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318B1 - 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 - Google Patents

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318B1
KR102470318B1 KR1020210025916A KR20210025916A KR102470318B1 KR 102470318 B1 KR102470318 B1 KR 102470318B1 KR 1020210025916 A KR1020210025916 A KR 1020210025916A KR 20210025916 A KR20210025916 A KR 20210025916A KR 102470318 B1 KR102470318 B1 KR 10247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bubble
water
gas
generator
wast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1611A (en
Inventor
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에이치
Priority to KR102021002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318B1/en
Publication of KR2022012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3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버블 유입부가 개선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는, 내부에 물을 담지하고 폐 가스가 상기 물에 용해되는 공정이 수행되는 반응부; 상기 반응부로 물 및 나노 버블화된 폐 가스를 공급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로 폐 가스를 공급하는 기체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는 나노버블을 생성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된 외부배관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scrubber device comprising a nanobubble generator with an improved nanobubble inlet.
A gas scrubb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ion unit in which water is contained therein and a process in which waste gas is dissolved in the water is performed; a nano bubble generator unit supplying water and nano-bubbled waste gas to the reaction unit; a pump supplying water to the nano bubble generator unit; and a gas inlet for supplying waste gas to the nanobubble generator, wherein the nanobubble generator includes a nanobubble generator generating nanobubbles and an external pipe arranged to surround the nanobubble generator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나노버블 유입부가 개선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나노버블 유입부가 개선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scrubber device comprising a nanobubble generator with an improved nanobubble inlet.

반도체 제조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에 있어서 다양한 화학물질을 사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화학물질은 많은 경우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것이다. 이러한 화학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반도체 제조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 기업들은 스크러버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or display manufacturing, various chemicals are used, and in many cases, these chemicals are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body. In order to stably remove these chemical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or display manufacturing companies are using scrubber devices.

스크러버 장치에는 수용성 가스를 물에 용해하여 제거하는 습식 스크러버 방식, 가연성 가스를 연소하여 제거하는 버닝 스크러버 방식, 폐 가스에 열을 가하여 산화하여 제거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는 데, 이 중 습식 스크러버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습식 스크러버 장치는 폐 가스를 용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반응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폐 가스 처리 효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scrubber devices, such as a wet scrubber method that removes water-soluble gas by dissolving it in water, a burning scrubber method that burns and removes combustible gas, and a method that oxidizes and removes waste gas by applying heat. Among them, the wet scrubber method This is the most used. However, the conventional wet scrubber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dissolve the waste gas and the waste gas treatment efficiency continuously decreases as the reaction process is performed.

선행기술문헌은 습식 스크러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The prior art documents disclose wet scrubber devices.

한국 등록특허 제10-050153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01533

본 발명은 나노버블화 된 폐 가스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크러버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ubber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supplying nanobubbled waste gas.

또한, 폐 가스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waste gas treatmen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나노 버블 발생기를 적용함으로써 폐 가스를 나노 크기의 버블로 쪼개어 물에 용해할 수 있어 폐 가스의 용해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the nano bubble generator, the waste gas can be broken into nano-sized bubbles and dissolved in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dissolution rate of the waste gas.

또한, pH 제어를 통해 일정한 처리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constant treatment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through pH control.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는, 내부에 물을 담지하고 폐 가스가 상기 물에 용해되는 공정이 수행되는 반응부; 상기 반응부로 물 및 나노 버블화된 폐 가스를 공급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로 폐 가스를 공급하는 기체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는 나노버블을 생성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된 외부배관을 포함한다. A gas scrubb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ion unit in which water is supported therein and a process in which waste gas is dissolved in the water is performed; a nano bubble generator unit supplying water and nano-bubbled waste gas to the reaction unit; a pump supplying water to the nano bubble generator unit; and a gas inlet for supplying waste gas to the nanobubble generator, wherein the nanobubble generator includes a nanobubble generator generating nanobubbles and an external pipe arranged to surround the nanobubble generator from the outside.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는 나노버블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배관의 끝은 상기 외부배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nanobubble generator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nanobubbles to the outside, and an end of the discharge pipe may be disposed inside the external pipe.

상기 펌프 및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를 연결하는 제1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유입부는 상기 제1배관 내부로 폐 가스를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ip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nano bubble generator, and the gas inlet may be disposed to supply waste gas into the first pipe.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는 상기 물 및 폐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배출되는 배출구에 배치된 스크린 부재와, 상기 스크린 부재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나노버블 발생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nanobubble generator may further include screen members disposed at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and waste gas are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ste gas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nanobubble generating particles disposed between the screen members.

상기 나노버블 발생 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0.5 mm일 수 있다.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nanobubble-generating particles may be 0.1 mm to 0.5 mm.

상기 반응부 내부의 물의 pH를 측정하는 pH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pH sensor for measuring the pH of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는 나노버블화 된 폐 가스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gas scrubb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supply nanobubbled waste gas.

또한, 폐 가스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waste gas treatmen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나노 버블 발생기를 적용함으로써 폐 가스를 나노 크기의 버블로 쪼개어 물에 용해할 수 있어 폐 가스의 용해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the nano bubble generator, the waste gas can be broken into nano-sized bubbles and dissolved in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dissolution rate of the waste gas.

또한, pH 제어를 통해 일정한 처리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constant treatment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through pH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스 스크러버 장치를 배면에서 도시하되, 반응부의 커버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반응부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gas scrubb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gas scrubber device of FIG. 1 from the rear side, but shows the inside of the reaction unit by transparently processing the cover of the reaction uni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nobubble generator uni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of FIG. 3 .
5 shows a cross section of a nanobubble gener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and element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In addition, "include" a component in the entire specification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스 스크러버 장치를 배면에서 도시하되, 반응부의 커버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반응부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gas scrubb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gas scrubber device of FIG. 1 from the rear side, but shows the inside of the reaction unit by transparently processing the cover of the reaction uni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nobubble generator uni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of FIG. 3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가스 스크러버(100) 장치는, 내부에 물을 담지하고 폐 가스가 상기 물에 용해되는 공정이 수행되는 반응부(130); 상기 반응부(130)로 물 및 나노 버블화된 폐 가스를 공급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150);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로 폐 가스를 공급하는 기체유입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는 나노버블을 생성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111)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111)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된 외부배관(112)을 포함한다. 1 to 4, the gas scrubber 100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ion unit 130 in which water is supported therein and a process in which waste gas is dissolved in the water is performed; a nano bubble generator unit 110 supplying water and nano-bubbled waste gas to the reaction unit 130; a pump 150 supplying water to the nano bubble generator unit 110; and a gas inlet 120 supplying waste gas to the nanobubble generator 110, wherein the nanobubble generator 110 includes a nanobubble generator 111 generating nanobubbles and the nanobubble It includes an external pipe 112 disposed to surround the generator 111 from the outside.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는 외부로부터 물 및 기체를 공급받고, 상기 기체를 잘게 쪼개어 나노버블화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의 일단은 상기 반응부(13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반응부(130) 내부의 물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는 상기 폐 가스를 쪼개어 나노버블화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111)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111)를 감싸는 외부배관(112)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111)는 상기 물 및 폐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배출되는 배출구에 배치된 스크린 부재(111a, 111b)와, 상기 스크린 부재(111a, 111b)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나노버블 발생 입자(11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한 나노버블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111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anobubble generator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water and gas from the outside, breaking the gas into nanobubbles, and discharging the gas. Referring to FIG. 2 , one end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uni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reaction unit 130 and submerged in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130 . Referring to FIG. 3, the nanobubble generator unit 110 includes a nanobubble generator 111 that splits the waste gas into nanobubbles and an external pipe 112 surrounding the nanobubble generator 111, The nanobubble generator 111 includes screen members 111a and 111b disposed at the inlet and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and waste gas are introduced, and a plurality of nanobubble generating particles disposed between the screen members 111a and 111b. (111c). In addition, a discharge pipe 111d for discharging generated nanobubbles to the outside may be included.

상기 복수의 입자(111c) 사이에 형성된 공극은 유체 및 기체가 통과하는 통로가 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입자(111c) 사이에 진동이 발생하여 유체에 혼합된 기체가 수축 및 팽창을 규칙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나노 크기의 버블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나노버블 발생 입자(111c)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0.5 mm일 수 있다. 상기 입자(111c)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유압이 높아지고 나노버블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처리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상기 입자(111c)의 크기가 너무 크면 나노 크기의 버블이 형성되지 않아 폐 가스의 처리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The air gap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cles 111c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fluid and gas pass, and vibration occurs between the particles 111c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gas mixed with the fluid contracts and expands regularly. By doing so,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making nano-sized bubble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nanobubble generating particles 111c may be 0.1 mm to 0.5 mm. If the size of the particles 111c is too small, the hydraulic pressure may increase, the supply of nanobubbles may not be smooth, and the processing speed may slow down. If the size of the particles 111c is too large, nano-sized bubbles may not be formed, and waste gas treatment efficiency may decrease.

상기 스크린 부재(111a, 111b)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111) 내부의 입자(111c)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순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creen members 111a and 111b prevent the particles 111c inside the nano bubble generator 111 from leaking out and prevent impurities from entering the inside.

상기 입자(111c)의 재질은 세라믹, 금속 등의 무기 재료 및 PET, PS, PP, HDPE, LDPE, PVP 등의 유기 재료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부재(111a, 111b)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입자(111c)를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쪽에서 압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자(111c)를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부재(111a, 111b)는 스펀지, 부직포, 섬유, 글라스 울, 세라믹 필터, 금속필터 등 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particles 111c may be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ceramic or metal and an organic material such as PET, PS, PP, HDPE, LDPE, or PVP. The screen members 111a and 111b may have elasticity and may press the plurality of particles 111c from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portions. Through this, since the particles 111c can be arranged more stably, the aforementioned func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e screen members 111a and 111b may be sponge, nonwoven fabric, fiber, glass wool, ceramic filter, metal filter, and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배관(112)의 끝 부분은 상기 반응부(13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반응부(130) 내부의 물에 잡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에서 발생한 나노버블이 상기 반응부(130) 내부의 물 속으로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배관(111d)의 끝은 상기 외부배관(1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배관(112)의 끝이 상기 배출배관(111d)의 끝 보다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노버블이 포함된 물이 상기 배출배관(111d)의 끝에서 배출될 때, 상기 나노버블이 외부로 퍼지지 않고 상기 외부배관(112)을 따라 일정한 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노란색 화살표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나노버블이 물과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으며, 물의 상부로 신속하게 빠져나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배관(111d)의 끝 및 외부배관(112)의 끝 사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cm 일 수 있다. 길이가 너무 짧으면 나노버블이 물 속에서 효과적으로 반응하기 어렵고, 길이가 너무 길면 나노버블이 외부배관(112) 내부에 갇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n end of the external pipe 112 may be inserted into the reaction unit 130 and disposed to catch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130 . Through this, the nanobubbles generated in the nanobubble generator unit 110 can b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130 .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111d may be disposed inside the external pipe 112 . That is, the end of the external pipe 112 may be extended longer than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111d. In this case, when the water containing the nanobubbles is discharged from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111d, the nanobubbles can travel a certain path along the external pipe 112 without spreading to the outside (see the yellow arrow). ).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nanobubbles can effectively react with water and solve the problem of rapidly escaping to the top of the water. The length between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111d and the end of the external pipe 112 may be preferably 10 to 30 cm. If the length is too short, it is difficult for the nanobubbles to effectively react in water, and if the length is too long, a problem in that the nanobubbles are trapped inside the external pipe 112 may occur.

반응부(130)는 내부에 물을 담지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부(13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 공급부(131), 내부의 물을 중화하여 pH를 조절하도록 하는 첨가제 공급부(132), 및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 공급부(131) 및 첨가제 공급부(132)는 상기 반응부(130) 내부의 물이 상기 물 공급부(131) 및 첨가제 공급부(132)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담지된 물의 높이 보다 높게 배치할 수 있다. The reaction unit 130 may have a shape capable of holding water therein. In addition, the reaction unit 130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31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an additive supply unit 132 for neutralizing internal water to adjust pH, and a drainage unit for discharging internal water to the outside. (133).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unit 131 and the additive supply unit 132 are supported inside to prevent the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130 from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31 and the additive supply unit 132. It can be placed higher than the water level.

상기 반응부(130)의 상부에는 반응이 완료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수부(133)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반응부(130)의 하부에는 펌프(150)로 물을 공급하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부(130) 내부의 물은 펌프(150)를 통해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로 이동하고, 그 이동 중 기체유입부(120)에 의해 기체를 공급받게 된다. 다음으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에서 나노버블화된 폐 가스가 함유된 물을 다시 공급받음으로써, 상기 반응부(130) 내부의 물을 순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반응부(130) 내부의 물은 공정을 진행함에 따라 성질이 변하게 되어 폐 가스 용해 효율이 변동될 수 있다. 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반응부(130) 내부의 물의 pH를 측정하는 pH 센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drain 133 through which the reaction-completed gas is discharged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ction unit 130, and a drain for supplying water to the pump 150 may be inclu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ction unit 130. have. The water inside the reaction part 130 moves to the nano bubble generator part 110 through the pump 150, and is supplied with gas by the gas inlet part 120 during the movement. Next, by receiving water containing nanobubbled waste gas from the nanobubble generator unit 110 again, the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130 is circulated. In this case, the properties of the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130 change as the process progresses, so the waste gas dissolution efficiency may vary. In order to detect this, a pH sensor unit 170 for measuring the pH of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130 may be further included.

펌프(150)는 반응부(130) 내부의 물을 순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펌프(150)에 연결된배관의일단은 상기 반응부(130) 내부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150)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The pump 150 serves to circulate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130 . One end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pump 150 may be connected to the reaction unit 13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nano bubble generator unit 110 . The pump 1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기체유입부(120)는 상기 펌프(150)에 의해 이동하는 물 내부로 폐 가스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펌프(150) 및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110)를 연결하는 제1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유입부(120)는 상기 제1배관 내부로 폐 가스를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부(120)는 폐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이 흐르는 제1배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배치된 니플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유입장치 없이, 상기 제1배관을 흐르는 물의 유속 및 유압에 의해 폐 가스가 물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gas inlet 120 serves to supply waste gas into the water moved by the pump 150 . To this end, a first pipe connecting the pump 150 and the nano bubble generator unit 110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gas inlet 120 may be disposed to supply waste gas into the first pipe. The gas inlet 120 may include a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te gas, and may include a nipple structure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Through this, the waste gas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by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pipe without a separate inlet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배관에 배치된 분기관(180)이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180)은 상기 제1배관 중 상기 기체유입부(120)가 배치된 위치의 전방 및 후방은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기체유입부(120)의 작동이 정지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펌프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분기관(180)을 통해 흐르도록 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를 편리하게 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 a branch pipe 180 disposed in the first pipe is further included. The branch pipe 180 may be arranged to connect the front and rear of the position where the gas inlet 120 is disposed among the first pipes. Through this, when the operation of the gas inlet 120 stops or replacement is required,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can flow through the branch pipe 180, making maintenance and repair convenient.

상기 펌프(150), 기체유입부(120)의 밸브, pH 센서부(170) 등은 제어부(1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각 구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Operations of the pump 150, the valve of the gas inlet unit 120, the pH sensor unit 170, and the like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60. The control unit 160 may communicate with each component by wire or wirelessl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collect information from each component. The controller 160 may be a computer including a processor executing softwar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change will b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100: 가스 스크러버, 110: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 111: 나노버블 제너레이터, 111a, 111b: 스크린 부재, 111c: 나노버블 발생 입자, 111d: 배출배관, 112: 외부배관, 120: 기체유입부, 130: 반응부, 131: 물 공급부, 132: 첨가제 공급부, 133: 배수부, 140: 가스배출부, 150: 펌프, 160: 제어부, 170: pH 센서부, 180: 분기관100: gas scrubber, 110: nanobubble generator unit, 111: nanobubble generator, 111a, 111b: screen member, 111c: nanobubble generating particles, 111d: discharge pipe, 112: external pipe, 120: gas inlet, 130: Reaction unit, 131: water supply unit, 132: additive supply unit, 133: drainage unit, 140: gas discharge unit, 150: pump, 160: control unit, 170: pH sensor unit, 180: branch pipe

Claims (6)

내부에 물을 담지하고 폐 가스가 상기 물에 용해되는 공정이 수행되는 반응부;
상기 반응부로 물 및 나노 버블화된 폐 가스를 공급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로 폐 가스를 공급하는 기체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는 나노버블을 생성하는 나노버블 제너레이터 및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된 외부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는 나노버블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배관의 끝은 상기 외부배관의 내부에 배치된,
나노버블 유입부가 개선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
a reaction unit containing water therein and performing a process of dissolving waste gas into the water;
a nano bubble generator unit supplying water and nano-bubbled waste gas to the reaction unit;
a pump supplying water to the nano bubble generator unit; and
A gas inlet for supplying waste gas to the nanobubble generator,
The nanobubble generator unit includes a nanobubble generator that generates nanobubbles and an external pipe arranged to surround the nanobubble generator from the outside,
The nanobubble generator includes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nanobubbles to the outside,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disposed inside the external pipe,
A gas scrubber device comprising a nanobubble generator with an improved nanobubble inl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부를 연결하는 제1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유입부는 상기 제1배관 내부로 폐 가스를 공급하도록 배치된,
나노버블 유입부가 개선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pip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nanobubble generator unit,
The gas inlet is arranged to supply waste gas into the first pipe,
A gas scrubber device comprising a nanobubble generator with an improved nanobubbl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는 상기 물 및 폐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배출되는 배출구에 배치된 스크린 부재와, 상기 스크린 부재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나노버블 발생 입자를 더 포함하는,
나노버블 유입부가 개선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anobubble generator further comprises screen members disposed at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and waste gas are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and waste gas are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nanobubble generating particles disposed between the screen members.
A gas scrubber device comprising a nanobubble generator with an improved nanobubble in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 발생 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0.5 mm인,
나노버블 유입부가 개선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nanobubble generating particles is 0.1 to 0.5 mm,
A gas scrubber device comprising a nanobubble generator with an improved nanobubbl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 내부의 물의 pH를 측정하는 pH 센서를 더 포함하는,
나노버블 유입부가 개선된 나노버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스 스크러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H sensor for measuring the pH of the water inside the reaction unit,
A gas scrubber device comprising a nanobubble generator with an improved nanobubble inlet.

KR1020210025916A 2021-02-25 2021-02-25 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 KR102470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16A KR102470318B1 (en) 2021-02-25 2021-02-25 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16A KR102470318B1 (en) 2021-02-25 2021-02-25 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11A KR20220121611A (en) 2022-09-01
KR102470318B1 true KR102470318B1 (en) 2022-11-25

Family

ID=8328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916A KR102470318B1 (en) 2021-02-25 2021-02-25 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31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029Y1 (en) * 2003-03-18 2003-09-13 (주) 시온텍 Hybrid-type Scrubber for removal of exhaust gases
KR101591416B1 (en) * 2014-06-11 2016-02-1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Using a water-soluble toxic gas microbubble washing scrubb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533B1 (en) 2003-02-04 2005-07-18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Gas scrubber device for semiconductor process
KR102114800B1 (en) * 2018-03-23 2020-05-25 김일동 Apparatus for Making Nanobubble and Structure with it
KR102150865B1 (en) * 2018-09-07 2020-09-02 주식회사 이앤에이치 Nano Bubble Water Generator with Self-aligned Air Gap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029Y1 (en) * 2003-03-18 2003-09-13 (주) 시온텍 Hybrid-type Scrubber for removal of exhaust gases
KR101591416B1 (en) * 2014-06-11 2016-02-1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Using a water-soluble toxic gas microbubble washing scrubb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11A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071B1 (en) Deodorization apparatus of foul smell gas
JP6346164B2 (en) Washing machine
US8187388B2 (en) Method for treating catalysts
KR101066050B1 (en) Drainage water-treating method and drainage water-treating apparatus
KR102470318B1 (en) Gas scrubb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nano-bubble generator
JP5106982B2 (en) Odor treatment method, malodor treatment system and breeding system
MX2007004609A (e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ed cleaning in a washing machine.
CN107159656A (en) Pipeline washing device, method and concrete conveying equipment
KR101278529B1 (en) A Vacuum Pump Ejector and A Vacuum Pump Having the Same
JP57553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eawater discharged from seawater scrubbers
JP2009121165A (en) Tunnel air cleaning construction method
KR102069379B1 (en) Device for Deodorizing Polluted Air
JP6261814B2 (en) Washing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and membrane separation bioreactor
JP2015000379A (en) Powder discharge system
KR20220121610A (en) Gas scrubbing apparatus using nano-bubble generator
KR101872411B1 (en) Deodorizing system
KR20140146524A (en) Pipe cleaning system
JP4302097B2 (en)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decontamination method
KR20150140179A (en) Apparatus for treating pollutant in gas
US200201625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a substrate
JP2006187728A (en) Aeration device
CN205391981U (en) SOx/NOx control dust removal integrated device
KR100501533B1 (en) Gas scrubber device for semiconductor process
CN108178275A (en) A kind of use for laboratory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US20010027801A1 (en) Pip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