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285B1 -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285B1
KR102472285B1 KR1020210017209A KR20210017209A KR102472285B1 KR 102472285 B1 KR102472285 B1 KR 102472285B1 KR 1020210017209 A KR1020210017209 A KR 1020210017209A KR 20210017209 A KR20210017209 A KR 20210017209A KR 102472285 B1 KR102472285 B1 KR 10247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information
vehicle
parking area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118A (ko
Inventor
장성진
이동진
이지원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28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정보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 주차구역에 비장애인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장애인 주차구역이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해 만들어진 주차장 내의 구역으로서, 주차된 차에 보행상장애가 있는 자가 탑승한 경우만 주차할 수 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통행이 쉽게 주차공간이 넓고 입구와 가까운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현행법상 장애인 주차구역에 장애인 표시없는 차량이 주차된 경우, 해당 차량에는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이때 장애인이란, 보행 장애인을 의미하며 국가기관으로부터 장애인 자동차 표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이 허여된 자를 의미할 수 있다. 현행법상 장애인 자동차 표시가 표시된 차량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사용할 수 있고, 일반 차량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사용할 수 없다.
최근 들어 장애인의 권익보호가 요구됨에 따라 건물, 화장실, 엘리베이터, 계단, 보도 등 다양한 장소에 장애인에 대한 복지시설이 확충되고 있으며, 주차장의 경우에도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경우에는 해당 주차구역의 바닥면에 장애인 로고 등의 식별 표지가 도색 등을 통해 그려짐에 따라 해당 주차구역이 장애인 소유의 차량만 주차할 수 있는 구역임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차량으로 인한 주차문제로 인해 일부 비도덕적인 일반인 운전자들이 해당 주차구역이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임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일이 종종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불법주차를 단속하기 위해 많은 단속인력이 투입되고는 있으나, 전국적으로 무수히 많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모두 감시하여 불법주차 차량을 적발하기에는 여건상 많은 어려움이 있는 바, 실제 장애인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의 불법주차로 인해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이용할 수 없어 그 권익이 침해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896호 (공개일자: 2011년 05월 1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통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을 상시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장애인 주차구역을 단속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한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장애인 주차구역을 단속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정보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광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측벽에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관통홀에 설치된 렌즈 및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장애인 차량의 리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부착된 표식을 추출하고, 상기 부착된 표식을 기초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정보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차구역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을 상시 촬영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비장애인 차량을 효과적으로 단속하여 비용과 시간을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오염물질에 강한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를 통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을 상시 촬영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오류를 줄이고 단속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된 차량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본체부(131), 카메라(132), 알림부(133) 및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구역은 장애인 주차구역(A1) 및 그 외 주차구역(A2)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32)는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32)는 주차구역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32)는 본체부(131)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체부(131)는 카메라(132)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을 내부에 포함하고, 배선 연결을 통하여 카메라(132)에 전력을 공급하며, 통신을 위한 장치들을 내부에 포함하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체부(131)는 알림부(133)에 전력을 공급하고 알림부(133)를 제어하여 외부에 미리 정해진 표현(색상, 소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130)는 본체부(131) 내부의 통신을 위한 장치들과 통신하며, 카메라(132)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30)는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고 학습된 결과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 속 차량(V1)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30)는 카메라(132)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장애인 주차 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상태 정보는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V1)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주차된 차량(V1)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상태 정보는 비전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비전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주차구역에 차량(V1)이 주차되었는지에 대한 제1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는 주차구역에 특정 표지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주차구역에 표시된 특정 표지가 차량(V1)에 의하여 가려지는 등 인식되지 않는 경우, 현재 주차구역에는 주차된 차량(V1)이 존재한다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13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주차 방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방해 정보는 장애인 주차구역에 차량의 주차를 방해할만한 다른 물건이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값에 기초하여 주차 방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30)는 주차 방해 정보를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된 차량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제2 정보는 주차된 차량(V1)이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식은 차량(V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식은 차량(V1)의 앞 유리 및/또는 뒷 유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식은 카메라(132)로부터 생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정보는 주차된 차량(V1)의 번호판에 기재된 차량 번호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장애인 차량을 정리한 리스트는 서버(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버(130)는 상기 리스트와 상기 차량 번호를 대조하고, 일치하는 경우 주차된 차량(V1)을 장애인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서버(130)는 상기 리스트와 상기 차량 번호를 대조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주차된 차량(V1)을 장애인 차량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비장애인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경우, 서버(13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주차된 차량(V1)의 차량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량 번호를 기초로 불법 차량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불법 차량 리스트는 별도의 외부 서버(경찰 서버 등)에 전송될 수 있다.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비장애인 차량의 차량 번호가 이미 불법 차량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 서버(130)는 불법 차량 리스트에 등재된 횟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횟수를 함께 별도의 외부 서버(경찰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30)는 프로세서(1301), 메모리(1302) 및 통신 모듈(130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메모리(1302)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통신 모듈(130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32) 및/또는 본체부(131)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프로세서(1301)는 통신 모듈(1303)을 통하여 카메라(13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메모리(1302)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2)에 저장된 명령어는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로서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302)는 서버(13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2)는 서버(13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13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302)에 저장되고, 서버(130)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301)에 의하여 상기 서버(13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130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2)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303)은 카메라(132) 및/또는 본체부(131)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통신 모듈(1303)은 카메라(132)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132) 및/또는 본체부(131)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03)의 경우,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 또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서버(130)와 정보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통신 모듈(1303)은 변조부, 복조부, 신호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통신사들이 기존에 설치해둔 통신 시설과 그 통신 시설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망을 사용한 통신을 말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303)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통신 모듈(1303)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상용화 중인 5G 통신 뿐만 아니라, 추후 상용화가 예정되어 있는 6G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구애됨이 없이 기설치된 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연산을 수행하고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주로, 중앙 연산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그래픽스 처리 장치(GPU)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CPU, AP 또는 GPU는 그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CPU, AP 또는 GPU는 작동 전압과 클락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다만, CPU 또는 AP는 직렬 처리에 최적화된 몇 개의 코어로 구성된 반면, GPU는 병렬 처리용으로 설계된 수 천 개의 보다 소형이고 효율적인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302)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카메라(132)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는 비전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전 인식 알고리즘은 종래에 알려진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메라(132)는 카메라 모듈(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20)은 광 이미지로부터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20)은 측벽에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관통홀에 설치된 렌즈(1321) 및 렌즈(1321)를 구동하는 구동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렌즈(1321)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321)는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1323)는 렌즈(132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렌즈(1321)와 구동부(1323)는 종래 알려진 방식으로 연결되고 렌즈(1321)는 종래 알려진 방식으로 구동부(132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영상 이미지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렌즈(1321)가 카메라 모듈(1320) 또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32)는 제1 지역(A1)을 직접 촬영해야 하므로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내오염성이 강한 렌즈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렌즈를 코팅하는 코팅층을 제안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1321)는 그 표면에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가 포함되는 코팅조성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15540114-pat00001
여기서,
n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L1은 바이페닐렌기이다.
상기 코팅조성물로 렌즈(1321)가 코팅된 경우 우수한 발수성 및 내오염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렌즈(1321)가 오염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도로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은 70 내지 10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입자는 렌즈(1321) 표면에 코팅층(1322)으로 형성 후, 물리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고, 점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켜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로는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분산안정제로서 TEGO-Disperse 670 (제조사: EVONIK)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분산제는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1322)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무기 입자 20 내지 4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1321)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1322)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1322)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무기입자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15540114-pat00002
여기서,
n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L1은 바이페닐렌기이다.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아크릴계 화합물 30 40 50 60 70
무기입자 10 20 30 40 50
분산제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렌즈(1321)의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1322)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1322)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1322)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Х Х
코팅층(1322)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1321)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1322)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1322)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발수각의 측정
상기 렌즈(1321) 표면에 코팅층(1322)을 형성한 이후, 발수각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전진 접촉각 (
Figure 112021015540114-pat00003
Figure 112021015540114-pat00004
)
정지 접촉각 (
Figure 112021015540114-pat00005
Figure 112021015540114-pat00006
)
후진 접촉각 (
Figure 112021015540114-pat00007
Figure 112021015540114-pat00008
)
TX1 117.1±2.9 112.1±4.1 < 10
TX2 132.4±1.5 131.5±2.7 141.7±3.4
TX3 138.9±3.0 138.9±2.7 139.8±3.7
TX4 136.9±2.0 135.6±2.6 140.4±3.4
TX5 116.9±0.7 115.4±3.0 < 1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1322)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X1 및 TX5는 후진 접촉각이 10도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즉,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물방울이 피닝(Pinning)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TX2 내지 4에서는 피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내오염성 평가
설비 외부에 상기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1322)을 형성한 렌즈(1321)를 모형카메라에 부착하고, 4일 간 일반도로 주행 환경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비교예(Con)로는 코팅층(1322)이 형성되지 않은 동일한 렌즈(1321)를 사용하였으며, 각 실시예에 모형카메라는 차량의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였다.
그 뒤 실험 전후의 렌즈(1321)의 오염 정도를 유관으로 평가하였고,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코팅층(1322)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낮을수록 내오염성이 우수한 것이다.
Con TX1 TX2 TX3 TX4 TX5
내오염성 10 7 3 3 3 8
(단위: 지수)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렌즈(1321)에 코팅층(1322)을 형성하는 경우 외부 환경에 카메라를 설치하면서 렌즈(13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도 높은 내오염성을 오랜 기간 분석하기 용이한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TX2 내지 TX4에 의하는 경우 코팅층(1322)에 의한 내오염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단속 방법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100),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0) 및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상태 정보는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속 정보는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속 방법에 대한 내용 중 상술한 단속 시스템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모델링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30: 서버
131: 본체부
132: 카메라
133: 알림부
V1: 주차된 차량

Claims (7)

  1.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정보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카메라는,
    광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측벽에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관통홀에 설치된 렌즈; 및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표면이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무기 입자 20 내지 4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로 코팅된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화학식 1]
    Figure 112022072651436-pat00014

    (여기서, n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L1은 바이페닐렌기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애인 차량의 리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부착된 표식을 추출하고, 상기 부착된 표식을 기초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17209A 2021-02-08 2021-02-08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247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09A KR102472285B1 (ko) 2021-02-08 2021-02-08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09A KR102472285B1 (ko) 2021-02-08 2021-02-08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18A KR20220114118A (ko) 2022-08-17
KR102472285B1 true KR102472285B1 (ko) 2022-11-29

Family

ID=8311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209A KR102472285B1 (ko) 2021-02-08 2021-02-08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2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44B1 (ko) 2007-10-29 2008-05-20 (주)고려다이나믹스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050449B1 (ko) * 2010-06-23 2011-07-1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지능형 장애인 주차면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2186974B1 (ko) * 2018-12-27 2020-12-07 주식회사 디파인 차량의 주차면 분석을 위한 지능형 cctv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378A (ko) * 1997-08-31 1999-04-06 윤종용 옥외용 감시 카메라의 전면창 세척방법
KR20060116757A (ko) * 2006-05-17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불법주정차 무인 검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04896U (ko) 2009-11-11 2011-05-18 이주현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불법주차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44B1 (ko) 2007-10-29 2008-05-20 (주)고려다이나믹스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050449B1 (ko) * 2010-06-23 2011-07-1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지능형 장애인 주차면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2186974B1 (ko) * 2018-12-27 2020-12-07 주식회사 디파인 차량의 주차면 분석을 위한 지능형 cctv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18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3272B (zh) 区分车辆要遵循的车道标记
US20150170445A1 (en) Managing vehicle parking
WO2005041071A1 (en) Vehicle recognition using multiple metrics
CN103185723A (zh) 路面检验装置
CN111178357B (zh) 车牌识别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KR102472285B1 (ko)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CN112466154B (zh) 基于重识别技术的车辆停车方法、监控装置及可读存储介质
Dixit et al. Smart parking with computer vision and IoT technology
AU2015282375B2 (en) One-to-many-surfac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omnidirectional camera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2527689B1 (ko)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소의 전력 스케줄링 방법 및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소 시스템
US10583828B1 (en) Position determination
KR101895155B1 (ko)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96992B1 (ko) 자율주행 기반 무허가 주정차 차량 단속 시스템
CN109552319A (zh) 一种夜间智能辅助驾驶系统及方法
CN103927877B (zh) 一种机动车图像信息存储识读方法和系统
KR102536461B1 (ko)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2612189B1 (ko) 시각 장애인용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275432B1 (ko) 실시간 도로 정보 기반의 콘텐츠 수집 및 가공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및 광고 방법
CN115438368A (zh) 基于私人区域逻辑的个人可识别信息移除
KR20230105231A (ko)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7719A (ko) 안면인식 체온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체온측정방법
JP3956025B2 (ja) 移動体の識別監視装置
KR20230105217A (ko) 전광판을 이용한 과태료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98513B1 (ko) 차량 출입 관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0381B1 (ko) 인공지능 기반 선박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