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911B1 -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911B1
KR102470911B1 KR1020190116116A KR20190116116A KR102470911B1 KR 102470911 B1 KR102470911 B1 KR 102470911B1 KR 1020190116116 A KR1020190116116 A KR 1020190116116A KR 20190116116 A KR20190116116 A KR 20190116116A KR 102470911 B1 KR102470911 B1 KR 10247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facility equipment
web server
control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317A (ko
Inventor
이태석
유영선
김형권
김영화
오성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1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9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전자 및 전기 설비를 운용하는 소형 온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소형 온실 내 환경조절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운용하기 위한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은 소형 온실의 원격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소형 온실의 원격관리 장치는 통신 관리부, 제어부 및 시설 관리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의 화면은 MCU상 APACHE 등의 웹서버 서비스를 운용함으로 구현할 수 있고, 목표의 사용자 화면으로의 접속 방법은 라우터가 WWW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DNS를 이용한 도메인네임접속을 시도하고, WWW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웹서버의 로컬 IP접속으로 호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도시 농업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형온실에서 사용자가 온실 내 환경조절장치를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 절약 및 노동력 절감 효과, 편의성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FACILITY EQUIPMENT REMOTE SUSTEM OF MINIATURE GREENHOUSE}
본 발명은 소량의 전자 및 전기 설비를 운용하는 소형 온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소형 온실 내 환경조절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운용하기 위한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최근 급격한 도시화와 함께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농업의 다원적 기능 요구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도시농업 발전은 도시 근교 텃밭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대도시 인근 지역에 토지를 확보하는 일은 어렵고 기존 도시 텃밭의 경우에는 주차 시설 및 생활의 편의 시설 부족등과 같은 이유로 만족도가 낮았다.
하지만 도시에서 연중 날씨에 상관없이 주거지 인근에서 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소형 온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형 온실은 일반 온실과 달리 취미 및 여가 생활을 즐기는 도시 농업인, 원예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 계층 등이 주로 이용하도록 하는 온실로 사용자가 상시로 관리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일반적인 온실에서는 온실 내부에 설치된 컨트롤 단자함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환경 조절 장치가 수동 및 자동으로 운용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상기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온실 환경관리 네트워크 제어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소형 온실 내 환경조절장치를 제어함에 있어 소형 온실 사용자에게 시간 및 노동력 사용을 줄이고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 장치는 온실 내 구비된 시설 장비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통신 관리부,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는 시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관리부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시설 장비별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온오프 메뉴 화면을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실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고, 시설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감지된 복수의 시설 장비들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관리부의 온오프 신호에 대한 수신 동작을 허용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에 기초하여, 시설장비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시설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세기를 단계별로 조절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부는 사전에 미리 등록된 공개키를 통해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호화 하고, 상기 온오프 신호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신호이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 장치는 온실 내 구비된 시설 장비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통신 관리부,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는 시설 관리부 및 온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관리부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시설 장비별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온오프 메뉴 화면을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4개의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형성된 무단침입 영역에서 시설에 대한 일방향으로 진입하는 객체에 반응하여 촬영하고, 상기 객체가 타방향으로 진출할 때 촬영을 중단하는 무단침입 영역에서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통신 관리부가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웹서버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신 관리부가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시설 관리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감지된 복수의 시설 장비들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관리부의 온오프 신호에 대한 수신 동작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은, 온실 내 구비된 시설 장비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네트워크(50)에 연결된 웹서버(20)를 통해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전송받고,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는 원격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관리 장치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시설 장비별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컴퓨터에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웹서버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도시 농업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형온실에서 사용자가 온실 내 환경조절장치를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 절약 및 노동력 절감 효과, 편의성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시시예에 따른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격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된 온오프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예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된 상태정보 화면에서 활성화된 메뉴버튼을 나타내는 예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된 상태정보 화면에서 비활성화된 메뉴버튼을 나타내는 예이다.
도 6은 도 1의 원격관리 장치(100)의 작동 프로세스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일시시예에 따른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1000_1)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 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시시예에 따른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 웹서버(20) 및 원격관리 장치(10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50)에 연결된 웹서버(20)를 통해 원격관리 장치(10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은 전화 통화 및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휴대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50)에 연결된 웹서버(20)를 통해 원격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도 3에 도시된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전송받고,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해 복수의 시설장비들(20_1~20_N)에 대한 동작 메뉴를 입력받아, 온오프 신호(on-off)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온오프 신호(on-off)를 네트워크(50)에 연결된 웹서버(20)를 통해 원격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50)는 사용자 단말(10), 웹서버(20) 및 원격관리 장치(100)가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네트워크(50)는 사용자 단말(10)에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웹서버(20)와 사용자 단말(10)을 연결시킨다. 또한, 네트워크(50)는 원격관리 장치(100)에서 감지된 복수의 시설장비들(20_1~20_N)과 복수의 센서들(30_1~30_N)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원격관리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10)을 연결시킨다.
여기서, 복수의 시설장비들(20_1~20_N)은 창문, 팬(FAN), 물 분사 장치, 햇빛가림, 인공조명, 공기 조성비 조절 장치, 물 조성비 조절 장치, 사운드, 냉난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서버(20)는 네트워크(5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과 원격관리 장치(100)가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웹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에 복수의 시설장비들(20_1~20_N)의 동작상태 정보와 온실 내부의 대기에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웹서버(20)는 통신 관리부(110)가 WWW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DNS를 이용한 도메인네임접속을 사용자 단말(10)에 허용하여 사용자 단말(10)에 복수의 시설장비들(20_1~20_N)의 동작상태 정보와 온실 내부의 대기에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생성한다. 반면, 통신 관리부(110)가 WWW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웹서버(20)는 로컬 IP접속을 사용자 단말(10)에 허용하여 사용자 단말(10)에 복수의 시설장비들(20_1~20_N)의 동작상태 정보와 온실 내부의 대기에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생성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 장치(100)는 통신 관리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온오프 신호(on-off)를 전송받는다. 그런 다음, 원격관리 장치(100)는 온오프 신호(on-off)에 따라 제어부(120)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신호(C1)에 기초하여, 시설 관리부(130)를 통해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동작시킨다. 이때, 원격관리 장치(100)는 통신 관리부(110)를 통해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10)에 온오프 메뉴 화면을 웹서버(20)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으로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조작 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통신관리부(110), 제어부(120) 및 시설 관리부(13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원격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된 온오프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예이며, 도 4는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된 상태정보 화면에서 활성화된 메뉴버튼을 나타내는 예이고, 도 5는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된 상태정보 화면에서 비활성화된 메뉴버튼을 나타내는 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온실의 원격관리 장치(100)는 통신 관리부(110), 제어부(120) 및 시설 관리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통신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네트워크(50)를 통해 온오프 신호(on-off)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온오프 신호(on-off)는 사용자가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선택신호이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관리부(110)는 제어부(120)를 통해 전송받는 허용 신호(A1)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에 대한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허용신호(A1)는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에 대한 동작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복수의 센서들(30_1~30_N)을 통해 감지된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에 대한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부(120)를 통해 생성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에 대한 동작 상태가 정전이나 기타 돌발 상황 등의 이상 상황인 경우, 제어부(120)는 허용신호(A1)를 생성한다. 또한,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에 대한 동작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허용신호(A1)를 생성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통신 관리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50)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B),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B),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50)는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5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관리부(110)는 사전에 미리 등록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온오프 신호(on-off)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전에, 사용자 단말(10)은 공개키에 대응되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온오프 신호(on-off)를 암호화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10)은 웹서버(20)를 통해 통신 관리부(110)로 암호화된 온오프 신호(on-off)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통신 관리부(110)를 통해 전송받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C1)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신호(C1)는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 및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의 조절량을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10)이 통신 관리부(100)에 연결되는 경우,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신 관리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 메뉴 화면은 온오프 신호(on-off)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에 대한 온오프 동작버튼과 다양한 메뉴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복수의 센서들(30_1~30_N)을 통해 감지된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관리부(110)의 온오프 신호(on-off)에 대한 수신 동작을 허용한다.
여기서, 복수의 센서들(30_1~30_N)은 온실 내부의 대기에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향기 센서, 가스 센서와 온실 내부의 토양의 조성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온실 내부의 바람의 방향과 세기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온실 내부의 사운드를 센싱하는 센서, 온실 외부의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 강우 센서 또는 작물에 뿌려지는 물의조성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의 센싱 정보에 따라, 상태정보 화면을 통신 관리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정보 화면은 시설 장비의 동작상태 정보와 온실 내부의 대기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센서들(30_1~30_N) 중 습도 센서가 기설정된 습도 구간을 벗어난 경우, 제어부(120)는 통신 관리부(110)의 온오프 신호(on-off)에 대한 수신 동작을 허용하도록 상태정보 화면의 메뉴버튼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복수의 센서들(30_1~30_N) 중 습도 센서가 기설정된 습도 구간 이내인 경우, 제어부(120)는 통신 관리부(110)의 온오프 신호(on-off)에 대한 수신 동작을 차단하도록 상태정보 화면의 메뉴버튼을 비활성화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복수의 센서들(30_1~30_N)을 통해 감지된 내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C1)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C1)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면, 습도가 기설정된 습도 구간 이내인 경우, 제어부(120)는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 중 적어도 하나인 습도 조절 장치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C1)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습도가 기설정된 습도 구간을 벗어난 경우 습도 조절 장치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제어신호(C1)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C1)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C1)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제어부(120)는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 중 적어도 하나인 습도 조절 장치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C1)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습도 조절 장치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C1)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어신호(C1)를 생성함에 따라, 제어신호(C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량 정보를 통신 관리부(110)를 통해 조절량 설정 화면으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량 설정 화면은 각 시설 장비(20_1~20_N)의 현재 변화폭 정보와 조절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되는 조절량 설정 화면에서의 터치입력을 통해 변화폭과 조절시간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설 관리부(130)는 제어부(120)를 통해 전송받는 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설 장비(예컨대, 20_1)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시설 관리부(130)가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C1)를 전송받는 경우, 시설 관리부(130)는 제어신호(C1)를 해당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의 동작신호로 변환하여,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동작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관리부(110)는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10)에 온오프 메뉴 화면을 웹서버(20)를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웹서버(20)는 임베디드 웹서버로, 임베디드 웹서버 중 XHT(eXpandable Home Theater)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에 내장된 임베디드 웹서버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XHT 네트워크란, XHT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XHT 통신방식은 다수의 HD(high definition) 급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IEEE 1394 케이블과,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되는 통신 규격인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을 이용한 IP over 1394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통신 관리부(110)는 웹서버(20)를 통해 WWW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DNS를 이용한 도메인네임접속을 사용자 단말(10)에 허용하고, WWW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웹서버(20)의 로컬 IP접속을 사용자 단말(10)에 허용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 메뉴 화면은 웹서버(20)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되는 화면으로, 온오프 신호(on-off)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에 대한 온오프 버튼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의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해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제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의 온오프 메뉴 화면상에 표시되는 온오프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각 설비의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각각 창문1, 창문2, 팬, 히터로 설정하였다면 각각의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온오프 버튼은 각각 별개의 값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에서 선택된 결과는 통신 관리부(110)에게 전송되고, 전송된 온오프 신호(on-off)는 통신 관리부(110)를 거쳐 제어부(120)에게 전송된다. 그런 다음, 전송된 온오프 신호(on-off)는 제어부(120)에서 연산되어 제어 신호(C1)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C1)는 시설 관리부(130)로 전송되어 시설 관리부(130)는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선택한 결과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센서들(30_1~30_N)이 감지한 온실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선택으로 온실을 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원격관리 장치(100)의 작동 프로세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복수의 센서들(30_1~30_N)을 통해 감지된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의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S12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온오프 신호(on-off)에 대한 수신 동작을 허용시킨다.
그런 다음, S130 단계에서, 통신 관리부(110)는 웹서버(2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0)에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S140 단계에서, 통신 관리부(110)는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는다.
그런 다음, S15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통신 관리부(110)를 통해 전송받는 온오프 신호(on-off)에 기초하여, 제어신호(C1)를 생성한다.
이후, S160 단계에서, 시설 관리부(130)는 제어부(120)를 통해 생성된 제어신호(C1)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작동시킨다.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일시시예에 따른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1000_1)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1000_1)은 소형 온실의 원격관리 장치(100_1)와 사용자 단말(10)을 포함한다.
먼저, 소형 온실의 원격관리 장치(100)는 통신 관리부(110), 제어부(120), 시설 관리부(130) 및 카메라(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통신 관리부(110), 제어부(120), 시설 관리부(13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카메라(140)는 카메라(140)가 설치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이다. 주로, 온실 내부에 설치되어 온실 내부의 모습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카메라부(140)는 IP카메라, HD-SDI 카메라, 아날로그 카메라, 화재감지 컬러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SD(720x486, NTSC)급의 해상도에서 HD(1920x5080, HD5080p) 카메라, IP줌 스피드 카메라 및 CCTV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소형 온실 내부의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0)는 4개의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형성된 무단침입 영역에서 시설에 대한 일방향으로 진입하는 객체에 반응하여 촬영하고, 상기 객체가 타방향으로 진출할 때 촬영을 중단하는 무단침입 영역에서 카메라로 영상을 찍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140)는 온실 내부의 모습을 촬영하고, 네트워크(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본 출원은 컴퓨터에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웹서버(2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0)에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온오프 신호(on-off)를 전송받는 단계와, 온오프 신호(on-off)에 기초하여 제어신호(C1)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C1)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시설 장비들(20_1~20_N)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 : 사용자 단말
20 : 웹서버
50 : 네트워크
20_1 ~ 20_N : 시설 장비
30_1 ~ 30_N : 센서
100 : 원격관리 장치
110 : 통신 관리부
120 : 제어부
130 : 시설 관리부
140 : 카메라
1000 :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

Claims (11)

  1. 온실 내 구비된 시설 장비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통신 관리부;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는 시설 관리부; 및
    상기 온실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고, 상기 시설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관리부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시설 장비별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온오프 메뉴 화면을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메뉴 버튼을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비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상기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절량 설정 화면을 통해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의 변화폭 정보와 조절 인터벌(interval)을 나타내는 조절 시간 정보를 조절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관리부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월드 와이드 웹(WWW(World Wide Web))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를 이용한 상기 도메인네임접속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허용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월드 와이드 웹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웹서버가 상기 IP접속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원격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감지된 복수의 시설 장비들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관리부의 온오프 신호에 대한 수신 동작을 허용하는 원격관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시설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세기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원격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부는 사전에 미리 등록된 공개키를 통해 상기 온오프 신호를 복호화 하고
    상기 온오프 신호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신호인 원격관리 장치.
  6. 온실 내 구비된 시설 장비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통신 관리부;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는 시설 관리부;
    상기 온실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고, 상기 시설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 및
    온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관리부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시설 장비별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온오프 메뉴 화면을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메뉴 버튼을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메뉴 버튼을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비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상기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절량 설정 화면을 통해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의 변화폭 정보와 조절 인터벌(interval)을 나타내는 조절 시간 정보를 조절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관리부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월드 와이드 웹(WWW(World Wide Web))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를 이용한 상기 도메인네임접속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허용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월드 와이드 웹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웹서버가 상기 IP접속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원격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4개의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형성된 무단침입 영역에서 시설에 대한 일방향으로 진입하는 객체에 반응하여 촬영하고, 상기 객체가 타방향으로 진출할 때 촬영을 중단하는 무단침입 영역에서 카메라가 포함되는 원격관리 장치.
  8. 원격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복수의 센서들이 온실 내부의 환경을 감지하고, 시설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통신 관리부가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웹서버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신 관리부가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시설 관리부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상기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메뉴 버튼을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상기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절량 설정 화면을 통해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의 변화폭 정보와 조절 인터벌(interval)을 나타내는 조절 시간 정보를 조절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관리부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월드 와이드 웹(WWW(World Wide Web))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를 이용한 상기 도메인네임접속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허용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월드 와이드 웹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웹서버가 상기 IP접속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원격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감지된 복수의 시설 장비들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관리부의 온오프 신호에 대한 수신 동작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
  10. 온실 내 구비된 시설 장비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네트워크(50)에 연결된 웹서버(20)를 통해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전송받고,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며,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상기 온실의 내부 환경을 감지하고, 상기 시설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원격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관리 장치는 상기 온오프 신호를 시설 장비별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원격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메뉴 버튼을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비활성화하고,
    상기 원격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상기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절량 설정 화면을 통해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의 변화폭 정보와 조절 인터벌(interval)을 나타내는 조절 시간 정보를 조절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월드 와이드 웹(WWW(World Wide Web))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를 이용한 상기 도메인네임접속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허용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월드 와이드 웹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웹서버가 상기 IP접속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원격관리 시스템.
  11. 컴퓨터에
    복수의 센서들이 온실 내부 환경을 감지하고, 시설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도메인네임접속 및 IP접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방법을 통해 웹서버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온오프 메뉴 화면을 제공하고,
    온오프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상기 시설 장비를 동작시키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기설정된 구간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메뉴 버튼을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비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일정크기보다 큰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을 상기 일정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변화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절량 설정 화면을 통해 상기 시설 장비의 조절량의 변화폭 정보와 조절 인터벌(interval)을 나타내는 조절 시간 정보를 조절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월드 와이드 웹(WWW(World Wide Web))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DNS(Domain Name System)를 이용한 상기 도메인네임접속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허용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월드 와이드 웹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웹서버가 상기 IP접속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온오프 메뉴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90116116A 2019-09-20 2019-09-20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 KR10247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16A KR102470911B1 (ko) 2019-09-20 2019-09-20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16A KR102470911B1 (ko) 2019-09-20 2019-09-20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17A KR20210034317A (ko) 2021-03-30
KR102470911B1 true KR102470911B1 (ko) 2022-11-29

Family

ID=7526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116A KR102470911B1 (ko) 2019-09-20 2019-09-20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9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761B1 (ko) * 2016-02-29 2017-01-23 최일광 온실공조 및 대기 환경제어시스템
KR101772016B1 (ko) * 2016-09-05 2017-08-28 마명철 IoT디바이스의 시그니처 정보 등록기법 및 하이브리드 공개키 암호 인증기법을 활용한 쌍방향 IoT 보안접근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442B1 (ko) * 2013-06-18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20150102807A (ko) * 2014-02-28 2015-09-08 (주)하이센서앤로봇 모션센서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20160044817A (ko) * 2014-10-16 2016-04-26 채한별 시설재배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1557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761B1 (ko) * 2016-02-29 2017-01-23 최일광 온실공조 및 대기 환경제어시스템
KR101772016B1 (ko) * 2016-09-05 2017-08-28 마명철 IoT디바이스의 시그니처 정보 등록기법 및 하이브리드 공개키 암호 인증기법을 활용한 쌍방향 IoT 보안접근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17A (ko)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2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exposure in high dynamic range video capture systems
US11212427B2 (en) Doorbell camera
US10602065B2 (en) Tile-based camera mode switching
US20200213484A1 (en) Doorbell Camera
KR100828103B1 (ko) 토양 및 환경센서를 이용한 온실 자동제어 시스템 및 온실관리 방법
US99305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based upon history of the home devices
US11546491B2 (en) Camera assembly with concave-shaped front face
US11671683B2 (en) Doorbell camera
KR20070020124A (ko) 전기 장치 컨트롤러, 전기 장치 제어 시스템, 전기 장치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924532B2 (en) Camera assembly with concave-shaped front face
KR20200045219A (ko) 카메라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팜
CN106331637A (zh) 一种具备无线路由功能的摄像机
KR102470911B1 (ko) 소형 온실의 시설 장비 원격관리 시스템
KR101580365B1 (ko)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전자기기 원격 제어방법,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제어서버, 카메라 및 그 원격제어 지원방법
US11997370B2 (en) Doorbell camera
US20240244305A1 (en) Doorbell Camera
CN207340048U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的光学成像系统
Al-Muhanna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savings in cost, time, and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