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700B1 - 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700B1
KR102471700B1 KR1020210000450A KR20210000450A KR102471700B1 KR 102471700 B1 KR102471700 B1 KR 102471700B1 KR 1020210000450 A KR1020210000450 A KR 1020210000450A KR 20210000450 A KR20210000450 A KR 20210000450A KR 102471700 B1 KR102471700 B1 KR 10247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barrier
retain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8591A (en
Inventor
장형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to KR102021000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700B1/en
Publication of KR2022009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5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전송용 커넥터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수납공간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안착공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리테이너 몸체의 양측면에 수납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이드 배리어가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안착부를 구비하는 터미널 리테이너;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각각의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의 쌍을 측면에 구비하는 터미널로서,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에서 상기 터미널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사이드 배리어는 상기 터미널의 돌출부의 쌍 중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포함한다.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asing; a storage unit installed inside the insertion unit and having a seating hole formed therein; a terminal retainer inserted into the housing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terminal seat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by side barrie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tainer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unit; A terminal seated on each terminal seat of the terminal retainer and having a pair of projections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ide surfa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retainer; In order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erminal retainer, the side barrier of the terminal retainer includes a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ccommodating one of a pair of protrusions of the terminal.

Description

신호전송용 커넥터{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

본 발명은 신호전송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입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하우징의 내부로 터미널의 삽입을 단번에 할 수 있도록 한 신호전송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in which a terminal can be inserted into an inner housing installed inside an insertion part at once.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In general, a connector is composed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terminal, and is widely used in power circuits such as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or automobiles. The use of the connectors in thes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has the advantage that not only device manufacturing but also maintenance work can be greatly simplified because a plurality of parts can be individually assembled and then inserted into a final product.

최근에는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비롯한 전기제품의 회로가 복잡해지면서, 커넥터를 이용한 신호의 전송량 역시 커지게 되고, 전송 속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동일한 시간 동안의 영상 재생 빈도 수(hz)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커넥터를 통한 충분한 전송속도 및 전송량이 확보될 필요성이 있다.Recently, as circuits of electric appliances including electronic devices of automobiles have become complicated, the transmission amount of signals using connectors has also increased, and an improvement in transmission speed has been requir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lat panel display, the number of image refresh rates (hz) for the same period of time continues to increase,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secure sufficient transmission speed and transmission amount through a connector.

이를 위해서, 최근에는 저전압차분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LVDS)를 이용한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다. 저전압차분신호라 함은 표준 전압인 5V 대신에 3.3V나 또는 1.5V를 사용한 신호전달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드와 패널 사이에서 보다 적은 수의 전선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나 평판디스플레이에서 기존의 FPC나 FFC커넥터를 대체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LVDS기술은 데이터 출력 횟수를 줄여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To this end, a connector using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he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means signal transmission using 3.3V or 1.5V instead of the standard voltage of 5V, and since fewer wires can be used between the board and the panel, conventional FPCs in computers or flat panel displays can be used. However, it is widely used as a substitute for FFC connector. In particular, LVDS technology reduces the number of data outputs, enabling connector miniaturization.

그리고, 최근에 개발되는 전자장치의 경우에는 고속/고용량의 전기신호로 인해 전자방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전자장치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nd, in the case of recently developed electronic devices, a lot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occurs due to high-speed/high-capacity electrical signals, which direct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so the need to prevent it has emerged. It is becoming.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터미널이 삽입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납부에 하나씩 차례로 삽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을 정확하게 안착시켜 고정하는 과정은 시각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s must be inserted one by one into the receiv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insertion part. However, the process of accurately seating and fixing the terminal on the terminal retain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특히, 수납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좁은 안착공에 터미널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터미널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narrow seating holes penetrating the receiving unit, a problem of damage to the terminal also occurs.

뿐만 아니라, 터미널 리테이너에 안착된 터미널에 길이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터미널이 터미널 안착부에서 해제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 seated on the terminal retain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terminal is released from the terminal seat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수압되어 안착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신호전송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in which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pressurized and seated in a terminal retainer can be visually and clearly confirmed.

본 발명의 다른 다른 목적은 터미널이 터미널 리테이너에 안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터미널이 터미널 리테이너 내에서 안정적으로 홀딩되게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in which a terminal is stably held in a terminal retainer against force appli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seated in the terminal retai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을 수납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터미널이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전송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apable of preventing the terminal from being released unintentionall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into the housing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전송용 커넥터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수납공간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안착공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리테이너 몸체의 양측면에 수납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이드 배리어가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안착부를 구비하는 터미널 리테이너;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각각의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의 쌍을 측면에 구비하는 터미널로서,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에서 상기 터미널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사이드 배리어는 상기 터미널의 돌출부의 쌍 중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asing; a storage unit installed inside the insertion unit and having a seating hole formed therein; a terminal retainer inserted into the housing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terminal seat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by side barrie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tainer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unit; A terminal seated on each terminal seat of the terminal retainer and having a pair of projections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ide surfa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retainer; In order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erminal retainer, the side barrier of the terminal retainer includes a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ccommodating one of a pair of protrusions of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은 상기 사이드 배리어의 상측면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Here,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is ope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arrier.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은 수용홈 바닥면 및 상기 수용홈 바닥면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배치되는 수용홈 측면을 포함한다.The side barrier side accommodating groove includes an accommodating groove bottom surface and accommodating groove side surfac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bottom surface as a center.

상기 수용홈 측면은 상기 수용홈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된다.A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s perpendicular to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수용홈 측면은 상기 수용홈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되 서로 마주하는 수용홈 측면 간의 거리는 상기 수용홈의 상측 개방부에서 최소로 된다.The side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facing each other is minimized at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에 수용되는 돌출부는 상기 수용홈 측면에 상보적인 돌출부 측면을 구비한다. The protrud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has a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complementary to the accommodating groove side.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는 쌍을 이루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배리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격벽 배리어는 상기 터미널의 돌출부의 쌍 중 다른 돌출부를 수용하는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으로서, 상측에는 터미널 리테이너의 터미널 안착부를 향하여 아래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터미널 안착부를 향하여 아래로 갈수록 두께가 일정한 수직면부를 포함하는,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을 포함한다.The terminal retainer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barriers, and the partition wall barrier is a partition wall side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other protrusion of the pair of protrusions of the terminal, and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retainer It includes a partition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portion whose thickness increases downward towar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and a vertical surface portion disposed below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having a constant thickness towar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downward.

상기 돌출부의 쌍은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에서 상기 사이드 배리어의 상면에 높이가 맞추어지도록 만곡된 돌출부 최상면을 각각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 최상면에서 소정의 각으로 하향 만곡된다. The pair of protrusions each have a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curv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arrier in the receiving groove on the side barrier side, and the protrusion is downwardly curv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돌출부의 쌍 중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에 수용되는 돌출부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되,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관통하여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의 외부에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의 수용홈 측면 간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 연장편을 포함한다. Among the pair of protrusions, the protrusion accommodated in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extends through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penetrates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nd is outside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It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 extensions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돌출부 연장편의 사이에는 보이드 홈이 구비된다.A void groove is provided between the extension pieces of the protrusion.

상기 돌출부 연장편의 단부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 바닥보다 낮게 배치된다. An end of the extension piece of the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nd is disposed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groove.

여기서, 상기 보이드 홈은 상기 사이드 배리어의 외측면에 나란한 평면까지 형성된다.Here, the void groove is formed up to a plane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barrier.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 리테이너에 다수개의 터미널을 차례로 장착한 후에, 다수개의 터미널이 장착된 터미널 리테이너를 수납부에 단번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터미널을 수납부에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커넥터의 조립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ounting a plurality of terminals in the terminal retainer in sequence, the terminal retainer equipped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unit at once, so that the plurality of terminals can be easily assembled into the housing unit,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y of the connector. This has an improving effec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을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지 않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터미널 리테이너에 안착시키므로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터미널이 손상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rminal is not inserted into the terminal retain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ut is seated in the terminal retain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rminal is not damaged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into the terminal retainer.

또한,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안착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 terminal on the terminal retainer, it is possible to easily visually check whether the seating has been properly performed.

또한,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안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더라도 터미널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체결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force is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is seated on the terminal retainer, the terminal does not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stably maintain the fastened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mounted on a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mounted on a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erminals are mounted on a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of Figure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mounted on a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Fig. 10;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0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art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not provided for the purpose of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most appropriately express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 리테이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미널이 터미널 리테이너에 조립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사시도이다.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retain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erspective view, and FIG.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assembled to the terminal retainer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mounted on a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and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은 케이싱(10)이 형성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속이 빈 실질적으로 6면체 형상이다.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공간(11)에는 후술할 삽입부(20), 수납부(30), 터미널 리테이너(40), 터미널(50), 커버(60)의 일부 및 와이어(70)의 일부가 수납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outer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are formed by the casing 10. The casing 1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at is hollow and penetrat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storage space 11 is formed through the casing 10, and an insertion part 20, a storage part 30, a terminal retainer 40, and a terminal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in the storage space 11. , a part of the cover 60 and a part of the wire 70 are accommodated.

상기 케이싱(10)의 외면 일측에는 체결레버(1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13)는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체결레버(13)의 구성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A fastening lever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10 . The fastening lever 13 is a component for fastening with a mating connector.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lever 13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and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상기 케이싱(10)에는 조립클립(90)이 결합된다. 상기 조립클립(90)은 상기 케이싱(10)의 하측면에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케이싱(10)에 조립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부(20)를 걸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립클립(90)의 걸이레그(92)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면, 삽입부(20)의 제 1 몸체(26) 및 제 2 몸체(27) 사이에서 확대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걸어 삽입부(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n assembly clip 90 is coupled to the casing 10 . The assembling clip 90 is assembled to the casing 10 through an opening (not shown) open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10 and serves to hang and fix the insertion portion 20 to be described below. More precisely, when the hook leg 92 of the assembly clip 9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the flange portion formed by expanding between the first body 26 and the second body 27 of the insertion part 20 Hang to prevent the insertion portion 20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조립클립(90)은 클립 베이스(91)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걸이레그(92)의 각 단부에 마주하는 걸이레그(92)들을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어깨부(94)를 포함한다.The assembling clip 90 has a shoulder portion 94 formed by protruding the hanging legs 92 facing each end of the hanging legs 92 extending upwar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lip base 91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includes

상기 삽입부(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외형이 육면체인 제 1 몸체(26)와 외형이 원통형인 제 2 몸체(27)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몸체(26)와 제 2 몸체(27) 사이에는 확대된 크기의 육면체 형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몸체(26)와 상기 제 2 몸체(27) 그리고 플랜지부의 내부에는 수납부(30)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 수용공간(2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The insertion part 2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ncludes a first body 26 having a hexahedral outer shape and a second body 27 having a cylindrical outer shape, and the first body 26 and the second body ( 27) is formed between the enlarged hexahedral flange portion. An accommodating space 21 for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ng part 30 is formed through the first body 26, the second body 27, and inside the flange portion.

상기 수납부 수용공간(21)에는 상기 수납부(30)의 단차부(37)와 대응되게 내측단차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단차부는 수납부 수용공간(21)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삽입부(20)의 내측단차부에는 상기 수납부(30)의 회전방지리브(39)가 안착되는 리브홈(22')이 요입되게 형성된다.An inner stepped port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1 to correspond to the stepped portion 37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0 . The inner step portion has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space 21 . A rib groove 22', in which the anti-rotation rib 39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is seated, is concave in the inner stepped portion of the insertion part 20.

상기 제1몸체(2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1)을 통과하여 적어도 그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몸체(27)는 상기 케이싱(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50)과 와이어(70)의 연결부분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몸체(26)는 사각기둥 형상인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As shown in FIG. 7,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body 26 protrudes through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second body 27 extends to the rear of the casing 10, It serves to surrou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erminal 50 and the wire 7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ody 26 has a square column shap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수납부(3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수납부(30)은 그 내부를 관통하여 안착공(31)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착공(31)과 연통되게 다수개의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3)은 상대 터미널의 커넥터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The accommodating part 3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receiving part 30 has a seating hole 31 penetrating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to communicate with the seating hole 31 . The through hole 63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insertion of the connector of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수납부(30)에는 걸이공(3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35)은 상기 수납부(30)의 후단 표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35)은 상기 수납부(30)의 내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데, 요홈형상이거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통공형태로 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공(35)은 터미널 리테이너(40)의 고정을 위한 구성요소이다.A hanging hole 35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0 . The hanging hole 35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 The hanging hole 35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30, and may have a concave shape or a through hole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k hole 35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terminal retainer 40 .

상기 수납부(30)의 선단 외면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단차부(37)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37)는 수납부(30)가 삽입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차부(37)에는 또한 회전방지리브(39)가 상기 수납부(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리브(39)는 상기 삽입부(20)의 리브홈(22')와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30)가 삽입부(20)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stepped portion 37 having a relatively smaller outer diameter than other portions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30 . The stepped portion 37 serves to regulate a position w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30 is installed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20 . An anti-rotation rib 39 is also formed in the step portion 3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30 . The anti-rotation rib 39 is fastened to the rib groove 22' of the insertion part 20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part 30 from rotating inside the insertion part 20.

터미널 리테이너(40)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50)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수납부(3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The terminal retainer 40 is a component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30 in a state where a terminal 5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thereon.

상기 터미널(50)에는 와이어(70)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70)는 피복(71)과 심선(72)으로 구성되고, 그 외면에는 케이블쉴드(73)가 결합되어 심선(72)이 돌출되는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자방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쉴드(73)로서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A wire 7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50 . The wire 70 is composed of a sheath 71 and a core wire 72, and a cable shield 73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thereof to prev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at may occur at a portion where the core wire 72 protrudes. do. A tape may be used as the cable shield 73.

고무 재질의 수축튜브(75)는 삽입부(20)의 제2몸체(27)와 와이어(70)를 동시에 감싸 심선(7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rubber shrink tube 75 serves to prevent the core wire 7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wrapping the second body 27 of the insertion part 20 and the wire 70 at the same time.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리테이너 몸체(41)의 양면에 다수개의 사이드 배리어(42)가 터미널 리테이너(4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배리어(4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안착부(42r)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42r)는 상기 터미널(50)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그 전후단와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다. 즉, 상기 리테이너 몸체(41)가 평평한 리테이너 바닥면을 형성하고 그 양단을 사이드 배리어(42)가 형성하여 터미널안착부(42r)가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의 외부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The terminal retainer 4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de barriers 42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retainer 40 on both sides of the overall rectangular retainer body 41 . At least on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is formed between the side barriers 42 .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is a portion where the terminal 50 is seated, and is a spac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ends and the top are open. That is, the retainer body 41 forms a flat retainer bottom surface and side barriers 42 are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forms a space open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retainer 40. .

상기 리테이너 몸체(41)는 상하부에 대칭적인 구조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리테이너 몸체(41)의 상부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그 하부에도 몸체를 가로지르는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동일한 구성이 적용된다.The retainer body 41 has a symmetrical structure in upper and lower part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tainer body 41, the same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as well, being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transverse axis crossing the body.

상기 리테이너 몸체(41)의 평평한 리테이너 바닥면에는 어떠한 돌출 구조체도 구비되지 않으며, 평평한 바닥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안착부(42r)에 터미널이 장착될 때 터미널과 터미널 안착부간에 체결을 위한 별도의 요소가 없다면 터미널(50)은 터미널 안착부(42r)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된다. 다만, 상기 리테이너 몸체(41)의 바닥면에 아무런 돌출 구조체가 존재하지 않아서 상기 터미널(50)이 터미널 안착부(42r)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통과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미널(50과 터미널 리테이너(40) 간에는 후술한 체결 구조가 구비된다.The flat retainer bottom surface of the retainer body 41 is not provided with any protruding structure, and forms a flat bottom surface. Therefore, when a terminal is mounted on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if there is no separate element for fasten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the terminal 50 can pass through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terminal 50 from pas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being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because no protruding structure exis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tainer body 41, A fastening structure described below is provided between the terminal 50 and the terminal retainer 40 .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50)은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의 각각의 터미널 안착부(42r)에 안착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3)의 쌍을 측면에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터미널(50)은 4개 구비되어 터미널 리테이너(40)의 대응하는 4개의 터미널 안착부(42r)에 안착되게 된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terminal 50 has a pair of protrusions 53 seated on each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of the terminal retainer 40 and protru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d in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6 , four terminals 50 are provided and seated on corresponding four terminal seating portions 42r of the terminal retainer 40 .

상기 터미널(50)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의 내부에 배치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 50 is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retainer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에서 상기 터미널(50)이 터미널 리테이너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의 사이드 배리어(42)는 상기 터미널(50)의 돌출부(53)의 쌍 중 하나의 돌출부(53)를 수용하는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lock the terminal 50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retainer 40 in the terminal retainer 40, the side barrier 42 of the terminal retainer 40 is formed of the protruding portion 53 of the terminal 50. A side barrier-side receiving groove 47 accommodating one of the protrusions 53 of the pair is provided.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은 상기 사이드 배리어(42)의 상측면(42u)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터미널 리테이너(40)의 터미널 안착부(42r)에 상기 터미널(50)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7 is open to the upper surface 42u of the side barrier 42 . Accordingly, insertion of the terminal 50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of the terminal retainer 40 is facilitated.

한편,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수납부(30)의 걸이공(35)에 걸어지는 걸이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retainer 40 is formed with a hook protrusion 44 that is hooked to the hook hole 35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터미널(50)은 전기적 체결을 이루게 될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터미널 몸체(51)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터미널 몸체(51)의 일측에는 터미널 단부(52)가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터미널 단부(52)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 체결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이다. Referring to FIG. 3 , the terminal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of a mating connector to be electrically coupled, and a terminal body 51 forms a skeleton. Terminal ends 52 are formed in pairs on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51, and the terminal ends 52 are components that electrically engage with the terminals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따라서 터미널 단부(52)는 측면으로 쌍을 이루도록 마주하여 배치된 터미널 본체(51)의 쌍에서 터미널 본체의 쌍이 서로 나란한 부분에서 터미널의 전방으로 갈수록 양 터미널 본체(51)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시작하는 제 1 변곡부(51b1)을 지나서 다시 터미널 본체(51)의 쌍 사이의 간격이 전반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기 시작하는 제 2 변곡부(51b)를 포함한다. Therefore, the terminal end 52 is located in a pair of terminal bodies 51 arranged facing each other to form a pair on the s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terminal bodies 51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ont of the terminal in the portion where the pair of terminal bodi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fter the first inflectional portion 51b1 that starts, a second inflectional portion 51b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s of terminal bodies 51 starts to become wider toward the first half is included.

상기 터미널 단부(52)의 쌍 간의 최종 간격은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가 상기 수납부(30) 내에 삽입되었을 때 터미널이 안착공(31) 내에 안착될 수 있는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The final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terminal ends 52 is preferably such that the terminal can be seated in the seating hole 31 when the terminal retainer 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30 .

상기 터미널 몸체(51)의 후단에는 도 1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와이어(70)가 결합되는 제 1 바렐(56) 및 제 2 바렐(57)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바렐(56)은 측면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터미널 몸체(51)의 쌍의 후단에 각각 배치되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바렐(57)은 측면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터미널 몸체(51)의 쌍의 최후단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바렐 및 제 2 바렐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감싸도록 구부러지게 되어 와이어와 견고하게 체결된다.At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body 51, a first barrel 56 and a second barrel 57 to which the wires 70 shown by broken lines in FIG. 1 are coupled are provided. The first barrel 56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pair of terminal bodies 51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and dispo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and the second barrel 57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They are arranged at the end of the pair of (51), but are staggered with each other. The first barrel and the second barrel are bent so as to surround the wire using a separate tool and are firmly fastened with the wire.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은 수용홈 바닥면(47d) 및 상기 수용홈 바닥면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배치되는 수용홈 측면(47s)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 측면(47s)은 상기 수용홈 바닥면(47d)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7 includes an accommodating groove bottom surface 47d and accommodating groove side surfaces 47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bottom surface. In this case, the receiving groove side surface 47s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receiving groove bottom surface 47d.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는 쌍을 이루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42)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배리어(4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terminal retainer 40 includes a partition barrier 45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barriers 42 .

상기 격벽 배리어(45)는 상기 터미널(50)의 돌출부(53)의 쌍 중 다른 돌출부를 수용하는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43)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43)의 상측에는 터미널 리테이너(40)의 터미널 안착부(42r)를 향하여 아래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 경사면부(43u)와 상기 경사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터미널 안착부를 향하여 아래로 갈수록 두께가 일정한 수직면부(43l)를 포함한다.The partition barrier 45 includes a partition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3 accommodating the other protrusion of the pair of protrusions 53 of the terminal 50 . On the upper side of the bulkhead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3, an inclined surface portion 43u, the thickness of which increases downward towar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of the terminal retainer 40, and a terminal seat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t includes a vertical surface portion 43l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s it goes downward.

상기 격벽 배리어(45)는 리테이너 몸체(41)의 후단부 측에 터미널(50)의 제 1 바렐(56) 및 제 2 바렐(57)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격벽 배리어(45)의 상측에는 터미널 리테이너(40)의 터미널 안착부(42r)를 향하여 아래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 격벽 배리어 경사면부(45u)와 상기 격벽 배리어 경사면부(45u)의 하측에 배치되어 터미널 안착부(42r)를 향하여 두께가 일정한 격벽 배리어 수직면부(45l)를 구비한다.The bulkhead barrier 45 has a terminal retainer on the upper side of the bulkhead barrier 45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first barrel 56 and the second barrel 57 of the terminal 50 on the rear end side of the retainer body 41 The bulkhead barrier inclined surface portion 45u, which becomes thicker as it goes downward towar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of (40), and is disposed below the bulkhead barrier inclined surface portion 45u and has a thickness towar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has a certain partition wall barrier vertical surface portion 45l.

상기 격벽 배리어 경사면부(45u) 및 상기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43)의 경사면부(43u) 사이에는 소정의 폭으로 터미널 안착부(42r)를 향하여 돌출된 격벽 중간 리브(45t)가 형성된다. Between the partition barrier inclined surface portion 45u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43u of the partition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3, a partition intermediate rib 45t protruding towar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with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한편, 상기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43)의 전방에는 격벽 전방 리브45f)가 배치된다. Meanwhile, a front rib 45f of the partition wall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tion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3.

상기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43)의 경사면부(43u)의 최상부의 두께는 상기 격벽 개리어 경사면부(45u)의 최상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격벽 중간 리브(45t)의 두께(터미널 리테이너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두께)는 상기 격벽 전방 리브(45f)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격벽 배리어 수직면부(45l)의 두께보다 더 두겁게 형성된다.The thickness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43u of the partition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3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partition barrier inclined surface part 45u.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intermediate rib 45t (thickn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retain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partition wall front rib 45f and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barrier vertical surface portion 45l. is formed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터미널(50)의 터미널 몸체(51)의 터미널 전방 리브(54)와 터미널 후방 리브(55) 사이에 배치된 돌출부(53)의 쌍은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에서 상기 사이드 배리어(42)의 상측면(42u)에 높이가 맞추어지도록 만곡된 돌출부 최상면(53t)을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53)는 상기 돌출부 최상면(53t)에서 소정의 각(α)으로 하향 만곡된다.5 and 6, the pair of protrusions 53 disposed between the terminal front rib 54 and the terminal rear rib 55 of the terminal body 51 of the terminal 50 accommodate the side barrier side. In the groove 47, the top surface 53t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curv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42u of the side barrier 42, respectively. Here, the protruding part 53 is curv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α from the uppermost surface 53t of the protruding part.

상기 돌출부 최상면(53t)의 높이가 사이드 배리어(42)의 상측면(42u)에 높이가 맞추가 지기 때문에 터미널 리테이너(40)에 터미널(50)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이드 배리어(42)의 상측면은 돌출부(53)가 도중에 개재되어 있더라도 평평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height of the uppermost surface 53t of the protrusion is matched to the upper surface 42u of the side barrier 42,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arrier 42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50 is mounted on the terminal retainer 40 Even if the silver protrusion 53 i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lat surface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터미널 전방 리브(54)는 터미널 리테이너(40)의 격벽 전방 리브(45f)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터미널 리테이너(40)에 터미널(50)이 장착된 상태에서 티미널 리테이너(40)의 상측면은 터미널(50)이 장착되더라도 평평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front rib 54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ulkhead front rib 45f of the terminal retainer 40, the terminal retainer 40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50 is able to maintain a flat surface even if it is mounted.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터미널(50)의 돌출부(53)의 쌍 중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는 터미널 몸체(51)의 터미널 바닥(51b)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몸체 수직부(51s)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돌출부 최상면(53t)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으로 하향 만곡되어 연장되되, 돌출부(53)의 최끝단부의 하측 에지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의 내부에 배치되되 수용홈 바닥면(47d)으로부터 소정의 높이(t1)만큼 이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among the pair of protrusions 53 of the terminal 50, the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7 extends upward from the terminal bottom 51b of the terminal body 51. It extends by being curv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uppermost surface 53t of the protrusion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51s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lower edge of the extreme end of the protrusion 53 is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7 ),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groove bottom surface 47d by a predetermined height t1.

여기서, 상기 돌출부(53)의 최단부는 사기 사이드 배리어(42)의 외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Here, the uppermost end of the protrusion 53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barrier 42 .

상기 터미널 돌출부(53)의 쌍 중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43)의 내부로 도룰되는 돌출부의 최끝단부이 상측 에지는 상기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43)의 경사면부(43u)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Among the pair of terminal protrusions 53, the upper edge of the uppermost end of the protrusion that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3 of the partition wall is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43u of th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3 of the partition wall are plac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조립하는 것과 사용하는 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rm of assembling and us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와이어(70)는 터미널(50)의 제 1 바렐(56) 및 제 2 바렐(57)에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70)가 결합된 터미널(50)은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에 조립된다. First, the wire 70 is coupled to the first barrel 56 and the second barrel 57 of the terminal 50 . The terminal 50 to which the wire 70 is coupled is assembled to the terminal retainer 40 .

상기 터미널(50)은 각각 상기 터미널안착부(42r)의 상방에서 상기 터미널안착부(42r)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상기 터미널 몸체(51)의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53)의 쌍 중 하나의 돌출부가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에 삽입되고 타측 돌출부는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43)에 삽입된다.Each of the terminals 5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from above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and one of the pair of protrusions 53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51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7 and the other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partition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3.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의 터미널안착부(42r)에 터미널(50)이 모두 안착되면,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를 상기 수납부(30)의 내부에 삽입한다. 상기 수납부(30)에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4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납부(30)는 상기 삽입부(20)의 수납부 수용공간(21)내에 삽입된다. When all of the terminals 50 are seated in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42r of the terminal retainer 40, the terminal retainer 4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With the terminal retainer 40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30 , the accommodating part 3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 of the insertion part 20 .

상기 수납부(30)를 상기 수납부 수용공간(21)으로 삽입하는 것은 상기 수납부(30)를 상기 상기 삽입부(20)의 제 2 몸체(27)측에서 제 1 몸체(26)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부(30)의 선단부의 단차부(37)는 상기 삽입부(20)의 내측단차부(미도시)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수납부(30)가 삽입부(20)의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Inserting the accommodating part 30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 inserts the accommodating part 30 from the second body 27 side of the insertion part 20 to the first body 26 side. done by doing The stepped portion 37 at the front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tepped portion (not shown) of the insertion portion 20 so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30 does not come out of the front of the insertion portion 20. will not be

상기 수납부(30)의 단차부(37)에 있는 상기 회전방지리브(39)는 상기 삽입부(20)의 리브홈(22')에 안착되어 수납부(30)가 삽입부(20)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The anti-rotation rib 39 in the stepped part 37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is seated in the rib groove 22' of the insertion part 20 so that the accommodating part 30 is inside the insertion part 20. do not rotate in

상기와 같이 조립이 되면 상기 삽입부(20)의 외부로는 상기 와이어(70)가 돌출되어 연장된다. 상기 삽입부(20)의 제 2 몸체(27)와 와이어(70)를 동시에 둘러싸서 감도록 수축튜브(75)를 설치한다. 상기 수축튜브(75)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When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wire 70 protrudes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part 20 . A shrink tube 75 is installed to surround and wind the second body 27 and the wire 70 of the insertion part 20 at the same time. The shrink tube 75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삽입부(20)를 상기 케이싱(10)의 수납공간(11) 내에 삽입한 후에는, 상기 조립클립(90)을 상기 케이싱(10) 내에 삽입하여 삽입부(20)가 케이싱(10)에 고정되어 결합되게 한다.After the insertion part 2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 of the casing 10, the assembly clip 90 is inserted into the casing 10 so that the insertion part 20 is attached to the casing 10. fixed and connected.

이와 같이 조립되는 커넥터에는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데,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은 상기 수납부(30)의 관통공(33)을 통해 수납부(30) 내에 안착되어 있는 터미널(50)의 터미널 단부(52)에 결합된다.A corresponding mat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assembled in this way, and the mating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is the terminal end of the terminal 50 se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0 through the through hole 33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52).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응되되 구체적으로는 구별되는 구성요소에는 ' 기호를 부여하여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mounted on a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of FIG. 8 .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7 , specifically, distinct components are shown by giving 'symbols.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사이드 배리어의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은 수용홈 바닥면(47d')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수용홈 측면(47s')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홈 바닥면(47d') 높이에서의 상기 수용홈 측면(47s')의 쌍 간의 거리(d1)는 상기 수용홈(47')의 상측 개방부 높이에서의 수용홈 측면(47s') 간의 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서로 마주하는 수용홈 측면(47s') 간의 거리는 수용홈의 상측 개방부에서 최소로 된다.8 and 9,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47' of the side barrier has a pair of accommodating groove side surfaces 47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groove bottom surface 47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pair of accommodating groove side surfaces 47s' at the height of the accommodating groove bottom surface 47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accommodating groove side surfaces 47s' at the upper opening height of the accommodating groove 47'. It is formed larger than (d2).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side surfaces 47s' facing each other is minimized at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수용홈(47')이 상측 개방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성으로 되기 때문에 일단 수용홈에 삽입된 돌출부(53')는 수용홈 내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accommodating groove 47'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opening, the protrusion 53' onc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can be firmly maintain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여기서,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47')에 수용되는 돌출부(53')는 상기 수용홈 측면(47s')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된 돌출부 측면(53s')을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부(53')의 돌출부 최상면(53t')은 사이드 배리어의 상측면(42u')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평평한 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터미널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힘을 받더라도 수용홈의 형상으로 인하여 터미널은 수용홈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도 안정적으로 파지되고 상측 방향으로도 들어올려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Here, the protruding part 53' accommodated in the side barrier side accommodating groove 47' has a protruding part side surface 53s' complementary to the accommodating groove side surface 47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uppermost surface 53t' of the protrusion 53'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42u' of the side barrier to form a flat surface. Therefore, even if the terminal is subjected to upward lifting force, due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terminal is stably hel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receiving groove and is stably maintained without being lifted upward.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리테이너에 터미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응되되 구체적으로는 구별되는 구성요소에는 " 기호를 부여하여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mounted on a terminal re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FIG. 10,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7 , but specifically differentiated components are illustrated by giving " symbols. Redundant descriptions of components identical to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돌출부(53")의 쌍 중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에 수용되는 돌출부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되,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관통하여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의 외부에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의 수용홈 측면 간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 연장편(53e")을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연장편(53e")의 사이에는 보이드 홈(53c")이 구비된다.Among the pair of protrusions 53″, the protrusions accommodated in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s extend through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s, and pass through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s to the outside of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s. It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 extension pieces 53e"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s of th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 void groove 53c"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 extension pieces 53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 연장편(53e")의 최끝단부의 하측 에지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 바닥보다 소정의 높이(t2)만큼 낮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2, the lower edge of the most distal end of the protrusion extension 53e″ passes through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nd is disposed lower than the accommodating groov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t2.

돌출부(53")의 돌출부 최상면(53t")은 사이드 배리어의 상측면(42u")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The uppermost surface 53t" of the protruding portion 53"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42u" of the side barrier.

상기 돌출부(53")는 사이드 배리어의 수용홈올 관통하여 연장되되 최끝단부에 연장편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가 수용홈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체결된 상태에 대한 시작적 표시가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The protrusion 53 "extends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ide barrier, but has an extension piece formed at the extreme en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53" can be stably maintained in place without unintentionally leaving the receiving groove, and in a fastened state. The visual indications for .

이건 발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건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건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이건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is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cluded in

해석과 관련하여, 이건 발명은 이건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Regarding interpreta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a modified form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invention.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건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차이점은 이건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sense. The scope of this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is invention.

자체적 의미가 특별히 이건 발명에서 정의되지 않은 용어의 경우 일반적인 의미로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균등적 범위의 다른 용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a term whose meaning is not particul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in a general sense,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terms in an equivalent range.

100: 커넥터
10: 케이싱 11: 수납공간
20: 삽입부 21: 수납부 수용공간
30: 수납부 31: 안착공
40: 터미널 리테이너 41: 리테이너 몸체
42: 사이드 배리어 42r: 터미널 안착부
50: 터미널
52: 터미널 몸체 51b1: 제 1 변곡부
51b2: 제 2 변곡부 52: 터미널 단부
53, 53', 53": 돌출부 53t, 53t', 53t": 돌출부 최상면
100: connector
10: casing 11: storage space
20: insertion part 21: storage part receiving space
30: storage unit 31: seating hole
40: terminal retainer 41: retainer body
42: side barrier 42r: terminal seating part
50: terminal
52: terminal body 51b1: first inflection part
51b2: second inflection part 52: terminal end
53, 53', 53": projection 53t, 53t', 53t": top surface of projection

Claims (11)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수납공간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안착공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리테이너 몸체의 양측면에 수납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이드 배리어가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안착부를 구비하는 터미널 리테이너;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각각의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의 쌍을 측면에 구비하는 터미널로서,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에서 상기 터미널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의 사이드 배리어는 상기 터미널의 돌출부의 쌍 중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리테이너는 쌍을 이루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배리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격벽 배리어는 상기 터미널의 돌출부의 쌍 중 다른 돌출부를 수용하는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으로서, 상측에는 터미널 리테이너의 터미널 안착부를 향하여 아래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터미널 안착부를 향하여 아래로 갈수록 두께가 일정한 수직면부를 포함하는, 격벽 배리어측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 casing form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asing;
a storage unit installed inside the insertion unit and having a seating hole formed therein;
a terminal retainer inserted into the housing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terminal seat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by side barrie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tainer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unit;
A terminal seated on each terminal seat of the terminal retainer and having a pair of projections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ide surfa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retainer; contains,
In order to block the terminal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erminal retainer, the side barrier of the terminal retainer includes a side barrier-side receiving groove accommodating one of a pair of protrusions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retainer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barriers,
The partition barrier is a partition barrier-side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other protrusion of the pair of protrusions of the terminal, and the upper side is disposed on an inclined surface portion that becomes thicker towar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of the terminal retainer and on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tition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including a vertical surface portion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s it goes downward towar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은 상기 사이드 배리어의 상측면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is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ope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arri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은 수용홈 바닥면 및 상기 수용홈 바닥면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배치되는 수용홈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barrier side accommodating groove includes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측면은 상기 수용홈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측면은 상기 수용홈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되,
서로 마주하는 수용홈 측면 간의 거리는 상기 수용홈의 상측 개방부에서 최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Th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facing each other is minimized at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에 수용되는 돌출부는 상기 수용홈 측면에 상보적인 돌출부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5,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has a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complementary to a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쌍은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에서 상기 사이드 배리어의 상면에 높이가 맞추어지도록 만곡된 돌출부 최상면을 각각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 최상면에서 소정의 각으로 하향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protrusions each have a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that is curv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arrier in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The protruding portion is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curv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의 쌍 중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에 수용되는 돌출부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되,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관통하여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의 외부에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의 수용홈 측면 간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Among the pair of protrusions, the protrusion accommodated in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extends through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penetrates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nd is outside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protrusion extensions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연장편의 사이에는 보이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9,
A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a void groove is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 extension piec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연장편의 단부는 상기 사이드 배리어측 수용홈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 바닥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end of the extension piece of the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side barrier-side accommodating groove and is disposed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groove.
KR1020210000450A 2021-01-04 2021-01-04 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 KR102471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50A KR102471700B1 (en) 2021-01-04 2021-01-04 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50A KR102471700B1 (en) 2021-01-04 2021-01-04 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591A KR20220098591A (en) 2022-07-12
KR102471700B1 true KR102471700B1 (en) 2022-11-28

Family

ID=8241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450A KR102471700B1 (en) 2021-01-04 2021-01-04 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70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4444A (en) * 2010-10-13 201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268U (en) * 1992-10-21 1994-05-13 住友電装株式会社 Joint connector
KR20090059869A (en) *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older and connector therewith of a car
KR101094394B1 (en) * 2009-12-18 2011-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JP6228776B2 (en) * 2013-07-29 2017-11-08 矢崎総業株式会社 Holder assembly for relay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4444A (en) * 2010-10-13 201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591A (en)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7009B2 (en)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n insulating tongue with a combining area for accommodating combining portions of a plurality of contacts
US10050395B2 (en) Cable for electrical power connection
JP5903726B2 (en)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having the cable connector
JP4651521B2 (en) Shield case for connectors
JP3122673U (en) Card connector device
EP0519264A2 (en) Electrical connector
EP2184810A1 (en) Board connector
JPS62246277A (en) Electric connector
EP2304853B1 (en) High density rectangular interconnect
JP2017195202A (en) Plug connection device
EP1209776B1 (en) Modular jack
EP0723312A2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1067140A1 (en)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KR102471700B1 (en) Connector for Signal Transmassion
US9929480B1 (en) Shielded keystone jack structure
KR101094394B1 (en) Connector
JP3127884U (en) Electrical connector
CN210985007U (en) Electric connector
KR101257806B1 (en) Connector assembly
CN100359759C (en) Moulded sheet for electric cable end
KR200471031Y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100532146B1 (en) Docking-style intermediate connector
JP2014209437A (en) Socket housing for socket connector, and base housing for base connector
KR200410968Y1 (en) a connector
CN215266941U (en) Electric connect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