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95B1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95B1
KR102474495B1 KR1020200115564A KR20200115564A KR102474495B1 KR 102474495 B1 KR102474495 B1 KR 102474495B1 KR 1020200115564 A KR1020200115564 A KR 1020200115564A KR 20200115564 A KR20200115564 A KR 20200115564A KR 102474495 B1 KR102474495 B1 KR 102474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ood waste
cover
push button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3313A (en
Inventor
신홍기
박성태
한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Priority to KR102020011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95B1/en
Publication of KR2022003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2Shape or inner surface of shredder-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건조시켜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 덮개, 건조통, 분쇄날, 가열 수단, 구동 모터와 로킹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은 위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을 갖는다. 버튼 구멍이 케이싱의 앞면에 형성되어 있다. 덮개는 건조실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쪽 끝이 힌지에 의해 케이싱의 윗면에 연결되어 있다. 건조통은 건조실에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한다. 분쇄날은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를 위하여 건조통의 바닥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가열 수단은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할 수 있도록 건조통에 열에너지를 가한다. 구동 모터는 분쇄날의 회전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건조실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다. 커플링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분쇄날에 전달할 수 있도록 분쇄날과 구동 모터 사이를 연결한다. 로킹 장치는 로킹/언로킹 휠, 푸시 버튼, 로킹 플레이트와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킹/언로킹 휠은 덮개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킹 위치와 덮개를 열어줄 수 있는 언로킹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버튼 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보어가 로킹/언로킹 휠에 형성되어 있다. 푸시 버튼은 보어 안에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로킹 플레이트는 푸시 버튼과 연동하여 덮개의 다른 쪽 끝을 로킹 및 언로킹시킬 수 있도록 푸시 버튼의 뒤쪽에 장착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은 로킹 플레이트가 덮개를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로킹 플레이트를 탄성 편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덮개를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으면서도 사용 중에 덮개의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by crushing and drying i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asing, a lid, a drying box, a grinding blade, a heating means, a driving motor and a locking device. The casing has a drying chamber formed so that the top is open. A button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ing. The cover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by a hinge at one end so that the drying chamber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drying bin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rying chamber and accommodates food waste. The crushing blade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rying bin to grind food waste. The heating means applies heat energy to the drying bin so as to dry the food waste. A driving motor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to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rotation of the grinding blades. The coupling connects the grinding blade and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can be transmitted to the grinding blade. The locking device consists of a locking/unlocking wheel, a push button, a locking plate and a return spring. A locking/unlocking wheel is mounted in the button hole so that it can be rotated between a locked position to keep the lid closed and an unlocked position to open the lid. A bore is formed in the locking/unlocking wheel. A push button is mounted in the bore for linear motion. A locking plate is mounted behind the push button to interlock with the push button to lock and unlock the other end of the cover. The return spring resiliently biases the locking pl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late locks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cover in a one-touch manner, while firmly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during use to improve safety.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건조시켜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One touch type)으로 덮개를 간편하게 열 수 있으면서도 사용 중에 덮개의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by crushing and drying it, and more particularly, with a one-touch type, the cover can be easily opened, while the cover is firmly maintained during use. It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afety.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쓰레기 또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기계적, 열적, 생물학적 처리 공정 등을 거쳐 감량하는 장치를 말하며, 음식물쓰레기 감량기기로 부르고도 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열에너지에 의해 건조하는 건조 방식,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로 발효하는 발효 방식,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하는 소멸 방식 등이 있다. 건조 방식은 전기 가열, 증기 또는 온수 가열, 열풍 가열로 분류할 수 있다.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refers to a device for reducing food waste or food waste through mechanical, thermal, and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food waste reduction devic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es include a drying method in which food waste is dried by thermal energy, a fermentation method in which food waste is fermented into an organic material by microorganisms, and an extinction method in which food waste is fermented and destroyed by microorganisms. Drying methods can be classified into electric heating, steam or hot water heating, and hot air heating.

한국 등록특허 제10-1375322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는 케이싱(Casing),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며 케이싱의 삽입구를 통해 탈착시킬 수 있는 건조통, 건조통 안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분쇄 부재, 건조통의 가열을 위해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는 가열 부재, 분쇄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5322 'Food Waste Disposal Device' includes a casing, a dryer that accommodates food waste and can be detached through an insertion hole in the casing, a crushing member mounted to rotate in the dryer, It consists of a heating member mounted on the casing for heating the drying box and a driving motor mounted on the casing to rotate the crushing member.

케이싱의 삽입구는 덮개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쇄 부재와 구동 모터는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커플링은 분쇄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커플링과 구동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커플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플링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향치부를 갖는다. 하부 커플링은 하향치부에 이맞물림되도록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향치부를 갖는다.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은 하향 및 상향치부의 이맞물림에 의해 분쇄 부재에 전달되어 분쇄 부재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 모터는 보정 모드에서 하향치부에 대한 상향치부의 각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1회 미만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된다. 위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The insertion port of the casing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The crushing member and the drive motor are connected by a coupling. The coupling is composed of an upper coupling coupled to the crushing member and a lower coupling coupl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The upper coupling has lower teeth extending downward. The lower coupling has upper teeth extending upward to engage the lower teeth.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grinding member by the meshing of the lower and upper teeth to rotate the grinding member. The drive motor is driven to rotate less than once to correct the angle of the upper teeth relative to the lower teeth in the correction mode.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기한 바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덮개를 손으로 잡고 여닫도록 구성되어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덮개가 음식물쓰레기에 오염되어 있는 경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와 접촉되어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기어 커플링(Gear coupling)에 의해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부 및 하부 커플링의 기어이(Gear teeth)는 마모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기어 커플링의 기어이는 정확한 이맞물림을 위하여 정밀하게 가공해야 하므로 단가가 비싼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cover while holding the cover, which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se. In particular, when the cover is contaminated with food waste, it is not only unsanitary, but there is a risk that the user may be infected with bacteria due to contact with the food waste. In addition, although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by a gear coupling,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to the gear teeth of the upper and lower couplings due to wear. Since the teeth of the gear coupling must be precisely processed for accurate meshing, the unit cost is hig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덮개를 간편하게 열 수 있으면서도 사용 중에 덮개의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food and beverage safety that can be improved by firmly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during use while easily opening the cover in a one-touch manner. It is to provide a garbag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각형 장부와 별 모양 장부 구멍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의 커플링에 의해 건조통의 탈착이 간편하고, 커플링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capable of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a drying container and preventing wear and tear of the coupling by means of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triangular tenon and a star-shaped tenon hole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ill b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는, 위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을 가지며, 앞면에 버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건조실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쪽 끝이 힌지에 의해 케이싱의 윗면에 연결되어 있는 덮개와; 건조실에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건조통과;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를 위하여 건조통의 바닥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분쇄날과;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할 수 있도록 건조통에 열에너지를 가하는 가열 수단과; 분쇄날의 회전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건조실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분쇄날에 전달할 수 있도록 분쇄날과 구동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커플링과; 덮개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킹 위치와 덮개를 열어줄 수 있는 언로킹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버튼 구멍에 장착되어 있으며 보어가 형성되어 있고 보어의 내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스토핑 러그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로킹/언로킹 휠과, 보어 안에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로킹/언로킹 휠의 언로킹 위치에서 한 쌍의 스토핑 러그 각각이 끼워져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두 쌍의 가이드 슬롯이 외면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푸시 버튼과, 푸시 버튼과 연동하여 덮개의 다른 쪽 끝을 로킹 및 언로킹시킬 수 있도록 푸시 버튼의 뒤쪽에 장착되어 있는 로킹 플레이트와, 로킹 플레이트가 덮개를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로킹 플레이트를 탄성 편향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고, 로킹/언로킹 휠의 로킹 위치에서 푸시 버튼의 후단이 한 쌍의 스토핑 러그에 걸려 푸시 버튼의 직선 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로킹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s provide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having a drying chamber formed such that an upper portion is open and having a button hole formed on the front side; a cov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sing by a hing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rying chamber; I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rying room, and a drying bin for accommodating food waste; a crushing blade rotat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rying bin for crushing food waste; a heating means for applying heat energy to the drying bin to dry the food waste; a driving motor mounted below the drying chamber to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rotation of the grinding blade; a coupling connecting between the grinding blade and the driving motor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to the grinding blade; It is mounted in the button hole so that it can be rotated between a locked position to keep the cover closed and an unlocked position to open the cover, and a bore is formed, and a pair of stopper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re. A locking/unlocking wheel in which lug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a pair of stopping lugs, each of which is mounted in the bore for linear motion, are fitted in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to enable linear motion. A push button in which a pair of guide slots are formed on the outer edg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locking plate mounted on the back of the push button to lock and unlock the other end of the cover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button. and a return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locking pl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late locks the cover, and in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the rear end of the push button is caught on a pair of stopping lugs to provide linear movement of the push button. It includes a locking device configured to restra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의 커플링은, 건조실의 아랫면에 돌출되도록 분쇄날에 결합되어 있고, 하면에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커플링과;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과 맞물려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분쇄날에 전달할 수 있도록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정삼각형 장부를 갖는 하부 커플링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coupling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upling coupled to a grinding blade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and having a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 lower coupling having an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that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so as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 drive force of the drive motor and extends upwar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 and transmit the rotation drive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grinding blade.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는, 원터치 방식으로 덮개를 간편하게 열 수 있으면서도 사용 중에 푸시 버튼의 동작이 로킹/언로킹 휠에 의해 구속되어 덮개의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날과 구동 모터 각각의 축이 삼각형 장부와 별 모양 장부 구멍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의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건조통의 탈착이 간편하고, 커플링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can be opened easily with a one-touch method, and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is constrained by the locking/unlocking wheel during use to firmly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thereby improving safety. It works. In addition, the grinding blade and the axis of each drive motor are connected by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triangular tenon and a star-shaped tenon hole interlock with each other, making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dryer,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wear and tear of the coupling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건조통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커플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커플링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로킹 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로킹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로킹 장치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로킹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로킹/언로킹 휠과 푸시 버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로킹/언로킹 휠과 푸시 버튼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로킹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ing bin is separated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couplings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locking device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locking device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locking/unlocking wheel and a push button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ar view showing a locking/unlocking wheel and a push button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ther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r shap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10)는 케이싱(20)과 덮개(30)를 구비한다. 케이싱(20) 또는 본체는 개방단부(22)가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24)을 갖는다. 관통구멍(26)이 건조실(24)의 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버튼 구멍(Button hole: 28)이 개방단부(22)와 이웃하도록 케이싱(20)의 앞면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and 12 ,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20 and a cover 30 . The casing 20 or body has a drying chamber 24 with an open end 22 formed thereon. A through hole 26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24 . A button hole (28) is formed on the top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2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pen end (22).

덮개(30)는 힌지(Hinge: 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단부(22)를 여닫을 수 있도록 케이싱(20)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다. 로킹 러그(Locking lug: 34)가 힌지(32)와 반대되는 덮개(30)의 아랫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힌지(32)와 연결되는 덮개(30)의 한쪽 끝 또는 후단 회전단으로 되고, 덮개(30)의 다른 쪽 끝 또는 선단은 자유단으로 된다. 스프링 요소(Spring element: 36)가 덮개(30)의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스프링 요소(36)는 힌지(32)에 장착되어 덮개(30)를 열림 방향으로 탄성 편향(Elastically bias)시키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덮개(30)의 로킹 위치를 표시하는 로킹 마크(Locking mark: 38a)와 언로킹 위치를 표시하는 언로킹 마크(Unlocking mark: 38b)가 버튼 구멍(28)의 둘레 방향을 따라 케이싱(20)의 앞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덮개(30)는 로킹 위치에서 열 수 없다. 덮개(30)는 언로킹 위치에서 열 수 있다. The cover 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ing 20 so that the open end 2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being rotated around a hinge 32 . A locking lug 34 i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cover 30 opposite to the hinge 32 . One end or rear end of the cover 30 connected to the hinge 32 is a rotating end, and the other end or front end of the cover 30 is a free end. Spring element (Spring element: 36) imparts an elastic force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ver (30). The spring element 36 may also consist of a torsion spring mounted on the hinge 32 to elastically bias the lid 30 in the opening direction. A locking mark 38a indicating the locking position of the cover 30 and an unlocking mark 38b indicating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casing 2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tton hole 28 It is formed with a gap on the front side. Lid 30 cannot be opened in the locked position. Lid 30 can be opened in an unlocked posi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10)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여 건조하기 위한 건조통(40)과, 건조통(40) 안에 수용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하여 건조통(40)의 바닥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분쇄날(50)을 구비한다. 건조통(40)은 건조실(24)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통구멍(42)이 건조실(24)의 관통구멍(26)과 정렬되도록 건조통(40)의 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분쇄날(50)의 축(52)은 관통구멍(26, 42)들과 정렬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분쇄날(50)의 축(52)은 관통구멍(42)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분쇄날(50)은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날(Cutting blade)로 구성될 수도 있다. 2 to 5 ,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bin 40 for accommodating and drying food waste and crushing food waste accommodated in the drying bin 40. A grinding blade 50 rotat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rying box 40 is provided. The drying box 4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rying chamber 24 . A through hole 4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drying box 40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 26 of the drying chamber 24 . The shaft 52 of the grinding blade 50 is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s 26 and 42. In some embodiments, the shaft 52 of the grinding blade 50 may fit into the through hole 42 . In addition, the grinding blade 50 may be configured as a cutting blade capable of cutting food wast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10)는 건조통(40) 안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쓰레기에 열에너지를 가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 장치(Heating device: 60)를 구비한다. 가열 장치(60)는 건조실(24)의 바닥에 장착되어 있다. 가열 장치(60)는 전기 발열체(Electrical heating element: 62)와, 전기 발열체(62)의 열을 전달하는 가열판(Heating plate: 64)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열판(64)은 건조실(24)의 바닥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관통구멍(66)이 건조실(24)의 관통구멍(26)과 정렬되도록 가열판(6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전기 발열체(62)는 가열판(64)의 아랫면에 장착되어 있다. 전기 발열체(62)는 전열선(Electric heating wire), 전기 히팅 케이블(Electric heating cable), 면상 발열체(Planar hea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발열체(62)는 건조실(24)의 아랫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5 ,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device 60 for drying by applying thermal energy to food waste accommodated in a drying container 40. . A heating device 6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24 . The heating device 60 includes an electrical heating element 62 and a heating plate 64 that transfers heat from the electrical heating element 62 . The heating plate 64 is mounted so as to cover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24 . A through hole 6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eating plate 64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 26 of the drying chamber 24 .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62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64.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62 may be composed of an electric heating wire, an electric heating cable, a planar heater, or the like. 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62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24 .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10)는 분쇄날(5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Driving motor: 70)와, 구동 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 80)와, 컨트롤러(80)와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90)을 구비한다. 구동 모터(70)는 건조실(24)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모터(70)는 분쇄날(50)과 연결되어 있는 축(72)을 갖는다. 구동 모터(70)의 회전 구동력은 감속기에 의해 감속되어 축(72)에 전달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모터(70)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otor 70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grinding blade 50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70. : 80) and a control panel (Control panel: 9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The drive motor 7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ying chamber 24 . The drive motor 70 has a shaft 72 connected to the grinding blade 50 .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70 is reduced by the reducer and transmitted to the shaft 72 . In some embodiments, the drive motor 70 may be configured as a geared motor.

컨트롤러(80)는 구동 모터(70)와 연결되도록 케이싱(20) 안에 장착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70)의 구동을 시퀀스 제어(Sequential control)한다. 컨트롤 패널(90)은 케이싱(20)의 윗면에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 패널(90)은 파워 스위치(Power switch), 버튼(Button), 발광다이오드 인디케이터(Light Emitting Diode indicator, LED indicator), 오디오 장치(Audio device), 디스플레이(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80 may be composed of a microprocessor mounted in the casing 20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70, and the driving motor 70 is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panel 90. Sequential control. The control panel 9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20 . The control panel 90 may include a power switch, a button, a light emitting diode indicator (LED indicator), an audio device, a display, and the like.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10)는 구동 모터(70)의 회전 구동력을 분쇄날(50)에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100)을 구비한다. 커플링(100)은 분쇄날(50)의 축(52)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커플링(110)과, 구동 모터(70)의 축(72)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커플링(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커플링(110, 120) 각각은 스크루(Screw: 102)의 체결에 의해 축(52, 72)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7 ,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100 for transmitting rotational driving force of a driving motor 70 to grinding blades 50 . The coupling 100 consists of an upper coupling 110 coupled to the shaft 52 of the grinding blade 50 and a lower coupling 120 coupled to the shaft 72 of the driving motor 70 has bee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couplings 110 and 120 may be coupled to the respective shafts 52 and 72 by fastening a screw 102 .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Hexagon star shape mortise: 112)이 상부 커플링(110)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있다.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은 두 개의 정삼각형 장부 구멍(114, 116) 각각의 세 꼭짓점이 둘레 방향을 따라 60도(Degree) 각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의 여섯 꼭짓점과 여섯 코너(Conner) 각각은 라운드(118)로 형성되어 있다.A hexagon star shape mortise (1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upling (110). In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s 112, three vertexes of each of the two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holes 114 and 116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t an angle of 6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ach of the six vertices and six corners of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 112 is formed of a round 118.

정삼각형 장부(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가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에 장부 맞춤될 수 있도록 하부 커플링(120)의 상단에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정삼각형 장부(122)는 세 꼭짓점이 라운드(Round: 124)로 형성되어 있는 둥근 정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 개의 정삼각형 돌기(126)가 정삼각형 장부(122)의 세 꼭짓점에 더 형성되어 있다. 정삼각형 돌기(126)들 각각은 정삼각형 장부 구멍(114, 116)들 중 어느 하나에 장부 맞춤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은 하부 커플링(120)의 윗면에 형성되고, 정삼각형 장부(122)는 상부 커플링(11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An 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 extends upwards at the top of the lower coupling 120 so that it can be tenoned into the hexagonal star tenon 112 .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 is formed as a rounded equilateral triangle in which three vertices are formed in rounds (Round: 124). Three equilateral triangle protrusions 126 are further formed at three vertices of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 . Each of the equilateral triangle projections 126 is tenon-fitted to one of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holes 114 and 116 . In some embodiments, the hexagonal star tenon 1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upling 120 and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upling 110 .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10)는 건조통(40)을 건조실(24)에 수직 방향을 따라 탈착시킬 수 있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건조통(4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조물(Positioning structure: 130)을 구비한다. 위치 결정 구조물(130)은 건조통(40)의 아랫면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 결정 돌기(132)들과, 위치 결정 돌기(132)들 각각이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 맞춤되도록 가열판(64)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 결정 구멍(134)으로 구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구멍(134)들은 건조실(24)의 바닥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 장치(60)는 건조실(24)의 아랫면에 장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drying bin 40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rying chamber 24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ying bin 40 It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structure (Positioning structure: 130)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The positioning structure 130 has a relationship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oning protrusions 132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ying box 40 and each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s 132 corresponds to each other.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134 formed in the heating plate 64 so as to be fitted with. In some embodiments, the positioning holes 134 may be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drying chamber 24 . In this case, the heating device 6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24 .

도 3, 도 4와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10)는 덮개(30)를 잠가두기 위한 로킹 장치(Locking device: 140)를 구비한다. 덮개(30)는 로킹 장치(140)의 로킹 상태에서 열 수 없다. 덮개(30)는 로킹 장치(140)의 언로킹 상태에서 열 수 있다. 로킹 장치(140)는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Front mounting plate: 142), 로킹/언로킹 휠(Locking/Unlocking wheel: 144), 푸시 버튼(Push button: 146),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Rear mounting plate: 148), 로킹 플레이트(Locking plate: 150),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 152)으로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3, 4 and 8 to 15 ,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ing device 140 for locking the cover 30 . The cover 30 cannot be opened in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140 . The cover 30 can be opened in an un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140 . The locking device 140 includes a front mounting plate: 142, a locking/unlocking wheel: 144, a push button: 146, and a rear mounting plate: 148. , Locking plate (150), and return spring (Return spring: 152).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142)는 버튼 구멍(28)과 이웃하도록 케이싱(20)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다. 리세스(Recess: 142a)가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142)의 앞면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142b)이 리세스(142a)의 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키 홈(Key way: 142c)이 중앙 구멍(142b)의 내면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포지셔닝 클릭 스토퍼(Positioning click stopper: 142d) 또는 포지셔닝 스냅 핏(Positioning snap fit)이 중앙 구멍(142b)과 동심을 이루도록 중앙 구멍(142b)의 주위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세스(142a)의 바닥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원형 돌기(142e)가 포지셔닝 클릭 스토퍼(142d)들 각각의 상단부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Guide rib: 142f)가 포지셔닝 클릭 스토퍼(142d)들과 동일한 원호를 이루도록 따라 리세스(142a)의 바닥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142f)들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mounting plate 142 is mounted inside the casing 20 so as to adjoin the button hole 28 . A recess 142a is circular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mounting plate 142 . A central hole 142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recess 142a. A keyway (Keyway) 142c is form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hole 142b. At the bottom edge of the recess 142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hole 142b such that a positioning click stopper 142d or a positioning snap fit is concentric with the central hole 142b. It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 semicircular protrusion 142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positioning click stoppers 142d. A pair of guide ribs 142f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recess 142a along the same arc as the positioning click stoppers 142d. The guide ribs 142f are formed in an arc shape.

로킹/언로킹 휠(144)은 덮개(30)의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142)의 앞면에 장착되어 있다. 로킹/언로킹 휠(144)의 선단부는 버튼 구멍(28)을 통과하여 케이싱(20)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후단부는 리세스(142a) 안에 끼워져 있다. 포지셔닝 마크(Positioning mark: 144a)가 로킹/언로킹 휠(144)의 회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로킹/언로킹 휠(144)의 앞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보어(Bore: 144b)를 갖는 슬리브(Sleeve: 144c)가 로킹/언로킹 휠(144)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142e)들 각각은 슬리브(144c), 즉 보어(144b)의 내면에 지지되어 로킹/언로킹 휠(144)의 회전을 안내한다. 한 쌍의 스토핑 러그(Stopping lug: 144d)가 슬리브(144c)의 내면 후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키(Key: 144e)가 스토핑 러그(144d)들 각각의 위쪽 중앙에 정렬되도록 보어(144b)의 내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로킹 포지셔닝 구멍(Locking positioning hole: 144f) 및 한 쌍의 언로킹 포지셔닝 구멍(Unlocking positioning hole: 144g)이 슬리브(144c)의 후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지셔닝 클릭 스토퍼(142c)들 각각이 로킹 및 언로킹 포지셔닝 구멍(144f, 144g)들 각각에 로킹되면, 로킹/언로킹 휠(144)의 로킹/언로킹 위치가 결정된다. 한 쌍의 로킹 구멍(144h)이 슬리브(144c)의 후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A locking/unlocking wheel 144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mounting plate 142 so that it can rotate between locked and unlocked positions of the cover 30 . The front end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casing 20 through the button hole 28, and the rear end is fitted into the recess 142a. A positioning mark 144a is formed on the front edge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so th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can be confirmed. A sleeve 144c having a bore 144b is formed inside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Each of the guide ribs 142e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144c, that is, the bore 144b, and guides the rotation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A pair of stopping lugs 144d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144c. A pair of keys 144e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re 144b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upper center of each of the stopping lugs 144d. A pair of locking positioning holes 144f and a pair of unlocking positioning holes 144g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sleeve 144c. When each of the positioning click stoppers 142c is locked into each of the locking and unlocking positioning holes 144f and 144g, the locking/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is determined. A pair of locking holes 144h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sleeve 144c.

푸시 버튼(146)은 보어(144b) 안에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푸시 버튼(146)은 버튼(146a)과, 버튼(146a)의 뒷면에 연장되어 있는 푸시 로드(Push road: 146b)를 갖는다. 버튼(146a)은 버튼 구멍(28)을 통하여 케이싱(20)의 앞면에 노출되어 있다. 두 쌍의 가이드 슬롯(Guide slot: 146c)이 푸시 버튼(146)의 외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핑 러그(144d)들 각각이 가이드 슬롯(146c)들에 끼워지면, 푸시 버튼(146)의 직선 운동이 보어(144b) 안에서 가능하게 된다. 스토핑 러그(144d)들이 버튼(146a)의 후단에 지지되면, 푸시 버튼(146)은 눌러지지 않아 작동되지 않는다. 키(146d)가 푸시 로드(146b)의 외면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키(146d)는 키 홈(142c)에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도록 끼워져 푸시 버튼(146)의 직선 운동을 안내한다. The push button 146 is mounted in the bore 144b so that it can move linearly. The push button 146 has a button 146a and a push rod 146b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button 146a. The button 146a is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20 through the button hole 28. Two pairs of guide slots 146c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button 146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each of the stopping lugs 144d is fitted into the guide slots 146c, linear motion of the push button 146 is enabled in the bore 144b. When the stopping lugs 144d are supported at the rear end of the button 146a, the push button 146 is not pressed and is not operated. A key 146d is formed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rod 146b. The key 146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42c to guide the linear motion of the push button 146.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148)는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142)와 간격을 두고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142)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케이싱(20)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 핀(Guide pin: 148a)이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148)의 앞면 상단부에 앞쪽을 향하여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다. 보스(148b)가 가이드 핀(148a)의 아래와 이웃하도록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148)의 앞면에 형성되어 있다. 위쪽이 트인 펜스(Fence: 148c)가 가이드 핀(148a)들과 보스(148b)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148)의 앞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rear mounting plate 148 is mounted inside the casing 20 so as to be disposed behind the front mounting plate 142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mounting plate 142 . A plurality of guide pins 148a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at intervals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rear mounting plate 148 . A boss 148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mounting plate 148 so as to be adjacent to and below the guide pin 148a. A fence 148c with an open top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mounting plate 148 to surround the guide pins 148a and the bosses 148b.

로킹 플레이트(150)는 푸시 버튼(145)과 연동하여 앞뒤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142)와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148)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로킹 플레이트(150)의 앞면 하단부는 푸시 로드(146b)의 후단에 접촉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 구멍(Guide hole: 150a)이 로킹 플레이트(1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핀(148a)들은 가이드 구멍(150a)들에 끼워져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142)와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148) 사이에서 로킹 플레이트(15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한다. 로킹 러그(150b)가 로킹 플레이트(15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덮개(30)의 로킹 러그(34)가 로킹 플레이트(150)의 로킹 러그(150b)에 걸려 구속되면, 덮개(30)를 열 수 없다. 리턴 스프링(152)은 로킹 플레이트(150)를 앞쪽으로 탄성 편향시켜 덮개(30)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148)와 로킹 플레이트(15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152)의 후단부는 보스(148b)에 끼워져 있다. 리턴 스프링(152)의 선단부는 로킹 플레이트(150)의 뒷면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152)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locking plate 150 is mounted between the front mounting plate 142 and the rear mounting plate 148 so as to be linear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ssociation with the push button 145 . The front lower end of the locking plate 15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push rod 146b. A plurality of guide holes 150a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late 150 . The guide pins 148a ar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150a to guide the linear motion of the locking plate 150 between the front mounting plate 142 and the rear mounting plate 148 . A locking lug 150b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ocking plate 150 . When the locking lug 34 of the cover 30 is caught and restrained by the locking lug 150b of the locking plate 150, the cover 30 cannot be opened. The return spring 152 is mounted between the rear mounting plate 148 and the locking plate 150 to lock the cover 30 by elastically biasing the locking plate 150 forward. The rear end of the return spring 152 is fitted into the boss 148b. The front end of the return spring 152 is supported by the lower rear end of the locking plate 150. The return spring 152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로킹 장치(140)는 로킹/언로킹 휠(144)의 보어(144b)로부터 푸시 버튼(14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킹/언로킹 휠(144)과 푸시 버튼(146) 사이에 배치되도록 보어(144b)에 결합되어 있는 오픈 캡(Open cap: 154)을 더 구비한다. 오픈 캡(154)은 푸시 버튼(146)의 조작을 위하여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보어(154a)를 갖는다. 플랜지(Flange: 154b)가 푸시 버튼(146)의 앞면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어(154a)의 내면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냅 핏(Snap fit: 154c) 또는 스탭 훅(Snap hook)이 오픈 캡(154)의 외면 후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스냅 핏(154c)들은 로킹/언로킹 휠(144)의 로킹 구멍(144h)들 각각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로킹/언로킹 휠(144)과 오픈 캡(154)은 함께 회전된다. 한 쌍의 키 홈(154d)이 오픈 캡(154)의 외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키(144e)들 각각은 키 홈(154d)에 끼워져 오픈 캡(154)의 위치를 결정하고, 보어(144b) 안에서 오픈 캡(154)의 회전을 방지한다. 센서(156)가 덮개(30)의 여닫힘을 감지할 수 있도록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148)의 한쪽에 더 장착되어 있다. 센서(156)는 컨트롤러(80)와 연결되어 덮개(30)의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The locking device 140 has a bore to be disposed between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and the push button 146 to prevent the push button 146 from coming out of the bore 144b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An open cap 154 coupled to 144b is further provided. The open cap 154 has a centrally formed bore 154a for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146. A flange (Flange: 154b) is formed in fro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re (154a) to support the front edge of the push button (146). A pair of snap fits (154c) or snap hook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 cap 154. The snap fits 154c are elastically fitted into and coupled to each of the locking holes 144h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Accordingly,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and the open cap 154 are rotated together. A pair of key grooves 154d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 cap 154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ach of the keys 144e fits into a key groove 154d to position the open cap 154 and prevent rotation of the open cap 154 in the bore 144b. A sensor 156 is furth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ar mounting plate 148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30 . The sensor 156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and inputs a detection signal of the cover 30 to the controller 80 .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From now on,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3, 도 9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덮개(30)의 로킹 러그(34)가 로킹 플레이트(150)의 로킹 러그(150b)에 걸려 있으면 덮개(30)는 닫혀 있게 된다. 포지셔닝 마크(144a)와 로킹 마크(38a)가 반경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있으면, 버튼(146a)의 후단이 스토핑 러그(144d)들에 걸려 푸시 버튼(146)이 눌러지지 않게 되고, 덮개(30)가 열리지 않게 된다. 포지셔닝 클릭 스포터(142d)들 각각은 로킹 포지셔닝 구멍(144f)들 각각에 끼워져 로킹/언로킹 휠(144)을 로킹 위치에 정지시킨다. 3, 9 and 11 to 14, when the locking lug 34 of the cover 30 is caught on the locking lug 150b of the locking plate 150, the cover 30 is closed. When the positioning mark 144a and the locking mark 38a are align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button 146a is caught by the stopping lugs 144d so that the push button 146 is not pressed, and the lid 30 ) will not open. Each of the positioning click spotters 142d is fitted into each of the locking positioning holes 144f to stop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in the locking position.

한편, 로킹/언로킹 휠(144)의 회전에 의해 포지셔닝 마크(144a)와 언로킹 마크(38b)가 반경 반향을 따라 정렬되면, 두 쌍의 가이드 슬롯(146c)들 중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이 스토핑 러그(144d)들 각각에 정렬된다. 포지셔닝 클릭 스포터(142d)들 각각은 언로킹 포지셔닝 구멍(144g)들 각각에 끼워져 로킹/언로킹 휠(144)을 언로킹 위치에 정지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ing mark 144a and the unlocking mark 38b are align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one of the two pairs of guide slots 146c is It is aligned with each of the stopping lugs 144d. Each of the positioning click spotters 142d is fitted into each of the unlocking positioning holes 144g to stop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in an unlocked position.

도 15를 참조하면, 푸시 버튼(146)이 눌러지면, 스토핑 러그(144d)들 각각이 한 쌍의 가이드 슬롯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면서 푸시 버튼(146)의 후퇴를 직선 운동으로 안내한다. 푸시 로드(146b)는 로킹 플레이트(150)를 눌러 후퇴시키고, 로킹 플레이트(150)의 후퇴에 의해 로킹 러그(34, 150b)들의 걸림이 해제된다. 로킹 러그(34, 150b)들의 걸림이 해제되면, 스프링 요소(36)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30)가 힌지(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려진다. 푸시 버튼(146)의 누름력이 제거되면, 리턴 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 플레이트(150)가 전진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로킹 플레이트(150)와 함께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푸시 버튼(146)의 앞면 가장자리는 오픈 캡(154)의 플랜지(154b)에 걸려 보어(144b)로부터 이탈이 방지되어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5 , when the push button 146 is pressed, each of the stop lugs 144d is inserted into a pair of guide slots and slides to guide the push button 146 to move in a linear motion. The push rod 146b pushes the locking plate 150 to retreat, and the locking lugs 34 and 150b are disengaged by the retreating of the locking plate 150. When the locking lugs 34 and 150b are released, the cover 3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32 and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element 36 .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146 is removed, the locking plate 150 moves for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152 and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The front edge of the push button 146, which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ogether with the locking plate 150, is caught on the flange 154b of the open cap 154 and is prevented from leaving the bore 144b.

도 5를 참조하면, 덮개(30)가 열려지면, 건조통(40)의 위치 결정 돌기(132)들이 위치 결정 구멍(134)들에 끼워 맞춰지도록 건조통(40)을 건조실(24) 안에 수용시킨다. 위치 결정 돌기(132)들이 위치 결정 구멍(134)들에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 건조실(24) 안에 수용되는 건조통(40)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다. 건조통(40)이 건조실(24)에 수용되면, 덮개(30)에 의해 개방단부(22)를 닫아준다.5, when the lid 30 is opened, the drying tube 40 is accommodated in the drying chamber 24 so that the positioning protrusions 132 of the drying tube 40 fit into the positioning holes 134. let it By fitt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s 132 into the positioning holes 134, the position of the drying container 40 accommodated in the drying chamber 24 is accurately determined. When the drying box 40 is accommodated in the drying chamber 24, the open end 22 is closed by the cover 30.

도 3, 도 4,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건조통(40)이 건조실(24) 안에 수용되면서 정삼각형 장부(122)가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의 정삼각형 장부 구멍(112) 중 어느 하나에 정확하게 맞물리게 된다. 정삼각형 장부(122)가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의 정삼각형 장부 구멍(112) 중 어느 하나에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는 것은 위치 결정 돌기(132)들과 위치 결정 구멍(134)들의 끼워 맞춤에 의해 건조통(40)이 위치 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정삼각형 장부(122)와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이 맞물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정삼각형 장부(122)와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의 맞물림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3, 4, 6 and 7, while the drying container 40 is accommodated in the drying chamber 24,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 is formed among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holes 112 of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s 112. It fits exactly into one of them. The fact that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 can be accurately engaged with any one of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holes 112 of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s 112 is due to the fitting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s 132 and the positioning holes 134. This is because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 and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 112 engage with each other while linearl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drying cylinder 40 is positioned. In this way, the engagement between the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122 and the hexagonal star tenon hole 112 is simply and accurately performed, so that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과 정삼각형 장부(122)가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 모터(70)가 구동되면, 구동 모터(70)의 회전 구동력은 커플링(100)을 통해 분쇄날(50)에 전달되어 분쇄날(50)을 회전시키게 된다. 분쇄날(50)의 회전에 의해 건조통(40) 안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된다.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과 정삼각형 장부(122)가 맞물려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구조는 기어이들의 이맞물림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커플링에 비하여 기계적 강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므로,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되어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driving motor 70 is driven while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112 and the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122 are engaged,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70 is transmitted to the grinding blade 50 through the coupling 100 This causes the grinding blade 50 to rotate. Rotation of the crushing blade 50 crushes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container 40 .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112 and the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122 are engaged to transmit rotational driving force has superior mechanical rigidity and wear resistance compared to gear couplings in which rotational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by meshing of gear teeth, so wear And breakage can be prevented, so reli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정삼각형 장부(122)가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에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고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의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덮개(30)를 닫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90)의 조작에 의해 보정 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컨트롤러(80)의 제어에 의해 구동 모터(70)가 1회전 미만, 예를 들면 10도 미만으로 축(72)을 회전시켜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112)과 정삼각형 장부(122)를 정합시키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80)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 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여 보정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cover 30 cannot be closed because the equilateral triangle tenon 122 is not correctly engaged with the hexagonal star tenon 112 and is supported by the edge of the hexagonal star tenon 112. When the user sets the correction mode by manipulating the control panel 90, the drive motor 70 rotates the shaft 72 less than one rotation, for example, less than 10 degre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The hexagonal star tenon 112 and the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122 are matched. 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80 may automatically set the correction mode by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70 by a program.

도 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조통(40)의 수용이 완료된 후 덮개(30)를 닫게 되면, 닫히는 덮개(30)의 로킹 러그(34)가 로킹 플레이트(150)의 로킹 러그(150b)를 뒤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덮개(30)가 닫힌 후, 로킹 플레이트(150)가 리턴 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덮개(30)의 로킹 러그(34)가 로킹 플레이트(150)의 로킹 러그(150b)에 걸려 덮개(30)는 닫혀 있게 된다. 로킹/언로킹 휠(144)을 회전시켜 포지셔닝 마크(144a)를 로킹 마크(38a)에 정렬시키면, 버튼(146a)의 후단이 스토핑 러그(144d)들에 걸려 푸시 버튼(146)이 눌러지지 않게 되고, 덮개(30)는 열리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14 , when the cover 30 is closed after the accommodation of the drying container 40 is completed, the locking lug 34 of the cover 30 closes the locking lug of the locking plate 150 (150b) is pushed backward. After the cover 30 is closed, as the locking plate 150 is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152, the locking lug 34 of the cover 30 moves to the locking lug 150b of the locking plate 150. ), the cover 30 is closed. When the positioning mark 144a is aligned with the locking mark 38a by rotating the locking/unlocking wheel 144, the rear end of the button 146a is caught by the stopping lugs 144d so that the push button 146 is not pressed. and the cover 30 does not open.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발열체(62)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가열판(64)을 통해 건조통(40)에 전달되어 건조통(40)을 가열시키게 되고, 건조통(40)의 가열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된다.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건조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감량시킬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건조 시 로킹 장치(140)에 의해 덮개(30)를 열 수 없는 상태로 유지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3 and 5, the thermal energy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heating element 62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container 40 through the heating plate 64 to heat the drying container 40, and the drying container 40 ), the food waste is dried by heating. Food waste can be efficiently reduced by crushing and drying such food waste. In addition, safety can be improved by maintaining the lid 30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be opened by the locking device 140 during crushing and drying of food wast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thos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will be possible b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20: 케이싱
24: 건조실 30: 덮개
40: 건조통 50: 분쇄날
60: 가열 장치 70: 구동 모터
80: 컨트롤러 100: 커플링
110: 상부 커플링 112: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
120: 하부 커플링 122: 정삼각형 장부
130: 위치 결정 구조물 140: 로킹 장치
142: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 144: 로킹/언로킹 휠
146: 푸시 버튼 148: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
150: 로킹 플레이트 152: 리턴 스프링
154: 오픈 캡 156: 센서
10: food waste disposal device 20: casing
24: drying room 30: cover
40: drying box 50: grinding blade
60: heating device 70: drive motor
80: controller 100: coupling
110: upper coupling 112: hexagonal star tenon hole
120: lower coupling 122: equilateral triangle tenon
130: positioning structure 140: locking device
142: front mounting plate 144: locking/unlocking wheel
146: push button 148: rear mounting plate
150: locking plate 152: return spring
154: open cap 156: sensor

Claims (8)

위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건조실을 가지며, 앞면에 버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건조실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쪽 끝이 힌지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윗면에 연결되어 있는 덮개와;
상기 건조실에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건조통과;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를 위하여 상기 건조통의 바닥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분쇄날과;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통에 열에너지를 가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분쇄날의 회전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건조실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분쇄날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분쇄날과 상기 구동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커플링과;
상기 덮개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킹 위치와 상기 덮개를 열어줄 수 있는 언로킹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 구멍에 장착되어 있으며 보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어의 내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스토핑 러그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로킹/언로킹 휠과, 상기 보어 안에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언로킹 휠의 언로킹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스토핑 러그 각각이 끼워져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두 쌍의 가이드 슬롯이 외면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푸시 버튼과, 상기 푸시 버튼과 연동하여 상기 덮개의 다른 쪽 끝을 로킹 및 언로킹시킬 수 있도록 상기 푸시 버튼의 뒤쪽에 장착되어 있는 로킹 플레이트와, 상기 로킹 플레이트가 상기 덮개를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로킹 플레이트를 탄성 편향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언로킹 휠의 로킹 위치에서 상기 푸시 버튼의 후단이 상기 한 쌍의 스토핑 러그에 걸려 상기 푸시 버튼의 직선 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a casing having a drying chamber formed to be open at the top and having a button hole formed on the front side;
a cov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sing by a hing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rying chamber;
a drying passage detachable from the drying chamber and accommodating food waste;
a crushing blade rotat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rying bin to crush the food waste;
a heating means for applying thermal energy to the drying container to dry the food waste;
a driving motor mounted below the drying chamber to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rotation of the grinding blade;
a coupling connecting the grinding blade and the driving motor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to the grinding blade;
It is mounted in the button hole so that it can rotate between a locking posi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and an unlocking position capable of opening the cover, and a bor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r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locking / unlocking wheel in which a pair of stopping lug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each of the pair of stopping lugs mounted in the bore so as to move linearly in an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 unlocking wheel A push button in which two pairs of guide slots are formed on the outer edg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fitted and allow linear movement, and to lock and unlock the other end of the cover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button. A locking plate mounted behind the push button, and a return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locking pl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late locks the cover, and a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the push button and a locking device having a rear end hooked on the pair of stopping lugs to restrict linear motion of the push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케이싱 안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언로킹 휠의 후단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리세스가 앞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 중앙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구멍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한 쌍의 포지셔닝 클릭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 마운팅 플레이트의 뒤쪽에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싱 안에 장착되어 있는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언로킹 휠은 상기 한 쌍의 포지셔닝 클릭 스토퍼가 상기 덮개의 로킹 및 언로킹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로킹될 수 있도록 외면 후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두 쌍의 로킹 및 언로킹 구멍을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device,
It is mounted in the casing, a recess into which the rear end of the locking/unlocking wheel is rotatably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central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hole a front mounting plate along which a pair of positioning click stoppers are formed;
a rear mounting plate mounted in the casing at intervals behind the front mounting plate;
The locking / unlocking wheel includes two pairs of locking and unlocking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pair of positioning click stoppers can be locked in any one of the locking and unlocking positions of the cover. Equipped with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다른 쪽 끝에 로킹 러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로킹 러그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로킹 러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의 앞면에 한 쌍의 가이드 핀이 앞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이 끼워져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로킹 플레이트에 한 쌍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뒷면과 상기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의 앞면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locking lug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ver, a locking lug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ocking plate so that the locking lug of the cover can be engaged, and a pair of guide pins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mounting plate to and a pair of guide holes are formed in the locking plate so that the pair of guide pins can be inserted to guide the linear motion of the locking plate, and the return spring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locking plate and the rear Food waste disposal device mounted between the front face of the mounting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은 상기 중앙 구멍을 통하여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앞면 하단부에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푸시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마운팅 플레이트의 앞면에 상기 로킹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상기 리턴 스프링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위쪽이 트인 펜스가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ush button has a push rod extending through the central hol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lower end of the locking plate, and has an upper en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mounting plate so as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late and the return spring.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having an open fenc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언로킹 휠과 상기 푸시 버튼 사이의 상기 보어에 상기 로킹/언로킹 휠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오픈 캡을 더 구비하며, 상기 오픈 캡은 상기 푸시 버튼의 앞면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와, 상기 보어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로킹 구멍에 로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스냅 핏을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n open cap rotatably mounted in the bore between the locking/unlocking wheel and the push button, the open cap engaging a front edge of the push button.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flange formed thereon; and a pair of snap-fits formed so as to be locked into a pair of locking hole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r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건조실의 아랫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분쇄날에 결합되어 있고, 하면에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커플링과;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과 맞물려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분쇄날에 전달할 수 있도록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정삼각형 장부를 갖는 하부 커플링을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upling is
an upper coupling coupled to the grinding blade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and having a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and extending upward to transmit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to the grinding blade by being engaged with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hol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a lower coupling hav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별 모양 장부 구멍은 상기 정삼각형 장부가 맞물릴 수 있도록 두 개의 정삼각형 장부 구멍 각각의 세 꼭짓점이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정삼각형 장부 구멍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정삼각형 장부의 세 꼭짓점에 세 개의 정삼각형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7,
In the hexagonal star-shaped tenon, three vertexes of each of the two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hol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can engage, and the two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holes can be engaged with any one of the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in which three more equilateral triangular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three vertices of an equilateral triangular tenon.
KR1020200115564A 2020-09-09 2020-09-09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2474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64A KR102474495B1 (en) 2020-09-09 2020-09-09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64A KR102474495B1 (en) 2020-09-09 2020-09-09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13A KR20220033313A (en) 2022-03-16
KR102474495B1 true KR102474495B1 (en) 2022-12-06

Family

ID=8093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564A KR102474495B1 (en) 2020-09-09 2020-09-09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0858A (en) * 2022-07-04 2022-08-30 宁波海飞电器有限公司 Kitchen waste disposer and waste disposal method thereof
KR20240052213A (en)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다온시스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14B1 (en) * 2014-12-19 2016-02-25 (주)성림금속 Locking Apparatus for a mosquito n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22B1 (en) * 2011-07-05 2014-03-18 (주)에이티플랜 foods waste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14B1 (en) * 2014-12-19 2016-02-25 (주)성림금속 Locking Apparatus for a mosquito 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13A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495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7556033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in electric oven
US10526816B2 (en) Door lock having locking mechanism
KR101513000B1 (en) Door rock apparatus for vehicle
US6517127B1 (en) Electric door lock
US7028930B2 (en) Kitchen appliance with a safety interlock
CN109998370B (en) Lid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KR100963390B1 (en) Door latch assembly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CN111603026B (en) Upper cover assembly of cooking utensil and cooking utensil
KR20090120132A (en) A clutch module for digital door lock
KR200402198Y1 (en) Dead bolt controller for digital door lock
KR20140110713A (en) The rechargeable doorlock
KR102392702B1 (en) electric cooker
KR101372269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2481823B1 (en) electric cooker
CN211722872U (en) Container with a lid
KR200409245Y1 (en) Apparatus for locking lid of pressure cooker
CN209837969U (en) Structure of left-right interchangeable lock for handle
CN209908146U (en) Back-mounted lock driving device
CN220522283U (en) Door assembly of cooking utensil and cooking utensil
CN208473482U (en) A kind of electronic lock structure
CN110005268A (en) Intelligent cipher lock emergent unlocking mechanism
AU2004255017B8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in electronic oven
CN212489552U (en) Electric heating product
KR101202755B1 (en) Door inter-lock apparatus of micro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