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07B1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 Google Patents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07B1
KR102472307B1 KR1020190143487A KR20190143487A KR102472307B1 KR 102472307 B1 KR102472307 B1 KR 102472307B1 KR 1020190143487 A KR1020190143487 A KR 1020190143487A KR 20190143487 A KR20190143487 A KR 20190143487A KR 102472307 B1 KR102472307 B1 KR 10247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tag
space
area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6717A (en
Inventor
김용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14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307B1/en
Publication of KR2021005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717A/en
Priority to KR1020220159903A priority patent/KR1025635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2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the type of document
    • G06V30/422Technical drawings; Geographical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투영부,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정보 생성부,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제 1 공간 태그 및 제 2 공간 태그를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공간 태그 생성부 및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제 1 공간 태그 및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server managing the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includes a projection unit that projects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onto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areas, and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cility from the projected design drawing on the work area. Second, by setting at least a part of a plurality of sub-areas as a facility area of at least one facility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facility information, and setting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as a service area of at least one facility. A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spatial information, a spatial tag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first space tag for a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a service area, and maps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to the space information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providing a service for a service area based on space information, a basic tag of a facility, a first space tag, and a second space tag.

Description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the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건물의 자동 제어는 건물의 설비(예컨대, 열원 설비, 공조 설비 등)와 센서 기반의 관제 제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Automatic control of the building is performed based on building facilities (eg, heat source facilities, air conditioning facilities, etc.) and sensor-based control.

건물의 자동 제어의 구동 중에 건물의 설비와 관제점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If a situation arises in which the building's equipment and control points are not properly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buil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설비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설계 도면이 필요하지만, 동일 건물 내에서도 공간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공간에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is required, bu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re the facility is installed because the space is made up of various forms even within the same building.

한편, 종래에는 건물의 각 층에 속한 구역(Zone)을 나누어 건물의 공간을 분류 및 표현하였다. 예를 들어, 1층 A-Zone, 1층 B-Zone, 2층 A-Zone, 2층 B-Zone과 같은 방식으로 공간을 구분하였다. Meanwhile, conventionally, the space of a building has been classified and expressed by dividing zones belonging to each floor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spaces are divided in the same way as 1st floor A-Zone, 1st floor B-Zone, 2nd floor A-Zone, and 2nd floor B-Zone.

만일, 1층의 A-Zone과 2층의 A-Zone이 동일한 크기가 아니고 위치도 동일하지 않다면, 설계 도면에서 A-Zone을 구분하기가 쉽지가 않고, 심지어 건물까지 다른 경우, 더욱 파악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If the A-Zone on the 1st floor and the A-Zone on the 2nd floor are not the same size and location,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A-Zone in the design drawing, and even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if the buildings are different. can only

따라서, 종래의 건물 공간의 표현 방식으로는 건물의 설비 및 관제점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대응하기 어렵다.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identify and respond to an abnormality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 building facility and a control point in a conventional building space expression metho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46333호 (2014.04.18.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46333 (published on April 18, 201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을 통해 투영된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일부를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하여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extracts facility information from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projected through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areas, and extracts a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extracted facility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is created by setting some of the sub-areas as facilities and service areas of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은 공간 정보에 설정된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하여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한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pace tag for each of the facility area and service area of the facility set in the spatial information, and creates a space tag for each of the space information, the basic tag of the facility, and the facility area and service area of the facility. We want to provide services for the service area.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투영부;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정보 생성부;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공간 태그 생성부; 및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설비의 기본 태그,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server for managing the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s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onto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areas. wealth; an extraction unit extracting at least one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design drawing projected onto the work area;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facility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service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spatial information by setting to ; a space tag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and mapping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to the space information; and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based on the space information, the basic tag of the facility,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건물 관리 서버를 통해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설비의 기본 태그,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managing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through a build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jecting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onto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areas; extract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facility from the design drawing projected onto the work area;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facility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service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generating spatial information by setting to; generating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ies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mapping the first spatial tag and the second spatial tag to the spatial information; and providing a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based on the space information, the basic tag of the facility,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고,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고,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설비의 기본 태그,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contain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managing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the building is designed on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areas. A drawing is projecte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cility is extracted from the design drawing projected on the work area,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lected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etting a facility area of equipment of a facility and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as a service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and a service area for the service area are generated. create a second spatial tag, map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tial tag to the spatial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a basic tag of the facility,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tial tag; and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providing a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is on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을 통해 투영된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일부를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하여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facility information from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projected through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areas, and based on the extracted facility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may be created by sett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as facility areas and service areas of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은 공간 정보에 설정된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하여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한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pace tag for each of the facility area and service area of the facility set in the spatial information, and creates a space tag for each of the space information, the basic tag of the facility, and the facility area and service area of the facility. Services for service areas can be provided.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건물의 공간을 정형화하여 표현함으로써 설비의 설치 공간 및 설비의 이상 여부를 보다 빠르게 감시 및 파악할 수 있고, 이상 상황 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quickly monitor and grasp the installation space of facilities and whether or not there are abnormalities in the facilities by expressing the space of the building in a standardized way, and can easily cope with abnormal situations.

또한, 본 발명은 설비 및 공간을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 각각에 대한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설비의 설치 위치, 설비의 서비스 영역 및 설비의 관제점의 파악이 용이하고, 정보를 쉽게 분류 및 조회할 수 있고, 설비 제어에 대한 접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facilities and spaces based on space information, basic tags of facilities, and space tags for each of the facility area and service area of facilitie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facilities, service areas of facilities, and control points of facilities are It is easy to understand, information can be easily classified and searched, and the efficiency of access to facility control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uild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E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aging a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pati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rver.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configuration diagram or process flow ch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서버(10)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관리 서버(10)는 투영부(100), 추출부(110), 공간 정보 생성부(120), 공간 태그 생성부(130), 서비스 제공부(140), 설비 태그 추출부(150) 및 태그 선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건물 관리 서버(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 , the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 projection unit 100, an extraction unit 110, a space information generator 120, a space tag generator 130, a service provider 140, and a facility tag. An extraction unit 150 and a tag selection unit 160 may be included. However, the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shown in FIG. 1 is only one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2e를 함께 참조하여 도 1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E.

투영부(100)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 영역은 건물의 설계 도면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건물의 평면(예컨대, 가상의 건물 바닥)을 가상으로 표현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작업 영역은 각 서브 영역 및 이들마다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기초하여 설비에 대한 설치 영역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공간 태그를 일률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2a 내지 2b를 함께 참조하면, 작업 영역(20)은 복수의 서브 영역은 건물의 공간 별 표기를 위한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5*5의 그리드 형태로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ojection unit 100 may project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onto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Here, a unique identifier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Here, the work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a plane of a building (eg, a virtual building floor) is virtually represented in order to divide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This work area is necessary to uniformly generate space tags for installation areas and service areas for facilities based on each sub-area and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each sub-area.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ogether, the work area 20 is an area for marking each space of a building, an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 areas in the form of a 5*5 grid, for example. .

투영부(100)는 건물의 층별마다 작성되어 있는 설비 및 공조 도면(22)을 작업 영역(20)에 투영시킬 수 있다. The projection unit 100 may project the facility and air conditioning drawings 22 prepar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onto the work area 20 .

예를 들어, 캐드 파일(예컨대, DWG 파일) 형식의 설계 도면의 이미지 파일이 있는 경우, 투영부(100)는 해당 설계 도면의 이미지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해당 설계 도면의 이미지 파일을 작업 영역(20)에 투영시킬 수 있다. 만일, 설계 도면의 이미지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예컨대,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된 건물의 실내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an image file of a design drawing in a CAD file (eg, DWG file) format, the projection unit 100 acquires the image file of the design drawing from the database, and stores the image file of the design drawing in the work area. (20) can be projected. If the image file of the design drawing cannot be obtained from the database, an indoor image of a building photographed by an image capturing device (eg, a camera) may be used.

추출부(110)는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설비 및 공조 도면(2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의 정보는 설비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유형(신호 타입), 설비에서 제어되는 제어 대상에 대한 관제점 정보 및 설비 식별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unit 110 may extract at least one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facility and air conditioning drawing 22 projected onto the work area. 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ype of data (signal type) processed by the facility, control point information on a control target controlled by the facility, and information on a facility identifier.

추출부(110)는 기설정된 태그 형태의 태그 사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키고, 기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기초하여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태그 형태의 태그 사전은 현장으로부터 수집된 설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태그 형태는 예를 들어, [Type_관제점_N(*)_설비_N(*)]의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여기서, Type은 클라우드를 통한 관제에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신호 타입에 대한 정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AI(analog input), AO(analog Output), DI(Digital Input), DO(Digital Output), VI(virtual Input), VO(virtual Outp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제점은 설비의 제어 대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온도, 상태, 기동정지, 센서 등의 영문약자로 표현될 수 있다. 설비명은 설비(예컨대, 공조기, 냉동기, 보일러 등)마다 설정된 영문 약자로 표현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110 may learn a preset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a tag dictionary of a preset tag type, and extract at least one facility information from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based on the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 In this case, the tag dictionary in the form of a preset tag may be pre-generated based on facility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eld. Also, the preset tag type may have, for example, [Type_control point_N(*)_facility_N(*)]. Here, Type represents the definition of all signal types that can be used for control through the cloud, for example, AI (analog input), AO (analog output), DI (digital input), DO (digital output), It may include VI (virtual input), VO (virtual output), and the like. A control point represents a control object of a facility, and may be expressed in English abbreviations such as, for example, temperature, status, startup/stop, sensor, and the like. Facility names may be expressed in English abbreviations set for each facility (eg, an air conditioner, a refrigerator, a boiler, etc.).

추출부(110)는 기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장비명,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치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설비는 공조 설비(예컨대, 공조기, 덕트 등)일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110 may extract an equipment name of at least one facility, an installation area of at least one facility, and a service area controlled by at least one facility from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have. For example, at least one facility may be an air conditioning facility (eg, air conditioner, duct, etc.).

예를 들어, 추출부(110)는 기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통해 건물의 설계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설비 형태 및 텍스트를 추출하여 설비의 설치 영역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xtractor 11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area and service area of the facility by extracting the facility shape and text described in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hrough the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설비 태그 추출부(150)는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기본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 태그 추출부(150)는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제 1 설비의 정보('AHU_1')가 추출되면, 설비 태그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AHU_1'을 포함하는 제 1 설비의 기본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설비 태그 데이터 베이스에는 설비 별로 설비의 기본 태그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다. The facility tag extraction unit 150 includes at least a first element related to a signal type, a second element related to a control point, and a third element related to a facility name based on at least one facility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You can extract the default tag of one facility. For example, when first facility information ('AHU_1') is extracted from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the facility tag extraction unit 150 extracts the basic tag of the first facility including 'AHU_1' from the facility tag database. can do. Basic tags of each facility are mapped and stored in the facility tag database.

공간 정보 생성부(120)는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sets at least a part of a plurality of sub-areas as a facility area of at least one facility based 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cility extracted from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and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Spatial information can be created by setting as a service area of at least one facility.

공간 정보 생성부(120)는 공간 정보에서 설비 영역으로 설정된 일부 영역을 제 1 색으로 표시하고(도 2c 참조), 공간 정보에서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된 일부 영역을 제 2 색으로 표시하여 형상화할 수 있다(도 2d 참조). The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display a partial area set as a facility area in the spatial information in a first color (see FIG. 2C ) and display a partial area set as a service area in the spatial information in a second color to shape the shape. (See Fig. 2d).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서비스 영역 및 설비 영역으로 설정된 서브 영역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기초하여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based on the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service area and the sub-area set as the facility area.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설비 영역(제 1 색으로 표시됨)으로 설정된 서브 영역에 기부여된 고유 식별자 및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을 선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 각각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 및 아래 방향으로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설비 영역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을 향하는 대각선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대표 고유 서브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first space for a facility area based on a unique identifier contributed to a sub area set as a facility area (indicated in a first color) in spac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sub areas included in the facility area. tags can be created. For example,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selects at least one representative sub-region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facility region in the right direction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representative sub-region and facilities in the downward direction. A first space tag for a facility are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number of sub areas included in the area. Here,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may select at least one sub-region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upper left corner to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facility region as the representative unique sub-region.

도 2c를 참조하면, 제 2 설비(제 2 설비의 설비명은 AHU_4)가 위치한 설비 영역이 제 1 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해당 설비 영역의 좌측 상단의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가 알파벳 J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1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설비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1인 경우,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제 2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를 'J11'로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C, the facility area where the second facility (the facility name of the second facility is AHU_4) is displayed in the first color,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representative sub-area at the upper left of the facility area is the letter J, and the When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facility area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representative sub-region is 1 and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facility area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representative sub-region is 1, the space tag generator 130 The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of the second facility can be created as 'J11'.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서비스 영역(제 2 색으로 표시됨)으로 설정된 서브 영역에 기부여된 고유 식별자 및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을 선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 각각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 및 아래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서비스 영역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을 향하는 대각선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대표 고유 서브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second space for the service area based on the number of sub areas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and the unique identifier contributed to the sub area set as the service area (indicated by the second color) in the space information. tags can be created. For example,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selects at least one representative sub-region from spatial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service region in the right direction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representative sub-region and the service area in the downward direction. A second space tag for a service are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number of sub areas included in the area. Here,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may select at least one sub-region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upper left corner to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service region as the representative unique sub-region.

도 2d를 참조하면, 제 3 설비(제 3 설비의 설비명은 FCU_10)를 통해 제어되고 있는 서비스 영역이 제 2 색으로 표시되고, 해당 서비스 영역의 좌측 상단의 제 1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가 A이고, 제 1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4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3이고, 제 1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제 2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가 G이고, 제 2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3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2이고, 제 2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제 3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가 M이고, 제 3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1이고, 해당 대표 서브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의 개수가 1인 경우,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제 3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A43G32M11'로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D, a service area controlled by a third facility (facility name of the third facility is FCU_10) is displayed in a second color,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first representative sub-area at the top left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is A. ,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first representative subregion is 4,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corresponding representative subregion is 3, and the first representative subregion i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econd representative subregion diagonally from is G,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second representative subregion is 3, and the service area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representative subregion. The number of included subregions is 2,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third representative subregion diagonally from the second representative subregion is M, and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from the third representative subregion to the right is is 1, and the number of sub areas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corresponding representative sub area is 1, the space tag generator 130 sets the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of the third facility to 'A43G32M11'. can be created with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공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may map a first space tag for a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a service area to space information.

도 2c 및 2d를 함께 참조하면,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제 2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J11')를 공간 정보에 매핑하고, 제 3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A43G32M11')를 공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C and 2D together,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maps the first space tag 'J11' for the facility area of the second facility to space information, and maps the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of the third facility. 2 A spatial tag ('A43G32M11') can be mapped to spatial information.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 및 서비스 영역에 설비의 기본 태그를 추가로 매핑할 수 있다. 도 2d 및 도 2e를 함께 참조하면, 공간 태그 생성부(130)는 제 3 설비의 기본 태그('AI_TRM_1_FCU_10', 'AI_TRM_2_FCU_10', 'AI_TRM_3_FCU_10')를 제 3 설비에 의해 제어되는 서비스 영역에 매핑할 수 있다. The spatial tag generator 130 may additionally map a basic tag of a facility to a facility area and a service area of at least one facility included in spatial information. Referring to FIGS. 2D and 2E together,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maps basic tags ('AI_TRM_1_FCU_10', 'AI_TRM_2_FCU_10', 'AI_TRM_3_FCU_10') of the third facility to a service area controlled by the third facility. can

태그 선택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기본 태그에 포함된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 및 매핑하여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ag selector 160 selects at least one of a first element related to a signal type included in a basic tag of at least one facility, a second element related to a control point, and a third element related to a facility name, and a first element related to a facility area. A sub tag may be created by combining and mapping at least one of the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예를 들어, 도 2c를 참조하면, 태그 선택부(160)는 제 2 설비의 기본 태그에 해당하는 'DI_OSF_1_AHU_1'(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가 'DI(Digital Input)'이고, 제 2 설비의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가 'OSF_1'이고, 제 2 설비의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가 'AHU_1')와 공간 정보에서의 제 2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에 해당하는 'J11'을 매핑하여 제 1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1 서브 태그(DI_OSF_1_AHU_1_J11)를 통해 제 2 설비의 운전형태 및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C , the tag selection unit 160 is 'DI_OSF_1_AHU_1' corresponding to the basic tag of the second facility (the first element related to the signal type is 'DI (Digital Input)', and the second facility 'OSF_1' is the 2nd element related to the control point of the 2nd facility, 'AHU_1' is the 3rd element related to the equipment name of the 2nd facility) and 'corresponds to the 1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of the 2nd facility in spatial information' The first sub tag can be created by mapping J11'. At this time, the operation type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cond facility can be grasped through the generated first sub tag (DI_OSF_1_AHU_1_J11).

태그 선택부(160)는 제 2 설비의 기본 태그(DI_OSF_1_AHU_1)에서 선택된 제 2 설비의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에 해당하는 'AHU_1'와 공간 정보에서의 제 2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에 해당하는 'J11'을 매핑하여 제 2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2 서브 태그(AHU_1_J11)를 통해 제 2 설비의 교체 및 수리를 위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The tag selector 160 selects 'AHU_1' corresponding to the third element of the facility name of the second facility selected from the basic tag of the second facility (DI_OSF_1_AHU_1) and the first space for the facility area of the second facility in space information. The second sub tag can be created by mapping 'J11' corresponding to the tag. At this time, the location for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second facility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generated second sub tag (AHU_1_J11).

예를 들어, 2d를 참조하면, 태그 선택부(160)는 제 3 설비의 기본 태그에 해당하는 'DI_OSF_1_FCU_10'(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가 'DI(Digital Input)'이고, 제 2 설비의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가 'OSF_1'이고, 제 2 설비의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가 'FCU_10')와 공간 정보에서의 제 3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에 해당하는 'A43G32M11'을 매핑하여 제 3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3 서브 태그(DI_OSF_1_FCU_10_A43G32M11)를 통해 제 3 설비의 운전형태 및 서비스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2d, the tag selection unit 160 is 'DI_OSF_1_FCU_10' corresponding to the basic tag of the third facility (the first element related to the signal type is 'DI (Digital Input)', and the second facility The second element for the control point is 'OSF_1', the third element for the facility name of the second facility is 'FCU_10') and 'A43G32M1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of the third facility in spatial information. ' can be mapped to create a third sub tag. At this time, the operation type and service location of the third facility can be grasped through the generated third sub tag (DI_OSF_1_FCU_10_A43G32M11).

태그 선택부(160)는 제 3 설비의 기본 태그(DI_OSF_1_FCU_10)에서 선택된 제 3 설비의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에 해당하는 'FCU_10'와 공간 정보에서의 제 3 설비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에 해당하는 'A43G32M11'을 매핑하여 제 4 서브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2 서브 태그(FCU_10_A43G32M11)를 통해 제 3 설비가 담당하는 서비스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The tag selector 160 selects 'FCU_10' corresponding to the third element of the equipment name of the third facility selected from the basic tag (DI_OSF_1_FCU_10) of the third facility and the second space for the service area of the third facility in space information. A fourth sub tag can be created by mapping 'A43G32M11' corresponding to the tag.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service in charge of the third facility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generated second sub tag (FCU_10_A43G32M11).

서비스 제공부(140)는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a service for a service area based on space information, a basic tag of a facility, a first space tag for a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a service area.

예를 들어, 도 4a 내지 4b를 함께 참조하면, 건물의 공간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통해 건물 관리자가 공간 별 쾌적도 정보(40)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공간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한 공간 환경(쾌적도, 온도, 습도)에 대한 평가 정보(401) 및 공간명(403)과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설비가 서비스되고 있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태그 정보(405)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4A and 4B together, when a building manager selects comfort level information 40 for each space through a space service providing site of a building, the service providing unit 140 selects a plurality of spaces through a space service providing site. Provides evaluation information (401) and space name (403) on the space environment (comfort level, temperature, humidity) for each space of the room and tag information (405) on the service area where facilities controlling the indoor environment are being serviced. can do.

건물의 공간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통해 건물 관리자가 리스크 공간에 대한 정보(42)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건물에서 현재 운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공간(즉,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building manager selects the information 42 on the risk space through the space service provision site of the building, the service provider 140 provides a space in the building where management is not currently performed (ie, a space where a problem may occur). ) can provide information on

또한, 서비스 제공부(140)는 건물의 공간 별 운영의 정도를 등급화(예컨대, 크리티컬 공간, 메이저 공간 등)하여 제공함으로써 공간 제어에 대한 이상 상황이 설비의 문제인지, 공간의 문제(예컨대, 창문이 열려 있는지 등)인지를 이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설비의 문제인 경우로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설비의 설치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를 공간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표시하거나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설비가 설치된 공간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공간의 문제인 경우로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건물 관리자 또는 해당 공간의 관리자의 단말에게 해당 공간을 확인 요청하도록 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140 classifies and provides the level of operation for each space of the building (eg, critical space, major space, etc.) to determine whether the abnormal situation for space control is a problem of facilities or a problem of space (eg, Whether a window is open, etc.) can be provided as an ev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blem is a facility problem, the service provider 140 displays the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installation area on the space service providing site or sends it to the manager's terminal, requesting the manager to confirm the space where the facility is installed. message can be provid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blem is the space, the service provider 140 may transmit an event message requesting confi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pace to the terminal of the building manager or the manager of the corresponding space.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140)는 관리자가 건물의 복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관심 구역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공간에 대한 공간 태그와 공간에 설치된 설비의 기본 태그를 결합함으로써 설정된 공간에 대하여 최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manager sets any one space among a plurality of spaces of a building as an area of interest, the service provider 140 combines a space tag for the set space with a basic tag of a facility installed in the space, thereby providing the set space. Optimum control can be performed for

서비스 제공부(140)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a service for a sub area corresponding to a sub tag among a plurality of sub areas.

예를 들어, 4c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설비 별로 서비스되고 있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40)는 복수의 서브 영역에 대하여 생성된 복수의 서브 태그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서의 설비의 운전 현황 정보를 시간별 또는 일별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4c, the service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facilities for service areas being serviced for each facility. The service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facilities in a sub-region corresponding to a sub-tag selected by a manager among a plurality of sub-tags generated for a plurality of sub-regions hourly or daily.

예를 들어, 도 4d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부(140)는 복수의 서브 태그 중 공간 온도를 제어하는 설비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서비스 영역 및 해당 설비의 관제점(예컨대, 온도)에 대한 서브 태그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입력된 서브 태그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서비스 영역들 간의 온도 정보(공간의 실내 온도 정보)를 시간별 또는 일별로 비교하여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D , the service providing unit 140 is a sub tag for a service area being serviced through a facility controlling space temperature among a plurality of sub tags and a control point (eg, temperature)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When is input from the manager, temperature information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ace) between service areas filtered based on the input sub tag may be compared hourly or daily and provided.

한편, 당업자라면, 투영부(100), 추출부(110), 공간 정보 생성부(120), 공간 태그 생성부(130), 서비스 제공부(140), 설비 태그 추출부(150) 및 태그 선택부(1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Meanwhi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the projection unit 100, the extraction unit 110, the spati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130, the service provider 140, the facility tag extraction unit 150, and tag selection. It will be fully understood that each of the units 160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one or more of them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pace and facilities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in step S301, the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may project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onto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단계 S303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In step S303, the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may extrac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cility from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projected on the work area.

단계 S305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S305, the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sets at least a part of a plurality of sub-areas as a facility area of at least one facility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facility information, and sets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as at least one facility area. Spatial information can be created by setting it to the service area of the facility of

단계 S307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S307, the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may generate a first space tag for a facility area of at least one extracted facility and a second space tag for a service area.

단계 S309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공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In step S309, the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may map a first space tag for a facility area of at least one facility and a second space tag for a service area to spatial information.

단계 S311에서 건물 관리 서버(10)는 공간 정보, 설비의 기본 태그, 설비의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S311, the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 may provide a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based on the space information, the basic tag of the facility, the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of the facility, and the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1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301 to S311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건물 관리 서버
100: 투영부
110: 추출부
120: 공간 정보 생성부
130: 공간 태그 생성부
140: 서비스 제공부
150: 설비 태그 추출부
160: 태그 선택부
10: building management server
100: projection unit
110: extraction unit
120: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space tag generation unit
140: service provider
150: facility tag extraction unit
160: tag selection unit

Claims (15)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투영부;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정보 생성부;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공간 태그 생성부; 및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설비의 기본 태그,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공간 태그 생성부는 상기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된 복수의 서브 영역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것인, 서버.
In the server that manages the space and facilities of the building,
a projection unit projecting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onto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an extraction unit extracting at least one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design drawing projected onto the work area;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facility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service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spatial information by setting to ;
a space tag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and mapping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to the space information; and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based on the space information, the basic tag of the facility,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the space tag generator generates the second space tag based on a unique identifier of at least one representative sub-region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ub-regions set as the service region and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service region;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정보는 설비의 유형, 관제점 및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상기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 태그를 추출하는 설비 태그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facility type, a control point, and an identifier;
and a facility tag extraction unit extracting the basic tag including a first element related to a signal type, a second element related to the control point, and a third element related to a facility name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태그 생성부는 상기 설비 영역으로 설정된 서브 영역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pace tag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first space tag based on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sub area set as the facilit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설비 영역을 제 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서비스 영역을 제 2 색으로 표시하여 형상화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of claim 1 , wherein the space information generator displays the facility area in a first color and the service area in a second color to form a sha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장비명,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치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을 추출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xtraction unit extracts a device name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 installation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a service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from the design drawing based on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상기 제 2 요소 및 상기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태그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2,
and a tag selection unit generating a sub tag by mapp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element, the second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6,
The service provider
and providing a service for a subregion corresponding to the subtag among the plurality of subregions.
건물 관리 서버를 통해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는 단계;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설비의 기본 태그,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된 복수의 서브 영역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관리 방법.
In the method for managing space and equipment of a building through a building management server,
projecting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onto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extract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facility from the design drawing projected onto the work area;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facility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service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generating spatial information by setting to;
generating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ies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mapping the first spatial tag and the second spatial tag to the spatial information; and
providing a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a basic tag of the facility, the first spatial tag, and the second spatial tag;
A unique identifier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Generating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includes a unique identifier of at least one representative sub-area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ub-areas set as the service area and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and generating the second space tags based on the number of sub-area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정보는 설비의 유형, 관제점 및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타입에 관한 제 1 요소, 상기 관제점에 관한 제 2 요소 및 설비명에 관한 제 3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facility type, a control point, and an identifier;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extracting the basic tag including a first element related to a signal type, a second element related to the control point, and a third element related to a facility name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 영역으로 설정된 서브 영역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8,
Generating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and generating the first space tag based on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sub-area set as the facility are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 영역을 제 1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서비스 영역을 제 2 색으로 표시하여 형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building management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space information includes displaying the facility area in a first color and displaying the service area in a second color to shape the spa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장비명,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치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9,
Extrac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acility from the design drawing may include the equipment name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 installation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the at least one facility from the design drawing based on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A building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extracting a service area of a facilit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상기 제 2 요소 및 상기 제 3 요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서브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9,
and generating a sub tag by mapp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element, the second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management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서브 태그에 해당하는 서브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building management method of claim 1, wherein providing a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includes providing a service for a sub area corresponding to the sub tag among the plurality of sub areas.
건물의 공간 및 설비를 관리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 작업 영역 상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투영시키고,
상기 작업 영역 상에 투영된 상기 설계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 영역에 대한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상기 공간 정보에 매핑하고,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설비의 기본 태그, 상기 제 1 공간 태그 및 상기 제 2 공간 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된 복수의 서브 영역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서브 영역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서브 영역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공간 태그를 생성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contain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managing the space and equipment of a building,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Projecting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on a work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Extract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facility from the design drawing projected on the work area;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facility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and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areas is set as a service area of the at least one facility. By setting to generate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a first space tag for the facility area and a second space tag for the service area, and mapping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to the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a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based on the space information, a basic tag of the facility, the first space tag, and the second space tag;
A unique identifier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and the number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service region is determined based on a unique identifier of at least one representative sub-region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ub-regions set as the service region. 2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compris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that creates a spatial tag.
KR1020190143487A 2019-11-11 2019-11-11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KR102472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87A KR102472307B1 (en) 2019-11-11 2019-11-11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KR1020220159903A KR102563525B1 (en) 2019-11-11 2022-11-25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87A KR102472307B1 (en) 2019-11-11 2019-11-11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903A Division KR102563525B1 (en) 2019-11-11 2022-11-25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717A KR20210056717A (en) 2021-05-20
KR102472307B1 true KR102472307B1 (en) 2022-11-30

Family

ID=761431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487A KR102472307B1 (en) 2019-11-11 2019-11-11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KR1020220159903A KR102563525B1 (en) 2019-11-11 2022-11-25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903A KR102563525B1 (en) 2019-11-11 2022-11-25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23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8502A1 (en) * 2022-05-09 2023-11-16 スパイダープラス株式会社 Detailed view cut-out system, detailed view cut-out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84708A1 (en) 2016-05-25 2018-10-04 Kabushiki Kaisha Toshiba Energy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device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937203B1 (en) 2012-02-22 201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333A (en) 2012-10-10 2014-04-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drawing
KR20140104284A (en)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Building energy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759593B1 (en) * 2014-10-10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Central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203B1 (en) 2012-02-22 201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20180284708A1 (en) 2016-05-25 2018-10-04 Kabushiki Kaisha Toshiba Energy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device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717A (en) 2021-05-20
KR102563525B1 (en) 2023-08-04
KR20220166221A (en)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1676A1 (en) Hvac system configuration and zone management
US201802185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targets in a building
US8830267B2 (en) Augmented reality building operations tool
US202102001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multiple bim files in a single interface
EP2713115B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KR102563525B1 (e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zones and facilities in building
CN101589351A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facilitating user customization
JP6542445B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635873B2 (en) Engineering apparatus and point information creation method
KR102488963B1 (en)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sites based on 360 degree omnidirectional image
US20230014504A1 (en) Railway management system with data repository
US20170090492A1 (en) Automated engineering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s
CN112204559B (en) Measurement and control design auxiliary device
JP7481920B2 (en) Store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WO2017072817A1 (en) Operation control model generator, operation control model gen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Wollschlaeger et al. Navigating the Jungle of Assistance Systems: A Comparison of Standards for Assistance Functionality.
US9769036B1 (en) Port assignment of network devices reference and management
Su et al. Fault-detection through integrating real-time sensor data into BIM
US20170316596A1 (en) Data visualization
JP6917750B2 (en) Facility management device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JP7330425B1 (en) Program, Monitoring Screen Creation Support Device, Monitoring Screen Creation Support System, and Monitoring Screen Creation Support Method
KR102580969B1 (e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energy of building
JP2008033796A (en) Ventilation equipment plan creating system
CN102759886A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nvenient for user customization
KR102657573B1 (en) Intelligent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video and thermal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