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11B1 - 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11B1
KR102472311B1 KR1020210002828A KR20210002828A KR102472311B1 KR 102472311 B1 KR102472311 B1 KR 102472311B1 KR 1020210002828 A KR1020210002828 A KR 1020210002828A KR 20210002828 A KR20210002828 A KR 20210002828A KR 102472311 B1 KR102472311 B1 KR 10247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inner space
cover
sterilized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8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0426A (en
Inventor
이민철
김성민
신재윤
안지은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311B1/en
Publication of KR2022010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대중교통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손잡이로서, 열감지센서에서 손바닥을 감지하여 분사구로 소독제를 분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몸체부; 및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설치된 살균램프의 점등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파지부가 살균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nd a method of sterilization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connected to a frame provided in public transportation, and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configured to detect a palm with a heat sensor and spray disinfectant through an injection port; and a second body having an inner space and configured to sterilize the gripper located in the inner space by turning on a sterilizing lamp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Description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Double sterilized handle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it {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부분을 1차로, 사용자의 손을 2차로 살균하여 손잡이 접촉에 의한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nd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or subway, a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a user's hand is firstly sterilized and a user's hand is secondly sterilized. It relates to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nd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to prevent infection with viruses or the like due to contact with the handle.

일반적으로,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누가 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된지 알 수 없으며, 그로인해 바이러스 보균자 또는 세균 보균자로부터 어느 순간 감염될지 알 수 없어 우려가 매우 큰 문제가 있었다. In general,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and subways is used by many people, so it is not known who is infected with germs or viruses, and as a result, it is not known whether the virus carrier or the bacterial carrier will be infected at any moment. there was.

특히, 출퇴근길에 좌석이 없어 서서 갈 때, 많은 사람들이 손잡이를 잡게 되는데 손은 인체 중 가장 많은 균과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부위 중 하나로 가장 많은 바이러스와 세균을 옮길 수 있는 매개체가 된다.In particular, many people hold the handle when commuting because there are no seats.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8445호(공고일: 2012.10.10.)에는 대중교통 자가소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대중교통에 마련되는 관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관 내부로 주입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소독액을 가압하는 디스크를 구비하는 가압로드; 상기 가압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소독액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캡; 및 상기 가압로드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is regard,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8445 (published date: 2012.10.10.) discloses a public transportation self-disinfection device. This is a tubular handle provided in public transportation; and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injected into the tube of the handle to the outside, wherein the discharge means is movably installed in a holding part held by the user of the handle and pressurizes the disinfectant solution. A pressure rod having a; a discharge cap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the disinfectant solution pressurized by the pressure rod is discharged; and a spring for restoring the pressure rod to its original position.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어떤 동작(여기서는 소독액을 가압하는 디스크를 구비하는 가압로드의 동작)에 의해 소독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술은 많았지만, 세계보건기구가 팬데믹을 선언한 오늘날에는 강한 감염력을 갖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들로 변이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as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technologies for discharging disinfectant to the outside by a certain operation (here, the operation of a pressurizing rod having a disk pressurizing the disinfectant), but today, whe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declared a pandemic, strong There was a problem of mutating into infectious viruses or bacteria.

따라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적어도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부분이 철저히 살균되고, 나아가 스스로 감염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손잡이를 파지하기 전에 손의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는 더욱 강력한 살균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there is a need for a more powerful sterilization technology that thoroughly sterilizes at least the part where the user's hand comes in contact, and furthermore, can kill germs or viruses on the hand before recognizing the problem of infection and gripping the doorknob.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8445호(공고일: 2012.10.10.)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88445 (Public date: 2012.10.10.)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손잡이 부분을 1차로, 사용자의 손을 2차로 살균하여 손잡이 접촉에 의한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한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letely block the infection of viruses and the like caused by contact with the handle by firstly sterilizing the handle part that the user's hand touches and secondarily sterilizing the user's hand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or subway. It is to provide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nd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대중교통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손잡이로서, 저면의 열감지센서에서 손바닥을 감지하여 분사구로 소독제를 분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몸체부; 및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설치된 살균램프의 점등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파지부가 살균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에 의하여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connected to a frame provided in public transportation, comprising: a first body portion configured to eject a disinfectant through an injection port by detecting a palm in a thermal sensor on the bottom; and a second body having an inner space and configured to sterilize the holding part located in the inner space by turning on a sterilization lamp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상기 제2 몸체부는, 제1 회전축에 연결된 커버가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파지부가 연결된 제2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밖으로 상기 파지부를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may be formed such that a cover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gripping part located in the inner space rotates to expose the gripp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have.

상기 살균램프는, 자외선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칩셋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germicidal lamp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ipsets emitting ultraviolet rays.

상기 커버는, 상기 살균램프에서 발산하는 자외선으로 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단면이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폐쇄될 때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면까지 가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ver may have a cross section formed in a 'b' shape to protect eyes from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germicidal lamp, and may cover ev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when the cover is closed.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으로서,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커버에 의해 폐쇄되면 상기 살균램프가 점등되어 상기 파지부를 살균하는 파지부 자외선 살균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제1 몸체부의 바닥면의 상기 열감지센서에 손바닥을 위치시키는 손바닥 인식 단계; 센서부의 상기 열감지센서가 손바닥을 감지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소독제를 분사부를 통해 분사구로 일정량 분출하는 소독제 분사 단계; 상기 소독제 분사 단계와 같이 동작하고, 상기 제1 몸체부의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를 상측으로 개방하는 커버 개방 단계; 상기 제1 몸체부의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 회전 단계; 상기 센서부의 가압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여부를 판별하는 가압 단계 및 가압 해지 단계; 상기 가압 해지 단계에서 가압이 해지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소요된 시간을 판별하는 일정시간 소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축이 반회전하면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재위치하는 파지부 반회전 단계; 및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이 반회전하면서 상기 커버를 다시 폐쇄하는 커버 폐쇄 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comprising: a gripper ultraviolet sterilization step of sterilizing the gripper by turning on the germicidal lamp when the inner space is closed by the cover; a palm recognition step in which a user places a palm on the thermal senso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Disinfectant spraying step of ejec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spraying unit to the spraying hole when the thermal sensor of the sensor unit detects the palm; a cover opening step of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disinfectant spraying step and opening the cover upward while the first rotating shaft is rotated by a first driving unit of the first body; a gripper rotation step in which the gripp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while the second rotating shaft is rotated by a second drive unit of the first body; a pressurization step and a pressurization releas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user grips the gripping part by a pressure sensor of the sensor part; Checking a certain amount of time required to determine a certain amount of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ization is released in the pressurization releasing step; a half-rotation step of the gripping unit repositioning the gripping unit into the inner space while the second rotating shaft is half-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And it is achieved by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closing step of closing the cover again while the first rotating shaft is half-rotated by the first driving unit is repeatedly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세계보건기구가 팬데믹을 선언한 오늘날에는 강한 감염력을 갖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들이 변이하고 있는 문제가 있어 더운 강력한 살균력을 갖기 위해,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손잡이 부분을 1차로, 사용자의 손을 2차로 살균하여 손잡이 접촉에 의한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것을 완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day, whe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declared a pandemic, there is a problem that viruses or bacteria with strong infectivity are muta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completely blocking infection of a virus or the like due to contact with the handle by firstly sterilizing the contacted handle part and secondarily sterilizing the user's hand.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의 제1 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1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의 커버가 폐쇄되었을 때의 A-A'선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1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의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의 A-A'선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1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of the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A-A' when the cover of the handle to be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Figure 1 is closed.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A-A' when the cover of the handle to be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Figure 1 is open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another elem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의 제1 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1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의 커버가 폐쇄되었을 때의 A-A'선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1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의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의 A-A'선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1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of the handle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Figure 1 ,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A-A 'when the cover of the handle to be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Figure 1 is closed. In addi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A-A' when the cover of the handle to be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Figure 1 is opened, and Figure 5 is an example of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handle to be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Figure 1 It is a flow chart showing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개략적인 라인으로 나타내거나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is indicated by schematic lines to clearly distinguish various parts and regions. or enlarged.

본 발명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100)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부분을 1차로, 사용자의 손을 2차로 살균하여 손잡이 접촉에 의한 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The handle 100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or subway, firstly sterilizes the user's hand and secondly sterilizes the user's hand to contact the handle It is an invention devised to completely block infection by bacteria or viruse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100)는, 제1 몸체부(120)와 제2 몸체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o 4, the handle 100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120 and a second body portion 140. have.

제1 몸체부(120)는, 소독제를 분출하여 1차적인 살균을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20)의 내부에는 센서부(122), 저장부(123), 분사부(124), 제1 구동부(125), 제2 구동부(126), 전원부(127) 및 제어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part 120 is for primary sterilization by ejecting a disinfectant, and as shown in FIG. 2, the sensor part 122 and the storage part 123 are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12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praying unit 124, a first driving unit 125, a second driving unit 126, a power supply unit 127 and a control unit 121.

센서부(122)는, 제1 몸체부(12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열감지센서(128) 및 후술할 파지부(145)에 가압 여부를 센싱하는 가압센서(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nsor unit 122 may include a thermal sensor 128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120 and a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wheth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gripping unit 145 to be described later. .

열감지센서(128)가 사용되는 것은, 손바닥은 인체 중 온도가 높은 곳이고, 백팩 등이 열감지센서(128)에 인접해도 이를 인식하여 소독제를 분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thermal sensor 128 is used to prevent disinfectant from being sprayed by recognizing that the palm is a high-temperature part of the human body and a backpack or the like is adjacent to the thermal sensor 128.

저장부(123)는, 소독제가 저장되는 구성이다. 제1 몸체부(120)의 측면 등을 통해서 소독제의 The storage unit 123 is a component in which a disinfectant is stored. of the disinfectant through th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etc.

분사부(124)는, 제1 몸체부(120)의 바닥면(저면)에 설치되는 분사구(129)를 통해 저장부(123)에 저장된 소독제를 일정량 분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열감지센서(128)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감지센서(128)가 손바닥을 감지하는 즉시 소독제를 분출하기 위함이다.The injection unit 124 is configured to ejec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3 through a spray hole 129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and the thermal sensor 128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djacent to. This is to eject the disinfectant as soon as the thermal sensor 128 detects the palm.

제1 구동부(125)는, 제2 몸체부(140)의 커버(143)를 개폐하기 위해 커버(143)와 연결된 제1 회전축(142)을 회전 또는 반회전 시키는 구성이다. The first drive unit 125 rotates or semi-rotates the first rotation shaft 142 connected to the cover 143 to open and close the cover 143 of the second body 140 .

제2 구동부(126)는, 제2 몸체부(140)의 파지부(145)를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2 몸체부(140)의 내부공간(141)에서 외부공간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내부공간(141) 쪽으로 형성된 제2 회전축(144)을 회전 또는 반회전 시키는 구성이다. The second drive unit 126 exposes the gripping unit 145 of the second body unit 140 from the interior space 141 of the second body unit 140 to the exterior space so as to facilitate gripping. ) It is configured to rotate or semi-rotate the second rotation shaft 144 formed toward the side.

제1, 2구동부(125, 126)는 통상의 회전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25 and 126 may be formed of conventional rotary motors.

제어부(121)는, 센서부(122), 저장부(123), 분사부(124), 제1 구동부(125) 및 제2 구동부(126) 구성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부(127)를 통해 각 구성에 전원을 인가하여 그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각 구성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아두이노(Arduino) 등과 같은 모듈화된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1, the sensor unit 122, storage unit 123, injection unit 124, the first drive unit 125 and the second drive unit 126 in a state where each compon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27, As a component that a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and controls its operation, and receives and processes measured data from each component, such as a micro controller unit (MCU), microcomputer, Arduino, etc. It can be implemented as a modularized unit.

이때, 연결된 각 구성을 제어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제어부(121)의 일련의 과정은, 모듈화된 유닛을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 series of processes of the control unit 121 that controls each connected component and processe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s coded in a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C, C++, JAVA, and machine language that can be read through a modular unit. .

이러한 제어부(121)의 일련의 연산 및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은,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series of operations and data processing algorithms of the control unit 121 can be easily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forms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20)는, 제1 몸체부(120)의 바닥면에 설치된 열감지센서(128)에 손바닥을 위치시키면, 센서부(122)에서 손바닥을 감지하여 분사구(129)로 소독제를 분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body part 120 places a palm on the thermal sensor 128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20, the sensor part 122 detects the palm and sprays the nozzle 129. ) to eject the disinfectant.

제2 몸체부(140)는, 살균램프(146)를 점등하여 2차적인 살균을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141), 제1 회전축(142), 커버(143), 제2 회전축(144), 파지부(145) 및 살균램프(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140 is for secondary sterilization by turning on the sterilization lamp 146,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inner space 141, the first rotational shaft 142, and the cover 143, the second rotational shaft 144, the gripping portion 145 and the germicidal lamp 146 may be included.

제2 몸체부(140)는 제1 몸체부(120)에 인접하여 단면이 'ㄱ' 형태이고, 어느 한 측면에서 제1 몸체부(120)가, 다른 측면은 벽으로 막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닥면에 뚫린 이유는 후에 파지부(145)를 제2 몸체부(140)의 하방, 즉 내부공간(141)에 위치하였던 파지부(145)를 외부공간에 위치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second body portion 140 is adjacent to the first body portion 120 and has an 'a'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first body portion 12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blocked by a wall. . to be.

이러한 바닥면을 덮기 위해서, 도면에는 커버(143)의 단면이 'l'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ㄴ' 형태로 이루어져 제2 몸체부(140)의 바닥면까지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살균램프(146)에서 발산하는 자외선을 내부공간(141) 외의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In order to cover such a bottom surface, the cross section of the cover 143 is made in an 'l' shape in the drawings, but it may be made in a 'b' shape to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40. This is to block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germicidal lamp 146 from being exposed to a space other than the inner space 141 in order to protect the eyes from ultraviolet light.

커버(143)는, 도 3의 확대된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42)에 연결되고 제1 구동부(125)의 구동에 의해 작동한다.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 , the cover 143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142 and operat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125 .

파지부(1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144)에 연결되고 제2 구동부(126)의 구동에 의해 작동한다.
하나의 파지부(145)가 제2 회전축(144)과 연결된다.
파지부(145)는 적어도 일부가 제2회전축(144)의 회전운동 중심이 되는 직선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파지부(145)는 적어도 일부가 제2회전축(144)의 회전운동 중심이 되는 직선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한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 the gripping part 145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144 and operated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part 126 .
One gripping part 145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44 .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ping portion 145 is formed parallel to a straight line serving as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144 .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ping portion 145 is biased to one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traight line serving as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144 .

살균램프(146)는 자외선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칩셋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germicidal lamp 146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ipsets emitting ultraviolet rays.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made of an ultraviolet lamp.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140)는, 내부공간(141)이 마련되고 내측면(내부공간(141)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된 살균램프(146)의 점등에 의해 내부공간(141)에 위치한 파지부(145)가 살균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ody portion 140 is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141, and the inner space 141 is turned on by the sterilization lamp 146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r side surface of the inner space 141). The gripping part 145 located at is to be sterilized.

이로써, 제1 몸체부(120)에서 1차적으로, 제2 몸체부(140)에서 2차적으로 손잡이를 이중으로(순서는 상관 없이 무엇이 먼저 진행되더라도) 살균하여 손잡이 접촉에 의한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handle is sterilized primarily in the first body part 120 and secondarily in the second body part 140 (regardless of the order, regardless of which one proceeds first) to prevent infection with viruses due to contact with the handle. be able to prevent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100)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handle 100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100)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파지부(145) 자외선 살균 단계(S1), 손바닥 인식 단계(S2), 소독제 분사 단계(S3), 커버(143) 개방 단계(S4), 파지부(145) 회전 단계(S5), 가압 단계(S6), 가압 해지 단계(S7), 일정시간 지났는지 확인하는 단계(S8), 파지부(145) 반회전 단계(S9) 및 커버(143) 폐쇄 단계(S10)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The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double sterilized handle 100 includes the holding unit 145 ultraviolet sterilization step (S1), palm recognition step (S2), disinfectant spray step (S3), cover 143 opening step (S4), Holding unit 145 rotating step (S5), pressing step (S6), pressing release step (S7), checking wheth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S8), holding unit 145 half-rotating step (S9) and cover 143 ) The closing step (S10) is repeatedly performed.

먼저, 파지부(145) 자외선 살균 단계(S1)는, 내부공간(141)이 커버(143)에 의해 폐쇄되면 살균램프(146)가 점등되어 파지부(145)를 살균하는 단계이다. 일정시간 'T1'이 지나면 살균램프(146)가 꺼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in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step (S1) of the gripper 145, when the inner space 141 is closed by the cover 143, the sterilizing lamp 146 is turned on to sterilize the gripper 145. The germicidal lamp 146 may be turned off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1'.

손바닥 인식 단계(S2)는, 사용자가 제1 몸체부(120)의 바닥면의 열감지센서(128)에 손바닥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다.The palm recognition step ( S2 ) is a step in which the user positions his/her palm on the thermal sensor 128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20 .

소독제 분사 단계(S3)는, 센서부(122)의 열감지센서(128)가 손바닥을 감지하면 저장부(123)에 저장된 소독제를 분사부(124)를 통해 분사구(129)로 일정량 분출하는 단계이다. In the disinfectant spraying step (S3), when the thermal sensor 128 of the sensor unit 122 detects a palm,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3 is ejected through the spraying unit 124 to the spraying port 129. to be.

커버(143) 개방 단계(S4)는, 소독제 분사 단계(S3)와 같이 동작하고, 제1 몸체부(120)의 제1 구동부(125)에 의해 제1 회전축(142)이 회전하면서 커버(143)를 상측으로 개방하는 단계이다. 이때, 개방이 시작될 때에는 일정시간인 'T1'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살균램프(146)는 꺼져야 한다. The cover 143 opening step (S4) operates like the disinfectant spraying step (S3), and the cover 143 is rotated while the first rotating shaft 142 is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unit 125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 is a step of opening the upper side. At this time, when the opening starts, the germicidal lamp 146 should be turned off even if the predetermined time 'T1' has not passed.

파지부(145) 회전 단계(S5)는, 제1 몸체부(120)의 제2 구동부(126)에 의해 제2 회전축(144)이 회전하면서 파지부(145)가 내부공간(141)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이다. 커버(143)가 개방될 때, 커버(143) 개방 단계(S4)가 시작되고 바로, 커버(143)와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파지부(145)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In the step of rotating the gripping part 145 (S5), while the second rotating shaft 144 is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part 126 of the first body part 120, the gripping part 145 moves outside the inner space 141. This is the stage of exposure. When the cover 143 is opened, immediately after the opening step (S4) of the cover 143 begins, the gripping portion 14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not to cause friction with the cover 143.

가압 단계(S6)는, 사용자가 파지부(145)를 파지를 판별하는 단계로, 파지부(145)에 위치하거나, 제2 구동부(126)에 전달되는 가압을 센싱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몸체부(120)에 내장된 가압센서(미도시)의 센싱값에 의해 센서부(122)에서 판별할 수 있다. The pressurization step (S6) is a step in which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gripping part 145 is gripped, and is made to sense the pressure placed on the gripping part 145 or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126 and the first body part. It can be determined in the sensor unit 122 by a sensing value of a pressure sensor (not shown) built in 120.

가압 해지 단계(S7)는, 사용자가 파지부(145)를 파지했다가 파지를 해지하는 단계이다. 이 역시 센서부(122)의 가압센서(미도시)로 판별할 수 있다. In the pressing releasing step (S7), the user holds the gripping part 145 and then cancels the gripping. This can also be determined by a pressure sensor (not shown) of the sensor unit 122 .

일정시간 지났는지 확인하는 단계(S8)는, 가압 해지 단계에서 가압이 해지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T2'가 소요된 것을 판별하는 단계이다.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S8) is a step of determining that a certain amount of time 'T2' has been tak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ization is released in the pressurization release step.

파지부(145) 반회전 단계(S9)는, 일정시간 지났는지 확인하는 단계(S8)에서 일정시간 'T2'가 소요되면 제2 구동부(126)에 의해 제2 회전축(144)이 반회전하면서 파지부(145)가 내부공간(141)으로 재위치하는 단계이다. In the half-rotation step (S9) of the gripping unit 145, when the predetermined time 'T2' is taken in the step (S8) of check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the second rotation shaft 144 is rotated halfway by the second driving unit 126. This is a step in which the gripping part 145 is relocated to the inner space 141.

커버(143) 폐쇄 단계(S10)는, 제1 구동부(125)에 의해 제1 회전축(142)이 반회전하면서 커버(143)가 내부공간(141)을 다시 폐쇄하는 단계이다. The cover 143 closing step ( S10 ) is a step in which the cover 143 closes the inner space 141 again while the first rotating shaft 142 rotates halfway by the first driving unit 125 .

상술한 10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The above 10 steps are repeatedly performed.

이로써, 세계보건기구가 팬데믹을 선언한 오늘날에 강한 감염력을 갖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들로 변이하고 있는 문제가 있어 더운 강력한 살균력을 갖기 위해,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손을 1차로,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부분을 2차로 살균하여 손잡이 접촉에 의한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것을 완벽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n order to have a hot and strong sterilization power, there is a problem of mutating into viruses or bacteria with strong infectivity today, whe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declared a pandemic, so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or subway, the user's hand is 1 Second, by secondarily sterilizing the part where the user's hand comes in contact,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lock infection of viruses or the like due to contact with the hand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100)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handle 100 that is double steril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made in various shapes, shapes, standards, etc., as well as the above-described implementation A mixture of examples and variations may be mad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120 제1 몸체부
121 제어부
122 센서부
123 저장부
124 분사부
125 제1 구동부
126 제2 구동부
127 전원부
128 열감지센서
129 분사구
140 제2 몸체부
141 내부공간
142 제1 회전축
143 커버
144 제2 회전축
145 파지부
146 살균램프
10 프레임
20 고정부
100 double sterilized handle
120 first body
121 Control
122 sensor unit
123 storage
124 injection part
125 first driving unit
126 second driving unit
127 power supply
128 thermal sensor
129 Nozzle
140 second body
141 interior space
142 first axis of rotation
143 cover
144 second axis of rotation
145 grip part
146 germicidal lamp
10 frames
20 fixed part

Claims (5)

대중교통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손잡이로서,
열감지센서에서 손바닥을 감지하여 분사구로 소독제를 분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몸체부;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설치된 살균램프의 점등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파지부가 살균되도록 이루어지며, 제1 회전축에 연결된 커버가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파지부가 연결된 제2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밖으로 상기 파지부가 노출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제1구동부;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제2구동부;
상기 파지부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는 가압센서; 및
상기 열감지센서 또는 상기 가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2회전축은 하나의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파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운동 중심이 되는 직선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한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As a handle connected to a frame provided in public transportation,
A first body portion configured to detect a palm with a thermal sensor and eject a disinfectant through a spray hole;
An inner space is provided and a gripper located in the inner space is sterilized by lighting of a sterilizing lamp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and the gripper located in the inner space is sterilized. A second body portion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as the second rotating shaft to which the portion is connected rotates;
a firs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comprising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onal shaft;
a second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al shaft and comprising a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rotational shaft;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holding part is presse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ata measured by the thermal sensor or the pressure senso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The second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one of the gripping parts, and at least a part of the gripping part is biased to one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traight line that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rotary shaft.
Double sterilized hand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램프는,
자외선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칩셋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The germicidal lamp,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chipsets that emit ultraviolet rays,
Double sterilized hand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살균램프에서 발산하는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단면이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폐쇄될 때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면까지 가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살균되는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3,
th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b' shape to protect the eyes from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germicidal lamp so that when the cover is closed, it covers ev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Double sterilized handle.

삭제delete
KR1020210002828A 2021-01-08 2021-01-08 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472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828A KR102472311B1 (en) 2021-01-08 2021-01-08 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828A KR102472311B1 (en) 2021-01-08 2021-01-08 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426A KR20220100426A (en) 2022-07-15
KR102472311B1 true KR102472311B1 (en) 2022-11-29

Family

ID=8240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828A KR102472311B1 (en) 2021-01-08 2021-01-08 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31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090B1 (en) * 2017-01-10 2017-08-21 허정석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of helm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911B1 (en) * 2008-08-11 2010-09-30 김성은 Hand Strap structure
KR101188445B1 (en) 2011-03-31 2012-10-10 송현서 Public transportation self-disinfection apparatus
KR20200079358A (en) * 2018-12-24 2020-07-03 (주)뷰웍스 솔루션스 UVC sterilization sanitizing device for shopping ca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090B1 (en) * 2017-01-10 2017-08-21 허정석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of hel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426A (en)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3653A (en) Automated hand-washing device
JP2020022675A (en) Door handle disinfection apparatus
KR101898429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of helmet
US9511160B1 (en) Wrinting instrument sterilizer
JP2020022715A (en) Door handle disinfection apparatus
KR20150000852U (en) Hand Sterilization Appapatus for Door Handle
KR102472311B1 (en) Double sterilized handle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19537B1 (en) The machine that washes dries deodorizes and sanitizes shoes and/or gloves by using all natural source
JP73999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cessing reusable medical devices
KR101185153B1 (en) Card sterizer
KR102264284B1 (en) Door handle having disinfection function and method for disinfecting door handle
EP1720581B1 (en) U.v sterilizer for dental handpiece
JP6386586B2 (en) Decontamination equipment
JP2002126050A (en) Disinfecting device for contact lens case and storage container for contact lens case
KR20160001539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JP2011083354A (en) Hand dryer
KR102294999B1 (en) Toilet sanitary apparatus with cleaning,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KR102435098B1 (en) a quarantine de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KR102259696B1 (en) Door handle module
KR102337311B1 (en) A Door Sterilization Apparatus and A Door Strilization Method Using That
KR102632856B1 (en) Swing type sterilizer for toothbrush
KR102386827B1 (en) Hand-type disinfecting solution spray
KR100523533B1 (en) Sterilizer using ultraviolet light
CN211922880U (en) Automatic disinfection closestool
KR200154904Y1 (en) Nursing bottle sterilizer by electric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