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294B1 - 감염 예방을 위한 오염 지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감염 예방을 위한 오염 지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294B1
KR102474294B1 KR1020200188425A KR20200188425A KR102474294B1 KR 102474294 B1 KR102474294 B1 KR 102474294B1 KR 1020200188425 A KR1020200188425 A KR 1020200188425A KR 20200188425 A KR20200188425 A KR 20200188425A KR 102474294 B1 KR102474294 B1 KR 102474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tion
index
information
target lo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196A (ko
Inventor
조봉제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온
Priority to KR102020018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판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판단 장치는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염 예방을 위한 오염 지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llution level to prevent infection}
본 발명은 식중독 지수, 공기질 지수, 감기 가능 지수 등 각종 오염 지수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병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식중독 지수, 공기질 지수, 감기 가능 지수 등과 같은 각종 오염 지수가 정확하게 판단될 필요가 있다.
질병 발생을 억제하는 정책은 범국가적으로 관심을 갖는 분야이므로, 국가, 지방 정부 단위로 각종 정책 및 제반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 규모 또는 지역 규모로 판단되는 오염 지수는 각 가정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지수이므로, 각 가정 단위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가정 단위로 효과를 발휘하는 공기 청정기 및 공간 살균기 등의 오염 억제 장치의 경우 국가 규모로 판단된 오염 지수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것이 무의미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78568호에는 음식물이 저장된 저장창고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창고 내부의 현재 온도 및 습도 등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식중독균의 증식과 음식물 변질 여부를 예측하는 식중독 예보지수와 비교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78568호
본 발명은 각종 오염 지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동시에 오염 지수에 대응하는 이펙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판단 장치는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단 방법은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식중독 지수, 부패 지수, 공기질 지수인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이산화탄소 및 감기 가능 지수를 모두 포함하는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은 타겟 위치의 오염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 또는 타겟 위치가 포함된 광범위 지역의 오염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된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종류의 오염 정보가 입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은 규격부를 통해 각 오염 정보마다 설정 기준을 부여하거나 설정 기준을 이용해서 복수의 오염 정보를 규격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물리 단위를 갖거나 서로 다른 스케일의 수치를 갖는 복수의 오염 정보를 통해 정형화된 오염 지수가 도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온도, 습도 이외의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를 추가로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집된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타겟 위치를 공간 제균, 표면 제균, 소독의 목표 객체가 되는 세균 또는 바이러스 및 생활 악취의 존재 유무를 보다 현실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단된 오염 지수에 따르면, 차아염소산수 등의 제균수를 살포할 시점, 타겟 위치의 오염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시점 등과 같은 효과 시점(이펙팅 타임)이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균수를 살포하는 제균부 등의 이펙터가 적절한 타이밍에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판단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펙터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통합실내 바이오에어로졸 지수(CIBAI)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4는 식중독 지수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5는 공기질 지수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6은 감기가능지수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판단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펙터(1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규격화부에 의해 규격화된 오염 정보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4는 식중독 지수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5는 공기질 지수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6은 감기가능지수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면에 도시된 판단 장치는 수집부(310), 규격부(330), 판단부(350), 이펙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310)는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타겟 위치는 오염 정보를 수집할 장소로 선정되거나, 제균부 등의 이펙터(10)가 목표로 하는 장소로 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타겟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정되며, 판단 장치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는 주거시설, 다중이용시설, 의무소독대상시설, HACCP적용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조시설, 공기청정기, 에어컨, 가습기, 제습기, 공간살균기, 소독기 등의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오염 정보는 타겟 위치가 각종 세균, 바이러스, 먼지, 유해 가스, 생활 악취 등에 의해 오염된 사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오염 정보는 식중독 지수, 부패 지수, 감기 가능 지수, 지름이 2.5㎛ 이하인 초미세먼지, 지름이 10μm보다 작은 미세먼지,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산화탄소, 불쾌 지수, 소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염 정보로 기재된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는 예를 들어 ug/m3 단위 등의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식중독 지수는 0~100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부패 지수는 0~9의 정수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공기질 지수는 0~100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감기 가능 지수는 1~5등급으로 구분되며, 1.4759~3.1316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불쾌 지수는 온도를 습도로 나눈 값을 기초로 0~100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소음은 dB(데시벨) 단위일 수 있다.
수집부(310)를 통해 획득된 복수의 오염 정보는 종류, 단위, 측정 스케일 등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미세 먼지의 농도가 36ug/m3 로 수집되고, 암모니아가 31ug/m3 로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초미세 먼지의 경우 36ug/m3 부터 오염 지수 '나쁨'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초미세 먼지의 기준값을 그대로 암모니아에 적용하면 암모니아 31ug/m3는 오염 지수 '나쁨'에 해당되지 못하고, 오염 지수 '보통'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암모니아 31ug/m3 는 오염 지수 '나쁨'으로 구분되어야 하는 수치이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구분값, 하한값, 상한값, 경계값 등의 기준값이 오염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먼저, 판단부(350)는 오염 지수를 복수의 오염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집부(310)는 오염 정보에 해당하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는 센서를 이용해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온도, 습도를 수집하고, 타 시스템으로부터 식중독지수, 부패지수, 감기가능지수를 수집할 수 있다.
규격부(330)는 제1 정보에 제1 기준을 적용해서, 제1 정보에 대한 각 오염 구간의 제1 구분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규격부(330)는 제2 정보에 제2 기준을 적용해서, 제2 정보에 대한 각 오염 구간의 제2 구분값을 설정할 수 있다.
판단부(350)는 센서에서 수집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온도, 습도와 타 시스템에서 수집된 식중독지수와 감기가능지수를 모두 이용해서 감염예방 오염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350)는 제1 구분값을 이용해서 제1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제1 오염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350)는 제2 구분값을 이용해서 제2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제2 오염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정보와 제2 정보는 식중독 지수, 부패 지수, 감기 가능 지수,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산화탄소, 불쾌 지수, 소음 중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인자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규격부(330)는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격부(330)는 초미세 먼지의 경우, 오염 지수 '나쁨'을 구분하는 제1 구분값에 해당하는 하한값을 36ug/m3 로 설정할 수 있다. 규격부(330)는 암모니아의 경우, 오염 지수 '나쁨'을 구분하는 제1 구분값에 해당하는 하한값을 31ug/m3 로 설정할 수 있다. 규격부(330)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미세 먼지는 36ug/m3 일 때 오염 지수 '나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암모니아는 31ug/m3 일 때 오염 지수 '나쁨'으로 구분될 수 있다.
판단부(350)는 규격화된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규격부(330)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농도 구분값 BPLO, BPHI이 각 오염 구간별로 설정될 수 있다. BPLO는 각 오염 구간의 하한값을 나타낼 수 있다. BPHI는 각 오염 구간의 상한값을 나타낼 수 있다.
판단부(350) 또는 규격부(330)는 오염 지수를 복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예로, 오염 지수는 '좋음' 구간, '보통' 구간, '나쁨' 구간, '매우나쁨'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규격부(330)에 의해 각 오염 구간마다 상한값 BPHI, 하한값 BPLO가 마련될 수 있다.
수집부(310)는 타겟 위치에 설치된 센서(13)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 정보는 앞에서 설명된 각종 오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위치를 포함하는 광범위 지역의 오염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외부 서버가 존재할 때. 수집부(310)는 외부 서버로부터 통신 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정보는 각종 오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 정보는 센싱 정보와 통신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실내의 실제 오염 상태는 원거리의 외부 서버에서 파악한 통신 정보보다 타겟 위치에 배치된 센서(13)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와 직접 관련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해 규격부(330)는 센싱 정보에 대한 중요도를 통신 정보의 중요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규격부(330)는 센싱 정보에 센싱 가중치를 부여하고, 통신 정보에 센싱 가중치보다 낮은 통신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판단부(350)는 센싱 가중치가 부여된 센싱 정보와 통신 가중치가 부여된 통신 정보를 모두 이용해서 오염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가중치는 센싱 가중치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통합실내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CIBAI(Comprehensive Indoor Bio Aerosol Index)를 산출한 값 BI에 센싱 가중치 또는 통신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통합실내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CIBAI(Comprehensive Indoor Bio Aerosol Index)는 식중독 지수와 공기질 지수의 평균값에 센싱 가중치 또는 통신 가중치가 부여된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통합실내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BI는 다음의 수학식1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통합실내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BI는 오염 정보를 가공한 값으로, 해당 통합실내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역시 오염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BI는 {식중독 지수+(공기질 해당 구간 지수/최대값)*100)}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일 예로 수학식1과 같을 수 있다. 바이오에어로졸 지수는 트리거값을 만족하면 제균수를 살포하는 동작을 유발하는 오염 지수에 해당될 수 있다.
Figure 112020143695497-pat00001
여기서, N은 가중치이며, 타겟 위치의 습도 또는 온도를 증가시키는 제습 동작, 온열 동작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식중독 지수 Pfood는 다음의 수학식2로 나타낼 수 있다. 식중독 지수는 수학식1의 첫번째 항에 해당될 수 있다.
Figure 112020143695497-pat00002
여기서, P(식중독이 1건 이상 발생할 확률) = 1-exp(-exp(A))이고,
A(발생 건수) = 0.0707온도(℃) × 0.0152습도(%) ? 4.5946이다.
공기질 지수 CI는 다음의 수학식3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공기질 지수는 수학식1의 두번째 항에 해당될 수 있다.
Figure 112020143695497-pat00003
C는 대상 오염 물질의 농도로, 오염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Blow는 도 3에서 해당 오염 정보가 속한 구간의 농도 하한값(BPLO)이다.
Bhigh는 도 3에서 해당 오염 정보가 속한 구간의 농도 상한값(BPHI)이다.
Ilow는 도 3에서 해당 오염 정보가 속한 구간의 제1 지수 구분값(ILO)이다.
Ihigh는 도 3에서 해당 오염 정보가 속한 구간의 제2 지수 구분값(IHI)이다.
감기 가능 지수는 수학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0143695497-pat00004
Tempmin은 최저 기온 등급값으로 1~4이다.
Tempdif는 온도차 등급값으로 1~4로 나타나며,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 간의 차를 산출한 값이다.
rh는 상대 습도 등급값으로 1~4로 나타나며, 실외 습도와 실내 습도 간의 차를 산출한 값이다.
Ip는 현재 기압 등급값으로 1~4이다.
a1, a2, a3, a4는 요소별 가중치이다. 규격부(330)는 BI 산출에 사용된 오염 정보가 통신 정보이면 1 미만의 통신 가중치를 부여하고, BI 산출에 사용된 오염 정보가 센싱 정보이면 1 초과의 센싱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판단부(350)는 센싱 가중치가 부여된 센싱 정보 또는 통신 가중치가 부여된 통신 정보를 이용해서 오염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350)에서 판단된 오염 지수에 따라 이펙터(10)의 동작 시점 또는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BI는 낮을수록 오염도가 낮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BI값이 기설정된 트리거값을 만족하면, 살포기 등을 통해 세균을 제거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균수가 살포될 수 있다.
제균수가 살포되면, 세균, 부유균의 제거 등으로 인해 공기질이 자연스럽게 개선될 수 있다. 그런데, 제균수가 분무 상태로 살포되면 습도가 증가되며, 증가된 습도로 인해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BI는 오히려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균수의 살포 이후에도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BI가 계속해서 악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악화된 상태로 유지되는 바이오에어로졸 지수로 인해 제균수가 연속적으로 장시간동안 살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무니없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오염 지수를 변경하는 가중치(조절 변수)가 이용될 수 있다.
규격부 또는 판단부는 제균수가 살포되면, 수학식 1의 가중치(조절 변수) N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중치 N의 증가는 수학식1의 공기질 지수의 감소를 의미할 수 있다. 제균수 살포로 인해 공기질 지수는 자연스럽게 감소될 수 있다. 이 상태에 가중치가 적용되면, 공기질 지수가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가중치의 적용으로 인해 추가로 감소된 공기질 지수의 감소량은 제균수 살포로 인해 증가되는 식중독 지수의 증가량을 상쇄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규격부 또는 판단부는 오염 지수를 결정하는 식중독 지수와 공기질 지수 및 감기가능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조절 가능한 조절 변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균수가 살포되면, 규격부 또는 판단부는 식중독 지수와 공기질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 변수의 값을 증감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규격부 또는 판단부는 평소에 식중독 지수와 공기질 지수 및 감기가능지수를 함께 이용해서 오염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균수가 살포되면, 해당 살포 시점부터 설정된 유지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식중독 지수와 공기질 지수 중 공기질 지수만 이용해서 오염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균수 살포로 인해 악화되는 식중독 지수에 의해 제균수 작업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단 장치는 몇몇 종류의 오염 정보를 집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집부(310)는 식중독 지수, 부패 지수, 미세먼지,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350)는 식중독 지수, 부패 지수,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를 모두 이용해서 오염 지수를 판단하거나 이펙터(10)의 동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수집부(310)는 오염 정보에 해당하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규격부(330)는 제1 정보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며, 제2 정보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판단부(350)는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1 정보를 이용해서 제1 오염 지수를 판단하고, 제2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제2 오염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오염 지수와 제2 오염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동작하는 이펙터(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펙터(10)의 동작은 각종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일 예로, 이펙터(10)는 표시부, 경보부, 제균부,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오염 지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는 오염 지수를 음성적으로 안내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는 알람 소리를 출력하는 알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균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타겟 위치를 소독할 수 있다. 일 예로, 제균부는 차아염소산수 등의 제균수를 타겟 위치에 살포하는 공기 청정기, 공간 제균기, 살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오염 지수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들 이펙터(10)는 판단부(350)에서 판단된 오염 지수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펙터(10)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인자로 제1 오염 지수와 제2 오염 지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펙터(10)를 동작시키는 오염 정보의 종류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타겟 위치의 오염을 적극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이펙터(10)는 판단부(350)에서 판단된 오염 지수가 트리거값을 만족하면 타겟 위치에 대한 공기 청정, 공간 제균, 소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이펙터(10)는 타겟 위치에 제균수를 살포하는 제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타겟 위치의 청결을 위해 이펙터(10)는 타이머(11)에 의해 설정 주기 T마다 타겟 위치에 제균수를 살포할 수 있다.
이펙터(10)는 시시각각 변하는 타겟 위치의 오염 상태에 대응하기 위해 센서(13) 또는 판단부(350)를 통해 오염 지수가 트리거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파악될 때마다 제균수를 추가로 타겟 위치에 살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제균수의 살포 회수가 일부 제한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의 경우 인체에 무해하지만, 세균 등을 산화시키면서 발생하는 각종 유독 가스로 인해 사용자가 구토, 멀미, 어지러움증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시간 t1 또는 t2 이내에 반복해서 제균수가 살포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판단부(350)에 의해 오염 상태가 제균수 살포 수준으로 판단되는 상황이 일정 시간 내에 반복될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이펙터(10)를 대상으로 특별한 제어가 요구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이펙터(1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모드는 설정 주기 T마다 타겟 위치를 향해 제균수를 살포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판단부(350)에서 판단된 오염 지수에 따라 제균수를 살포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이펙터(1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의 종료 이후 설정 시간 이내에 다른 제2 모드가 발동되면, 다른 제2 모드를 설정 시간의 경과 시점까지 연기할 수 있다.
이펙터(10)는 설정 시간의 경과 시점에서 다른 제2 모드의 동작 조건을 다시 검토할 수 있다.
이펙터(10)는 검토 결과 다른 제2 모드의 동작 조건이 충족되면 다른 제2 모드를 실행하며, 검토 결과 다른 제2 모드의 동작 조건이 불충족되면 다른 제2 모드의 실행을 취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균수의 살포 이후 일정 시간의 경과 전에는 다음 제균수의 살포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제균수의 재살포가 금지된 일정 시간을 어기고 해당 일정 시간 내에 제균수가 살균되는 것이 유리한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내에 발생된 오염이 너무 심각한 경우, 일정 시간의 경과시까지 제균수의 살포를 기다리면서 발생되는 폐해가 제균수의 재살포로 발생되는 폐해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일정 시간을 어기고 제균수를 재살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오염 지수 및 설정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타겟 위치에 제균수를 살포하는 이펙터(10)는 일정 시간 내의 제균수 재살포를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펙터(10)는 상기 제균수를 살포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이내에 제균수의 추가 살포가 요청되면, 추가 살포의 요청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이펙터(10)는 요청 원인의 종류 또는 요청 원인에 해당하는 오염 지수의 경중에 따라 요청 원인의 재발동 가능 시간을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오염 지수의 경중은 설정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수학식1을 통해 산출된 통합실내 바이오에어로졸 지수 BI가 '45.6' 이상이면, 오염 지수가 중증인 상태로 파악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서 각종 오염 정보의 수치가 오염 구간 '나쁨' 또는 '매우 나쁨'에 해당되면, 오염 지수가 중증인 상태로 파악될 수 있다.
이펙터(10)는 설정 시간 t1, t2 이내라 하더라도 재발동 가능 시간의 만족 여부에 따라 추가 살포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정 시간 이내의 재균수의 재살포로 인한 사용자의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1회당 살포 시간 d1을 조절하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펙터(10)는 제균수를 살포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이내에 제균수의 추가 살포가 요청되면, 추가 살포가 수행되는 기간 d1을 평소보다 줄인 상태로 추가 살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펙터(10)는 살포된 제균수가 타겟 위치에 넓게 퍼지도록 팬(15)(fan)과 복합 필터를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펙터(10)에는 제균수가 살포되는 노즐이 마련될 수 있다.
노즐에 의해 제균수가 제1 방향을 따라 분사될 때, 팬(15)은 제1 방향에 기울어진 제1 방향을 따라 바람이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15)은 제균수가 분사되면서 경유하는 경로를 향해 흐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은 제균수를 측면 방향에서 덮치게 되며, 제균수는 측면 방향으로부터 바람을 맞게 되며 바람에 의해 넓게 퍼질 수 있다.
이펙터(10)는 제균수가 살포되는 시점과 1회당 살포 시간 d1에 매칭되게 바람의 세기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이펙터(10)는 제균수가 살포될 때에 맞춰 강풍 s이 생성되도록 팬(15)을 제어할 수 있다.
이펙터(10)는 제균수의 살포가 중지되면 강풍 s보다 약한 약풍 w가 생성되도록 팬(15)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단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판단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단 방법은 수집 단계, 판단 단계, 이펙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단계는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식중독 지수, 감기가능지수, 부패 지수,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온도, 습도를 모두 포함하는 오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 단계는 수집부(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식중독 지수 또는 부패 지수는 환경청, 기상청 등의 외부 서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물론, 자체 센서(13)를 통해 센싱된 온도와 습도 등을 이용해서 분석한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판단 단계는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3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펙팅 단계는 오염 지수가 트리거값을 만족하면, 타겟 위치에 차아염소산수를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다. 이펙터(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판단 장치 등) 일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외부의 서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서버 장치로 센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 장치(TN140)는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 예를 들어 통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이펙터 11...타이머
13...센서 15...팬
300...판단 장치 310...수집부
330...규격부 350...판단부

Claims (17)

  1.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 정보는 상기 타겟 위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신 정보로 구분되고,
    상기 규격부는 상기 센싱 정보에 센싱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통신 정보에 상기 센싱 가중치보다 낮은 통신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센싱 정보 또는 상기 통신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통신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 장치.
  2. 삭제
  3.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센서로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온도, 습도를 수집하고 타 시스템에서 식중독지수, 부패지수, 감기가능지수를 수집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에서 수집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온도, 습도와 타 시스템에서 수집된 식중독지수와 감기가능지수를 모두 이용해서 감염예방 오염지수를 판단하는 판단 장치.
  4.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오염 정보에 해당하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규격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제2 정보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해서 제1 오염 지수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해서 제2 오염 지수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오염 지수와 상기 제2 오염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동작하는 이펙터가 마련된 판단 장치.
  5.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오염 지수를 복수의 오염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오염 정보에 해당하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규격부는 상기 제1 정보에 제1 기준을 적용해서,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각 오염 구간의 제1 구분값을 설정하고,
    상기 규격부는 상기 제2 정보에 제2 기준을 적용해서,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각 오염 구간의 제2 구분값을 설정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구분값을 이용해서 상기 제1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제1 오염 지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2 구분값을 이용해서 상기 제2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제2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는 식중독 지수, 감기가능지수와, 미세먼지, 암모니아, 황화수소,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산화탄소 및 온도, 습도, 소음 중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인자를 각각 포함하는 판단 장치.
  7.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오염 지수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되는 이펙터가 마련되고,
    상기 이펙터는 상기 오염 지수가 표시되는 표시부, 알람 소리를 출력하는 경보부, 상기 타겟 위치를 제균하는 제균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오염 지수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단 장치.
  8.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오염 지수가 트리거값을 만족하면 상기 타겟 위치를 제균하는 이펙터가 마련되고,
    상기 이펙터는 상기 타겟 위치에 제균수를 살포하는 판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식중독 지수와 공기질 지수 및 감기가능지수를 함께 이용해서 상기 오염 지수를 결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중독 지수와, 상기 공기질 지수 및 감기가능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조절 가능한 조절 변수를 부여하며,
    상기 제균수가 살포되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중독 지수와 상기 공기질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조절 변수의 값을 증감시키는 판단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평소에 식중독 지수와 공기질 지수를 함께 이용해서 상기 오염 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균수가 살포되면, 상기 판단부는 설정된 유지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식중독 지수와 상기 공기질 지수 중에서 상기 공기질 지수만 이용해서 상기 오염 지수를 결정하는 판단 장치.
  11.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위치에 제균수를 살포하는 이펙터가 마련되고,
    상기 이펙터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 주기마다 상기 제균수를 살포하는 판단 장치.
  12.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타이머에 의해 설정 주기마다 제균수를 상기 타겟 위치에 살포하는 이펙터가 마련되고,
    상기 이펙터는 센서 또는 판단부를 통해 상기 오염 지수가 트리거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파악될 때마다 상기 제균수를 추가로 살포하는 판단 장치.
  13.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이펙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모드는 설정 주기마다 상기 타겟 위치를 향해 제균수를 살포하는 동작 모드이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오염 지수에 따라 상기 제균수를 살포하는 동작 모드이고,
    상기 이펙터는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종료 이후 설정 시간 이내에 다른 제2 모드가 발동되면, 상기 다른 제2 모드를 상기 설정 시간의 경과 시점까지 연기하며,
    상기 이펙터는 상기 설정 시간의 경과 시점에서 상기 다른 제2 모드의 동작 조건을 다시 검토하고,
    상기 이펙터는 검토 결과 상기 다른 제2 모드의 동작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다른 제2 모드를 실행하며, 상기 검토 결과 상기 다른 제2 모드의 동작 조건이 불충족되면 상기 다른 제2 모드의 실행을 취소하는 판단 장치.
  14.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 지수 및 설정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타겟 위치에 제균수를 살포하는 이펙터가 마련되고,
    상기 이펙터는 상기 제균수를 살포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균수의 추가 살포가 요청되면, 상기 추가 살포의 요청 원인을 분석하며,
    상기 이펙터는 상기 요청 원인의 종류 또는 상기 요청 원인에 해당하는 상기 오염 지수의 경중에 따라 상기 요청 원인의 재발동 가능 시간을 가변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펙터는 상기 설정 시간 이내라 하더라도 상기 재발동 가능 시간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추가 살포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 장치.
  15.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규격부;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 지수 및 설정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타겟 위치에 제균수를 살포하는 이펙터가 마련되고,
    상기 이펙터는 상기 제균수를 살포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균수의 추가 살포가 요청되면, 상기 추가 살포가 수행되는 기간을 줄인 상태로 상기 추가 살포를 수행하는 판단 장치.
  16. 판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판단 방법에 있어서,
    타겟 위치의 오염과 관련된 오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오염 정보를 설정 기준에 따라 규격화하는 단계;
    규격화된 상기 오염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타겟 위치의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 정보는 상기 타겟 위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신 정보로 구분되고,
    상기 규격화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에 센싱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통신 정보에 상기 센싱 가중치보다 낮은 통신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센싱 정보 또는 상기 통신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통신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오염 지수를 판단하는 판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지수가 트리거값을 만족하면, 상기 타겟 위치에 차아염소산수를 자동으로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판단 방법.
KR1020200188425A 2020-12-30 2020-12-30 감염 예방을 위한 오염 지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 KR102474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25A KR102474294B1 (ko) 2020-12-30 2020-12-30 감염 예방을 위한 오염 지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25A KR102474294B1 (ko) 2020-12-30 2020-12-30 감염 예방을 위한 오염 지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196A KR20220096196A (ko) 2022-07-07
KR102474294B1 true KR102474294B1 (ko) 2022-12-05

Family

ID=8239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25A KR102474294B1 (ko) 2020-12-30 2020-12-30 감염 예방을 위한 오염 지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2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053B1 (ko) * 2016-04-26 2017-08-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통합 실내 공기질 알림지수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796298B1 (ko) 2016-05-03 2017-12-01 주식회사 세스코 자외선 공기살균기 및 자외선 공기살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762A (ko) * 2009-12-10 2011-06-16 재단법인 경기테크노파크 오염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8073A (ko) * 2010-02-26 2011-09-01 권오범 공기 청정 및 살균장치
KR101478568B1 (ko) 2014-08-25 2015-01-02 이은혜 식중독 지수 알림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16160B1 (ko) * 2014-11-28 2020-05-27 케이웨더(주) 통합 실내 환경 관리 장치
KR20200000867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계절변화에 따른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053B1 (ko) * 2016-04-26 2017-08-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통합 실내 공기질 알림지수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796298B1 (ko) 2016-05-03 2017-12-01 주식회사 세스코 자외선 공기살균기 및 자외선 공기살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196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221B2 (en) Cloud based HVAC manage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ir purificatio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same
Saad et al. Development of indoor environmental index: Air quality index and thermal comfort index
JP6644174B2 (ja) 空気清浄器
KR102175224B1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US10967093B2 (en) Pathogen mitigation
US10005019B2 (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controll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002459B2 (en)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air treatment apparatuses
KR20160065052A (ko) 통합 실내 환경 관리 장치
Szczurek et al. Categorisation for air quality assessment in car cabin
KR20170077691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US202201367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lating indoor air quality data and trends to pathogen remediation
KR20170077694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20230123927A (ko) 공기 중 바이러스 감염 위험 및 네트워크 공기질 센서의 공기질 분석을 위한 메타데이터 기반 방법 및 시스템
KR102474294B1 (ko) 감염 예방을 위한 오염 지수 판단 장치 및 판단 방법
Pereira et al. Impact of filtration conditions on air quality in an operating room
KR102263910B1 (ko)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WO2023044473A1 (e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heong et al. Intervention study of airborne fungal spora in homes with portable HEPA filtration units
US20220307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mitigation of risk of exposure to contaminants and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Cattaneo et al. Indoor air quality in offices
Ha et al. Evaluation of interventions to improve ventilation in households to reduce risk for transmission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KR20220061310A (ko) 바이오에어로졸 제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Brambilla et al. Can commercial buildings cope with Australian bushfires? An IAQ analysis.
Li et al.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with the aid of purifiers in two scenarios: Regular operation and mitigating the spread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GB2610851A (en) Aeroso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