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000B1 -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000B1
KR102475000B1 KR1020220023042A KR20220023042A KR102475000B1 KR 102475000 B1 KR102475000 B1 KR 102475000B1 KR 1020220023042 A KR1020220023042 A KR 1020220023042A KR 20220023042 A KR20220023042 A KR 20220023042A KR 102475000 B1 KR102475000 B1 KR 10247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corporate
affiliated stor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성
강정미
이상원
황재현
서동필
이규봉
김건회
Original Assignee
농협은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협은행(주) filed Critical 농협은행(주)
Priority to KR102022002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에 있어서,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증된 후, 기저장된 법인의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RPORATION SIMPLE PAYMENT}
본 발명은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편 결제 서비스로서 계좌결제는 소비자 및 판매자의 계좌번호를 바로 인식하여 계좌송금하는 방식이다. 계좌결제 방식은 카드사와 VAN사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와 판매자 간에 직접 이체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매자는 결제 수수료를 부담하지 않거나 매우 낮은 수수료만 부담하면 된다.
법인 비용 지출 시에도 이러한 계좌결제 기술이 활용될 여지가 있다. 특히, 법인이 현금 결제를 중심으로 비용을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나, 법인결제의 특성 상 결제 전·후로 결제의 지급 품의를 포함하는 결제 근기 서류가 확인되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발명자는 법인이 계좌 결제를 하는 경우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36198호(2021.04.02)의 '포스 단말과 연동하는 간편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법인 서버에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을 위해 등록된 품의서를 금융기관 서버에 자동으로 연계시켜 법인형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에 있어서,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증된 후, 기저장된 법인의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법인 서버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 확인되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추천하는 가맹점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법인의 금전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된 후, 법인 구성원이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수령하기 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설정하거나 설정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수령 확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일반결제로 전환하여 처리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대상, 규모 및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결제 제한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제 제한 조건 정보는, 결제가 허용된 법인 구성원 정보, 결제 가능 금액, 결제 가능 시간, 및 대상 가맹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은 장치의 간편 결제 지원 방법에 있어서, (a)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이 인증되면, 기저장된 법인의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을 확인하거나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에서,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이 인증되면, 법인 서버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 확인되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법인의 금전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된 후, 법인 구성원이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수령하기 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설정하거나 설정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수령 확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일반결제로 전환하여 처리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에서,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대상, 규모 및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결제 제한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제 제한 조건 정보는, 결제가 허용된 법인 구성원 정보, 결제 가능 금액, 결제 가능 시간, 및 대상 가맹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법인 서버에 간편 결제 이용을 위해 등록된 품의서를 금융기관 서버에 자동으로 연계시켜 법인형 간편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지출 품의 연계를 통한 통제 강화를 통해 회계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법인 구성원, 금액, 사용시간, 가맹점 등의 거래 조건을 제한함으로써,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예컨대,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미리 저장하여 자동 결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제 요청시의 결제 대기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추천하여 가맹점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품의서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는 모바일 단말(10), 법인 서버(20), 중계 서버(30), 금융기관 서버(40), 및 가맹점 단말(50)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은 법인형 간편 결제 이용을 위해 법인 구성원이 소지하며, 법인 구성원의 법인형 간편 결제를 지원한다.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10)은 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30) 및 금융기관 서버(40)와 연결된다.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망이다. 통신망은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상기한 통신망을 통해 법인형 간편 결제 이용을 위한 정보나 명령 등을 송수신함으로써 법인 구성원이 법인형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10)은 법인형 간편 결제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며, 법인 구성원의 선택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법인 구성원에게 법인형 간편 결제 이용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10)은 금융기관 서버(40)에 통신망을 통해 지출 계획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금융기관 서버(40)는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을 확인한다.
모바일 단말(10)은 금융기관 서버(40)로부터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를 전달받아 출력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에 따라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를 획득하여 중계 서버(30)에 전달하여 가맹점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코드 정보는 푸시(Push) 방식과 풀(Pull)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푸시 방식은 모바일 단말(10)에서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코드를 생성하면 가맹점 단말이 스캔하여 서버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방식이다. 풀 방식은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코드를 생성하면 모바일 단말이 스캔하여 서버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방식이다.
이미지코드 정보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결제 금액을 입력받아 중계 서버(30)에 전달하여 비용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비용 결제 요청시, 모바일 단말(10)은 결제금액과 비밀번호, 계좌번호, 법인 계좌번호, 및 결제 인증값을 송부할 수 있다. 비용 결제 요청시 전송되는 정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단말(10)은 금융기관 서버(40)로부터 비용 결제 결과를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지코드 정보를 촬영하여 중계 서버(30)에 전달함으로써 중계 서버(30) 또는 금융기관 서버(40)에 가맹점 조회를 요청할 수 있으나,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여 가맹점 조회 요청 또는 비용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10)은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은 법인 구성원으로부터 이미지코드 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으며, 선택된 이미지코드 정보를 중계 서버(30) 또는 금융기관 서버(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모바일 단말(10)은 해당 가맹점에서의 결제 금액을 사전에 저장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금액을 사전에 저장하는 경우, 법인 구성원으로부터 결제 버튼이 입력되면 기 저장된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금액으로 비용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법인 구성원은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를 획득하거나 결제 금액을 입력할 필요없이 결제 버튼을 입력하는 과정만으로도 비용 결제를 요청할 수 있으므로, 법인 구성원이 이미지코드 정보를 획득하거나 결제 금액을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결제 대기 시간도 감소될 수 있다.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와 결제 비용은 1:1로 매칭될 수 있으나, 하나의 이미지코드 정보와 다수의 결제 비용이 1:N으로 매칭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금융기관 서버(40)로부터 가맹점을 추천받아 해당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추천받은 가맹점에 대한 정보에는 가맹점 이름, 가맹점의 위치, 가맹점의 주소, 및 해당 가맹점에서의 과거 사용 내역이 포함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맹점의 위치는 모바일 단말(10)을 중심으로 지도상에 표출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40)는 법인 구성원에게 가맹점을 추천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추천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법인 서버(20)는 법인 구성원으로부터 지출 계획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다.
법인 서버(20)는 통신망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40)에 연결되며 금융기관 서버(40)와 연계하여 지출 계획 정보를 관리한다.
예컨대, 법인 내부에서 지출 계획 정보에 대한 결재가 완료되어 법인 구성원으로부터 지출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법인 서버(20)는 해당 지출 계획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40)에 자동으로 전달한다. 이때, 금융기관 서버(40)는 법인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지출 계획 정보를 등록한다.
이와 같이 법인 서버(20)의 지출 계획 정보가 금융기관 서버(40)에 자동으로 등록됨으로써, 법인 구성원이 지출 계획 정보를 법인 서버(20)와 금융기관 서버(40) 각각에 등록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법인 서버(20)는 금융기관 서버(40)에서 비용 결제가 완료되어 금융기관 서버(40)로부터 비용 결제 결과를 전달받으면 해당 비용 결제 결과를 등록한다.
중계 서버(30)는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10) 및 금융기관 서버(40)에 연결되어 법인 구성원의 법인형 간편 결제 사용을 중계한다.
예컨대, 중계 서버(30)는 가맹점을 사전에 등록한다.
중계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를 전달받고 가맹점 조회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때, 중계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코드 정보를 토대로 해당 가맹점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를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
중계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결제 금액을 전달받고 비용 결제 요청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중계 서버(30)는 전달받은 결제 금액을 금융기관 서버(40)에 전달하고 금융기관 서버(40)에 비용 결제를 요청한다.
중계 서버(30)는 법인 간편결제를 관리하는 기관에 마련된 서버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융기관 서버(40)는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10)과 중계 서버(30) 및 법인 서버(20)와 연결된다.
금융기관 서버(4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의 지출 계획 정보 조회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때, 금융기관 서버(40)는 해당 지출 계획 정보 조회 요청에 따라 지출 계획 정보를 조회하여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를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
이후 금융기관 서버(4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코드 정보를 토대로 해당 가맹점이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를 조회한다.
가맹점이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이며, 금융기관 서버(4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의 결제 요청에 따라 비용 결제를 수행하거나 결제서버가 비용 결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이하 금융기관 서버(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 서버(40)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금융기관 서버(40)는 간편 결제 관리 모듈(41) 및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3)는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10) 및 가맹점 단말(5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43)는 법인 서버(20)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를 획득하여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3)는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의 결제 처리 결과를 모바일 단말(10) 또는 법인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3)는 모바일 단말(10) 또는 법인 서버(20)로부터 비용 결제 요청을 전달받을 수 있다.
간편 결제 관리 모듈(41)은 모바일 단말(10)로부터의 지출 계획 정보 조회 요청에 따라 지출 계획 정보를 조회하여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를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
간편 결제 관리 모듈(41)은 지출 계획 정보 관리부(411), 지출 계획 정보 조회부(412) 및 가맹점 추천부(413)를 포함한다.
지출 계획 정보 관리부(411)는 법인 서버(20)와 연계하여 지출 계획 정보를 등록한다.
법인 서버(20)는 법인 구성원으로부터 지출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지출 계획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40)에 자동으로 전달한다. 이때, 지출 계획 정보 관리부(411)는 법인 서버(20)로부터 지출 계획 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으로 등록한다. 이에 따라, 법인 서버(20)에 등록된 지출 계획 정보가 금융기관 서버(40)에도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게 된다.
지출 계획 정보 조회부(412)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의 지출 계획 정보 조회 요청에 따라 지출 계획 정보를 조회한다. 이 경우, 지출 계획 정보 조회부(412)는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이 상품 결제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를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지출 계획 정보에는 모바일 단말의 정보 및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등록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 또는 사용자가 식별되어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이에 따라 지출 계획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은 해당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출 계획 정보 조회부(412)는 지출 계획 정보 조회 요청이 있는 모든 경우에 일단, 지출 계획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10) 또는 그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가맹점 추천부(413)는 법인 구성원에게 가맹점을 추천한다.
가맹점 추천부(413)는 모바일 단말(10)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추천한다.
이때, 가맹점 추천부(413)는 가맹점 이름, 가맹점의 위치, 가맹점의 주소, 및 해당 가맹점에서의 과거 사용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의 위치는 지도상에 모바일 단말(10)을 중심으로 표출될 수 있다.
가맹점 추천을 위해, 가맹점 추천부(413)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중계 서버(30)로부터 가맹점의 이름이나 가맹점의 위치 또는 가맹점의 주소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가맹점 추천부(413)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의 가맹점 추천 요청에 따라 가맹점을 추천할 수 있으나,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를 전달할 때 자동으로 가맹점을 함께 추천할 수도 있다.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중계 서버(30)로부터의 비용 결제 요청에 따라 법인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지출 계획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품 결제 권한을 확인한다.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 확인한다.
가맹점이 법인형 가맹점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이면,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가맹점에 비용 결제를 수행하거나, 또는 결제서버(미도시)에 결제 정보를 전달하여 결제서버가 비용 결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즉,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비용 결제를 직접 수행하거나 결제서버가 비용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는 중계 서버(30) 뿐만 아니라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또한,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대상, 규모 및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결제 제한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간편 결제 관리 모듈(41)에 의해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 확인한다. 이때,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중계 서버(30)를 통해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를 직접 확인한다. 이외에도,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확인 결과, 해당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이면,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결제서버(미도시)가 비용 결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법인의 금전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된 후, 구성원이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수령하기 전에, 모바일 단말(10) 및 가맹점 단말(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설정하거나 설정하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수령 확인 정보가 획득되면,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일반결제로 전환하여 비용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임시결제나 결제대기는 결제를 위한 식별값(카드값, 계좌번호 등)을 주어진 조건(특정 시간 내 당사자 확인)에서 임시 저장을 하고 있다가, 모바일 단말(10) 및 가맹점 단말(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용이 카드 결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먼저 가승인을 내서 결제 처리한 뒤,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승인을 취소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간편 결제를 제한할 수 있다. 즉,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대상, 규모 및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결제 제한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제 제한 조건 정보에는 결제가 허용된 법인 구성원 정보, 결제 가능 금액, 결제 가능 시간, 및 대상 가맹점이 포함될 수 있으나, 결제 제한 조건 정보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비용 결제가 완료되면,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은 비용 결제 처리 결과를 법인 서버(20) 또는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 이때, 법인 서버(20)는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로부터 전달받은 결제 처리 결과를 등록하고, 모바일 단말(10)은 간편 결제 처리 모듈(42)로부터 전달받은 결제 처리 결과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출 계획 정보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법인 서버(20)는 지출 계획 정보의 결재가 완료되어 법인 구성원으로부터 지출 계획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지출 계획 정보를 등록한다(S100).
이어 법인 서버(20)는 통신망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40)에 전달한다(S102).
금융기관 서버(40)는 법인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지출 계획 정보를 등록한다(S104).
즉, 금융기관 서버(40)가 법인 서버(20)와 연계하여 법인 서버(20)의 지출 계획 정보를 내부에 자동으로 등록함으로써, 법인 구성원이 지출 계획 정보를 법인 서버(20)와 금융기관 서버(40) 각각에 등록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단말(10)은 법인형 간편 결제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법인 구성원의 선택에 따라 실행한다(S200).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10)은 금융기관 서버(40)에 통신망을 통해 지출 계획 정보 조회를 요청한다(S202).
금융기관 서버(4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의 지출 계획 정보 조회 요청에 따라 지출 계획 정보를 조회한다(S204). 이때, 금융기관 서버(40)는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이 상품 결제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어, 금융기관 서버(40)는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 즉 법인 구성원이 상품 결제 권한이 있는지를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S206).
모바일 단말(10)은 금융기관 서버(40)로부터 전달받은 지출 계획 정보 조회 결과를 확인한다(S208).
법인 구성원이 상품 결제 권한이 있는지가 확인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10)은 법인 구성원의 제어명령에 따라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를 획득한다(S210).
이때, 이미지코드 정보는 모바일 단말(10)에 의해 촬영될 수 있으나, 모바일 단말(10) 내에 사전에 저장되어 선택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획득한 이미지코드 정보를 중계 서버(30)에 전달하면서 가맹점 조회를 요청한다(S212).
중계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가맹점 조회 요청에 따라 해당 이미지코드 정보를 통해 해당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를 조회(S214)하여 조회 결과를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S216).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이미지코드 정보를 금융기관 서버(40)에 전달하여 금융기관 서버(40)에 가맹점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금융기관 서버(40)는 가맹점 조회를 수행하여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이며, 모바일 단말(10)은 법인 구성원으로부터 결제 금액을 입력받고(S218), 중계 서버(30)에 결제 금액을 전달하여 비용 결제를 요청한다(S220).
중계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의 결제 요청을 금융기관 서버(40)에 전달한다(S222).
금융기관 서버(40)는 중계 서버(30)로부터 결제 요청에 따라 비용을 결제한다(S224).
여기서, 금융기관 서버(40)는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결제서버가 비용 결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때, 금융기관 서버(40)는 모바일 단말(10) 및 가맹점 단말(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구성원이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수령하기 전)되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설정하거나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금융기관 서버(40)는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수령 확인 정보가 획득되면,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일반결제로 전환하여 비용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게다가, 금융기관 서버(40)는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대상, 규모 및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결제 제한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편, 비용 결제가 완료되면, 금융기관 서버(42)는 비용 결제 처리 결과를 법인 서버(20) 또는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S226,S230).
이때, 법인 서버(20)는 금융기관 서버(40)로부터 전달받은 비용 결제 결과를 등록한다(S228).
또한, 모바일 단말(10)은 금융기관 서버(40)로부터 전달받은 비용 결제 결과를 출력(S232)하여 법인 구성원이 비용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금융기관 서버(40)는 모바일 단말(10)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은 금융기관 서버(40)로부터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함으로써, 법인 구성원이 해당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법인 서버에 간편 결제 이용을 위해 등록된 지출 계획 정보를 금융기관 서버에 자동으로 연계시켜 법인형 간편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지출 품의 연계를 통한 통제 강화를 통해 회계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법인 구성원, 금액, 사용시간, 가맹점 등의 거래 조건을 제한하여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가맹점의 이미지코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자동 결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제 요청시의 결제 대기를 최소화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가맹점을 추천하여 가맹점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모바일 단말 20: 법인 서버
30: 중계 서버 40: 금융기관 서버
41: 간편 결제 관리 모듈 411: 지출 계획 정보 관리부
412: 지출 계획 정보 조회부 413: 가맹점 추천부
42: 간편 결제 처리 모듈 50: 가맹점 단말

Claims (14)

  1.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에 있어서,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증된 후, 기저장된 법인의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법인 서버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 확인되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추천하는 가맹점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인의 금전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된 후, 법인 구성원이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수령하기 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설정하거나 설정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수령 확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일반결제로 전환하여 처리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모듈은
    상기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대상, 규모 및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결제 제한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제한 조건 정보는,
    결제가 허용된 법인 구성원 정보, 결제 가능 금액, 결제 가능 시간, 및 대상 가맹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8. 장치의 간편 결제 지원 방법에 있어서,
    (a)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이 인증되면, 기저장된 법인의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을 확인하거나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법인 구성원의 모바일 단말이 인증되면, 법인 서버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출 계획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이 법인형 간편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인지 확인되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c)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결제 가능 금액 정보, 과거 간편 결제 이용 내역 정보 및 가맹점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법인의 금전 지출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법인 구성원의 상품 결제 권한이 확인된 후, 법인 구성원이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수령하기 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이미지코드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설정하거나 설정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수령 확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임시결제 또는 결제대기를 일반결제로 전환하여 처리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대상, 규모 및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결제 제한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법인 비용이 부적절하게 집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제한 조건 정보는,
    결제가 허용된 법인 구성원 정보, 결제 가능 금액, 결제 가능 시간, 및 대상 가맹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방법.
KR1020220023042A 2022-02-22 2022-02-22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47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042A KR102475000B1 (ko) 2022-02-22 2022-02-22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042A KR102475000B1 (ko) 2022-02-22 2022-02-22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000B1 true KR102475000B1 (ko) 2022-12-06

Family

ID=8440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042A KR102475000B1 (ko) 2022-02-22 2022-02-22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0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320A (ko) * 2004-10-22 2006-04-26 주식회사 국민은행 기업 고객에 대한 맞춤형 사이버 브랜치 시스템
KR101887669B1 (ko) * 2016-11-02 2018-08-13 이창헌 공동분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85763A (ko) *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더리얼마케팅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장치
KR20200041631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페이플 법인 계좌의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1018647A (ja) * 2019-07-22 2021-02-15 株式会社Kyash 決済媒体の有効化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10027176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법인카드 기반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320A (ko) * 2004-10-22 2006-04-26 주식회사 국민은행 기업 고객에 대한 맞춤형 사이버 브랜치 시스템
KR101887669B1 (ko) * 2016-11-02 2018-08-13 이창헌 공동분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85763A (ko) *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더리얼마케팅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장치
KR20200041631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페이플 법인 계좌의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1018647A (ja) * 2019-07-22 2021-02-15 株式会社Kyash 決済媒体の有効化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10027176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법인카드 기반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57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funds using a wireless device
US82002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purchase transactions between mobile phones
US7873540B2 (en) Virtual terminal payer author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90432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 payment using a wireless device
KR100466400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자결제 승인방법 및 시스템
US10671993B2 (en) Location-based mobile access device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265626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payments
US201102827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fees and foreign exchange rates for a value transfer transaction
US201101912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al Transactions
US11030589B2 (en) Hosted disbursement system
US200901718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al Transactions
US201600050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chasing a product using an electronic device
KR20080013314A (ko) 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22139B1 (ko) 리스 차량 승계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9532814A (ja) 消費者の支払を強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200959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urchase transaction processing
JP5779615B2 (ja) 多様な決済手段を用いるars認証ベース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US20210166238A1 (en) Enriching transaction request data for maintaining location privacy while improving fraud prevention systems o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with user controls injected to back-end transaction approval requests in real-time with transactions
US20150317634A1 (en) Secure text initiated payment processing system
US1135464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ing QR code transactions
KR102475000B1 (ko) 법인형 간편 결제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911649B1 (ko) 간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JP2011145727A (ja) 携帯端末を用いた海外サイトの決済方法、決済システム。
US201703723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payment
US202203354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mmerce service using partnership service cart realized by api in shopping m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