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347B1 -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347B1
KR102476347B1 KR1020210033935A KR20210033935A KR102476347B1 KR 102476347 B1 KR102476347 B1 KR 102476347B1 KR 1020210033935 A KR1020210033935 A KR 1020210033935A KR 20210033935 A KR20210033935 A KR 20210033935A KR 102476347 B1 KR102476347 B1 KR 10247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nection link
link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9269A (en
Inventor
방창원
김세철
Original Assignee
이화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347B1/en
Publication of KR2022012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브 영상에 대한 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CCTV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브 영상에 대한 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CCTV 관리 시스템은 감시 대상 공간에 설치되는 CCTV와 연결되며, 상기 CCTV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집하는 복수의 영상감시 저장장치, 상기 복수의 영상감시 저장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수집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며, 복수의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연결 링크 및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영상 공유 서버, 그리고 상기 동영상 공유 서버에서 제공하는 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응하는 링크를 복수의 메신저 앱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앱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해 임의의 링크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제3자로 하여금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다양한 모바일 메신저 앱(Applicatio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진저 앱을 통해 링크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링크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DVR/NVR 장비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haring function for live video and a video shar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haring function for live video is connected to a CCTV installed in a space to be monitored, a plurality of video monitoring storage devices for collecting images captured by the CCTV, and the plurality of images It is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storage device through a network, obtain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images collected in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provides it in the form of a list, creates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s, and generates the connection link and A video sharing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 messenger app that can deliver a connection link, an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while the app provided by the video sharing server is running.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 a link corresponding to the video to be shared is provided.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through an app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messenger app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ndom link is created and provided for a video to be shared, but a third party can monitor the real-time video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any one selected from various mobile messenger apps (Applications) The link is delivered through the manager app, and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as you can watch the video recorded through the DVR/NVR equipment just by selecting the delivered link.

Description

라이브 영상에 대한 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CCTV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 공유 방법{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이브 영상에 대한 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CCTV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라이브 영상을 승인한 채널을 통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며, 링크를 통해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은 인증된 시간이 지난 후에 자동 소멸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CCTV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CTV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a sharing function for live video, and more particularly, enables sharing of live video relayed in real time through an approved channel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provided through a link. It relates to a CCTV management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by allowing the live video to be automatically destroyed after an authorized time has elapsed.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말이 글 고유의 기능을 갖게 됐다. 카카오톡이나 라인,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 덕분이다. 스마트폰 이후 SNS를 통한 소통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Internet, words have a unique function of writing. This is thanks to SNS such as KakaoTalk, Line, Twitter, and Facebook. After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through SNS is rapidly replacing the existing communication culture.

또한, 코로나 19와 같이 펜데믹 시대를 거치면서 대면보다 비대면 활동을 지향함에 따라 문자를 이용한 소통은 일상생활에서 온라인 비즈니스까지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In addition, as non-face-to-face activities are pursued rather than face-to-face through the pandemic era such as COVID-19, communication using text messages is gradually expanding its scope from everyday life to online business.

또한,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술의 발달로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고화질의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사용자는 유튜브, 네이버밴드,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넷플릭스, 웨이브, 트위터, 틱톡 등에 촬영된 사진 및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고, 사진 및 동영상에 URL 링크를 연결하여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camera technology, anyone can take high-quality photos and videos anytime, anywhere. Users can upload photos and videos taken on YouTube, Naver Band, Instagram, Facebook, Netflix, Wave, Twitter, TikTok, etc., and share them with third parties by connecting URL links to photos and videos. .

또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디지털 영상기기 즉, DVR(Digital Video Recorder) / NVR(Network Video Recorder )은 개개인에 의해 사무실, 소규모 사업장, 가정 등에 설치되어 보안 감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십 개의 DVR/NVR의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진화하였으며, 이는 더 나아가 인프라 서버의 발전으로 연결되고 있다. In addition,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digital video devices, that is, DVR (Digital Video Recorder) / NVR (Network Video Recorder) are installed in offices, small businesses, homes, etc. by individuals to perform security monitoring. Recently, however, it has evolved into a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nd managing dozens of DVRs/NVRs using a network, which is further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servers.

특히 인프라 서버는 마스터, 관리자, 사용자, 서브 사용자의 구분으로 사용자 관리에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DVR/NVR에 대한 컨트롤을 가능하게 되었다. In particular, the infrastructure server provides a systematic service for user management by classifying master, manager, user, and sub-user,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VR/NVR using a mobile phone.

DVR/NVR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제3자와 공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서브 계정을 추가 하고, 추가된 서브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절차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서브 계정에 대한 아이드와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제3자에게 전달하여야 하므로 관리 및 절차가 복잡하고, 공유된 영상을 자동 폐기되지 않고 존재하게 되므로 영상에 대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hare the video recorded through the DVR/NVR with a third party, a procedure of adding a separate sub account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the added sub account was requir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ID and password for the sub account must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 third party, the management and procedures are complicated, and the security of the video cannot be maintained because the shared video exists without being automatically discarded.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 10-2111994호(2020.05.12.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11994 (Announced on May 12, 202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라이브 영상을 승인한 채널을 통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며, 링크를 통해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은 인증된 시간이 지난 후에 자동 소멸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CCTV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ve video relayed in real time can be shared through approved channels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live video provided through a link can automatically disappear after an authorized time has elapsed. It is to provide a CCTV management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브 영상에 대한 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CCTV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대상 공간에 설치되는 CCTV와 연결되며, 상기 CCTV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집하는 복수의 영상감시 저장장치, 상기 복수의 영상감시 저장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수집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며, 복수의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연결 링크 및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영상 공유 서버, 상기 동영상 공유 서버에서 제공하는 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응하는 링크를 복수의 메신저 앱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앱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problem, in a CCTV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a sharing function for live video, it is connected to a CCTV installed in a space to be monitored, and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CCTV are collected.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of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s and a network, obtain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images collected in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and provides it in the form of a list, and link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s. is created, a video sharing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reated connection link and a messenger app that can deliver the connection link, an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while the app provided by the video sharing server is running, and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that transmits a link corresponding to an image to be shared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through an app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messenger apps.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연결 링크를 출력하고, 출력된 연결 링크가 선택될 경우에는 해당되는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푸쉬 이벤트 신호를 관리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may output a connection link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when the output connection link is selected, output a corresponding image and transmit a push event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동영상 공유 서버는, 상기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대한 IP 주소와 상기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수집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정보 리스트를 인증이 완료된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영상 정보 제공부, 상기 영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링크를 생성하는 링크 생성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특정 영상에 대한 연결 링크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관리부, 그리고 공유되는 영상을 모티터링 할 수 있는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횟수를 기 설정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라이브 영상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부터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횟수를 카운팅하여 기 설정된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 횟수에 도래하면, 해당되는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video sharing server generates an IP address for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and a video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images in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and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images in the form of a list, A video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generated video information list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for which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 link generating unit that creates a linkable link using information about the video, and a connection link to a specific video from the manager terminal. Upon receiving the requested signal, a link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the video and a messenger app capable of delivering the connection link, and information about time and push event signals that can monitor the shared video. The number of times is set in advance, and the number of times and push event signals are counted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live video sharing” request sig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when the preset time and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are reached,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link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disconnecting the video.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 이벤트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신되면, 해당되는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push event signal is 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signal for disconnecting a corresponding connection link and an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provide the genera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대한 연결 링크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각각 전달하여 해당되는 영상을 공유시키며, The manager terminal transmits a connection link to a video selected by the manager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spectively, to share the corresponding video;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공유된 연결 링크를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여 해당되는 영상을 공유시킬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connection link shared by the manager terminal to other user terminals to share the corresponding vide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CTV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감시 대상 공간에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며, 복수의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연결 링크를 이용하여 제3자와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을 관리에 대한 권한을 지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의 사용 단말로부터 특정 영상에 대한 연결 링크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신저 앱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앱을 통해 해당되는 영상의 연결 링크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연결 링크에 대응하는 푸쉬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푸쉬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시간 카운팅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도래하면 해당되는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deo sharing method using a CCTV management system, collecting images taken by CCTVs installed in a space to be monitored, obtain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llected images to form a list , and generating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mages, authenticating an administrator having authority for managing the image so that the image can be shared with a third party using the created connection link, Providing information on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the video and a messenger app capable of transmitting the connection link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a connection link for a specific video from the terminal used by the manager, the plurality of messenger apps Transmitting a connection link of a corresponding video to a user terminal through any one app selected from among, and when a push ev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link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e time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push event signal Performing counting,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a corresponding connection link and an image when a preset time arriv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해 임의의 링크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제3자로 하여금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다양한 모바일 메신저 앱(Applicatio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진저 앱을 통해 링크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링크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DVR/NVR 장비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ndom link is created and provided for a video to be shared, but a third party can monitor the real-time video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any one selected from various mobile messenger apps (Applications) The link is delivered through the manager app, and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as you can watch the video recorded through the DVR/NVR equipment just by selecting the delivered lin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하는 영상에 대해 모니터링 가능한 시간 설정이 가능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공유된 영상을 자동으로 폐기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에 대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a monitoring time for a shared video, and when a preset time arrives, the shared video can be automatically discarded to maintain video secur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공유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서버에서 제공되는 앱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S320 단계에서 앱을 통해 영상 리스트를 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S330단계에서 앱을 통해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복수의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S330 단계에서 메신저 앱을 통해 링크를 전달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특정 영상에 대해 공유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video sharing server shown in FIG. 1 .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sharing method using a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 screen provided by a video shar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list is provided through an app in step S320.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essenger apps capable of delivering links through the app is output in step S330.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 is delivered through a messenger app in step S330.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share a specific image in a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FIGS. 1 and 2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은 영상감시 저장장치(100), 동영상 공유 서버(200), 관리자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a video sharing server 200, an administrator terminal 300 and a user terminal 400.

먼저, 영상감시 저장장치(100)는 건물 내부 또는 외곽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저장한다. First,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stores image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a building.

영상감시 저장장치(100)는 연결된 카메라의 유형과 영상 처리 방법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NVR) 중에서 어느 하나의 레코더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DVR은 아날로그 카메라와 연결되며, 아날로그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반면에 NVR은 IP 카메라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인코딩 처리 및 저장이 완료된 데이터를 IP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아 스트리밍을 수행한다.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is configured using any one of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or a network video recorder (NVR) according to the type of connected camera and image processing method. In other words, a DVR is connected to an analog camera and processes data for an image received from the analog camera. On the other hand, the NVR is connected to the IP camera, and receives data that has been encoded and stored from the IP camera and performs streaming.

동영상 공유 서버(200)는 영상감시 저장장치(100)와 후술되는 관리자 관리자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며, 관리자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and a manager terminal 300 and a user terminal 4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mutual information, and the manager terminal 300 and the user Video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400 .

동영상 공유 서버(200)는 웹(Web)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된 온라인 플랫폼(platform)에 접속된 관리자 단말(300)에 스트리밍 가능한 영상 정보를 리스트(list) 형태로 제공한다. 이때, 동영상 공유 서버(200)는 제공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를 생성한다. 연결 링크는 영상감시 저장장치(100)와 관리자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와의 물리적인 연결을 제공하므로 관리자 또는 제3자로 하여금 특정 영상을 공유하여 시청할 수 있게 한다.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provides streamable video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lis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connected to an online platform implemented as a web or mobile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creates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video information. The connection link provides a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llowing an administrator or a third party to share and view a specific video.

또한, 관리자 단말(300)은 영상감시 저장장치(100) 및 동영상 공유 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소지되는 단말로서,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하여 동영상 공유 서버(200)에 네트워크 접속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300)은 웹 또는 앱을 통해 회원 가입 또는 인증한 단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3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and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and can be network-connected to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At this time, the manager terminal 300 may be a terminal that has registered or authenticated as a member through the web or app.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400)은 외부자이며, 특정 영상을 공유받고자 하는 사용자 의해 소지되는 단말로서, 동영상 공유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연결링크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영상을 플레이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400)을 소지하고 있는 외부자를 제3자라고 한다. Finally, the user terminal 400 is an outsider and is owned by a user who wants to share a specific video, and plays the corresponding video using a connection link provided by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 Meanwhi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outsider possessing the user terminal 400 is referred to as a third party.

관리자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400)은 스마트폰(SmartPhone), 패드(Pad), 데스크탑, PC, 노트북(Notebook), 태블릿(Tablet) 등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The manager terminal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may correspond to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 pad, a desktop, a PC, a notebook, and a table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공유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video sharing server shown in FIG. 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서버(200)는 영상정보 수집부(210), 영상 정보 제공부(220), 링크 생성부(230), 링크 관리부(240) 및 제어부(25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an imag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a link generation unit 230, and a link management unit 240. and a control unit 250.

먼저, 영상정보 수집부(210)는 영상감시 저장장치(100)로부터 영상 정보 및 영상삼시 저장장치(100)의 IP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영상명, 촬영장소, 촬영날짜, 동영상 재생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First, the video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receives video information and IP information of the video storage device 100 from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 Here, the video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deo name, a filming location, a filming date, and a video reproduction time.

그 다음, 영상 정보 제공부(220)는 수집된 영상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생성한다. 리스트 형태로 생성된 영상 정보는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 출력되며, 관리자는 제공된 리스트 형태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Next, the imag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generates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list.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form of a list is out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administrator can select a specific image using the provided ima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list.

링크 생성부(230)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를 생성한다. 부연하자면, 링크 생성부(230)는 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지원되는 프로토콜과, 영상감시 저장장치(100)에 대한 IP주소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를 생성한다. The link generation unit 230 creates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image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link creation unit 230 creates a link using a protocol supported through a connection network, an IP address for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and video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통신망은 LAN, WAN, WCDMA, WI-FI, LTE, 3G, 4G, 5G 등의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TCP/I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RTP(Real Time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used in the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LAN, WAN, WCDMA, WI-FI, LTE, 3G, 4G, 5G communication networks, TCP / IP,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RTP (Real Time Protocol) protocols are supported.

링크 관리부(240)는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링크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영상에 매칭되는 연결 링크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결 링크를 관리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또한, 링크 관리부(240)는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link manager 240 extracts a connection link matching a corresponding video according to the link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extracted connection link to the manager terminal 300 . In addition, the link management unit 240 provides information on a messenger app capable of delivering a connection link.

마지막으로 제어부(250)는 제공된 영상에 대한 플레이 가능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플레이 가능 시간에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제공된 영상에 대한 연결을 해제시킨다. Finally, the controller 250 sets a playable time for the provided video, and disconnects the provided video when the set playable time arrives.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공유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video sharing method using a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sharing method using a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서버(200)는 복수의 영상감시 저장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S310). As shown in FIG. 3 ,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video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s 100 (S310).

부연하자면, 영상감시 저장장치(100)는 소규모의 사업장, 가정 등의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복수의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여 저장한다. 그 다음, 영상감시 저장장치(100)는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와 자신의 IP정보를 동영상 공유 서버(200)에 전달한다. In other words,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collects and stores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CCTVs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in a small business or home. Next,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transmits the collected video information and its own IP information to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

그러면, 동영상 공유 서버(200)의 영상정보 수집부(210)는 영상감시 저장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영상 정보 및 IP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영상명, 촬영장소, 촬영날짜, 동영상 재생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Then, the video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of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matches and stores the plurality of video information and I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100 . Here, the video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deo name, a filming location, a filming date, and a video playback time.

그 다음, 영상 정보 제공부(220)는 저장된 복수의 영상 정보 및 IP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생성하고, 리스트 형태의 영상 정보는 관리자 단말(300)에 제공한다(S320).Next, the video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generates a plurality of stored video information and IP information in a list form, and provides the list form of video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300 (S320).

영상 정보 제공부(220)는 공유 가능한 영상을 촬영 장소 또는 일자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한다. The imag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classifies sharable images into categories such as shooting locations or dates, and provides them in the form of a lis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공유 서버에서 제공되는 앱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S320 단계에서 앱을 통해 영상 리스트를 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 screen provided by a video shar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ampl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ideo list is provided through an app in step S3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를 통해 동영상 공유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앱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인증을 완료하면, 동영상 공유 서버(200)는 영상감시 저장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복수의 메뉴 정보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4, when an administrator completes authentication while activating an app provided from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manages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It provides a plurality of menu information that can be done.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라이브 영상 공유"를 선택하게 되면, 동영상 공유 서버(200)는 앱을 통하여 수집된 복수의 영상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제공한다. 도 5에서는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해 영상 명과, 촬영 날짜 및 재생 시간을 기본 정보로 제공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고,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의 기본 정보는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하게 출력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5 , when the manager selects “live video sharing”,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provides a plurality of video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app in the form of a list. In FIG. 5, the video name, the shooting date, and the playback time are provid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video to be shared,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video to be shared can be outpu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eset category. .

S320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특정 영상을 선택하게 되면, 링크 관리부(240)는 해당되는 영상의 연결 링크 및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330)When the manager selects a specific video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300 after step S320 is completed, the link management unit 24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link of the corresponding video and the messenger app (S330).

먼저, 링크 생성부(230)는 수집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각각의 연결 링크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연결 링크는 영상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다. First, the link generation unit 230 creates each connection link for a plurality of collected images. And, the created connection link is matched with image information and stored.

그리고, 관리자에 의해 특정 영상이 선택되면, 링크 관리부(240)는 선택된 영상에 매칭되는 연결 링크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And, when a specific video is selected by the manager, the link management unit 240 extracts a connection link matching the selected video and provides the manager terminal 300 with information about a messenger app capable of delivering the extracted connection link. .

여기서 메신저 앱은 왓츠앱, 페이스북 메신저, 위쳇, 라인, 스카이프, 바이버, 탱고, 님버즈, 카카오톡, 텔레그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링크링크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서도 전달 가능하다. Here, the messenger app includes at least one of WhatsApp, Facebook Messenger, WeChat, Line, Skype, Viber, Tango, Nimbuzz, KakaoTalk, and Telegram. Link Link can also be delivered through a text message.

그 다음, 제어부(250)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메신저 앱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영상의 연결 링크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에 전달한다(S340). Then, the controller 250 transmits the connection link of the corresponding video to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400 using the messenger app selected by the manager (S340).

도 6은 S330단계에서 앱을 통해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복수의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7은 S330 단계에서 메신저 앱을 통해 링크를 전달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essenger apps capable of delivering links through the app is output in step S330, and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links are delivered through the messenger app in step S330. .

제3자가 특정한 영상을 복수의 지인들과 같이 공유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된 복수의 영상 중에서 제3자에 의해 요청된 영상을 선택한다. Assuming that a third party wants to share a specific image with a plurality of acquaintances, the manager selects an image requested by the third party from among a plurality of images output in a list for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300 .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관리부(240)는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복수의 메신저 앱을 제공한다. 관리자에 의해 복수의 메신저 앱 중에서 특정한 메신저 앱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250)는 제3자 및 제3자의 지인들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400)에게 연결 링크를 전달한다. Then, as shown in FIG. 6 , the link management unit 240 provides a plurality of messenger apps capable of delivering connection link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deo. When a specific messenger app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messenger apps by the administrator, the controller 250 delivers a connection link to the user terminal 400 possessed by the third party and the third party's acquaintances.

그러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자 및 제3자의 지인들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400)은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메신저 앱을 통해 연결 링크를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복수의 메신저 앱 중에서 카카오톡을 선택하고, 카카오톡의 친구 목록에서 제3자 및 제3자의 지인들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400)은 카카오톡을 통해 전달받은 연결 링크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출력된 연결 링크를 선택하게 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400)은 해당되는 영상을 플레이한다.Then, as shown in (a) of FIG. 7 , the user terminal 400 owned by the third party and the third party's acquaintances outputs a connection link through the messenger app selected by the manager.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n administrator selects KakaoTalk from among a plurality of messenger apps and selects a third party and friends of the third party from a KakaoTalk friend list. Then, the user terminal 400 outputs the connection link transmitted through KakaoTalk. And when the output connection link is selected, as shown in (b) of FIG. 7, the user terminal 400 plays the corresponding video.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특정 영상에 대해 공유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share a specific image in a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A"의 사용자 단말(410), "B" 의 사용자 단말(420), "C" 의 사용자 단말(430), "D" 의 사용자 단말(440) 및 "E"의 사용자 단말(450)를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50)는 메신저 앱을 이용하여 "A"의 사용자 단말(410), "B" 의 사용자 단말(420), "C" 의 사용자 단말(430), "D" 의 사용자 단말(440) 및 "E"의 사용자 단말(450)에 영상의 연결 링크를 전달한다. As shown in (a) of FIG. 8, the manager uses the manager terminal 300 to connect the user terminal 410 of "A", the user terminal 420 of "B", and the user terminal 430 of "C". ), the user terminal 440 of "D" and the user terminal 450 of "E" can be designated at once. Then, the controller 250 uses the messenger app to connect the user terminal 410 of "A", the user terminal 420 of "B", the user terminal 430 of "C", and the user terminal 440 of "D". ) and the link of the video to the user terminal 450 of "E".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A"의 사용자 단말(410)을 지정하면, 제어부(250)는 메신저 앱을 이용하여 "A"의 사용자 단말(410)에 영상의 연결 링크를 전달한다. As shown in (b) of FIG. 8 , when the manager designates the user terminal 410 of "A" using the manager terminal 300, the controller 250 uses the messenger app to designate the user terminal 410 of "A". The connection link of the video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410 .

연결 링크를 전달받은 "A"의 사용자 단말(410)은 "B" 의 사용자 단말(420)에 연결 링크를 복사하여 전달한다. Upon receiving the connection link, the user terminal 410 of “A” copies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link to the user terminal 420 of “B”.

연결 링크를 전달받은 "B"의 사용자 단말(420)은 "A"의 사용자 단말(410)과 동일한 방법으로 "C" 의 사용자 단말(430), "D" 의 사용자 단말(440) 및 "E"의 사용자 단말(450)에 연결 링크를 복사하여 각각 전달한다.The user terminal 420 of "B" receiving the connection link connects to the user terminal 430 of "C", the user terminal 440 of "D", and the user terminal 440 of "D" in the same way as the user terminal 410 of "A". Copies the connection links to the user terminal 450 of " and delivers them respectively.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자는 관리자에 의해 지정되어 동영상 공유 서버로부터 연결링크를 전달받거나, 다른 제3자로부터 연결링크를 전달받는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party is designated by an administrator and receives a link from a video sharing server or a link from another third party.

S340단계에서 전달받은 연결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400)은 푸쉬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푸쉬 이벤트 신호는 동영상 공유 서버(200)에 전달한다(S350).When the connection link received in step S340 is clicked, the user terminal 400 generates a push event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ush event signal to the video sharing server 200 (S350).

이때, 푸쉬 이벤트 신호에는 사용자 단말(400)의 IP정보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push event signal includes IP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

그 다음, 제어부(250)는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수신 횟수를 카운팅한다(S360). Next, the controller 250 counts the number of receptions of the push event signal (S360).

부연하자면, 제어부(250)는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횟수를 기 설정한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푸쉬 이벤트 신호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해당하면, 제어부(250)는 해당되는 연결 링크와 영상의 링크를 해제시킨다. To elaborate, the controller 250 presets the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And, if the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400 corresponds to the preset number, the controller 250 releases the link betwee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link and the video.

예를 들어, 영상의 공유 횟수를 4번으로 제한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사용자 단말(410), "B" 의 사용자 단말(420), "C" 의 사용자 단말(430), "D" 의 사용자 단말(440) 및 "E"의 사용자 단말(450)에 연결링크가 전달되었다고 가정한다. For example, limiting the number of sharing of video to 4 times, and as shown in FIG. 430), it is assumed that the connection link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40 of "D" and the user terminal 450 of "E".

그리고, "A"의 사용자 단말(410), "B" 의 사용자 단말(420), "C" 의 사용자 단말(430), "D" 의 사용자 단말(440) 및 "E"의 사용자 단말(450)로부터 순차적으로 푸쉬 이벤트 신호를 수신받았을 경우, 제어부(250)는 "E"의 사용자 단말(450)에 전달된 연결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E"의 사용자 단말(450)에 전달한다. 이때, 알림 정보는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제공된다. Then, the user terminal 410 of "A", the user terminal 420 of "B", the user terminal 430 of "C", the user terminal 440 of "D", and the user terminal 450 of "E" ), the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link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50 of "E" and the video. Then, the control unit 250 transfer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user terminal 450 of "E". At this tim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한편, 동일한 사용자 단말(400)에서 푸쉬 이벤트 신호를 여러 번 송신하였을 경우, 제어부(250)는 푸쉬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IP 정보를 이용하여 첫 번째 수신된 푸쉬 이벤트 신호만을 카운팅하고, 이후에 발생된 푸쉬 이벤트 신호는 무시하여 카운팅하지 않는다. Meanwhile, when the same user terminal 400 transmits the push event signal several times, the controller 250 counts only the first received push event signal using the I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event signal, and the subsequent generated Push event signals are ignored and not counted.

그 다음, 제어부(250)는 기 설정된 시간에 도래하거나 푸쉬 이벤트 시간에 대한 횟수에 해당하게 되면 연결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킨다(S370).Next, the control unit 250 disconnects the connection link from the video when a predetermined time arrives or when the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push event time is reached (S370).

제어부(250)는 공유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간과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횟수를 기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라이브 영상 공유"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250 presets a time for monitoring a shared image and a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400 . Also, upon receiving the “live video sharing” request sig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300, the controller 250 counts time and push event signals.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에 도래하면, 제어부(250)는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And when the preset time arrives, the controller 2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link from the video.

예를 들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의 사용자 단말(420)가 "C" 의 사용자 단말(430)에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의 연결링크를 전달한 시점에서 기 설정된 시간에 도래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250)는 "A"의 사용자 단말(410), "B" 의 사용자 단말(420) 및 "C" 의 사용자 단말(430)에 전달된 연결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A"의 사용자 단말(410), "B" 의 사용자 단말(420) 및 "C" 의 사용자 단말(430)에 전달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8, a preset time is reached when the user terminal 420 of "B" transmits the link of the video to be shared to the user terminal 430 of "C". Assume that it has arrived at Then, the control unit 250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link and video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10 of "A", the user terminal 420 of "B", and the user terminal 430 of "C". generate Then, the control unit 250 transfer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user terminal 410 of "A", the user terminal 420 of "B", and the user terminal 430 of "C". .

즉, "C" 의 사용자 단말(430)은 "B" 의 사용자 단말(420)로부터 연결 링크를 전달받더라도 해당 연결 링크를 통해 영상을 플레이할 수 없게 된다.That is, even if the user terminal 430 of "C" receives a connection link from the user terminal 420 of "B", it cannot play the video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link.

또한, 제어부(260)는 "라이브 영상 공유"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므로, 영상에 대한 공유 가능한 시간이 도래하면, 제어부(250)는 푸쉬 이벤트 신호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ler 260 counts the push event signal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live video sharing” request signal, when the time to share the video arrives, 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the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Even if it does not reach the preset number of times, the link and the video are disconne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은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해 임의의 링크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제3자로 하여금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다양한 모바일 메신저 앱(Applicatio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진저 앱을 통해 링크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링크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DVR/NVR 장비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d provides an arbitrary link for an image to be shared, but allows a third party to monitor the real-time image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selects from various mobile messenger apps (Applications). You can receive a link through any one of the messenger apps, and you can watch the video recorded through the DVR/NVR equipment just by selecting the delivered link, so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CTV 관리 시스템은 공유하는 영상에 대해 모니터링 가능한 시간 설정이 가능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공유된 영상을 자동으로 폐기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에 대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CTV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monitoring time for the shared video, and when the preset time arrives, the shared video can be automatically discarded to maintain the security of the video ha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below.

100: 영상감시 저장장치
200 : 동영상 공유 서버
210 : 영상정보 수집부
220 : 영상 정보 제공부
230 : 링크 생성부
240 : 링크 관리부
250 : 제어부
300 : 관리자 단말
400 : 사용자 단말
100: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200: video sharing server
210: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imag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link creation unit
240: link management unit
250: control unit
300: manager terminal
400: user terminal

Claims (11)

라이브 영상에 대한 공유 기능을 포함하는 CCTV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대상 공간에 설치되는 CCTV와 연결되며, 상기 CCTV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집하는 복수의 영상감시 저장장치,
상기 복수의 영상감시 저장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수집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며, 복수의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연결 링크 및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영상 공유 서버, 그리고
상기 동영상 공유 서버에서 제공하는 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응하는 링크를 복수의 메신저 앱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앱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CCTV 관리 시스템.
In the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haring function for live video,
A plurality of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s that are connected to CCTVs installed in the space to be monitored and collect images captured by the CCTVs;
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s through a network, obtain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images collected in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provides it in the form of a list, creates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s, and generates the A video sharing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ed link and the messenger app that can deliver the link, an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while the app provided by the video sharing server is running, and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 link corresponding to the video to be shared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through an app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messenger apps. A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n administrato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연결 링크를 출력하고, 출력된 연결 링크가 선택될 경우에는 해당되는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푸쉬 이벤트 신호를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CCTV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A CCTV management system that outputs the connection link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when the output connection link is selected, outputs a corresponding image and transmits a push event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공유 서버는,
상기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대한 IP 주소와 상기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수집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정보 리스트를 인증이 완료된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영상 정보 제공부,
상기 영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링크를 생성하는 링크 생성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특정 영상에 대한 연결 링크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 관리부, 그리고
공유되는 영상을 모티터링 할 수 있는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횟수를 기 설정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라이브 영상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부터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횟수를 카운팅하여 기 설정된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 횟수에 도래하면, 해당되는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CCTV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sharing server,
A video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n IP address for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about images collected in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An imag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images in the form of a list and provides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list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for which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 link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nnection link that can be connected using information about the image;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a connection link for a specific video from the manager terminal, a link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the video and a messenger app capable of delivering the connection link; and
The time for monitoring the shared video and the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are set in advance, and the time and the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are counted from the time when the “live video shar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link and the video when the set time and the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arri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 이벤트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신되면, 해당되는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CCTV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When the push event signal is 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 CCTV management system for generating a signal for disconnecting a corresponding connection link and video.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제공하는 CCTV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 CCTV management system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providing the genera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대한 연결 링크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각각 전달하여 해당되는 영상을 공유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공유된 연결 링크를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여 해당되는 영상을 공유시키는 CCTV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r terminal,
The connection link for the image selected by the manager is deliver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spectively, to share the corresponding image,
The user terminal,
A CCTV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a corresponding image by transferring a connection link shared by the manager terminal to another user terminal.
CCTV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감시 대상 공간에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며, 복수의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연결 링크를 이용하여 제3자와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을 관리에 대한 권한을 지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로부터 특정 영상에 대한 연결 링크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를 전달할 수 있는 메신저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신저 앱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앱을 통해 해당되는 영상의 연결 링크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라이브 영상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부터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에 대한 횟수를 카운팅하여 기 설정된 시간 및 푸쉬 이벤트 신호 횟수에 도래하면,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공유 방법.
In the video sharing method using a CCTV management system,
Collecting images taken by CCTV installed in the space to be monitored;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plurality of images, providing them in the form of a list, and generating connection link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s;
Authenticating an administrator with authority for managing the video so that the video can be shared with a third party using the generated connection link;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a connection link for a specific video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onnection link corresponding to the video and a messenger app capable of delivering the connection link;
Delivering a connection link of a corresponding video to a user terminal through an app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messenger apps; and
A control signal that disconnects the connection link from the video when the preset time and the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are reached by counting the time and the number of push event signals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live video sharing" request sig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Image sha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대한 IP 주소와 상기 영상감시 저장장치에 수집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된 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creating the connection link,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IP address of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and the images collected in the video surveillance storage device, and
An image sha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connection link that can be connected using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imag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푸쉬 이벤트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신되면, 해당되는 연결 링크와 영상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claim 7,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When the push event signal is 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generating a signal for disconnecting a corresponding connection link from an im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제공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claim 7,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 video sharing method of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providing the genera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링크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대한 연결 링크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각각 전달하여 해당되는 영상을 공유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공유된 연결 링크를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여 해당되는 영상을 공유시키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delivering the link of the video to the user terminal,
The connection link for the image selected by the manager is deliver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spectively, to share the corresponding image,
The user terminal,
A video sharing method for sharing a corresponding video by transferring a connection link shared by the manager terminal to another user terminal.
KR1020210033935A 2021-03-16 2021-03-16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 KR1024763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935A KR102476347B1 (en) 2021-03-16 2021-03-16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935A KR102476347B1 (en) 2021-03-16 2021-03-16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269A KR20220129269A (en) 2022-09-23
KR102476347B1 true KR102476347B1 (en) 2022-12-13

Family

ID=8344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935A KR102476347B1 (en) 2021-03-16 2021-03-16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34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343A (en) * 2015-06-12 201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Blackbox image sharing method conside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KR101760770B1 (en) * 2015-12-28 2017-07-25 주식회사 텔레포트나인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Among Network Devices
KR20170106090A (en) * 2016-03-1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269A (en)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2601A1 (en) Systems for Securing Control and Data Transfer of Smart Camera
US201500226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video cloud services
US20120092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mail in a network environment
CN105872453A (en) Web camera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as well as server
US110190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haring of content
US79910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bining media inputs for messaging
US9426424B2 (en) Requesting emergency services via remote control
US201200924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aring mechanism in a video environment
CN105812402B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6479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a Streaming By Interworking Heterogeneous Networ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30599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content adaptation, and central server and device
CN103269329A (en) Household video monitoring system based on digital television set-top box and IM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200053419A1 (en) Enabling a Media Orchestration
CN109408015A (en) A kind of multimedia file processing method sends terminal and display terminal
CN104270604A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obtaining real-time video data of IPC
CN106412498B (en) monitoring data acquisition method and cloud terminal
US20160262206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re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3929623A (en)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in video monitoring system
CN111147789A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recording audio and video stream and storage medium
KR102476347B1 (en) CCTV management system including live video sharing function and method of video sharing using the same
CN115665111B (en) Real-tim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aw Enforcement Recorder
JP2007143059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JP7272629B2 (en) NODE MANAGEMENT SYSTEM, NOD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19702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social network service live broadcasting at the same time based on image record apparatus
US20180227336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