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684B1 -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684B1
KR102470684B1 KR1020160039579A KR20160039579A KR102470684B1 KR 102470684 B1 KR102470684 B1 KR 102470684B1 KR 1020160039579 A KR1020160039579 A KR 1020160039579A KR 20160039579 A KR20160039579 A KR 20160039579A KR 102470684 B1 KR102470684 B1 KR 10247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ouch sensor
bridge electrode
tin oxide
scree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486A (ko
Inventor
김건
최병진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684B1/ko
Priority to TW106108552A priority patent/TWI707256B/zh
Priority to US15/468,363 priority patent/US10795511B2/en
Priority to CN201710193117.XA priority patent/CN107272968B/zh
Priority to CN201720311925.7U priority patent/CN207458026U/zh
Publication of KR2017011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86A/ko
Priority to US17/015,368 priority patent/US116935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1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패턴은 이격된 단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절곡부에 우수한 유연성을 가져 전극 손상 및 크랙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고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센싱패턴이 주변의 다른 센싱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외면에 부착되어 제품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높은 투명도 및 얇은 두께의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 들어 플렉서블한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평판표시장치 상에 부착되는 터치스크린 패널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 감지 패턴으로 유연성이 떨어져 굽힘력을 가하면 깨지는 문제가 있어, 이로써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1532호에는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1532호
본 발명은 절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브릿지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절곡부에서 전극 손상 및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은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적어도 1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패턴은 이격된 단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인, 터치 센서.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단위 패턴이 이음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형태인, 터치 센서.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절곡된 각도는 0°초과 내지 180°미만인, 터치 센서.
4. 위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은 ITO, ZTO, IZO, IZTO 및 GZ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터치 센서.
5. 위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은 몰리브덴, 은, 알루미늄, 구리, 팔라듐, 금, 백금, 아연, 주석, 티타늄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터치 센서.
6. 위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의 선폭은 제1 패턴의 단위 패턴의 이음부 폭 대비 1.5 내지 200%인, 터치 센서.
7. 위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의 두께는 제2 패턴의 단위 패턴 두께 대비 20 내지 1300%인, 터치 센서.
8. 위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과 제1 방향간의 각도 차이는 0°초과 내지 90°이하인, 터치센서.
9. 위 1에 있어서, 제1 패턴의 단위 패턴의 이음부 상에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10. 위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필름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1. 위 10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의 터치 센서는 절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브릿지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절곡부에서 전극 손상 및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터치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1 이상의 절곡부(1)를 갖는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10)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20)을 포함하는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패턴(20)은 이격된 단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30)을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전극(30)은 상기 절곡부(1)의 절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절곡부(1)에 우수한 유연성을 가져 전극 손상 및 크랙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고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터치 센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적어도 1 이상의 절곡부(1)를 갖는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10)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20)을 포함하는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패턴(20)은 이격된 단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30)을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전극(30)은 상기 절곡부(1)의 절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곡방향과 같은방향은 절곡방향과 수학적으로 평행인 경우 외에 소정 각도를 갖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브릿지 전극(30)이 제2 패턴(20)의 이격된 단위 패턴을 연결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절곡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포함한다.
기판
기판은 적층되는 전극들을 지지하는 지지체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은 그 일면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10)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20)을 구비하며,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곡부(1)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하는 브릿지 전극(30)이 상기 사전 설정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리,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 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CAP)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릴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그러한 측면에서 예를 들면 3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일 수 있다.
기판은 절곡부(1)를 구비한다. 절곡부(1)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능적 또는 디자인적 이유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부(1)에 별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절곡부(1)는 기판의 적어도 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판의 적어도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절곡부(1)의 절곡 방향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기판의 한 변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는 지(紙)면을 바라볼 때 수평 방향으로 절곡 방향을 갖는 절곡부(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곡부(1)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0.1 내지 20mm 일 수 있다.
절곡부(1)의 절곡된 각도는 후술하는 절곡부(1)에 대향하는 브릿지 전극(30)의 손상 및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0°초과 내지 180°미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68°,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6°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터치 전극의 크랙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감지 패턴
감지 패턴은 터치되는 지점의 제1 방향의 좌표 및 제2 방향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커버 윈도우 기판에 접촉되면, 감지 패턴 및 위치 검출라인을 경유하여 구동회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패턴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10)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패턴(10) 및 제2 패턴(20)은 동일층에 형성되며, 제1 패턴은 제 1 방향으로 단위 패턴이 이음부(11)를 통해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2 패턴(20)은 제2 방향으로 섬(island) 형태로 서로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어, 제2 패턴(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브릿지 전극(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기판 상에 형성되므로, 당연히 절곡부(1)에도 형성된다. 본 발명의 터치 센서에서 절곡부(1)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기판에 터치 센서를 형성한 후에 미리 정해진 부분을 절곡하여 절곡부(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 시에 감지 패턴의 크랙을 억제할 필요가 있고, 절곡된 후에는 절곡부(1)의 터치 센서는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므로, 감지 패턴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응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 센서는 이음부(11)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제1 패턴(10)을 절곡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감지 패턴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은 실질적인 수직 및 수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엄밀한 수학적 수직 및 수평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수직 및 수평으로 인정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수직은 90±10°의 범위일 수 있고, 수평은 0±1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감지 패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각각 10 내지 200nm일 수 있다. 감지 패턴의 두께가 10nm 미만이면 전기저항이 커져 터치 민감도가 저하될 수 있고, 200nm 초과이면 반사율이 커져 시인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감지 패턴은 당 분야에 알려진 투명 전극 소재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아연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산화물(IZTO), 카드뮴주석산화물(CTO), 금속와이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듐주석산화물(ITO)이 사용될 수 있다.
브릿지 전극(30)
브릿지 전극(30)은 제2 패턴(20)의 이격된 단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브릿지 전극(30)은 감지 패턴 중 제1 패턴(10)과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절연층(40)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브릿지 전극(30)은 상기 절곡부(1)의 절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절곡부(1) 형성 시에 전극 손상 및 크랙 발생을 억제하고, 절곡부(1)의 형성 후에도 전극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브릿지 전극(30)의 선폭은 제1 패턴(10)의 단위 패턴의 이음부(11) 폭 대비 1.5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전술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전극(3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2 패턴(20)의 단위 패턴 두께 대비 20 내지 130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브릿지의 두께가 20% 미만이면 저항이 높아져 터치 감도가 낮아질 수 있고, 1300% 초과이면 브릿지 전극(30)의 크랙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전극(30)과 제1 방향간의 각도 차이는 예를 들면 0°초과 내지 90°이하,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브릿지 전극의 크랙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브릿지 전극(30)과 제1 방향간의 각도 차이는 절곡 방향과 제1 방향 간의 각도 차이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굴곡응력완화도 측면에서 브릿지 전극(30)과 제1 방향간의 각도 차이는 90°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30°이상 내지 90°미만, 바람직하게는 45°이상 내지 90°미만 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굴곡응력완화효과가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전극(30)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소재는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몰리브덴, 은, 알루미늄, 구리, 팔라듐, 금, 백금, 아연, 주석, 티타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산화물은 도전성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갈륨징크옥사이드(GZO), 플로린틴옥사이드(FTO), 인듐틴옥사이드-은-인듐틴옥사이드(ITO-Ag-ITO), 인듐징크옥사이드-은-인듐징크옥사이드(IZO-Ag-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은-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Ag-IZT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은-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Ag-AZO)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성과 연성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크랙 방지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절연층(40)
절연층(40)은 제1 패턴(10)과 브릿지 전극(30)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패턴(10)과 브릿지 전극(30) 사이에 형성된다.
절연층(40)은 제1 패턴(10)과 브릿지 전극(30) 사이의 국소 부위, 구체적으로 제1 패턴(10)의 단위 패턴의 이음부(11) 상에만 패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40)은 당 분야에 알려진 투명 절연 소재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나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혹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요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화상표시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당분야에 알려진 화상 표시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LC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ED)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유기 전계 발광 장치(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두께 2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판 상에 인듐주석산화물(ITO)를 100nm 두께로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제1 방향으로 단위 패턴이 이음부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패턴 및 단위 패턴이 상기 이음부를 기준으로 이격되어 제2 방향(제1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을 구비한 감지 패턴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제1 패턴의 단위 패턴의 이음부(선폭: 125㎛)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절연층 상에 상기 이격된 제2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ITO 브릿지 전극(선폭: 30㎛, 두께: 1350nm)을 제2 방향으로 형성하여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방향을 절곡 방향으로 하여, 상기 터치 센서 일측에 절곡부(절곡된 각도: 85)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브릿지 전극을 은, 팔라듐 및 구리 합금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브릿지 전극과 제1 방향간의 각도차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한 것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브릿지 전극과 제1 방향간의 각도차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한 것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브릿지 전극과 제1 방향간의 각도차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한 것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브릿지 전극과 제1 방향간의 각도차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한 것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브릿지 전극과 제1 방향간의 각도차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한 것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브릿지 전극과 제1 방향간의 각도차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한 것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브릿지 전극과 제1 방향간의 각도차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한 것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절곡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여 절곡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크랙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터치 센서를 반경2.5mm, 굴곡각도90°의 조건으로 Bending상태 24시간 진행 후, 전 채널 27개 중 크랙이 발생한 채널의 개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2) 굴곡응력완화수준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터치 센서를 반경2.5mm, 굴곡각도90°상태일 때의 브릿지전극부의 굴곡응력완화수준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Excellent: 90% 이상
Good: 70% 이상 90% 미만
Normal: 40% 이상 70% 미만
BAD: 40% 미만
구분 브릿지전극과 제1 방향간 각도차이 크랙평가 브릿지전극부
굴곡응력완화수준
(◎: Excellent, ○:Good, △:Normal, ×:BAD)
실시예 1 90° 0
실시예 2 89° 0
실시예 3 85° 0
실시예 4 75° 0
실시예 5 54° 1
실시예 6 45° 2
실시예 7 40° 2 ×
실시예 8 31° 5 ×
실시예 9 13° 10 ×
비교예 27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터치 센서는 감지 패턴의 전극 손상 및 크랙 발생이 대폭 감소하여 고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는 그 효과가 저하되었다.
1: 절곡부
10: 제1 패턴 11: 이음부
20: 제2 패턴
30: 브릿지 전극
40: 절연층

Claims (11)

  1. 적어도 1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패턴은 이격된 단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전극은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브릿지 전극의 연장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 간의 각도 차이는 45° 내지 89°인, 터치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단위 패턴이 이음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형태인, 터치 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절곡된 각도는 0°초과 내지 180°미만인, 터치 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갈륨징크옥사이드(GZO), 플로린틴옥사이드(FTO), 인듐틴옥사이드-은-인듐틴옥사이드(ITO-Ag-ITO), 인듐징크옥사이드-은-인듐징크옥사이드(IZO-Ag-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은-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Ag-IZT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은-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Ag-AZ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터치 센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은 몰리브덴, 은, 알루미늄, 구리, 팔라듐, 금, 백금, 아연, 주석, 티타늄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터치 센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의 선폭은 제1 패턴의 단위 패턴의 이음부 폭 대비 1.5 내지 200%인, 터치 센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전극의 두께는 제2 패턴의 단위 패턴 두께 대비 20 내지 1300%인, 터치 센서.
  8. 삭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패턴의 단위 패턴의 이음부 상에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10. 청구항 1의 필름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1. 청구항 10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60039579A 2016-03-31 2016-03-31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47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79A KR102470684B1 (ko) 2016-03-31 2016-03-31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W106108552A TWI707256B (zh) 2016-03-31 2017-03-15 觸控感測器及使用彼之觸控式螢幕面板
US15/468,363 US10795511B2 (en) 2016-03-31 2017-03-24 Touch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having a bending portion
CN201710193117.XA CN107272968B (zh) 2016-03-31 2017-03-28 触摸传感器及包括触摸传感器的触摸屏面板
CN201720311925.7U CN207458026U (zh) 2016-03-31 2017-03-28 触摸传感器及包括触摸传感器的触摸屏面板及图像显示设备
US17/015,368 US11693524B2 (en) 2016-03-31 2020-09-09 Touch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having bending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79A KR102470684B1 (ko) 2016-03-31 2016-03-31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86A KR20170112486A (ko) 2017-10-12
KR102470684B1 true KR102470684B1 (ko) 2022-11-24

Family

ID=5995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79A KR102470684B1 (ko) 2016-03-31 2016-03-31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795511B2 (ko)
KR (1) KR102470684B1 (ko)
CN (2) CN107272968B (ko)
TW (1) TWI7072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289B1 (ko) * 2019-01-03 2024-0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후방 글라스 터치 센서
KR20210026451A (ko) * 2019-08-30 2021-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9962B2 (en) * 2005-06-01 2008-10-2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with flexible substrate
KR20110021532A (ko) 2009-08-26 2011-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의 제조방법
US8717330B2 (en) * 2010-11-22 2014-05-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projective capacitive touch sensor structure
KR101401406B1 (ko) 2012-04-26 2014-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77316B1 (ko) * 2012-11-14 2020-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00440B1 (ko) * 2013-02-05 2020-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CN104216543A (zh) * 2013-06-03 2014-12-17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摸屏
KR102021030B1 (ko) 2013-06-07 2019-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89876B1 (ko) * 2013-08-20 2014-04-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US9483132B2 (en) * 2013-09-11 2016-11-0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363255B1 (ko) * 2013-12-02 2022-0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제작 방법
KR102262530B1 (ko) * 2014-02-17 202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528239B (zh) * 2014-04-01 2016-04-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KR102305398B1 (ko) * 2014-09-03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67357B1 (ko) * 2014-12-15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KR102338753B1 (ko) * 2015-04-14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37040A (zh) 2017-10-16
US10795511B2 (en) 2020-10-06
US11693524B2 (en) 2023-07-04
TWI707256B (zh) 2020-10-11
KR20170112486A (ko) 2017-10-12
CN107272968A (zh) 2017-10-20
US20170285800A1 (en) 2017-10-05
CN207458026U (zh) 2018-06-05
CN107272968B (zh) 2021-05-11
US20200401256A1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000B1 (ko) 터치 센서
KR102337621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19460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255415B1 (ko) 터치 센서
TWI549167B (zh) Input device
US10705640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ouch display device
TW201337680A (zh) 輸入裝置
KR20150047297A (ko) 터치 패널
KR102082485B1 (ko) 투명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TWI628563B (zh) 觸碰感測電極以及含此之觸控螢幕面板
KR101241469B1 (ko) 터치 패널
KR102294702B1 (ko) 터치 패널
KR101401053B1 (ko)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US11693524B2 (en) Touch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having bending portion
TW201601043A (zh) 靜電容量型觸控面板
KR20140059571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7775B1 (ko) 터치 센서
KR102146460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427995B1 (ko) 터치 감지 전극
KR20200045801A (ko) 본딩 강건 구조가 적용된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4102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27465B1 (ko) 터치 센서
US20130176282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touch panel
KR101673650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1516819A (zh) 觸控螢幕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