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747B1 -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747B1
KR102470747B1 KR1020200176438A KR20200176438A KR102470747B1 KR 102470747 B1 KR102470747 B1 KR 102470747B1 KR 1020200176438 A KR1020200176438 A KR 1020200176438A KR 20200176438 A KR20200176438 A KR 20200176438A KR 102470747 B1 KR102470747 B1 KR 10247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ed steel
strength cold
martensit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6202A (en
Inventor
현철승
안연상
류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747B1/en
Publication of KR2022008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2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로,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보론(B) 0.0001 내지 0.002%, 0.1 내지 0.3%,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조직이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70 ≤ TM / (FM + TM) ≤ 85
(상기 관계식 1에서 TM은 고강도 냉연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M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weight, carbon (C) 0.14 to 0.2%, manganese (Mn) 2.5 to 3.0%, silicon (Si) 0.3 to 0.6%, acid soluble aluminum (sol.Al) 0.02 to 0.05%, molybdenum (Mo ), boron (B) 0.0001 to 0.002%, 0.1 to 0.3%,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0.0001 to 0.01%, the rest iron (Fe) and unavoidable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composed of impurities,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ferrite, bain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and the area fraction of the tempered martensite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It is about.
[Relationship 1]
70 ≤ TM / (FM + TM) ≤ 85
(In the above relational expression 1, TM is the area fraction (%) of tempered martensite i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FM is the area fraction (%) of fresh martensite)

Description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냉연강판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Manufacturing method of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nd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냉연강판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항복강도가 900MPa 이상, 인장강도가 1,180MPa, 연신율이 8.0% 및 항복비가 0.7 이상인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냉연강판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nd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ore preferably having a yield strength of 900 MPa or more,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an elongation of 8.0%,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simultaneously having a yield ratio of 0.7 or more and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최근 강화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로 인해 연비 향상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자동차사들은 차체의 경량화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환경문제 뿐 아니라 자동차의 내충격성에 대한 안정성 규제가 확대되면서 자동차 구조 부재에 대한 고강도 강의 적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Due to the recently strengthened carbon dioxide emission regulations, the need to improve fuel efficiency has increased, and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focusing on weight reduction of car bodie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high-strength steel to automobile structural membe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s safety regulations for impact resistance of automobiles are expanded as well as environmental problems.

상술한 고강도 강을 제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써 열처리 과정에서 소둔후 급속냉각 구간(Rapid cooling Section; RCS)을 추가하여 강도를 강화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급속냉각으로 강판 내 일부 마르텐사이트를 템퍼링시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켜 높은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구현하는 방법이다. 이는 높은 항복강도 뿐 아니라 상간경도차 감소에 따른 성형성의 향상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one method for producing the above-described high-strength steel, a method of enhancing strength by adding a rapid cooling section (RCS) after annealing in the heat treatment process has been studied. Specifically, it is a method of realizing high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by tempering some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by the rapid cooling and transforming it into tempered martensite. This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promote not only high yield strength but also improvement in formability due to the decrease in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phases.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소둔 및 급속냉간을 포함하는 강판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Due to these advantages, research on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s including annealing and rapid cooling is being continuously conducted.

일 예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1992-289120호에서는 탄소 0.18% 이상의 강재를 연속소둔 후 상온까지 수냉하고, 120~300℃에서 1~15분간 과시효 처리하여 마르텐사이트 80~97면적% 이상인 강재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하지만 상기의 제조방법은 수냉 후 템퍼링으로 인하여 강도를 강화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항복비는 매우 높지만 수냉시 폭/길이 방향의 온도편차로 인한 코일의 형상품질 열화 및 재질편차 문제로 성형시 크랙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2-289120, a steel material having 0.18% or more of carbon is continuously annealed, then water-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overaged at 120 to 300 ° C. for 1 to 15 minutes to produce a steel material with martensite of 80 to 97 area% or more suggest a technique to However, since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s a method of reinforcing strength due to tempering after water cooling, the yield ratio is very high, but cracks occur during molding due to deterioration of the shape quality of the coil and material deviation due to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width / length direction during water cooling. There is a problem with doing it.

다른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6759호에서는 냉연강판을 (Ae3+30℃~Ae3+80℃)의 온도범위에서 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방법은 강판 내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만들기 위해 첨가되는 다량의 Si와 Al으로 인해 제강 및 연주 시에 표면품질의 확보가 까다롭고, 최종 제품에서도 외판 수준의 도금 표면품질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20-0036759 discloses a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nnealing a cold-rolled steel sheet in a temperature range of (Ae3+30°C to Ae3+80°C), but the above method Due to the large amount of Si and Al added to make retained austenite in the silver steel shee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urface quality during steelmaking and casting,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lating surface quality at the level of the outer plate even in the final product.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90432호와 같이 합금성분을 보다 높여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를 활용한 고강도 고연성 냉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은 연속소둔 후의 판형상이 양호할 뿐 아니라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에 따른 상간경도차 감소로 성형성의 향상 유도할 수 있지만, 탄소(C)가 0.2% 이상 함유되어 있어 용접성이 열위하고 Si 함량도 높아 로내 덴트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s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0-090432,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strength, high-ductility cold-rolled steel sheet using tempered martensite by increasing the alloy component.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not only has a good plate shape after continuous annealing, but also can induce improved formability by reducing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phases due to tempered martensite, but has poor weldability and Si content because it contains more than 0.2% of carbon (C)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ents in the furnace can easily occur because the degree is high.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높은 항복비와 성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데 필요한 요구물성들을 고려해 볼 때, 구현 가능한 인장강도는 약 1180MPa급 수준으로 판단되며, 이를 바탕으로 한 고강도 냉연강판이 조속히 개발될 필요가 있다.Considering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ecure high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t the same time, the realizable tensile strength is judged to be about 1180 MPa,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s soon as possible based on this. have.

일본 공개특허공보 1992-289120호(1992.10.14)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2-289120 (October 14, 199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6759호 (2020.04.0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36759 (2020.04.07)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090432호(2010.04.22)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090432 (2010.04.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첨가 원소들의 함량 및 제조조건을 제어하여 항복강도가 900MPa 이상, 인장강도가 1,180MPa, 연신율이 8.0% 및 항복비가 0.7 이상인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냉연강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additive elements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the yield strength is 900MPa or more, the tensile strength is 1,180MPa, the elongation is 8.0%, and the yield ratio is 0.7 or 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n excellent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아울러, 7000MPax% 이상의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YSxEl), 25.0% 이상의 구멍확장성(HER)을 동시에 가지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냉연강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yield ratio having a product of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of 7000 MPax% or more (YSxEl) and hole expandability (HER) of 25.0% or more, and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It is intended to provide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from the entir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additional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중량%로,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0.1 내지 0.3%,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조직이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구성되며,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에 관한 것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y weight, 0.14 to 0.2% of carbon (C), 2.5 to 3.0% of manganese (Mn), 0.3 to 0.6% of silicon (Si), acid soluble aluminum (sol.Al ) 0.02 to 0.05%, molybdenum (Mo) 0.1 to 0.3%,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0.0001 to 0.01%, the rest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It is made of, and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ferrite, bain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and the area fraction of the tempered martensite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in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it's about

[관계식 1][Relationship 1]

70 ≤ TM / (FM + TM) ≤ 8570 ≤ TM / (FM + TM) ≤ 85

(상기 관계식 1에서 TM은 고강도 냉연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M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다)(In the above relational expression 1, TM is the area fraction (%) of tempered martensite i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FM is the area fraction (%) of fresh martensite)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냉연강판의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 5.0 내지 15.0%일 수 있다. In the above aspect, the area fraction of ferrite and bainite in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y be 5.0 to 15.0%.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냉연강판의 미세분율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할 수 있다.In the above aspect, the fine fraction of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y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2.

[관계식 2][Relationship 2]

8.0 ≤ (TM + FM) / (F + B) ≤ 16.08.0 ≤ (TM + FM) / (F + B) ≤ 16.0

(상기 관계식 2에서 TM은 고강도 냉연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M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는 페라이트의 면적분율(%)이며, B는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다)(In the above relational expression 2, TM is the area fraction (%) of tempered martensite i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FM is the area fraction (%) of fresh martensite, F is the area fraction (%) of ferrite, and B is the bay It is the area fraction (%) of knight)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냉연강판은 항복비가 0.7 이상이며, 연신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In the above aspect,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y have a yield ratio of 0.7 or more and an elongation of 8.0% or more.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냉연강판은 항복강도가 90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1,180MPa 이상일 수 있다. In the above aspect,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y have a yield strength of 900 MPa or more and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중량%로, 크롬(Cr) 0.5% 이하, 나이오븀(Nb) 0.1% 이하, 타이타늄(Ti) 0.1% 이하 및 보론(B) 0.002% 이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aspect, in weight%, chromium (Cr) 0.5% or less, niobium (Nb) 0.1% or less, titanium (Ti) 0.1% or less, and boron (B) 0.002% or less selected from among more than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중량%로,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0.1 내지 0.3%,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냉연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냉연강판을 700 내지 820℃에서 연속적으로 소둔하는 단계, 상기 소둔된 강판을 620 내지 700℃까지 1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강판을 280 내지 580℃까지 2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2차 냉각된 강판을 400 내지 500℃까지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percent, carbon (C) 0.14 to 0.2%, manganese (Mn) 2.5 to 3.0%, silicon (Si) 0.3 to 0.6%, acid soluble aluminum (sol.Al) 0.02 to 0.05%, molybdenum (Mo) 0.1 to 0.3%,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0.0001 to 0.01%, the rest consisting of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Preparing a cold-rolled steel sheet, continuously annealing the cold-rolled steel sheet at 700 to 820°C, firstly cooling the annealed steel sheet to 620 to 700°C, and firstly cooling the steel sheet to 280 to 580°C. Method for produc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secondary cooling includes the step of overaging the secondary cooled steel sheet to 400 to 500 ° C., and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It is about.

[관계식 1] [Relationship 1]

70 ≤ TM / (FM + TM) ≤ 8570 ≤ TM / (FM + TM) ≤ 85

(상기 관계식 1에서 TM은 고강도 냉연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M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다)(In the above relational expression 1, TM is the area fraction (%) of tempered martensite i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FM is the area fraction (%) of fresh martensite)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으로 소둔하는 단계는 810 내지 820℃에서 수행될수 있다. In the above aspect, the step of continuously annealing may be performed at 810 to 820 ° C.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2차 냉각하는 단계는 280 내지 320℃까지 수행될 수 있다. In the above aspect, the secondary cooling may be performed to 280 to 320 °C.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1차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소둔된 강판을 1 내지 10℃/s의 속도로 냉각될 수 있다. In the above aspect, in the first cooling step, the annealed steel sheet may be cooled at a rate of 1 to 10° C./s.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2차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1차 냉각된 강판을 5 내지 20℃/s의 속도로 냉각될 수 있다.In the above aspect, in the secondary cooling, the primary cooled steel sheet may be cooled at a rate of 5 to 20° C./s.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간 성형용 자동차 강판에 요구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을 만족시키는 고강도 냉연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satisfying the yield ratio and formability required for automotive steel sheets for cold forming.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사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이하에 기술된 설명으로부터 유추 가능한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interpreted as including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로 제조된 강판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촬영 사진이다.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for observ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steel sheet manufactured in Example 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강의 성분조성과 연계하여 열처리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항복강도(Yield Strength; YS)가 900MPa,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가 1,180MPa 이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항복비가 0.7, 연신율이 8.0% 이상을 갖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은 7000MPax% 이상의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YSxEl) 및 25.0% 이상의 구멍확장성(HER)을 만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강도 냉연강판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자동차 차체 및 구조 부재, 예를 들어, 시트레일 (Seat rail), 필라 (Pillar), 펜더(Fender)부의 충돌 안정성을 강화하면서,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composition of the steel, the yield ratio is 0.7 and the elongation is 8.0% while maintaining the yield strength (YS) of 900 MPa and the tensile strength (TS) of 1,180 MPa or more. It relates to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the above yield ratio and excellent formability. In addition,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may satisfy the product of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YSxEl) of 7000 MPax% or more and hole expandability (HER) of 25.0% or more. Through this, formability can be improved while strengthening the collision stability of automobile bodies and structural members, for example, seat rails, pillars, and fenders, where the use of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s is increasing. have.

일 예로, 본 발명은 소둔 시 소둔이 발생되는 온도 및 소둔 이후 급속냉각 구간(Rapid cooling Section; RCS)의 온도를 최적화함으로써 동일한 조성의 냉연강판임에도 불구하고 항복강도(YS)가 900MPa 이상, 인장강도(TS)가 1,180MPa이상, 항복비가 0.7 이상 및 연신율이 8.0%이상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temperature at which annealing occurs during annealing and the temperature of the rapid cooling section (RCS) after annealing, so that the yield strength (YS) is 900 MPa or more and the tensile strength is (TS) of 1,180 MPa or more, yield ratio of 0.7 or more, and elongation of 8.0% or more can be realized.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은 중량%로,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0.1 내지 0.3%, 보론(B) 0.0001 내지 0.002%,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by weight, contains 0.14 to 0.2% of carbon (C), 2.5 to 3.0% of manganese (Mn), 0.3 to 0.6% of silicon (Si), and soluble acid. Aluminum (sol.Al) 0.02 to 0.05%, molybdenum (Mo) 0.1 to 0.3%, boron (B) 0.0001 to 0.002%,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 0.0001 to 0.01%, the rest may be made of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또한, 상기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은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may have ferrite, bainite, and martensite structures.

이 때,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또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는 소둔 과정에서 형성된 오스테나이트가 급냉 과정을 통해 무확산변태하여 형성된 조직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마르텐사이트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martensite may be classified as fresh martensite or tempered martensite. The fresh martensite refers to a structure formed by non-diffusion transformation of austenite formed in an annealing process through a rapid cooling process, and refers to normal martensite.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는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를 400 내지 500℃에서 과시효 처리하여 변화시킨 상을 의미한다.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는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에서 빠져나온 탄소(C)가 전위에 고착되어 코트렐 분위기(Cottrell atmosphere)를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The tempered martensite means a phase obtained by subjecting the fresh martensite to overaging at 400 to 500°C. The tempered martensite is implemented by forming a Cottrell atmosphere by fixing carbon (C) released from the fresh martensite to dislocations.

이는, 상기 강판의 인장강도를 소폭 감소시키는 대신 항복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마르텐사이트 내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에서의 면적분율과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기 강판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최종 냉각 후 상온에서 잔류한 오스테나이트로 인해 연신율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This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yield strength instead of slightly reduc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That is,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rea fraction of the fresh martensite in martensite and the area fraction of the tempered martensite. In addition, the elongation can be improved due to the austenite remaining at room temperature after final cooling.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ea fraction of the fresh martensite and the tempered martensite may be formed 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관계식 1][Relationship 1]

70 ≤ TM / (FM + TM) ≤ 8570 ≤ TM / (FM + TM) ≤ 85

(상기 관계식 1에서 TM은 고강도 냉연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M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다)(In the above relational expression 1, TM is the area fraction (%) of tempered martensite i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FM is the area fraction (%) of fresh martensite)

즉, 상기 관계식 1은 마르텐사이트 분율에 대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을 의미하며, 상기 마르텐사이트 분율에 대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70 내지 85로 형성되어 항복강도(YS)가 900MPa 이상, 인장강도(TS)가 1,180MPa이상인 상태에서 항복비 및 성형성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That is, the relational expression 1 means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to the martensite fraction, and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to the martensite fraction is formed to be 70 to 85, so that the yield strength (YS) is 900 MPa or more, tensile Yield ratio and formability can be optimized when the strength (TS) is 1,180 MPa or more.

상기 마르텐사이트 분율에 대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TM / (FM + TM) x 100)이 70 미만이면, 마르텐사이트 중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향상되어 항복비 및 성형성이 만족된 상태에서 900MPa이상의 항복강도, 1,18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반대로 상기 마르텐사이트 분율에 대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TM / (FM + TM) x 100)이 85를 초과하면 마르텐사이트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강도가 만족된 상태에서 0.7 이상의 항복비와 8.0% 이상의 연신율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When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to the martensite fraction (TM / (FM + TM) x 100) is less than 70, the fraction of fresh martensite among martensite is improved to yield ratio and formability 900 MPa in a state of being satisfied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yield strength above and the tensile strength above 1,180 MPa. Conversely, if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to the martensite fraction (TM / (FM + TM) x 100) exceeds 85, the tempered martensitic structure in martensite is excessively formed, and the strength is 0.7 or more in a satisfactory state.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yield ratio and an elongation of 8.0% or more.

특히, 마르텐사이트 분율에 대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70 내지 85를 만족하면, 25.0% 이상의 구멍확장성(HER) 및 7000MPax% 이상의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YSxEl)을 모두 만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마르텐사이트 분율에 대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TM / (FM + TM) x 100)은 70 내지 85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일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to the fraction of martensite satisfies 70 to 85, it was found that both the hole expandability (HER) of 25.0% or more and the product of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YSxEl) of 7000MPax% or more can be satisfied. did For this reason,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to the fraction of martensite (TM / (FM + TM) x 100) is preferably 70 to 85, more preferably 75 to 85.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은 1m x 1m 범위 내 평균 직경이 50nm 이하인 미세석출물이 1012개 이상 석출될 수 있다. 상기 미세석출물은 Ti, Nb 및 Mo 금속원소 또는 상기 금속원소들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다른 강판에 비해 고강도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10 12 or more fine precipitat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50 nm or less in a range of 1 m x 1 m may be precipitated. The fine precipitates may be Ti, Nb, and Mo metal elements or an alloy containing the metal elements. Through this, high-strength characteristics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than other conventionally provided steel plates.

이하, 본 발명의 조성범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위는 중량%이다.Hereinafter, the composition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units are % by weight.

탄소(C)는 0.14 내지 0.2 중량% 포함된다. Carbon (C)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14 to 0.2% by weight.

상기 탄소(C)는 강판의 강도를 강화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원소이다. 아울러, 상기 탄소(C)는 강판 내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촉진하여 강판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소(C)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써 잔류 오스테나이트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C)의 함량이 증가하면 강판 내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합조직상 형성에 유리하지만, 상기 탄소(C)의 함량이 필요 이상으로 포함되면 연신율을 제어하기 어려움으로, 강도 및 연신율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함량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The carbon (C) is an element that decisively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In addition, the carbon (C) can promote the formation of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to strengthen the steel sheet. In addition, carbon (C)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forming retained austenite as an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of carbon (C) increases, the formation of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may increase. This is advantageous for the formation of a composite structure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bu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elongation rate when the carbon (C) content is included more than necessary. Needs to be.

상술한 이유로 인하여, 상기 탄소(C)는 0.14 내지0.2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C)가 0.14 중량% 미만이면, 강판 내 마르텐사이트 형성이 부족하여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탄소(C)가 0.2 중량%를 초과하면, 연신율이 감소하여 성형성이 감소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탄소(C)는 0.14 내지 0.2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14 내지 0.1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Due to the above reasons, the carbon (C)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14 to 0.2% by weight. If the amount of carbon (C) is less than 0.14% by weight, strength may decrease due to lack of formation of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Conversely, when the amount of carbon (C) exceeds 0.2% by weight, the elongation is reduced and formability is reduced. For this reason, the amount of carbon (C) is preferably 0.14 to 0.2% by weight, more preferably 0.14 to 0.18% by weight.

망간(Mn)은 2.5 내지 3.0중량% 포함될 수 있다. Manganese (M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5 to 3.0% by weight.

상기 망간(Mn)은 강의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특히 강판 내 마르텐사이트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망간(Mn)은 강판의 고용강화를 촉진하여 강판의 강도를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에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황(S)을 MnS로 석출시켜 열간압연시 황(S)에 의한 판파단 발생 및 고온취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 작용을 유효하게 하기 위해, 상기 망간(Mn)은 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6 중량% 포함될 수 있다. Manganese (Mn) is an element that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in particular. At the same time, the manganese (Mn)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by promoting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of the steel sheet. In addition, by precipitating sulfur (S), which is inevitably added to the steel sheet, as MnS, it is possible to suppress plate breakage and high-temperature embrittlement due to sulfur (S) during hot rolling. To make this action effective, the manganese (M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5%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2.6% by weight.

하지만, 상기 망간(Mn)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강판의 용접성이 열위해질 뿐만 아니라, 마르텐사이트가 과잉으로 형성되어 재질이 불안정해지며, 밴드(Band) 형태의 산화물 띠가 형성되어 가공크랙 및 판파단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망간(Mn)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소둔(annealing) 시 망간(Mn) 산화물이 강판의 표면에 용출되어 도금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망간(Mn)은 2.5 내지 3.0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9 중량% 포함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manganese (Mn) content exceeds 3.0% by weight, not only the weldability of the steel sheet is deteriorated, martensite is excessively formed, making the material unstable, and a band-shaped oxide band is formed, resulting in machining crack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plate breakage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manganese (Mn) content exceeds 3.0% by weight, manganese (Mn) oxide is eluted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during annealing, resulting in a problem of impairing plating properties. For this reason, the manganese (Mn) may be included in 2.5 to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2.5 to 2.9% by weight.

규소(Si)는 0.3 내지 0.6 중량% 포함될 수 있다. Silicon (Si)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3 to 0.6% by weight.

상기 규소(Si)는 페라이트 형성을 촉진하고, 미변태 오스테나이트로의 탄소(C) 농화를 조장하여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즉, 상기 규소(Si)는 상대적으로 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형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촉진하여 강판의 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강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작용을 유효하게 하기 위해, 상기 규소(Si)는 0.3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35 중량%이상 포함될 수 있다. The silicon (Si) may promote the formation of ferrite and promote the formation of martensite by promot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C) into untransformed austenite. That is, silicon (Si) promotes the formation of ferrite with relatively excellent ductility and at the same time promotes the formation of martensite with relatively strong strength, thereby contributing to securing strength within the limit of not reducing the ductility of the steel sheet. In order to make this action effective, the silicon (Si)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3%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35% by weight or more.

하지만 상기 규소(Si)가 0.6 중량%를 초과하면 강판 표면에 규소(Si) 산화물을 형성함으로써 도금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수소취성 및 용접성의 열위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규소(Si)는 0.3 내지 0.6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45 중량% 포함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mount of silicon (Si) exceeds 0.6% by weight, plating properties may be impaired by forming silicon (Si) oxide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hydrogen embrittlement and poor weldability may be caused. For this reason, the silicon (Si)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3 to 0.6% by weight, more preferably 0.35 to 0.45% by weight.

산가용 알루미늄(sol.Al)은 0.02 내지 0.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cid-soluble aluminum (sol.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2 to 0.05% by weight.

상기 산가용 알루미늄(sol.Al)은 강판의 입도 미세화와 탈산을 위해 첨가되는 원소로 0.02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The acid-soluble aluminum (sol.Al) is an element added for grain size refinement and deoxidation of the steel sheet, and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02%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03% by weight or more.

하지만 산가용 알루미늄(sol.Al)의 함량이 과도한 경우, 제강 연주 조업시 개재물의 과다 형성으로 도금 시 강판 표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산가용 알루미늄(sol.Al)은 0.02 내지 0.0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4 중량% 포함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content of acid soluble aluminum (sol.Al) is excessive, surface defects of the steel sheet may occur during plating due to excessive formation of inclusions during steel casting operation. For this reason, the acid-soluble aluminum (sol.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2 to 0.05% by weight, more preferably 0.03 to 0.04% by weight.

몰리브덴(Mo)은 0.1 내지 0.3중량% 포함될 수 있다. Molybdenum (Mo)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0.3% by weight.

상기 몰리브덴(Mo)은 강판의 경화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몰리브덴(Mo)는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 중의 탄화물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르텐사이트 내 탄소(C)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몰리브덴(Mo)을 통해 상기 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작용을 유효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몰리브덴(Mo)은 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몰리브덴(Mo)이 0.3 중량%를 초과하면 용접부의 경도를 과도하게 증가시켜 연성 및 구멍확장성(HER)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몰리브덴(Mo)은 0.1 내지 0.3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The molybdenum (Mo) can improve the hardenability of the steel sheet. Specifically, the molybdenum (Mo) can implement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carbides in martensite or bainite, and through this, the amount of carbon (C) in martensite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and fresh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molybdenum (Mo). In order to make the above-described action effective, the molybdenum (Mo)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1% by weight or more. However, when the amount of molybdenum (Mo) exceeds 0.3% by weight, the hardness of the welded portion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ductility and hole expandability (HER) may be reduced. For this reason, the molybdenum (Mo)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0.3% by weight, more preferably 0.15 to 0.25% by weight.

보론(B)은 0.001 내지 0.00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Boron (B)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1 to 0.002% by weight.

상기 보론(B)은 상기 강판이 소둔하는 과정에서 오스테나이트가 펄라이트로 변태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위해서 상기 보론(B)은 0.001 중량%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ron (B) may be added to delay the transformation of austenite into pearlite during annealing of the steel sheet. For this action, the boron (B)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0.001% by weight or more.

다만, 상기 보론(B)이 0.002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강판 표면에 보론(B)이 농화되어 도금밀착성의 열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론(B)의 함량은 0.001 내지 0.002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5 내지 0.00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amount of boron (B) is added in excess of 0.002% by weight, the concentration of boron (B)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may cause deterioration of coating adhesion. More preferably,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15 to 0.002% by weight.

인(P)은 0.0001 내지 0.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Phosphorus (P)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01 to 0.05% by weight.

상기 인(P)은 고용강화에 의해 강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인(P)이 0.05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인(P)이 강판의 입계에 편석되는 양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템퍼 취성(Temper brittleness) 발생 가능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열간압연 도중 슬라브의 판파단이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인(P)은 도금표면 특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이론상 상기 인(P)의 함량은 0중량%에 가깝도록 함량을 낮게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나, 인(P)은 제조공정 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인(P)의 함량을 줄이기 위한 공정이 까다롭고 추가공정으로 인한 생산비용이 증가되므로 그 상한을 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인(P)는 0.0001 내지 0.05중량% 포함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sphorus (P) can improve the strength of steel by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However, if the amount of phosphorus (P) exceeds 0.05% by weight, the amount of segregation of the phosphorus (P) at grain boundaries of the steel sheet excessively increases, and thus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emper brittleness may greatly increase. This is a major cause of plate breakage of the slab during hot rolling. In addition, phosphorus (P) may deteriorate plating surface properties. Theoretically, it is advantageous to control the content of phosphorus (P) low so that it is close to 0% by weight, but phosphorus (P) is inevitably contain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reduce the content of phosphorus (P) Since the process is difficult and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additional process, it is desirable to set and manage the upper limi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nage the phosphorus (P) to include 0.0001 to 0.05% by weight.

황(S)은 0.0001 내지 0.01중량% 포함될 수 있다.Sulfur (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01 to 0.01% by weight.

상기 황(S)은 상술한 인(P)와 같이 강판 내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 원소로서, 강판의 연성 및 용접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또한, 상기 황(S)은 강판 내 적열취성(hot shortnes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황(S)은 상기 인(P)와 마찬가지로 0중량%에 가깝도록 함량을 낮게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나, 이를 위해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고려하면 그 상한을 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황(S)은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lfur (S) is an impurity element unavoidably contained in a steel sheet, like phosphorus (P), and is an element that impairs ductility and weldability of the steel sheet. In addition, the sulfur (S) may cause hot shortness in the steel sheet. For this reason, it is advantageous to control the sulfur (S) content low to be close to 0% by weight, similar to the phosphorus (P), but considering the cost and time consumed for this, it is preferable to set and manage the upper limit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nage the sulfur (S) to include 0.0001 to 0.01% by weight.

질소(N)는 0.0001 내지 0.01중량% 포함될 수 있다.Nitrogen (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01 to 0.01% by weight.

상기 질소(N)은 상기 산가용 알루미늄(sol.Al)과 결합하여 AlN의 알루미나(Alumina)계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AlN은 연주품질을 저하하고, 강판의 취성을 증가시켜 파괴 결함이 발생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질소(N)는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itrogen (N) may combine with the acid-soluble aluminum (sol.Al) to form an alumina-based non-metallic inclusion of AlN. The AlN may decrease the playing quality and increase the brittleness of the steel sheet,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fracture defects.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manage the nitrogen (N) to include 0.0001 to 0.01% by weigh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은 상술한 합금성분 이외에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는 합금 조성이 존재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lloy composition that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nen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은 중량%로, 크롬(Cr) 0.5% 이하, 나이오븀(Nb) 0.1% 이하 및 타이타늄(Ti) 0.1% 이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is, by weight, at least one selected from 0.5% or less of chromium (Cr), 0.1% or less of niobium (Nb), and 0.1% or less of titanium (Ti). may further include.

크롬(Cr)은 0.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Chromium (C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by weight or less.

상기 크롬(Cr)은 상기 강판 내 마르텐사이트 형성에 기여하여 경화능을 향상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강판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롬(Cr)은 강도 상승 대비 연신율 하락을 최소화시켜 강판이 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강판 내 크롬(Cr)이 0.5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강판 내 마르텐사이트의 형성 비율을 과도하게 증가되며, 조대한 크롬(Cr)계 탄화물의 분율이 증가되므로, 연신율이 과도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과도한 크롬(Cr) 첨가는 수소취성 및 용접성의 열위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크롬(Cr)은 0.5 중량% 이하로 제한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The chromium (Cr)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to improve hardenability, there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In addition, the chromium (Cr) may contribute to securing ductility of the steel sheet by minimizing the decrease in elongation compared to the increase in strength. However, when the amount of chromium (Cr) in the steel sheet exceeds 0.5% by weight, the formation rate of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fraction of coarse chromium (Cr)-based carbides is increased, so the elongation rate is excessively reduced.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excessive addition of chromium (Cr) may cause hydrogen embrittlement and poor weldability. For this reason, the amount of chromium (Cr) may be limited to 0.5%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3% by weight or less.

나이오븀(Nb)은 0.1 중량%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Niobium (Nb)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by weight or less.

상기 나이오븀(Nb)이 상기 강판에 첨가되면, 상기 강판 중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되어, 소둔열처리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 내 미세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나이오븀(Nb)이 0.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나이오븀(Nb)과 결합하는 탄소(C)의 양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강판 내 탄소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오븀(Nb)이 0.1 중량% 이상 포함되면, 상기 강판의 제조 시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나이오븀(Nb)은 0.1 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When niobium (Nb) is added to the steel sheet, it is segregated at austenite grain boundaries in the steel sheet, and thus, coarsening of austenite grains may be suppressed during annealing heat treatment. In addition, it may contribute to strength improvement by forming fine carbides in the steel sheet. However, when the amount of niobium (Nb) exceeds 0.1% by weight, the amount of carbon (C) bonded to the niobium (Nb) increases excessively, and the amount of carbon in the steel sheet may decrease. In addition, when the niobium (Nb)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1% by weight or more,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steel sheet, resulting in inferior economic feasibility. For this reason, the niobium (Nb)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0.1%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05% by weight or less.

타이타늄(Ti)은 0.1 중량%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Titanium (Ti)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by weight or less.

상기 타이타늄(Ti)은 상기 강판 내 미세 탄화물을 형성하여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타늄(Ti)는 상기 강판 내 질소(N)를 TiN으로 석출시켜 상기 질소(N)와 상기 알루미늄(Al)의 합금인 AlN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타이타늄(Ti)은 연주 시 상기 강판에 크랙이 발생될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타이타늄(Ti)을 강판에 첨가할 수 있다. The titanium (Ti) may form fine carbides in the steel sheet to improve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In addition, titanium (Ti) can precipitate nitrogen (N) in the steel sheet as TiN, thereby suppressing the precipitation of AlN, which is an alloy of nitrogen (N) and aluminum (Al). Through this, the titanium (Ti) can effectively reduce the risk of cracks occurring in the steel sheet during playing. For this reason, titanium (Ti) may be added to the steel sheet.

다만, 상기 타이타늄(Ti)의 함량이 0.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강판 내에 석출되는 탄화물이 조대해지며 상기 나이오븀(Nb)과 마찬가지로 강판 내 탄소(C)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타이타늄(Ti)이 0.1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연주시 노즐 막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타이타늄(Ti)은 함량을 0.1 중량%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content of titanium (Ti) exceeds 0.1% by weight, carbides precipitated in the steel sheet become coarse, and the amount of carbon (C) in the steel sheet can be reduced similarly to the niobium (Nb). In addition, when the titanium (Ti) is added in excess of 0.1% by weight, it causes nozzle clogging during playing. For this reason, the titanium (Ti) content is preferably limited to 0.1%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05% by weight or less.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The remaining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e. However, since unintended impurities from raw materials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inevitably be mixed in a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this cannot be excluded. Since these impurities are known to anyone skilled in the ordinary manufacturing process, not all of them are specifically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이상 본 발명의 일 특징인 조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조직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달리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 한, 조직의 비율을 나타내는 %는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The composition, which is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issue,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indicated, % representing the ratio of tissues is based on area.

앞서 설명한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은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와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상술한 관계식 1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ferrite, bain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among which, th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may be configured 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 1.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강도 강판은 상기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의 합이 5.0 내지 15.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의 합이 5.0% 미만이면, 상기 강판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나, 연신율이 감소하여 충분한 성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반대로 상기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의 합이 15.0%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감소하여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기 어렵다.In addition, in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area fractions of ferrite and bainite is preferably 5.0 to 15.0%. When the sum of the area fractions of ferrite and bainite is less than 5.0%, the Although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may be improved,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formability due to a decrease in elongation. Conversely, when the sum of the area fractions of ferrite and bainite exceeds 15.0%, the area fraction of martensite is relatively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구체적으로 상기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는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errite and bainite may be form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2.

[관계식 2][Relationship 2]

8.0 ≤ (TM + FM) / (F + B) ≤ 16.08.0 ≤ (TM + FM) / (F + B) ≤ 16.0

(상기 관계식 2에서 TM은 고강도 냉연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M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는 페라이트의 면적분율(%)이며, B는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다)(In the above relational expression 2, TM is the area fraction (%) of tempered martensite i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FM is the area fraction (%) of fresh martensite, F is the area fraction (%) of ferrite, and B is the bay It is the area fraction (%) of knight)

다시 말해, 강판 내 상기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에 대한 상기 마르텐사이의 비율이 8.0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이 8.0 미만이면, 충분한 양의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와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900MPa 이상의 항복강도와 1,180MPa이상의 인장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비율이 16.0을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상기 페라이트와 상기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 감소하여 0.7 이상의 항복비와 8.0% 이상의 연신율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상기 비율이 8.0 내지 16.0을 만족하면, 상술한 강도와 연신율을 만족할 수 있으며, 7000MPax% 이상의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YSxEl), 25.0% 이상의 구멍확장성(HER)을 만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between the martensite to the ferrite and bainite in the steel sheet is 8.0 to 16.0. If the ratio is less than 8.0, sufficient amounts of the tempered martensite and the fresh martensite are not formed. Means that.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yield strength of 900 MPa or more and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Conversely, when the ratio exceeds 16.0, the area fractions of ferrite and bainite are relatively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a yield ratio of 0.7 or more and an elongation of 8.0%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is 8.0 to 16.0, the above-described strength and elongation can be satisfied, and the product of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YSxEl) of 7000 MPax% or more and hole expandability (HER) of 25.0% or more can be satisfi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Above,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한 조성성분으로 이루어진 냉연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냉연강판을 700 내지 820℃에서 연속적으로 소둔하는 단계; 상기 소둔된 강판을 620 내지 700℃까지 1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강판을 280 내지 580℃까지 2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강판을 400 내지 500℃까지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includes preparing a cold-rolled steel sheet made of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continuously annealing the cold-rolled steel sheet at 700 to 820° C.; Primary cooling the annealed steel sheet to 620 to 700 ° C; secondarily cooling the firstly cooled steel sheet to 280 to 580°C; and overaging the secondary cooled steel sheet to 400 to 500°C.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연강판은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0.1 내지 0.3%, 보론(B) 0.0001 내지 0.002%,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냉연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ld-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0.14 to 0.2% of carbon (C), 2.5 to 3.0% of manganese (Mn), 0.3 to 0.6% of silicon (Si), 0.02 to 0.05% of acid soluble aluminum (sol.Al), Molybdenum (Mo) 0.1 to 0.3%, boron (B) 0.0001 to 0.002%,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0.0001 to 0.01%, the rest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can be used.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소정의 성분을 가지는 강 슬라브를 재가열 한 후 Ar3 내지 Ar3+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400 내지 70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열연강판을 40 내지 70%의 연신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o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d-rolled steel sheet, providing a hot-rolled steel sheet by reheating a steel slab having a predetermined component and then performing hot-rolling in a temperature range of Ar3 to Ar3 + 50 ° C. It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steps of winding a hot-rolled steel sheet at a temperature range of 400 to 700° C. and cold-rolling the coiled hot-rolled steel sheet at an elongation of 40 to 70%.

구체적으로,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0.1 내지 0.3%, 보론(B) 0.0001 내지 0.002%,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슬라브를 1,000℃ 내지 1,350℃로 재가열하여 후술할 열간압연을 준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carbon (C) 0.14 to 0.2%, manganese (Mn) 2.5 to 3.0%, silicon (Si) 0.3 to 0.6%, acid soluble aluminum (sol.Al) 0.02 to 0.05%, molybdenum (Mo) 0.1 to 0.3 %, boron (B) 0.0001 to 0.002%,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0.0001 to 0.01%, the rest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By reheating at 1,000 ° C to 1,350 ° C, hot rolling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epared.

상기 강 슬라브의 재가열 온도가 1,000℃미만일 경우, 마무리 열간압연 시 낮은 온도에서 열간압연되어 목표하는 물성이 구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강 슬라브의 재가열 온도가 1,350℃를 초과하면 강의 융점에 도달하여 녹아버릴 소지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재가열 온도는 1,000℃ 내지 1,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reheating temperature of the steel slab is less than 1,000 ° C., it is hot-rolled at a low temperature during finish hot-rolling,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arget physical properties may not be realized. Conversely, if the reheating temperature of the steel slab exceeds 1,350 °C, the steel may reach its melting point and melt. For this reason, the re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000°C to 1,350°C.

상술한 온도범위에서 가열된 강 슬라브는 열간압연되어 열연강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열간압연을 수행하는 온도는 마무리 압연기의 출구측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Ar3 변태점의 온도 내지 Ar3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출구측 온도가 Ar3 미만인 경우에는 열간 변형 저항이 급격히 증가될 가능성이 높고, 출구측 온도가 Ar3 + 50℃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치게 두꺼운 산화스케일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열연강판의 결정립이 조대하게 형성되어 최종 강판의 물성저하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steel slab heated in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range may be hot-rolled and provided as a hot-rolled steel sheet.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hot rolling is performed is preferably from the temperature of the Ar3 transformation point to Ar3 + 50 ° C based on the temperature at the exit side of the finishing mill. If the outlet temperature is less than Ar3, the hot deformation resistance is likely to increase rapidly, and if the outlet temperature exceeds Ar3 + 50 ° C, excessively thick oxide scale is generat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grain This is because it is formed coarsely and may cause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al steel sheet.

열간압연이 종료된 열연강판은 냉각되어 400 내지 700℃에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권취온도가 400℃미만이면, 상기 강판 내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냉간압연 시 형상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권취온도가 700℃를 초과하면 표면 스케일의 증가로 산세성이 열화될 수 있다. The hot-rolled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may be cooled and wound at 400 to 700°C. When the coiling temperature is less than 400° C., martensite or bainite is excessively generated in the steel sheet, which may cause shape defects during cold rolling. On the other hand, if the coiling temperature exceeds 700 ℃, the pickling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increase in surface scale.

이 후, 권취된 강판을 산세하여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산세가 수행된 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산세 및 냉각압연 조건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냉간압연은 40 내지 70%의 연신율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간압연의 연신율이 40% 미만인 경우, 재결정 구동력이 약화되어 양호한 재결정립을 얻는데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며 형상교정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Thereafter, the coiled steel sheet may be pickled to remove surface scale, and the pickled steel sheet may be cold-rolled to manufacture a cold-rolled steel sheet. Pickling and cold rolling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ld roll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n elongation of 40 to 70%. If the elongation of cold rolling is less than 40%, the driving force for recrystallization is weakened, so problems may occur in obtaining good recrystallized grains, and shape correction may be very difficult.

반대로 상기 연신율이 70%를 초과하는 경우, 강판 에지(edge)부의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압연하중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elongation exceeds 70%, cracks are likely to occur at the edge of the steel sheet, and the rolling load may increase rapidly.

이상 냉연강판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앞서 설명한 조성범위 이내로 제공된 냉연강판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cold-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manufacture a cold-rolled steel sheet provided within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range by any known method.

준비된 냉연강판에 대해 연속적으로 소둔을 수행하여 상기 강판이 앞서 설명한 조직을 갖도록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소둔은 700 내지 82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소둔이 70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페라이트의 재결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연신율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소둔이 82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 강판 표면에 소둔산화물의 생성이 가속화되어 용융아연도금시 강판과의 도금 밀착성을 떨어뜨리므로 부품 성형 중 표면상에 도금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부품 성형 중 표면상에 도금박리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Annealing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on the prepared cold-rolled steel sheet to prepare the steel sheet to hav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nneal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700 to 820 ° C., when the anneal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700 ° C.,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an elongation rate because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ferrite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neal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exceeding 820° C., the formation of annealed oxide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accelerated and the coating adhesion with the steel sheet is deteriorated during hot-dip galvanization, so plating peeling may occur on the surface during part molding. have. This causes plating peeling to occur on the surface during component molding.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소둔은 810℃내지 8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둔이 810℃ 이상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소둔 과정에서 페라이트의 분율이 감소하고,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이후 상기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변태되는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증가하여 고강도의 강판 확보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소둔은 810℃내지 8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nealing may be performed at 810 °C to 820 °C. When the annealing is performed at 810° C. or higher, the fraction of ferrite decreases and the fraction of austenite increases during the annealing process. This means that the fraction of martensite that is then transformed from the austenite increases,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a high-strength steel sheet. For this reason, the annealing may be performed at 810 °C to 820 °C.

상기 1차 냉각은 후술하는 2차 냉각 이전에 상기 2차 냉각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한 속도로 냉각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상기 강판의 냉각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고 열위를 억제할 수 있다. The primary cooling is a step of cooling at a relatively gentle rate than the secondary cooling before the secondary cooling described later. Through this, deformation due to cooling of the steel sheet can be prevented and inferiority can be suppressed.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차 냉각은 620 내지 700℃의 1차 냉각정지온도까지 냉각될 수 있으며, 1 내지 10℃/초의 냉각속도로 냉각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cooling may be cooled to a first cooling stop temperature of 620 to 700 ° C, and may be cooled at a cooling rate of 1 to 10 ° C / sec.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1차 냉각은 1 내지 10℃/초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1차 냉각 속도가 10℃/초를 초과하면 변형 방지 및 열위 억제의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대로 상기 냉각 속도가 1℃/초 미만이면 1차 냉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시간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1차 냉각속도는 1 내지 10℃/초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초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imary cool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1 to 10 ° C / sec, becaus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effect of preventing deformation and suppressing inferior position when the primary cooling rate exceeds 10 ° C / sec. Conversely, if the cooling rate is less than 1° C./sec, too much time is consum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primary cooling, and productivity may be reduced. For this reason, the primary cooling rate is preferably 1 to 10°C/sec, more preferably 2 to 5°C/sec.

이 후, 1차 냉각된 강판을 280 내지 580℃까지 2차 냉각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imary cooled steel sheet may be secondary cooled to 280 to 580°C.

상기 2차 냉각은 1차 냉각을 통해 1차 냉각정지온도까지 냉각된 강판을 2차 냉각정지온도까지 냉각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대로 상기 2차 냉각은 상기 1차 냉각에 비해 급속으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2차 냉각으로 인해 상기 강판의 미세구조가 변화하여 강도 및 인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The secondary cooling is a step of cooling the steel sheet cooled to the primary cooling stop temperature through primary cooling to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econdary cooling more rapidly than the primary cooling, because the secondary cooling changes the microstructure of the steel sheet and affects strength and toughness.

구체적으로 상기 2차 냉각은 상기 강판 내 프레시 마르텐사이트(FM)상을 생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냉각으로 상기 강판을 마르텐사이트 생성 개시 온도(Ms) 이하의 낮은 온도로 급랭함으로써, 강재 내 탄소의 이동을 방해하여 오스테나이트 상을 마르텐사이트 상으로 무확산변태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ary cooling may generate a fresh martensite (FM) phase in the steel sheet. Specifically, by quenching the steel sheet to a low temperature below the martensite formation start temperature (Ms) by the secondary cooling, the movement of carbon in the steel material may be hindered so that the austenite phase may be non-diffusion-transformed into the martensite phase.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차 냉각을 수행하는 구간을 급속냉각 구간(Rapid cooling Section; RCS)으로 명명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tion in which the secondary cooling is performed may be named a rapid cooling section (RCS).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차 냉각은 1차 냉각정지온도까지 냉각된 강판을 280 내지 580℃의 2차 냉각정지온도까지 냉각할 수 있으며, 5 내지 20℃/s의 속도로 냉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ary cooling may cool the steel sheet cooled to the primary cooling stop temperature to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of 280 to 580 ° C, and may be cooled at a rate of 5 to 20 ° C / s.

상기 2차 냉각정지온도가 280℃미만인 경우, 상기 강판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냉각편차가 발생하여 강판에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상기 2차 냉각정지온도가 580℃를 초과하는 경우 목적하는 조직을 구현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2차 냉각정지온도는 280 내지 5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is less than 280° C.,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steel sheet due to a cooling devi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exceeds 580 ° C.,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esired tissue may not be realized. For this reason,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is preferably 280 to 580 ° C.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냉각정지온도는 280 내지 320℃일 수 있다. 상기 2차냉각정지온도가 320℃이하인 경우, 소둔 과정에서 형성된 오스테나이트의 탄소(C) 이동을 방해하여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강판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2차 냉각정지온도가 320℃를 초과하면 2차 냉각 후 생성되는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감소하게 되므로, 후술할 과시효 처리 과정에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상기 강판의 강도 감소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2차 냉각정지온도는 280 내지 32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320℃까지 제조하고자 하는 강판의 폭 및 두께를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More preferably,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may be 280 to 320 °C. When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is 320° C. or less, the movement of carbon (C) of austenite formed in the annealing process may be hindered to further increase the fraction of martensite. This means that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can be improved. Conversely, if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exceeds 320 ° C., the fraction of fresh martensite generated after secondary cooling decreases, and thus affects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in the overag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is causes a decrease in strength of the steel sheet. For this reas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is 280 to 320°C. Even more preferably, it is more preferable to selec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to be manufactured from 280 to 320 ° C.

이후, 상기 강판을 상기 2차 냉각정지온도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는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an overaging treatment step of maintaining the steel sheet at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performed.

상기 과시효 처리는 2차 냉각된 강판을 400 내지 500℃에서 200 내지 400초간 유지하여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상의 탄소(C) 이동을 유발하여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과시효 처리를 통해 상기 마르텐사이트 중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와 상기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상의 분율을 조절할 수 있다. The overaging treatment refers to a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tempered martensite by inducing carbon (C) movement on the fresh martensite by holding the secondary cooled steel sheet at 400 to 500° C. for 200 to 400 seconds. Through the overaging treatme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action of the tempered martensite and the fresh martensite phase among the martensite.

상기 과시효 처리는 400 내지 50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과시효 온도가 400℃미만인 경우에는 과시효 처리 동안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인장강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며, 상기 탄소(C)가 전위에 고착되는 정도가 충분치 않게 되므로, 목표하는 항복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The overaging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at 400 to 500 ° C., when the overaging temperature is less than 400 ° C., the tempered martensite is not sufficiently formed during the overaging treatment, so that the tensile strength excessively increases, and the carbon (C ) is not sufficiently adhered to the disloca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target yield strength.

반면에 상기 과시효 처리 온도가 500℃를 초과하면, 탄화물이 지나치게 조대해지므로, 강도 하락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과시효 처리는 400 내지 50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430 내지 4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overaging treatment temperature exceeds 500° C., the carbide becomes excessively coarse, so there is a risk of strength deterioration. For this reason, the overaging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at 400 to 500°C, more preferably at 430 to 480°C.

또한, 상기 과시효 처리는 100 내지 60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시효 처리 시간이 100초 미만일 경우, 충분한 과시효 효과를 구현하기 불충분하다. 반면에 과시효 처리 시간이 600초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의 변화가 미미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과시효 처리는 100 내지 60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veraging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for 100 to 600 seconds. If the overaging treatment time is less than 100 seconds, it is insufficient to realize a sufficient overaging effect. On the other hand, if the overaging treatment time exceeds 600 seconds, the change in effect is insignificant and productivity may be lowered. For this reason, the overaging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for 100 to 600 seconds, and more preferably for 200 to 400 seconds.

실시 예에 따르면, 2차 냉각 이후, 용융아연도금 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fter the secondary cooling, hot-dip galvanizing treatment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상기 용융아연도금은 합금화용융아연도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아연도금 시 도금층의 조성 및 도금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조성 및 도금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The hot-dip galvanizing may include alloying hot-dip galvanizing. In the hot-dip galvanizing, the composition and plating method of the plating lay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compositions and plating methods may be applied.

마지막으로, 상기 용융아연도금이 완료된 강판 또는, 상기 제2 냉각을 수행한 강판을 20 내지 100℃까지 3차 냉각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Finally, a step of thirdly cooling the steel sheet on which the hot-dip galvanization is completed or the steel sheet on which the second cooling has been performed to 20 to 100° C. may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3차 냉각을 통해 2차 냉각정지온도까지 냉각된 강판을 20 내지 100℃의 3차 냉각정지온도까지 냉각할 수 있으며, 상기 2차 냉각과 마찬가지로 5 내지 20℃/s의 속도로 냉각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eel sheet cooled to the secondary cooling stop temperature through the tertiary cooling may be cooled to the tertiary cooling stop temperature of 20 to 100 ° C, and cooled at a rate of 5 to 20 ° C / s, similar to the secondary cooling. It can be.

실시 예에 따르면, 3차 냉각 이후, 조질압연 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fter the tertiary cooling, temper rolling treatment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상기 조질압연은 상기 강판의 항복강도를 향상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의 연신율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질압연시 연신율이 0.1% 미만인 경우, 항복강도 상승효과가 미비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대로, 상기 조질압연의 연신율이 2.0%를 초과하는 경우, 고연신 작업에 의해 조업성이 크게 열위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조질압연은 0.1 내지 2.0%의 연신율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emper rolling may be performed to improve the yield strength of the steel sheet, and more preferably may be performed at an elongation of 0.1 to 2.0%. When the elongation during the temper rolling is less than 0.1%,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yield strength is insignificant, and it is difficult to mold into a desired shape. Conversely, when the elongation of the temper rolling exceeds 2.0%, workability may be greatly deteriorated due to high elongation. For this reason, the temper roll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an elongation of 0.1 to 2.0%.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matters reasonably inferred therefrom.

[제조예][Production Example]

하기 표 1 및 표 2에 개시된 성분조성과 잔부의 Fe로 구성된 슬라브를 진공용해하고, 1,200℃에서 가열한 후 출구측 온도 기준 880℃에서 열간압연 하였다. 열간압연된 강판을 6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였으며, 이 후, 산세하여 표면 스케일을 제거한 후 50%의 냉간연신율로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준비한다.The slabs composed of the components disclosed in Tables 1 and 2 below and the balance of Fe were vacuum melted, heated at 1,200 ° C, and then hot-rolled at 880 ° C based on the outlet temperature. The hot-rolled steel sheet was wound in a temperature range of 650° C., and then, pickling was performed to remove surface scale, followed by cold rolling at a cold elongation rate of 50% to prepare a cold-rolled steel sheet.

강종steel grade 성분(wt%)Ingredients (wt%) CC MnMn SiSi MoMo CrCr NbNb TiTi BB AlAl PP SS NN 발명강1invention steel 1 0.150.15 2.62.6 0.40.4 0.20.2 -- 0.030.03 0.020.02 0.00180.0018 0.030.03 0.010.01 0.0020.002 0.0030.003 발명강2invention steel 2 0.150.15 2.62.6 0.40.4 0.20.2 0.20.2 0.030.03 0.020.02 0.00180.0018 0.030.03 0.010.01 0.0020.002 0.0030.003 발명강3invention steel 3 0.150.15 2.92.9 0.40.4 0.20.2 -- 0.030.03 0.020.02 0.00180.0018 0.030.03 0.010.01 0.0020.002 0.0030.003 발명강4Invention Steel 4 0.150.15 2.92.9 0.40.4 0.20.2 0.20.2 0.030.03 0.020.02 0.00180.0018 0.030.03 0.010.01 0.0020.002 0.0030.003 발명강5invention steel 5 0.150.15 2.92.9 0.40.4 0.20.2 0.20.2 -- 0.020.02 0.00180.0018 0.030.03 0.010.01 0.0020.002 0.0030.003 발명강6invention steel 6 0.150.15 2.92.9 0.40.4 0.20.2 0.20.2 0.030.03 -- 0.00180.0018 0.030.03 0.010.01 0.0020.002 0.0030.003

[실시예] [Example]

상기 제조예에 따라 준비된 냉연강판을 표 3의 T1에서 소둔을 실시하였으며, 소둔을 마친 강판을 3℃/s의 냉각속도로 650℃까지 1차 냉각하였다. 1차 냉각이 수행된 강판에 대해 11℃/s의 냉각속도로 T까지 2차 냉각을 수행하였다. The cold-rolled steel sheet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example was subjected to annealing at T 1 in Table 3, and the annealed steel sheet was first cooled to 650° C. at a cooling rate of 3° C./s. Secondary cooling was performed up to T 2 at a cooling rate of 11°C/s for the steel sheet on which the primary cooling was performed.

이 후, 상기 2차 냉각된 강판에 용융아연도금을 실시하고 10℃/s의 냉각속도로 25℃까지 3차 냉각하였다.Thereafter, hot-dip galvanizing was performed on the secondarily cooled steel sheet and thirdly cooled to 25°C at a cooling rate of 10°C/s.

비고note 강종steel grade T1
(℃)
T1
(℃)
T2
(℃)
T2
(℃)
물성Properties 상분율(%)Phase fraction (%)
YS
(MPa)
YS
(MPa)
TS
(MPa)
TS
(MPa)
El
(%)
El
(%)
항복비yield ratio YSxEl
(MPax%)
YSxEl
(MPax%)
HER
(%)
HER
(%)
FF BB FMFM TMTM
실시예1Example 1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10810 280280 952952 11831183 9.19.1 0.800.80 86638663 2828 88 33 1717 7272 실시예2Example 2 발명강2invention steel 2 810810 280280 10551055 12461246 9.19.1 0.850.85 96019601 3131 88 33 1616 7373 실시예3Example 3 발명강2invention steel 2 810810 310310 907907 12761276 8.68.6 0.710.71 78007800 2626 88 33 2626 6363 실시예4Example 4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20820 280280 10361036 12011201 88 0.860.86 82888288 3030 33 33 1919 7575 실시예5Example 5 발명강2invention steel 2 820820 280280 10121012 12381238 8.68.6 0.820.82 87038703 2929 33 33 1919 7575 실시예6Example 6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20820 310310 905905 12171217 8.88.8 0.740.74 79647964 2525 33 33 2626 6868 실시예7Example 7 발명강2invention steel 2 820820 310310 922922 12551255 8.18.1 0.730.73 74687468 2626 33 33 2626 6868 실시예8Example 8 발명강3invention steel 3 810810 280280 976976 12051205 8.78.7 0.810.81 84918491 2828 88 33 1818 7171 실시예9Example 9 발명강4Invention Steel 4 810810 280280 10281028 12311231 9.29.2 0.840.84 94589458 2929 77 33 1919 7171 실시예10Example 10 발명강5invention steel 5 810810 280280 10371037 12401240 99 0.840.84 93339333 3030 77 33 1919 7171 실시예11Example 11 발명강6invention steel 6 810810 280280 10411041 12421242 8.98.9 0.840.84 92659265 3030 77 33 1919 717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발명강1invention steel 1 770770 310310 714714 12321232 7.17.1 0.580.58 50695069 2020 1919 33 2626 5252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발명강1invention steel 1 770770 350350 726726 12591259 77 0.580.58 51555155 1818 1919 99 7272 00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발명강1invention steel 1 790790 310310 728728 11931193 8.58.5 0.610.61 61886188 2121 1414 33 3030 535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발명강1invention steel 1 790790 350350 710710 12471247 8.18.1 0.570.57 57515751 2020 1313 88 7979 00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00800 280280 855855 11941194 9.49.4 0.720.72 80378037 2727 99 33 1919 6969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발명강2invention steel 2 800800 280280 883883 12691269 8.48.4 0.70.7 74177417 2929 99 33 1818 7070 비교예7Comparative Example 7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00800 310310 787787 12141214 8.18.1 0.650.65 63756375 2222 1010 33 3232 5555 비교예8Comparative Example 8 발명강2invention steel 2 800800 310310 827827 13031303 7.27.2 0.630.63 59545954 2323 1010 33 3030 5757 비교예9Comparative Example 9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10810 350350 790790 12131213 8.48.4 0.650.65 66366636 2424 99 77 8484 00 비교예10Comparative Example 10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10810 400400 699699 12341234 9.29.2 0.570.57 64316431 2121 99 99 8282 00 비교예11Comparative Example 11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10810 450450 718718 12741274 9.49.4 0.560.56 67496749 2121 99 99 8282 00 비교예12Comparative Example 12 발명강1invention steel 1 810810 500500 811811 13541354 7.57.5 0.60.6 60836083 2323 88 77 8585 00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열처리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내지 11은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이 때의 상분율은 상술한 관계식 1과 관계식 2를 모두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seen that Examples 1 to 11, which satisfy all of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of ferrite, bain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hase fraction at this time satisfies both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s 1 and 2.

실제로 실시예 1을 SEM으로 촬영한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대로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구성된 복합조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그 면적분율이 페라이트 8%, 베이나이트 3%,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17%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72%로 구성되었다. Referring to FIG. 2, which was actually photographed by SEM in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a composite structure composed of ferrite, bain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as described above, and specifically, the area fraction is ferrite 8 %, bainite 3%, fresh martensite 17% and tempered martensite 72%.

이 때,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상기 마르텐사이트(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에 대한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비율이 80.9로 상기 관계식 1에서 한정한 70 내지 85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the tempered martensite to the martens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in Example 1 is 80.9, which satisfies 70 to 85 defined in the relational expression 1. .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상기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에 대한 상기 마르텐사이트(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비율이 7.33으로 상기 관계식 2에서 한정한 8.0 내지 16.0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the martens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to the ferrite and bainite in Example 1 is 7.33, which satisfies the range of 8.0 to 16.0 defined in the relational expression 2.

즉, 상기 실시예 1의 상분율이 실시예 1 과 2를 모두 만족한 결과, 항복강도가 952MPa로 90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1,183MPa로 1,180MPa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연신율이 9.1%로 8.0% 이상이며, 항복비가 0.8로 0.7 이상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은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YSxEl)이 8663MPAx%로 7000MPax% 이상이며, 구멍확장성(HER)이 28%로 25.0%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That is, as a result of the phase fraction of Example 1 satisfying both Examples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yield strength is 900 MPa or more with 952 MPa, and the tensile strength is 1,180 MPa or more with 1,183 MPa. At the same time, the elongation is 9.1%, which is more than 8.0%, and the yield ratio is 0.8, which is more than 0.7. In addition, in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product of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YSxEl) is 8663 MPax%, which is 7000 MPax% or more, and the hole expandability (HER) is 28%, which is 25.0% or more.

즉, 상기 실시예 1은 상기 강판 내 상분율이 상술한 관계식 1 및 관계식 2를 모두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 본 발명이 목표하는 물성인 900MPa 이상의 항복강도(YS), 1,180MPa이상의 인장강도(TS), 8.0% 이상의 연신율 및 0.7 이상의 항복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으로 7000MPax% 이상의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YSxEl) 및 25.0% 이상의 구멍확장성(HER)을 가질 수 있다. That is, in Example 1, the phase fraction in the steel sheet is form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both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s 1 and 2, so that the yield strength (YS) of 900 MPa or more and the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which are the physical properties targ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S), it was confirmed to have an elongation of 8.0% or more and a yield ratio of 0.7 or more, and may additionally have a product of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YSxEl) of 7000 MPax% or more and hole expandability (HER) of 25.0% or more.

반면에 상기 비교예 1 내지 4는 항복 강도가 770 내지 790MPa으로, 900MPa 미만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소둔 온도(T1)가 810℃미만이기 때문에 소둔 시 생성된 페라이트가 혼재된 상태로 냉각이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항복강도가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had a yield strength of 770 to 790 MPa, which was less than 900 MPa. This means that since the annealing temperature (T 1 ) is less than 810° C., cooling proceeds in a state in which ferrite generated during annealing is mixed, and finally yield strength is reduced.

이러한 결과로, 상기 비교예 1 내지 4에서의 페라이트 분율이 13 내지 19로 증가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72 내지 78으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예 1 내지 4에서의 마르텐사이트 분율에 대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TM / (FM + TM))은 0 또는 63.9 내지 66.7로 상기 관계식 1에서 한정한 70 내지 85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ferrite fraction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4 increased to 13 to 19, and the martensite fraction relatively decreased to 72 to 78. In addition,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relative to the fraction of martensite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M / (FM + TM)) is 0 or 63.9 to 66.7, which does not satisfy 70 to 85 defined in the relational expression 1 can know that

또한, 상기 비교예 10 내지 13도 마찬가지로 항복 강도가 900MPa 미만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2차 냉각 온도(T2)가 320℃를 초과할경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존재하지 않고 모두 프레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였음에 기인한다.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yield strength of Comparative Examples 10 to 13 is less than 900 MPa as well. This is because, when the secondary cooling temperature (T 2 ) exceeds 320° C., tempered martensite does not exist and all are transformed into fresh martensite.

즉, 상기 2차 냉각 온도(T2)가 320℃를 초과하면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소둔으로 형성된 일부 오스테나이트가 베이나이트로 변태하였으며, 마르텐사이트 상의 분율이 감소하여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지 않는다. That is, when the secondary cooling temperature (T 2 ) exceeds 320° C., as described above, some austenite formed by the annealing is transformed into bainite, and the fraction of the martensite phase is reduced so that tempered martensite is not formed.

이러한 결과로, 상기 비교예 10 내지 13에서의 베이나이트의 분율이 6 내지 9로 증가하였으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지 않아 마르텐사이트 분율에 대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TM / (FM + TM))이 0인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raction of bainite in Comparative Examples 10 to 13 increased to 6 to 9, and tempered martensite was not formed, so th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relative to the fraction of martensite (TM / (FM + TM )) is 0.

한편, 비교예 5 내지 8로 제조된 강판 또한, 항복강도가 900MPa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steel sheet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5 to 8 also have a yield strength of less than 900 MPa.

이러한 이유는, 상기 비교예 5 내지 8로 제조된 강판은 적정량의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소둔온도(T1)가 810℃ 미만이기 때문에 일부 페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지 못하였고, 상기 페라이트가 냉각 과정에 혼재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기 비교예 5 내지 8로 제조된 강판은 상기 관계식 2에서 정의한 강판 내 상기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에 대한 상기 마르텐사이의 비율((TM + FM) / (F + B))이 6.7 내지 7.3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통해 교차 검증할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 steel sheet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5 to 8 did not have an appropriate amount of martensit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some ferrite was not transformed into austenite because the annealing temperature (T 1 ) was less than 810° C., and the ferrite was mixed in the cooling process. As a result, in the steel sheet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5 to 8, the ratio between the ferrite and the martens to bainite ((TM + FM) / (F + B)) in the steel sheet defined in the relational expression 2 was 6.7 to 7.3. It can be cross-validated through being formed.

이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11로 제조된 강판은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에 대한 상기 마르텐사이의 비율((TM + FM) / (F + B))이 8.0 내지 16.0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fact that in the steel sheets manufactured in Examples 1 to 11, the ratio between ferrite and martens to bainite ((TM + FM) / (F + B)) satisfies all of 8.0 to 16.0.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강도 냉연강판은 중량%로,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0.1 내지 0.3%,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냉연강판을 700 내지 820℃에서 소둔하고, 620 내지 700℃까지 1차 냉각하고, 280 내지 580℃까지 2차 냉각하여, 강판 내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구성되는 상분율이 상술한 관계식 1과 2를 모두 만족시키는 범위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That is, in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eight, 0.14 to 0.2% of carbon (C), 2.5 to 3.0% of manganese (Mn), 0.3 to 0.6% of silicon (Si), aluminum for acid availability (sol. Al) 0.02 to 0.05%, molybdenum (Mo) 0.1 to 0.3%,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0.0001 to 0.01%, the rest iron (Fe) and unavoidable The cold-rolled steel sheet made of impurities is annealed at 700 to 820°C, first cooled to 620 to 700°C, and secondarily cooled to 280 to 580°C to form ferrite, bain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in the steel she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fraction is form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both of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s 1 and 2.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0.7 이상의 항복비, 8.0% 이상의 연신율, 900MPa 이상의 항복강도 및 1,18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7000MPax% 이상의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YSxEl), 25.0% 이상의 구멍확장성(HER)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Due to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have a yield ratio of 0.7 or more, an elongation of 8.0% or more, a yield strength of 900MPa or more, and a tensile strength of 1,180MPa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the product of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YSxEl) of 7000MPax% or more, hole expandability of 25.0% or more ( HER) was found to be satisfied.

또한, 표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소둔온도가 높거나 급냉온도가 낮을수록 항복강도, 항복비, 항복강도와 연신율의 곱(YSxEl), 구멍확장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annealing temperature or the lower the quenching temperature, the higher the yield strength, the yield ratio, the product of the yield strength and the elongation (YSxEl), and the hole expandability.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bran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Claims (11)

중량%로,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0.1 내지 0.3%, 보론(B) 0.0001 내지 0.002%,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조직이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고강도 냉연강판의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 5.0 내지 15.0%이고,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관계식 1]
70 ≤ TM / (FM + TM) ≤ 85
[관계식 2]
8.0 ≤ (TM + FM) / (F + B) ≤ 16.0
(상기 관계식 1 및 2에서 TM은 고강도 냉연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M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 F는 페라이트의 면적분율(%)이며, B는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다)
In weight percent, carbon (C) 0.14 to 0.2%, manganese (Mn) 2.5 to 3.0%, silicon (Si) 0.3 to 0.6%, acid soluble aluminum (sol.Al) 0.02 to 0.05%, molybdenum (Mo) 0.1 to 0.1% 0.3%, boron (B) 0.0001 to 0.002%,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0.0001 to 0.01%, the rest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ferrite, bainite,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The area fraction of ferrite and bainite of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is 5.0 to 15.0%,
The area fraction of the tempered martensite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s 1 and 2,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Relationship 1]
70 ≤ TM / (FM + TM) ≤ 85
[Relationship 2]
8.0 ≤ (TM + FM) / (F + B) ≤ 16.0
(In the above relations 1 and 2, TM is the area fraction (%) of tempered martensite i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FM is the area fraction (%) of fresh martensite, F is the area fraction (%) of ferrite, and B is It is the area fraction (%) of baini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냉연강판은 항복비가 0.7 이상이며, 연신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According to claim 1,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s a yield ratio of 0.7 or more and an elongation of 8.0% or mor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냉연강판은 항복강도가 90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1,18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According to claim 4,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s a yield strength of 900 MPa or more and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중량%로, 크롬(Cr) 0.5% 이하, 나이오븀(Nb) 0.1% 이하, 타이타늄(Ti) 0.1% 이하 및 보론(B) 0.002% 이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According to claim 1,
Yield,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chromium (Cr) 0.5% or less, niobium (Nb) 0.1% or less, titanium (Ti) 0.1% or less, and boron (B) 0.002% or less, by weight%.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ratio and formability.
중량%로, 탄소(C) 0.14 내지 0.2%, 망간(Mn) 2.5 내지 3.0%, 규소(Si) 0.3 내지 0.6%, 산가용 알루미늄(sol.Al) 0.02 내지 0.05%, 몰리브덴(Mo) 0.1 내지 0.3%, 보론(B) 0.0001 내지 0.002%, 인(P) 0.0001 내지 0.05%, 황(S) 0.0001 내지 0.01%, 질소(N) 0.0001 내지 0.01%,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냉연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냉연강판을 810 내지 820℃에서 연속적으로 소둔하는 단계;
상기 소둔된 강판을 620 내지 700℃에서 1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강판을 280 내지 320℃에서 2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강판을 400 내지 500℃에서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도 냉연강판의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 5.0 내지 15.0%이고,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관계식 1]
70 ≤ TM / (FM + TM) ≤ 85
[관계식 2]
8.0 ≤ (TM + FM) / (F + B) ≤ 16.0
(상기 관계식 1 및 2에서 TM은 고강도 냉연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며, FM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 F는 페라이트의 면적분율(%)이며, B는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다)
In weight percent, carbon (C) 0.14 to 0.2%, manganese (Mn) 2.5 to 3.0%, silicon (Si) 0.3 to 0.6%, acid soluble aluminum (sol.Al) 0.02 to 0.05%, molybdenum (Mo) 0.1 to 0.1% 0.3% boron (B) 0.0001 to 0.002%, phosphorus (P) 0.0001 to 0.05%, sulfur (S) 0.0001 to 0.01%, nitrogen (N) 0.0001 to 0.01%, the rest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Preparing the steel plate;
continuously annealing the cold-rolled steel sheet at 810 to 820° C.;
primary cooling of the annealed steel sheet at 620 to 700° C.;
Secondary cooling of the primary cooled steel sheet at 280 to 320 ° C; and
Including; overaging the secondary cooled steel sheet at 400 to 500 ° C.
The area fraction of ferrite and bainite of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is 5.0 to 15.0%,
The area fraction of the tempered martensite is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formability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s 1 and 2.
[Relationship 1]
70 ≤ TM / (FM + TM) ≤ 85
[Relationship 2]
8.0 ≤ (TM + FM) / (F + B) ≤ 16.0
(In the above relations 1 and 2, TM is the area fraction (%) of tempered martensite i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FM is the area fraction (%) of fresh martensite, F is the area fraction (%) of ferrite, and B is It is the area fraction (%) of baini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소둔된 강판을 1 내지 10℃/s의 속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primary cool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nealed steel sheet is cooled at a rate of 1 to 10 ℃ / s,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yield ratio and formabilit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1차 냉각된 강판을 5 내지 20℃/s의 속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비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ary cool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mary cooled steel sheet is cooled at a rate of 5 to 20 ℃ / s,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yield ratio and formability.
KR1020200176438A 2020-12-16 2020-12-16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KR102470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38A KR102470747B1 (en) 2020-12-16 2020-12-16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38A KR102470747B1 (en) 2020-12-16 2020-12-16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02A KR20220086202A (en) 2022-06-23
KR102470747B1 true KR102470747B1 (en) 2022-11-25

Family

ID=8222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438A KR102470747B1 (en) 2020-12-16 2020-12-16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747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387B2 (en) 1990-12-29 1996-08-28 日本鋼管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ult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good formability and strip shape
JP4445365B2 (en) * 2004-10-06 2010-04-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high-strength thin steel sheet with excellent elongation and hole expandability
JP5359168B2 (en) 2008-10-08 2013-12-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Ultra-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duct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20074798A (en)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manufacturing tensile strength 1.5gpa class steel sheet and the steel sheet manufactured thereby
CN108603271B (en) * 2016-02-10 2020-04-10 杰富意钢铁株式会社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276741B1 (en) 2018-09-28 2021-07-13 주식회사 포스코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high hole expansion ratio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02A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42912B (en) Cold-rolled steel sheet an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225246B1 (en) High strength cold-rolled dual phase steel sheet for automobile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ld-rolled multi phase steel sheet
KR102109265B1 (en) Ultra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20407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high yield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957967B1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Strength Anisotropic Properties
KR102360396B1 (en) Steel sheet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205059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ultra-high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490312B1 (en)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ith high ductility and excellent formability
KR102468051B1 (en) Ultr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470747B1 (en)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KR20230056822A (en) Ultra-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ma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75216B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high yield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82854B1 (en) Ult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s having high yield ratio, excellent weldability and bend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40772B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68040B1 (en)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ductility and process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557845B1 (en)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73222B1 (en)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sion rate an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8807B1 (en) Steel sheet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64387B1 (en) High strength galva-annea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38873B1 (en)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98271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endability and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398151B1 (en) A method of preparing utlra high 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utlra high 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KR20240061234A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yield ratio and high yield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25264B1 (en) Ultra high strength hot-rolled steel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surface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49193B1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galvanizing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