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367B1 -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367B1
KR102476367B1 KR1020210029357A KR20210029357A KR102476367B1 KR 102476367 B1 KR102476367 B1 KR 102476367B1 KR 1020210029357 A KR1020210029357 A KR 1020210029357A KR 20210029357 A KR20210029357 A KR 20210029357A KR 102476367 B1 KR102476367 B1 KR 10247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r
content
user
user terminal
captur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087A (ko
Inventor
장소영
배아람
권순오
공이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티
Publication of KR2021011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06Q30/0258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며, 리워드 제공 방법은 유저 단말로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유저단말에 대응하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검증을 위한 캡쳐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유저에게 기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WARD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인식함으로써 이벤트 참여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식별하여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전자상거래의 보편화로 인해 온라인상에 광고를 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온라인상의 광고 방법으로 유저가 방문하는 웹 페이지 상의 일부 영역에 배너 형식이나 팝업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광고 방식은 소비자가 강제적으로 광고를 시청하게 됨에 따라 광고 효과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광고를 열람하는 소비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등 자발적인 광고 시청을 유도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20-0019397호에서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는 유저 단말에서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순간 상품 광고 중 하나의 순간 상품 광고를 선정하여 선정된 순간 상품 광고의 광고 객체를 유저 단말로 전송하고, 광고 객체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복수의 인터랙션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광고 객체에 해당하는 순간 상품 광고를 유저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유저의 의사와 무관하게 미디어 컨텐츠를 소비하는 유저에게 지속하여 광고 객체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저에게 개별적으로 광고가 제공될 뿐이어서 유저가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바이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유저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하여 유저들의 인맥을 따라 광고 콘텐츠가 널리 배포될 수 있도록 하는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광고주의 SNS 채널의 구독자를 증가시키고, 광고주의 SNS 채널에 게시된 콘텐츠를 널리 배포되도록 하여, 광고주의 SNS 채널의 영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유저들의 광고 캠페인 참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광고 캠페인 참여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불필요한 인력이 소요되지 않으며, 유저의 어뷰징을 방지할 수 있는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유저들이 광고 캠페인에 참여시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이 자발적으로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워드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리워드 제공 방법은, 유저 단말로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유저단말에 대응하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검증을 위한 캡쳐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유저에게 기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워드 제공 장치는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와, 각 유저의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유저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광고 캠페인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유저 단말에 대응하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하고,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검증을 위한 캡쳐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며,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유저에게 기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워드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서 리워드 제공 방법은 유저 단말로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유저단말에 대응하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검증을 위한 캡쳐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유저에게 기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워드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리워드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리워드 제공 방법은 유저 단말로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유저단말에 대응하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검증을 위한 캡쳐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유저에게 기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저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하여 유저들의 인맥을 따라 광고 콘텐츠가 널리 배포될 수 있도록 하는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광고주의 SNS 채널의 구독자를 증가시키고, 광고주의 SNS 채널에 게시된 콘텐츠를 널리 배포되도록 하여, 광고주의 SNS 채널의 영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저들의 광고 캠페인 참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광고 캠페인 참여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불필요한 인력이 소요되지 않으며, 유저의 어뷰징을 방지할 수 있는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저들이 광고 캠페인에 참여시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이 자발적으로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에서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루는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복수의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서버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버로 구현될 경우, 리워드 제공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저장부(110), 통신부(120), 그리고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10)는 각각의 유저가 이용하는 전자단말기, 즉 유저 단말과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여 제어부(130)가 이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각각의 광고주의 광고주 계정 정보를 보유하고, 각 광고주 계정에 대해 과금되는 광고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10)는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각 광고 캠페인에 대한 참여 유저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10)는 각 유저의 계정 정보를 보유하고, 유저에게 지급될 리워드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유저 단말이나 광고주 단말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리워드 제공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한 유저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리워드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1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유저들에게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 캠페인 정보를 열람한 유저가 광고 캠페인 참여를 요청하면,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제어부(130)의 가이드에 따라 광고 캠페인에 참여한 것을 검증받기 위한 캡쳐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캡쳐 이미지를 인식하여 유저가 실제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를 포함하는 캠페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캠페인 페이지 내에 제공되는 참여 요청 버튼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발생하면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을 상세히 안내하는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유저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캠페인 페이지가 단순히 특정 광고주의 상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캠페인이 진행 중임을 간략히 안내하는 페이지라면, 캠페인 참여 페이지는 해당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안내하면서, 실제 캠페인 참여를 위한 각종 정보나 콘텐츠, 하이퍼링크 등을 제공하는 페이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참여 요청 버튼은 캠페인 페이지 내에서 캠페인 참여 페이지로 하이퍼링크되는 객체일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캠페인은, 유저로 하여금 광고주의 콘텐츠를 구독하도록 유도하거나, 광고주의 콘텐츠를 게시하도록 하거나,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30)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에 대한 참여, 즉 광고주의 콘텐츠 구독, 광고주의 콘텐츠 게시, 또는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액션 수행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유저로 하여금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여 업로드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유저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캡쳐 이미지를 분석하여, 유저가 실제로 광고주의 콘텐츠를 구독하거나, 광고주의 콘텐츠를 자신의 SNS에 게시하거나, 또는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특정 액션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에 대한 참여 여부가 검증된 경우, 유저 계정에 대해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하고 광고주에게는 대응하는 광고료를 과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리워드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예시도이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리워드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에 도시된 리워드 제공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리워드 제공 방법에서만 설명되고, 도 1에 도시된 리워드 제공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생략된 내용은 도 1에 도시된 리워드 제공 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광고 캠페인 정보를 유저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S201). 여기서 광고 캠페인 정보는 상술한 캠페인 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는 하나의 리스트 내에 리스팅되어 유저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캠페인 페이지에 대한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각종 게시물을 통해 유저가 광고 캠페인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광고 캠페인 정보를 제공받은 유저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02). 그리고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의 참여 요청에 응답하여 유저에게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할 수 있다(S203). 예를 들어 캠페인 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참여 요청 버튼을 통해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이 수신될 수 있고,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캠페인 참여 페이지는 캠페인 참여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페이지로서 캠페인의 유형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광고 캠페인은 유저들이 광고주의 콘텐츠를 구독하도록 유도하는 캠페인, 즉 유저들이 광고주의 콘텐츠를 구독하면 광고 캠페인에 참여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캠페인 참여 페이지(300)를 제공할 수 있다. 캠페인 참여 페이지(300)의 상단에는 해당 광고 캠페인의 광고주 명칭이 표시되고, 이어서 유저가 캠페인에 참여하기 위해 해야할 일이 단계별로 안내될 수 있다.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광고주의 콘텐츠가 제공되는 광고주의 채널로 유저를 유입시켜, 유저로 하여금 광고주의 콘텐츠를 구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구독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참여 버튼, 예를 들어 채널 구독하기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채널 구독하기 버튼은 광고주의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로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의 채널일 수도 있고, 서드파티 채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에 광고주 계정에 의해 제공되는 카카오톡 채널, 페이스북 페이지, 인스타그램 계정 등이 상술한 서드파티 채널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 캠페인은 유저들이 광고주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SNS 게시물을 작성하고 배포하도록 유도하는 캠페인, 즉 유저들이 광고주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게시물을 자신의 SNS 계정에 업로드하는 경우 광고 캠페인에 참여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캠페인 참여 페이지(4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광고주의 명칭을 상단에 표시한 후, 유저가 수행해야할 동작을 단계별로 나열하여 안내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지정된 광고주의 콘텐츠,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을 유저가 전송 받기 위한 참여 버튼, 예를 들어 이미지 다운로드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가 이미지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하면, 지정된 광고주의 콘텐츠를 유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가 광고주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SNS 게시물을 작성하는데 이용될 텍스트 태그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해시태그를 복사 가능한 텍스트 형식으로 캠페인 참여 페이지 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해시태그는 광고주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해시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고주는 광고주가 진행하는 SNS 이벤트와 관련된 해시태그를 태그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이때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각 유저에게 고유한 유니크 해시태그를 복사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니크 해시태그는 유저 계정마다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저의 동일한 광고 캠페인에 대한 중복 참여를 방지하거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한 유저와 캡쳐 이미지 내에 포함된 유니크 해시태그에 대응하는 유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유저의 어뷰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마다 다른 유니크 해시태그를 부여하고, 유저에게 부여된 유니크 해시태그를 보유하여, 이후 캠페인 참여 여부 검증시에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 하여금 광고주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SNS 게시물을 해시태그와 함께 포스팅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저의 단말에서 유저의 SNS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버튼, 예를 들어 도 4에서 '톡톡 실행하기'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가 광고주의 콘텐츠와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게시물을 업로드한 후 게시물 이미지를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업로드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와 이미지 업로드 버튼을 캠페인 참여 페이지(400)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 캠페인은 유저들이 광고주의 콘텐츠 게시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캠페인, 즉 유저들이 광고주의 콘텐츠가 포함된 게시물에 대하여 좋아요 등의 공감 표시, 또는 리포스트 등 재배포, 댓글 작성 등과 같은 기설정된 액션을 수행하면 광고 캠페인에 참여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캠페인 참여 페이지(500)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우선 캠페인 참여 페이지(500)에, 유저의 특정 액션을 유도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광고주의 게시물을 유저가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게시물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참여 버튼, 예를 들어 게시물 보러가기 버튼을 제공하고, 버튼이 선택되면 특정된 광고주의 게시물로 유저 단말을 하이퍼링크시킬 수 있다. 이때 광고주의 게시물은 리워드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에 게시된 것일수도 있고, 서드파티 서비스의 게시물일 수도 있다.
그리고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가 해당 게시물에 대해 특정 액션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광고 게시물을 리포스팅하도록 유도한 후 리포스팅한 게시물을 유저가 캡쳐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캡쳐 이미지를 업로드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와 이미지 업로드 버튼을 캠페인 참여 페이지(500)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의 S203단계는 리워드 제공 장치(100)가 참여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유저에게 제공하고, 캠페인 참여 페이지 내에 유저가 캠페인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하이퍼링크나 콘텐츠 등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광고 캠페인의 유형은 위에 서술한 세 가지 유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저로 하여금 캠페인 대상 제품의 광고물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도록 하거나, 광고물 이미지를 유저의 SNS에 포스팅하도록 하는 등 다른 방식의 광고 캠페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리워드 제공 장치(100)의 가이드에 따른 유저가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통해 캡쳐 이미지를 업로드하면(S204), 캡쳐 이미지의 검증을 수행하여 검증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205).
이때 실시예에 따라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 하여금 캠페인 참여 페이지에 복귀하도록 유도하는 푸시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도 5의 캠페인 참여 페이지(500) 내에서 게시물 보러가기 버튼을 선택한 이후에 일정시간이 도과하면, 유저에게 캡쳐 이미지 업로드를 요청하는 푸시알림 메시지를 유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가 캠페인 참여를 마무리하도록 독려할 수 있다.
즉,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로부터 획득한 캡쳐 이미지에서 검증에 필요한 텍스트나 이미지를 식별하여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거나,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기설정된 이미지와 비교하는 등의 방식으로 유저의 캠페인 참여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광고 캠페인 유형에 대해서는 도 6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쳐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캡쳐 이미지 내에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구역에서 광고주 명칭이나 이미지를 추출하여, 광고주의 채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캡쳐 이미지 내에서 유저의 채널 구독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또한 미리 설정된 구역이나 범위 내에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구독 중...'이라는 텍스트를 추출하여 채널 구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유형의 광고 캠페인에 대해서는 도 6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쳐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캡쳐 이미지 내에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에게 전송한 광고주의 콘텐츠, 예를 들어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캡쳐 이미지 내에 포함된 이미지와 광고주 콘텐츠 사이에 특징점이 매칭되는지 확인하거나, 이미지 내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여 유저가 광고주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게시물을 SNS에 포스팅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해시태그를 확인하여 미리 유저에게 복사 가능하게 제공한 텍스트 태그 정보와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나아가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이때 게시 시간 정보를 함께 확인하여 유저의 어뷰징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유형의 광고 캠페인에 대해서는 도 6의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쳐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캡쳐 이미지 내에서 광고주의 명칭 또는 광고주의 콘텐츠, 그리고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액션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3)에서 'RT@200milesbike'라는 문자열을 인식하여, 광고주가 업로드한 게시물을 리포스팅하였음을 검증하고, '드디어 BK200 출시!'라는 문자열이나, 이미지를 실제 광고주의 게시물 내의 콘텐츠와 비교하여, 광고주의 게시물을 리포스팅한 것인지 검증할 수 있다.
이처럼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가 업로드한 캡쳐 이미지를 분석하여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한편, S205단계에서 캡쳐 이미지를 이용한 검증이 성공하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S206). 그러나 검증에 실패하는 경우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에게 캠페인 참여를 다시 시도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검증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통해 검증 결과가 나온 즉시 유저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유저에게 검증이 완료된 후 보상 지급할 때까지 일정 시간을 대기할 수 있으며, 실제 보상이 제공될 시점에 유저의 캠페인 참여가 유효하게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이벤트에 참여하여 이미지를 업로드한 유저 중 캡쳐 이미지 검증이 완료된 유저를 보상제공대상자로 분류할 수 있고, 24 시간이 지난 시점에 보상제공대상자로 분류된 유저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보상제공대상자 중 적어도 일부 유저에 대해 SNS 게시물의 게시상태나, 광고주 채널의 구독여부, 광고주 게시물에 대한 액션의 유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유저의 캠페인 참여가 유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광고주에게 광고 캠페인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 캠페인 생성에 필요한 항목인 광고 유형별로, 이미지 인식을 통한 검증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 이미지 내에서 텍스트나 이미지를 인식하고자 하는 구역이나 범위 및 인식률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 구독해야 할 광고주의 ID나 명칭, 인식대상인 텍스트 또는 이미지, 광고주의 채널 주소나 게시물 주소, 유저로 하여금 게시물에 포함되도록 할 광고주의 콘텐츠, 해시태그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광고주로부터 획득된 항목을 기초로 광고 캠페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캠페인 참여 페이지로 연결될 캠페인 페이지를 등록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4)

  1. 리워드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유저단말로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유저단말에 대응하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검증을 위한 캡쳐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유저에게 기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를 상기 유저의 SNS에 게시하여 상기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참여 버튼이 포함되는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상기 유저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캠페인 참여 페이지에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유저단말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수신된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 내에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 이미지와 게시 시간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SNS 게시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단말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와 함께 게시될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NS 게시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수신된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 내에서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추가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SNS 게시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워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를 구독하여 상기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구독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참여 버튼이 포함되는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상기 유저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캠페인 참여 페이지에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구독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유저단말을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가 게시되는 광고주 페이지로 링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수신된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 내에서 상기 광고주의 명칭과 상기 유저의 구독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구독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워드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기설정된 액션을 수행하여 상기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참여 버튼이 포함되는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상기 유저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캠페인 참여 페이지에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유저단말을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가 게시된 게시물로 링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수신된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 내에서 상기 광고주의 명칭 또는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 그리고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액션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액션 수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액션은,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의 재배포,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댓글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인, 리워드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한 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워드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캠페인 참여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 업로드 버튼을 통해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상기 캡쳐 이미지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 결과를 상기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통해 상기 유저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워드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 내에서 문자열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문자열이 미리 설정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을 성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워드 제공 방법.
  9. 리워드 제공 장치에 있어서,
    광고주의 광고 캠페인 정보와, 각 유저의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유저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광고 캠페인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유저 단말에 대응하는 유저의 광고 캠페인 참여를 가이드하고,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광고 캠페인 참여 검증을 위한 캡쳐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검증하며,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유저에게 기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를 상기 유저의 SNS에 게시하여 상기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참여 버튼이 포함되는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상기 유저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캠페인 참여 페이지에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와,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와 함께 게시될 텍스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수신된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 내에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 이미지와 게시 시간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SNS 게시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수신된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 내에서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추가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SNS 게시 여부를 판별하는, 리워드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를 구독하여 상기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구독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참여 버튼이 포함되는 캠페인 참여 페이지를 상기 유저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캠페인 참여 페이지에서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구독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유저단말을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가 게시되는 광고주 페이지로 링크시키며, 상기 유저단말로부터 수신된 캡쳐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구역 내에서 상기 광고주의 명칭과 상기 유저의 구독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광고주의 콘텐츠에 대한 구독 여부를 판별하는, 리워드 제공 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이미지의 검증에 성공한 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 장치.
  13.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리워드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29357A 2020-03-05 2021-03-05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76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7969 2020-03-05
KR1020200027969 2020-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87A KR20210113087A (ko) 2021-09-15
KR102476367B1 true KR102476367B1 (ko) 2022-12-09

Family

ID=7779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357A KR102476367B1 (ko) 2020-03-05 2021-03-05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41B1 (ko) * 2023-09-04 2024-01-16 주식회사 에이디자인그룹 디지털 경전에 대한 필사를 체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936A (ko) * 2012-11-02 2014-05-12 염상준 소셜마케터를 이용한 타겟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1436B1 (ko) * 2016-09-26 2018-07-05 장광영 채팅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제공 방법
KR102068123B1 (ko) * 2018-04-11 2020-01-20 (주)헤렌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87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3949A1 (en) Advanced keyboard based search
US115825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n-intrusive advertising content to set-top boxes
US10356466B1 (en) Providing selectable content creator controls in conjunction with sponsored media content items
US10949875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etermining outcomes for program promotions
US9936330B2 (en) Methods for exchanging data amongst mobile applications using superlinks
US10432996B2 (en) Matching data objects to video content
US117560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electronic billboards
CN105580042B (zh) 用于支持与内容供应相关联的关系的装置和方法
US20190052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Analyzing, and Reporting on Subjects in Videos without Interrupting Video Play
US201500738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ning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an advertisement
KR102424968B1 (ko) 광고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0760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elivery of information to user devices
KR10215095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통합 로그인 방법 및 장치
US20160191588A1 (en) Personal broadcast system
US10782965B2 (en) Monitoring of media displayed by third-party components
US8756100B1 (en) Facilitating purchase of excess items
KR102476367B1 (ko)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58411B1 (ko)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US9930424B2 (en) Proxy channels for viewing audiences
US202002751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tracking consumption of digital content
US9332284B1 (en) Personalized advertisement content
US20150178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ing advertisements on display devices based on user's nfc based transaction and web browsing activities
US10482105B1 (en) External verification of content popularity
US20140372204A1 (en) Automatically Applying Tracking Codes to Electronic Content Published Via a Social Media Service
US9639817B2 (en) Remote metering for panelist web u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