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17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17B1
KR102471617B1 KR1020200135574A KR20200135574A KR102471617B1 KR 102471617 B1 KR102471617 B1 KR 102471617B1 KR 1020200135574 A KR1020200135574 A KR 1020200135574A KR 20200135574 A KR20200135574 A KR 20200135574A KR 102471617 B1 KR102471617 B1 KR 10247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rbs
symbols
base station
resource sched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767A (ko
Inventor
김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35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767A/ko
Priority to KR1020220052966A priority patent/KR102471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1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후순위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기지국으로부터 USS(UE-specific search space)를 통해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른 후순위 UE들과의 관계에서 경쟁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METHOD FOR WIREL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의 요금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기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IDMA (Interleav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명세서는,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가장 작게 결정함으로써, 후순위 UE들의 최소 사용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기지국이 각 슬롯에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후순위 UE들에게 할당하여 후순위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경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사업에서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후순위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기지국으로부터 USS(UE-specific search space)를 통해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른 후순위 UE들과의 관계에서 경쟁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station, BS)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후순위 UE들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최소 심볼 수들 중 가장 작은 것으로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는 후순위 UE에게 할당될 제1 RB 수임; 및 제1 RB 수를 하나 이상의 후순위 UE들에 할당하고, 제1 RB 수를 제외한 제2 RB 수를 선순위 UE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는,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가장 작게 결정함으로써, 후순위 UE들의 최소 사용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서, 기지국은 각 슬롯에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후순위 UE들에게 할당하여 후순위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경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사업에서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무선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general NB, generation N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NR(New RAT)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smartphone) 및 IoT(Internet Of Things) 단말들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통신 망을 통해 주고받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에서는 기존의 통신 시스템(또는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예: 향상된 이동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기기들 및 사물(object)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의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통신의 신뢰성(reliability) 및/또는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service) 및/또는 단말(terminal) 등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예: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의 디자인도 논의 되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은 NR(New RAT, Radio Access Technology)로 지칭되며, 상기 NR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NR 시스템으로 지칭된다.
용어 정의
eLTE eNB: eLTE eNB는 EPC 및 NGC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eNB의 진화(evolution)이다.
gNB: NGC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NR을 지원하는 노드.
새로운 RAN: NR 또는 E-UTRA를 지원하거나 NGC와 상호 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종단 간 범위와 함께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특정 시장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operator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네트워크 기능은 잘 정의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잘 정의된 기능적 동작을 가진 네트워크 인프라 내에서의 논리적 노드.
NG-C: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U: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비 독립형(Non-standalone) NR: gNB가 LTE eNB를 EP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거나 또는 eLTE eNB를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는 배치 구성.
비 독립형 E-UTRA: eLTE eNB가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gNB를 요구하는 배치 구성.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 NG-U 인터페이스의 종단점.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상기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g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gNB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
NR(New Rat) 뉴머롤로지(Numerology) 및 프레임(frame) 구조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또는, μ )으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μ=2인 경우, 즉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이 60kHz인 경우의 일례로서, 1 서브프레임(또는 프레임)은 4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1 서브프레임={1,2,4} 슬롯들은 일례로서, 1 서브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스롯(들)의 개수는 미리 제공된 테이블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미니-슬롯(mini-slot)은 2, 4 또는 7 심볼(symbol)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심볼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NR 시스템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캐리어 파트(carrier part)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물리 자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안테나 포트와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쉬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원 그리드가 주파수 영역 상으로
Figure 112020110586412-pat00001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2μ 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R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transmitted signal)는
Figure 112020110586412-pat00002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그리드들 및
Figure 112020110586412-pat00003
의 OFDM 심볼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20110586412-pat00004
이다. 상기
Figure 112020110586412-pat00005
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이는, 뉴머롤로지들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도 달라질 수 있다.
Self-contained 구조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구조는 상향링크(Uplink, UL)와 하향링크(Downlink, DL)를 하나의 슬롯(slot)(또는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모두 처리하는 구조이다. 이는,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조는 self-contained 구조 또는 self-contained 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4를 참고하면, legacy LTE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전송 단위(예: 슬롯,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가정된다.
도 4에서, 영역 602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down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하고, 영역 604는 상향링크 제어 영역(up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한다. 또한, 영역 602 및 영역 604 이외의 영역(즉, 별도의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의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데이터(data)의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및 상향링크 ACK/NACK의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재전송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달과 관련된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와 같은 self-contained 슬롯 구조에서, 기지국(eNodeB, eNB, gNB) 및/또는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이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서 수신 모드(reception mode)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위한 시간 갭(time gap)이 요구된다. 상기 시간 갭과 관련하여, 상기 self-contained 슬롯에서 하향링크 전송 이후에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일부 OFDM 심볼(들)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 슬롯에서 앞 부분의 심볼에는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정보를 갖는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과 단말이 각각 확인하는 UE-지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 UESS 또는 USS)이 포함된다.
공통 검색 공간에는 단말로 전송될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고, UE-지정 검색 공간에는 해당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스케줄링은 RB(resource block) 단위로 이루어지며, 기지국은 단말 당 하나 이상의 RB를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UE-지정 검색 공간에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RB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는 Wi-Fi에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서, 데이터 전송 이전에 데이터 전송을 희망하는 2 이상의 단말들이 서로 경쟁하는 경쟁 윈도우를 제공한다. 이때, 2 이상의 단말들 중 제공된 경쟁 윈도우에서 선택된 단말만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증된 단말에게 기지국이 개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데이터를 지정해주는 방식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일부 RB을 W-Fi처럼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공유하고, 무선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는, 각 슬롯에서 일부 리소스를 후순위 사용자 단말들에게 할당하고, 할당된 후순위 사용자 단말들끼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경쟁을 수행하도록 한다.
기존의 비면허 대역 통신의 경우에는 다른 기술과 동일한 대역을 공유하므로, 데이터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는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새로운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서, 도 5를 참조하여, ‘선순위 사용자’, ‘후순위 사용자’, ‘선순위 UE’, 및 ‘후순위 UE’에 대한 용어를 정의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무선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 선순위 사용자 및 후순위 사용자 : 선순위 사용자 및 후순위 사용자는 고객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된다. 일 예로, 고객 정보는 통신사를 통해 가입된 고객 코드(예를 들어, 고객 ID) 및/또는 요금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순위 사용자는 기존의 제공되는 5G(NR) 통신 요금제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후순위 사용자는 경쟁적 통신 요금제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여기서, 경쟁적 통신 요금제는 경쟁 윈도우에서 서로 경쟁하여 선택된 단말만이 데이터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위한 요금제를 말한다.
- 선순위 UE(10) 및 후순위 UE(20) : 선순위 UE(10)는 선순위 사용자의 요금제 정보로 식별된 단말을, 후순위 UE(20)는 후순위 사용자의 요금제 정보로 식별된 단말을 말한다. 요금제 정보는 5G 코어 장비들 중 PCF(policy and charging function)에 미리 등록된다. 기지국(30)은 PCF에 저장된 요금제 정보에 기반하여 접속된 UE의 사용자를 선순위 사용자 또는 후순위 사용자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30)은 각각의 UE이 5G 기지국(30)에 접속되는 것에 응답하여 접속된 UE를 선순위 UE(10) 또는 후순위 UE(20)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선순위 UE(10)와 후순위 UE(20)의 무선신호 요구사항은 서로 동일하다. 일 예로, 선순위 UE(10)와 후순위 UE(20)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세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순위 사용자 단말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30)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후순위 UE(20)가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NR)에 접속(Registration)하는 것에 응답하여 UE 성능(UE Capability)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30)에 전송할 수 있다(S110).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는, 이후, 기지국(30)에서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하기 위한 기저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30)은 접속된 다수의 후순위 UE(20)들로부터 각각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들에 기반하여 가장 작은 최소 심볼 수로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후순위 UE(20)들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들 중 가장 작은 심볼 수로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할 수 있다.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USS를 통해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20).
일 례로,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매 슬롯마다 후순위 UE(20)를 위한 USS를 통해 현재의 슬롯에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RB에 대한 정보는 후순위 제1 RB 수 및/또는 후순위 UE(20)들이 경쟁할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된 제1 RB 수는 기지국(30)에 의해 결정된다. 일 예로, 선순위 UE(10)는 후순위 UE(20)의 존재 여부와 관계 없이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지만, 후순위 UE(20)는 직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 의해 사용된 RB 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제1 RB 수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이때, 선순위 UE(10)들에 의해 사용된 RB 수가 많을수록 후순위 UE(20)들에 할당될 제1 RB 수는 더 적게 결정될 수 있다.
전체 RB 수 중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된 제1 RB 수를 제외한 나머지 제2 RB 수는 선순위 UE(10)를 위해 할당된다.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제1 RB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작으면, 현재 TTI에서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S130:YES, S140a).
또한, 후순위 UE(20)의 프로세서는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른 후순위 UE(20)들과의 관계에서 경쟁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3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0:NO, S140b).
이처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가장 작게 결정함으로써, 후순위 UE(20)들의 최소 사용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기지국(30)은 각 슬롯에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하여 후순위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경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사업에서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30)은 후순위 UE(20)들로부터 UE 성능(UE Capability)에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1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에 각각 포함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들을 확인할 수 있다(S22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확인된 최소 심볼 수들을 비교하여, 그들 중 가장 작은 것으로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할 수 있다(S23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현재의 TTI에서 후순위 UE(20)에게 할당할 제1 RB 수를 결정할 수 있다(S240).
일 예로, 기지국(30)은 직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 의해 사용된 RB 수에 기반하여 후순위 UE(20)들에 할당될 제1 RB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선순위 UE(10)들에 의해 사용된 RB 수가 많을수록 후순위 UE(20)들이 사용할 제1 RB 수는 더 적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RB 수는 후순위 UE(20)를 위한 최대 제1 RB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당된다.
이후에, 결정된 제1 RB에 대한 정보는 USS를 통해 후순위 UE(20)로 전송된다.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현재의 TTI에서 전체 RB 수 중에서 제1 RB 수를 제외한 나머지 제2 RB 수를 선순위 UE(10)를 위해 할당할 수 있다(S25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일명, t 번째 TTI)에서 할당될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일명, t-1 번째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S260).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과 미리 제공된 하나 이상의 임계 값에 기반하여, 이후의 TTI에서 실제로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S270).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이 업-임계 값(Up-Threshold value) 보다 크거나 같으면, 이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게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이 다운-임계 값(Down-Threshold value) 보다 작으면, 이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게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10)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이 업-임계 값 보다 작고, 다운-임계 값 보다 크면, 이후의 TTI에서 선순위 UE(10)에게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S270a 내지 S270c에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소정의 값은 기지국(30)의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예로, 소정의 값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과 업-임계 값과의 차이가 클수록 더 큰 값을 갖도록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정의 값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과 다운-임계 값과의 차이가 클수록 절대값이 더 큰 값을 갖도록 산출될 수 있다.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새로운 제1, 제2 RB 수를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S280).
[수학식 1]
RBsub,t = min {RBsub,t-1 - RBdiff, RBsub,cap}
- RBsub,t : 이후의 TTI(t 번째 TTI)에서 후순위 UE(20)에 할당될 제1 RB 수
- RBsub,t-1 : 현재의 TTI(t-1 번째 TTI)에서 후순위 UE(20)에 할당된 제1 RB 수
- RBdiff : 소정의 값
- RBsub,cap : 후순위 UE(20)에 할당 가능한 최대의 제1 RB 수(제1 RB 수의 최대 값)
[수학식 2]
- RBnorm,t : t 번째 TTI에서 선순위 UE(10)에 할당될 제2 RB 수
- RBnorm,t-1 : t-1 번째 TTI에서 선순위 UE(10)에 할당된 제2 RB 수
- RBdiff : 소정의 값
- RBtotal : 기지국(30)에 의해 할당 가능한 전체 RB 수
- RBsub,cap : 후순위 UE(20)에 할당 가능한 최대의 제1 RB 수
수학식 1에 따르면, t 번째 TTI의 제1 RB 수(새로운 제1 RB 수)는 t-1 번째 TTI(이전의 제1 RB 수)의 제1 RB 수와 소정의 값의 차와 제1 RB 수의 최대 값 중 더 작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에 따르면, t 번째 제2 RB 수(새로운 제2 RB 수)는 t-1 번째 제2 RB 수(이전의 제2 RB 수)와 소정의 값의 합과 기지국(30)이 할당 가능한 최대 RB 수와 제1 RB 수의 최대 값의 차 중 더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에 기지국(30)의 프로세서는, 새로이 결정된 제1, 제2 RB 수에 기반하여 선순위 UE(10) 및 후순위 UE(20)에 대한 무선자원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S290).
이처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후순위 UE(20)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가장 작게 결정함으로써, 후순위 UE(20)들의 최소 사용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기지국(30)은 각 슬롯에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후순위 UE(20)들에게 할당하여 후순위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경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사업에서 후순위 사용자라는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비면허 대역 기반의 기술에 비해 더 좋은 데이터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제안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기지국(200)/무선 기기(100a~100f)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는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은 도 A1의 전체/일부 과정에 기반하여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100)와 제2 무선 기기(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100), 제2 무선 기기(200)}은 도 8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20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기기(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 MAC, RLC, PDCP, RRC, SDAP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 또는 방법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후순위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기지국으로부터 USS(UE-specific search space)를 통해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른 후순위 UE들과의 관계에서 경쟁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확인하는 단계는, 매 슬롯마다 후순위 UE를 위한 USS를 통해 현재의 슬롯에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RB에 대한 정보는 후순위 제1 RB 수 또는 후순위 UE들이 경쟁할 경쟁 윈도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후순위 UE는 직전의 TTI에서 선순위 UE에 의해 실제 사용된 RB 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제1 RB 수를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6. 삭제
  7.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station, BS)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후순위 UE들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최소 심볼 수들 중 가장 작은 것으로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는 후순위 UE에게 할당될 제1 RB 수임; 및
    제1 RB 수를 하나 이상의 후순위 UE들에 할당하고, 제1 RB 수를 제외한 제2 RB 수를 선순위 UE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이후의 TTI에서 할당될 원래의 제2 RB 수 대비 현재의 TTI에서 선순위 UE가 실제로 사용한 제2 RB 수의 비율과 미리 제공된 하나 이상의 임계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후의 TTI에서 실제로 할당될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2 RB 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율과 상기 하나 이상의 임계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후의 TTI에서 실제로 할당될 상기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소정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새로운 제2 RB 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비율과 업-임계 값과의 차이가 클수록 더 큰 값을 갖도록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비율과 다운-임계 값과의 차이가 클수록 절대값이 더 큰 값을 갖도록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비율이 업-임계 값 보다 작고, 다운-임계 값 보다 크면,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13.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후순위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자원 스케줄링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고, 상기 동작들은,
    UE 성능에 연관된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동작으로서, 여기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기지국으로부터 USS(UE-specific search space)를 통해 할당된 제1 R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제1 RB가 차지하는 심볼 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른 후순위 UE들과의 관계에서 경쟁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후순위 사용자 단말.
  14. 선순위 사용자 단말과 후순위 사용자 단말을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station, BS)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자원 스케줄링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고, 상기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후순위 UE들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 심볼 수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된 최소 심볼 수들 중 가장 작은 것으로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를 결정하는 동작으로서, 여기서 후순위 UE를 위한 최소 심볼 수는 후순위 UE에게 할당될 제1 RB 수임; 및
    제1 RB 수를 하나 이상의 후순위 UE들에 할당하고, 제1 RB 수를 제외한 제2 RB 수를 선순위 UE에 할당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200135574A 2020-10-19 2020-10-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2471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574A KR102471617B1 (ko) 2020-10-19 2020-10-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20220052966A KR102471619B1 (ko) 2020-10-19 2022-04-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574A KR102471617B1 (ko) 2020-10-19 2020-10-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966A Division KR102471619B1 (ko) 2020-10-19 2022-04-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767A KR20220051767A (ko) 2022-04-26
KR102471617B1 true KR102471617B1 (ko) 2022-11-28

Family

ID=813913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574A KR102471617B1 (ko) 2020-10-19 2020-10-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20220052966A KR102471619B1 (ko) 2020-10-19 2022-04-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966A KR102471619B1 (ko) 2020-10-19 2022-04-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16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95B1 (ko) 2015-05-18 2016-10-25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협력적 스펙트럼 센싱을 위한 피드백 전송 방법
KR101686974B1 (ko) 2015-12-02 2016-12-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2 스테이지 센싱 보고 방법을 가지는 협력적 센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372B1 (ko) * 1998-07-09 2001-09-24 오길록 기지국의슬롯할당/슬롯크기변경방법및그를이용한이동단말기의경쟁채널을통한패킷데이터전송방법
US10448412B2 (en) * 2015-01-12 2019-10-15 Lg Electronics Inc. Method whereby user equipment receive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7809805B (zh) * 2016-09-08 2020-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lbt信道检测和上行数据发送方法、设备
EP3913846A1 (en) * 2017-12-01 2021-1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95B1 (ko) 2015-05-18 2016-10-25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협력적 스펙트럼 센싱을 위한 피드백 전송 방법
KR101686974B1 (ko) 2015-12-02 2016-12-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2 스테이지 센싱 보고 방법을 가지는 협력적 센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619B1 (ko) 2022-11-28
KR20220051767A (ko) 2022-04-26
KR20220058518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7352A1 (en)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node
US20230053871A1 (en) Beam failure recovery for single dci-based m-trp urllc transmissions
US20220132506A1 (en)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device
US2022025655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methods for dci for v2x communication apparatuses
CN115428558A (zh) 移动台、基站、接收方法及发送方法
KR20230030647A (ko) Nr v2x에서 rsrp 값을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766575A (zh) 通信方法及通信设备
US20220201637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247161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N117837182A (zh) 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2116752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methods for utilization of reserved resource
US20230412340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20255675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22201651A1 (ja)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2201652A1 (ja) 端末、基地局、及び、通信方法
EP4311331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EP434611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ci indication for multiple trp transmission
EP4099598A1 (en) User equipment, scheduling node, method for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scheduling node
WO2023013192A1 (ja) 端末、基地局及び通信方法
US20230300859A1 (en) Terminal and sidelink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A322808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allocating one or more additional operating windows for a sidelink signal
KR202400004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논리 채널 처리
AU202143781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3027629A2 (en) Joint channel estimation for multiple transport blocks
WO202321136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methods for sidelink co-channel coexistence of lte and n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