoplastic res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무무늬패턴은,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 및 하부판(200)의 하부면을 0.1mm 내지 0.5mm 깊이로 부식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tree patter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corro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to a depth of 0.1 mm to 0.5 m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21, 221)의 높이는 상기 결합홈(120, 2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21, 221)와 결합홈(120, 220)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r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upling grooves 120 and 220,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nd coupling grooves 120 and 220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couple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의 4면 또는 하부판(200)의 상부면 둘레의 4면에는 하중분산레그(150) 복수개가 일정 이격거리를 가지고 일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on legs 150 are formed in a row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four surfaces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or four surfaces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 결합부(140, 240)는,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둘레의 4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과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 둘레의 4방향에 형성되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과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s 140 and 240,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cylinders 141 formed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art fastening hooks formed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 241),
The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fastening tubes 141 and the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fastening hooks 241 and the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fastening hooks 241 have a rectangular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 측면부분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후크(160)가 일정간격 이격거리를 갖고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통(260)이 일정간격 이격거리를 갖고 일렬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00)과 하부판(200)은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후크(160)가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에 덮어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하부판(200)의 상부면 측면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장 연결 체결통(260)이 상기 상부판(100)의 하부면에 덮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hooks 160 are form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cylinders 260 are form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alternate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hooks 160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not to lose,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extension connection fastening cylinders 26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portion of the lower plate 200 are not cover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00)는,
상기 상부판(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판(20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패턴형 탄성부(301);
상기 패턴형 탄성부(301)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을 관통하는 관통연결부(302);
상기 관통연결부(302)의 단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3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3,
The elastic body 300,
a patterned elastic part 301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or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a penetration connection portion 302 connected to the patterned elastic portion 301 and penetrating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ck absorbing portion 303 formed at the end of the through-connection portion 30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00)는,
상기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의 성형 사출시 이중사출에 의해 상부판(100) 및 하부판(200)에 결합된 상태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3,
The elastic body 300,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re inject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by double injection during molding inj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무무늬패턴이 형성되거나 탄성체가 결합되는 상부판 또는 하부판은 미끄럼 저항성능이 80BPN 내지 110BP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3,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or lower plate on which the wood pattern is formed or coupled to the elastic body has a slip resistance of 80 BPN to 110 BPN.
KR1020220098599A 2022-08-08 2022-08-08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 KR102476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599A KR102476453B1 (en) 2022-08-08 2022-08-08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599A KR102476453B1 (en) 2022-08-08 2022-08-08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453B1 true KR102476453B1 (en) 2022-12-12

Family

ID=8439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599A KR102476453B1 (en) 2022-08-08 2022-08-08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45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34B1 (en) *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A prefabricated sport court
KR101605750B1 (en) * 2015-06-22 2016-03-23 주식회사 금강피씨씨 Elastic floor board with epd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95216B1 (en) 2016-04-28 2017-01-12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Indoor and outdoor sports stadium flooring
KR20170068108A (en)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Flooring material of sports stadiu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34B1 (en) *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A prefabricated sport court
KR101605750B1 (en) * 2015-06-22 2016-03-23 주식회사 금강피씨씨 Elastic floor board with epd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68108A (en)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Flooring material of sports stadiums
KR101695216B1 (en) 2016-04-28 2017-01-12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Indoor and outdoor sports stadium floo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8312A (en) Ground covering capable for use in playing tennis in the open air or under cover
KR101695216B1 (en) Indoor and outdoor sports stadium flooring
KR101689809B1 (en) Assembly type floor tile for sports court
US3775918A (en) Outdoor ground tile
EP0382119A1 (en) Modular sports tile with lateral absorption
US9528280B2 (en)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CA1265304A (en) Non-slip floor mat assembly
KR100975984B1 (en) Assemble type of field floor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 same
KR200472466Y1 (en) Floor board for sports
EP3482018A1 (en) Shock absorbing interlocking floor system
KR101280223B1 (en) Multi function air board
KR100901434B1 (en) A prefabricated sport court
KR102476453B1 (en) Indoor and outdoor sports flooring materials
US11926975B2 (en) Paver supporting apparatus
KR200467911Y1 (en) Assembly type mat
US20050108968A1 (en) Arch-ribbed tile system
CN201525996U (en) Suspension type assembled floor
CN201526138U (en) Suspension type assembled floor
KR20170068108A (en) Flooring material of sports stadiums
CN201695627U (en) Movement floor
CN1973099A (en) Modular tile with controlled deflection
KR101109576B1 (en)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play ground
KR20210106391A (en) Assembly type field floor tile improved anti-slip
CN201671287U (en) Split mounting type floor block
KR20220103676A (en) Modular 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