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762B1 -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762B1
KR102473762B1 KR1020170067906A KR20170067906A KR102473762B1 KR 102473762 B1 KR102473762 B1 KR 102473762B1 KR 1020170067906 A KR1020170067906 A KR 1020170067906A KR 20170067906 A KR20170067906 A KR 20170067906A KR 102473762 B1 KR102473762 B1 KR 10247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movement
t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451A (ko
Inventor
문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주식회사 맵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주식회사 맵퍼스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7/0057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209537A1/ko
Publication of KR2017013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교통수단의 유형, 그린 존, 그린 마일리지, 및 교통 애플리케이션 등이 연계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고, 단일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앱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앱을 이동경로에 할당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동시에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및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시킬 수 있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odal Transportation In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Preference}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는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행자들은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이라 함)을 스마트폰 등에 설치하고, 앱을 이용하여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앱들은 단일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통행자들은 복수의 앱들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하나씩 실행시킨다. 즉, 통행자들은 자신의 통행목적, 통행시간, 통행비용, 개인의 특성 또는 경험에 기반하여 설치된 앱들 중에서 하나의 앱을 선택적으로 이용한다.
통행자들이 동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실행하는 앱들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컨대, 내비게이션 앱으로 아틀란 3D, 카카오내비, 또는 티맵 등이 있지만, 통행자들은 이들 앱 중에서 특정 앱 만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각각의 앱이 타사의 앱보다 차별화된 요소를 갖기 때문에, 통행자마다 앱에 대한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통행자들은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앱 간에 서로 연동되지 않는 불편함을 겪는다. 이유는 앱 제공업체마다 정해진 표준없이 자체 개발하다 보니 교통수단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나 포맷이 서로 상이하고, 앱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교통수단 정보가 자신의 자산이다 보니 비공개로 운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행자들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동종 또는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가 결합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환경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고,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분야에서도, 글로벌 에너지 위기와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의 교통체계 및 교통 제어 전략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서도 보다 친환경적인 지능형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앱은 교통수단의 유형, 연비, 탄소배출량, 그린 존(Green Zone), 및 그린 마일리지(Green Mileage) 등과 연계된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그린 존은 특정 지역의 대기 오염도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입이 통제되는 지역이고, 그린 마일리지는 통행자의 친환경적인 노력에 관한 일종의 적립 포인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통행자들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동종 또는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가 결합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단일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앱들 간에 연동시키려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교통수단의 유형, 그린 존, 그린 마일리지, 및 교통 애플리케이션 등이 연계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고, 단일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앱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앱을 이동경로에 할당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동시에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및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시키는 데 발명의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으로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설정하는 과정,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이동경로는 하나 이상의 이동구간을 포함함, 각각의 이동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할당하는 과정,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상기 이동구간마다 할당된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동종 또는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결합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인터페이스가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 라이브러리 관리부를 포함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유형의(Tangibl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교통수단 정보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설정하는 과정,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이동경로는 하나 이상의 이동구간을 포함함, 각각의 이동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할당하는 과정,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상기 이동구간마다 할당된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교통수단의 유형, 그린 존, 그린 마일리지, 및 교통 애플리케이션 등이 연계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고, 단일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앱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앱을 이동경로에 할당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동시에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및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경로가 서로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복수의 이동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이동구간마다 교통수단 앱을 스위칭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와 연동하는 복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의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또는, 플랫폼)와 연동하는 복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들(110 내지 160)과 연동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들(110 내지 160)은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한다. 교통수단으로는 도보, 자전거, 자가용, 대중교통(지하철 및 버스), 항공기, 열차, 택시, 카셰어링, 원웨이 렌터카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애플리케이션들은 자동차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110), 주차장 정보 애플리케이션(120), 티켓 예약 애플리케이션(130), 카쉐어링 애플리케이션(140), 택시 애플리케이션(150), 대중교통 애플리케이션(16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애플리케이션들(110~160)은 다양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110)은 아틀란 3D, 카카오내비, 티맵, 네이버내비 등이 있을 수 있고, 주차장 정보 애플리케이션(120)은 모두의 주차장, 파킹 박 등이 있을 수 있고, 티켓 예약 애플리케이션(130)은 항공기 예약 앱, 열차 예약 앱 등이 있을 수 있고, 카쉐어링 애플리케이션(140)은 쏘카(SOCAR), 집카(Zipcar) 등이 있을 수 있고, 택시 애플리케이션(150)은 이지 택시, 카카오 택시, 우버(Uber) 등이 있을 수 있고, 대중교통 애플리케이션(160)은 타고(TAGO), 서울 TOPIS(Seoul Transport OPer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구글 맵, 네이버 맵, 다음 맵 등이 있으나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동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앱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앱을 선택한다. 하나의 앱은 특정 기간 동안 통행자가 해당 앱을 사용한 횟수 등을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앱은 통행자의 통행목적, 통행시간, 통행비용, 개인의 특성 또는 경험에 비추어 통행자가 기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들(110) 중에서 내비 앱1(예컨대, 아틀란 3D)을 선택하고, 주차장 정보 애플리케이션들(120) 중에서 주차 앱1(예컨대, 모두의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선택한 내비 앱1 및 주차 앱1을 상호 연동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설치된 복수의 앱들 간에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내비게이션 앱에서 주차장 검색 앱 또는 열차 예약 앱 등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즉,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내비게이션 앱을 종료시키거나 대기시키고 주차장 검색 앱 또는 열차 예약 앱 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앱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개별 앱을 설치하지 않고 통행자에게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각각의 앱 제공업체로부터 단일 교통수단 정보를 수신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복수의 앱 제공업체로부터 수신한 단일 교통수단 정보들을 조합하여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합 교통수단 정보는 도보 정보, 자전거 이용 정보, 자가용 차로 정보, 대중교통(지하철 및 버스) 이용 정보, 항공기 이용 정보, 열차 이용 정보, 택시 이용 정보, 카셰어링 이용 정보, 및 원웨이 렌터카 이용 정보 등이 하나 이상 결합된 통행자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가기 위한 종합 정보이다. 즉, 복합 교통수단 정보는 동종 또는 이종의 교통수단 간의 환승 정보를 포함한다. 게다가,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통행자 개인의 선호도가 반영된다.
현재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앱들은 단일 교통수단 정보만이 제한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통행자는 경유지마다 이종의 교통수단 간의 환승 정보를 추가로 검색해야 하고 통행자는 특정 교통수단이 현재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없고 이종의 교통수단 간에 장단점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스스로 파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복합 교통수단 정보는 특정 교통수단이 현재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반영하고 이종의 교통수단 간에 장단점을 반영하고 개인의 선호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통행자는 목적지까지 가기 위한 종합적인 통행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210), 라이브러리 관리부(220), 및 애플리케이션 선호도 처리부(230)를 포함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업체가 제공한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거나 기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교통수단 정보를 통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동종 또는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결합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는 복수의 장소, 이동경로, 이동구간, 교통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및 증감될 그린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210)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한다. 이동경로는 환승이 필요한 장소를 기준으로 복수의 이동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210)은 각 이동구간마다 해당하는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할당하여 제공하고, 해당 이동경로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그린 마일리지 포인트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210)는 복수의 이동구간을 포함하는 이동경로, 각 이동구간 마다 할당된 교통 어플리케이션, 그린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복합 교통수단 정보로서 제공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는 교통상황, 배차시간뿐만 아니라, 탄소배출량을 관리하기 위한 행정정책(예컨대, 개인운전 제한을 위한 속도제한 또는 진입제한 등)에 따라 매일 또는 매시간 변경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210)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에 따라 이용할 수 없는 교통수단을 배제하고,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운전자가 기 설정된 내비게이션 앱을 사용하여 운전하던 중 차량의 통과지역이 그린 존으로 설정되어 자가용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면, 차량의 우회 경로가 아닌 대안 교통수단을 제시하고, 주차장 검색 앱, 대중교통 앱, 고속열차 예약 앱, 카셰어링 앱, 택시 앱 등을 할당한다.
라이브러리 관리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관한 인터페이스가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 각각의 라이브러리는 교통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체에서 제공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관리부(220)는 하나 이상의 라이브러리로부터 수집한 다양한 포맷의 교통수단 정보들을 처리한다. 하나 이상의 라이브러리는 플러그인 형식으로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각각의 라이브러리는 각각의 앱과 교통수단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라이브러리 관리부(220)는 내비 앱1(111), 내비 앱2(112), 주차 앱1(121), 열차 앱1(132) 등에 관한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
라이브러리 관리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간에 동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210)이 설정한 이동경로 상의 각 이동구간에 순차적으로 내비 앱1(111)과 주차 앱1(121)을 할당한 경우, 라이브러리 관리부(220)는 내비 앱1(111)을 실행하다가 주차 앱1(121)으로 전환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선호도 처리부(230)는 동종 또는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하여 통행자의 선호도를 설정한다. 애플리케이션 선호도 처리부(230)는 특정 기간 동안 통행자가 특정 앱을 사용한 횟수 등을 토대로, 또는 통행자의 통행목적, 통행시간, 통행비용 등에 기초하여 통행자의 선호도를 분석한다. 통행자의 선호도는 통행자가 기 설정할 수도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210)가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할 때, 라이브러리 관리부(220)는 통행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애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할당시켜 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선호도 처리부(230)는 내비 앱1(111) 내지 내비 앱4(114) 중에서 내비 앱1에 가중치를 매기고, 내비 앱1을 우선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될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소프트웨어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톱(Laptop)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로직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는 고정배선형(Hardwired) 기기,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의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과정 S310에서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설정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는 통행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아이디는 그린 마일리지와 연계될 수 있다.
과정 S320에서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한다. 여기서, 이동경로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이용해야 하는 교통수단의 유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동구간을 포함한다. 과정 S330에서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가 각각의 이동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할당한다. 과정 S340에서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200)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이동구간마다 할당된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컨대, 이동경로가 출발지로부터 주차장 위치까지의 자차로 이동하는 이동구간 1, 주자창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버스로 이동하는 이동구간 2를 포함할 때,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아틀란 3D, 카카오내비, 티맵, 네이버내비 등의 내비게이션 앱들 중에서 교통앱 1(예컨대, 아틀란 3D)을 선택하여, 이동구간 1에 교통 앱1을 할당할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모두의 주차장, 파킹 박 등의 주차장 앱들 중에서 교통 앱2(예컨대, 모두의 주차장)을 선택하여, 주차장이 위치하는 장소에 교통 앱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장이 위치하는 장소에서 목적지까지 이동구간 2에 버스와 관련된 교통 앱3을 할당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이동구간마다 교통 앱1, 교통 앱2, 교통 앱3 간을 스위칭하며 실행시킬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단일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앱 중에서 통행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앱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여 실행시킬 수 있고, 통행자는 이종의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앱들을 활용하여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발지가 집(서울, 410), 목적지 1이 해운대(부산, 420), 목적지 2가 성산 일출봉(제주, 425)로 설정되어 있다. 출발지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 설정될 수 있다. 출발지 또는 목적지는 사용자 스케줄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될 수 있다.
목적지 정보가 복수의 장소를 포함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이동순서 또는 장소와 함께 설정된 시간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장소가 목적지로서 순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위치 및 이동순서에 기반하여 목적지가 복수의 장소 중 다음 장소로 설정되면, 출발지는 다음 장소의 이전 장소로 설정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의 포인트(435)를 표시되고,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하여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할 지 여부(430)를 선택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이종의 교통수단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자가용(441), 전기차(442), 카쉐어링(443), 대중교통(444), 도보(445)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확장버튼(450)을 터치하거나 선택하여 다른 교통수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지도(460)가 표시된다. 지도에는 장소, 컴퓨팅 디바이스의 위치 및 방향, 이동경로, 교통수단의 유형 등이 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복합 교통수단 정보가 표시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는 복수의 장소(531, 532, 533, 571, 573), 하나 이상의 이동경로(520, 560), 이동구간(535, 536, 575), 교통 애플리케이션(541, 542, 543, 584, 585)에 관한 정보, 그린 존(550, 590), 및 증감될 그린 마일리지 포인트(555, 595) 등을 포함한다.
그린 존 및 그린 마일리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린 존은 관리 권역의 대기 오염도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입이 통제되는 지역을 의미하며, 그린 존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교통 통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진입을 억제하거나 일정 조건 하에서 진입이 가능하도록 통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정한 조건은 그린 존에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에 관한 데이터, 예컨대, 차종, 연비, 탄소배출량 등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차량별 오염 유발도 등급이 적정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적정 기준치를 만족시키는 차량에 대해서는 그린 존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통제할 수 있다.
그린 존은 대기오염도 정보, 교통 수요량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각 지역별 차량 탄소 배출량 및 대기오염 예측치를 기초로 설정된다. 이때, 이벤트 정보는 특정 또는 관심 지역에서 개최되는 각종 행사, 사고, 재난재해, 교통 정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린 존은 교통 수요량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예측된 차량 탄소 배출량과 대기오염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대기오염 예측치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설정된다.
그린 존은 도로별, 교차로별, 일정 구간별 등으로 구분된 지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 구, 시 등의 행정구역 단위의 지역 또는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기 설정된 영역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린 마일리지는 환경 파괴를 줄이거나 보전을 위해 노력한 만큼 그 실적을 적립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적립 포인트이다. 예컨대, 통행자가 차량 소유자이면, 통행자가 소유한 차량의 종류, 통행자의 자전거, 도보 및 대중교통 등의 이용빈도, 그린 존 진입 통제의 준수 여부 등에 따라 마일리지가 적립될 수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 차량이 연비가 높고 탄소 배출량이 적은 하이브리드 차 또는 소형차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동경로(520, 560)는 추천경로(512), 최소시간(514), 최소환승(516)을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다. 추천경로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이동경로이다.
하나 이상의 이동구간을 포함하는 이동경로는 사용자의 통행목적, 통행시간, 통행비용, 연비, 탄소배출량, 그린 존, 및 그린 마일리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동구간에 대응하여 할당할 동종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이 복수이면,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동종의 교통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구간 또는 장소에 할당할 수 있다.
장소 1(531)부터 장소 2(532)까지의 이동구간(535)에는 교통 앱1(541)이 할당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아틀란 3D, 카카오내비, 티맵, 네이버내비 등의 내비게이션 앱들 중에서 교통앱 1(예컨대, 아틀란 3D)을 선택하여, 이동구간에 교통 앱1을 할당할 수 있다.
장소 2(532)에는 교통 앱2(542)가 할당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모두의 주차장, 파킹 박 등의 주차장 앱들 중에서 교통 앱2(예컨대, 모두의 주차장)을 선택하여, 장소에 교통 앱2를 할당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교통 앱1 및 교통 앱2를 상호 연동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이동경로를 생성한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특정 지역에 그린존 설정된 경우, 이동경로 상에 발생한 유고정보, 실행되는 교통 애플리케이션이 예상하는 도착 시간이 사용자의 스케줄 상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새로운 이동경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이동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할당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이동구간마다 할당된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목적지(532, 533, 573)는 그린 존(550, 59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통행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435) 및 통행자가 이용할 교통수단의 종류에 따라 통행자가 그린 존을 통과할 지 여부에 관한 4가지의 시나리오가 발생할 수 있다. 4가지 시나리오는 예시일 뿐,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복합 교통수단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첫번째 시나리오는 차량을 이용하려는 통행자가 사용하기 충분한 그린 마일리지를 보유한 경우, 그린 존 내부에 위치한 목적지까지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받는 시나리오이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통행자가 현재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가 5000 포인트이다. 통행자가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려는 경우에, 자가용 및 카셰어링의 연계, 자가용 단독 사용, 대중교통 이용 등에 관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는 적립 또는 차감되는 그린 마일리지, 소요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는 교통수단별 소요시간, 이동거리, 연료비용, 톨게이트 이용료, 교통수단의 운임요금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그린 존에 진입 또는 통과할 수 있는 교통수단에 관한 앱과 그린 존이 함께 표시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 정보를 선별하고 통행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자가용 단독 사용에 관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로써, 차량 경로 안내, 주차장 예약, 및 도보 맵에 관한 앱을 할당하고 실행할 수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i) 주차장 이용 및 도보에 관한 정보와 (ii) 그린 존이 함께 표시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내비게이션 앱에서 주차장 예약 앱으로, 주차장 예약 앱에서 도보 맵 앱으로 동적 스위칭할 수 있다.
두번째 시나리오는 차량을 이용하려는 통행자가 사용하기 부족한 그린 마일리지를 보유한 경우, 그린 존 내부에 위치한 목적지까지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받는 시나리오이다.
통행자가 현재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가 300 포인트이고 통행자가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려는 경우에, 자가용 및 카셰어링의 연계, 자가용 단독 사용, 대중교통 이용 등에 관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한다.
통행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가 부족한 경우에도, 일단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부족한 마일리지만큼 그린 마일리지를 마이너스로 관리할 수도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통행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에 따라 그린 존 내의 운행 가능 거리를 고려하여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그린 존에 진입 또는 통과할 수 있는 교통수단에 관한 앱과 그린 존이 함께 표시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 정보를 선별하고 통행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자가용 및 카셰어링의 연계 사용에 관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로써, 차량 경로 안내, 주차장 예약, 도보 맵, 카셰어링 예약 등에 관한 앱을 할당하고 실행할 수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i) 주차장 이용 및 도보에 관한 정보와 (ii) 그린 존이 함께 표시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내비게이션 앱에서 주차장 예약 앱으로, 주차장 예약 앱에서 도보 맵 앱으로, 도보 맵 앱에서 카셰어링 이용 앱으로 동적 스위칭할 수 있다.
세번째 시나리오는 차량을 이용하려는 통행자가 사용하기 충분한 그린 마일리지를 보유한 경우, 그린 존 외부에 위치한 목적지까지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받는 시나리오이다.
통행자가 현재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가 5000 포인트이고, 통행자가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려는 경우에, 자가용 단독 사용, 대중교통 이용 등에 관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한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그린 존에 진입 또는 통과할 수 있는 교통수단과 그린 존이 함께 표시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 정보를 선별하고 통행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자가용 단독 사용에 관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로써, 차량 경로 안내, 주차장 예약, 및 도보 맵에 관한 앱을 할당하고 실행할 수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i) 주차장 이용 및 도보에 관한 정보와 (ii) 그린 존이 함께 표시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내비게이션 앱에서 주차장 예약 앱으로, 주차장 예약 앱에서 도보 맵 앱으로 동적 스위칭할 수 있다.
한편,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그린 존을 완전히 경유하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차량이 그린 존 내에서 운행 가능한 운행 거리를 추출하고, 해당 운행 거리에 도달한 이후, 그린 존을 우회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네번째 시나리오는 차량을 이용하려는 통행자가 사용하기 부족한 그린 마일리지를 보유한 경우, 그린 존 외부에 위치한 목적지까지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받는 시나리오이다.
통행자가 현재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가 300 포인트이고 통행자가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려는 경우에, 자가용 및 카셰어링의 연계, 자가용 단독 사용, 대중교통 이용 등에 관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한다.
통행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가 부족한 경우에도, 일단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부족한 마일리지만큼 그린 마일리지를 마이너스로 관리할 수도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통행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에 따라 그린 존 내의 운행 가능 거리를 고려하여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그린 존에 진입 또는 통과할 수 있는 교통수단과 그린 존이 함께 표시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 정보를 선별하고 통행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자가용 및 카셰어링의 연계 사용에 관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로써, 차량 경로 안내, 주차장 예약, 도보 맵, 카셰어링 예약 등에 관한 앱을 할당하고 실행할 수 있다. 복합 교통수단 정보에는 (i) 카셰어링 이용에 관한 정보와 (ii) 그린 존이 함께 표시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내비게이션 앱에서 주차장 예약 앱으로, 주차장 예약 앱에서 도보 맵 앱으로, 도보 맵 앱에서 카셰어링 이용 앱으로 동적 스위칭할 수 있다.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회피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교통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차량의 운전자가 소유한 그린 마일리지에 근거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교통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그린 마일리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그린 마일리지의 사용 여부를 추가로 확인한다. 차량 운전자가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경우, 차량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고,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교통수단 정보를 생성한다.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는 기 생성된 교통수단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기 생성된 교통수단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통행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으며, 전송되는 신호파(Signal Wave) 형태로도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120, 130, 140, 150, 160: 교통 애플리케이션
200: 교통수단 정보 제공장치
210: 복합 교통수단 정보 처리부
220: 라이브러리 관리부
230: 애플리케이션 선호도 처리부

Claims (13)

  1. 복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으로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설정하는 과정;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이동경로는 교통수단의 유형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이동구간을 포함함;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이동구간 각각에 대하여, 해당 이동구간에 대응하는 교통수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할당하는 과정;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상기 복수의 이동구간마다 할당된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이동경로는 사용자의 통행목적, 통행시간, 통행비용, 연비, 탄소배출량, 그린 존, 및 그린 마일리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 또는 상기 목적지는,
    사용자 스케줄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가 복수의 장소를 포함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이동순서 또는 상기 장소와 함께 설정된 시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장소가 목적지로서 순차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이동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목적지가 상기 복수의 장소 중 다음 장소로 설정되면, 상기 출발지는 상기 다음 장소의 이전 장소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간에 대응하여 할당할 동종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이 복수이면,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동종의 교통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구간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새로운 이동경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이동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할당하는 과정;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상기 이동구간마다 할당된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유형의(Tangibl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교통수단 정보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설정하는 과정;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이동경로는 교통수단의 유형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이동구간을 포함함;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이동구간 각각에 대하여, 해당 이동구간에 대응하는 교통수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할당하는 과정;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상기 복수의 이동구간마다 할당된 교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
    을 포함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교통수단 정보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67906A 2016-06-01 2017-05-31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7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5736 WO2017209537A1 (ko) 2016-06-01 2017-06-01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8194 2016-06-01
KR1020160068194 2016-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451A KR20170136451A (ko) 2017-12-11
KR102473762B1 true KR102473762B1 (ko) 2022-12-02

Family

ID=6094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906A KR102473762B1 (ko) 2016-06-01 2017-05-31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641B1 (ko) 2018-08-23 2019-03-12 장승현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과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연동하여 주차 예약 및 이동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244892B1 (ko) * 2018-11-27 2021-04-26 장호현 단말에서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492166B1 (ko) * 2020-09-16 2023-01-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0494B1 (ko) * 2021-03-30 2023-06-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수단 선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0785A (ja) * 2014-03-27 2015-11-02 キャンバスマップル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動作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770A (ko) * 2013-06-14 2014-12-24 김연수 통합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스케줄 관리 시스템
KR101513588B1 (ko) * 2013-08-09 2015-04-21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길찾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0785A (ja) * 2014-03-27 2015-11-02 キャンバスマップル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動作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451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8155B2 (en) Lane assignments for autonomous vehicles
CN107682419B (zh) 拼车路线的提供方法、客户端、服务器及拼车系统
KR102473762B1 (ko)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Makino et al. Solutions for urban traffic issues by ITS technologies
US10023231B2 (en) Parking autonomous vehicles
JP7064306B2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2020074179A (ja) ライドシェア管理装置、ライドシェア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04366B1 (en) Lotless storage of vehicle inventory and test drive vehicle delivery
Booysen et al. Informal public transport in Sub-Saharan Africa as a vessel for nove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TW201911217A (zh) 用於提供運輸服務資訊的方法和設備
KR101957641B1 (ko)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과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연동하여 주차 예약 및 이동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halid et al. AVPark: Reservation and cost optimization-based cyber-physical system for long-range autonomous valet parking (L-AVP)
Kumar Debnath et al. Sustainable urban transport: Smart technology initiatives in Singapore
Shaheen et al. Mobility on demand in the United States: From operational concepts and definitions to early pilot projects and future automation
Teoh Electric vehicle charging strategies for Urban freight transport: concept and typology
Dey et al. Future of transportation cyber-physical systems–Smart cities/regions
Diewald et al. MobiliNet: A social network for optimized mobility
Tafidis et al. Interregional European Cooperation platform to promote sustainable transport through ICT: an overview of best practices
Armendáriz et al. Carpooling: A Multi-Agent Simulation In Netlogo.
Csiszár et al. Concept of an integrated mobile application aiding electromobility
CN115938150A (zh) 用于优化利用率的算法
de Sousa Boieiro et al. Shared autonomous vehicles ontology
WO2017209537A1 (ko)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Howell et al. New mobility in the right-of-way
Rakow et al. Mobility as a service enabled by the autonomous dr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