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525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525B1
KR102474525B1 KR1020160029720A KR20160029720A KR102474525B1 KR 102474525 B1 KR102474525 B1 KR 102474525B1 KR 1020160029720 A KR1020160029720 A KR 1020160029720A KR 20160029720 A KR20160029720 A KR 20160029720A KR 102474525 B1 KR102474525 B1 KR 10247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laa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072A (ko
Inventor
박수영
윤수하
정의창
신승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525B1/ko
Priority to US15/452,009 priority patent/US10536936B2/en
Publication of KR2017010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제1 무선 통신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비면허(unlicensed) 주파수 채널의 점유 정보를 확인하고, 비면허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단말에게 확인된 비면허 주파수 채널의 점유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 및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와 달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과 채널 상황에 따라 할당할 수 있는 자원 등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스케줄러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자원의 양과 채널의 상황 및 데이터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인 LTE(long-term evolution)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가 무선 전송 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한다.
또한, 최근에는 주파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면허 주파수 대역(licensed band)와 비면허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를 활용하는 LAA(licensed assisted access: LAA)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LTE 통신 시스템은 면허(licensed)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므로 주파수 소유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주파수 자원을 독점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들과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며 사용해야 하므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충돌 없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방법으로 LBT(listen before talk)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선택한 주파수 채널이 현재 미사용 중인지 확인하고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이 때, 선택한 주파수 채널을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동작은 채널 센싱 동작 또는 CCA (clear channel assessment) 동작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LAA 시스템에서 LAA 통신이 가능한 LAA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 및 채널 점유 시간 등을 포함한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단말(예를 들어, 상기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없는 LAA 단말 또는 WLAN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정보를 이용해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LAA 기지국의 서비스의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LAA 단말 주변에 WiFi 통신하는 단말이 있는 경우, 주변 WiFi 단말로 인해 LAA 통신이 방해를 받는 문제(Hidden Node Problem)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비면허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제1 무선 통신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제1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듈;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듈; 상기 제1 모듈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를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비면허 주파수 채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라 LAA 시스템에서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는 LTE 시스템에서 LTE 채널 및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채널 점유 시간을 포함한 제2 제어 정보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WLAN 통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LAA 통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로 구성된다. 단말 (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215,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반송파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3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반송파(315)와 중심 주파수가 f3(310)인 반송파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반송파 중 하나의 반송파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반송파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반송파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LAA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를 집적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파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면허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허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를 활용하여 주파수 집적을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비면허 주파수 채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현재 비면허 대역은 5GHz대역은 여러 국가들에서 약 500MHz의 대역폭으로 비면허 용도로 각각 할당이 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20MHz의 대역폭(400)인 캐리어(410)들이 총 25개로 500MHz의 대역폭을 구성한다. 현재 면허 대역에서 LTE 통신 시스템이 최대 32개까지반송파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볼 때, 상기 비면허 대역까지 포함하여 CA를 수행하는 경우, 보다 더 광대역의 주파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LAA 시스템에서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LTE 통신 시스템은 면허(licensed)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므로 주파수 소유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주파수 자원을 독점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비면허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들과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며 사용해야 하므로 해당 주파수 채널의 점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다른 통신 장치가 해당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CCA 또는 채널 센싱이라 칭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기지국 또는 단말이 비면허 주파수 채널의 점유 여부를 확인하고, 비면허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된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비면허 주파수의 점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CA 구간(511)에서 CCA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 또는 단말은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20 μs) 이상 동안 CCA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단말이 비면허 주파수의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단말은 비면허 주파수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비면허 주파수 채널의 에너지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채널의 에너지 크기가 일정 값 미만인 경우에는 비면허 대역이 점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전송(513)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 또는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을 채널 점유 시간(516)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한 번 CCA을 수행하면 최소 1 ms에서 최대 10 ms까지 비면허 대역을 점유할 수 있고 그 후 채널 점유 시간(516)의 최소 5 % 동안은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유휴 상태(514)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유휴 구간(idle 구간, 517)이라고 한다.
반면, 에너지의 크기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비면허 주파수가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 및 채널 점유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LTE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점유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LTE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는 제어 채널(예를 들어,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만, PDCCH를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는 특정 단말만이 디코딩 가능하며, 해당 시간에 무선 자원이 할당된 단말만이 이와 같은 제어 정보를 이용해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기지국(601), 제1 단말(603), 제2 단말(605)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601)은 LTE 기지국 또는 LAA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603)은 면허 주파수 및 비면허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는 LAA 단말이고, 제2 단말(603)은 비면허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는 WLAN 단말(WLAN 기기, WLAN station이라 칭할 수 있다)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때, WLAN 통신이란 WLAN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 또는 WiFi 라디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WLAN 프로토콜은 IEEE 802.11 기술(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2007; IEEE 802.11n; IEEE 802.11-2012; IEEE 802.11ac)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포함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제1 단말(603)과 제2 단말(605)이 모두 LAA 단말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601)은 S610 단계에서 제1 제어 정보를 제1 단말(603)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601)이 비면허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이하에서는, 기지국이 비면허 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LAA 전송이라 칭할 수 있다), 해당 비면허 주파수는 점유 상태이므로, 상기 패킷을 수신하는 단말이 아닌 단말(본 발명에서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해당 비면허 주파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기지국(601)은 S610 단계에서 LAA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제어 정보에 포함시켜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LAA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점유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채널 점유 정보라 칭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해 비면허 주파수의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1 제어 정보는 특정 단말(본 발명에서는 제1 단말)만이 디코딩 가능하므로 해당 시간에 무선 자원이 할당된 제1 단말만이 제어 정보를 이용해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이 때, 상기 제2 단말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WLA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WLAN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단말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LAA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은 S620 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제2 제어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한 제1 단말은 S630 단계에서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는 WLAN 통신 또는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TS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은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WLAN 단말 또는 LAA 단말은 상기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제2 제어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정보를 이용해 채널 점유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전송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제어 정보를 받은 WLAN 단말은 상기 채널에 상기 기간 동안 점유 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그 이후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 이후의 동작은 WLAN의 통신에 정의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확인된 상기 채널 점유 시간 동안 WLAN 단말은 채널 센싱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b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S640 단계에서 제1 제어 정보를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에는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에 할당한 자원 할당 정보인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 정보에는 기지국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할당한 자원 할당 정보인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원 할당 정보와 스케줄링 정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제1 제어 정보를 확인한 제1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될 자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다른 단말에게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점유 정보를 제1 제어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은 S650 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인 채널 점유 시간을 포함한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한 제1 단말은 S660 단계에서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해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는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TS 패킷 또는 CTS 패킷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은 특정 필드에 채널 점유 정보가 포함된 RTS 패킷 또는 CTS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후, 제1 단말은 S670 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은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단말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은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한 제2 단말은 상기 채널 점유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센싱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은 S710 단계에서 기지국의 셀(이하, LAA 셀이라고 칭할 수 있다)에 접속(camping on)할 수 있다.
LAA 시스템은 주파수 효율 및 하향링크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면허 주파수와 비면허 주파수를 활용하여 주파수 집성 기법을 수행하는 것으로, LAA 셀은 부차반송파(secondary cell: SCell)로서 활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LAA 셀을 SCell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이 LAA 셀에 접속(camping on)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하기와 같다.
주반송파(primary cell: PCell)에 접속한 단말은 단말 정보(UE capability)를 PCell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정보에는 단말이 주파수 집성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예를 들어, CA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집성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에는 LAA 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조합(예를 들어, LAA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정보를 수신한 PCell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조합에서 PCell에서 지원할 수 있는 SCell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SCell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선택한 SCell의 정보에는 LAA 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조합(예를 들어, LAA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SCell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SCell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PCell에 대한 접속(camp on) 상태를 유지한 채, SCell에 추가로 접속(camping on)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Cell의 정보에는 SCell의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SCell의 정보는 일 예로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6023861629-pat00001
LAA 셀을 SCell로 설정한 단말은 상기 SCell의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WLAN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SCell의 주파수 정보를 WLAN 시스템의 주파수 정보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변환된 주파수 정보에서 WLAN 모듈이 동작할 수 있도록 WLAN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포함된 LAA모듈과 WLAN 모듈이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는 LAA 셀에 접속하기 위해 LAA 셀의 주파수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은 별도로 WLAN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한편, 단말의 LAA 모듈과 WLAN 모듈이 별도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LAA 셀(SCell)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WLAN 모듈이 사용하는 안테나의 주파수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LAA 셀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WLAN 모듈의 Front-end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WLAN 모듈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말은 LAA 셀의 주파수 정보와 상관 없이 WLAN 모듈의 안테나와 Front-end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WLAN 모듈을 통해 상기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채널의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된 채널의 전송속도는 WLAN 모듈을 통해 CTS 패킷 또는 RTS 패킷를 전송하는 시점을 계산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S72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PCell 또는 SCell을 통해 단말에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기지국이 비면허 주파수의 채널 점유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하기의 세 가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첫 번째로는 PCell에 대한 제어 정보에 SCell에 대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하여 PCel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비면허 주파수의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하는 Scell에 대한 제어 정보를 PCell을 통해 전송(LTE에서의 cross carrier scheduling 방법)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기지국은 SCell에 대한 제어 정보에 비면허 주파수의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하여 SCel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스케줄링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가 DCI인 경우, 기지국은 미리 정의된 DCI 포맷에 포함된 특정 필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상기 DCI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미리 정의된 DCI 포맷에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지시할 수 있는 별도의 필드를 신규 정의하여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상기 DCI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말은 제1 제어 정보를 제어 채널, 데이터 채널 또는 별도의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도 8a를 통해 설명한다.
도 8a는 LTE 시스템에서 LTE 채널 및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811)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서브프레임(812)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두 개의 슬롯(슬롯0, 슬롯 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채널은 시간 축 상에서 한 서브프레임의 선두에 위치한다. 도 8a를 참고하면, 참조번호 813은 제어 채널의 일종인 PDCCH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 채널 신호는 서브프레임 선두에 위치한 L개의 OFDM 심볼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PDCCH 영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ePDCCH에서는 데이터 채널 영역을 통해 제어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지국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은 데이터 채널 영역에 위치한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채널 점유 시간을 전송하기 위해 정의된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이 PDCCH 영역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S730 단계에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에는 상기 지정된 제1 단말에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원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 정보에는 해당 지역에서 비면허 주파수를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및/또는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 정보에는 해당 시점에서 모든 단말에 대한 비면허 주파수의 점유 정보를 통합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은 S730 단계에서 제1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 해당 시점에서 모든 단말에 대한 비면허 주파수의 점유 정보를 통합한 정보 또는 해당 지역에서 비면허 주파수를 이용해 전송이 수행되는 시간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해 제1 제어 정보가 수신된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원 할당 정보뿐 아니라, 제1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8b에서 설명한다.
도 8b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를 참고하면,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821)은 10개의 서브프레임(822, 823, 824)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두 개의 슬롯(8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슬롯은 6개 또는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PDCCH를 통해서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어 정보에는 각 단말에 할당한 해당 서브프레임의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정보에는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가 서브프레임 1(822)에 포함된 PDCCH를 통해 수신된 경우, 제1 제어 정보에는 서브프레임 1(822)에 포함된 자원 중 단말에 할당된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정보에는 서브프레임 1(822)에서의 자원 할당 정보뿐 아니라 서브프레임 2(823) 및/또는 서브프레임 3(824)에서의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 정보에는 제1 제어 정보가 전송된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가 서브프레임 1(822)에 포함된 PDCCH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제어 정보에는 서브프레임 1(822)이 아닌 서브프레임 2(823)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PDCCH를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지정된 단말만이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지국이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한 시간에 자신에게 무선 자원이 할당된 제1 단말만이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제어 정보를 송신한 시간에 무선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단말은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어 정보는 LAA 모듈 또는 LTE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LAA 단말이 수신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이 때, LAA 모듈 또는 LTE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LAA 단말이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인 LAA-RNTI가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LAA-RNTI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 정보를 PDCCH의 공통 탐색 공간 (common search space)에 위치시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LAA 통신이 가능한 단말은 상기 LAA-RNTI를 이용해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고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LAA-RNTI를 이용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WLAN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한 단말은 S740 단계에서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CTS 패킷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제어 정보 CTS 패킷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TS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한 WLAN 프로토콜로 전송되는 다양한 형태의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단말은 특정 필드에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시킨 CTS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구조는 도 9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채널 점유 시간을 포함한 제2 제어 정보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2 제어 정보에는 duration field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된 채널 점유 시간을 상기 duration field(960)에 포함시키고, duration field(960)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은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킷을 수신한 제2 단말은 제2 제어 정보에 포함된 duration field(960)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점유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한 제1 단말은 S750 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2 제어 정보의 크기에 따른 전송 소요 시간 및 지연 시간(delay)를 고려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와 같다.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에는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주파수 정보,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 정보,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 정보 또는 데이터 전송 유지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어 정보에는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각 정보(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 수신 후 200us), 데이터 전송 유지 시간 정보(예를 들어, 100us)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 정보에는 데이터 전송의 시작 시간(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 수신 후 200us)과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예를 들어, 제어 정보 수신 후 300us)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과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유지 시간, 즉 채널 점유 시간(100us)을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점유 시간이 100us인 경우, 제1 단말은 채널 점유 시간 100us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은 상기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본 실시 예에서는 CTS 패킷)가 전송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시간(이하, CTS 전송 예상 시간이라 칭할 수 있다) 및 지연 시간을 감산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은 200us-(CTS 전송 예상 시간 + SIFS)을 이용해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CTS 전송 예상 시간은 채널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WLAN 시스템에서 CTS는 14byte로 전송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채널 상태에 따라 CTS 전송 속도가 변경되므로 CTS 전송 예상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TS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24Mbps 기준 4.67us에서 1Mbps 기준 112us이 소요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상태는 단말의 WLAN 모듈에서 측정되며, 단말은 측정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CTS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WLAN 모듈에서 측정된 CTS 전송 소요 예상 시간을 관리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은 CTS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S를 12Mbps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14 byte의 CTS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CTS 전송 예상 시간은 9.34us가 될 수 있다.
또한, 지연 시간(delay(≒SIFS))는 WLAN 시스템의 SIFS와 대응하여 계산할 수 있다. WLAN 시스템에서는 802.11 표준의 버전에 따라 SIFS 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해당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6023861629-pat00002
따라서, CTS를 12Mbps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SIFS가 16us인 경우,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 수신 후 200-(9.34+16)us 뒤에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단말의 관리 모듈에서는 LAA 시스템에 따라 지연 시간을 조절 할 수 있다. 만약,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후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이 (CTS 전송시간 + SIFS)보다 작은 경우, 지연 시간(delay) 값을 조절하여 SIFS보다 작게 설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이 CTS 전송 예상 시간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CTS 패킷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제1 단말은 CTS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CTS 패킷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제2 제어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시간 동안 채널 센싱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CTS 패킷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제1 단말은 RTS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에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시켜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다른 형태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를 broadcasting으로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정보로 CTS 패킷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고하면, LAA 셀은 단말에게 제1 제어 정보를 전송(1001)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정보에는 채널 점유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정보에는 제1 제어 정보 수신 후,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1002), 데이터의 전송 유지 시간(1003), 데이터의 전송 완료 시간(1003)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1002)에서 CTS 패킷을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지연 시간(delay)을 감산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시작 시점(1002)이 200us이며,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속도가 12Mbps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1002)은 제1 제어 정보 수신 후 데이터를 전송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대기 시간(1007)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CTS 패킷을 12Mbps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1005)은 9.34us이며, 지연 시간은(1006)는 표 2에 따라 16us인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은 200-(9.34+16)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단말은 제1 제어 정보 수신 후 174.66us 지난 시점에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제어 정보에 제1 제어 정보가 수신된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된 경우의 제2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LAA 셀은 단말에게 제1 제어 정보를 전송(1101)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정보에는 채널 점유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정보에는 제1 제어 정보가 수신된 서브프레임 이후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1103), 데이터의 전송 유지 시간(1104), 데이터의 전송 완료 시간(1105)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 정보에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이후 서브프레임까지의 스케줄링 지연 시간(scheduling delay, 1102)도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1102)에서 CTS 패킷을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지연 시간(delay)을 감산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시작 시점(1103)이 200us이며,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속도가 12Mbps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1103)은 스케줄링 지연 시간(1102) 이후부터 데이터를 전송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CTS 패킷을 12Mbps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1106)은 9.34us이며, 지연 시간은(1107)는 표 2에 따라 16us인 경우를 가정하면,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은 스케줄링 지연 시간에 200-(9.34+16)us를 더한 시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제1 제어 정보 수신 후 스케줄링 지연 시간에 174.66us 더한 시점에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서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여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단말은 S1210 단계에서 LAA 셀에 접속(camping on)할 수 있다.
LAA 시스템은 주파수 효율 및 하향링크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면허 주파수와 비면허 주파수를 활용하여 주파수 집성 기법을 수행하는 것으로 LAA 셀은 부차반송파(secondary cell: SCell)로서 활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LAA 셀을 SCell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이 LAA 셀에 접속(camping on)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하기와 같다.
주반송파(primary cell: PCell)에 접속한 단말은 단말 정보(UE capability)를 PCell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정보에는 단말이 주파수 집성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CA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집성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에는 LAA 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조합(LAA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정보를 수신한 PCell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조합에서 PCell에서 지원할 수 있는 SCell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SCell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SCell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SCell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PCell에 대한 접속(camp on) 상태를 유지한 채, SCell에 추가로 접속(camping on)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Cell의 정보에는 SCell의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SCell의 정보는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LAA 셀을 SCell로 설정한 단말은 상기 SCell의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WLAN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SCell의 주파수 정보를 WLAN 시스템의 주파수 정보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변환된 주파수 정보에서 WLAN 모듈이 동작할 수 있도록 WLAN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포함된 LAA모듈과 WLAN 모듈이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는 LAA 셀에 접속하기 위해 LAA 셀의 주파수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은 별도로 WLAN 모듈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한편, 단말의 LAA 모듈과 WLAN 모듈이 별도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LAA 셀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WLAN 모듈이 사용하는 안테나의 주파수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LAA 셀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WLAN 모듈의 Front-end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WLAN 모듈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말은 LAA 셀의 주파수 정보와 상관 없이 WLAN 모듈의 안테나와 Front-end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S1220 단계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은 S1230 단계에서 상기 요청에 따라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제1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가 DCI인 경우, 기지국은 미리 정의된 DCI 포맷에 포함된 특정 필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상기 DCI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미리 정의된 DCI 포맷에 상기 채널 점유 시간을 지시할 수 있는 별도의 필드를 신규 정의하여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상기 DCI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말은 제1 제어 정보를 제어 채널, 데이터 채널 또는 별도의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1 제어 정보를 PDCCH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S1240 단계에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에는 상기 지정된 제1 단말이 기지국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 정보에는 해당 지역에서 비면허 주파수를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및/또는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 정보에는 해당 시점에서 모든 단말에 대한 비면허 주파수의 점유 정보를 통합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 확인 결과, 제1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해당 시점에서 모든 단말에 대한 비면허 주파수의 점유 정보를 통합한 정보 또는 해당 지역에서 비면허 주파수를 이용해 전송이 수행되는 시간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서 4ms(4개의 서브프레임)가 지난 뒤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가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1 단말은 LBT를 통해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은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LBT를 통해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을 확인한 경우 기지국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제 2 제어 정보를 제 2 또는 제 3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PDCCH를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지정된 단말만이 상기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지국이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한 시간에 자신에게 무선 자원이 할당된 제1 단말만이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제어 정보를 송신한 시간에 무선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단말은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어 정보는 LAA 모듈 또는 LTE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LAA 단말이 수신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이 때, LAA 모듈 또는 LTE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LAA 단말이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인 LAA-RNTI가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LAA-RNTI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기 LAA-RNTI를 이용해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고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LAA-RNTI를 이용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WLAN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한 제1 단말은 S1250 단계에서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CTS 패킷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제어 정보 CTS 패킷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TS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한 WLAN 프로토콜로 전송되는 다양한 형태의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한 제1 단말은 S1260 단계에서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와 같다.
또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주파수 정보,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 정보,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 정보 또는 데이터 전송 유지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어 정보에는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 정보,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각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의 시작 후 200us),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예를 들어,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의 시작 후 300us), 데이터 전송 유지 시간 정보(예를 들어, 100us)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은 제1 제어 정보가 수신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수신된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정해진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정보에는 데이터 전송의 시작 시간과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이 포함된 경우,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과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유지 시간, 즉 채널 점유 시간(100us)을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점유 시간이 100us인 경우, 제1 단말은 채널 점유 시간 100us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은 상기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본 실시 예에서는 CTS 패킷)가 전송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시간(이하, CTS 전송 예상 시간이라 칭할 수 있다) 및 지연 시간을 감산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이 4ms 이후의 서브프레임인 경우, 제1 단말은 4ms+200us-(CTS 전송 예상 시간 + SIFS)을 이용해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CTS 전송 예상 시간은 채널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CTS의 크기는 14byte이며, 채널 상태에 따라 CTS 전송 속도가 변경되므로 CTS 전송 예상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TS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24Mbps 기준 4.67us에서 1Mbps 기준 112us이 소요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상태는 단말의 WLAN 모듈에서 측정되며, 단말은 측정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CTS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은 CTS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S를 12Mbps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14 byte의 CTS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CTS 전송 예상 시간은 9.34us가 될 수 있다.
또한, 지연 시간(delay(≒SIFS))는 WLAN 시스템의 SIFS와 대응하여 계산할 수 있다. WLAN 시스템에서는 802.11 표준의 버전에 따라 SIFS 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해당 정보는 표 2와 같다.
따라서, CTS를 12Mbps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802.11ac 기준으로 SIFS가 16us인 경우, 제1 단말은 제1 제어 정보 수신 뒤 4ms+200us-(9.34+16)us 후에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단말의 관리 모듈에서는 LAA 시스템에 따라 지연 시간을 조절 할 수 있다. 만약,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후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이 (CTS 전송시간 + SIFS)보다 작은 경우, 지연 시간(delay) 값을 조절하여 SIFS보다 작게 설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이 CTS 전송 예상 시간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CTS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제1 단말은 CTS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CT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제2 제어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시간 동안 채널 센싱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CTS 패킷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제1 단말은 RTS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에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시켜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다른 형태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은 채널 점유 정보를 broadcasting으로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LAA 셀은 단말에게 제1 제어 정보를 전송(1301)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정보에는 채널 점유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정보에는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1303), 데이터의 전송 유지 시간(1303), 데이터의 전송 완료 시간(1303)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1303), 데이터의 전송 유지 시간(1303), 데이터의 전송 완료 시간(1303) 등의 정보는 제1 제어 정보가 수신된 서브프레임에서의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제어 정보가 수신된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정해진 서브프레임 뒤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제1 제어 정보가 수신된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정해진 서브프레임 뒤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정보인 경우, 제1 제어 정보에는 상향링크 지연 시간(1302)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1303)에서 CTS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지연 시간(delay)을 감산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시작 시점(1303)이 200us이며,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속도가 12Mbps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1303)은 상향링크 지연 시간(UL delay, 1302) 이후부터 데이터를 전송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CTS 패킷을 12Mbps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1306)은 9.34us이며, 지연 시간은(1307)는 표 2에 따라 16us인 경우를 가정하면,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은 상향링크 지연 시간에 200-(9.34+16)us를 더한 시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제1 제어 정보 수신 후 상향링크 지연 시간에 174.66us를 더한 시점에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단말은 관리 모듈(1410), WLAN 통신 모듈(1420), LAA 통신 모듈(1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관리 모듈(1410), WLAN 통신 모듈(1420), LAA 통신 모듈(1430)이 하나의 칩셋(chipset) 내부에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WLAN 통신 모듈(1120)과 LAA 통신 모듈(1130)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PCIE (PCI express)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WLAN 통신 모듈(1420)은 WLAN AP 혹은 WLAN Station과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WLAN 통신 모듈(1420)은 RTS 패킷, CTS 패킷 등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WLAN 통신 모듈은(1420)은 채널 상태를 확인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관리 모듈(14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WLAN 통신 모듈(1420)은 관리 모듈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예를 들어, CTS 패킷)를 관리 모듈로부터 수신하여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LAA 통신 모듈(1430)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LAA 통신 모듈(1430)은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LAA 통신 모듈(1430)은 새롭게 정의된 파라미터인 LAA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LAA 무선 식별자는 모든 LAA 단말에 대해 정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이 LAA 무선 식별자를 이용해 제1 제어 정보를 스크램블링하는 경우,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모든 LAA 단말은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LAA 통신 모듈(1430)은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해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관리 모듈(14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LAA 통신 모듈(1430)은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확인된 다른 정보를 관리 모듈(14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LAA 통신 모듈(1430)은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관리 모듈(1410)에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모듈(1410)이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 모듈(1410)은 WLAN 통신 모듈(1420)과 LAA 통신 모듈(1430)에서 획득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WLAN 통신 모듈(1420)과 LAA 통신 모듈(1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410)은 LAA 통신 모듈(1430)로부터 획득된 채널 점유 정보를 이용하여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할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모듈(1410)은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CTS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410)은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WLAN 통신 모듈(1420)을 통해 다른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 모듈(1410)은 LAA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모듈(1410)은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지연 시간을 감산한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410)은 WLAN 통신 모듈(1420)과 LAA 통신 모듈(1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모듈(1410)은 LAA 통신 모듈(1430)로부터 채널 점유 정보를 수신하면, 채널 점유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시간에 기반하여 WLAN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410)은 기지국에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LAA 통신 모듈(1430)을 통해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410)은 LAA 통신 모듈(1430)을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에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LBT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서브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단말은 관리 모듈(1510), WLAN 통신 모듈(1520), LAA 통신 모듈(1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관리 모듈(1510), WLAN 통신 모듈(1520), LAA 통신 모듈(1530)이 각각 서로 다른 칩셋(chipset) 내부에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WLAN 통신 모듈(1520)과 LAA 통신 모듈(1530)은 UART, SPI, PCIE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WLAN 통신 모듈(1520)은 WLAN AP 혹은 WLAN Station과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WLAN 통신 모듈(1520)은 RTS 패킷, CTS 패킷 등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WLAN 통신 모듈(1520)은 관리 모듈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예를 들어, CTS 패킷)를 관리 모듈로부터 수신하여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WLAN 통신 모듈(1520)과 관리 모듈(1510)은 서로 다른 칩셋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WLAN 통신 모듈과 관리 모듈 사이에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 정의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 정보 등이 전달될 수 있다.
LAA 통신 모듈(1530)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LAA 통신 모듈(1530)은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LAA 통신 모듈(1430)은 새롭게 정의된 파라미터인 LAA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LAA 무선 식별자는 모든 LAA 단말에 대해 정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이 LAA 무선 식별자를 이용해 제1 제어 정보를 스크램블링하는 경우,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모든 LAA 단말은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LAA 통신 모듈(1530)은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해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관리 모듈(1510)에 전송할 수 있다. LAA 통신 모듈(1530)과 관리 모듈(1510)은 서로 다른 칩셋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LAA 통신 모듈과 관리 모듈 사이에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 정의될 수 있다.
또는, LAA 통신 모듈(1530)은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관리 모듈(1510)에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모듈(1510)이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 모듈(1510)은 WLAN 통신 모듈(1520)과 LAA 통신 모듈(1530)에서 획득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WLAN 통신 모듈(1520)과 LAA 통신 모듈(15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모듈(1510)은 WLAN 통신 모듈과 LAA 통신 모듈 사이에서 각각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WLAN 통신 모듈(1520)과 LAA 통신 모듈(1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510)은 LAA 통신 모듈(1530)로부터 획득된 채널 점유 정보를 이용하여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할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모듈(1510)은 채널 점유 포함한 CTS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510)은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WLAN 통신 모듈(1520)을 통해 다른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 모듈(1510)은 LAA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모듈(1510)은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지연 시간을 감산한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510)은 WLAN 통신 모듈(1520)과 LAA 통신 모듈(15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모듈(1510)은 LAA 통신 모듈(1530)로부터 채널 점유 정보를 수신하면, 채널 점유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시간에 기반하여 WLAN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관리 모듈(1510)은 WLAN 통신 모듈을 통해 LAA 통신 모듈을 통해 받은 채널 점유 정보를 주변에 WLAN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제어 정보를 받은 WLAN 단말은 상기 채널에 상기 기간 동안 점유 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그 이후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 이후의 동작은 WLAN의 통신에 정의되어 있다.또한, 관리 모듈(1510)은 기지국에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LAA 통신 모듈(1530)을 통해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510)은 LAA 통신 모듈(1430)을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에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LBT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서브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단말은 WLAN 통신 모듈(1620), LAA 통신 모듈(16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은 WLAN 통신 모듈(1620), LAA 통신 모듈(1640)은 서로 다른 칩셋(chipset)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각 칩셋이 각각 관리 모듈을 포함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WLAN 통신 모듈(1620)은 WLAN AP 혹은 WLAN Station과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WLAN 통신 모듈(1620)은 RTS 패킷, CTS 패킷 등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WLAN 통신 모듈은(1320)은 동일한 칩셋에 포함된 관리 모듈(1610)로부터 생성된 제2 제어 정보(예를 들어, CTS 패킷)를 수신하여 이를 다른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LAA 통신 모듈(1640)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LAA 통신 모듈(1640)은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채널 점유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LAA 통신 모듈(1640)은 새롭게 정의된 파라미터인 LAA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LAA 무선 식별자는 모든 LAA 단말에 대해 정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이 LAA 무선 식별자를 이용해 제1 제어 정보를 스크램블링하는 경우,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모든 LAA 단말은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LAA 통신 모듈(1640)은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고 채널 점유 정보를 동일한 칩셋에 포함된 관리 모듈(16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LAA 통신 모듈(1640)은 수신된 제1 제어 정보를 동일한 칩셋에 포함된 관리 모듈(16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모듈(1630)이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 모듈(1610) 및 관리 모듈(1630)은 WLAN 통신 모듈(1620)과 LAA 통신 모듈(1640)에서 획득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WLAN 통신 모듈(1620)과 LAA 통신 모듈(16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관리 모듈(1610) 또는 관리 모듈(1630)은 획득된 채널 점유 정보를 이용하여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할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모듈(1630)은 LAA 통신 모듈(1640)로부터 수신되거나 직접 확인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 모듈(16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관리 모듈(1610)은 관리 모듈(1630)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모듈(1610) 및 관리 모듈(1630)은 채널 점유 정보를 특정 필드에 포함한 CTS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610)은 직접 생성하거나 관리 모듈(1630)으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정보를 WLAN 통신 모듈(1620)을 통해 다른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모듈(1610)은 LAA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모듈(1410)은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지연 시간을 감산한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은 관리 모듈(1630)에서 결정되어 관리 모듈(16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WLAN(1620) 통신 모듈이 직접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계산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관리 모듈(1610)은 WLAN 통신 모듈(1620) 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모듈(1610)은 LAA 통신 모듈(1640)로부터 채널 점유 정보를 수신하면, 채널 점유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점유 시간에 기반하여 WLAN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관리 모듈(1610)은 WLAN 통신 모듈의 전원을 OFF 시키거나, 전력 절약 모드를 ON 시키거나, 채널 센싱 기능을 OFF 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630)은 기지국에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LAA 통신 모듈(1640)을 통해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630)은 LAA 통신 모듈(1640)을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에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LBT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서브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WLAN 통신 모듈이 포함된 칩셋과 LAA 통신 모듈이 포함된 칩셋은 관리 모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WLAN 통신 모듈의 제어부 및 LAA 통신 모듈의 제어부가 관리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단말은 통신부(1710), 제어부(1720), 저장부(1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이 통신부(171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은 제어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 모듈이 WLAN 통신 모듈, 제2 통신 모듈이 LAA 통신 모듈 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WLAN 통신 모듈과 LAA 통신 모듈은 도 14 내지 16에서 설명한 형태로 제어부 또는 통신부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7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710)는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10)는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무선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10)는 제어부(1720)에서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20)는 제1 통신 모듈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20)는 수신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비면허 주파수의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수신한 또는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식별자를 이용해 제1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20)는 모든 단말에게 공통으로 정의된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20)는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WLA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20)는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20)는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20)는 기지국에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20)은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LBT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서브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저장부(1730)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무선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30)는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 및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WLAN 통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WLAN 모듈은 통신부(1810), 제어부(1820), 저장부(183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8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810)는 WLAN AP 혹은 WLAN Station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810)는 관리 모듈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20)는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제2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데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20)는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다른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20)는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830)는 관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LAA 통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LAA 통신 모듈은 통신부(1910), 제어부(1920), 저장부(193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9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910)는 기지국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910)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20)는 수신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비면허 주파수의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920)는 제어 채널, 데이터 채널 또는 별도의 채널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20)는 수신된 제어 정보를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20)는 모든 단말에게 정의된 LAA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고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20)는 채널 점유 시간이 포함된 채널 점유 정보를 관리 모듈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930)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무선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930)는 제어 정보로부터 획득한 채널 점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 모듈은 통신부(2010), 제어부(2020), 저장부(203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0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010)는 LAA 통신 모듈로부터 채널 점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10)는 WLAN 통신 모듈에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20)는 LAA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채널 점유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점유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0)는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20)는 생성된 제2 제어 정보를 WLAN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2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0)는 상기 채널 점유 정보에 따라 WLAN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030)는 LAA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채널 점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은 통신부(2110), 제어부(2120), 저장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10)는 생성된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20)는 LAA를 사용할 수 있는 단말에 할당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고, 모든 단말에 대해 통합된 채널 점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20)는 채널 점유 시간 및 무선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20)는 채널 점유 시간을 포함한 하향링크 전송 정보에 CRC를 결합하고, 상기 CRC를 무선 식별자를 이용해 스크램블링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0)는 생성된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120)는 모든 단말에 대해 정의된 LAA 무선 식별자를 이용해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120)는 채널 점유 시간을 포함한 하향링크 전송 정보에 CRC를 결합하고, 상기 CRC를 LAA-무선 식별자를 이용해 스크램블링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0)는 생성된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AA-무선 식별자를 이용하는 경우 모든 LAA 단말이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20)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한 LAA-무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030)는 LAA-무선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30)는 각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를 통해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CTS (clear to send) 패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은 LTE 통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통신은 WLAN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제1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듈;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듈;
    상기 제1 모듈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채널 점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를 통해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채널 점유 정보를 포함한 CTS (clear to send) 패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전송 시작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 시작 시간에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WLAN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삭제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은 LTE 통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통신은 WLAN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60029720A 2016-03-11 2016-03-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47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720A KR102474525B1 (ko) 2016-03-11 2016-03-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5/452,009 US10536936B2 (en) 2016-03-11 2017-03-07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720A KR102474525B1 (ko) 2016-03-11 2016-03-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72A KR20170106072A (ko) 2017-09-20
KR102474525B1 true KR102474525B1 (ko) 2022-12-06

Family

ID=5978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720A KR102474525B1 (ko) 2016-03-11 2016-03-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36936B2 (ko)
KR (1) KR102474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1360B2 (en) * 2016-01-12 2021-03-16 Apple Inc. Dynamic HARQ configuration and bitmap based ACK/NACK
CN111278152B (zh) * 2019-01-04 2022-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道占用方法、帧周期指示方法、帧周期确定方法及设备
CN111436092B (zh) * 2019-01-11 2023-05-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在非授权频段选择驻留小区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1395282B2 (en) 2019-02-15 2022-07-19 Apple Inc. Cellular burst detection in unlicensed spectr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8924A1 (en) 2011-09-23 2013-03-28 Nokia Corporation Frequency Band Selection
US20160073344A1 (en) * 2014-09-09 2016-03-10 Blackberry Limited Medium Access Control in LTE-U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89B1 (ko) * 2006-06-30 2013-05-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을 중계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140081118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들의 측정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50223075A1 (en) 2014-01-31 2015-08-06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hannel reservation
KR102370958B1 (ko) * 2014-01-15 2022-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면허대역 공존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운용 방법 및 장치
US9774436B2 (en) 2014-01-30 2017-09-26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ve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cellular protocol
US9549080B2 (en) 2014-02-05 2017-01-17 Apple Inc. Wi-Fi signaling by cellular devices for coexistenc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10129857B2 (en) * 2014-11-06 2018-11-13 Qualcomm Incorporated Band occupancy techniques for transmissions in unlicensed spectrum
US9929844B2 (en) * 2014-11-18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tting preambles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20170353962A1 (en) 2014-12-22 2017-1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wifi and lte
US9986586B2 (en) * 2015-01-29 2018-05-29 Intel IP Corporation Reservation of unlicensed spectrum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3079436B1 (en) * 2015-04-10 2018-09-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for licensed-assisted access
US10034202B2 (en) * 2015-05-15 2018-07-24 Mediatek Inc. Finer control of WLAN association for network-controlled LTE-WLAN internetwor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8924A1 (en) 2011-09-23 2013-03-28 Nokia Corporation Frequency Band Selection
US20160073344A1 (en) * 2014-09-09 2016-03-10 Blackberry Limited Medium Access Control in LTE-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65170A1 (en) 2017-09-14
US10536936B2 (en) 2020-01-14
KR20170106072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0504B2 (ja) 低レイテンシワイヤレス通信のためのランダムアクセス
CN109644498B (zh) 针对频谱共享的新无线电先听后讲设计
KR10247451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CN111108800B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CN113711681B (zh) 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时机聚合
US20150365207A1 (en) Pucch resource management mechanism for coordinated multi-point operation
WO2015190315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47452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30041484A1 (en) Receiver Assisted Directional Channel Sensing for NR-U
US20230058492A1 (en) Beam Selection in Unlicensed Operation
WO201519051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5109573A1 (zh) 设备通信方法及装置
US11528731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253694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31926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0039672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20210127411A1 (en) Resource scheduling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3886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autonomous downlink transmission
JP7478164B2 (ja) アップリンク伝送方法、アップリンク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15023914A (zh) 信息处理方法及设备
CN114449675A (zh) 信息传输方法及相关产品
CA3109422A1 (en) Network-assisted clear channel assessment bandwidth adaptation mechanism
JP6749465B2 (ja) データ伝送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EP3846567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3178675A1 (zh) 通信方法及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