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743B1 -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3743B1 KR102473743B1 KR1020210009283A KR20210009283A KR102473743B1 KR 102473743 B1 KR102473743 B1 KR 102473743B1 KR 1020210009283 A KR1020210009283 A KR 1020210009283A KR 20210009283 A KR20210009283 A KR 20210009283A KR 102473743 B1 KR102473743 B1 KR 102473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p
- gqd
- composite
- silicon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02—Silic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7—Mixture of solvents
- H01M2300/004—Three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으로 하전된 실리콘 나노입자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양자점/실리콘 복합체의 합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의 합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GQDs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GQDs의 XPS 스펙트럼과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450℃ 어닐링(annealing) 처리 전(a)과 처리 후(b)에서 GQD/SiNP 복합체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
도 8a 내지 도 8d는 2㎛ 동일 스케일 바에서 각각 (a)CNFs, (b) GQD/SiNP/CNFs 복합체, (c)CNTs, (d)GQD/SiNP/CNTs 복합체의 SEM 이미지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다른 스케일 바에서 GQD/SiNP/CNFs 복합체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d 내지 도 9f는 다른 스케일 바에서 GQD/SiNP/CNTs 복합체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a) GQD/SiNP/CNTs 복합체, (b) GQD/SiNP/CNFs 복합체, (c) CNTs, (d) CNFs, (e) OH-GQDs, 및 (f) Si 나노입자의 XRD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GQD/SiNP/CNFs 복합체 및 GQD/SiNP/CNTs 복합체의 원소 정보를 XPS 스펙트럼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GQD/SiNP/CNFs 복합체(검정), GQD/SiNP/CNTs 복합체(빨강)에 대하여 라만 분광법을 통하여 두 3성분 복합체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고 비교한 그래프이다.
원소(element) | GQD/SiNP/CNFs | GQD/SiNP/CNTs |
C | 81.0 % | 81.9 % |
O | 12.9 % | 11.7 % |
Na | 1.28 % | 1.48 % |
Al | 1.43 % | 1.00 % |
Si | 1.60 % | 1.87 % |
Fe | 1.79 % | |
Co | 2.03 % | |
Total | 100 % | 100 % |
Claims (16)
- (a) 그래핀 양자점이 음전하를 띠도록 OH 기능화하여 OH-GQDs를 제조하는 단계;
(b) 양으로 하전된 실리콘 나노입자(SiNP)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양전하를 띠고 있는 실리콘 나노입자와 상기 (a)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음전하를 띠는 OH 기능화된 그래핀 양자점을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시켜 GQD/SiNP 2성분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합성된 GQD/SiNP 2성분 복합체에 CNFs 또는 CNTs를 첨가하여 GQD/SiNP/CNFs 복합체 또는 GQD/SiNP/CNTs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OH-GQDs의 제조는 피렌(pyren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a-1) 160mL 질산 용액에 상기 피렌 2g을 혼합하여 소정 온도로 소정 시간 동안 환류시켜주는 단계;
(a-2) 상기 (a-1) 단계에서 여과 및 건조 과정을 거쳐 1,3,6- 트리니트로피렌(trinitropyrene)을 수득하는 단계;
(a-3) 0.2M NaOH 용액 610mL에 수득된 상기 1,3,6- 트리니트로피렌 3g을 혼합 및 교반시키고, 추가로 초음파 처리를 통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a-4) 상기 (a-3) 단계에서 제조된 분산액을 소정 온도로 소정 시간 동안 테프론 오토클레이브에서 열수 처리를 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원심분리를 하여 불필요한 탄소를 제거하고 자외선 광를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b-1)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피라냐(Piranha) 용액을 이용하여 친수성을 띠게 하는 단계와,
(b-2) 여과 및 건조 후, 폴리데드맥(PolyDADMAC)을 첨가해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양으로 하전시켜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b-1-1)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를 부피비 1 : 1 : 1의 비로 혼합해 제조한 용액에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분산시키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와,
(b-1-2)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4% 불화수소 용액에 소정 시간 담지하여 황산과 과산화수소를 3 : 1의 비로 제조한 피라냐 용액에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첨가하고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온도로 교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c-1) 어닐링 과정을 통해 폴리데드맥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c-2) 상기 양으로 하전된 실리콘 나노입자 0.4g을 pH 7의 에탄올 50 mL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c-3) 제조된 분산액에 묽은 질산(HNO3)을 첨가하여 분산액의 pH를 7에서 2까지 변화시킨 뒤, 상기 분산액을 교반시키면서 OH-GQDs 50mL를 적가하는 단계와,
(c-4) 상기 (c-3)에서의 혼합 용액을 추가로 소정 시간 동안 교반시켜 OH-GQDs를 골고루 분산시킨 뒤, 해당 분산액을 하루 동안 진공 건조하는 단계와,
(c-5) 상기 (c-4) 단계를 통해 분말 형태로 수득한 물질을 상기 (c-1) 과정에서 튜브로에서 450℃로 열처리하여 상기 폴리데드맥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방법. - (a) 그래핀 양자점이 음전하를 띠도록 OH 기능화하여 OH-GQDs를 제조하는 단계;
(b) 양으로 하전된 실리콘 나노입자(SiNP)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양전하를 띠고 있는 실리콘 나노입자와 상기 (a)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음전하를 띠는 OH 기능화된 그래핀 양자점을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시켜 GQD/SiNP 2성분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합성된 GQD/SiNP 2성분 복합체에 CNFs 또는 CNTs를 첨가하여 GQD/SiNP/CNFs 복합체 또는 GQD/SiNP/CNTs 복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GQD/SiNP/CNFs 복합체 또는 GQD/SiNP/CNTs 복합체를 음극재로 사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전해질은,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및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을 1:1:1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에 1M LiPF6를 용해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을 상기 GQD/SiNP/CNFs 복합체 또는 GQD/SiNP/CNTs 복합체를 이용하고, 상대전극 및 기준 전극으로 Li 금속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OH-GQDs의 제조는 피렌(pyren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a-1) 160mL 질산 용액에 상기 피렌 2g을 혼합하여 소정 온도로 소정 시간 동안 환류시켜주는 단계;
(a-2) 상기 (a-1) 단계에서 여과 및 건조 과정을 거쳐 1,3,6- 트리니트로피렌(trinitropyrene)을 수득하는 단계;
(a-3) 0.2M NaOH 용액 610mL에 수득된 상기 1,3,6- 트리니트로피렌 3g을 혼합 및 교반시키고, 추가로 초음파 처리를 통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a-4) 상기 (a-3) 단계에서 제조된 분산액을 소정 온도로 소정 시간 동안 테프론 오토클레이브에서 열수 처리를 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원심분리를 하여 불필요한 탄소를 제거하고 자외선 광를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b-1)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피라냐(Piranha) 용액을 이용하여 친수성을 띠게 하는 단계와,
(b-2) 여과 및 건조 후, 폴리데드맥(PolyDADMAC)을 첨가해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양으로 하전시켜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b-1-1)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를 부피비 1 : 1 : 1의 비로 혼합해 제조한 용액에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분산시키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와,
(b-1-2)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4% 불화수소 용액에 소정 시간 담지하여 황산과 과산화수소를 3 : 1의 비로 제조한 피라냐 용액에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를 첨가하고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온도로 교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c-1) 어닐링 과정을 통해 폴리데드맥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c-2) 상기 양으로 하전된 실리콘 나노입자 0.4g을 pH 7의 에탄올 50 mL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c-3) 제조된 분산액에 묽은 질산(HNO3)을 첨가하여 분산액의 pH를 7에서 2까지 변화시킨 뒤, 상기 분산액을 교반시키면서 OH-GQDs 50mL를 적가하는 단계와,
(c-4) 상기 (c-3)에서의 혼합 용액을 추가로 소정 시간 동안 교반시켜 OH-GQDs를 골고루 분산시킨 뒤, 해당 분산액을 하루 동안 진공 건조하는 단계와,
(c-5) 상기 (c-4) 단계를 통해 분말 형태로 수득한 물질을 상기 (c-1) 단계에서 튜브로에서 450℃로 열처리하여 상기 폴리데드맥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9283A KR102473743B1 (ko) | 2021-01-22 | 2021-01-22 |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9283A KR102473743B1 (ko) | 2021-01-22 | 2021-01-22 |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6403A KR20220106403A (ko) | 2022-07-29 |
KR102473743B1 true KR102473743B1 (ko) | 2022-12-01 |
Family
ID=8260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9283A Active KR102473743B1 (ko) | 2021-01-22 | 2021-01-22 |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374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5539A (ko) * | 2022-12-08 | 2024-06-17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이온 전지의 아노드용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546493A1 (en) | 2022-08-24 | 2025-04-30 | LG Energy Solution, Ltd. |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
CN116281944B (zh) * | 2023-03-28 | 2025-03-18 | 合肥工业大学 | 一种氧掺杂改性三维多孔碳的制备及其在深度处理酚类有机废水中的应用 |
CN117525372B (zh) * | 2024-01-05 | 2024-03-12 | 湖南镕锂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金属有机骨架材料的锂电池负极材料 |
CN118248828B (zh) * | 2024-05-29 | 2024-08-13 | 阜阳师范大学 | 一种锂电池多孔硅碳电极材料的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11687B2 (ja) | 2013-05-24 | 2017-10-11 | カウンシル オブ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 ナノ多孔性グラフェンとグラフェン量子ドットを作製する方法 |
-
2021
- 2021-01-22 KR KR1020210009283A patent/KR102473743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K. Lijuan et al., "Phenylalanine-functionalized graphene quantum dot-silicon nanoparticle composite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with largely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
Q.Wei et al., "Novel honeycomb silicon wrapped in reduced graphene oxide/CNT system as high-stability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Electrochimical Acta 317 (2019) 583-593 |
Z. Benzait et al., "Synergistic effect of carbon nanomaterials on a cost-effective coral-like Si/rGO composite for lithium ion battery application", Electrochimica Acta 339 (2020) 135917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5539A (ko) * | 2022-12-08 | 2024-06-17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이온 전지의 아노드용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 방법 |
KR102746044B1 (ko) | 2022-12-08 | 2024-12-2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이온 전지의 아노드용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6403A (ko) | 2022-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3743B1 (ko) | 그래핀 양자점/실리콘/탄소나노소재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 |
Pang et al. | Applications of 2D MXenes in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systems | |
Zhao et al. | High-performance Li-ion batteries based on graphene quantum dot wrapped carbon nanotube hybrid anodes | |
US9543054B2 (en) | Method of fabricating electrodes including high-capacity, binder-free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 |
Liu et al. | Coral-like α-MnS composites with N-doped carbon as anode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 |
Pei et al. | Nanofiber-in-microfiber carbon/silicon composite anode with high silicon content for lithium-ion batteries | |
Wang et al. | Ni 12 P 5 nanoparticles decorated on carbon nanotubes with enhanced electrocatalytic and lithium storage properties | |
Tan et al. | Carbon coated porous Co3O4 polyhedrons as anode materials for highly reversible lithium-ion storage | |
Paul et al. | Highly porous three-dimensional carbon nanotube foam as a freestanding anode for a lithium-ion battery | |
JP2018504762A (ja) | リチウム電池用負極の作製方法 | |
KR102036330B1 (ko) | 이산화티타늄/그래핀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음극재로서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 |
Zhang et al. | Fabricating Fe3O4/Fe/biocarbon fibers using cellulose nanocrystals for high-rate Li-ion battery anode | |
Wang et al. | Hierarchically Porous Carbon Nanofibers Encapsulating Carbon‐Coated Mini Hollow FeP Nanoparticles for High Performance Lithium and Sodium Ion Batteries | |
KR101451354B1 (ko) | 독립형 탄소나노튜브/금속 산화물 입자 복합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78160B1 (ko) | 내부에 그래핀 네트워크가 형성된 나노입자-그래핀-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응용 | |
He et al. | High-rate and long-life of Li-ion batteries using reduced graphene oxide/Co 3 O 4 as anode materials | |
Qin et al. | Toward understanding the enhanced pseudocapacitive storage in 3D SnS/MXene architectures enabled by engineered surface reactions | |
Lee et al. | Electrostatic self-assembly of 2-dimensional MXene-wrapped sulfur composites for enhancing cycle performance of lithium–sulfur batteries | |
Kim et al. | Surface functional group‐tailored B and N co‐doped carbon quantum dot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 |
Zhuo et al. | Well-dispersed tin nanoparticles encapsulated in amorphous carbon tubes as high-performance an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 |
Wang et al. | Vertically grown MoS2 nanosheets on graphene with defect-rich structure for efficient sodium storage | |
Baek et al. | Electrospun conductive carbon nanofiber hosts for stable zinc metal anode | |
Du et al. | Anchoring 1T/2H MoS 2 nanosheets on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Si nanoparticles as a flexible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 |
Zhou et al. | Solvothermal synthesis of a silicon hierarchical structure composed of 20 nm Si nanoparticles coated with carbon for high performance Li-ion battery anodes | |
Chen et al. | Core-shell structured Si@ Cu nanoparticles segregated in graphene-carbon nanotube networks enable high reversible capacity and rate capability of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