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114B1 -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114B1
KR102474114B1 KR1020220061194A KR20220061194A KR102474114B1 KR 102474114 B1 KR102474114 B1 KR 102474114B1 KR 1020220061194 A KR1020220061194 A KR 1020220061194A KR 20220061194 A KR20220061194 A KR 20220061194A KR 102474114 B1 KR102474114 B1 KR 10247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chedule information
schedule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주
최정근
Original Assignee
(주)알트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트온 filed Critical (주)알트온
Priority to KR102022006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집, 사무실과 같은 임의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에 구성되는 것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기 위한 캘린더 앱을 포함하며, 상기 캘린더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정 정보에서 상기 공간으로부터 외출 정보, 복귀(귀가) 정보나 휴일 정보,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와 여기에 해당되는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홈네트워크 관리앱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관리앱으로부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무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고, 기설정된 사용자의 공간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조명기기를 상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임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지 못할 경우 상기 그룹 내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아 공동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스위칭 기기 및 상기 스위치 기기로부터 입력받는 온(ON)/오프(OFF)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별 개별 공간에 해당되는 개별 조명기기와, 그룹 공간에 해당되는 공동 조명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Home network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smartphone scheduling}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족간 사용자들의 스케줄 정보를 활용하여 집안의 조명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전력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란 유무선통신과 디지털 정보 기기를 기반으로 홈네트워킹과 인터넷 정보가전을 이용해 언제(Anytime), 어디서(Any-place)나, 어떤 기기(Any-device)로도 컴퓨팅 이용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가정 내에 실현해 '생활환경의 지능화, 환경친화적 주거생활, 삶의 질 혁신'을 추구하는 지능화 된 가정 내 생활환경 및 주거공간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 스마트 홈(Smart home)이라고도 한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0049977호가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집안 곳곳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이 기술은 사용자의 음성을 정확히 인식을 해야만 작동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태나 위치에 따라 오작동이나 아예 작동이 안 될 수 있고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할 수 없고, 음성으로 내린 명령은 댁내 가전제품의 작동제어를 위한 단방향의 명령만 가능하고 사용자가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잡한 장비와 설치과정으로 인해 기존에 지어진 건물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설치를 하더라도 건물 전체를 리모델링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시간과 비용이 많이 게 된다. 따라서 신축건물을 설계단계에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치가 고려된 건물에만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할 수 있었다.
한편,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가 상호 소통되도록 하는 기술을 나타낸다. 각종 사물에는 센서와 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한다. 사물인터넷은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들이 상호정보를 교환하고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인터넷을 토해서 사물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은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스마트 홈 구축이 현실화되어 가고 있다. 스마트 홈은 TV, 에어컨,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수도, 전기, 조명, 냉난방 등의 에너지 소비 장치와 도어락, CCTV 등의 보안장치 등 집 안의 모든 장치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나타낸다. 특히, 스마트 홈 구축이 가장 빠르게 실현되고 있는 분야는 조명과 냉난방 분야이다.
조명 분야의 경우, 조명 장치 그 자체, 스마트 스위치 또는 스마트 조명 소켓 등의 이름과 형태를 갖는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다. 원활한 원격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하여 상기 제품들은 조명의 온오프 상태와 관계없이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여야 한다. 상기 제품들은 중성선이 직접 연결되어 상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거나, 대용량의 배터리를 내장하여 또는 건전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원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홈 구축 전의 대부분의 가정은 벽체 또는 천정 내에 상기 제품들에 연결할 수 있는 중성선이 사전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상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 작업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배터리 내장 또는 건전지 교체 방식은 제품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켜 경량화와 소형화에 장애가 된다.
이와 같이 4차 산업 혁명이라는 키워드가 등장하면서 IoT, ICT와 같은 융합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중에서 LED를 활용한 조명 기능 뿐 만 아니라 정보 송신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어, LED를 활용한 융합 기술에 대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LED 조명의 사용의 급증으로 LED를 활용한 가시광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LED 조명의 보급률도 급증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차세대 융합 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다.
KR 10-2100299호 KR 10-0892997호 KR 10-2016652호 KR 10-205894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스마트폰에 입력된 스케줄 정보를 활용하여 집안 내 조명을 유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력 소모 실현과 조명 제어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스케줄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스마트폰 내의 기설정되 다양한 종류의 캘린더 정보에 연동시켜 집안의 조명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조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 사무실과 같은 임의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에 구성되는 것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기 위한 캘린더 앱을 포함하며, 상기 캘린더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정 정보에서 상기 공간으로부터 외출 정보, 복귀(귀가) 정보나 휴일 정보,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와 여기에 해당되는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홈네트워크 관리앱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관리앱으로부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무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고, 기설정된 사용자의 공간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조명기기를 상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임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지 못할 경우 상기 그룹 내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아 공동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스위칭 기기 및 상기 스위치 기기로부터 입력받는 온(ON)/오프(OFF)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별 개별 공간에 해당되는 개별 조명기기와, 그룹 공간에 해당되는 공동 조명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앱은, 하나의 그룹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사용자별로 기초 정보에 해당되는 출/퇴근 시간, 출/퇴근 소요시간, 취침 시간, 기상 시간을 별도로 입력받아 상기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 기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임의의 날짜에 대하여 스케줄 정보에 별도의 스케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앱은 기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앱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스케줄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조명기기를 제어하되, 스케줄 정보가 없이 조건에서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조명기기를 제어할 경우 임의의 시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관리앱으로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알림 정보에서 제어 여부(Yes, No)를 결정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재입력이 없을 경우 기초 정보를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사용자들의 휴일모드, 휴가모드, 외출시간, 복귀시간, 취침시간, 기상시간 정보를 모두 취합하여 각각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일치 정보를 기반으로 공동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기에 관리되는 캘린더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외출 시간, 복귀 시간, 휴가 모드, 휴일 모드 등의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가정내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 화장실, 주방, 다용도실 등의 조명 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케줄에 기반하여 조명의 원격 관리를 수행함에 따라 전력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명 기기 외에도 냉난방기나 각종 가전 제품들을 외출 모드에서 자동 차단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기기 관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와 캘린더 앱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로 사용자 1의 스케줄 정보를 표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로 사용자 2의 스케줄 정보를 표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구성원간 통합 관리 기능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은, 집, 사무실과 같은 임의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에 구성되는 것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기 위한 캘린더 앱을 포함하며, 상기 캘린더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정 정보에서 상기 공간으로부터 외출 정보, 복귀(귀가) 정보나 휴일 정보,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와 여기에 해당되는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홈네트워크 관리앱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관리앱으로부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무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고, 기설정된 사용자의 공간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조명기기를 상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임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지 못할 경우 상기 그룹 내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아 공동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스위칭 기기 및 상기 스위치 기기로부터 입력받는 온(ON)/오프(OFF)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별 개별 공간에 해당되는 개별 조명기기와, 그룹 공간에 해당되는 공동 조명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즉, 스마트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용하는 캘린더 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출 정보, 복귀 정보, 휴가 정보, 휴일 정보, 취침 정보, 기상 정보 등의 사용자 스케줄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가 거주하는 집이나 생활하는 사무실 등 임의의 공간 내에 구성된 조명기기를 스케줄 기반으로 제어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기설정된 캘린더 정보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개별 조명이나 공동 조명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하나의 그룹 내 사용자들의 캘린더 정보를 취합하여 개별 조명과 공동 조명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없어도 집안 내에 조명 관리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 가정내 무선 통신망을 구현하는 홈통신망(또는 홈네트워크),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가정 내 설치된 다양한 조명 기기(300)를 제어하는 스위치 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 단말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캘린더 앱을 기반으로 캘린더 정보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의 조명 기기 또는 각종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한명 이상의 사용자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이나 회사 내의 조직 구성원 등 특정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참여자가 적용되는 사용자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룹이 속하는 임의의 공간인 가정집이나 회사, 특정 공간 등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동 공간에 대하여 스케줄 기반의 공동 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사용자가 입력 및 관리하는 스케줄 프로그램인 스케줄 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케줄 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일정 정보와 이에 따른 시간 정보를 통해 하나의 그룹에 대한 조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설치된 스케줄 앱과 연동하는 별도의 관리앱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 및 관리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망을 통해 그룹 내에 설치된 스위칭 기기(200)는 다수의 조명 기기나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기기(20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상에 접속 가능하며, 접속된 온라인 환경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조명기기와 전자기기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 기기(200)는 기본적으로 통신망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위칭 기기와 다양한 전자기기의 연결을 통해 온/오프 제어나 그외 다양한 기능 설정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기기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스케줄 정보에는 사용자의 외출 정보, 복귀(귀가) 정보, 휴가 정보, 휴일 정보, 취침 정보, 기상 정보 등 일정과 그에 따른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전 10 회의 정보와 회의 위치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 집에서 출발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이나 화장실과 같은 공간에 조명기기나 전자 기기가 켜져있을 때 해당 정보에 따라 오프(OFF)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최초 관리앱을 이용하여 자신의 방과 화장실 정보를 기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정 내 방 3개, 화장실 3개, 주방, 거실, 서재, 다용도실과 같은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을 경우 관리앱을 통해 공간 정보 설정과 자신(사용자)이 사용하는 방, 화장실 및 그외 공간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임의의 사용자 스케줄 정보와 기설정된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공간의 조명기기나 전자기기 등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그룹내 사용자인 엄마, 아빠, 큰딸, 둘째딸과 같이 4인 사용자가 그룹되었을 경우 각각 자신의 공간 정보를 사전에 설정하여야 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각각의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기기와 전자기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하나의 그룹내에 사용자 1 내지 사용자 4의 구성원이 그룹핑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1과 사용자 2는 첫째 자녀, 둘째 자녀에 해당되는 사용자이고, 사용자 3은 엄마, 사용자 4는 아빠 사용자에 해당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는 관리앱을 통해 자신이 사용하는 방 정보, 화장실 정보 및 그 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어 대상에 해당되는 조명기기는 개별 조명기기와 공동 조명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3은 엄마로써, 자신의 방 정보와 화장실 정보 그리고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공간인 주방에 해당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 4에 해당되는 아빠의 경우 방 정보, 화장실 정보, 서재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공동 정보에 해당되는 것인 거실이며, 개별 조명기기와 공동 조명기기별 선택적으로 제어는 아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자신이 사용하는 공간 정보에 대하여 사전에 관리앱을 통해 기설정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스케줄 앱은 관리앱(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설치되는 별도의 프로그램에 해당)과 자동 연동하여 각각의 사용자별 일정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에 해당되는 공간의 기기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와 캘린더 앱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기설치된 스케줄 앱(110)과 여기에 연동하는 홈네트워크 관리앱(120)을 통하여 다양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상기 스케줄 앱(110)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스케줄 프로그램에 해당되며, 이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일정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일정 정보를 앞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외출 정보, 복귀 정보, 휴가, 휴일, 기침, 기상 등의 정보를 통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별도로 설치되는 홈네트워크 관리앱(120)을 설치하면 기설치된 스케줄 앱과 자동 연동되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 받아 제어되기 때문에 별도의 스케줄 입력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최초 기본적인 스케줄 정보를 사전에 입력받아 보다 정확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출근 시간 정보와 퇴근 시간 정보, 통상적인 취침, 기상 시간 정보를 사전에 입력할 경우 보다 정확한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 기기에 홈네트워크 관리앱(120)을 별도로 설치하면 기설치된 스케줄 앱으로부터 일정 정보를 수신 받아 자신의 방이나 공동 공간에 대한 조명기기,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로 사용자 1의 스케줄 정보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사용자 1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설치된 홈네트워크 관리앱은 사용자 단말기에 기설치된 캘린더와 연동하여 기입력된 스케줄 정보를 수신 받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일(수요일) 외출 09:00 , 복귀 19:00 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가 최초 자신의 출퇴근 정보를 입력한 후 별도의 스케줄 정보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외출 정보와 복귀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사전에 출퇴근에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대략적으로 입력(30분, 60분, 90분 등)하면 보다 정확한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스케줄 정보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퇴근 시간과 출퇴근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조명기기를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보자면, 출근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오전 9시 정시 출근이며 출근 소요 시간이 60분 일 경우 오전 8시를 기준으로 자신의 방과 화장실 조명기기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퇴근 시간 기준으로 별도의 스케줄 정보가 없을 경우 사전에 입력된 톼근시간 18:00와 퇴근 소요 시간 60분일 경우 19:00를 기초로 자신의 방의 조명을 온(On)시킨다.
한편, 별도의 스케줄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 예를 들어 저녁 약속 18:00 ~ 20:00 로 입력되고, 장소가 집과 30분 떨어진 위치에 해당될 경우에는 20:30 이후에 자신의 방이나 화장실의 조명기기가 온(On)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시 도면에서 보면, 4일(금요일)과 5일(토요일)은 각각 휴가모드와 휴일모드로 설정되어 있는데, 4일 금요일의 경우 사용자가 휴가로 지정된 스케줄 정보를 수신 받았기 때문에 휴가 일정에는 조명기기를 능동 제어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인 제어가 되도록 하며 5일(토요일)은 휴일 모드로써, 이것 또한 마찬가지로 조명기기를 능동제어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이나 화장실 또는 임의의 공간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조명기기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해소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로 사용자 2의 스케줄 정보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 2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홈네트워크 관리앱이 수신 받아 저장하게 되고 사용자 2에 해당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 공간의 조명기기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제어 알림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앱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스케줄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조명기기를 제어하는데, 여기서 스케줄 정보가 없는 조건에서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조명기기를 제어할 경우 임의의 시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관리앱으로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기초 정보에 해당하는 출/퇴근 시간이나 기상/취침 시간에 따라 제어할 때 그외 스케줄 정보가 없을 경우 조명기기를 온/오프할 때 사전에 사용자 단말기로 온/오프 할 것이라고 알림 정보를 안내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알림 정보를 통해 해당 기기의 온/오프 사전 안내 정보가 발생되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계속 진행할 것인지 아니면 제어에 비동의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잠시후 중앙등이 소등될 예정입니다. 진행하시겠습니까?"라는 안내 알림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고 사용자가 동의하면 그대로 진행되고 동의하지 않을 경우 비동의 버튼에 터치시 그에 따른 제어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알림 정보에서 제어 여부(Yes, No)를 결정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재입력이 없을 경우 기초 정보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구성원간 통합 관리 기능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의 도시는 하나의 그룹내에 포함된 구성원들의 일정 정보를 취합하여 동일한 일정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를 통해 해당기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구성원 전체에 대하여 휴일모드, 휴가모드, 외출시간 정보, 복귀시간 정보에 따라서 공동 조명기기나 개별 조명기기를 통합 제어한다.
구성의 각각의 스케줄 정보에서 예를 들어 7일(일요일) ~ 9일(화요일) 모두 휴가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공동 기기와 개별 기기를 전체 소등하는 명령 신호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룹내 구성원인 사용자들의 스케줄 정보에 기반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공공시설 등에 설치된 다양한 조명기기나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기에 관리되는 캘린더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외출 시간, 복귀 시간, 휴가 모드, 휴일 모드 등의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가정내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 화장실, 주방, 다용도실 등의 조명 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케줄에 기반하여 조명의 원격 관리를 수행함에 따라 전력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명 기기 외에도 냉난방기나 각종 가전 제품들을 외출 모드에서 자동 차단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기기 관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스케줄 관리앱
120 : 관리앱
200 : 스위칭 기기
300 : 조명기기
310 : 개별 조명기기
320 : 공동 조명기기

Claims (3)

  1. 집, 사무실과 같은 임의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에 구성되는 것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기 위한 캘린더 앱을 포함하며, 상기 캘린더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일정 정보에서 상기 공간으로부터 외출 정보, 복귀(귀가) 정보나 휴일 정보,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와 여기에 해당되는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홈네트워크 관리앱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관리앱으로부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무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고, 기설정된 사용자의 공간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조명기기를 상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임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지 못할 경우 상기 그룹 내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 받아 공동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스위칭 기기; 및
    상기 스위칭 기기로부터 입력받는 온(ON)/오프(OFF)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별 개별 공간에 해당되는 개별 조명기기와, 그룹 공간에 해당되는 공동 조명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앱은 하나의 그룹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사용자별로 기초 정보에 해당되는 출/퇴근 시간, 출/퇴근 소요시간, 취침 시간, 기상 시간을 별도로 입력받아 상기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 기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칭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임의의 날짜에 대하여 스케줄 정보에 별도의 스케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앱은 기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칭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앱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스케줄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조명기기를 제어하되,
    스케줄 정보가 없는 조건에서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조명기기를 제어할 경우 임의의 시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관리앱으로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알림 정보에서 제어 여부(Yes, No)를 결정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재입력이 없을 경우 기초 정보를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사용자들의 휴일모드, 휴가모드, 외출시간, 복귀시간, 취침시간, 기상시간 정보를 모두 취합하여 각각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일치 정보를 기반으로 공동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61194A 2022-05-19 2022-05-19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47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194A KR102474114B1 (ko) 2022-05-19 2022-05-19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194A KR102474114B1 (ko) 2022-05-19 2022-05-19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114B1 true KR102474114B1 (ko) 2022-12-05

Family

ID=8439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194A KR102474114B1 (ko) 2022-05-19 2022-05-19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1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220B1 (ko) * 2023-05-04 2023-10-31 (주)알트온 사용자 취향과 환경 패턴 분석을 통한 조명 제어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486A (ja) * 2000-06-12 2002-03-12 Qript One Soft Ltd 通信システム
KR100892997B1 (ko) 2007-04-11 2009-04-24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음성서비스및 조명제어 방법
JP2012174513A (ja) * 2011-02-22 2012-09-10 Digital Electronics Corp スイッチ装置およびスイッチ制御プログラム
KR102016652B1 (ko) 2018-06-29 2019-08-30 여운남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IoT 조명 스위치 모듈
KR102042186B1 (ko) * 2019-08-08 2019-11-27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제공 방법
KR102058943B1 (ko) 2018-05-30 2019-1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조명 시스템 기반 홈 케어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00299B1 (ko) 2018-11-16 2020-04-13 주식회사 인성정보대구지사 상호작용형 스마트 홈케어 조명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486A (ja) * 2000-06-12 2002-03-12 Qript One Soft Ltd 通信システム
KR100892997B1 (ko) 2007-04-11 2009-04-24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음성서비스및 조명제어 방법
JP2012174513A (ja) * 2011-02-22 2012-09-10 Digital Electronics Corp スイッチ装置およびスイッチ制御プログラム
KR102058943B1 (ko) 2018-05-30 2019-1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조명 시스템 기반 홈 케어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6652B1 (ko) 2018-06-29 2019-08-30 여운남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IoT 조명 스위치 모듈
KR102100299B1 (ko) 2018-11-16 2020-04-13 주식회사 인성정보대구지사 상호작용형 스마트 홈케어 조명 제어방법
KR102042186B1 (ko) * 2019-08-08 2019-11-27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220B1 (ko) * 2023-05-04 2023-10-31 (주)알트온 사용자 취향과 환경 패턴 분석을 통한 조명 제어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bba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based automation system for smart home
US10070505B2 (en) Scalable build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Gupta et al. IoT based Smart Home design using power and security management
CN108536188B (zh) 用于资源节约的hvac排程的自动化调整
WO2015070708A1 (zh) 一种智能家居场景切换方法及系统
CN102498448A (zh) 能源管理系统和方法
CN102119507A (zh) 用于能量管理的系统和方法
KR102474114B1 (ko) 스마트폰 스케줄링 기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Gupta et al. IoT based power efficient system design using automation for classrooms
CN105511286A (zh) 一种基于多条件判断的智能家居情景控制方法及系统
CN108979339A (zh) 一种具有电量提醒功能的智能门锁及使用方法
CN202735782U (zh) 一种智能家庭综合控制系统
Ikezawa et al. Convenience survey of IoT house equipment for a smart life
CN105338699A (zh) 基于智慧家居设计的灯光控制电路
EP3811164B1 (en) Retrofit smart home controller device with power supply module, charger and dock
CN203825455U (zh) 一种家居监控系统
KR101945238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조명스위치 및 조명스위치 시스템
CN113341750A (zh) 一种智能家居全景互联式中控屏系统
KR20080082516A (ko) 링킹 유틸리티 제어 장치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9387A (ko) 스마트 그리드 대기전력절감 시스템
CN204883345U (zh) 一种智能家居管理控制系统
WO2020172847A1 (zh) 智能设备及其取电电路与方法
Islam et al. Intelligent Energy Efficient Embedded Home Automation System
CN109818348B (zh) 智能设备及其取电电路与方法
Al-Atwan et al. Wireless control system for an intelligen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