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173B1 -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173B1
KR102473173B1 KR1020220057241A KR20220057241A KR102473173B1 KR 102473173 B1 KR102473173 B1 KR 102473173B1 KR 1020220057241 A KR1020220057241 A KR 1020220057241A KR 20220057241 A KR20220057241 A KR 20220057241A KR 102473173 B1 KR102473173 B1 KR 10247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kin tone
tone
lip
transpare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지
최미경
Original Assignee
임영지
최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지, 최미경 filed Critical 임영지
Priority to KR102022005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피부톤에 연관되어 사용자의 피부톤이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낼 수 있는 색상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피부톤 결정부,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제2 기준 색상 추천부 및 채도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COLOR RECOMMENDATION DEVICE FOR LIP COLOR COSMETICS BASED ON THE USER'S SKIN TON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피부톤에 연관되어 사용자의 피부톤이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낼 수 있는 색상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추천하는 기능을 갖는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신체는 피부, 머리카락, 홍채 등에서 고유한 색을 갖고 있으며 이와 조화되어 색으로써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확대시키는 칼라를 퍼스널 칼라라고 칭한다.
미국에서 시작된 초기의 퍼스널 칼라의 개념은 사계절을 기반으로 하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점차 발전되어 유형이 세분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한국인의 피부톤과 특성에 맞는 퍼스널 칼라의 개념이 정착되어 가고 있다.
퍼스널 칼라는 색조화장에서 색상을 선택하는데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는데, 화장은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얼굴의 인상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중에서도 입술 화장은 얼굴 인상의 매력도를 좌우한다.
이에 입술에 사용되는 색조화장을 선택함에 있어 외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미적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도움 없이 개인이 퍼스널 칼라를 진단하고 선택하는 것이 용이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에는 퍼스널 칼라를 통해 구체적인 입술용 색조화장 색상을 제안하기 보다는 색상을 병렬적으로 나열하고 추천하는데 그쳐 개인이 실제 색조화장에서 퍼스널 칼라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는바, 개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체계성을 갖추어 구체적인 입술용 색조화장 색상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 등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추천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피부톤이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톤 결정을 위해 서로 다른 색상 파라미터의 비율을 갖는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톤 결정부; 쿨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 추천을 위한 서로 다른 기준 색상의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웜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 추천을 위한 서로 다른 기준 색상의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제2 기준 색상 추천부; 상기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및 제2 기준 색상 추천부에 포함되는 특정색상의 파라미터가 소정 배수만큼 변화됨으로써 채도를 달리한 색상이 각각 입술 형상으로 인쇄된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채도 추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톤 결정부는 CMYK 색 모형을 기준으로 파라미터 비율에 따라 결정된 색상을 갖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쿨톤은 제1 피부톤 및 상기 제2 피부톤을 포함하고, 상기 웜톤은 제4 피부톤 및 제5 피부톤을 포함하고 제3 피부톤은 중성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색상 추천부는 CMYK 색 모형을 기준으로 파라미터 비율에 따라 결정된 색상을 갖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색상 추천부는 CMYK 색 모형을 기준으로 파라미터 비율에 따라 결정된 색상을 갖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도추천부는 제1 군 내지 제13 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군은 상기 피부톤, 제1 기준 색상 또는 제2 기준 색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특정 색상이 채도를 달리하여 각각 입술 형상으로 인쇄된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각 군의 특정 색상은 피부톤, 제1 기준 색상 또는 제2 기준 색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톤을 화사하게 하고 좋은 이미지를 낼 수 있는 입술용 색조화장품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추천하는데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용 색조화장품 색상 추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 결정부의 사진이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톤 결정부의 파라미터 비율 및 그래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사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준 색상 추천부의 파라미터 비율 표 및 그래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준 색상 추천부의 사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준 색상 추천부의 파라미터 비율 표 및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추천부 일 군의 사진이다.
도 5b 및 도 5d는 일 실시예에 다른 채도 추천부 일 군의 파라미터 비율 표 및 그래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용 색조 색조화장품 색상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따른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단수의 장치, 세트로 구성되는 장치 또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입술용 색조화장품'은 피부에 색을 임의적으로 입히는 화장에 사용되는 색조화장품에 있어서 입술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립스틱, 립라이너, 립글로스, 립밤 및 립틴트를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색상은 색을 구현하는 체계 중 하나인 CYMK 체계에 따라 0 내지 100 파라미터 비율로 색상을 나타내며 ±10은 파라미터 비율의 범위를 나타낸다.
CYMK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Yellow), 검정(Key plate)를 나타내며 시안(Cyan)은 푸른색, 마젠타(Magenta) 붉은색을 띄고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Yellow), 검정(Key plate) 각각의 혼합 비율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이 표현된다. CMYK 색 모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용 색조화장품 색상 추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술용 색조화장품 색상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의 피부톤 결정을 위해 서로 다른 색상 파라미터의 비율을 갖는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톤 결정부(110); 쿨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 추천을 위한 서로 다른 기준 색상의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제1 기준 색상 추천부(120); 웜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 추천을 위한 서로 다른 기준 색상의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제2 기준 색상 추천부(130); 상기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및 제2 기준 색상 추천부에 포함되는 특정색상의 파라미터가 소정 배수만큼 변화됨으로써 채도를 달리한 색상이 각각 입술 형상으로 인쇄된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채도 추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피부톤 결정부(110)는 서로 다른 색상 파라미터의 비율을 갖는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은 입술 형상으로 인쇄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투명하여 사용자의 피부톤이 그대로 보일 수 있는 소정 두께의 막을 말하며, 플라스틱, 셀루로오스, 유리 등으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상기 투명 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입술 형상을 입술 부위에 위치시켜 사용자의 피부톤과 대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대조한 결과 사용자의 피부톤을 가장 화사하게 보이게 하고 좋은 이미지를 나타내게 하는 색상에 따라 피부톤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부톤은 웜톤, 쿨톤 및 중성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톤 결정을 위해 서로 다른 색상 파라미터의 비율은 표 1와 같은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2049507531-pat00001
상기 표 1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술 부위에 각 파라미터를 갖는 색상의 입술 형상의 투명 필름을 대조하였을 때 피부톤이 가장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C = 0(+10), M = 73(±10), Y = 9(+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1 피부톤, C = 0(+10), M = 75(±10), Y = 30(±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2 피부톤, C = 0(+10), M = 78(±10), Y = 55(±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3 피부톤, C = 0(+10), M = 74(±10), Y = 65(±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4 피부톤, C = 0(+10), M = 70(±10), Y = 71(±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 5 피부톤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부톤 및 제2 피부톤은 쿨톤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4 피부톤 및 제5 피부톤은 웜톤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피부톤은 중성톤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쿨톤은 퍼스널 칼라의 사계절을 반영하면 여름 쿨톤과 겨울 쿨톤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준 색상 추천부(120)는 쿨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 추천을 위한 서로 다른 기준 색상의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쿨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은 표 2와 같은 파라미터 비율에 따라 결정된 색상일 수 있다.
Figure 112022049507531-pat00002
상기 표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술 부위에 각 파라미터를 갖는 색상의 입술 형상의 투명 필름을 대조하였을 때 피부톤이 가장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C = 0(+10), M = 47(±10), Y = 0(+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1-1 기준색상, C = 0(+10), M = 43(±10), Y = 16(±10)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1-2 기준색상, C = 0(+10), M = 77(±10), Y = 44(±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1-3 기준색상, C = 0(+10), M = 88(±10), Y = 30(±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1-4 기준색상, C = 0(+10), M = 71(±10), Y = 14(±10)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1-5 기준색상인 것으로 결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웜톤은 퍼스널 칼라의 사계절을 반영하면 봄 웜톰과 가을 웜톤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기준 색상 추천부(130)는 웜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 추천을 위한 서로 다른 기준 색상의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웜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은 표 3과 같은 파라미터 비율에 따라 결정된 색상일 수 있다.
Figure 112022049507531-pat00003
상기 표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술 부위에 각 파라미터를 갖는 색상의 입술 형상의 투명 필름을 대조하였을 때 피부톤이 가장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C = 0(+10), M = 49(±10), Y = 40(±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2-1 기준색상, C = 0(+10), M = 47(±10), Y = 58(±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2-2 기준색상, C = 0(+10), M = 77(±10), Y = 72(±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2-3 기준색상, C = 4(+10), M 78(±10), Y = 64(±10) 및 K = 20(±10)인 경우에는 제2-4 기준색상, C = 0(+10), M = 64(±10), Y = 75(±10) 및 K = 0(+10)인 경우에는 제2-5 기준색상인 것으로 결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채도 추천부(140)는 제1 군 내지 제13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군은 상기 피부톤, 제1 기준 색상 또는 제2 기준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되는 특정 색상이 채도를 달리하여 각각 입술 형상으로 인쇄된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c를 참고하면, 설명을 위해 두 개의 채도 추천부가 설명되나, 하기 표와 같이 추가적인 채도 추천부가 구현될 수 있음은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도 5b 및 도 5d에 포함된 특정 색상 뿐만 아니고, 상기 특정 색상은 표 4와 같이 피부톤, 제1 기준 색상 또는 제2 기준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된 특정 색상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특정 색상들을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추가적인 퍼스널 컬러의 구현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특정 색상 사용자 피부톤 기준 색상
1 코랄 웜톤 2-3
2 레드 중성톤 -
3 마르살라 웜톤 2-4
4 브라운 웜톤 2-2
5 웜레드 웜톤 2-1
6 오렌지레드 웜톤 2-3
7 오렌지 웜톤 2-5
8 플럼 쿨톤 1-4
9 버건디 쿨톤 1-3
10 마젠타 쿨톤 1-4, 1-5
11 쿨레드 쿨톤 1-3
12 오키드 쿨톤 1-1
13 핑크레드 쿨톤 1-5
상기 1군 내지 13군은 특정색상의 채도 및 그 파라미터 비율 표 5와 같은 색상일 수 있다.
채도 C M Y K
1 20% 0(+10) 24(±10) 20(±10) 0(+10)
40% 0(+10) 32(±10) 27(±10) 0(+10)
55~60% 0(+10) 41(±10) 35(±10) 0(+10)
80% 0(+10) 54(±10) 45(±10) 0(+10)
100% 0(+10) 59(±10) 50(±10) 0(+10)
2 20% 0(+10) 33(±10) 20(±10) 0(+10)
40% 0(+10) 43(±10) 28(±10) 0(+10)
55~60% 0(+10) 58(±10) 38(±10) 0(+10)
80% 0(+10) 77(±10) 54(±10) 0(+10)
100% 0(+10) 96(±10) 93(±10) 0(+10)
3 20% 1(+10) 24(±10) 27(±10) 16(±10)
40% 2(+10) 35(±10) 40(±10) 24(±10)
55~60% 2(+10) 47(±10) 53(±10) 32(±10)
80% 3(+10) 62(±10) 71(±10) 42(±10)
100% 4(+10) 78(±10) 89(±10) 53(±10)
4 20% 1(+10) 24(±10) 47(±10) 16(±10)
40% 2(+10) 35(±10) 60(±10) 24(±10)
55~60% 2(+10) 47(±10) 73(±10) 32(±10)
80% 3(+10) 62(±10) 91(±10) 42(±10)
100% 4(+10) 66(±10) 100(±10) 50(±10)
5 20% 0(+10) 31(±10) 20(±10) 0(+10)
40% 0(+10) 46(±10) 38(±10) 0(+10)
55~60% 0(+10) 58(±10) 46(±10) 0(+10)
80% 0(+10) 77(±10) 67(±10) 0(+10)
100% 0(+10) 87(±10) 88(±10) 0(+10)
6 20% 0(+10) 30(±10) 30(±10) 0(+10)
40% 0(+10) 42(±10) 45(±10) 0(+10)
55~60% 0(+10) 53(±10) 55(±10) 0(+10)
80% 0(+10) 70(±10) 75(±10) 0(+10)
100% 0(+10) 80(±10) 89(±10) 0(+10)
7 20% 0(+10) 20(±10) 30(±10) 0(+10)
40% 0(+10) 30(±10) 45(±10) 0(+10)
55~60% 0(+10) 45(±10) 65(±10) 0(+10)
80% 0(+10) 60(±10) 85(±10) 0(+10)
100% 0(+10) 70(±10) 100(±10) 0(+10)
8 20% 7(+10) 30(±10) 0(+10) 2(+10)
40% 11(±10) 45(±10) 0(+10) 3(+10)
55~60% 14(±10) 60(±10) 1(+10) 4(+10)
80% 19(±10) 78(±10) 4(+10) 5(+10)
100% 24(±10) 100(±10) 5(+10) 7(+10)
9 20% 16(±10) 30(±10) 21(±10) 7(+10)
40% 24(±10) 45(±10) 31(±10) 10(±10)
55~60% 32(±10) 60(±10) 41(±10) 14(±10)
80% 43(±10) 80(±10) 55(±10) 18(±10)
100% 51(±10) 100(±10) 75(±10) 25(±10)
10 20% 2(+10) 29(±10) 6(+10) 0(+10)
40% 4(+10) 48(±10) 10(±10) 0(+10)
55~60% 5(+10) 67(±10) 15(±10) 0(+10)
80% 5(+10) 76(±10) 16(±10) 0(+10)
100% 7(+10) 96(±10) 20(±10) 0(+10)
11 20% 0(+10) 30(±10) 12(±10) 0(+10)
40% 0(+10) 46(±10) 20(±10) 0(+10)
55~60% 0(+10) 60(±10) 28(±10) 0(+10)
80% 0(+10) 79(±10) 40(±10) 0(+10)
100% 0(+10) 96(±10) 66(±10) 0(+10)
12 20% 7(+10) 20(±10) 0(+10) 0(+10)
40% 9(+10) 29(±10) 0(+10) 0(+10)
55~60% 13(±10) 37(±10) 0(+10) 0(+10)
80% 16(±10) 48(±10) 0(+10) 0(+10)
100% 18(±10) 60(±10) 0(+10) 0(+10)
13 20% 0(+10) 30(±10) 6(+10) 0(+10)
40% 0(+10) 46(±10) 10(+10) 0(+10)
55~60% 0(+10) 62(±10) 13(+10) 0(+10)
80% 0(+10) 77(±10) 20(±10) 0(+10)
100% 0(+10) 97(±10) 42(±10) 0(+10)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용 색조 색조화장품 색상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입술 부분에 피부톤 결정부(110)의 일 투명 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입술 형상을 입술 부위에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피부톤과 대조하는 단계(S10); 상기 대조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톤이 가장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나타낸 일 투명 필름에 표시된 색상에 따라 피부톤을 결정하는 단계(S11); 상기 결정된 피부톤에 따라 사용자의 입술 부분에 제1 기준 색상 추천부(120) 또는 제2 기준 색상 추천부(130)의 일 투명 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입술 형상을 입술 부위에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피부톤과 대조하는 단계(S20); 상기 대조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톤이 가장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나타낸 일 투명 필름에 표시된 색상에 따라 기준 색상을 추천하는 단계(S21); 상기 추천된 기준 색상에 따라 사용자의 입술 부분에 채도 추천부(140) 제 1군 내지 제13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 투명 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입술 형상을 입술 부위에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피부톤과 대조하는 단계(S30); 상기 대조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톤이 가장 화사하고 좋은 이미지를 나타낸 일 투명 필름에 표시된 색상에 따라 입술 색상을 추천하는 단계(S31)를 통해 입술용 색조 화장품의 색상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입술용 색조 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100)는 투명 필름에 입술 형상이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의 피부톤에 쉽게 대조하고 색상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술용 색조 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100)의 각 장치부에 있어서 피부톤 결정부(110),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및 제2 기준 색상 추천부, 채도 추천부의 순서에 따라 장치부 내의 입술형상의 색상 파라미터 비율의 차이가 줄어든다.
도 2b, 도 3b, 도 4b, 도 5b 및 도 5d를 참조하면, 피부톤 결정부 내 제1 입술형상의 색상 파라미터 비율과 제2 입술형상의 색상 파라미터 비율의 차이가 가장 크고,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및 제2 기준 색상 추천부 내의 제1 입술형상의 색상 파라미터 비율과 제2 입술형상의 색상 파라미터 비율의 차이는 피부톤 결정부 보다 작다. 채도 추천부 각 군에 있어서 채도 추천부 내 제1 입술형상의 색상 파라미터 비율과 제2 입술형상의 색상 파라미터 비율은 거의 차이가 없다.
피부톤 결정부 색상의 파라미터는 색상 추천에 있어서 가장 넓은 범위의 피부톤을 결정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파라미터 비율 변동이 가장 크고,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및 제2 기준 색상추천부는 결정된 피부톤의 범위 내에서 비교적 구체적인 기준 색상을 추천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라미터 비율 변동의 정도가 피부톤 결정부의 파라미터 변경 보다 작다. 나아가 채도 추천부는 추천된 기준 색상 범위 내에서 채도를 달리하여 구체적인 색상을 추천하는 것이므로 파라미터의 변경이 거의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입술용 색조화장품 색상 추천 장치는 각 장치부 간의 색상의 파라미터 비율의 차이를 점점 줄어들게 하는 체계성을 갖추어 사용자가 단계적으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채도 추천부를 통하여 구체적인 색상을 추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피부톤을 화사하게 해주고 좋은 이미지를 내주는 색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기능 및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입술용 색조화장품 색상 추천 장치
110: 피부톤 결정부
120: 제1 기준 색상 추천부
130: 제2 기준 색상 추천부
140: 채도 추천부

Claims (5)

  1. 복수의 피부톤에 각각 대응하는 서로 다른 색상 파라미터의 비율을 갖는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제1 투명 필름 세트;
    쿨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 추천을 위한 서로 다른 기준 색상의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제2 투명 필름 세트;
    웜톤에 연관되는 기준 색상 추천을 위한 서로 다른 기준 색상의 입술 형상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제3 투명 필름 세트;
    상기 제2 투명 필름 세트 및 제3 투명 필름 세트에 각각 포함되는 특정색상의 파라미터가 소정 배수만큼 변화됨으로써 채도를 달리한 색상이 각각 입술 형상으로 인쇄된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제4 투명 필름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필름 세트는,
    CMYK 색 모형을 기준으로 표 1과 같은 파라미터 비율에 따라 결정된 색상을 갖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고,
    [표 1]
    Figure 112022098030974-pat00020

    상기 쿨톤은 제1 피부톤 및 상기 제2 피부톤을 포함하고,
    상기 웜톤은 제4 피부톤 및 제5 피부톤을 포함하고
    제3 피부톤은 중성톤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투명 필름 세트는
    CMYK 색 모형을 기준으로 표 2와 같은 파라미터 비율에 따라 결정된 쿨톤 색상을 갖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고,
    [표 2]
    Figure 112022098030974-pat00021

    상기 제3 투명 필름 세트는
    CMYK 색 모형을 기준으로 표 3과 같은 파라미터 비율에 따라 결정된 웜톤 색상을 갖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고,
    [표 3]
    Figure 112022098030974-pat00022

    상기 제4 투명 필름 세트는,
    제1 군 내지 제13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군은 표 4와 같이 상기 피부톤, 제1 기준 색상 또는 제2 기준 색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특정 색상이 채도를 달리하여 각각 입술 형상으로 인쇄된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입술용 색조 화장품 색상 추천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투명 필름 세트.
    [표 4]
    Figure 112022098030974-pat00023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57241A 2022-05-10 2022-05-10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 KR10247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241A KR102473173B1 (ko) 2022-05-10 2022-05-10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241A KR102473173B1 (ko) 2022-05-10 2022-05-10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173B1 true KR102473173B1 (ko) 2022-11-30

Family

ID=8423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241A KR102473173B1 (ko) 2022-05-10 2022-05-10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1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644B1 (ko) * 2020-02-24 2020-10-08 이성민 퍼스널 톤 진단 매체 및 진단 시스템
KR20210012662A (ko) * 2019-07-26 2021-02-03 정보석 퍼스널 컬러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289628B1 (ko) * 2021-04-29 2021-08-17 주식회사 피엘컬러 퍼스널 컬러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662A (ko) * 2019-07-26 2021-02-03 정보석 퍼스널 컬러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163644B1 (ko) * 2020-02-24 2020-10-08 이성민 퍼스널 톤 진단 매체 및 진단 시스템
KR102289628B1 (ko) * 2021-04-29 2021-08-17 주식회사 피엘컬러 퍼스널 컬러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yatani et al. Color‐appearance model and chromatic‐adaptation transform
Newhall et al. Comparison of successive with simultaneous color matching
Morovič Color gamut mapping
JP4396873B2 (ja) 口紅又はアイシャドーの選択方法
Arend How much does illuminant color affect unattributed colors?
CN106095447A (zh) 一种应用界面的生成方法、设备及计算设备
KR102473173B1 (ko) 사용자의 피부톤에 기반한 입술용 색조화장품의 색상 추천 장치
Gravesen The metric of colour space
CN110277076A (zh) 一种颜色映射方法及装置、显示设备、介质
US1071638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lor of a cosmetic product adapted for a wearer's skin
EP35029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al features analysis and delivery of personalized advice
Kulikowski et al. Systematic violations of von Kries rule reveal its limitations for explaining color and lightness constancy
Khang et al. Accuracy of color scission for spectral transparencies
Ebner Derivation and modelling hue uniformity and development of the IPT color space
Wen Display gamut comparison with number of discernible colors
Mori et al. Subjective evaluation of uniform color spaces used for color‐rendering specification
Morovic et al. Visual differences in colour reproduction and their colorimetric correlates
Zhang et al. Hue constrained matrix optimization for preferred color reproduction
Finlayson et al. Color ratios and chromatic adaptation
Nayatani et al. Field trials on color appearance and brightness of chromatic object colors under different adapting‐illuminance levels
del Colore International Colour Association (AIC) Conference 2021
Jacobson et al. Strategies for selecting a fixed palette of colors
JPH0676921B2 (ja) 光源の演色性検査カ−ド
EP4258043A1 (en) Method for selecting a lens having a special light transmission filter
Nayatani et al. Proposal of a new concept for color‐appearance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