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247B1 -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247B1
KR102473247B1 KR1020220033430A KR20220033430A KR102473247B1 KR 102473247 B1 KR102473247 B1 KR 102473247B1 KR 1020220033430 A KR1020220033430 A KR 1020220033430A KR 20220033430 A KR20220033430 A KR 20220033430A KR 102473247 B1 KR102473247 B1 KR 10247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ttom plate
filter
led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규
Original Assignee
송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규 filed Critical 송민규
Priority to KR102022003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Abstract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흡기된 공기에 대해 필터링 과정을 수행한 후 세균을 살균 처리하거나 바이러스를 저감 처리할 때, 공기 오염 상태,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농도에 따라 흡기 세기를 결정하며 음이온과 함께 정화된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Air Purifi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 들어, 미세먼지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청정기를 사용자가 늘고 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케이스의 전면에 흡기구, 상면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흡기팬이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흡기된 공기를 배기구로 배출한다.
공기청정기는 흡기구를 이용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고, 내부에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포함한다. 공기청정기는 흡기팬을 구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후, 필터부재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자외선 살균램프의 주변을 통과하면서 살균된 후,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청정기에서 자외선 살균램프에 의한 살균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자외선 살균램프의 주변을 최대한 가깝게 통과하여야 한다.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자외선 살균램프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넓은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됨으로, 공기의 일부만이 자외선 살균램프의 주변을 가깝게 통과하게 됨으로,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한 살균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흡기된 공기에 대해 필터링 과정을 수행한 후 세균을 살균 처리하거나 바이러스를 저감 처리할 때, 공기 오염 상태,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농도에 따라 흡기 세기를 결정하며 음이온과 함께 정화된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흡기구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기하는 상판 덮개; 상기 상판 덮개와 체결되며, 상기 공기가 머무르는 빈 공간을 갖는 상판; 상기 상판과 체결되며,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1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는 제1 공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가 내부에 삽입된 필터를 경유하여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과 체결되며,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2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는 제2 공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가 살균되도록 하는 살균 하우징; 상기 살균 하우징과 체결되며, 상기 공기가 음이온과 함께 배기구 배출되도록 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흡기된 공기에 대해 필터링 과정을 수행한 후 세균을 살균 처리하거나 바이러스를 저감 처리할 때, 공기 오염 상태,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농도에 따라 흡기 세기를 결정하며 음이온과 함께 정화된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1b,1c,1d,1e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농도에 따른 UV-C LED 강도 조절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10b,10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 바이러스 저감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1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균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시험 성적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존 시험 성적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1b,1c,1d,1e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공기 청정기의 후면도이다. 도 1c,1e는 공기 청정기의 배면도이다.
공기 청정기(100)는 상판 덮개(310), 상판(410), 필터 하우징(510), 살균 하우징(610), 바닥판(710), 받침대(810)를 포함한다. 공기 청정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청정기(100)의 상판 덮개(310)의 외측에 흡기구(320)가 형성되어 공기를 흡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흡기구(320)로 공기를 흡입한 후 탈취, 정화, 바이러스 살균, 세균 살균 처리한 공기를 배기구(730)로 배출한다.
공기 청정기(100)는 1단계로 흡기구(32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카본활성탄볼을 이용하여 탈취 및 정화한다. 공기 청정기(100)는 2단계로 UV-C LED(670)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살균 및 세균 살균을 수행한다. 공기 청정기(100)는 3단계로 음이온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양질의 음이온과 함께 정화된 공기를 배기구(730)로 배출한다.
공기 청정기(100)의 바닥판(710)의 외측 일단에 동작 LED(110)가 구현된다. 동작 LED(110)는 버튼 형태로 구현되거나 표시창으로 구현 가능하다. 동작 LED(110)는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 상태를 색깔로 출력한다. 공기 청정기(100)의 바닥판(710)의 외측 타단에 외부 전원공급부(120)가 구현된다. 외부 전원공급부(120)는 공기 청정기(10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포트로서, 외부 전력을 입력받는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100)는 상판 덮개(310), 상판(410), 필터 하우징(510), 살균 하우징(610), 바닥판(710), 받침대(810)를 포함한다. 공기 청정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판 덮개(310)는 흡기구(320)가 형성되어 공기 청정기(100)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상판(410)은 상단이 상판 덮개(310)의 하단과 체결되며, 하단이 필터 하우징(510)의 상단과 체결된다. 필터 하우징(510)은 상단이 상판(410)의 하단과 체결된다. 필터 하우징(510)은 하단이 살균 하우징(610)의 상단과 체결된다. 살균 하우징(610)은 상단이 필터 하우징(510)의 하단과 체결된다. 살균 하우징(610)은 하단이 바닥판(710)의 상단과 체결된다. 바닥판(710)은 상단이 살균 하우징(610)의 하단과 체결된다. 바닥판(710)은 하단이 받침대(810)의 상단과 체결된다.
도 3a,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 덮개(310)는 상단에 흡기구(320)를 형성한다.
상판 덮개(310)는 흡기구(320)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기한다. 상판 덮개(310)는 흡기구(320)가 형성되어 공기 청정기(100)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상판 덮개(310)는 덮개 형태로 공기 청정기(100)의 상단을 덮는다.
흡기구(320)는 상판 덮개(310)의 상단에 복수로 형성된다. 흡기구(320)는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배기구(730)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판(410)은 상판 덮개(310)와 체결되며, 공기가 머무르는 빈 공간을 갖는다. 상판(410)은 중앙이 뚫린 형태를 가진다. 상판(410)은 중앙이 뚫린 형태의 내측 모서리마다 제1 체결홀(420)을 형성한다. 상판(410)은 중앙이 뚫린 형태의 내주면을 따라 제1 사다리꼴 홀(430)을 형성한다.
제1 체결홀(420)은 나사가 체결되어 제2 체결홀(520), 제3 체결홀(620)을 경유하여 제4 체결홀(720)까지 나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 체결홀(420)로 인해 상판(410), 제2 체결홀(520)로 인해 필터 하우징(510), 제3 체결홀(620)로 인해 살균 하우징(610), 제4 체결홀(720)로 인해 바닥판(710)이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410)은 제1 체결홀(420), 제1 사다리꼴 홀(430)을 포함한다. 상판(4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판(410)은 상단이 상판 덮개(310)의 하단과 체결되며, 하단이 필터 하우징(510)의 상단과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410)은 중앙이 뚫려 있는 형태를 갖는다. 상판(410)은 중앙이 뚫린 상태에서 내측 모서리마다 제1 체결홀(420)을 형성한다.
제1 체결홀(420)은 나사가 체결되어 제2 체결홀(520), 제3 체결홀(620)을 경유하여 제4 체결홀(720)까지 나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체결홀(420)로 인해 상판(410), 제2 체결홀(520)로 인해 필터 하우징(510), 제3 체결홀(620)로 인해 살균 하우징(610), 제4 체결홀(720)로 인해 바닥판(7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판(410)은 중앙이 뚫린 상태에서 내측에 제1 사다리꼴 홀(430)을 형성한다. 제1 사다리꼴 홀(430)은 중앙이 뚫린 형태의 상판(4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사다리꼴 홀(430)은 제2 사다리꼴 홀(530)과 이어지는 형태로 체결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필터 하우징(510)은 상판(410)과 체결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1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는 제1 공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내부에 삽입된 필터를 경유하여 정화되도록 한다.
필터 하우징(510)은 중앙이 하나의 필터바닥판(540) 형태로 막혀있다. 필터 하우징(510)은 필터바닥판(540)까지 중앙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필터 하우징(510)은 필터바닥판(540)의 중앙에 필터 삽입홀(540)을 형성한다. 필터 하우징(510)은 필터바닥판(540) 상에 제1 체결홀(4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홀(520)을 형성한다. 필터 하우징(510)은 필터바닥판(540)까지 중앙에 형성된 빈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제2 사다리꼴 홀(530)을 형성한다. 필터 하우징(510)은 제2 사다리꼴 홀(530)이 제1 사다리꼴 홀(430)과 이어지는 형태로 체결되도록 한다.
필터 삽입홀(540)은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필터 삽입홀(540)은 복수의 공간 내에 탈취 필터 및 정화 필터(예컨대, 카본활성탄볼)를 삽입한다. 필터 삽입홀(540)은 흡기구(320)로부터 흡기된 공기를 정화 및 탈취한다.
필터 삽입홀(540)은 흡기구(320)로 흡기된 공기가 1차적으로 좁아지는 필터바닥판(540)에 형성된 되도록 하는 제1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510)은 제2 체결홀(520), 제2 사다리꼴 홀(530)을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5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하우징(510)은 상단이 상판(410)의 하단과 체결된다. 필터 하우징(510)은 하단이 살균 하우징(610)의 상단과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510)은 중앙이 하나의 필터바닥판(540) 형태로 막혀있다. 필터 하우징(510)은 상단부터 필터바닥판(540)까지 중앙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필터 하우징(510)은 필터바닥판(540)의 중앙에 필터 삽입홀(540)을 형성하는 형태를 갖는다.
필터 하우징(510)은 필터바닥판(540) 상에 제1 체결홀(4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홀(520)을 형성한다. 제2 체결홀(520)은 제1 체결홀(420)에 나사가 체결되어 제3 체결홀(620)을 경유하여 제4 체결홀(720)까지 나사가 고정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체결홀(420)로 인해 상판(410), 제2 체결홀(520)로 인해 필터 하우징(510), 제3 체결홀(620)로 인해 살균 하우징(610), 제4 체결홀(720)로 인해 바닥판(710)이 고정되도록 한다.
필터 하우징(510)은 필터바닥판(540)까지 중앙에 형성된 빈공간의 내측에 제2 사다리꼴 홀(530)을 형성한다. 제2 사다리꼴 홀(530)은 필터 하우징(510)의 빈공간 상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2 사다리꼴 홀(530)은 제1 사다리꼴 홀(430)과 이어지는 형태로 체결된다.
필터 삽입홀(540)은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필터 삽입홀(540)에 필터(예컨대, 카본활성탄볼)가 삽입된다.
흡기구(320)로 흡기된 공기는 필터 삽입홀(540)에 삽입된 필터(예컨대, 카본활성탄볼)를 경유하여 정화 및 탈취되도록 한다. 여기서, 카본활성탄볼은 5Φ 사이즈(3Φ 이상 사이즈 가능)를 갖는다. 카본활성탄볼은 야자계 활성탄 분말을 제올라이트 광물질 소재와 혼합하여 고온 소성 가공하다. 카본활성탄볼은 기본 여과제로서 정수여과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카본활성탄볼은 수돗물 속 잔류염소 제거, 유기물 제거, 물맛 향상을 수행한다. 카본활성탄볼은 공기정화용 숯으로 활용된다. 카본활성탄볼은 천연 성분으로 인체에 무해하다. 카본활성탄볼은 정수기 필터로서, 정제, 상수 및 폐수처리용 세라믹필터 소재로 활용된다. 카본활성탄볼은 공기정화, 새집증후군, 곰팡이제거, 탈취제, 촉매제 등으로 활용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살균 하우징(610)은 필터 하우징(510)과 체결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2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는 제2 공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살균되도록 한다.
살균 하우징(610)은 중앙이 하나의 살균바닥판(650) 형태로 막혀있다. 살균 하우징(610)은 살균바닥판(650)까지 중앙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살균 하우징(610)은 살균바닥판(650)의 중앙에 흡기팬 체결구(640)를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살균 하우징(610)은 흡기팬 체결구(640)를 중심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격벽(660)을 형성한다.
살균 하우징(610)은 살균바닥판(650) 상에 제2 체결홀(5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 체결홀(620)을 형성한다.
격벽(660)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격벽(660)은 하단면의 중앙에 두 개의 흡기팬 체결구(640)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격벽(660)은 바닥면에 체결바(672)가 형성된다. 체결바(672)의 상면에 UV-C LED(670)가 형성된다.
격벽(660)은 좁아지는 공기 통로로 인입된 공기가 내측에 바이러스 농도 측정센서(632)가 위치되도록 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센서(632)는 격벽(660)으로 인해 좁아지는 공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바이러스 농도를 측정한다. 격벽(660)은 필터 삽입홀(540)을 경유한 공기가 2차적으로 좁아지는 살균바닥판(650)에 형성된 흡기팬 체결구(640)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체결바(672)의 상면에 형성된 UV-C LED(670)를 이용하여 흡기팬 체결구(640)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처리한다.
체결바(672)는 흡기팬 체결구(640)의 앞단에 형성된다. UV-C LED(670)는 체결바(672) 상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기팬 체결구(640)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처리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센서(632)는 격벽(66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중의 바이러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공기 측정 센서(634)는 격벽(66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UV-C LED(670)는 기 설정된 파장을 조사하여 격벽(660)을 통과하는 공기의 바이러스 및 세균이 제거되도록 한다. UV-C LED(670)는 50mm의 조사 거리로 기 설정된 파장을 조사하여 해당 조사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한다. UV-C LED(670)는 50mm의 조사 거리로 기 설정된 파장을 조사하여 코로나 19 바이러스(1.58×104 TCID50/ml)를 살균한다. UV-C LED(670)는 50mm의 조사 거리로 기 설정된 파장을 조사하여 대장균(1.9×104 CFU/ml)을 살균 처리한다.
제3 체결홀(620)은 제1 체결홀(420)에 나사가 체결되어 제2 체결홀(520)을 경유하여 제4 체결홀(720)까지 나사가 고정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체결홀(420)로 인해 상판(410), 제2 체결홀(520)로 인해 필터 하우징(510), 제3 체결홀(620)로 인해 살균 하우징(610), 제4 체결홀(720)로 인해 바닥판(710)이 고정되도록 한다.
흡기팬 체결구(640)는 흡기팬(740)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간을 형성한다. 흡기팬 체결구(640)는 흡기팬(740)의 상단에 맞닿는 형태로 바닥판(710)의 상단과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하우징(610)은 제3 체결홀(620), UV-C LED(670), 흡기팬 체결구(640), 살균바닥판(650)을 포함한다. 살균 하우징(6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 하우징(610)은 상단이 필터 하우징(510)의 하단과 체결된다. 살균 하우징(610)은 하단이 바닥판(710)의 상단과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하우징(610)은 중앙이 하나의 살균바닥판(650) 형태로 막혀있다. 살균 하우징(610)은 상단부터 살균바닥판(650)까지 중앙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살균 하우징(610)은 살균바닥판(650)의 중앙에 흡기팬 체결구(640)를 형성하는 형태를 갖는다.
흡기팬 체결구(640)를 중심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격벽(660)이 형성된다. 격벽(660)은 하단면의 중앙으로 두 개의 흡기팬 체결구(640)가 형성되도록 하며,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격벽(660)의 내주면 일측에 바이러스 농도 측정센서(632)가 형성된다. 격벽(660)의 내주면 타측에 공기 측정 센서(634)가 형성된다. 체결바(672)의 상면에 UV-C LED(670)가 형성된다. 격벽(660)은 흡기구(320)로 흡기된 공기가 1차적으로 좁아지는 필터바닥판(540)에 형성된 필터 삽입홀(540)을 경유하여 2차적으로 좁아지는 살균바닥판(650)에 형성된 흡기팬 체결구(640)로 인입되도록 한다. 격벽(660)은 좁아지는 통로로 인입된 공기가 체결바(672)의 상면에 형성된 UV-C LED(670)로 인해 살균 처리가 되도록 한다.
살균 하우징(610)은 살균바닥판(650) 상에 제2 체결홀(5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 체결홀(620)을 형성한다. 제3 체결홀(620)은 제1 체결홀(420)에 나사가 체결되어 제2 체결홀(520)을 경유하여 제4 체결홀(720)까지 나사가 고정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체결홀(420)로 인해 상판(410), 제2 체결홀(520)로 인해 필터 하우징(510), 제3 체결홀(620)로 인해 살균 하우징(610), 제4 체결홀(720)로 인해 바닥판(710)이 고정되도록 한다.
흡기팬 체결구(640)는 흡기팬(740)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흡기팬 체결구(640)는 흡기팬(740)의 상단에 맞닿는 형태로 바닥판(710)의 상단과 체결된다.
UV-C LED(670)는 기 설정된 파장을 조사하여 격벽(660)을 통과하는 공기의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한다. UV-C LED(670)는 50mm의 조사 거리로 기 설정된 파장을 조사하여 해당 조사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한다. UV-C LED(670)는 50mm의 조사 거리로 기 설정된 파장을 조사하여 코로나 19 바이러스(1.58×104 TCID50/ml)를 살균한다. UV-C LED(670)는 50mm의 조사 거리로 기 설정된 파장을 조사하여 대장균(1.9×104 CFU/ml)을 살균 처리한다.
필터 삽입홀(540)은 공기압이 하단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테이퍼(Taper)되는 계층별 구조(섹터)를 가진다. 필터 삽입홀(540)은 필터 삽입홀(540)로 삽입되는 필터가 카본활성탄볼인 경우, 카본활성탄볼을 계층별 구조(섹터)에 따라 서로 상이한 볼의 형태와 크기로 삽입한다.
필터 삽입홀(540)의 테이퍼지는 계층별 구조(섹터) 상에 삽입되는 카본활성탄 밀도를 서로 다르게 삽입할 때, 굵은 밀도에서 점진적으로 얇은 밀도를 갖는 구조로 삽입한다. 필터 삽입홀(540)의 테이퍼지는 계층별 구조(섹터) 상에 삽입되는 상기 카본활성탄 크기를 서로 다르게 삽입할 때, 큰 크기에서 점진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구조로 삽입한다. 필터 삽입홀(540)의 테이퍼지는 계층별 구조(섹터) 상에 삽입되는 상기 카본활성탄 형태를 서로 다르게 삽입할 때, 굵은 입자 형태에서 점진적으로 작은 입자 형태를 갖는 구조로 삽입한다.
UV-C LED(670)는 체결바(672)의 상면에 복수 개가 체결될 때,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된다. UV-C LED(670)는 체결바(672)의 상면에 복수 개의 UV-C LED(670)가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체결하며, 2개의 그룹이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한다. UV-C LED(670)는 흡기되는 공기로 2개의 그룹으로 서로 상이한 각도로 LED를 조사할 때, 서로 다른 LED 파장을 조사한다.
도 7a,7b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닥판(710)은 살균 하우징(610)과 체결되며, 공기가 음이온과 함께 배기구 배출되도록 한다. 바닥판(710)은 외측 일단에 동작 LED(110)가 구현되어, 동작 상태를 색깔, 텍스트, 아이콘으로 출력한다. 바닥판(710)은 외측 타단에 외부 전원공급부(120)가 구현되어, 외부 전원공급부(120)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동작 LED(110)가 표시창 형태로 구현된 경우, 공기 상태(GOOD, BAD), 흡기 세기 아이콘, 살균 상태(UVC), 음이온 발생 상태(ION)를 출력한다.
바닥판(710)은 중앙에 받침대(810)와 결합하기 위한 받침대 결합부(750)를 형성한다. 바닥판(710)은 흡기팬 체결구(640)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기팬(740)을 구비한다.
바닥판(710)은 바닥면에 제3 체결홀(6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4 체결홀(720)을 형성한다. 제4 체결홀(720)은 제1 체결홀(420)에 체결된 나사가 제2 체결홀(520), 제3 체결홀(620)을 경유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체결홀(420)로 인해 상판(410), 제2 체결홀(520)로 인해 필터 하우징(510), 제3 체결홀(620)로 인해 살균 하우징(610), 제4 체결홀(720)로 인해 바닥판(7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흡기된 공기를 배기구(730) 방향으로 출력할 때, 흡기팬(740)의 출력단에서 음이온을 함께 발생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배기구(730) 방향에 배기되는 공기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전자 분사방식의 전기장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키며, 발생한 음이온을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기구(730)로 배출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카본섬유재질의 방전핀을 이용하여 0.005PPM 이하로 오존이 발생하면서, 발생된 음이온이 공기중 오염물질을 소멸시키며, 먼지 집진시켜 떨어뜨리고 정화된 공기를 계속해서 공기중으로 퍼지도록 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음이온을 발생시켜서 양이온을 형성한 대기중 오염물질을 중화시켜서, 오염물질이 침전으로 인해 제거되어 공기가 추가적으로 정화되도록 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을 음이온으로 중화시켜서, 화학 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여 공기가 추가적으로 정화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710)은 제4 체결홀(720), 배기구(730), 흡기팬(740), 음이온 발생부(742), 받침대 결합부(750)를 포함한다. 바닥판(7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판(710)은 상단이 살균 하우징(610)의 하단과 체결된다. 바닥판(710)은 하단이 받침대(810)의 상단과 체결된다. 바닥판(710)은 중앙에 받침대(810)와 결합하기 위한 받침대 결합부(750)를 형성한다. 바닥판(710)은 흡기팬 체결구(640)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기팬(740)을 구비한다. 바닥판(710)은 바닥면에 제3 체결홀(6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4 체결홀(720)을 형성한다.
흡기팬(740)은 바람직하게는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팬(740)은 흡기된 공기를 배기구(730) 방향으로 출력한다. 흡기팬(740)의 출력단에 음이온 발생부(742)가 형성되어 배기구(730) 방향에 배기되는 공기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제4 체결홀(720)은 제1 체결홀(420)에 체결된 나사가 제2 체결홀(520), 제3 체결홀(620)을 경유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체결홀(420)로 인해 상판(410), 제2 체결홀(520)로 인해 필터 하우징(510), 제3 체결홀(620)로 인해 살균 하우징(610), 제4 체결홀(720)로 인해 바닥판(7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발생한 음이온을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기구(730)로 배출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전자 분사방식의 전기장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종래의 금속 방전핀 방식으로 음이온을 발생하는 경우, 음이온 발생 시 오존 발생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카본섬유재질의 방전핀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환경부 기준치 0.05PPM의 1/10 수준 이하인 0.005PPM 이하로 오존이 발생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발생된 음이온이 공기중 오염물질을 소멸시키며, 먼지 집진시켜 떨어뜨리고 정화된 공기를 계속해서 공기중으로 퍼지도록 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음이온을 추가로 발생하여 추가적으로 공기가 정화되도록 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음이온을 발생시켜서 양이온을 형성한 대기중 오염물질을 중화시켜서, 오염물질이 침전으로 인해 제거되어 공기가 추가적으로 정화되도록 한다. 음이온 발생부(742)는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을 음이온으로 중화시켜서, 화학 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여 공기가 추가적으로 정화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받침대(810)는 바닥판(710)과 체결되어, 바닥판(710)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810)는 바닥판 결합부(820)를 포함한다. 받침대(8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대(810)는 중앙에 바닥판 결합부(820)를 형성한다. 바닥판 결합부(820)는 받침대 결합부(750)에 체결된다.
도 9a,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농도에 따른 UV-C LED 강도 조절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 공기 측정부(920), 강도 조절부(930)를 포함한다. 공기 청정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청정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9a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10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바이러스 농도 측정센서(632)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코로나 19(COVID-19), 박테리오파지(Bacterlophage),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 포도상구균, 폐렴균 각각의 농도를 측정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공기 측정 센서(634)로부터 필터 삽입홀(540)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로 광원을 조사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필터 삽입홀(540)을 통과한 공기에 대해 복수의 파수 범위(사전 선택되고 바이러스의 특징) 각각 내에서 라만 산란광의 총 강도를 측정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파수 강도 데이터에 대해 수학적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수학적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바이러스 역가를 정량화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바이러스 역가를 정량화하기 위해 1 차 미분 방법(first derivative method), 2 차 미분 방법(second derivative method), 표준 정규 변량(standard normal variate: SNV) 방법, 다항식 피팅 방법(polynomial fitting method), 다중 다항식 피팅 방법(multi-polynomial fitting method), 몰리피어 방법(mollifier method), 조각 다항식 피팅 (piecewise polynomial fitting: PPF) 방법 또는 적응 반복적으로 재가중된 페널라이즈 최소 제곱 (adaptive iteratively reweighted Penalized Least Squares: airPLS) 방법 중 하나로 전처리를 수행하여 파수 신호 강도 데이터를 정규화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파수 신호 강도 데이터에 부분 최소 제곱(PLS) 회귀 알고리즘, 비선형 반복 부분 최소 제곱(nonlinear iterative partial least squares: NIPALS) 회귀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다변량 회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모델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파수 신호 강도 데이터에 모델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정량화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필터 삽입홀(540)을 통과한 공기로 광원을 조사할 때, 785 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를 조사한다. 바이러스 농도 측정부(910)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coupled device: CCD)를 이용하여 라만 산란광을 검출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공기 측정 센서(634)를 이용하여 필터 삽입홀(540)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의 질을 측정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공기의 질이 기 저장된 기준 공기질 정보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가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확인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공기의 질이 기 저장된 기준 공기질 정보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공기의 오염도를 저감시키도록 흡기 강도를 강하게 설정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공기의 질의 시간당 변화량에 해당하는 제1 변화량을 산출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기 설정된 시간 이후의 제1 측정 예측값을 산출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제1 변화량과 제1 측정 예측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흡기 강도를 강하게 유지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복수의 공기 측정 센서에 의해 수행될 공기의 질 측정의 순서(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 중앙에서 사이드)를 결정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공기의 질 측정의 순서의 가중 평균값으로 공기 측정 센서에 의해 수행된 최종 공기의 질로 판별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공기 오염 상태,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농도에 따라 흡기 세기를 결정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기 설정된 면적당 코로나 19(COVID-19)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제1 임계치 이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기 설정된 면적당 박테리오파지(Bacterlophage)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제2 임계치 이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기 설정된 면적당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제3 임계치 이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기 설정된 면적당 녹농균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제4 임계치 이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기 설정된 면적당 포도상구균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제5 임계치 이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기 설정된 면적당 폐렴균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제6 임계치 이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공기 측정부(920)는 공기 순환 속도를 추가로 감지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공기 오염도(공기의 질)에 따라 복수의 개의 UV-C LED(670)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때, 공기 측정부(920)에서 측정한 공기의 질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공기 순환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공기 측정부(920)에서 측정한 공기의 질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공기 순환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높아지도록 조절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바이러스 농도 측정센서(910)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기중의 바이스러스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초과로 검출되는 경우, 흡기팬(740)을 제어하여 공기 흡기 강도를 기본 강도보다 강하게 조절하면서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기본 조사 강도보다 강하게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바이러스 농도 측정센서(910)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기중의 바이스러스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검출되는 경우, 흡기팬(740)을 제어하여 공기 흡기 강도를 기본 강도(중간)로 조절하면서,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기본 조사 강도로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바이러스 농도 측정센서(910)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기중의 바이스러스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검출되는 경우, 흡기팬(740)을 제어하여 공기 흡기 강도를 기본 강도보다 약하게 조절하는 경우,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기본 조사 강도보다 약하게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공기 측정부(920)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기의 질이 기 설정된 임계치 초과로 검출되는 경우, 흡기팬(740)을 제어하여 공기 흡기 강도를 기본 강도보다 강하게 조절하면서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기본 조사 강도보다 강하게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공기 측정부(920)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기의 질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검출되는 경우, 흡기팬(740)을 제어하여 공기 흡기 강도를 기본 강도(중간)로 조절하면서,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기본 조사 강도로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강도 조절부(930)는 공기 측정부(920)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기의 질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검출되는 경우, 흡기팬(740)을 제어하여 공기 흡기 강도를 기본 강도보다 약하게 조절하는 경우, UV-C LED(670)의 조사 강도를 기본 조사 강도보다 약하게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공기 청정기(100)는 흡기구(320)로부터 흡기되는 공기가 필터 삽입홀(540)과 격벽(660) 각각에서 머무르도록 하는 빈 공간을 가지며, 배기구(73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다.
도 10a,10b,10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0)는 바닥판(710)과 동작 LED(110)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판(710)과 동작 LED(1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LED(110)는 표시창 형태로 구현된 경우, 공기 상태(GOOD, BAD), 흡기 세기 아이콘, 살균 상태(UVC), 음이온 발생 상태(ION)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0)는 공기상태 LED 홀더(1012,1014), 흡기세기 LED 홀더(1022,1024,1026), 살균 LED 홀더(1032), 음이온 LED 홀더(1034), PCB 체결부(1042)를 포함한다. 홀더(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상태 LED 홀더(1012,1014)는 흡기된 공기 상태를 측정한 결과가 기 설정된 오염 임계치 미만인 경우, ‘GOOD’으로 출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공기상태 LED 홀더(1012,1014)는 체결된 PCB 상에 LED가 점등되면 동작 LED(110) 상에 ‘GOOD’이 점등되도록 한다.
공기상태 LED 홀더(1012,1014)는 흡기된 공기 상태를 측정한 결과가 기 설정된 오염 임계치 이상인 경우, ‘BAD’으로 출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공기상태 LED 홀더(1012,1014)는 체결된 PCB 상에 LED가 점등되면 동작 LED(110) 상에 ‘BAD’이 점등되도록 한다.
흡기세기 LED 홀더(1022,1024,1026)는 흡기 세기를 ‘약’, ‘중’, ‘강’ 세가지 단계 각각을 나타내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흡기세기 LED 홀더(1022,1024,1026)는 공기 오염 상태,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농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된 흡기 세기로 공기를 흡기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흡기세기 LED 홀더(1022,1024,1026)는 체결된 PCB 상에 LED가 점등되면 동작 LED(110) 상에 ‘약’, ‘중’, ‘강’ 중 하나가 점등되도록 한다.
살균 LED 홀더(1032)는 흡기된 공기를 살균 상태를 ‘UVC’로 출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살균 LED 홀더(1032)는 체결된 PCB 상에 LED가 점등되면 동작 LED(110) 상에 ‘UVC’이 점등되도록 한다.
음이온 LED 홀더(1034)는 음이온 발생 상태를 ‘ION’으로 출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음이온 LED 홀더(1034)는 체결된 PCB 상에 LED가 점등되면 동작 LED(110) 상에 ‘ION’이 점등되도록 한다.
PCB 체결부(1042)는 외부에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어 PCB에 체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PCB 체결부(1042)는 PCB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어 PCB의 구비된 복수의 LED과 공기상태 LED 홀더(1012,1014), 흡기세기 LED 홀더(1022,1024,1026), 살균 LED 홀더(1032), 음이온 LED 홀더(1034) 각각의 위치에 매칭되도록 한다.
홀더(1000)는 바닥판(710)과 동작 LED(110)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판(710)과 동작 LED(1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상태 LED 홀더(1012,1014)는 흡기된 공기 상태를 측정한 결과가 기 설정된 오염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에 따라 체결된 PCB 상에 LED의 점등으로‘GOOD’ 또는 ‘BAD’가 표기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흡기세기 LED 홀더(1022,1024,1026)는 공기 오염 상태,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농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된 흡기 세기로 공기를 흡기하는 상태에 따라 체결된 PCB 상에 LED의 점등으로 ‘약’, ‘중’, ‘강’ 중 어느 하나로 단계로 표기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살균 LED 홀더(1032)는 흡기된 공기를 살균 상태를 체결된 PCB 상에 LED의 점등으로 ‘UVC’가 표기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음이온 LED 홀더(1034)는 음이온 발생 상태를 체결된 PCB 상에 LED의 점등으로 ‘ION’가 표기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PCB 체결부(1042)는 외부에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어 PCB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어 PCB의 구비된 복수의 LED과 공기상태 LED 홀더(1012,1014), 흡기세기 LED 홀더(1022,1024,1026), 살균 LED 홀더(1032), 음이온 LED 홀더(1034) 각각의 위치에 매칭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 바이러스 저감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를 동작하는 경우, 부유 바이러스(Bacterlophage MS2 ATCC 15597-B1, Escherichia coli ATCC 15597)에 대한 가동 전 농도(1.0 × 104 (PFU/m2))가 감소하여 가동 후 농도(10(PFU/m2))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a,1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균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를 동작하는 경우, 대장균에 대한 가동 전 농도(2.9 × 105 (CFU/ml))가 감소하여 8시간 후 농도(1.0 × 102(CFU/ml))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0)를 동작하는 경우, 녹농균에 대한 가동 전 농도(1.4 × 105 (CFU/ml))가 감소하여 8시간 후 농도(1.0 × 102(CFU/ml))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0)를 동작하는 경우, 포도상구균에 대한 가동 전 농도(1.6 × 105 (CFU/ml))가 감소하여 8시간 후 농도(1.0 × 102(CFU/ml))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0)를 동작하는 경우, 폐렴균에 대한 가동 전 농도(1.7 × 105 (CFU/ml))가 감소하여 8시간 후 농도(1.0 × 102(CFU/ml))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시험 성적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를 동작하는 경우, 실내 온도 25℃, 습도 55%, 대기중 음이온수 124/cc 조건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이 단위체적당 19932000(IOC/cc)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존 시험 성적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를 동작하는 경우, 음이온을 발생하더라도 오존발생농도가 0.005 (μmol/mol) 이하로 확인된다. 공기 청정기(100)가 음이온을 발생시 함께 발생하는 오존의 발생 농도가 환경부 기준 0.05 PPM 농도보다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기 청정기
310: 상판 덮개
410: 상판
510: 필터 하우징
610: 살균 하우징
710: 바닥판
810: 받침대

Claims (5)

  1. 흡기구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기하는 상판 덮개;
    상기 상판 덮개와 체결되며, 상기 공기가 머무르는 빈 공간을 갖는 상판;
    상기 상판과 체결되며,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1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는 제1 공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가 내부에 삽입된 필터를 경유하여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과 체결되며,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2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는 제2 공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가 살균되도록 하는 살균 하우징;
    상기 살균 하우징과 체결되며, 상기 공기가 음이온과 함께 배기구 배출되도록 하는 바닥판;
    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은 중앙이 뚫린 형태를 가지며, 상기 중앙이 뚫린 형태의 내측 모서리마다 제1 체결홀을 형성되며, 상기 중앙이 뚫린 형태의 내주면을 따라 제1 사다리꼴 홀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은 중앙이 하나의 필터바닥판 형태로 막혀있으며, 상기 필터바닥판까지 중앙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바닥판의 중앙에 필터 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바닥판 상에 상기 제1 체결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바닥판까지 중앙에 형성된 빈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제2 사다리꼴 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사다리꼴 홀이 상기 제1 사다리꼴 홀과 이어지는 형태로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살균 하우징은 중앙이 하나의 살균바닥판 형태로 막혀있으며, 상기 살균바닥판까지 중앙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살균바닥판의 중앙에 흡기팬 체결구를 형성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흡기팬 체결구를 중심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흡기팬 체결구는 흡기팬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기팬 체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기팬을 구비하며,
    상기 흡기팬 체결구의 앞단에 체결바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 상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기팬 체결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처리하는 UV-C LED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 측정 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면의 중앙에 두 개의 흡기팬 체결구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의 상면에 상기 UV-C LED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바 상면에 형성된 상기 UV-C LED를 이용하여 상기 흡기팬 체결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처리하며,
    상기 필터 삽입홀은 공기압이 하단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테이퍼(Taper)지는 계층별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필터 삽입홀로 삽입되는 상기 필터가 카본활성탄볼인 경우, 상기 카본활성탄볼을 상기 계층별 구조에 따라 서로 상이한 볼의 형태와 크기로 삽입하며, 테이퍼지는 상기 계층별 구조 상에 삽입되는 상기 카본활성탄의 밀도를 서로 다르게 삽입할 때, 굵은 밀도에서 점진적으로 얇은 밀도를 갖는 구조로 삽입하며, 테이퍼지는 상기 계층별 구조 상에 삽입되는 상기 카본활성탄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삽입할 때, 큰 크기에서 점진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구조로 삽입하며, 테이퍼지는 상기 계층별 구조 상에 삽입되는 상기 카본활성탄의 형태를 서로 다르게 삽입할 때, 굵은 입자 형태에서 점진적으로 작은 입자 형태를 갖는 구조로 삽입하며,
    상기 필터 삽입홀은 상기 흡기구로 흡기된 공기가 1차적으로 좁아지는 필터바닥판에 형성된 되도록 하는 제1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필터 삽입홀을 경유한 공기가 2차적으로 좁아지는 살균바닥판에 형성된 흡기팬 체결구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UV-C LED는 상기 체결바의 상면에 복수 개가 체결될 때,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체결바의 상면에 복수 개의 UV-C LED가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체결하며, 상기 2개의 그룹이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하며, 흡기되는 공기로 상기 2개의 그룹으로 서로 상이한 각도로 LED를 조사할 때, 서로 다른 LED 파장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상판 덮개의 상단에 복수로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배기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체결되어, 상기 바닥판을 고정시키는 받침대;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외측 일단에 동작 LED가 구현되어, 동작 상태를 색깔, 텍스트, 아이콘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외측 타단에 외부 전원공급부가 구현되어, 상기 외부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 전력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220033430A 2022-03-17 2022-03-17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KR10247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430A KR102473247B1 (ko) 2022-03-17 2022-03-17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430A KR102473247B1 (ko) 2022-03-17 2022-03-17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247B1 true KR102473247B1 (ko) 2022-12-01

Family

ID=8444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430A KR102473247B1 (ko) 2022-03-17 2022-03-17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2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705A (ko) * 2014-03-28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231405B1 (ko) * 2020-09-24 2021-03-25 (주)디비테크 차량용 공기살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705A (ko) * 2014-03-28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231405B1 (ko) * 2020-09-24 2021-03-25 (주)디비테크 차량용 공기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036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US5601786A (en) Air purifier
US8236236B2 (en) Method of sterilizing
US20050186108A1 (en) Bio-air sterilization system
WO2000078368A1 (en) Air purifier
JP6893397B2 (ja) 殺菌処理装置
US9168323B2 (en) Hydroxyl generator
KR100625771B1 (ko) 공기순환식 유인 오존 살균시스템 및 방법
KR102446938B1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KR20170124845A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 및 자외선 공기 살균 시스템
KR20170090209A (ko) 공기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JP2000157621A (ja) 空気清浄機
KR102473247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JP2009090040A (ja) 空気清浄装置
KR200399653Y1 (ko) 자외선, 광촉매, 오존, 나노 실버, 음이온을 이용한 다기능공기 정화 살균기
KR200279730Y1 (ko) 살균 및 청정 기능을 갖는 복합조명기
US20200009283A1 (en) Deodorizing System
KR20110127373A (ko) 습한 오존과 공기 와류 생성을 이용한 공기살균장치 및 공기살균방법
US20220047767A1 (en) Device containing air detection, filtering, disinfecting and conditioning elements with display
JPH0365288A (ja) 空気浄化および水処理兼用装置
TWI603775B (zh) 二氧化氯氣體處理結構、二氧化氯氣體處理裝置、殺菌裝置及環境淨化裝置
KR102174252B1 (ko) 광촉매 장치
KR100567563B1 (ko) 실 내부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 정화기
KR200372919Y1 (ko) 자외선살균램프가 구성된 화장실용 공기청정기
KR20220008982A (ko) 공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