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035B1 - 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 - Google Patents

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035B1
KR102472035B1 KR1020200140972A KR20200140972A KR102472035B1 KR 102472035 B1 KR102472035 B1 KR 102472035B1 KR 1020200140972 A KR1020200140972 A KR 1020200140972A KR 20200140972 A KR20200140972 A KR 20200140972A KR 102472035 B1 KR102472035 B1 KR 10247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driving unit
gyro sensor
driving
unmanned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6414A (en
Inventor
류재만
신동석
Original Assignee
(주)비씨디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씨디이엔씨 filed Critical (주)비씨디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4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035B1/en
Publication of KR20220056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4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0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20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gimb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고,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 부위 별로 각각 다르게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는, 양단에 카메라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을 다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봉의 부위 별로 각기 다르게 발생하는 휨 정도를 기울기값으로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 상기 자이로 센서부로부터 상기 지지봉의 부위 별로 각기 다른 기울기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각기 다른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하나의 근사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capable of mitigat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amera and more accurately correcting a change 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due to bending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support rod suppor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garding,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rod having camera fixing parts formed at both end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upport bar in multi-axis directions; a gyro sensor unit that detects, as an inclination value, a degree of deflection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ing different tilt values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from the gyro sensor unit, calculating one approximate tilt value using the received different tilt values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 driving motor that drives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igure 112020114544139-pat00001
Figure 112020114544139-pat00001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

본 발명은 짐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고,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 부위 별로 각각 다르게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mba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mitigate vibrations transmitted to a camera and more accurately detect changes in the camera's field of view due to bending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support rod suppor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t relates to a gimbal device with a calibrated stabilizer.

일반적으로, 공중 영상 촬영을 위해서는 유인 비행체와 조종사와 항공 촬영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고가의 영상 촬영 장비를 탑재하여 실시하므로, 매우 고가이며 별도의 비행장 등이 필요하였다. 이에 비해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 등에 의한 공중 영상 촬영은 비교적 적은 장비와 인력으로 운영이 가능하여 소규모 공중 영상 촬영시 많이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aerial imaging is carried out with manned aircraft and pilots, and expensive imaging equipment specially manufactured for aerial photography is mounted, so it is very expensive and requires a separate airfield. On the other hand, aerial imaging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drone can be operated with relatively little equipment and manpower, so it is widely used for small-scale aerial imaging.

그러나, 무인 비행체, 예를 들어, 드론(Drone)이나 헬리캠(Helicam)에 의한 공중 영상 촬영은 지상 조종사의 조종 능력에 따라 영상의 품질이 달라지며 무엇보다도, 탑재할 수 있는 탑재 중량에 한계가 있어서 고품질 영상 장비의 탑재 활용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드론으로 공중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드론과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카메라 짐벌 장치가 필요하며, 이 짐벌 장치의 조종 또한 공중 영상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를 차지한다.However, in aerial imaging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xample, a drone or a helicam, the quality of the image varies depending on the pilot's control ability on the ground, and above all, there is a limit to the payload that can be load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mount and utilize high-quality video equipment. In order to take aerial images with a drone, a camera gimbal device capable of mounting a drone and a camera is required, and the manipulation of the gimbal device also occupies an important factor in acquiring aerial images.

현재까지의 무인 비행체에 의한 공중 촬영 방법은 무인 비행체 조종사와는 별도로 무인 비행체에 탑재된 짐벌을 조종하는 지상 조종사가 별도로 요구된다. 무인 비행체의 짐벌에 장착된 카메라의 시선을 지상의 짐벌 조종사에 의해 수동으로 조종하여 촬영 대상물을 추적하며 촬영한다.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지상 짐벌 조종사는 현재 카메라가 주시하고 있는 시선에서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별도의 소형 카메라를 장착하여 이 카메라의 영상을 지상으로 전송하여 액정디스플레이 등에 나타난 영상을 지상 조종사가 보면서 촬영 각도를 조절한다.Aerial photographing method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so far require a ground pilot who controls a gimbal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eparately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ilot. The eyes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gimba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re manually controlled by the gimbal pilot on the ground to track and photograph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In order to adjust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the ground gimbal pilot mounts a separate small camera so that the camera can view the captured image from the current camera's line of sight, transmits the camera's image to the ground, and transmits the imag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to the ground. The pilot adjusts the shooting angle while watching.

한편, 카메라를 짐벌에 장착하고, 드론 등과 같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공중 영상을 촬영할 때, 무인 비행체의 프로펠러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바람 등 공기의 움직임에 의해 무인 비행체에 전달되는 진동 등은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는 짐벌을 통해 카메라로 전달된다. 따라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이미지에는 진동에 의한 떨림이 반영되어 고품질의 영상 이미지를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amera is mounted on a gimbal and an aerial image is taken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dron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propelle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air movement such as wind are unmanned. It is transmitted to the camera through the gimbal coupled to the aircraft.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high-quality video image is not obtained because the shaking caused by the vibration is reflected in the video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또한,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 촬영용 카메라를 무인 비행체의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배치한 경우, 무인 비행체의 비행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은 관성, 공기 저항,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측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 부분과 하측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 부분이 동일한 정도로 휘면, 두 카메라의 시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변화하게 되므로 VR 촬영에 큰 문제는 없으나, 상이한 정도로 휘게 되면, 두 카메라의 시야가 다르게 변화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촬영된 VR 영상은 초점이 불일치하여 영상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 VR (Virtual Reality) shooting camera is plac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e support rod suppor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bent due to external forces such as inertia, air resistance, and wind. this can happen If the support bar supporting the upper camera and the support bar supporting the lower camera are bent to the same extent, the fields of view of the two cameras change substantially the same, so there is no problem in VR shooting, but if they are bent to different degrees, the fields of view of the two cameras Since it is changed differently, the captured VR image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image quality due to inconsistency in focus.

본 발명은 카메라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고,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 부위 별로 각각 다르게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capable of mitigat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amera and more accurately correcting a change 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due to bending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support rod suppor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t aims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는, 양단에 카메라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을 다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봉의 부위 별로 각기 다르게 발생하는 휨 정도를 기울기값으로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 상기 자이로 센서부로부터 상기 지지봉의 부위 별로 각기 다른 기울기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각기 다른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하나의 근사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rod having camera fixing parts formed at both end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upport bar in multi-axis directions; a gyro sensor unit that detects, as an inclination value, a degree of deflection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ing different tilt values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from the gyro sensor unit, calculating one approximate tilt value using the received different tilt values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 driving motor that drives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구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봉과 상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짐벌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봉을 제1 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과 상기 제1 구동부를 제2 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과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제3 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dispo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vertically, and disposed in the through-hole and the support rod and the driving unit It may include a gimbal structure that includes. The drive unit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upport bar is inserted, and a first drive unit that rotates the support bar about a first axis,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unit, and the support bar and the first drive unit are formed based on a second axis. It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for axially rotating, and a third driving unit formed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and axially rotating the support bar,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with respect to a third ax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짐벌 구조체를 고정 지지하며 상기 짐벌 구조체의 진동을 완화하는 짐벌 연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imbal connection body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fix and support the gimbal structure and to alleviate vibration of the gimbal structure may be further included.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짐벌 연결체는, 상기 제3 구동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개의 완충 프레임과, 상기 연결 부재의 상하면과 상기 완충 프레임을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완충 지지하는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양측면과 상기 완충 프레임을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완충 지지하는 제2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mbal connection body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in the third ax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third drive unit,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disposed at the center, A plurality of buffer frames spaced apart in the third axial direction, a first buffer member for buffering and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buffer fram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buffer frame A second buffer member for buffering and supporting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프레임은, 상기 완충 프레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탄성 조절구와, 상기 탄성 조절구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여 탄성도를 변경하는 나사 부재를 포함하는 탄성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frame includes an elastic adjusting memb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uffer frame, 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lastic adjusting member. An elastic adjusting member including a screw member that changes the degree of elasticity by pressing at least one of the member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 센서부는, 상기 지지봉(S)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S)의 상부 부분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1 자이로 센서와, 상기 지지봉(S)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S)의 하부 부분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2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yro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gyro senso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and sensing an inclina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A second gyro sensor that is formed below the support rod (S) and detects an inclina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상기 지지봉의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인 경우, 상기 제1 자이로 센서와 제2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include the first gyro sensor and the second gyro when an angle formed between a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rod is 90°.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may be generated using an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any one of the gyro senso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상기 지지봉의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제1 기울기값과 상기 제2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제2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하나의 근사 기울기값을 산출할 수 있다.In the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in the first gyro sensor, when the angl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0°. One approximate tilt valu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detected first tilt value and the second tilt value detected by the second gyro sensor.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Other specific details of implementations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짐벌 구조체는 제1 내지 제3 구동부의 동작 제어를 통해 카메라를 고정하는 지지봉을 다축 구동하여 카메라의 시야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mbal structure may adjust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in a desired direction by multi-axially driving the support bar for fixing the camera through operation control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또한, 연결 부재가 짐벌 구조체와 연결되면서,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에 의해 완충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고, 복수개의 완충 프레임이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짐벌 구조체의 다축 방향 진동을 흡수 완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gimbal structure, the first buffer member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elastically support the buffer frame, and a plurality of buffer frames ar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gimbal structure vibrates in the multiaxial direction. absorption can be alleviated.

또한,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 부위 별로 각각 다르게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correct a change 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due to bending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bar suppor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의 일부인 짐벌 구조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의 제어부가 제1 내지 제3 구동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지지봉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다른 크기의 휨이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무인 비행체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여러 방향으로 비행할 때 지지봉에 발생하는 휨의 크기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무인 비행체가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채로 수평 방향으로 비행할 때 지지봉에 발생하는 휨의 크기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imbal structure that is part of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by a control unit of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different sizes of bending occur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ar.
7 is a view for comparing the magnitude of bending occurring in a support rod wh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flies in various directions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8 is a view for comparing the size of deflection occurring in a support bar wh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fli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til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이하, "짐벌 장치"라 함)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는,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를 포함하는 판상의 본체에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아암(11)을 구비하고, 각각의 아암(11)의 단부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로터(12)가 형성되며, 각각의 로터(12)에는 프로펠러(13)가 형성된다. 아암(11)은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 사이에 고정 형성된 아암 체결 수단(미도시)에 의해 본체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 unmanned air vehicle including a gimbal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P1 and a lower plate P2 A plurality of arms 11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rms 11 extending radially from a plate-shaped body including, and a rotor 12 operated by a motor is formed at the end of each arm 11, and each rotor 12 has A propeller 13 is formed. The arm 1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n arm fastening means (not shown) fixedly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P1 and the lower plate P2.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의 중앙에는 짐벌 구조체(100)가 배치될 수 있는 관통구(OP)가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관통구(OP)는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A through hole OP through which the gimbal structure 100 can be dispos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P1 and the lower plate P2. The upper plate P1 and the lower plate P2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each through hole OP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vertically.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 사이의 어느 일 위치에는, 짐벌 구조체(100)를 고정 지지하며 짐벌 구조체(100)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는 짐벌 연결체(200)가 형성된다.A gimbal connection body 200 capable of fixing and supporting the gimbal structure 100 and mitigating vibration of the gimbal structure 100 is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upper plate P1 and the lower plate P2.

짐벌 구조체(100)의 일 구성인 지지봉(S)의 양 단에는 카메라(C) 또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는 카메라 리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리그는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류 및 품질에 따라 결정되는 카메라의 개수에 해당하는 카메라들을 거치할 수 있다. A camera rig (not shown) capable of holding a camera C or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rod S,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gimbal structure 100. The camera rig may mount camera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and quality of images to be photographed.

또한, 짐벌 구조체(100)의 일 구성인 지지봉(S)의 상부와 하부의 소정 위치 각각에는 지지봉(S)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 도 2 참조)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gyro sensor unit (140: 141, 142, see FIG. 2)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rod (S) is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rod (S),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gimbal structure 100. .

이 외에도 현재 알려진 무인 비행체의 구성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나, 명료한 설명을 위해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o this, currently known configuration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may be additionally formed, but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are omitted for clarity.

다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의 일부인 짐벌 구조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Next,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imbal structure that is part of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provided with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art of a gimbal device is enlarged.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는 짐벌 구조체(100)와 짐벌 연결체(200)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에 관통구(OP)가 형성되며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를 포함한다.2 to 4,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imbal structure 100 and a gimbal connection body 200. In addition, the through-hole OP is formed in the center and includes an upper plate P1 and a lower plate P2 dispo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짐벌 구조체(100)는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에 형성된 관통구(OP)에 삽입 배치된다. 관통구(OP)는 짐벌 구조체(100)의 다축 운동을 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gimbal structure 1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P formed in the upper plate P1 and the lower plate P2. The through-hole OP may be formed to a siz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ulti-axis motion of the gimbal structure 100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짐벌 구조체(100)는 지지봉(S), 제1 구동부(110), 제2 구동부(120), 제3 구동부(130),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짐벌 구조체(100)의 일 구성으로 형성되거나, 무인 비행체 본체의 일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2 and 3, the gimbal structure 100 includes a support bar S, a first driving unit 110, a second driving unit 120, a third driving unit 130, and a gyro sensor unit 140 (141, 142). ). In addition, it may optionally include a control unit 150. The control unit 150 may be formed as one component of the gimbal structure 100 or as one compone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ody.

지지봉(S)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에 카메라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카메라 고정부는 단일 카메라를 고정하는 수단일 수 있고, 복수의 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는 카메라 리그(미도시)일 수 있다. 지지봉(S)은 제1 구동부(110)에 삽입된다.The support bar (S)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amera fixing parts (not shown) are formed at both ends. The camera fixing unit may be a means for fixing a single camera or may be a camera rig (not shown) capable of holding a plurality of cameras. The support bar (S) is inserted into the first driving unit (110).

제1 구동부(110)는 지지봉(S)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하며, 내부에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지지봉(S)을 축회전시킨다. 제1 축은 수직 방향, 즉 Z축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rive unit 110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upport rod S is inserted, and a driving motor is provided therein to pivot the support rod S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The first axis may be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Z-axis direction.

제2 구동부(120)는 제1 커넥터(121)를 통해 제1 구동부(110)와 연결 형성된다. 제1 커넥터(121)는 제1 구동부(110)의 회전축과 제2 구동부(120)의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제2 구동부(120) 내부에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어, 제2 축을 기준으로 제1 구동부(110)를 축회전시킨다. 제2 축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제2 구동부(120)에 의해 제1 구동부(110)가 축회전될 때, 제1 구동부(110)에 삽입된 지지봉(S)도 제2 축을 기준으로 축회전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110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21 . The first connector 121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driving unit 110 a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driving unit 12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drive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drive unit 120 to rotate the first drive unit 110 about the second axis. The second axis may be in the Y-axis direction. When the first driving unit 110 is axially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120, the support bar S inserted into the first driving unit 110 may also be axi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haft.

제3 구동부(130)는 제2 커넥터(131)를 통해 제2 구동부(120)와 연결 형성된다. 제2 커넥터(131)는 제2 구동부(120)의 회전축과 제3 구동부(130)의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제3 구동부(130) 내부에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어, 제3 축을 기준으로 제2 구동부(120)를 축회전시킨다. 제3 축은 X축 방향일 수 있다. 제3 구동부(130)에 의해 제2 구동부(120)가 축회전될 때, 제2 구동부(120)와 연결 형성된 제1 구동부(110) 및 이에 삽입된 지지봉(S)도 제3 축을 기준으로 축회전될 수 있다.The third driv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120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131 . The second connector 131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driving unit 120 a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third driving unit 13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driving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third drive unit 130 to axially rotate the second drive unit 120 based on the third axis. The third axis may be in the X-axis direction. When the second driving unit 120 is axially rotated by the third driving unit 130, the first driving unit 110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120 and the support rod S inserted therein are also axial with respect to the third axis. can be rotated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는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S)의 부위 별로 각각 다르게 발생하는 휨 정도를 기울기값으로 감지한다.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는 지지봉(S)의 상부와 하부의 소정 위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는 제1 자이로 센서(141)와 제2 자이로 센서(142)를 포함한다. 제1 자이로 센서(141)는 지지봉(S)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지봉(S)의 상부 부분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제2 자이로 센서(142)는 지지봉(S)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지봉(S)의 하부 부분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는 지지봉(S)의 상부 및 하부의 기울기를 각각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기값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The gyro sensor unit 140 (141, 142) detects, as an inclination value, the degree of deflection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S) suppor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gyro sensor units 140 (141, 142)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above and below the support rod (S), respectively. The gyro sensor units 140 : 141 and 142 include a first gyro sensor 141 and a second gyro sensor 142 . The first gyro sensor 14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rod (S) and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rod (S). The second gyro sensor 142 is formed below the support bar S and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S. The gyro sensor units 140 (141, 142) detect tilts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support bar (S), respectively, and transmit the detected tilt values to the control unit 150.

제어부(150)는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S)의 부위 별로 각각 다르게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정한다. 제어부(150)는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에서 기울기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구동부(110 ~ 130)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의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값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3 구동부(110 ~ 130)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각각의 구동 모터로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50 corrects a change 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due to bending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bar S suppor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 tilt value from the gyro sensor unit 140 (141, 142), and calculates a correction value of a driving motor that drives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110 to 130 using the received tilt value. And, based on the calculated correction valu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s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110 to 130 is transmitted to each driving mot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짐벌 연결체(200)는 짐벌 구조체(100)를 무인 비행체의 본체에 고정 지지하며, 짐벌 구조체(100)에 전달되거나 또는 짐벌 구조체(100) 자체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gimbal connector 200 fixes and supports the gimbal structure 100 to the bod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an mitigat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gimbal structure 100 or generated by the gimbal structure 100 itself.

도 4를 참조하면, 짐벌 연결체(200)는 연결 부재(210), 완충 프레임(220), 제1 완충 부재(230), 제2 완충 부재(2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gimbal connection body 200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210, a buffer frame 220, a first buffer member 230, and a second buffer member 240.

연결 부재(210)는 제3 구동부(130)의 일측에서 제3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210)는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2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1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third driving unit 130 in the third axial direction. The connection member 210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P1 and the lower plate P2. Th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 the draw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llustrated.

연결 부재(2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완충 프레임(220)이 이격 형성된다. 완충 프레임(220)의 중앙에는 연결 부재(210)가 배치된다. 완충 프레임(220)은, 예를 들어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면은 상부 플레이트(P1)의 하면에 고정되고, 그 하면은 하부 플레이트(P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완충 프레임(220)은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프레임(220)은 제3 축 방향(X축)으로 2개 이상 형성되어 짐벌 구조체(100)에서 발생하거나 짐벌 구조체(100)로 전달된 진동 중에서 제3 축 방향 진동을 일부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A plurality of buffer frames 2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 A connecting member 21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uffer frame 220 . The buffer frame 220 may be formed in, for example,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ts upper surface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1 and its lower surface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2. The buffer frame 22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 Two or more buffer frames 220 are formed in the third axial direction (X-axis) to partially absorb and alleviate vibrations in the third axial direction among vibrations generated in the gimbal structure 100 or transmitted to the gimbal structure 100. have.

연결 부재(2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1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완충 프레임(220)에 고정되는 제1 완충 부재(230)가 형성된다. 제1 완충 부재(230)는 연결 부재(210)를 제1 축 방향으로 완충 지지한다. 또한, 연결 부재(210)의 양측면에는 제2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완충 프레임(220)에 고정되는 제2 완충 부재(240)가 형성된다. 제2 완충 부재(240)는 연결 부재(210)를 제2 축 방향으로 완충 지지한다. 제1 완충 부재(230)와 제2 완충 부재(240)는 실리콘,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buffer member 230 extend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buffer frame 22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 The first buffer member 230 cushions and supports the connection member 210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In addition, a second buffer member 240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to extend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buffer frame 220 . The second buffer member 240 cushions and supports the connecting member 210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The first buffer member 23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24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 or a spring.

제1 완충 부재(230)와 제2 완충 부재(240)는 완충 프레임(220)에 대해 연결 부재(210)를 제1 축(Z축)과 제2 축(Y축) 방향으로 완충 지지하여, 짐벌 구조체(100)에서 발생하거나 짐벌 구조체(100)로 전달된 진동 중에서 제1 축 및 제2 축 방향 진동을 일부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The first buffer member 23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240 buffer and support the connection member 210 with respect to the buffer frame 220 in the first axis (Z axis) and second axis (Y axis) directions, Among the vibrations generated in the gimbal structure 100 or transmitted to the gimbal structure 100, vibr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axial directions may be partially absorbed and alleviated.

이와 같이, 연결 부재(210)는 짐벌 구조체(100)와 연결되면서, 제1 완충 부재(230) 및 제2 완충 부재(240)에 의해 완충 프레임(220)에 탄성 지지되고, 복수개의 완충 프레임(220)이 연결 부재(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짐벌 구조체(100)의 진동을 다축 방향으로 흡수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connection member 210 is connected to the gimbal structure 100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ffer frame 220 by the first buffer member 23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240, and a plurality of buffer frames ( 2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gimbal structure 100 can be absorbed and alleviated in multiaxial directions.

한편,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완충 및 지지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택적으로 탄성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buffering and supporting force according to the type of camera.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n elastic control member.

탄성 조절 부재는 제1 완충 부재(230)와 제2 완충 부재(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탄성도를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탄성 조절 부재는 탄성 조절구(250)와 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조절구(250)는 완충 프레임(22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 부재(미도시)는 탄성 조절구에 삽입되면서 완충 부재(230, 240)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완충 부재(230, 240)는 그 부피가 변화하면서 탄성도가 변경될 수 있다.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may be adjusted by changing the degree of elasticit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ing member 230 and the second buffering member 240 . The elastic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the elastic adjusting member 250 and a screw member. The elastic adjuster 25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uffer frame 220 . A screw member (not shown) presses the buffer members 230 and 24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lasticity adjusting device, and the elasticity of the pressed buffer members 230 and 240 may change while the volume thereof changes.

다음,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가 지지봉에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의 제어부가 제1 내지 제3 구동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지지봉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다른 크기의 휨이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무인 비행체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여러 방향으로 비행할 때 지지봉에 발생하는 휨의 크기 비교를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무인 비행체가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채로 수평 방향으로 비행할 때 지지봉에 발생하는 휨의 크기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a process of correcting a change 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support bar by the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by a control unit of a gimbal device equipped with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the occurrence of bending, and FIG. 7 is a diagram for comparing the size of the bending that occurs in the support rod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lies in various directions while remaining horizontal to the ground. It is a drawing for comparison of the size of the bending that occurs in the support bar when fly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무인 비행체의 비행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S)이 일정 각도로 기울거나 또는 지지봉(S)에 진동이 발생한 경우,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가 지지봉(S)의 기울기값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수신된 기울기값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동부(110 ~ 130)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각각의 구동 모터로 전송한다. When the support rod (S) supporting the camera is tilted at a certain angle or vibration occurs in the support rod (S) according to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gyro sensor unit (140: 141, 142) detects the inclination value of the support rod (S). It detects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0.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s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110 to 130 to each driving motor in a direction compensating for the received slope value.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S)이 제3 축인 X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θ 만큼 기울거나 진동이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제3 구동부(130)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지지봉(S)이 시계 방향으로 θ 만큼 회전하도록 하여 지지봉(S)의 원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카메라의 시야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when the support bar S is tilted by θ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ird axis, the X axis, or vibr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150 drives the third driving unit 130. The mo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support rod S rotates clockwise by θ, so that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support rod S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camera constant.

한편, 지지봉(S)은 촬영을 위해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여 설계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지지봉(S)의 각 부위 별로 각각 다른 외력(관성, 공기 저항, 바람 등)이 작용하여 지지봉(S)의 각 부위 별로 각각 다른 크기의 휨이 발생하여 지지봉(S) 상부의 기울기값(θ1)과 지지봉(S) 하부의 기울기값(θ2)이 상이할 수 있다. 특히, VR 촬영용 카메라를 무인 비행체의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배치한 경우, 두 카메라의 시야가 다르게 변화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촬영된 VR 영상은 초점이 불일치하여 영상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ar (S) is designed to secure a sufficient length for shooting.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different external forces (inertia, air resistance, wind, etc.) act on each part of the support bar S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each part of the support bar S Different magnitudes of bending may occur, so that the inclination value θ1 of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bar S and the inclination value θ2 of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ar S may be different. In particular, when the cameras for VR shooting are arrang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fields of view of the two cameras change differently, and thus the captured VR images are out of focus,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지지봉(S)의 각 부위 별로 발생하는 휨에 의한 각각 다른 기울기값을 하나의 기울기값으로 근사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기울기값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동부(110 ~ 130)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각각의 구동 모터로 전송하여 지지봉(S) 부위 별로 각각 다르게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로 정의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different inclination value due to the bending occurring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S)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calculated by approximating to one inclination value, and the calculated inclination value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of compensation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s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110 to 130 is transmitted to each driving motor to more accurately correct the change 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due to the bending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S) do. This function can be defined as a stabilizer.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른 지지봉(S)의 각 부위 별로 발생하는 휨에 대해 살펴본다.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른 지지봉(S)의 휨 정도는 실제로는 미세하나, 도 7 및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하여 도시하였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the bending occurring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bar S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ll be described.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upport rod (S)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is actually minute, but in FIGS. 7 and 8, it is shown exaggerated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가 수평을 유지한 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봉(S)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외력이 발생하여 휨에 따른 기울기 변화인 θ1과 θ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 중 어느 하나의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제어부(150)는 기울기값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동부(110 ~ 130)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각각의 구동 모터로 전송한다. 도 7의 (a)는 우측 이동을 예시하고 있이나, 좌측 이동도 동일하다.As shown in (a) of FIG. 7,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level,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rod S generate an external force of substantially the same magnitude, resulting in bending The slope changes θ1 and θ2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in this case, by using the inclination value detected by any one of the gyro sensor units 140 (141, 142), the control unit 150 moves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110 in the direction of compensating for the inclination value. ~ 13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to each driving motor. Figure 7 (a) illustrates the movement to the right, but the movement to the left is also the same.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가 수평을 유지한 채로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봉(S)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외력이 발생하지 않아서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의 (b)는 상방향 이동을 예시하고 있이나, 하방향 이동도 동일하다.As shown in (b) of FIG. 7,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oves vertically upward while remaining horizontal, no external force is substantially genera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ar S, so that no bending occurs. don't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50 may not generate a control command. 7(b) illustrates upward movement, but downward movement is also the same.

한편,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가 수평을 유지한 채로 소정 각도로 대각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봉(S)의 상부 부분이 더 큰 외력(공기압, 관성 등)을 받게 되어 지지봉(S)의 상부 부분의 기울기 변화인 θ1이 지지봉(S)의 하부 부분의 기울기 변화인 θ2 보다 크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c) of FIG. 7,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oves in a diagonal upward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maintaining a level,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rod S exerts a greater external force (air pressure, inertia, etc.) θ1, which is a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is greater than θ2, which is a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반대로,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가 수평을 유지한 채로 소정 각도로 대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봉(S)의 하부 부분이 더 큰 외력(공기압, 관성 등)을 받게 되어 지지봉(S)의 하부 부분의 기울기 변화인 θ2가 지지봉(S)의 상부 부분의 기울기 변화인 θ1 보다 크다.Conversely, as shown in (d) of FIG. 7,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oves in a diagonal downward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positio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rod S exerts a greater external force (air pressure, inertia, etc.) As a result, θ2, which is a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is greater than θ1, which is a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가 지면에 대해 시계 방향의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채로 수평 방향으로 우측으로 비행하는 경우, 무인 비행체가 지지봉(S)의 하부 부분에 작용하는 외력의 일부를 제거하게 되어, 지지봉(S)의 상부 부분이 더 큰 외력(공기압, 관성 등)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지지봉(S)의 상부 부분의 기울기 변화인 θ1이 지지봉(S)의 하부 부분의 기울기 변화인 θ2 보다 크다. 반대로, 동일한 자세로 좌측으로 비행하는 경우에는 θ2가 θ1 보다 크게 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UAV flies to the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ilting at a predetermined clockwise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UAV removes some of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ar S As a resul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receives a greater external force (air pressure, inertia, etc.). Therefore, θ1, which is the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rod (S), is greater than θ2, which is the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rod (S). Conversely, when flying to the left with the same attitude, θ2 becomes greater than θ1.

도 7의 (c)(d) 및 도 8과 같이, θ1과 θ2가 다를 때, 제어부(150)는 각각 다른 기울기값을 하나의 기울기값으로 근사하여 근사 기울기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근사 기울기값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구동부(110 ~ 130)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각각의 구동 모터로 전송한다. 7 (c) (d) and 8, when θ1 and θ2 are different, the control unit 150 calculates an approximate slope value by approximating each different slope value to one slope value, and calculates the approximate slope valu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s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110 to 130 in a direction of compensating the value is transmitted to each driving motor.

하나의 기울기값으로 근사하여 산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시로 두 기울기값의 평균값을 근사 기울기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제시한다. 즉, 제어부(150)는 "(θ1+θ2)/2"을 근사 기울기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re may be several methods for approximating and calculating one slope valu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wo slope values as an approximate slope value is presented. That is, the controller 150 may calculate “(θ1+θ2)/2” as an approximate slope value.

무인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지지봉(S)의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angle formed 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le (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도 7의 (a)와 같이, 무인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지지봉(S)의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인 경우, 지지봉(S)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적으로 동일한 휨이 발생하여 근사 기울기값을 산출할 필요가 없이, 자이로 센서부(140 : 141, 142) 중 어느 하나의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면 된다.As shown in (a) of FIG. 7,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rod (S) is 90 °, the same bending occurs symmetrically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upport rod (S), resulting in an approximate slope There is no need to calculate the value, and it may be corrected using a tilt value detected by any one of the gyro sensors of the gyro sensor units 140 : 141 and 142 .

도 7의 (b)와 같이, 무인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지지봉(S)의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인 경우, 실질적으로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As shown in (b) of FIG. 7, when the angl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S is 0°, bending does not substantially occur.

도 7의 (c)(d)와 같이, 무인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지지봉(S)의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θ1과 θ2는 상이하여 제어부(150)는 하나의 기울기값으로 근사하여 근사 기울기값을 산출한다.As shown in (c) (d) of FIG. 7, when the angl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S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0°, θ1 and θ2 are different and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one Approximate with the slope value to calculate the approximate slope valu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짐벌 구조체(100)는 제1 내지 제3 구동부(110 ~ 13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카메라를 고정하는 지지봉(S)을 다축 구동하여 카메라의 시야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imbal structure 100 multi-axially drives the support rod (S) for fixing the camera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110 to 130) to increase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You can adjust it any way you want.

또한, 연결 부재가 짐벌 구조체와 연결되면서,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에 의해 완충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고, 복수개의 완충 프레임이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짐벌 구조체의 다축 방향 진동을 흡수 완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gimbal structure, the first buffer member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elastically support the buffer frame, and a plurality of buffer frames ar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gimbal structure vibrates in the multiaxial direction. absorption can be alleviated.

또한, 무인 비행체의 비행에 따라 지지봉에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정하여 초점을 일치시켜서 촬영된 VR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captured VR image can be improved by correcting the change 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support rod according to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atching the focu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accordingly.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봉의 부위별로 각각 다르게 발생하는 휨에 따른 카메라의 시야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어, 영상 촬영용 드론 등에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accurately correct the change 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due to the bending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support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o that it can be used in a drone for taking images.

P1 : 상부 플레이트 P2 : 하부 플레이트
100 : 짐벌 구조체 S : 지지봉
110 : 제1 구동부 120 : 제2 구동부
130 : 제3 구동부
200 : 짐벌 연결체 210 : 연결 부재
220 : 완충 프레임 230 : 제1 완충 부재
240 : 제2 완충 부재 250 : 탄성 조절구
P1: upper plate P2: lower plate
100: gimbal structure S: support bar
110: first driving unit 120: second driving unit
130: third driving unit
200: gimbal connection body 210: connection member
220: buffer frame 230: first buffer member
240: second buffer member 250: elastic adjuster

Claims (5)

양단에 카메라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을 다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
무인 비행체의 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봉의 부위 별로 각기 다르게 발생하는 휨 정도를 기울기값으로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 및
상기 자이로 센서부로부터 상기 지지봉의 부위 별로 각기 다른 기울기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각기 다른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하나의 근사 기울기값을 산출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이로 센서부는,
상기 지지봉(S)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S)의 상부 부분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1 자이로 센서와,
상기 지지봉(S)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S)의 하부 부분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2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수평을 유지한 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상기 지지봉의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인 경우, 상기 제1 자이로 센서와 제2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가 수평을 유지한 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상기 지지봉의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제1 기울기값과 상기 제2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제2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하나의 근사 기울기값을 산출하되,
두 기울기값의 평균값을 근사 기울기값으로 산출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
A support rod with camera fixing parts formed at both end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upport bar in multi-axis directions;
a gyro sensor unit that detects, as an inclination value, a degree of deflection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according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Receiving different tilt values for each part of the support rod from the gyro sensor unit, calculating one approximate tilt value using the received different tilt values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 driving motor that drives the driving unit Including; control unit;
The gyro sensor unit,
A first gyro senso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to detect an inclina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A second gyro sensor formed under the support rod (S) to detect an inclina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S);
The control unit,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posi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is 90°, one of the first gyro sensor and the second gyro sens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using a tilt value detected by a gyro sensor;
A first inclination detected by the first gyro sensor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position, and an angl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0° An approximate tilt value is calculated using the value and the second tilt value detected by the second gyro sensor,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by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two slope values as an approximate slope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구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봉과 상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짐벌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봉을 제1 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과 상기 제1 구동부를 제2 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과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제3 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짐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gimbal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dispo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vertically, and a gimbal structur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nd including the support rod and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unit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upport rod is inserted and pivoting the support rod with respect to a first axis, and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driving unit and pivoting the support rod and the first driving unit with respect to a second axis A gimbal device having a stabilizer including a second driving unit and a third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and pivotally rotating the support bar,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based on a third axis.
KR1020200140972A 2020-10-28 2020-10-28 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 KR1024720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72A KR102472035B1 (en) 2020-10-28 2020-10-28 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72A KR102472035B1 (en) 2020-10-28 2020-10-28 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414A KR20220056414A (en) 2022-05-06
KR102472035B1 true KR102472035B1 (en) 2022-11-29

Family

ID=8158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972A KR102472035B1 (en) 2020-10-28 2020-10-28 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03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9941A (en) * 2015-05-18 2016-12-22 株式会社amuse oneself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48690B1 (en) * 2017-08-11 2018-04-13 최종필 A drone with camera gimbal for virtual realit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756A (en) * 2016-12-08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74043B1 (en) * 2017-12-08 2020-03-02 한국로봇융합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sensor error using joint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9941A (en) * 2015-05-18 2016-12-22 株式会社amuse oneself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48690B1 (en) * 2017-08-11 2018-04-13 최종필 A drone with camera gimbal for virtual re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414A (en)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3781B (en) Stabilizing device for self-leveling of unmanned boat pan-tilt camera
US9574703B2 (en) Hand-held or vehicle mounted camera stabilization system
EP1887274A1 (en) Film camera head
US20210203826A1 (en) Vibration Damping Gimbal Sleeve for an Aerial Vehicle
KR101919919B1 (en) Vibration-free gimbal device
CN106005459B (en) A kind of unmanned vehicle
WO2018201718A1 (en) Photographic component and unmanned vehicle
US20200169650A1 (en) Apparatus for mounting of a camera or other components
US20180079529A1 (en) Vibration damping gimbal sleeve for an aerial vehicle
KR20190116748A (en) Foldable landing gear and Vibration-free gimbal device having it
CN111866395B (en) Stability augmentation processing module, unmanned aerial vehicle camera system and image stability augmentation processing method
CN110869283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cloud deck, cloud deck syste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472035B1 (en) Gimbal device having stabilizer
KR101921625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moving device based on image stabilization
KR20190069801A (en) Device of driving camera, driving method thereof and jimbal apparatus
JP2011233947A (en) Method for taking aerial photographs
KR102472036B1 (en) Gimbal device
KR20190001084A (en) Double folding landing gear and Vibration-free gimbal device having it
KR102329393B1 (en) Mechanical Posture Maintenance Device for Virtual Reality Filming Cameras for Drones
KR102127350B1 (en) Gimbal device with vibration damping function
KR102174826B1 (en) Overlapping photoflight system for acquiring precise image
WO2022111253A1 (en) Lens device, camera device, camera system, and moving body
KR101218771B1 (en) Aerial picure-taking system of preventing image blurring by steering mirror
JP5009177B2 (en) Camera vibration control device
CN110949680A (en) Aerial sweeping camera device with deviation rectify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