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19B1 -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19B1
KR102471619B1 KR1020220052966A KR20220052966A KR102471619B1 KR 102471619 B1 KR102471619 B1 KR 102471619B1 KR 1020220052966 A KR1020220052966 A KR 1020220052966A KR 20220052966 A KR20220052966 A KR 20220052966A KR 102471619 B1 KR102471619 B1 KR 10247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plink data
resource allocation
base st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8518A (en
Inventor
김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5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19B1/en
Publication of KR2022005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04L12/1407Policy-and-charging control [PCC]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후순위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기지국으로부터 USS(UE-specific search space)를 통해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른 후순위 UE들과의 관계에서 경쟁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pecifically,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by one or more processors of a lower priority user equipment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igher priority user terminal and a lower priority user terminal. As,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messages related to UE performance to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transmitted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Check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RB allocate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UE-specific search space (USS); and if the number of symbols occupied by the first RB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transmitting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contention in relation to other lower-priority UEs.

Figure 112022045885334-pat00011
Figure 112022045885334-pat00011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의 요금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기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adio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adio resources based on priorities determined according to user rate plan information.

무선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IDMA (Interleav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and data. In general,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 multiple access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multiple users by sharing available system resources (bandwidth, transmission power, etc.). Examples of the multiple access system includ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system,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system, and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ystem. ,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IDMA (Interleav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nd the like.

본 명세서는,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가장 작게 결정함으로써, 후순위 UE들의 최소 사용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implement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the minimum resource used by the lower priority UEs by determining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the lower priority UEs.

본 명세서는, 기지국이 각 슬롯에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후순위 UE들에게 할당하여 후순위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경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mplements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adio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base station allocates at least some resources to lower-ranking UEs in each slot so that contention-bas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only between lower-ranking users. The purpose.

본 명세서는,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사업에서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mplements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roviding better data quality than unlicensed band-based technology by adding the concept of a lower-priority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business using a licensed band. aims to do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후순위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기지국으로부터 USS(UE-specific search space)를 통해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른 후순위 UE들과의 관계에서 경쟁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by one or more processors of a lower priority user equipment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igher priority user equipment and a lower priority user equipment, and the UE performance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messages related to to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transmitted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Check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RB allocate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UE-specific search space (USS); and if the number of symbols occupied by the first RB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transmitting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contention in relation to other lower-priority UEs.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station, BS)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후순위 UE들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최소 심볼 수들 중 가장 작은 것으로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는 후순위 UE에게 할당될 제1 RB 수임; 및 제1 RB 수를 하나 이상의 후순위 UE들에 할당하고, 제1 RB 수를 제외한 제2 RB 수를 선순위 UE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by one or more processors of a base station (B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igher priority user terminal and a lower priority user terminal, wherein one or more lower priority UEs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from; determining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a lower-priority UE as the smallest of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received, wherein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the lower-priority UE is the number of first RBs to be allocated to the latter; and allocating the first number of RBs to one or more lower-priority UEs and allocating a second number of RBs excluding the first number of RBs to the higher-priority U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는,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가장 작게 결정함으로써, 후순위 UE들의 최소 사용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minimize the minimum resource used by the lower priority UEs by determining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the lower priority UE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서, 기지국은 각 슬롯에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후순위 UE들에게 할당하여 후순위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경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se station allocates at least some resources to lower priority UEs in each slot so that contention-bas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is performed only between lower priority user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사업에서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provide better data quality than unlicensed band-based technology by adding the concept of a lower-priority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business using a licensed band.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무선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escrib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1 shows an example of the overall system structure of NR to which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2 shows an example of a frame structure in the NR system.
3 shows an example of a resource grid support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4 shows an example of a self-contained structure to which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and 7 are flowcharts of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this specification.
9 illustrates a wireless device applicable to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one skilled in the art recognize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In some cases,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core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general NB, generation N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has a meaning as a terminal node of a network that directly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A specific operatio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base station in this document may be performed by an upper node of the base station in some cases. That is, it is obvious that various operations performed for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in a network composed of a plurality of network nodes including a base st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or other network nodes other than the base station. A 'base station (BS)' is a fixed station, Node B, evolved-NodeB (eNB),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ccess point (AP), general NB (gNB, generation NB) may be replaced by terms such as In addition, a 'terminal'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include user equipment (UE), mobile station (MS), user terminal (UT),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subscriber station (SS), and AMS ( Advanced Mobile Station), wireless terminal (WT), 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device, machine-to-machine (M2M) device, device-to-device (D2D) device, and the like.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Hereinafter, downlink (DL) means communication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and uplink (UL) means communication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 downlink, a transmitter may be part of a base station and a receiver may be part of a terminal. In uplink, a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a terminal and a receiver may be a part of a base statio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Specific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these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in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The following technologies are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 It can be used in various wireless access systems such as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CDMA may be implemented with a radio technology such as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or CDMA2000. TDMA may be implemented with a radio technology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OFDMA may be implemented with radio technologies such as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and evolved UTRA (E-UTRA). UTRA is part of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is a part of evolved UMTS (E-UMTS) that uses E-UTRA and adopts OFDMA in downlink and SC-FDMA in uplink. LTE-A (advanced) is an evolution of 3GPP LT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standard documents disclosed in at least one of IEEE 802, 3GPP, and 3GPP2, which are wireless access systems. That is, steps or parts not described to clearly revea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the above documents. In addition, all terms disclosed in this document can be explained by the standard document.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NR(New RAT)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clarity of explanation, 3GPP LTE/LTE-A/NR (New RAT) is mainly described, bu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스마트폰(smartphone) 및 IoT(Internet Of Things) 단말들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통신 망을 통해 주고받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에서는 기존의 통신 시스템(또는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예: 향상된 이동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As the spread of smart phones and Internet Of Things (IoT) terminals is rapidly spread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s increasing. Accordingly, in the next-generation radio access technology, an environment that provides faster service to more users than the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or existing radio access technology) (e.g., 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 needs to be considered.

이를 위해, 다수의 기기들 및 사물(object)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의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통신의 신뢰성(reliability) 및/또는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service) 및/또는 단말(terminal) 등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예: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의 디자인도 논의 되고 있다.To this end, a design of a communication system consider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which provides a servic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evices and objects, is being discussed. In addition, the design of a communication system (e.g.,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considering services and/or terminals that are sensitive to communication reliability and/or latency are being discussed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은 NR(New RAT, Radio Access Technology)로 지칭되며, 상기 NR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NR 시스템으로 지칭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next-generation radio access technology is referred to as New RAT (Radio Access Technolog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NR is applied is referred to as an NR system.

용어 정의term definition

eLTE eNB: eLTE eNB는 EPC 및 NGC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eNB의 진화(evolution)이다.eLTE eNB: eLTE eNB is an evolution of eNB that supports connectivity to EPC and NGC.

gNB: NGC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NR을 지원하는 노드.gNB: A node that supports NR as well as connectivity with NGC.

새로운 RAN: NR 또는 E-UTRA를 지원하거나 NGC와 상호 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w RAN: A radio access network that supports NR or E-UTRA or interacts with NGC.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종단 간 범위와 함께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특정 시장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operator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Network slice: A network slice is a network defined by an operator to provide an optimized solution for a specific market scenario that requires specific requirements along with end-to-end coverage.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네트워크 기능은 잘 정의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잘 정의된 기능적 동작을 가진 네트워크 인프라 내에서의 논리적 노드.Network function: A network function is a logical node within a network infrastructure that has a well-defined external interface and well-defined functional behavior.

NG-C: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NG-C: Control plane interface used for NG2 reference point between new RAN and NGC.

NG-U: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NG-U: User plane interface used for NG3 reference point between new RAN and NGC.

비 독립형(Non-standalone) NR: gNB가 LTE eNB를 EP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거나 또는 eLTE eNB를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는 배치 구성.Non-standalone NR: A deployment configuration in which a gNB requires an LTE eNB as an anchor for control plane connection to EPC or an eLTE eNB as an anchor for control plane connection to NGC.

비 독립형 E-UTRA: eLTE eNB가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gNB를 요구하는 배치 구성.Non-Standalone E-UTRA: A deployment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TE eNB requires the gNB as an anchor for control plane connectivity to the NGC.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 NG-U 인터페이스의 종단점.User Plane Gateway: The endpoint of the NG-U interface.

시스템 일반system general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1 shows an example of the overall system structure of NR to which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NG-RAN consists of NG-RA user plane (new AS sublayer / PDCP / RLC / MAC / PHY) and gNBs that provide control plane (RRC) protocol termination for User Equipment (UE). do.

상기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The gNBs are interconnected through an Xn interface.

상기 g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The gNB is also connected to the NGC through an NG interface.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gNB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the gNB is connected to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through an N2 interface and to a User Plane Function (UPF) through an N3 interface.

NR(New Rat) 뉴머롤로지(Numerology) 및 프레임(frame) 구조NR (New Rat) numerology and frame structure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또는, μ )으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A number of numerologies can be supported in the NR system. Here, the numerology may be defined by subcarrier spacing and CP (Cyclic Prefix) overhead. In this case, the multiple subcarrier spacing can be derived by scaling the basic subcarrier spacing by an integer N (or μ ). Also, although it is assumed that very low subcarrier spacing is not used at very high carrier frequencies, the numerology used can be selected independently of the frequency band.

도 2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2 shows an example of a frame structure in the NR system. Figure 2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μ=2인 경우, 즉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이 60kHz인 경우의 일례로서, 1 서브프레임(또는 프레임)은 4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1 서브프레임={1,2,4} 슬롯들은 일례로서, 1 서브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스롯(들)의 개수는 미리 제공된 테이블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μ = 2, that is, when the subcarrier spacing (SCS) is 60 kHz, 1 subframe (or frame) may include 4 slots, and 1 subframe shown in FIG. 2 = As an example, {1,2,4} slots, the number of slot(s) that can be included in one subframe may be defined based on a table provided in advance.

미니-슬롯(mini-slot)은 2, 4 또는 7 심볼(symbol)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심볼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A mini-slot may consist of 2, 4 or 7 symbols, or may consist of more or fewer symbols.

NR 시스템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캐리어 파트(carrier part) 등이 고려될 수 있다.Regarding physical resources in the NR system, an antenna port, a resource grid, a resource element, a resource block, a carrier part, etc. can be considered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물리 자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hysical resources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NR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안테나 포트와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쉬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First, with respect to the antenna port, the antenna port is defined such that the channel on which a symbol on the antenna port is carried can be inferred from the channel on which other symbols on the same antenna port are carried. If the large-scale properties of the channel on which the symbols on one antenna port are carried can be inferred from the channel on which the symbols on the other antenna port are carried, then the two antenna ports are quasi co-located or QC/QCL (quasi co-located or quasi co-location). Here, the wide range characteristic includes one or more of delay spread, Doppler spread, frequency shift, average received power, and received timing.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다.3 shows an example of a resource grid support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도 3을 참고하면, 자원 그리드가 주파수 영역 상으로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1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2μ 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resource grid on the frequency domain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1
It is composed of subcarriers, and one subframe is composed of 14·2μ OFDM symbols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NR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transmitted signal)는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2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그리드들 및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3
의 OFDM 심볼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4
이다. 상기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5
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이는, 뉴머롤로지들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도 달라질 수 있다.In the NR system, the transmitted signal is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2
one or more resource grids composed of subcarriers and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3
It is described by the OFDM symbols of From here,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4
to be. remind
Figure 112022045885334-pat00005
represents the maximum transmission bandwidth, which may vary between uplink and downlink as well as numerologies.

Self-contained 구조Self-contained structure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구조는 상향링크(Uplink, UL)와 하향링크(Downlink, DL)를 하나의 슬롯(slot)(또는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모두 처리하는 구조이다. 이는,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조는 self-contained 구조 또는 self-contained 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A Time Division Duplexing (TDD) structure considered in the NR system is a structure that processes both Uplink (UL) and Downlink (DL) in one slot (or subframe). This is to minimize latency of data transmission in a TDD system, and the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a self-contained structure or a self-contained slot.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4 shows an example of a self-contained structure to which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Figure 4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legacy LTE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전송 단위(예: 슬롯,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가정된다.Referring to FIG. 4, as in the case of legacy LTE, it is assumed that one transmission unit (eg, slot, subframe) is composed of 14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s.

도 4에서, 영역 602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down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하고, 영역 604는 상향링크 제어 영역(up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한다. 또한, 영역 602 및 영역 604 이외의 영역(즉, 별도의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의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In FIG. 4 , region 602 denotes a downlink control region, and region 604 denotes an uplink control region. In addition, areas other than areas 602 and 604 (ie, areas not separately indicated) may be used for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or uplink data.

즉,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데이터(data)의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That is,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in one self-contained slo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ata, uplink data or downlink data may be transmitted in one self-contained slot.

도 4에 나타난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및 상향링크 ACK/NACK의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When us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downlink transmission and uplink transmission proceed sequentially within one self-contained slot, and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and reception of uplink ACK/NACK may be performed.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재전송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달과 관련된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a data transmission error occurs, the time required for data retransmission may be reduced. Through this, delay associated with data delivery can be minimized.

도 4와 같은 self-contained 슬롯 구조에서, 기지국(eNodeB, eNB, gNB) 및/또는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이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서 수신 모드(reception mode)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위한 시간 갭(time gap)이 요구된다. 상기 시간 갭과 관련하여, 상기 self-contained 슬롯에서 하향링크 전송 이후에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일부 OFDM 심볼(들)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self-contained slot structure as shown in FIG. 4, a process of switching a base station (eNodeB, eNB, gNB) and/or a terminal (UE (User Equipment)) from a transmission mode to a reception mode Alternatively, a time gap for a process of switching from a reception mode to a transmission mode is required. Regarding the time gap, when uplink transmission is performed after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self-contained slot, some OFDM symbol(s) may be set as a guard period (GP).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 슬롯에서 앞 부분의 심볼에는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정보를 갖는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과 단말이 각각 확인하는 UE-지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 UESS 또는 USS)이 포함된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mmon search space (CSS) having information broadcast by a base station in a symbol at the front of each slot and a UE-specific search space (UE-specific search space) checked by a terminal, respectively. space, UESS or USS).

공통 검색 공간에는 단말로 전송될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고, UE-지정 검색 공간에는 해당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스케줄링은 RB(resource block) 단위로 이루어지며, 기지국은 단말 당 하나 이상의 RB를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UE-지정 검색 공간에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RB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on search space includes system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the UE-specified search space includes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Here, scheduling is performed in units of resource blocks (RBs), and the base station may allocate one or more RBs per UE. When schedul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UE-specified search space, the UE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corresponding RB.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는 Wi-Fi에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서, 데이터 전송 이전에 데이터 전송을 희망하는 2 이상의 단말들이 서로 경쟁하는 경쟁 윈도우를 제공한다. 이때, 2 이상의 단말들 중 제공된 경쟁 윈도우에서 선택된 단말만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is a random access method used in Wi-Fi, and provides a contention window in which two or more terminals desiring data transmission compete with each other before data transmission. At this time, only the terminal selected from the provided contention window among two or more terminals may perform data transmission.

한편,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증된 단말에게 기지국이 개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데이터를 지정해주는 방식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일부 RB을 W-Fi처럼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공유하고, 무선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it was a method in which a base station designates data to be individually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n authent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an share some RBs like W-Fi and use radio resources more efficientl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는, 각 슬롯에서 일부 리소스를 후순위 사용자 단말들에게 할당하고, 할당된 후순위 사용자 단말들끼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경쟁을 수행하도록 한다.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llocates some resources to lower-priority user terminals in each slot, and allows the allocated lower-priority user terminals to compet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기존의 비면허 대역 통신의 경우에는 다른 기술과 동일한 대역을 공유하므로, 데이터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는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새로운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xisting unlicensed band communication, since it shares the same band as other technologie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data quality. However,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adding a new concept of 'lower-priority user' to the communication service, better data quality can be provided compared to technology based on unlicensed bands.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서, 도 5를 참조하여, ‘선순위 사용자’, ‘후순위 사용자’, ‘선순위 UE’, 및 ‘후순위 UE’에 대한 용어를 정의한다.Hereinafter,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and 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referring to FIG. Terms for 'priority UE' and 'subordinate UE' are defined.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무선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선순위 사용자 및 후순위 사용자 : 선순위 사용자 및 후순위 사용자는 고객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된다. 일 예로, 고객 정보는 통신사를 통해 가입된 고객 코드(예를 들어, 고객 ID) 및/또는 요금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순위 사용자는 기존의 제공되는 5G(NR) 통신 요금제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후순위 사용자는 경쟁적 통신 요금제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여기서, 경쟁적 통신 요금제는 경쟁 윈도우에서 서로 경쟁하여 선택된 단말만이 데이터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위한 요금제를 말한다. - Priority users and subordinate users: Priority users and subordinate users are classified based on customer information. For example, customer information may include a customer code (eg, customer ID) subscribed through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and/or rate plan information. Priority users refer to users using existing 5G (NR) communication plans, and subordinate users refer to users using competitive communication plans. Here, the competitive communication rate plan refers to a rate plan fo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in which only selected terminals compete with each other in a competition window for data communication.

- 선순위 UE(10) 및 후순위 UE(20) : 선순위 UE(10)는 선순위 사용자의 요금제 정보로 식별된 단말을, 후순위 UE(20)는 후순위 사용자의 요금제 정보로 식별된 단말을 말한다. 요금제 정보는 5G 코어 장비들 중 PCF(policy and charging function)에 미리 등록된다. 기지국(30)은 PCF에 저장된 요금제 정보에 기반하여 접속된 UE의 사용자를 선순위 사용자 또는 후순위 사용자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30)은 각각의 UE이 5G 기지국(30)에 접속되는 것에 응답하여 접속된 UE를 선순위 UE(10) 또는 후순위 UE(20)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할 수 있다.- Priority UE 10 and Subordinate UE 20: The senior UE 10 refers to a terminal identified by the rate plan information of the senior user, and the junior UE 20 refers to a terminal identified by the rate plan information of the subordinate user. Rate plan information is pre-registered in PCF (policy and charging function) among 5G core equipment. The base station 30 may determine the user of the connected UE as either a higher-priority user or a lower-priority user based on the rate plan information stored in the PCF.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30 may classify the connected UE as either a higher priority UE 10 or a lower priority UE 20 in response to each UE being connected to the 5G base station 30 .

여기서, 선순위 UE(10)와 후순위 UE(20)의 무선신호 요구사항은 서로 동일하다. 일 예로, 선순위 UE(10)와 후순위 UE(20)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세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Here, the radio signal requirements of the higher priority UE 10 and the lower priority UE 20 are the same. For example, the maximum transmit power of the higher priority UE 10 and the lower priority UE 20 may be equal to each other.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순위 사용자 단말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30)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5 and 6 are flowcharts of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flowchart of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by a lower-priority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of a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by the base station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후순위 UE(20)가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NR)에 접속(Registration)하는 것에 응답하여 UE 성능(UE Capability)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30)에 전송할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 5 , the processor of the lower priority UE 20 transmits at least among messages related to UE capability in response to the lower priority UE 20 accessing a network (eg, 5G NR) (Registration). One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30 (S110).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는, 이후, 기지국(30)에서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하기 위한 기저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30)은 접속된 다수의 후순위 UE(20)들로부터 각각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들에 기반하여 가장 작은 최소 심볼 수로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messages related to UE capability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Here, the information on the minimum number of transmitted symbols may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the UE 20 at the base station 30 .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ed lower-priority UEs 20, an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the smallest number of symbols may be received.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may determine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the subsequent UE 20.

다시 말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후순위 UE(20)들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들 중 가장 작은 심볼 수로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the lower priority UE 20 is set to the smallest number of symbols among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each data transmiss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lower priority UEs 20. can decide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USS를 통해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20). The processor of the lower priority UE 20 may check information on the first RB allocated to the lower priority UEs 20 through the USS (S120).

일 례로,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매 슬롯마다 후순위 UE(20)를 위한 USS를 통해 현재의 슬롯에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RB에 대한 정보는 후순위 제1 RB 수 및/또는 후순위 UE(20)들이 경쟁할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of the lower priority UE 20 may check information on the first RB allocated to the current slot through the USS for the lower priority UE 20 in every slot. Here,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RB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econd-order first RBs and/or a contention window in which the second-order UEs 20 compete.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된 제1 RB 수는 기지국(30)에 의해 결정된다. 일 예로, 선순위 UE(10)는 후순위 UE(20)의 존재 여부와 관계 없이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지만, 후순위 UE(20)는 직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 의해 사용된 RB 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제1 RB 수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이때, 선순위 UE(10)들에 의해 사용된 RB 수가 많을수록 후순위 UE(20)들에 할당될 제1 RB 수는 더 적게 결정될 수 있다.The number of first RBs allocated to the lower priority UEs 20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30 . For example, the higher priority UE 10 may operate the same regardless of whether the lower priority UE 20 exists, but the lower priority UE 20 operates based on the number of RBs used by the higher priority UE 10 in the previous TTI. Thus, the determined number of first RBs may be allocated. In this case, as the number of RBs used by the higher priority UEs 10 increases, the number of first RBs to be allocated to the lower priority UEs 20 may decrease.

전체 RB 수 중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된 제1 RB 수를 제외한 나머지 제2 RB 수는 선순위 UE(10)를 위해 할당된다.Among the total number of RBs, the number of second RBs excluding the number of first RBs allocated to the lower priority UEs 20 is allocated to the higher priority UEs 10 .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제1 RB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작으면, 현재 TTI에서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S130:YES, S140a).If the number of symbols occupied by the first RB is less than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RB, the processor of the lower priority UE 20 may terminate the operation in the current TTI (S130: YES, S140a).

또한,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른 후순위 UE(20)들과의 관계에서 경쟁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3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0:NO, S140b).In addition, if the number of symbols occupied by the first RB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the processor of the lower priority UE 20 transmits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30 based on contention in relation to other lower priority UEs 20. ) (S130: NO, S140b).

이처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가장 작게 결정함으로써, 후순위 UE(20)들의 최소 사용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such,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inimize the minimum used resource of the lower priority UEs 20 by determining the smallest number of symbols for the lower priority UEs 20 .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기지국(30)은 각 슬롯에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하여 후순위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경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se station 30 allocates at least some resources to the lower priority UEs 20 in each slot so that contention-bas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erformed only between the lower priority user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사업에서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provide better data quality than unlicensed band-based technology by adding the concept of a lower-priority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business using a licensed band.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30)은 후순위 UE(20)들로부터 UE 성능(UE Capability)에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6 , the base station 30 may receive messages related to UE capabilities from lower priority UEs 20 (S21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에 각각 포함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들을 확인할 수 있다(S220).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may check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data transmission included in each of the messages related to the received UE performance (S22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확인된 최소 심볼 수들을 비교하여, 그들 중 가장 작은 것으로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할 수 있다(S230).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may compare the checked minimum number of symbols and determine the minimum number of symbols for the subsequent UE 20 with the smallest of them (S23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현재의 TTI에서 후순위 UE(20)에게 할당할 제1 RB 수를 결정할 수 있다(S240).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first RBs to be allocated to the lower priority UE 20 in the current TTI (S240).

일 예로, 기지국(30)은 직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 의해 사용된 RB 수에 기반하여 후순위 UE(20)들에 할당될 제1 RB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선순위 UE(10)들에 의해 사용된 RB 수가 많을수록 후순위 UE(20)들이 사용할 제1 RB 수는 더 적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RB 수는 후순위 UE(20)를 위한 최대 제1 RB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당된다.For example, the base station 3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first RBs to be allocated to the lower priority UEs 20 based on the number of RBs used by the higher priority UE 10 in the previous TTI. In this case, as the number of RBs used by the higher priority UEs 10 increases, the lower number of first RBs to be used by the lower priority UEs 20 may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first RBs is allocated so as not to exceed the maximum number of first RBs for the lower priority UE 20 .

이후에, 결정된 제1 RB에 대한 정보는 USS를 통해 후순위 UE(20)로 전송된다. Subsequently,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first RB is transmitted to the lower priority UE 20 through the USS.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현재의 TTI에서 전체 RB 수 중에서 제1 RB 수를 제외한 나머지 제2 RB 수를 선순위 UE(10)를 위해 할당할 수 있다(S250).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may allocate the remaining number of second RBs excluding the number of first RBs from among the total number of RBs in the current TTI to the priority UE 10 (S25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일명, t 번째 TTI)에서 할당될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일명, t-1 번째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S260). 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calculates the second RB actually used by the prior UE 10 in the current TTI (aka, t-1 th TTI) compared to the number of second RBs to be allocated in a later TTI (aka, t-th TTI) The ratio of numbers can be calculated (S26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과 미리 제공된 하나 이상의 임계 값에 기반하여, 이후의 TTI에서 실제로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S270).Based on the ratio of the original number of second RBs to be allocated in the next TTI to the number of second RBs actually used by the priority UE 10 in the current TTI and one or more threshold values provided in advance, 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determines, A predetermined value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new second RBs to be actually allocated in a subsequent TTI may be calculated (S270).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이 업-임계 값(Up-Threshold value) 보다 크거나 같으면, 이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게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determines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second RBs actually used by the priority UE 10 in the current TTI to the original number of second RBs to be allocated in the next TTI is an up-threshold value ( Up-Threshold value), a predetermined value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new second RBs to be allocated to the priority UE 10 in a subsequent TTI may be calculated.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이 다운-임계 값(Down-Threshold value) 보다 작으면, 이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게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determines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second RBs actually used by the priority UE 10 in the current TTI to the original number of second RBs to be allocated in the next TTI is a down-threshold value ( Down-Threshold value), a predetermined value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new second RBs to be allocated to the priority UE 10 in a subsequent TTI may be calculated.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이 업-임계 값 보다 작고, 다운-임계 값 보다 크면, 이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게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determines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second RBs actually used by the priority UE 10 in the current TTI to the original number of second RBs to be allocated in the next TTI is an up-threshold value. If it is less than and greater than the down-threshold value, a predetermined value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new second RBs to be allocated to the priority UE 10 in the next TTI may be set to 0.

S270a 내지 S270c에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소정의 값은 기지국(30)의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예로, 소정의 값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과 업-임계 값과의 차이가 클수록 더 큰 값을 갖도록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정의 값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과 다운-임계 값과의 차이가 클수록 절대값이 더 큰 값을 갖도록 산출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value increased or decreased in S270a to S270c is determined based on a unique algorithm stored in the memory of the base station 30.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calculated to have a larger valu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second RBs actually used and the up-threshold value increases. As another example,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calculated to have a larger absolute valu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second RBs actually used and the down-threshold value increases.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새로운 제1, 제2 RB 수를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S280).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may calculate the number of new first and second RBs to be allocated in a subsequent TTI through Equations 1 and 2 below (S280).

[수학식 1][Equation 1]

RBsub,t = min {RBsub,t-1 - RBdiff, RBsub,cap}RB sub,t = min {RB sub,t-1 - RB diff , RB sub,cap }

- RBsub,t : 이후의 TTI(t 번째 TTI)에서 후순위 UE(20)에 할당될 제1 RB 수- RB sub,t : number of first RBs to be allocated to the lower priority UE 20 in the subsequent TTI (t-th TTI)

- RBsub,t-1 : 현재의 TTI(t-1 번째 TTI)에서 후순위 UE(20)에 할당된 제1 RB 수- RB sub,t-1 : number of first RBs allocated to the lower priority UE 20 in the current TTI (t-1 th TTI)

- RBdiff : 소정의 값- RB diff : predetermined value

- RBsub,cap : 후순위 UE(20)에 할당 가능한 최대의 제1 RB 수(제1 RB 수의 최대 값)-RB sub,cap : maximum number of first RBs allocable to the lower priority UE 20 (maximum value of the number of first RBs)

[수학식 2][Equation 2]

- RBnorm,t : t 번째 TTI에서 선순위 UE(10)에 할당될 제2 RB 수- RB norm,t : number of second RBs to be allocated to the prioritized UE 10 in the t th TTI

- RBnorm,t-1 : t-1 번째 TTI에서 선순위 UE(10)에 할당된 제2 RB 수- RB norm,t-1 : the number of second RBs allocated to the priority UE 10 in the t-1 th TTI

- RBdiff : 소정의 값- RB diff : predetermined value

- RBtotal : 기지국(30)에 의해 할당 가능한 전체 RB 수- RB total : total number of RBs allocable by the base station 30

- RBsub,cap : 후순위 UE(20)에 할당 가능한 최대의 제1 RB 수- RB sub,cap : maximum number of first RBs allocable to the lower priority UE 20

수학식 1에 따르면, t 번째 TTI의 제1 RB 수(새로운 제1 RB 수)는 t-1 번째 TTI(이전의 제1 RB 수)의 제1 RB 수와 소정의 값의 차와 제1 RB 수의 최대 값 중 더 작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1, the number of first RBs of the t-th TTI (the number of new first RB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first RBs of the t-1th TTI (the number of previous first RBs) and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first RB may be determined as the smaller of the maximum values of the number.

수학식 2에 따르면, t 번째 제2 RB 수(새로운 제2 RB 수)는 t-1 번째 제2 RB 수(이전의 제2 RB 수)와 소정의 값의 합과 기지국(30)이 할당 가능한 최대 RB 수와 제1 RB 수의 최대 값의 차 중 더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2, the t-th second RB number (the new second RB number) is the sum of the t-1-th second RB number (the previous second RB number) and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base station 30 can allocate It may be determined as a larger value of a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number of RBs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first RB number.

이후에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새로이 결정된 제1, 제2 RB 수에 기반하여 선순위 UE(10) 및 후순위 UE(20)에 대한 무선자원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S290).Thereafter, the processor of the base station 30 may perform scheduling of radio resources for the higher priority UE 10 and the lower priority UE 20 based on the newly determined number of first and second RBs (S290).

이처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가장 작게 결정함으로써, 후순위 UE(20)들의 최소 사용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such,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inimize the minimum used resource of the lower priority UEs 20 by determining the smallest number of symbols for the lower priority UEs 20 .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기지국(30)은 각 슬롯에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하여 후순위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경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se station 30 allocates at least some resources to the lower priority UEs 20 in each slot so that contention-bas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erformed only between the lower priority user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사업에서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provide better data quality than unlicensed band-based technology by adding the concept of a lower-priority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business using a licensed band.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제안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limited thereto, various proposal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requiring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eg, 5G) between device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Hereinafter, it will be exemplifi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rawings/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represent the same or corresponding hardware blocks, software blocks or functional block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8은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8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1 applied to this specifica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8 , a communication system 1 appli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wireless device, a base station, and a network. Here, the wireless device means a devi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eg, 5G New RAT (NR), Long Term Evolution (LT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wireless/5G device.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wireless devices include robots 100a, vehicles 100b-1 and 100b-2, XR (eXtended Reality) devices 100c, hand-held devices 100d, and home appliances 100e. ), an Internet of Thing (IoT) device 100f, and an AI device/server 400. For example, the vehicle may include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 autonomous vehicle, a vehicle capable of performing inter-vehicle communication, and the like. Here, the vehicle may include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eg, a drone). XR devices include Augmented Reality (AR)/Virtual Reality (VR)/Mixed Reality (MR) devices, Head-Mounted Devices (HMDs), Head-Up Displays (HUDs) installed in vehicles, televisions, smartphones,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wearable device, home appliance, digital signage, vehicle, robot, and the like. A portable device may includ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wearable device (eg, a smart watch, a smart glass), a computer (eg, a laptop computer, etc.), and the like. Home appliances may include a TV,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the like. IoT devices may include sensors, smart meters, and the like. For example, a base station and a network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device, and a specific wireless device 200a may operate as a base station/network node to other wireless devices.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300 through the base station 200 .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and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may be connected to the AI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 network 300 may be configured using a 3G network, a 4G (eg LTE) network, or a 5G (eg NR) network.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base station 200/network 300, but may also communicate directly (eg, sidelink communication) without going through the base station/network. For example, the vehicles 100b-1 and 100b-2 may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eg, vehicle to vehicle (V2V)/vehicle to everything (V2X) communication). In addition, IoT devices (eg, sensors)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other IoT devices (eg, sensors) or other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기지국(200)/무선 기기(100a~100f)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는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은 도 A1의 전체/일부 과정에 기반하여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150a, 150b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wireless devices 100a to 100f/base station 200-base station 200/wireless devices 100a to 100f. Here,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radio access technologies (eg, 5G NR) for uplink/downlink communication 150a and sidelink communication 150b (or D2D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150a and 150b, the wireless device and the base station/wireless device may transmit/receive radio signals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connection 150a and 150b may transmit/receive signals through various physical channels based on all/partial processes of FIG. To this end, based on the various proposals of this specification, various configuration information setting processe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radio signals, various signal processing processes (eg, channel encoding / decoding, modulation / demodulation, resource mapping / demapping, etc.) At least a part of a resource alloc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도 9는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9 illustrates a wireless device applicable to this specifica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100)와 제2 무선 기기(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100), 제2 무선 기기(200)}은 도 8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20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wireless device 100 and the second wireless device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through various radio access technologies (eg, LTE, NR). Here, {the first wireless device 100, the second wireless device 200} is the {wireless device 100x, the base station 200} of FIG. 8 and/or the {wireless device 100x, the wireless device 100x. } can correspond.

제1 무선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first wireless device 1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02 and one or more memories 104,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and/or one or more antennas 108. The processor 102 controls the memory 104 and/or the transceiver 106 and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functions, procedures and/or methods described/suggested above. For example, the processor 102 may process information in the memory 104 to generate first information/signal, and transmit a radio signal including the first information/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106. In addition, the processor 102 may receive a radio signal including the second information/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106, and then store information obtained from signal processing of the second information/signal in the memory 104. The memory 104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102 and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102 . For example, memory 104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processes controlled by processor 102, or store software code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procedures and/or methods described/suggested above. . Here, the processor 102 and memory 104 may be part of a communication modem/circuit/chip designed to impl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g, LTE, NR). The transceiver 106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 102 and may transmit and/or receive wireless signals via one or more antennas 108 . The transceiver 106 may include a transmitter and/or a receiver. The transceiver 106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 radio frequency (RF) unit. In this specification, a wireless device may mean a communication modem/circuit/chip.

제2 무선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second wireless device 2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202, one or more memories 204, and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transceivers 206 and/or one or more antennas 208. The processor 202 controls the memory 204 and/or the transceiver 206 and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functions, procedures and/or methods described/suggested above. For example, the processor 202 may process information in the memory 204 to generate third information/signal, and transmit a radio signal including the third information/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206. In addition, the processor 202 may receive a radio signal including the fourth information/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206 and store information obtained from signal processing of the fourth information/signal in the memory 204 . The memory 204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202 and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202 . For example, memory 204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processes controlled by processor 202, or may store software code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procedures and/or methods described/suggested above. . Here, the processor 202 and memory 204 may be part of a communication modem/circuit/chip designed to impl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g, LTE, NR). The transceiver 206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 202 and may transmit and/or receive wireless signals via one or more antennas 208 . The transceiver 206 may include a transmitter and/or a receiver. The transceiver 206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n RF unit. In this specification, a wireless device may mean a communication modem/circuit/chip.

이하, 무선 기기(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 MAC, RLC, PDCP, RRC, SDAP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Hereinafter, hardware elements of the wireless devices 100 and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lthough not limited to this, one or more protocol layers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For example,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implement one or more layers (eg, functional layers such as PHY, MAC, RLC, PDCP, RRC, SDAP).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generate one or more Protocol Data Units (PDUs) and/or one or more Service Data Units (SDUs) according to functions, procedures, proposals and/or methods disclosed herein.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generate messages, control information, data or information according to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and/or methods disclosed herein.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generate PDUs, SDUs, messages, control information, data or signals (e.g., baseband signals) contai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s, procedures, proposals and/or methods disclosed herein , can be provided to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receive signals (eg, baseband signals) from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and generate PDUs, SDUs according to functions, procedures, proposals and/or methods disclosed herein. , messages, control information, data or information can be obtained.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 또는 방법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be referred to as a controller, microcontroller, microprocessor or microcomputer.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one or more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one or mor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one or more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or one or more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processors 102 and 202. The functions, procedures, proposals and/or method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implemented using firmware or software, and the firmware or software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modules, procedures, functions, and the like. Firmware or software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and/or methods disclosed herein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or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104, 204) and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202). The functions, procedures, suggestions and/or method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using firmware or software in the form of codes, instructions and/or sets of instructions.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One or more memories 104, 204 may be coupled with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and may store various types of data, signals, messages, information, programs, codes, instructions and/or instructions. One or more memories 104, 204 may be comprised of ROM, RAM, EPROM, flash memory, hard drives, registers, cache mem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and/or combinations thereof. One or more memories 104, 204 may be located internally and/or external to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Additionally, one or more memories 104, 204 may be coupled to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through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wired or wireless connections.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may transmit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s/channels, etc., as referred to in the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 charts herein, to one or more other devices. One or more of the transceivers 106, 206 may receive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s/channels, etc. referred to in functions, procedures, proposals, methods and/or operational flow charts, etc. disclosed herein from one or more other devices. For example,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and 206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processors 102 and 202 and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For example,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control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to transmit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or radio signals to one or more other devices. Additionally,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may control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to receive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or radio signals from one or more other devices. In addition,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may be coupled with one or more antennas 108, 208, and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via one or more antennas 108, 208 may perform functions, procedures disclosed herein. , It can be set to transmit and receive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s / channels, etc. mentioned in proposals, methods, and / or operational flowcharts. In this document, one or more antennas may be a plurality of physical antennas or a plurality of logical antennas (eg, antenna ports).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206) convert the received radio signals/channels from RF band signals in order to process the received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radio signals/channels, etc. using one or more processors (102, 202). It can be converted into a baseband signal.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and 206 may convert user data, control information, and radio signals/channels processed by one or more processors 102 and 202 from baseband signals to RF band signals. To this end, one or more of the transceivers 106, 206 may include (analog) oscillators and/or filters.

상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hard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one or mo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etc.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A computer program in which software codes and the like are recorded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r a memory unit and driven by a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means known in the art.

이와 같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Claims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시간 자원 할당에 관련된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성능 정보에 포함된 제 2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In a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by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a base station, transmits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lated to time resource allocation of the uplink data,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resource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성능 정보에 포함된 제 2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ze of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resource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the uplink Including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link data,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USS (UE-Specific Search Space)를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UE-Specific Search Space (USS),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RB(Resource Block)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and information on a resource block (RB)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시간 자원 할당에 관련된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성능 정보에 포함된 제 2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단말.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a terminal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t least one transceiver;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storing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operations;
The action is:
Transmitting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lated to time resource allocation of the uplink data to a base station through the at least one transceiver,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t least one transceiver;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resource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성능 정보에 포함된 제 2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According to claim 6,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ze of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resource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the uplink Including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link data,
Terminal.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USS (UE-Specific Search Space)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
According to claim 6,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UE-Specific Search Space (USS),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RB(Resource Block)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According to claim 6,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and information on a resource block (RB)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Terminal.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시간 자원 할당에 관련된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성능 정보에 포함된 제 2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storing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operations;
The action is:
To a base station, transmits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lated to time resource allocation of the uplink data,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resource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Devic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의 시간 자원 할당에 관련된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성능 정보에 포함된 제 2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at least one computer program that causes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operations comprising:
To a base station, transmits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lated to time resource allocation of uplink data,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resource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시간 자원 할당에 관련된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성능 정보에 포함된 제 2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In a method for a base station to receive uplink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from a terminal,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lated to time resource allocation of the uplink data;
To the terminal, transmits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Receiving the uplink data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resource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How to receive uplink data.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단말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시간 자원 할당에 관련된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 1 시간 자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성능 정보에 포함된 제 2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기지국.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a base station for receiving uplink data,
at least one transceiver;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storing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operations;
The action is:
Receiving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lated to time resource allocation of the uplink data from a terminal through the at least one transceiver,
Transmitt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to the terminal through the at least one transceiver,
Receiving the uplink data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at least one transceiver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included in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resource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base station.
KR1020220052966A 2020-10-19 2022-04-28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71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66A KR102471619B1 (en) 2020-10-19 2022-04-28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574A KR102471617B1 (en) 2020-10-19 2020-10-19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220052966A KR102471619B1 (en) 2020-10-19 2022-04-28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574A Division KR102471617B1 (en) 2020-10-19 2020-10-19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518A KR20220058518A (en) 2022-05-09
KR102471619B1 true KR102471619B1 (en) 2022-11-28

Family

ID=813913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574A KR102471617B1 (en) 2020-10-19 2020-10-19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220052966A KR102471619B1 (en) 2020-10-19 2022-04-28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574A KR102471617B1 (en) 2020-10-19 2020-10-19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1617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372B1 (en) * 1998-07-09 2001-09-24 오길록 Method for changing slot assignmet/slot size in base stati on and packet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reverse common channel in mobile station
US10433318B2 (en) * 2015-01-12 2019-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1669195B1 (en) * 2015-05-18 2016-10-25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Opportunistic Feedback for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in Cognitive Radio Network
KR101686974B1 (en) * 2015-12-02 2016-12-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2-Stage Reporting Method for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in Cognitive Radio Networks and Apparatus thereof
CN107809805B (en) * 2016-09-08 2020-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Uplink L BT channel detection and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0624118B2 (en) * 2017-12-01 2020-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20083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617B1 (en) 2022-11-28
KR20220058518A (en) 2022-05-09
KR20220051767A (en)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3871A1 (en) Beam failure recovery for single dci-based m-trp urllc transmissions
US20220167352A1 (en)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node
US20220132506A1 (en)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device
US2022025655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methods for dci for v2x communication apparatuses
CN115428558A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 method
US20220201637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2471619B1 (en) 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7837182A (e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240178979A1 (en)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40188061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412340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20255675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24018810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2201652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EP4311331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EP4099598A1 (en) User equipment, scheduling node, method for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scheduling node
US20240188053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3013192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4018810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A322808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allocating one or more additional operating windows for a sidelink signal
WO2023027629A2 (en) Joint channel estimation for multiple transport blocks
KR20240000453A (en) Logical channel process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U202143781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40049558A (en) Conflict rule considerations between PRS and other downlink channels
CN117083957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