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444B1 -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444B1
KR102473444B1 KR1020160044360A KR20160044360A KR102473444B1 KR 102473444 B1 KR102473444 B1 KR 102473444B1 KR 1020160044360 A KR1020160044360 A KR 1020160044360A KR 20160044360 A KR20160044360 A KR 20160044360A KR 102473444 B1 KR102473444 B1 KR 10247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wireless terminal
fandom
app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639A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4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6Monitoring of piracy processes or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Vir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팬덤(Fandom)상품의 지정된 부분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 N(N≥4)개의 터치부를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종이도장을 포함시켜 제작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팬덤상품을 구매하여 소유하게 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연계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중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이 정밀 인식된 후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 인증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부를 구비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 인증하는 절차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을 포함하는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Description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s of Fandom Goods by using Paper Stamp}
본 발명은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팬덤(Fandom)상품의 지정된 부분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 N(N≥4)개의 터치부를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종이도장을 포함시켜 제작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팬덤상품을 구매하여 소유하게 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연계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중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이 정밀 인식된 후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 인증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부를 구비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 인증하는 절차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을 포함하는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소정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장치를 오프라인 가맹점에 공급하고,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가맹점에서 보유한 터치장치를 터치하여 쿠폰이나 포인트를 지급하는 등의 터치 인증 기반 서비스가 제안되었다(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65624호(2014.05.30)).
이러한 종래의 터치 인증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제작되는 터치장치에 배치되는 터치부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맹점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중복되지 않아야 하며, 허용 오차 0.1mm 이내에서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고유하게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터치장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개당 수 만원 이상의 제작비용(예컨대, 판금제작 비용, 각각의 터치장치마다 복수의 터치부를 고유하게 배치하기 위한 레이저 절삭 비용, 조립 인건비 등 포함)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터치 인증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제작되는 종래의 터치장치는 종래와 같이 가맹점에 공급되어 가맹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 그 외에 다른 활용 방안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팬덤(Fandom)상품의 지정된 부분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 N(N≥4)개의 터치부를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종이도장을 포함시켜 제작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팬덤상품을 구매하여 소유하게 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연계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중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이 정밀 인식된 후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 인증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부를 구비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 인증하는 절차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을 포함하는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팬덤(Fandom)상품의 지정된 부분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 N(N≥4)개의 터치부를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종이도장을 포함시켜 제작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팬덤상품을 구매하여 소유하게 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연계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중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이 정밀 인식된 후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 인증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부를 구비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 인증하는 절차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을 포함하는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공지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공지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은,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전에 음원 출시 공지 컨텐츠를 저장하되 음원 출시 후에 상기 출시된 음원 컨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전에 뮤직비디오 출시 공지 컨텐츠를 저장하되 뮤직비디오 출시 후에 상기 출시된 뮤직비디오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를 동일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복수의 종이도장을 공통으로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종이도장을 포함한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앱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상기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와 연계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앱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제t(1≤t≤T)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이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상기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 설치된 후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무선단말로 수신된 후 실행된 프로그램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밀 인식은,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지 않는 다중 터치 인식,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왜곡하지 않는 다중 터치 인식, 무선단말의 운영체제를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왜곡되는 경우에 상기 왜곡을 보정하는 다중 터치 인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터치 인증한 터치 인증 이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인증 이력 확인 시, 상기 터치 인증 이력이 확인된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제3자에게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전파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 전파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파된 디지털 컨텐츠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 출력되도록 제한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이내 출력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 N(N≥4)개의 터치부를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제작되어 팬덤(Fandom)상품에 포함되는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팬덤상품을 구매하여 상기 종이도장을 소유하게 된 사용자에게 제공될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연계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중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이 정밀 인식된 후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종이도장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특정 종이도장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종이도장이 터치 인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종이도장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공지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공지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영역은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전에 음원 출시 공지 컨텐츠를 저장하되 음원 출시 후에 상기 출시된 음원 컨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전에 뮤직비디오 출시 공지 컨텐츠를 저장하되 뮤직비디오 출시 후에 상기 출시된 뮤직비디오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유정보는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를 동일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복수의 종이도장을 공통으로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종이도장과 연계된 특정 앱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상기 종이도장의 고유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와 연계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앱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내장한 특정 앱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상기 앱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내장한 특정 앱을 사용하거나 상기 앱을 실행한 무선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제t(1≤t≤T)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이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상기 특정 종이도장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 설치된 후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무선단말로 수신된 후 실행된 프로그램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밀 인식은,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지 않는 다중 터치 인식,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왜곡하지 않는 다중 터치 인식, 무선단말의 운영체제를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왜곡되는 경우에 상기 왜곡을 보정하는 다중 터치 인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특정 종이도장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특정 종이도장의 터치 인증 이력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인증 이력 확인 시, 상기 터치 인증 이력이 확인된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제3자에게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전파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 전파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파된 디지털 컨텐츠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 출력되도록 제한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이내 출력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개당 수 백원 이내의 제작단가로 종이도장을 제작하고, 특정 가수나 아이돌의 팬덤상품에 상기 종이도장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상기 팬덤상품을 구매하여 상기 종이도장을 소유하게 된 사용자가 자신의 종이도장을 자신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증되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터치 인증된 종이도장과 연계된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팬덤상품과 관련된 음원, 뮤직비디오 등)을 제공하여 출력함으로써, 종이재질로 저렴하게 제작된 종이도장을 가수나 아이돌의 팬덤을 형성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팬덤 수단으로 이용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종이도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의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종이도장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종이도장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종이도장을 이용한 터치를 인증하여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제3자 전파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상기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인식된 터치 점들로 식별 인증됨과 동시에 상기 종이도장(300)의 터치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임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용하며 지정 개수 N(N≥4)개의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불특정 다수 사용자에게 배포되도록 제작되어 다수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되며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고유한(=중복되지 않는)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종이도장(300)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통신하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예컨대,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위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사용자에게 배포된 종이도장(300)을 터치(=오프라인)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코드를 통해 제공(=온라인) 가능한 서비스의 총칭으로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사용자가 이용하며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소유(또는 소지)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인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가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상기 프로그램코드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실행되거나, 또는 지정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제공한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무선단말(200)의 브라우져를 통해 해석되어 무선단말(200)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코드(예컨대, 스크립트코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무선단말(200)에 설치 후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프로그램코드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별도의 설치 없이 무선단말(200)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코드를 통칭하여 '앱(230)'이라고 하며,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앱(230)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 후 실행(또는 무설치 실행)되는 앱(230)은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 가능하며, 각각의 인터페이스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앱(230)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T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서비스(예컨대,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받기 위해 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에 대응하는 제t(1≤t≤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은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함과 동시에 지정 개수 N개의 정전식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T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N개 미만의 터치(또는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통상의 사용자 조작을 위한 터치입력을 간주하되,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지정 개수 N개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에 각 무선단말의 기종 별 및/또는 운영체제 별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함으로써,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 인증 가능한 N개의 터치 점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은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 무선단말(200)에 탑재되며, 각 무선단말의 운영체제는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를 입력 처리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예를들어,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일부 무선단말의 경우 해당 무선단말을 세로 방향으로 세운 상태(예컨대, 무선단말(200)의 중력 센서를 통해 확인된 무선단말의 자세가 세로로 세운 상태)에서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205)의 하단부가 터치될 경우에는 터치된 면적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처리(예컨대, 한 손으로 무선단말을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손톱 근처 부분을 터치한 것으로 간주)하는 반면, 상기 터치스크린(205)의 상단부가 일정 면적 이상 터치될 경우에는 터치된 면적의 중점에서 상단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를 터치 점으로 처리(예컨대, 한 손으로 무선단말을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지문 영역 전체가 터치된 것으로 간주하여 실제 사용자가 터치입력하고자 의도한 터치스크린(205)의 터치 영역은 엄지손가락 끝 부분일 것이므로 엄지손가락 끝 부분으로 이격한 위치를 터치 점으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다중 터치는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입력을 위한 터치가 아니라,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 인증하기 위한 터치이다. 따라서 터치입력을 위해 운영체제가 왜곡하여 생성하는 터치 점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일부 무선단말에서 유효한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다중 터치임에도 오차 범위를 벗어나 매칭 인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가 아닌 경우에는 터치스크린(205)의 터치를 터치입력을 위한 터치로 처리하되,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로 간주된 경우에는 실제 터치된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앱(230)이 운영체제에서 발생하는 터치이벤트의 로우레벨이나 미들레벨에 접근할 수 있다면, 상기 앱(230)은 해당 레벨에서 실제 터치된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운영체제가 왜곡한 터치 점을 역으로 보정하여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N개 미만의 터치(또는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또는 다중 터치)를 사용자 조작을 위한 터치입력으로 처리하되,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지정 개수 N개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N개의 다중 터치를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로 간주하여 정밀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무선단말의 운영체제에서 터치 점을 왜곡하지 않는 경우라면 운영체제에서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그대로 이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은 사용자에게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본인 무선단말(200)의 앱을 조작하여 제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배포된(또는 자신이 구매한) 종이도장(300)을 소지하며, 본인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종이도장(300)을 본인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지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종이도장(300)이 터치(=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됨에 의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또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각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인증서버(170))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종이도장(300)이 터치(=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됨을 트리거(Trigger)로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또는 인증서버(17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인식되는 경우, 상기 앱(230)은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없더라도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운영서버(100)(또는 인증서버(17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이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는 과정이 상기 종이도장(300)이 터치되는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종이도장(300)이 터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앱(230)은 사용자 조작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표시되는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은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하는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인식한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을 통해 제공할 서비스와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에 지정된 서비스가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어, 터치스크린(205)에 서비스'A'를 위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터치스크린(205)에 서비스'B'를 위한 종이도장(300)을 터치하더라도 N개의 터치 점이 정밀 인식될 수 있으나,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시점에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은 서비스'A'를 위한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인식된 종이도장(300)과 관련된 서비스'B'를 위한 인터페이스화면이 아닐 수 있다.
상기 종이도장(300)은 정전식 터치부(305)를 제외한 부분의 대부분을 종이를 주 재료로 저렴하게 제작되어 다수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되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매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종이도장(300)은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 가능하며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된 N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도장(300)에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다수 사용자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 제작되는 종이도장(300), 및/또는 동일한 앱의 동일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 제작되는 종이도장(300), 및/또는 다른 앱의 호환되는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 제작되는 종이도장(300) 등은 동일한 기하학적 관계를 지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터치 관련 기술의 경우 상점 등으로 공급(또는 판매)되어 상점에 구비되기 때문에 각 터치장치에 구비되는 터치부(305)들의 배치 관계는 가능하면 서로 중복되지 않고 유일한 것이 바람직하였으나, 본 발명의 종이도장(300)은 다수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되어 다수 사용자에게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 및/또는 어떤 앱의 어떤 인터페이스화면에 터치되는지 등에 따라 동일한 기하학적 관계를 지니게 설계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도장(300)은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종이재질에 배치하여 제작되며, 특정 가수 또는 아이돌의 팬덤상품에 포함되거나, 또는 특정 가수 또는 아이돌의 팬덤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팬덤상품은 특정 가수 또는 아이돌의 팬들에게 유료로 판매하거나 무료로 배포하는 물품의 총칭이다.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종이도장(300) 그 자체가 특정 가수 또는 아이돌의 팬덤상품(예컨대, 종이도장(300)의 손잡이부(330)에 특정 가수 또는 아이돌의 사진을 인쇄하여 종이도장(300) 자체를 팬덤상품화 가능)이 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종이도장(300)이 특정 가수 또는 아이돌의 팬덤상품에 포함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미리 지정된 특정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통신하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서, 각각의 종이도장(300)을 등록 관리하는 절차와, 미리 지정된 특정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또는 특정 앱(230)) 및/또는 사용자를 관리하는 절차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종이도장(300)을 터치하도록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종이도장(300)이 터치되었는지 인증하는 절차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종이도장(300)이 터치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구성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운영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서버 측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 특정한 물리적 서버장치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운영서버(100)는 기 구비된 서버장치(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연동하는 앱서버 등)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특정한 물리적 서버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 또는 서비스 관리단말(175)과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하여(또는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한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지정된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사용자에게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기관의 서비스 관리단말(175)(또는 서비스기관으로 종이도장(300)을 제조/공급하는 기업의 관리단말(175) 등)은 상기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정된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가입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관리단말(175)로부터 서비스기관정보(예컨대, 서비스기관 명칭, 주소, 전화번호, 연락처, 대표자정보, 사업자번호 등)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단말(175)은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할 종이도장(300)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될 하나 이상의 종이도장(300)에 대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또는 등록받고),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 요청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판독(또는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될 종이도장(300)을 관리하는 DB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 가능한 종이도장(300)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종이도장(300)의 유효성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는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305)를 동일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후 다수 사용자들에게 배포(또는 판매)되는 복수의 종이도장(300)을 공통으로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관리단말(175)에 터치스크린(205)이 구비된 경우, 상기 관리단말(175)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종이도장(300)을 1회 이상 터치하여 상기 종이도장(300)의 유효성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관리단말(175)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의 유효성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서비스기관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단말(175)은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을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지정된 서비스(예컨대,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되어야 할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 요청된 식별정보를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단말(175)은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되어야 할 특정 앱(230)을 식별하는 앱식별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 요청된 앱식별정보를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단말(175)은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되어야 할 특정 앱(230)을 식별하는 앱식별정보와 상기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될 상기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앱화면식별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 요청된 앱식별정보와 앱화면식별정보를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단말(175)은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되어야 할 각 앱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상기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될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앱화면식별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 요청된 앱화면식별정보를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단말(175)은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을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증될 경우에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할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등록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영역을 등록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는 고정된 디지털 컨텐츠가 아니라 동적으로 변경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공지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공지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전에는 상기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를 공지하는 컨텐츠가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이후에는 상기 출시된 음원 컨텐츠가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전에는 상기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를 공지하는 컨텐츠가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이후에는 상기 출시된 뮤직비디오 컨텐츠가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는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활동에 따라 어떤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할 지 실시간/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관리단말(175)에서 특정 가수 또는 아이돌의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등록 요청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등록 저장할 저장영역을 할당하여 상기 저장영역에 상기 등록 요청된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한 후,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가 변경(또는 갱신)되더라도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가 연계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영역은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전에 음원 출시 공지 컨텐츠를 저장하되 음원 출시 후에 상기 출시된 음원 컨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전에 뮤직비디오 출시 공지 컨텐츠를 저장하되 뮤직비디오 출시 후에 상기 출시된 뮤직비디오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단말(175)은 특정 가수 또는 아이돌의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영역을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등록 저장할 저장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상기 할당된 저장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가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매핑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증된 결과에 기반한 접근(또는 컨텐츠 요청)에 의해서만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되고, 상기 종이도장(300)의 터치 인증 결과에 기반하지 않는 다른 접근(또는 컨텐츠 요청)은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제공될 서비스가 특정한 위치(또는 주소)에서 제공되도록 제한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175)은 상기 서비스가 제공될 서비스 위치정보(또는 주소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서비스 위치정보(또는 주소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30)이 다운로드 설치하고 최초 구동(또는 회원 가입)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정전식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내장한 특정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상기 앱(2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부여할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도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지정된 앱(230)이 설치된 이후에 고유하게(=중복되지 않게) 설정(또는 생성)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사용되는 용도 이외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앱(230)을 고유 식별 하는 식별수단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상기 앱(230)의 실행 상태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고유인증정보 이외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앱(230)이 설치되기 전부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정된 고유식별정보(예컨대, 휴대폰번호, MSISDN, IMSI, IMEI, UICC_ID 등)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또는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비밀번호(예컨대, 사용자 PIN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고,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인증받기 위해 일회용의 사용자 측 인증코드(예컨대,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동적 생성하는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씨드 값,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등)를 확인 또는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동적 생성한 사용자 측 인증코드가 별도의 코드인증서버(170)(도시생략)를 통해 인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는 상기 코드인증서버(170)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동적 생성한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정보 셋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앱(230)(또는 무선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앱(2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앱(230)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이 정밀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앱(230)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한 인식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수신하는 터치인식 수신부(110)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인식정보 외에 인증 가능한 구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각종 구성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터치인식 인증부(115)를 구비한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다양한 앱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앱 중 어느 한 앱(230)이 실행되고, 상기 실행된 앱(230)을 통해 표시 가능한 T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지정 개수 N개 이상의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한 N개의 터치 점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 정보는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된 N개의 터치 영역으로부터 산출된 왜곡되지 않은(또는 왜곡을 보정한) N개의 터치 점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정보는 상기 정밀 인식된 터치 점 좌표값에 대한 좌표계를 식별하는 좌표계식별정보 또는 무선단말 기종 식별정보 또는 운영체제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값을 보정한 경우, 상기 인식정보는 보정된 좌표값과 보정 전 좌표값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보정에 사용된 보정알고리즘이나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정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한 인식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식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인식정보는 상기 인식된 인식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터치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앱(230)이 설치된 이후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설정(또는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인증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222)를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시점 내지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동적 생성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예컨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지정된 씨드값을 대입하여 생성한 코드값)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시점 내지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의 인증 절차가 상기 앱(230)을 통해 처리되는 경우 상기 터치인식정보는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6 터치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표시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앱화면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앱화면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앱식별정보와 상기 앱(230)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앱화면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터치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한 인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7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에 포함된 정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구성된 터치인식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터치인식 수신부(1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구성된 터치인식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터치인식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105)를 통해 상기 앱(230)을 실행한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한 고유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터치인식 인증부(115)는 상기 등록된 고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인식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105)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터치인식 인증부(115)는 상기 등록된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인식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105)를 통해 상기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위치정보(또는 주소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터치인식 인증부(115)는 상기 위치정보(또는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정보의 인증은 보조적 인증수단이며, 상기 위치정보가 매칭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 인증수단은 아니다.
또는 상기 터치인식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동적 생성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105)를 통해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터치인식 인증부(115)는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값을 이용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인식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105)를 통해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가 등록된 경우, 상기 터치인식 인증부(115)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식정보를 별도의 지정된 인증서버(17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서버(170)는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인증서버(170)와 연계된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서버(170)가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인증서버(170)가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연계된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7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한 터치인식정보의 구성 정보 중 상기 운영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되도록 처리하는 터치인증 처리부(120)와,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고유정보 확인부(125)와,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식별정보 확인부(130)와, 상기 확인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터치상태 인증부(135)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이 터치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부(14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컨텐츠 제공부(145)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인식 수신부(1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터치인식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터치인식 인증부(115)를 통해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구성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되도록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는 상기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각 종이도장(300)을 식별하는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서로 다른 M(M≥1)개의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M개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N개의 각 종이도장(300)에 대한 M개의 고유정보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개의 각 종이도장(300) 별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1≤m≤M)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는 상기 매칭된 제m 기하학적 관계와 매핑된 제m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는,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지정된 인증서버(170)(예컨대, 종이도장(300)을 제작/공급하는 제작사에서 운영하는 터치인증용 서버 등)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170)는 M(M≥1)개의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M개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N개의 각 종이도장(300)에 대한 M개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70)로 제공하며,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개의 각 종이도장(300) 별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1≤m≤M)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매칭된 제m 기하학적 관계와 매핑된 제m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로 확인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통신하는 별도의 지정된 인증서버(17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170)는 M(M≥1)개의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M개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N개의 각 종이도장(300)에 대한 M개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하여 저장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인식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70)로 전송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개의 각 종이도장(300) 별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1≤m≤M)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매칭된 제m 기하학적 관계와 매핑된 제m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로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통신하며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지정된 인증서버(17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170)는 M(M≥1)개의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M개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N개의 각 종이도장(300)에 대한 M개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하여 저장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인식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70)로 전송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개의 각 종이도장(300) 별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1≤m≤M)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매칭된 제m 기하학적 관계와 매핑된 제m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구성 정보 중 상기 운영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실시예,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실시예 등,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인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귀속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 터치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고유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제1 내지 제5 터치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제1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고유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것으로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인증서버(170)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고유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인증서버(170)로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것으로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통신하는 별도의 인증서버(170)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고유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되는 터치인증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4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통신하며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인증서버(170)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고유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인증서버(17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인증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5 터치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제1 내지 제5 터치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별도의 인증서버(170) 등)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앱화면식별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앱화면식별정보와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앱식별정보의 조합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앱(230)에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 가능한 인터페이스화면이 어느 한 인터페이스화면으로 고정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앱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를 통해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에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것으로 인증한 경우,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를 통한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매칭 인증을 위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예컨대, 앱화면식별정보와 앱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인증서버(170)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것으로 인증한 경우,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인증서버(170)를 통한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매칭 인증을 위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통신하는 별도의 인증서버(170)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것으로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증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되는 터치인증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4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통신하며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인증서버(170)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것으로 인증하고,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증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인증서버(17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인증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 확인부(125)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가 확인되고,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를 통해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터치상태 인증부(135)는 상기 정보 저장부(105)를 통하여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식별정보(예컨대, 앱화면식별정보와 앱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30)를 통해 확인된 식별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한다.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의 인증 결과와 상기 터치상태 인증부(135)의 인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이 터치되어 인증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40)는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확인부(14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인증된 결과에 의해서만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접근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그 외에 다른 접근(또는 컨텐츠 요청)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14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145)는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이 터치된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며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언제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145)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또는 상기 앱(230)을 실행한 무선단말(200))의 사용자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언제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제공부(145)는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이 터치된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며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표시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 점들로 인증되고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가 인증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된 이력을 포함하는 터치 인증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 저장부(150)와,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전파요청 확인부(155)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 인증 이력을 확인하는 이력 확인부(160)와, 상기 터치 인증 이력 확인 시, 상기 터치 인증 이력이 확인된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지정된 제3자에게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전파되도록 처리하는 컨텐츠전파 처리부(165)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인증 처리부(120)와 터치상태 인증부(135)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 점들로 인증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145)를 통해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된 경우, 상기 이력 저장부(15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가 인증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된 이력을 포함하는 터치 인증 이력을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상기 이력 저장부(150)는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이 터치된 사용자 무선단말(200)(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확인(또는 사용자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연계 저장함으로써, 상기 고유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종이도장(300)이 터치되어 인증되었음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예컨대, 디지털 컨텐츠 전파를 요청하는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또는 사용자정보)와,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 등)와, 디지털 컨텐츠를 전파 받을 제3자(또는 제3자의 컨텐츠 수신수단)을 식별하는 정보 등)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전파요청 확인부(15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된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제공된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력 확인부(160)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확인하고(예컨대, 디지털 컨텐츠 전파를 요청한 사용자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의 앱(230))의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력 저장부(150)를 통해 저장된 터치 인증 이력 중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의 앱(230))에 대한 터치 인증 이력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력 확인부(160)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의 앱(230))의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의 앱(230))에 대한 유효한 터치 인증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의 앱(230))에 대한 유효한 터치 인증 이력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전파 처리부(165)는 상기 확인된 터치 인증 이력에 포함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또는 상기 터치 인증 이력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된 것으로 확인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인증 이력이 확인된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지정된 제3자(또는 제3자의 컨텐츠 수신수단)을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지정된 제3자(또는 제3자의 컨텐츠 수신수단)에게 상기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전파 처리부(16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요청되어 처리된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텐츠전파 처리부(165)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예컨대, 3회 이내)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처리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전파 처리부(165)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 출력되도록 제한되거나, 및/또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이내 출력되도록 제한되는 전파용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또는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지정된 제3자(또는 제3자의 컨텐츠 수신수단)에게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전파용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터치스크린(205)에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지정 개수 N(N≥4)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고 지정된 인증 절차에 따라 인증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2의 무선단말(200)은 지정 개수 N개의 정전식 터치를 다중 인식 가능한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며 무선 통신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및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2)와 메모리부(224)와 화면 출력부(204)와 사용자 입력부(206)와 사운드 처리부(208)와 블루투스부(210)와 카메라부(212)와 NFC부(214)와 근거리망 통신부(216)와 무선망 통신부(218)와 위치 측위부(222)와 USIM 리더부(220)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230) 구성을 본 제어부(2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24)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24)는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23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24)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2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205)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208)는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208)는 사운드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를 지정된 엔코딩(Encoding) 규칙에 따라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한다.
상기 블루투스부(210)는 일정 거리(예컨대, 최대 100m) 내에서 페어링 기반의 양방향 블루투스 무선 통신, 비동기식 무선 통신(예컨대, 요청/응답이 비동기식으로 처리되는 무선 통신),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하는 비콘신호) 송출/수신 중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규격 4.0(예컨대, 블루투스 스마트) 이후의 규격에 따라 블루투스 기반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블루투스부(210)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신호데이터를 제어부(202)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02)에서 전달하는 신호데이터를 블루투스 기반 무선신호를 포함시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12)는 카메라에 대응되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CCD에 입력된 비트맵 형태의 화상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는 정지 영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형태의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부(214)는 근접 거리(예컨대, 10cm 내외)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양방향 근접 무선 통신, 전이중 근접 무선 통신, 반이중 근접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의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13.56Mz 주파수 대역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NFC부(214)는 ISO 18000 시리즈 규격의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3.56Mz 주파수 대역 이외의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NFC부(214)는 리더 모드로 동작하거나, 태그 모드로 동작하거나, 양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18)와 근거리망 통신부(216)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무선망 통신부(218)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2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18)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18)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18)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218)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218)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218)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6)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6)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218)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6)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220)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2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측위부(222)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단말기 방식 측위,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방식 측위, 상기 단말기 방식과 네트워크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측위 기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단말기 방식 측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내장된 GPS모듈(또는 GPS 기능을 내장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정밀 측위하는 기술로서,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신호를 무선단말(200)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GPS (Assisted-GPS) 방식,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제어부(202)는 근거리망 통신부(216)와 무선망 통신부(218)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자원을 통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230)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에 대응하는 앱(230)을 다운로드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앱(230)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실행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 가능하며, 상기 T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제t(1≤t≤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은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N≥4)개의 정전식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터치스크린(205)에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정보 등록부(235)를 구비한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30)이 다운로드 설치하고 최초 구동(또는 회원 가입) 시, 상기 정보 등록부(235)는 상기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상기 앱(2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앱ID, UUID, 앱인증키, 앱이나 지정된 파일(또는 데이터)를 해시한 해시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고유식별정보의 조합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부여할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등록부(235)는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앱(230)이 설치된 이후에 고유하게(=중복되지 않게) 설정(또는 생성)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사용되는 용도 이외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앱(230)을 고유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상기 앱(230)의 실행 상태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235)는 상기 고유인증정보 이외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앱(230)이 설치되기 전부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정된 고유식별정보(예컨대, 휴대폰번호, MSISDN, IMSI, IMEI, UICC_ID 등)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또는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235)는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비밀번호(예컨대, 사용자 PIN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235)는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앱(230)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235)는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인증받기 위해 일회용의 사용자 측 인증코드(예컨대,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동적 생성하는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씨드 값,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등)를 확인 또는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가 별도의 코드인증서버(170)(도시생략)를 통해 인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는 운영서버(100)와 코드인증서버(170)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동적 생성한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정보 셋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235)는 상기 앱(230)(또는 무선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등록부(235)는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제t(1≤t≤T)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표시부(240)와,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활성 처리부(245)와,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터치부(305) 개수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터치인식 확인부(250)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특정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다중 터치인지 인증받기 위한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다중터치 인식부(255)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가 아니라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를 터치한 다중 터치인지 인증하는 다중터치 인증부(260)를 더 구비한다.
사용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미리 지정된 개수 N(N≥4)개의 터치부(305)를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종이도장(300)을 지급받거나 구매한다.
상기 종이도장(300)은 정전식 터치부(305)를 제외한 부분의 대부분을 종이를 주 재료로 저렴하게 제작되어 다수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되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매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종이도장(300)은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 가능하며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된 N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한다.
상기 종이도장(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미리 지정된 개수 N(N≥4)개의 터치부(305)를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되며, 바람직하게 정전식 터치부(305)를 제외한 부분의 대부분을 종이를 주 재료로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도장(300)에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다수 사용자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 제작되는 종이도장(300), 및/또는 동일한 앱의 동일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 제작되는 종이도장(300), 및/또는 다른 앱의 호환되는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 제작되는 종이도장(300) 등은 동일한 기하학적 관계를 지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각 종이도장(300)에서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특정 종이도장(300)을 고유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각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각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도장(300)에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되는 N개의 터치부(305)는 상기 종이도장(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작되며, 이로써 상기 N개의 터치부(305)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기밀성이 유지되며, 제3자가 임의로 도용하지 못하도록 차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이도장(300)은 두께 0.2mm 내외의 불투명 터치막의 일 측에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되며, 상기 불투명 터치막의 양 측 영역 중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한 일 측 영역은 종이도장(300) 내부로 매입되고, 상기 종이도장(300)의 외부에는 상기 불투명 터치막의 다른 일 측 영역이 노출되며, 상기 종이도장(300)의 외부에 노출된 불투명 터치막의 다른 일 측 영역이 터치스크린(205)에 접촉하여 상기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이 실행된 후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상기 앱(230)을 조작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4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기반으로 상기 앱(230)을 통해 터치스크린(205)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제t(1≤t≤T) 인터페이스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40)는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특정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앱(230)을 통해 표시 가능한 T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터치스크린(205) 상의 임의의 영역에 임의의 방향으로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t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터치스크린(205) 상의 임의의 영역에 임의의 방향으로 종이도장(300)을 터치하더라도 상기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305)에 의한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처리부(245)는 상기 앱(230)에 설정된 특정한 지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앱(230)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되는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활성화 처리한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205)은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또는 2점의 다중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사용자 조작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필터링하도록 알고리즘화 되어 있는데, 상기 활성 처리부(245)는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하는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다중 터치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을 모두 정밀 인식하는 상태를 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활성 처리부(24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표시 가능한 T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4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예컨대,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다중 터치를 인식하도록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모두 정밀 인식하도록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앱(230)에는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도록 프로그램화된 인식모듈(예컨대, SDK형태의 프로그램모듈 등)이 탑재될 수 있는데, 상기 활성 처리부(245)는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미리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인식모듈이 로드되어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하는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도면2에 도시된 터치인식 확인부(250), 다중터치 인식부(255), 다중터치 인증부(260) 등은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처리부(245)를 통해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인식 확인부(250)는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개수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개수 N개 미만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되는 경우, 상기 터치인식 확인부(250)는 상기 N개의 미만의 터치 인식은 종래 사용자 조작을 위한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도록 하되,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개수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인식 확인부(250)는 지정 개수 N개를 초과하는 다중 터치는 종래 사용자 조작을 위한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N개를 초과하는 터치를 무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인식 확인부(250)를 통해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개수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됨이 확인되면, 상기 다중터치 인식부(255)는 상기 N개의 다중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하는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점 정보(예컨대, 지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값으로 표현되는 터치 점 좌표값 등)를 포함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특정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인지 인증받기 위한 인식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다중터치 인식부(255)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점 좌표값을 포함하는 터치 점 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점 좌표값에 대한 좌표계를 식별하는 좌표계식별정보 또는 무선단말 기종 식별정보 또는 운영체제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값을 보정한 경우, 상기 다중터치 인식부(255)는 상기 보정된 좌표값과 보정 전 좌표값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보정에 사용된 보정알고리즘이나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정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인식 확인부(250)를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됨이 확인된 경우, 상기 다중터치 인증부(26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종이도장(300)을 다중 터치하여 인식된 터치 점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도장(300)은 N개의 터치부(305)를 지정된 배치영역(예컨대, 가로/세로 3cm의 정사각형 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되는데, 상기 다중터치 인증부(26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종이도장(300)의 배치영역에 배치되어 터치된 상호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지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이도장(300)은 N개의 터치부(305)를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되 상기 N개의 터치부(305)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305)를 미리 지정된 고정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N개의 터치부(305)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터치부(305)에 의해 특이한 N각형 구조를 지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다중터치 인증부(26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허용 가능한 N각형 구조를 지니는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인식된 터치 점에 대응하는지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다중터치 인증부(260)를 통해 상기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것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한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받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터치인증 절차부(265)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는 상기 운영서버(100)(또는 별도의 지정된 인증서버(170))와 연동하여 상기 다중터치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한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받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한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는 상기 다중터치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인식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는 상기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구성된 터치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한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받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운영서버(100)는 각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각 종이도장(300)을 식별하는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M(M≥1)개의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M개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N개의 각 종이도장(300)에 대한 M개의 고유정보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개의 각 종이도장(300) 별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1≤m≤M)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칭된 제m 기하학적 관계와 매핑된 제m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는 상기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구성된 터치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지정된 인증서버(170)(예컨대, 종이도장(300)을 제작/공급하는 제작사에서 운영하는 터치인증용 서버 등)로 제공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증서버(170)는 M(M≥1)개의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M개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N개의 각 종이도장(300)에 대한 M개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하여 저장 관리한다.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70)로 제공하며,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개의 각 종이도장(300) 별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1≤m≤M)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매칭된 제m 기하학적 관계와 매핑된 제m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로 확인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는 상기 앱(230)과 통신하는 별도의 지정된 인증서버(170)(예컨대, 종이도장(300)을 제작/공급하는 제작사에서 운영하는 터치인증용 서버 등)로 상기 다중터치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인식정보를 전송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증서버(170)는 M(M≥1)개의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M개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N개의 각 종이도장(300)에 대한 M개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하여 저장 관리한다.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가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인식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70)로 전송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개의 각 종이도장(300) 별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1≤m≤M)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매칭된 제m 기하학적 관계와 매핑된 제m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로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하며,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는 상기 인증서버(170)로부터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증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는 상기 다중터치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인식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앱(230)과 통신하며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지정된 인증서버(170)로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전송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증서버(170)는 M(M≥1)개의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형성하는 M개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정보와 N개의 각 종이도장(300)에 대한 M개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하여 저장 관리한다.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가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70)로 전송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M개의 각 종이도장(300) 별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1≤m≤M)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제m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서버(170)는 상기 매칭된 제m 기하학적 관계와 매핑된 제m 고유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구성 정보 중 상기 운영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실시예, 또는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가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실시예 등,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인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귀속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 터치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는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된다.
상기 제1 내지 제5 터치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이 터치되어 인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매칭 인증된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종이도장(300)의 터치 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270)와,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275)를 구비한다.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종이도장(300)의 터치 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하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270)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터치 인증된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수신부(27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출력부(275)는 상기 종이도장(300)의 터치를 인식한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컨텐츠 수신부(27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를 통해 수행된 인증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27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컨텐츠전파 요청부(280)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를 통해 수행된 인증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270)를 통해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상기 터치인증 절차부(265)를 통해 수행된 인증 절차의 결과로서 인증된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수신되어 상기 컨텐츠 출력부(275)를 통해 출력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전파 요청부(28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예컨대, 디지털 컨텐츠 전파를 요청하는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또는 사용자정보)와,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 등)와, 디지털 컨텐츠를 전파 받을 제3자(또는 제3자의 컨텐츠 수신수단)을 식별하는 정보 등)를 구성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컨텐츠전파 요청부(280)는 지정된 SNS를 통해 상기 제3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전파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지정된 SNS를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전파 요청부(280)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예컨대, 3회 이내)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전파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전파할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특정 종이도장(300)을 터치하고,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를 인증하는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를 인증한 결과로서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디지털 컨텐츠가 제3자에게 전파(예컨대, 일정 횟수 이내 전파 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종이도장(3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종이도장(300)의 측면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종이도장(300)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도장(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한 수축에 대해 복원력을 지니게 제작된 복수의 터치부(305)와, 종이재질(또는 수지재질 가능, 이하 편의상 '종이재질'이라고 함)로 제작되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복수의 터치부(305)들을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촉판부(310)와,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적층되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되는 복수의 터치부(305)들을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3차원 배치공간을 형성하게 제작된 배치공간부(315)와,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배치공간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 상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305)들과 접촉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는 전도성 영역이 형성된 종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 영역의 훼손 없이 구부러져 상기 전도성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양단의 전도성 노출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답터부(320)를 포함하여 제작되며,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영역 중 상가 아답터부(320)를 통해 적층되지 않는 비적층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종이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되어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비적층 영역에 적층되는 적층판부(325)를 더 구비거나, 및/또는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지정된 형상(예컨대, 각종 캐릭터 모양)으로 제작된 손잡이부(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종이도장(300)을 구성하는 구성부 중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파란색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부(3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외력에 의해 수축되는 경우에 수축 전 원래의 부피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지닌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되며, 지정된 두께 T(T≥0.1mm) 이상으로 제작된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부(305)는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두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기 설계된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관계를 포함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되며, 상기 배치공간부(315)를 통해 형성된 배치공간에 의해 각 터치부(305)와 터치부(305)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305)들을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정밀하게 배치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매입판부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매입판부는 복수의 터치부(305)들을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상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홀이 형성되며, 각 매입홀은 각 터치부(305)를 매입 가능한 형태로 홀이 형성된다. 상기 매입판부는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배치공간에 삽입했다가 제거 가능한 기하학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입판부를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배치공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각 매입홀에 각각의 터치부(305)를 매입하여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접착(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한 후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배치공간에서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터치부(305)들은 상호 간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를 이루며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복수의 터치부(305)들의 각 중점을 연결한 선분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배치영역 상의 기준 점(예컨대, 좌표 원점 또는 복수의 터치부(305) 중 어느 한 터치부(305)에 대응하는 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터치부(305)들의 각 중점을 연결한 선분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미리 설계된 면적을 지니도록 설계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터치부(305)의 면적은 상기 접촉판부(310)의 접촉영역이 접촉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하여 상기 접촉판부(310)를 통과하여 정전식 터치부(305)를 유발하는데 필요한 면적으로 계산된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부(305)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데 적용되는 각종 변수(예컨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흐르는 전류 등)들을 고정한 경우, 상기 터치부(305)의 면적은 상기 접촉판부(310)의 두께에 지정된 비율에 따라 비례하는 상관관계를 지닐 수 있다. 즉, 상기 터치부(305)의 면적은 상기 접촉판부(310)의 두께가 얇을수록 작은 면적으로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접촉판부(31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보다 넓은 면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부(305)의 면적을 형성하는 도형 구조는 정사각형 구조 이외에 원형, 타원을 비롯한 곡선 구조는 물론 사각형 외에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도형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상기 접촉판부(31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305)의 기하학적 관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접촉하여 복수의 터치부(305)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전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비전도성의 종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복수의 터치부(305)들을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접촉판부(310)는 상기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305)들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상기 접촉영역을 통해 접촉 중인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유도 가능한 지정된 두께로 제작된다. 상기 접촉판부(310)의 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터치부(305)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촉판부(31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설사 상기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305)들이 시가적으로 노출되지 않더라도 터치부(305)들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터치부(305)들의 기하학적 관계가 어렴풋하게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종이도장(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위한 압인력에 가해짐에 의해 훼손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접촉판부(310)의 두께를 단위 면적(예컨대, 가로/세로 각 1m)당 180g 이하의 종이재질에 대응하는 두께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터치부(305)들에 의한 상기 터치부(305)에 의해 정전식 터치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안정적으로 유도하면서 압인에 의해 훼손되지 않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예시된 그러나 상기 접촉판부(310)의 두께가 상기 예시한 수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촉판부(310)의 면적이나 압축 강도 등에 따라 더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접촉판부(310)가 종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접촉판부(31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물에 조금만 젖더라도 상기 접촉판부(310)는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접촉판부(310)(예컨대, 접촉영역)은 물에 젖더라도 손상되지 않고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판부(310)를 제작하는 경우 지정된 두께의 종이재질을 합지하여 기 설계된 두께로 제작한 후에 톰슨 가공(Thompson Press)을 통해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구조로 절단하여 상기 접촉판부(310)를 제작할 수 있다. 톰슨 가공은 종이재질을 절단하는 가공법으로, 절단 칼날을 따내기 원하는 모양으로 배치한 후 종이재질 위에서 압력을 가하여 종이재질을 원하는 모양으로 따내는 가공법이다.
상기 배치공간부(315)는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 측에 적층되며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되는 복수의 터치부(305)들이 상호 간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되도록 하는 3차원 배치공간을 구비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비전도성의 종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부(305)의 두께 T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 t(t≤T)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배치공간부(315)를 제작하는 경우 지정된 두께의 종이재질을 지정된 장수 이상 합지하여 두께 t로 제작한 후,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구조로 절단함과 동시에 내부에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구조로 두께 t의 3차원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절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305)들은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배치공간에 의해 상호 간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매입판부의 매입홀에 의해 지정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헝성하되,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배치공간 위에 상기 아답터부(320)를 적층하는 경우에 상기 적층되는 아답터부(320)를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터치부(305)의 두께 T는 두께 t로 수축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 상태에서 상기 종이도장(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위해 사람의 손에 의해 아답터부(320) 방향에서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터치부(305)의 두께 T는 상기 압인력에 의해 두께 t 이내로 수축되었다가, 상기 압인력이 해제됨에 의해 두께 t로 복원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305)들은 항상 원래의 두께 T에서 두께 t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설령 상기 복수의 터치부(305)들을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하는 접착력이 일부 감소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305)들을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접착력이 일부 감소하는 경우에도 접촉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아답터부(320)는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배치공간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 상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305)들과 접촉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영역이 형성된 종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영역은 훼손 없이 구부러져 외부로 노출되는 전도성 노출영역과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305)들과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도록 접촉/접착되는 전도성 접착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접착영역은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305)들과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답터부(320)는 종이재질의 판에 전도성 재질의 박막을 도포 또는 증착 또는 도금 또는 코팅하여 적어도 일 면에 전도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답터부(320)는 종이재질의 판에 전도성 재질을 적층 또는 합지하여 적어도 일 면에 전도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영역은 은박 재질 또는 금박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부림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 연성의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답터부(320)는 양단의 전도성 노출영역에 상기 손잡이부(330)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지정된 두께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두께는 손잡이부(330)의 두께보다 작거나 또는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아답터부(320)를 제작하는 경우 지정된 두께의 종이재질을 합지하여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는 기 설계된 두께로 제작한 후에 톰슨 가공을 통해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구조로 절단하여 상기 접촉판부(310)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에 형성되는 결합홈은 상기 전도성 영역이 형성된 방향에서 톰슨 가공하여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에 형성되는 지정된 두께의 결합홈 부분의 전도성 영역이 결합홈 안쪽으로 말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전도성 노출영역의 결합홈에 손잡이부(330)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330)의 일 면에 형성된 전도성 영역과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톰슨 가공은 종이재질을 절단하는 가공법으로, 절단 칼날을 따내기 원하는 모양으로 배치한 후 종이재질 위에서 압력을 가하여 종이재질을 원하는 모양으로 따내는 가공법이다.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영역에는 연성의 전도성 재질(예컨대, 은박 재질 또는 금박 재질 등)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영역이 형성된 방향에서 톰슨 가공으로 따내기를 할 경우 연성의 전도성 재질의 적어도 일부가 톰슨 가공의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칼날을 따라 말려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에 형성되는 결합홈은 하나의 절단 칼날로 잘려진 일 선의 홈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일 선의 결합홈에 일정한 두께의 손잡이부(330)를 물리적으로 결합할 경우에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영역과 손잡이부(330)가 접촉하도록 휘어지게 유도하는 결합 유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아답터부(320)는 상기 전도성 영역의 훼손 없이 양단의 전도성 노출영역을 구부리기 위해 상기 전도성 영역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구부림 선에 대응하는 구부림 유도홈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도성 영역의 훼손 없이 양단의 전도성 노출영역을 구부리기 위해 구부림 선에 대응하는 영역에 구부림 유도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답터부(320)는 상기 구부림 유도홈 및/또는 구부림 유도홀을 따라 양단의 일부 영역을 ‘U’ 형태로 구부려 상기 전도성 노출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게 처리한다. 이 때 상기 구부림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양단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전도성 영역(예컨대, 밑면 영역)은 상기 접촉판부(310)의 배치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부(305)들과 접촉 또는 접착하는 전도성 접착영역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영역 중 상가 아답터부(320)를 통해 적층되지 않는 비적층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층판부(325)는 종이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되어 상기 배치공간부(315)의 비적층 영역에 적층되며, 상기 아답터부(320)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제작된다.
상기 손잡이부(330)는 종이도장(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할 경우에 인체와 접촉하는 구성부으로서, 적어도 일 면에 전도성 재질의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해 상기 아답터부(320)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접착영역에 접촉/접착된 복수의 터치부(305)와 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회로를 형성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손잡이부(330)는 지정된 캐릭터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이 인체와 직접 접촉한다면(예컨대, 아답터부(320)의 노출영역이 캐릭터 모양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아답터부(320)의 노출영역이 손잡이부(330)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상기 손잡이부(330)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330)는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과 물리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330)의 전도성 영역을 상기 노출영역의 전도성 재질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아답터부(320)도 상기 손잡이부(330)와 물리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노출영역의 전도성 재질을 상기 손잡이부(330)의 전도성 영역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330)는 종이재질의 판에 전도성 재질을 도포 또는 증착 또는 도금 또는 코팅하여 적어도 일 면에 전도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손잡이부(330)는 종이재질의 판에 전도성 재질을 적층 또는 합지하여 적어도 일 면에 전도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영역은 은박 재질 또는 금박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부림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 연성의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330)는 지정된 두께 D(D≥1mm)로 제작되며, 상기 아답터부(320)의 전도성 노출영역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두께는 상기 손잡이부(330)의 두께 D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 d(d≤D)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부(330)를 제작하는 경우 지정된 두께의 종이재질을 여러 장 합지하여 기 설계된 두께 D로 제작한 후에 톰슨 가공을 통해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구조로 절단하여 상기 손잡이부(330)를 제작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터치스크린(205)에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정보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내장한 특정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상기 앱(2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등록을 요청하고(40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연동하여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내장한 특정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실행된 상기 앱(2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별도의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한다(405). 만약 상기 고유인증정보가 확인/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저장하며(4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41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앱(230)이 설치되기 전부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또는 앱(230))을 통해 동적 생성될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의 등록을 요청하고(4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하고, 상기 확인/생성된 사용자 측 인증정보를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42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입력될 사용자 측 비밀번호의 등록을 요청하고(4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등록받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와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42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앱(230)을 사용하는 사용자정보를 등록 요청하며(43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연동하여 사용자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정보를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435).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종이도장(300)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될 종이도장(300)과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종이도장(300)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관리단말(175)은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종이재질에 배치하여 제작되어 팬덤상품 등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될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등록 요청하며(510), 상기 운영서버(100)는 종이재질에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될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수신(또는 확인)하고(505),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를 판독(또는 종이도장(300)을 관리하는 DB와 연동)하여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물건이 종이재질에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포(또는 판매)될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인지 유효성을 확인한다(510).
만약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의 유효성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515). 한편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의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등록 오류를 생성하여 관리단말(175)로 제공하며(520), 상기 관리단말(175)은 상기 등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525)
한편 상기 관리단말(175)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상기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등록 요청하고(53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상기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53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540).
한편 상기 관리단말(175)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할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또는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영역)을 등록 요청하고(545),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종이도장(300)이 터치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할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영역을 할당(또는 기 할당된 저장영역을 확인)한다(550). 만약 상기 관리단말(175)로부터 상기 저장영역에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등록 요청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관리단말(175)로부터 등록 요청된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으며(555), 상기 관리단말(175)에서 별도의 디지털 컨텐츠를 등록 요청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영역만 할당/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팬덤상품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배포될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영역 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560).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이 지정된 서비스(예컨대,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편의상 본 도면6을 비롯한 이후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터치인증 실시예를 기반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터치인증 방법이 상기 제1 터치인증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내지 제5 터치인증 실시예 중 어느 실시예를 기반으로 실시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표시 가능한 T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 가능한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되는지 확인한다(600). 만약 상기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킨다(60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이 기 활성화된 경우 별도로 상기 정밀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만약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610).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자신에게 배포된(또는 구매한) 종이도장(300)을 상기 본인이 소유(또는 소지)한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상기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305)를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하는 경우(61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하고(620),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한 인식정보를 생성한다(6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다중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하는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점 정보(예컨대, 지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값으로 표현되는 터치 점 좌표값 등)를 포함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특정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인지 인증받기 위한 인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6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점 좌표값을 포함하는 터치 점 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점 좌표값에 대한 좌표계를 식별하는 좌표계식별정보 또는 무선단말 기종 식별정보 또는 운영체제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62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값을 보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보정된 좌표값과 보정 전 좌표값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보정에 사용된 보정알고리즘이나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정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625).
한편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종이도장(300)을 다중 터치하여 인식된 종이도장(300) 기반 다중 터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630). 예를들어, 상기 종이도장(300)은 N개의 터치부(305)를 지정된 배치영역(예컨대, 가로/세로 3cm의 정사각형 영역)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되는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종이도장(300)의 배치영역에 배치되어 터치된 상호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지 인증할 수 있다(630). 한편 상기 종이도장(300)은 N개의 터치부(305)를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되 상기 N개의 터치부(305)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305)를 미리 지정된 고정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N개의 터치부(305)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터치부(305)에 의해 특이한 N각형 구조를 지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허용 가능한 N각형 구조를 지니는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인식된 터치 점에 대응하는지 인증할 수 있다(63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종이도장(300) 기반 다중 터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다중 터치에 대한 인식 오류를 출력할 수 있다(645). 만약 상기 인식 오류를 출력한 후에도 상기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6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식 오류를 출력 없이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610). 한편 상기 인식 오류를 출력한 후에 상기 지정된 제t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라 아니라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50).
한편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되거나 및/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종이도장(300) 기반 다중 터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정밀 인식한 인식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한다(635).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식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식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구성된 터치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64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수신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를 인증하여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운영서버(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한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매칭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여 그러한 경우에 상기 매칭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종이도장(300)을 이용한 터치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인식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터치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인식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터치인식정보를 수신한다(7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705).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각종 구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705).
만약 상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앱(23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인증정보가 포함되고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앱(230)을 실행한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한 고유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된 고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705).
또는 상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고유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된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705).
또는 상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고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위치정보(또는 주소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된 위치정보(또는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705).
또는 상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동적 생성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가 포함되고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된 사용자 측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값을 이용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705).
또는 상기 수신된 터치인식정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가 포함되고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705).
만약 상기 터치인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터치 인증 오류를 제공하고(7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상기 터치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71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터치인식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72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어느 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도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터치 인증 오류를 제공하고(7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상기 터치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715).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칭 인증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한다(725).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칭 인증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앱(230)을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730).
만약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예컨대,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된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어떤 앱(230)의 어떤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터치 인증 오류를 제공하고(7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상기 터치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715).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앱(23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한다(735).
만약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가 아니었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터치 인증 오류를 제공하고(7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상기 터치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715).
한편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종이도장(300)을 터치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였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조건(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특정 종이도장(300) 터치)과 기능적 조건(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특정 앱(230)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 표시)을 모두 만족한 것으로 인증(또는 승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출력할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매칭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한다(740).
만약 상기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매칭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의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며(74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특정 종이도장(300)을 터치한 결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한다(75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75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 점들로 인증되고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상기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가 인증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인증된 특정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된 이력을 포함하는 터치 인증 이력을 저장한다(760).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제3자 전파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결과로서 상기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300)을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결과로서 상기 종이도장(300)과 연계된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팬덤상품 관련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특정 종이도장(300)의 터치로 인증한 결과로서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800). 만약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제3자 전파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을 제3자를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제3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8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수신하고(810),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된 터치 인증 이력 중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특정 종이도장(300)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인증된 터치 인증 이력을 확인한다(815).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특정 종이도장(300)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인증된 터치 인증 이력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컨텐츠 전파 오류를 제공하고(84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파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84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특정 종이도장(300)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인증된 터치 인증 이력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 횟수 및/또는 기간 등에 대한 제한 사항을 판독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전파 가능한지 확인하고(820),
만약 상기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를 전파할 수 없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컨텐츠 전파 오류를 제공하고(84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파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845).
한편 상기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요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지정된 제3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전파되도록 처리한다(825). 만약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지정된 제3자에게 전파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 결과를 제공하고(83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835).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저장부
110 : 터치인식 수신부 115 : 터치인식 인증부
120 : 터치인증 처리부 125 : 고유정보 확인부
130 :식별정보 확인부 135 : 터치상태 인증부
140 : 컨텐츠 확인부 145 : 컨텐츠 제공부
150 : 이력 저장부 155 : 전파요청 확인부
160 : 이력 확인부 165 : 컨텐츠전파 처리부
200 : 사용자 무선단말 205 : 터치스크린
230 : 앱 235 : 정보 등록부
240 : 인터페이스 표시부 245 : 활성 처리부
250 : 터치인식 확인부 255 : 다중터치 인식부
260 : 다중터치 인증부 265 : 터치인증 절차부
270 : 컨텐츠 수신부 275 : 컨텐츠 출력부
280 : 컨텐츠전파 요청부 300 : 종이도장

Claims (16)

  1.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팬덤(Fandom)상품의 지정된 부분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 N(N≥4)개의 터치부를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종이도장을 포함시켜 제작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팬덤상품을 구매하여 소유하게 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연계하는 제1 단계;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앱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중 터치된 지정 개수 N개의 터치 점이 정밀 인식된 후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특정 종이도장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 인증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부를 구비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 인증하는 절차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종이도장을 포함하는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팬덤상품에 포함된 종이도장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또는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과 연계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공지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공지 컨텐츠,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은,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음원 출시 전에 음원 출시 공지 컨텐츠를 저장하되 음원 출시 후에 상기 출시된 음원 컨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팬덤상품에 대응하는 가수 또는 아이돌의 뮤직비디오 출시 전에 뮤직비디오 출시 공지 컨텐츠를 저장하되 뮤직비디오 출시 후에 상기 출시된 뮤직비디오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지정 개수 N개의 터치부를 동일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복수의 종이도장을 공통으로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종이도장을 포함한 팬덤상품과 연계된 특정 앱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을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상기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상기 매칭 인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된 시점에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와 연계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앱의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제t(1≤t≤T)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능이 활성화되는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인터페이스화면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T(T≥1)개의 인터페이스화면 중 상기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앱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 설치된 후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무선단말로 수신된 후 실행된 프로그램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 인식은,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지 않는 다중 터치 인식,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를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왜곡하지 않는 다중 터치 인식,
    무선단말의 운영체제를 통해 지정 개수 N개의 다중 터치가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왜곡되는 경우에 상기 왜곡을 보정하는 다중 터치 인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3자에게 전파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를 요청한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전파 요청된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팬덤상품의 종이도장을 터치 인증한 터치 인증 이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인증 이력 확인 시, 상기 터치 인증 이력이 확인된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제3자에게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가 전파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파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 전파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된 디지털 컨텐츠는,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내 출력되도록 제한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이내 출력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60044360A 2016-04-11 2016-04-11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47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60A KR102473444B1 (ko) 2016-04-11 2016-04-11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60A KR102473444B1 (ko) 2016-04-11 2016-04-11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39A KR20170116639A (ko) 2017-10-20
KR102473444B1 true KR102473444B1 (ko) 2022-12-02

Family

ID=6029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360A KR102473444B1 (ko) 2016-04-11 2016-04-11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4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24B1 (ko) * 2009-08-13 2014-10-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커뮤니티 내 디바이스 간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7920B2 (ja) * 2010-04-30 2015-12-24 ナウ テクノロジーズ (アイピー) リミティッド コンテンツアイテムのチャートを提供する装置、方法、製品及び移動装置が実行する方法
KR101729013B1 (ko) * 2010-10-08 2017-04-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구매가 연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95589B1 (ko) * 2012-11-19 2015-02-26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2242B1 (ko) * 2014-09-03 2016-06-2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24B1 (ko) * 2009-08-13 2014-10-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커뮤니티 내 디바이스 간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39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1268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ing a Primary User Device to Provision Credentials onto a Secondary User Device
CN101809977A (zh) 使用附加元件更新移动设备
KR101495589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93883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101990661B1 (ko) 압인식 정전 다중 터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93886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101979645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93876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다중 터치 인증 방법
KR102473444B1 (ko) 종이도장을 이용한 팬덤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784926B1 (ko) 사용자 소유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무선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78874B1 (ko) 터치권 제공 방법
KR20140144772A (ko) 형상 터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538697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101324072B1 (ko)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설문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86856B1 (ko)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KR102582768B1 (ko) 역방향 인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07850B1 (ko) 터치 인식을 이용한 역방향 가치 사용 방법
KR20140089733A (ko) 결제 처리를 위한 제휴사 앱 인증 방법
KR20170116637A (ko) 종이도장을 이용한 디지털 브로셔 제공 방법
KR20170116641A (ko) 종이도장을 이용한 디지털화보 제공 방법
KR102378873B1 (ko) 터치권 제공 방법
KR20150134109A (ko) 터치 인식을 이용한 역방향 가치 사용 방법
KR102378875B1 (ko) 터치권 제공 방법
KR101769917B1 (ko) 사용자 소유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무선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38694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