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901B1 - 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knee arthritis - Google Patents
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knee arthrit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2901B1 KR102472901B1 KR1020210162343A KR20210162343A KR102472901B1 KR 102472901 B1 KR102472901 B1 KR 102472901B1 KR 1020210162343 A KR1020210162343 A KR 1020210162343A KR 20210162343 A KR20210162343 A KR 20210162343A KR 102472901 B1 KR102472901 B1 KR 102472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 auxiliary
- acupressure
- magnet
- knee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1000008482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786 degenerative change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6285 Movemen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188 articular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7710 Cartilag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230 Joint stif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970 Meniscus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16 die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28 di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18 hyper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5 subchondral bone pla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for sick or disabled persons, e.g. persons having osteoarthritis or diabet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기 위해 보행시 또는 무릎을 굽힘과 펼침운동시 압력중심의 외측이동이 모멘트 팔을 줄여 슬관절 즉, 무릎관절 내번 토크를 감소시켜 무릎관절염 환자의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거나 완화시키도록 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사용자 발바닥이 접촉되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태로서 발바닥 아치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안쪽은 수직경사를 이루고 최고점에서 라운딩된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보조 지압강화구(2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바깥쪽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태로서 발바닥 바깥쪽은 수직경사를 이루고 최고점에서 라운딩된 상태에서 안쪽은 경사를 이루면서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앙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메인 지압강화구(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보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보조 삽입홈(11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지압강화구(30)가 삽입 가능하도록 메인 삽입홈(12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110, 1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홈(20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3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00)의 상측부는 제1 단턱(1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00)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00) 사이 바닥면에는 제3 자석(102)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200) 사이에는 제4 자석(202)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자석(102)와 제4 자석(202)은 서로 같은 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과,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110, 1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자석(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바닥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자석(111)과 다른 극을 이루는 제2 자석(2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보행시 또는 무릎을 굽힘과 펼침운동시 압력중심의 외측이동이 모멘트 팔을 줄여 슬관절 즉, 무릎관절 내번 토크를 감소시켜 무릎관절염 환자의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거나 완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ole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knee arthritis, the outward movement of the center of pressure during walking or knee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s reduces the moment arm and reduces the knee joint, that is, the knee joint inversion torque, thereby reducing knee arthritis patients It relates to an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to exert or allevi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A specific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10 made of a plate that the sole of the user's foot comes into contact with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sole of the body 10, and the inside is vertically inclined at a position consistent with the arch of the foot and rounded at the highest point. It is inclined outward and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sole of the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 20 and the body 1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ain body 10, and the outside of the sole forms a vertical inclination at the highest point In the rounded state, the inside is formed to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while forming an inclination, and includes a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tool 3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includes the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110 is provided so that the auxiliary acupressure enhancer 20 can be inserted, and the main insertion groove 120 is provided so that the main acupressure enhancer 30 can be inserted, and the auxiliary and main insertion grooves 110, 120) has coupling protrusions 100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upling grooves 20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20 and 30, so that the main body 10 ) and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20 and 30 are detachable, and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00 has first steps 101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end of the coupling groove 200 Near it, second steps 201 are formed on both sides, a third magnet 10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100, and a fourth magnet 202 is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200. In the state of being, the third magnet 102 and the fourth magnet 202 ar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including those made of the same pole, and
The auxiliary and main insertion grooves 110 and 120 are provided with first magnets 1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o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instruments 20 and 30, the first magnet ( 111) and the second magnet 211 forming a different pole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as its structural featur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utward movement of the center of pressure during walking or knee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s reduces the moment arm and reduces the knee joint, that is, the knee joint inversion torque, thereby exerting a therapeutic effect or alleviating the effect of knee arthritis patie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기 위해 보행시 또는 무릎을 굽힘과 펼침운동시 압력중심의 외측이동이 모멘트 팔을 줄여 슬관절 즉, 무릎관절 내번 토크를 감소시켜 무릎관절염 환자의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거나 완화시키도록 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ole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knee arthritis, the outward movement of the center of pressure during walking or knee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s reduces the moment arm and reduces the knee joint, that is, the knee joint inversion torque, thereby reducing knee arthritis patients It relates to an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that exerts or alleviates the therapeutic effect of.
무릎관절염 증상은 다양한 발병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즉,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후 퇴행성 관절염으로 나눌 수 있다.Knee arthritis symptoms can be caused by various onset factors, that is, they can be divided into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and post-traumatic degenerative arthritis.
그중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이며, 그 외에도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거나 비만, 과도한 운동, 잘못된 자세를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자세에는 쪼그려 앉기나 무릎을 꿇는 자세와 같이 해당 부위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자세가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또 잘못된 걸음걸이로도 발생하게 되는데 팔자걸음이나 안짱걸음과 같은 잘못된 걸음걸이가 습관화되면 무릎 관절에 손상을 유발해 결국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무릎이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나 무리한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반월상연골판파열 및 연골 손상을 치료 없이 장기간 방치한 경우에도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가 있다.Among them, the representative cause is degenerative change due to aging, and in addition, excessive dieting, obesity, excessive exercise, and incorrect posture can be cited as causes. Incorrect posture can be caused by postures that can put a burden on the affected area, such as squatting or kneeling, and it can also occur with wrong gait. This is because it can cause damage to the knee joint and eventually develop into a disease. In addition, it can appear even when the knee has received a strong shock or excessive pressure, and it can lead to degenerative arthritis even if the meniscus rupture and cartilage damage are left untreated for a long time.
일반적으로 퇴행성관절염은 만성관절염의 하나로 중년기나 장년기 성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체중 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관절연골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관절면의 뼈가 과잉 성장된 상태를 말한다.In general, degenerative arthritis is one of chronic arthritis and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degenerative changes occur in articular cartilage of a joint that receives a lot of weight load and excessive growth of bones on the joint surface.
이러한 퇴행성관절염의 경우에는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가 1차적으로 일어나고 질환이 진행되면 연골하골의 경화, 관절 주변에 골의 과잉형성, 관절의 변형 등이 나타나게 되고, 임상적으로는 반복적인 동통, 관절의 강직감, 관절의 점진적인 운동장애 등이 나타나게 된다.In the case of degenerative arthritis, degenerative changes in articular cartilage occur primarily, and as the disease progresses, hardening of the subchondral bone, hyperplasia of bone around the joint, and joint deformation appear, and clinically, repetitive pain, joint Stiffness of the joint and progressive movement disorders of the joint appear.
이러한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55세 이상인 경우에는 80%, 75세인 경우에는 거의 전인구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고, 이 가운데 4분의 1 정도에만 임상적인 증세가 나타나고,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많고 증상정도도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This degenerative arthritis is the most commo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joints, and it is reported that 80% of those over 55 years of age and almost the entire population over the age of 75 have this disease, and only about a quarter of these have clinical symptoms. It is known that the older the age, the more females than males and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이러한 퇴행성관절염의 원인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노쇠현상이나 과체중과의 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원인으로는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증, 특정 관절 부위 등이 그 요인 인자로 보고 있다.The cause of this degenerative arthritis has not been clearly identified, but it is known to be deeply related to aging or overweight, and as causes, age, gender, genetic factors, obesity, specific joint parts, etc. are considered as factors. .
이러한 퇴행성관절염은 초기엔 약한 동통을 느낄 수 있는데, 환자는 한개 또는 두개 관절의 강직과 쑤시는 듯한 동통을 수반하게 되고, 일반적으로 하나의 관절에 나타나며, 이러한 증세는 운동시나 춥거나 습기가 많은 날씨에 따라 악화 되며, 쉬거나 열 치료로 쉽게 나아질 수 있으나, 아무런 보호나 치료가 수반되지 않게 되어 질환이 장기화하면, 특히 체중 부하가 많은 관절에 심한 운동 장애가 나타나고 관절의 변형으로 인하여 운동장애가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This degenerative arthritis can feel mild pain in the early stages, and the patient is accompanied by stiffness and aching pain in one or both joints, usually in one joint, and these symptoms are common during exercise or in cold or damp weather. It is aggravated by rest or heat treatment, but if the disease is prolonged without any protection or treatment, severe movement disorders appear, especially in joints with a lot of weight bearing, and movement disorders become marked due to joint deformation. do.
이러한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것이므로 이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 아직 없고, 따라서 치료환자가 이 질환의 성질을 잘 이해하도록 정신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통을 경감시켜 주고 관절의 기능을 유지시키며,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Since this degenerative arthritis is caused by degenerative changes in articular cartilage, there is still no sure way to completely stop i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function of and prevent deformation.
이러한 방법에는 정형 외과적으로 수술에 의한 재활치료나, 상태가 미약한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방법을 적용하고 있다.In this method, rehabilitation treatment by orthopedic surgery or conservative treatment method is applied in case of weak condition.
이러한 수술치료나 보존적 치료방법에는 환자가 보행 편의나 무릎 구부림에 불편이 없도록 보조대가 필요하다.In such a surgical treatment or conservative treatment method, an assistant is required so that the patient does not have any inconvenience in walking or bending the knee.
특히, 퇴행성관절염은 신체의 하중이 가장 집중하는 곳인 무릎관절에 가장 많이 발병하고, 이러한 퇴행성무릎관절염 환자의 경우 무릎 내측에 하중이 많이 발생되어 내측 연골부위가 외측 연골부위에 비해 많이 닳아 없어지면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임으로 환자는 더 이상의 심한 질환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면서 무릎연골 중 내측 연골을 보호하고 지지하여서 보행이나 구부림 동작에 동통이 수반하지 않는 역할의 보호지지대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degenerative arthritis occurs most frequently in the knee joint, where the load of the body is most concentrated, and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 a lot of load is generated on the inside of the knee, resulting in the inner cartilage part being worn out more than the outer cartilage part. In most cases, the patient needs a protective support that protects and supports the inner cartilage of the knee cartilage while preventing it from progressing to a more severe disease, so that pain does not accompany walking or bending motion.
한편, 보호지지대 뿐만 아니라, 환자가 사용하는 신발의 깔창에서도 매우 영향을 미치는 바 이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깔창이 존재하나 무릎관절염에 적합한 용도의 깔창은 현재로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not only the protective support but also the insole of the shoe used by the patient has a great effect, so there are various types of insole for this, but the insole suitable for knee arthritis is currently very insufficient.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발바닥 외측 즉, 아치 부위가 아닌 반대편쪽에 메인 지압강화구를 구비하고 발바닥 내측에 보조 지압강화구를 구비하되 상기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발바닥 외측 및 내측에 각각 길게 메인 삽입홈과 보조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및 보조 삽입홈 내측과 상기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의 저면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여 보행시 또는 무릎의 굽힘과 펼침시 상기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가 발바닥의 외측과 내측 특히 내측은 안쪽 아치 부위를 자극 또는 유지토록 함으로서 압력중심의 외측이동이 모멘트 팔을 줄여 슬관절 즉, 무릎관절 내번 토크를 감소시켜 무릎관절염에 따른 통증을 완화하거나 치료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The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ole,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not the arch, and the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ole, but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are integrally formed, or the main insertion groove is long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sole. And forming an auxiliary insertion groove to detachably provide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ement, or provide a magnet inside the main and auxiliary insertion groove and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ement during walking or bending of the knee When unfolding,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ers stimulate or maintain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sole, especially the inner arch, so that the outward movement of the center of pressure reduces the moment arm, reducing the knee joint, that is, the knee joint inversion torque, to treat knee arthrit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to relieve pain or exert a therapeutic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발바닥이 접촉되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태로서 발바닥 아치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안쪽은 수직경사를 이루고 최고점에서 라운딩된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보조 지압강화구(2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바깥쪽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태로서 발바닥 바깥쪽은 수직경사를 이루고 최고점에서 라운딩된 상태에서 안쪽은 경사를 이루면서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앙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메인 지압강화구(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보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보조 삽입홈(11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지압강화구(30)가 삽입 가능하도록 메인 삽입홈(12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110, 1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홈(20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3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00)의 상측부는 제1 단턱(1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00)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00) 사이 바닥면에는 제3 자석(102)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200) 사이에는 제4 자석(202)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자석(102)와 제4 자석(202)은 서로 같은 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과,"The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110, 1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자석(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바닥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자석(111)과 다른 극을 이루는 제2 자석(2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auxiliary 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보행시 또는 무릎을 굽힘과 펼침운동시 압력중심의 외측이동이 모멘트 팔을 줄여 슬관절 즉, 무릎관절 내번 토크를 감소시켜 무릎관절염 환자의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거나 완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The outward movement of the center of pressure during walking or knee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s reduces the moment arm and reduces the knee joint, that is, the knee joint inversion torque, thereby exerting a therapeutic effect or alleviating the effect of knee arthritis patien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e person who has it.
도 1은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용상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가 제1 및 제2 삽입홈으로 부터 착탈가능하되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에 내장된 자석과 제1 및 제2 삽입홈에 내장된 자석이 같은 극으로 이루어져 쿠션감을 유지토록 하면서 자기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가 제1 및 제2 삽입홈으로 부터 착탈가능하되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에 내장된 자석과 제1 및 제2 삽입홈에 내장된 자석이 다른 극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기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the present invention knee arthritis,
Figure 3 is a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in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the present invention knee arthritis,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the present invention knee arthritis,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are detachable from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but the magnets and the first and second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are embedded in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2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for facilitating blood circulation through magnetic force while maintaining a cushion feeling made of the same poles of magnets embedded in the insertion groove,
Figure 7 is a limited insol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are detachable from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but the magnets embedded in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and the first and second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2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for facilitating blood circulation through magnetic force since the magnets embedded in the insertion grooves are made of different poles.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various forms can be made, so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and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as well as not be construed as limited in meaning. should be interpreted a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r exist.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용상태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가 제1 및 제2 삽입홈으로 부터 착탈가능하되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에 내장된 자석과 제1 및 제2 삽입홈에 내장된 자석이 같은 극으로 이루어져 쿠션감을 유지토록 하면서 자기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가 제1 및 제2 삽입홈으로 부터 착탈가능하되 메인 및 보조 지압강화구에 내장된 자석과 제1 및 제2 삽입홈에 내장된 자석이 다른 극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기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insol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are detachable from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but the magnets and the first and second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are embedded in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for facilitating blood circulation through magnetic force while maintaining a cushioning feeling made of the same poles of magnets embedd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ement devices are detachable from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but the magnets embedded in the main and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ement devices and the magnets embedd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composed of different poles, so that the blood through magnetic force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for facilitating circulation.
우선, 본 발명은 무릎관절염을 개선 또는 치유가 가능한 것에 촛점을 두고 개발한 것으로 한정한 용도발명에 해당한 것이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use invention limited to what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improving or curing knee arthriti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보조 지압강화구(20)와 메인 지압강화구(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As shown in FIG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상기 본체(10)은 사용자 발바닥이 접촉되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The
상기 보조 지압강화구(20)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지압강화구와 달리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상태에서 발바닥 아치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안쪽은 수직경사를 이루고 최고점에서 라운딩된 상태에서 바깥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서,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지압강화구(20)은 발바닥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상태에서 발바닥 아치 부위에 최고봉(212)을 이룬 상태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Preferably, the auxiliary
한편, 메인 지압강화구(30)는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바깥쪽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상태에서 발바닥 바깥쪽은 수직경사를 이루고 최고점에서 라운딩된 상태에서 안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앙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지압강화구와 달리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바깥족에 길게 일정 높이로 형성됨으로서 보행시 또는 무릎을 굽힘과 펼침운동시 압력중심의 외측이동이 모멘트 팔을 줄여 슬관절 즉, 무릎관절 내번 토크를 감소시켜 무릎관절염 환자의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거나 완화시키도록 하는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보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보조 삽입홈(11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지압강화구(30)가 삽입 가능하도록 메인 삽입홈(12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110, 1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자석(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바닥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자석(111)과 다른 극을 이루는 제2 자석(2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Next, preferably, as shown in FIG. 7, the
제1 자석(111)과 제2 자석(211)이 다른 극으로 구성함으로서 서로 끌려서 긴밀하게 부착되어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오랜 사용 또는 손상으로 인하여 교체의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한 것이며 더 나아가서,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발바닥의 혈행을 원활하고 부드럽게 함으로서 발바닥의 개선 및 치유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the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보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보조 삽입홈(11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지압강화구(30)가 삽입 가능하도록 메인 삽입홈(12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110, 1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홈(20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3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며,Next, 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상기 결합돌기(100)가 상기 결합홈(200)으로 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100)의 상측부는 제1 단턱(1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00)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더 나아가서, 상기 결합돌기(100) 사이 바닥면에는 제3 자석(10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00) 사이에는 제4 자석(202)이 구비되되 상기 제3 자석(102)와 제4 자석(202)은 서로 같은 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함으로서 비록 제3 자석(102)과 제4 자석(202)가 같은 극으로 이루어져 서로 밀어내지만 상기 제1 단턱(101)과 제2 단턱(201)에 의해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이 이탈될 염려는 전혀 없으면서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오랜 사용 또는 손상으로 인하여 교체의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함과 동시에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발바닥의 혈행을 원활하고 부드럽게 함으로서 발바닥의 개선 및 치유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more,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본체 표면 소정의 위치에 보조 및 메인 삽입홈을 형성하여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 내측과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의 저면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여 보행시 발바닥의 특정부위를 자극 또는 유지토록 하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하여 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or forms auxiliary and main insertion grooves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surface of the body to detachably provide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or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intensifiers. Magnets are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inside the bottom of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to stimulate or maintain a specific part of the sole of the foot while walking, and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so that the feet can be kept healthy by limiting the use to improving knee arthritis. It is to exert an effect that allow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f cours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a person having ordinary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it will be obvious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belong to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20 : 보조 지압강화구
30 : 메인 지압강화구 100 : 결합돌기
101 : 제1 단턱 102 : 제3 자석
110 : 보조 삽입홈 111 : 제1 자석
120 : 메인 삽입홈 200 : 결합홈
201 : 제2 단턱 202 : 제4 자석
211 : 제2 자석 212 : 최고봉10: main body 20: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ement
30: main acupressure reinforcement 100: coupling protrusion
101: first step 102: third magnet
110: auxiliary insertion groove 111: first magnet
120: main insertion groove 200: coupling groove
201: second step 202: fourth magnet
211: second magnet 212: highest peak
Claims (6)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보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보조 삽입홈(11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지압강화구(30)가 삽입 가능하도록 메인 삽입홈(12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110, 1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홈(20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3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00)의 상측부는 제1 단턱(1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00)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00) 사이 바닥면에는 제3 자석(102)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200) 사이에는 제4 자석(202)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자석(102)와 제4 자석(202)은 서로 같은 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The main body 10 made of a plate-lik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user's foot and the main body 10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sole of the foot, and the inside is vertically inclined at a position coincident with the arch of the foot and is rounded at the highest point to the outside The auxiliary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 2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body 10 and the body 10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sole, and the outside of the sole forms a vertical slope and is rounded at the highest point In the state of being, the inside is formed up to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while forming an inclination, and includes a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tool 3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body 10,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sertion groove 110 so that the auxiliary acupressure intensifier 20 can be inserted and a main insertion groove 120 so that the main acupressure intensifier 30 can be inserted, and the auxiliary And coupling protrusions 10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main insertion grooves 110 and 120, and coupling grooves 20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instruments 20 and 30. It is formed so that the main body 10 and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reinforcing devices 20 and 30 are detachable,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100 has first stepped steps 101 formed on both sides and second stepped steps 201 formed on both sides near the end of the engaging groove 200,
With the third magnet 10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100 and the fourth magnet 202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200,
The third magnet 102 and the fourth magnet 202 are limited to the u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including consisting of the same poles.
상기 보조 및 메인 삽입홈(110, 1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자석(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및 메인 지압강화구(20, 30)의 바닥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자석(111)과 다른 극을 이루는 제2 자석(2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and main insertion grooves 110 and 120 are provided with first magnets 1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o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and main acupressure instruments 20 and 30, the first magnet ( 111) and the second magnet 211 constituting a different pol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cluding a limited insol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knee arthriti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343A KR102472901B1 (en) | 2021-11-23 | 2021-11-23 | 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knee arthriti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343A KR102472901B1 (en) | 2021-11-23 | 2021-11-23 | 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knee arthriti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2901B1 true KR102472901B1 (en) | 2022-12-01 |
Family
ID=8444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2343A KR102472901B1 (en) | 2021-11-23 | 2021-11-23 | 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knee arthriti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2901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5579B1 (en) * | 2001-08-31 | 2010-01-06 | 베어풋 사이언스 테크놀러지 인크. |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KR20100132466A (en) * | 2009-06-09 | 2010-12-17 | 임성조 | Shoe insole with movable support |
KR20110001604U (en) | 2009-08-10 | 2011-02-17 | 권영갑 | Slippers with pressure treatment |
KR101103537B1 (en) | 2010-05-18 | 2012-01-06 | 주식회사 학산 | Shoe insole with customizable balance pad |
KR101651922B1 (en) * | 2014-12-17 | 2016-09-09 | (주)한신코리아 | functional insole 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of arch |
KR200483112Y1 (en) | 2016-06-02 | 2017-04-18 | 황효진 | Slippers |
KR102224205B1 (en) | 2020-08-22 | 2021-03-05 | 유위상 | Slipper |
KR102227064B1 (en) * | 2019-09-11 | 2021-03-11 | 김용덕 | Functional insole for pregnant women |
-
2021
- 2021-11-23 KR KR1020210162343A patent/KR10247290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5579B1 (en) * | 2001-08-31 | 2010-01-06 | 베어풋 사이언스 테크놀러지 인크. |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KR20100132466A (en) * | 2009-06-09 | 2010-12-17 | 임성조 | Shoe insole with movable support |
KR20110001604U (en) | 2009-08-10 | 2011-02-17 | 권영갑 | Slippers with pressure treatment |
KR101103537B1 (en) | 2010-05-18 | 2012-01-06 | 주식회사 학산 | Shoe insole with customizable balance pad |
KR101651922B1 (en) * | 2014-12-17 | 2016-09-09 | (주)한신코리아 | functional insole 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of arch |
KR200483112Y1 (en) | 2016-06-02 | 2017-04-18 | 황효진 | Slippers |
KR102227064B1 (en) * | 2019-09-11 | 2021-03-11 | 김용덕 | Functional insole for pregnant women |
KR102224205B1 (en) | 2020-08-22 | 2021-03-05 | 유위상 | Slipp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59589C2 (en) | Diagonally tortiled sole | |
US10678209B2 (en) | Adjustable height sole | |
RU2558344C2 (en) | Footwear insole | |
US20040040183A1 (en) | Cantilevered shoe construction | |
KR101879199B1 (en) | Insole for shoe | |
TWI678977B (en) | Shoe insole | |
JP6483121B2 (en) | Orthodontic insert device | |
KR20120000447A (en) | Insole with removable internal and external wedges for knee pain relief and prevention | |
KR102258355B1 (en) | Support structure for reinforcing outside of the heel and goods for wearing on the feet having the same | |
KR102472901B1 (en) | 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knee arthritis | |
US20110289802A1 (en) |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 |
KR102545261B1 (en) | Insole for flat foot correction | |
CN206482113U (en) | Gonitis shoe-pad and gonitis shoes | |
KR102425738B1 (en) | Sole structure of shoe | |
CZ2006298A3 (en) | Inner sole | |
CN109996519B (en) | Correction product | |
KR102595608B1 (en) | Insole for footwear | |
KR102472896B1 (en) | 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plantar fasciitis and hallux valgus | |
KR200333132Y1 (en) | A orthopedic shoe for metatarsalgia | |
US20110296717A1 (en) |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for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knee joint | |
KR102493950B1 (en) | Apparatus of an exercise aid for body balance | |
RU2167684C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foot, lower extremity and vertebral column deformities using magnetic field combined with orthopedic correction | |
Wójcik | The effect of high-heeled footwear on the induction of selected musculoskeletal conditions and potential beneficial uses in prophylaxis and management | |
Dinsdale | HOW ABNORMAL FOOT MOTION CAN BE A MAJOR CONTRIBUTOR TO LOWER BACK AND PELVIC PROBLEMS. | |
AU2009101110A4 (en) | Integrated rearfoot stabilsing elevator for prefabricated foot suppor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12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