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384B1 -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 Google Patents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384B1
KR102469384B1 KR1020160034508A KR20160034508A KR102469384B1 KR 102469384 B1 KR102469384 B1 KR 102469384B1 KR 1020160034508 A KR1020160034508 A KR 1020160034508A KR 20160034508 A KR20160034508 A KR 20160034508A KR 102469384 B1 KR102469384 B1 KR 102469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optical film
me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5765A (en
Inventor
다카유키 아라이
다다시 마타노
류 다케코
유지 아사츠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67570A external-priority patent/JP649506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6757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0250B2/en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과제) 박막화된 광학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내구성이 우수하며, 또한 열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광학 필름과,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1) 을 구비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으로서,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1) 과 접하는 면이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고, 점착제층 (1) 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및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와, 가교제 (B) 를 함유하며, 또한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인 점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Problem) To provide an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does not easily generate heat unevenness even when a thin optical film is used.
(Solution)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10A) provided with an optical film and an adhesive layer (1)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wherei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1) in the optical film is an acrylic resin. and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contains an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and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and a crosslinking agent 10 A of optical films with an adhesive layer which consist of the adhesive obtain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ntains (B) and whose content of a low molecular-weight component is 5 mass % or less.

Description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셀 등에 편광판이나 복합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을 첩합하는 데에 사용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and particularly relates to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used for bonding optical films such as a polarizing plate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to a liquid crystal cell or the like.

최근, 각종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표시 장치와 입력 수단을 겸한 터치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의 종류에는, 주로, 저항막식, 정전 용량식, 광학식 및 초음파식이 있고, 저항막식에는 아날로그 저항막식 및 매트릭스 저항막식이 있으며, 정전 용량식에는 표면형 및 투영형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In recent years, as display panel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ouch panels that serve as both display devices and input means have been widely used. Types of touch panels mainly include resistive, capacitive, optical and ultrasonic types. Resistive types include analog resistive and matrix resistive types, and capacitance types include surface and projection types.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모바일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에서는, 투영형 정전 용량식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투영형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로서 예를 들어, 밑에서부터 순서대로, 액정 표시 장치 (LCD), 점착제층, 투명 도전막 (주석 도프 산화인듐 : ITO), 유리 기판, 투명 도전막 (ITO), 및 강화 유리 등의 보호판이 적층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As for touch panels in mob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terminals that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projection-type capacitive touch panels are often used. As a projection type capacitive touch panel in such a mobi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in order from the bottom,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 adhesive layer,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in-doped indium oxide: ITO), a glass substrate, It has been proposed to laminate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TO) and a protective plate such as tempered glass.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으로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이 사용된다. 액정 셀은, 일반적으로 배향층을 형성한 2장의 투명 전극 기판의 배향층을 내측으로 하여, 스페이서에 의해 소정의 간격이 되도록 배치하고, 그 주변을 시일하여, 2장의 투명 전극 기판 사이에 액정 재료를 협지한 것이다. 통상, 액정 셀에 있어서의 2장의 투명 전극 기판의 외측에는, 각각 점착제를 통해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을 갖는 복합 편광판이 접착된다.As an optical component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cell is generally used. A liquid crystal cell is generally arranged so that the orientation layer of two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s on which the orientation layer is formed is placed inside so as to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spacer,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sealed, and the liquid crystal material is placed between the two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s. will be interfering with Usually, a polarizing plate or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a retardation plate is bonded to the outside of two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s in a liquid crystal cell through an adhesive, respectively.

광학용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점착제는, 모노머 단위로서, 탄소수 4 ∼ 14 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0.2 ∼ 20 질량부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그리고,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과산화물 0.02 ∼ 2 질량부, 및 에폭시계 가교제 0.005 ∼ 5 질량부를 함유한다.As an optical adhesive, what w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known, for example.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meth)acrylic polymer containing, as a monomer unit, 0.2 to 20 parts by mass of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copolymerization component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4 carbon atoms, and 0.02-2 mass parts of peroxides and 0.005-5 mass parts of epoxy-type crosslinking agents are contained as a crosslinking agent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meth)acrylic polymers.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242786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242786

여기서, 최근 모바일 전자 기기의 박형화의 요청에 따라,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도 박막화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박막의 편광판은 열 등에 의한 수축률이 높아, 특허문헌 1 등의 종래의 점착제에서는, 고온 조건하 또는 습열 조건하에 있어서,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해 버린다. 나아가서는, 광학 필름의 열수축시의 응력에서 기인하여, 광학 필름의 광학축이 어긋나는 것에 의한 광누설 (이른바 열 불균일) 이 생긴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Here,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request for thinning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thinning of optical films such as polarizing plates is also required. However, a thin film polarizing plate has a high shrinkage rate due to heat or the like, and in conventional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uch as Patent Document 1, lifting or peeling occur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r under moist heat conditions. Furthermore, a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that light leakage (so-called heat non-uniformity) occurs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optical axis of the optical film due to the stress at the time of thermal contraction of the optical film.

또, 광학 필름의 박막화를 우선시킨 경우, 점착제와의 밀착성이 악화되어, 특허문헌 1 등의 종래의 점착제에서는, 광학 필름과 점착제의 계면에서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지고, 내구성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In addition, when thinning the optical film is prioritized, adhesion to the adhesive deteriorates, and in conventional adhesives such as Patent Document 1, adhes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ptical film and the adhesive tends to become insufficient and durability further deteriorates. .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박막화된 광학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내구성이 우수하며, 또한 열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real situ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that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does not easily generate heat unevenness even when a thinned optical film is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로 본 발명은,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은,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점착제층은,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및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와, 가교제 (B) 를 함유하며, 또한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인 점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발명 1).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ovided with an optical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ptical film, wherei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is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composed of silver and an acrylic resi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containing an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and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and a crosslinking agent (B), and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adhesive obtain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of 5% by mass or less (Invention 1).

상기 발명 (발명 1) 에 의하면, 사용하는 광학 필름이 종래품에 비해 박막화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였을 때에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온 조건하나 습열 조건하에서도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열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1), even when the optical film used is thinner than conventional products, durability is excellent when applied to a display panel, and lifting or peeling is suppressed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r moist heat conditions. . Moreover, the display panel using the said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does not generate heat nonuniformity easily.

상기 발명 (발명 1) 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최표층은, 압출 성형을 거쳐 형성된 아크릴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2).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1),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most layer of the optical film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ade of an acrylic resin layer formed through extrusion molding (Invention 2).

상기 발명 (발명 2) 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적어도,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과 위상차 발현층을 갖는 위상차판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3).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2),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cal film is provided with a retardation plate having at least the acrylic resin layer and a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invention 3).

상기 발명 (발명 3) 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발현층은,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4).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3), it is preferable that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is made of a styrenic resin (invention 4).

상기 발명 (발명 3, 4) 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은, 상기 위상차 발현층에 있어서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 제2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5).In the above inventions (Inventions 3 and 4),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rdation plate has a second acrylic resin layer on the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acrylic resin layer in the phase difference developing layer (Invention 5). ).

상기 발명 (발명 3 ∼ 5) 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는, 제2 위상차판이 더욱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6).In the above inventions (Inventions 3 to 5),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retardation plate is further lamin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plate on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vention 6).

상기 발명 (발명 6) 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차판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7).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6),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is made of a cycloolefin-based resin (Invention 7).

상기 발명 (발명 6, 7) 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상기 위상차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는, 편광판이 더욱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8).In the above inventions (Inventions 6 and 7), it is preferable that a polarizing plate is further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retardation film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Invention 8).

상기 발명 (발명 1 ∼ 8) 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를 더욱 함유하고, 수산기가가 5 ∼ 20 mgKOH/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9).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s 1 to 8),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further contains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and has a hydroxyl value of 5 to 20 mgKOH /g is preferred (Invention 9).

상기 발명 (발명 1 ∼ 9) 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10).In the above inventions (Inventions 1 to 9),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linking agent (B) is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nvention 10).

상기 발명 (발명 1 ∼ 10) 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C) 를 더욱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11).In the above inventions (Inventions 1 to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 silane coupling agent (C) (Invention 11).

상기 발명 (발명 1 ∼ 11) 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 (D) 를 더욱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12).In the above inventions (Inventions 1 to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n antistatic agent (D) (Invention 12).

상기 발명 (발명 12) 에 있어서는, 상기 대전 방지제 (D) 가, 실온에서 고체이고, 함질소 복소고리 카티온과 할로겐화인산 아니온으로 구성되는 이온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13).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istatic agent (D) is an ionic compound that is solid at room temperature and composed of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ation and a halogenated phosphate anion (Invention 13).

본 발명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에 의하면, 광학 필름이 박막화된 경우에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열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oncerning this invention, even when an optical film is thinned, it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a display panel is hard to generate heat nonuniformity.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위상차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내열 불균일성 시험 (육안 관찰) 의 평가 기준을 나타내는 도면 (컬러) 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retardation plate.
4 is a diagram (color) showing evaluation criteria for a heat resistance nonuniformity test (visual observation) in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과, 그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은,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고, 점착제층은,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및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와, 가교제 (B) 를 함유하며, 또한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인 점착성 조성물 (이하 「점착성 조성물 (P)」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로부터 얻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란,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양쪽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An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ptical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optical film is composed of an acrylic resi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s an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and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method ) An adhesive obtain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nd a crosslinking agent (B) and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content of 5% by mass or less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dhesive composition (P)”) It is don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ic acid ester means both acrylic acid ester and methacrylic acid ester. The same goes for other similar terms.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사용하는 광학 필름이 종래품에 비해 박막화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였을 때에, 내구 조건하 (후술하는 시험예에 예시된 바와 같은 고온 조건하, 습열 조건하 또는 히트 쇼크하 외에, 실제 사용시에 있어서의 고온 환경하나 습열 환경하 등을 포함함. 특별히 언급이 있는 경우 이외에는 이하 동일) 에 있어서도,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열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Even when the optical film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hinned compared to conventional products, when applied to a display panel,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an be used under durability conditions (under high-temperature conditions, under moist heat conditions, or as exemplified in test examples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heat shock, the occurrence of lifting or peeling is suppressed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r a moist heat environment during actual use (the same applies below unless otherwise specified). Moreover, the display panel using the said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does not generate heat nonuniformity easily.

여기서, 광학 필름은, 편광 성능이나 위상차 성능 등의 광학 성능을 발현하는 기능 발현층과, 그 기능 발현층을 보호하여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형태 유지성을 위한)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자들은, 당해 보호층에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기능 발현층의 광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또한 박막화가 가능해지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나, 종래의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에 있어서, 보호층에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여 박막화한 경우, 내구 조건하에서의 형태 유지성이 불충분해지는 데다가, 점착제층과의 밀착성도 불충분해져, 결과적으로, 당해 광학 필름을 사용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내구성 및 내열 불균일성 모두 만족스러운 것이 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에서는, 내구 조건하에서의 광학 필름 수축에 의한 점착제층의 잔류 응력을, 전술한 조성에 의해 점착제층의 응력 완화성을 높임으로써 해소하는 것으로 하였다.Here, the optical film often consists of a function expression layer that expresses optical performance such as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retardation performance, and a protective layer (for shape retention) for protecting the function expression layer to maintain shape stabilit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by using an acrylic resin for the protective layer,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function expression layer was not lowered and thinning was possibl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when the protective layer is thinned using an acrylic resin, the shape retention under durability conditions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adhesiveness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ecomes insufficient, and as a result, the optical film The used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not satisfactory in both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nonuniformity. In contrast, in the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idual str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ue to shrinkage of the optical film under durability conditions is eliminated by increasing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th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또,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과 점착제층의 밀착 부족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은, 내구성 시험 후의 보호층과 점착제층과의 계면을 예의 관찰한 결과, 점착제층으로부터 보호층측으로 어떠한 성분이 빨려나간 것으로 보이는 결점이 존재하는 것을 알아냈다. 이 알아낸 현상으로부터, 내구 조건하, 점착제층 중의 저분자량 성분이 보호층측으로 흡인되어, 보호층과 점착제층과의 계면에 상기 저분자량 성분이 존재하게 되고, 저분자이기 때문에 윤활유와 같은 기능을 하여, 계면에 있어서의 밀착성을 저하시키고 있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이 추론에 기초하여, 점착제층의 주제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전술한 조성에 의해 상승시킴과 함께,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을 5 질량%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내구 조건하에서 점착제층으로부터 광학 필름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는 부분) 으로 저분자량 성분이 흡인되기 어렵게 함과 함께, 설령 흡인되었다 하더라도, 매우 소량이기 때문에, 윤활유적인 기능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하였다.Regarding the lack of adhesion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made of acrylic resi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ent inventors, as a result of intensively observ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fter the durability test, found that certain components were sucked o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ward the protective layer side. I found out that there are visible flaws. From this discovered phenomenon, under durable conditions,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attracted to the protective layer side, and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exis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it was inferred that the adhesion at the interface was lowered. Based on this reason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main polym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raised by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is suppressed to 5% by mass or less, thereby removing the optical fiber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nder durability conditions. Whil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to be sucked into the film (the part composed of the acrylic resin), even if it is sucked, it is very small, so it is intended to prevent it from performing a lubricating oil function.

[점착제층][Adhesive layer]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1)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및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함유한다. 이들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및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는, 적절한 응집력과 응력 완화성을 겸비할 수 있음과 함께, 아크릴계 수지에 대한 밀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하였을 때에, 우수한 내구성, 휨 억제성 및 내열 불균일성을 발휘할 수 있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an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and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By containing thes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s (a1) and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s (a2), the obtained adhesive can have both appropriate cohesive force and stress relaxation properties, and since the adhesiveness to acrylic resin is increased, display panels When used for, it can exhibit excellent durability, warpage inhibition and heat resistance nonuniformity.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의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및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외에,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원하는 바에 따라,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된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contains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in addition to the abov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and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is preferred,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hat the alkyl group contains a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1 to 20 carbon atoms. Moreover, you may contain other monomers as desired.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수산기가는, 가교점을 확보하여 응집력을 높게 유지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을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5 mgKOH/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 mgKOH/g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 mgKOH/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산기가는, 가교점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 및 내열 불균일성을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30 mg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의 고온하에서의 휨 억제성의 관점을 더하면 20 mgKOH/g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6 mgKOH/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hydroxyl valu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preferably 5 mgKOH/g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ensuring excellent durability of the adhesive obtained by securing a crosslinking point and maintaining a high cohesive force, and 8 mgKOH /g or more is particularly preferred, and 10 mgKOH/g or more is more preferred. On the other hand, the hydroxyl value is preferably 30 mgKOH / g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an excessive increase in crosslinking points and providing excellent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nonuniformity of the adhesive obtained, a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on of warpage under high temperature in a display panel In addition, it is particularly preferably 20 mgKOH/g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6 mgKOH/g or less.

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산가는, 5 mg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mg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 mg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산가가 5 mgKOH/g 이하이면, 점착제의 첩부 대상이, 산에 의해 문제가 생기는 것, 예를 들어 주석 도프 산화인듐 (ITO) 등의 투명 도전막이나 금속막 등인 경우에도, 산에 의한 이들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첩부 대상이 투명 도전막인 경우에는, 당해 투명 도전막을 부식시키거나 당해 투명 도전막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산가의 하한치는, 작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0 mgKOH/g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acid valu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preferably 5 mgKOH/g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 mgKOH/g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 mgKOH/g or less. If the acid valu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5 mgKOH/g or less, the object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pplied is a problem caused by acid, for example,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such as tin-doped indium oxide (ITO) or the like. Even in the case of a metal film or the like, these problems due to acid can be suppressed. In particular, when the object to be pasted i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t can suppress corrod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r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oreover, since the lower limit of the acid valu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so preferable that it is small,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it is 0 mgKOH/g.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산기가 및 산가는, 기본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배합 비율로부터 도출되는 이론치로 하고, 당해 이론치를 도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JIS K0070 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Here, the hydroxyl value and the acid value in this specification are basically theoretical values derived from the blending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nd when the theoretical values cannot be derived, based on JIS K0070. to be the measured valu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함으로써, 바람직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n-펜틸, (메트)아크릴산n-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n-데실, (메트)아크릴산n-도데실, (메트)아크릴산미리스틸, (메트)아크릴산팔미틸,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8 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n-부틸 또는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can express desirable adhesiveness by containing,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a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an alkyl group. Examples of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and (meth)acrylate. n-pentyl acrylate, n-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n-decyl (meth)acrylate, n-dodec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Myristyl, palmit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the adhesiveness, (meth)acrylic acid esters having 1 to 8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are preferred, and n-bu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addition,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40 ∼ 97.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 ∼ 94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65 ∼ 83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40 질량% 이상 함유하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에 바람직한 점착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97.5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중에 다른 모노머 성분을 소망량 도입할 수 있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preferably contains,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40 to 97.5% by mass of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particularly 55 to 97.5% by mass. It is preferable to contain 94 mass %, and also it is preferable to contain 65-83 mass %. When 40 mass % or more of (meth)acrylic-acid alkylester is contained, favorable adhesiveness can be provided to a (meth)acrylic-acid ester copolymer (A). Moreover, by setting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to 97.5% by mass or less, a desired amount of other monomer components can be introduced into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의 탄소 고리는, 포화 구조의 것이어도 되고, 불포화 결합을 일부에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 지환식 구조는, 단고리의 지환식 구조여도 되고, 2 고리, 3 고리 등의 다고리의 지환식 구조여도 된다.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상호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하고, 점착제에 응력 완화성을 부여하는 관점, 및 얻어지는 공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상승시킴으로써, 점착제 중의 저분자량 성분이 아크릴계 수지측으로 이행하여 밀착성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기 지환식 구조는, 다고리의 지환식 구조 (다고리 구조)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와 다른 성분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상기 다고리 구조는, 2 고리 내지 4 고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마찬가지로 응력 완화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모든 탄소수를 말하며, 복수의 고리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탄소수를 말함) 는, 통상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용성의 관점에서,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carbon ring of the alicyclic structure in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may have a saturated structure or may partially have an unsaturated bond. In addition, the alicyclic structure may be a monocyclic alicyclic structure or a polycyclic alicyclic structure such as two or three rings. The distance between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s (A) obtained is appropriate, and the viewpoint of imparting stress relaxation properties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obtained copolymer (A) are rai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licyclic structure is a polycyclic alicyclic structure (polycyclic structure) from a viewpoint of preventing a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from migrating to the acrylic resin side and impairing adhesive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mpatibility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nd other components, the polycyclic structure is particularly preferably a two- or four-ring structure. In addition, as in the above, from the viewpoint of imparting stress relaxation properties,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alicyclic structure (meaning all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portion forming the ring, and referring to the total number of carbon atoms when a plurality of rings exist independently) , preferably 5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7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alicyclic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5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as described above.

지환식 구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골격,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 아다만탄 골격, 이소보르닐 골격, 시클로알칸 골격 (시클로헵탄 골격, 시클로옥탄 골격, 시클로노난 골격, 시클로데칸 골격, 시클로운데칸 골격, 시클로도데칸 골격 등), 시클로알켄 골격 (시클로헵텐 골격, 시클로옥텐 골격 등), 노르보르넨 골격, 노르보르나디엔 골격, 큐베인 골격, 바스케테인 골격, 하우세인 골격, 스피로 골격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 : 10), 아다만탄 골격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 : 10) 또는 이소보르닐 골격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 : 7)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소보르닐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licyclic structure include cyclohexyl skeleton, dicyclopentadiene skeleton, adamantane skeleton, isobornyl skeleton, cycloalkane skeleton (cycloheptane skeleton, cyclooctane skeleton, cyclononane skeleton, cyclodecane skeleton, cycloundecane skeleton, cyclododecane skeleton, etc.), cycloalkene skeleton (cycloheptene skeleton, cyclooctene skeleton, etc.), norbornene skeleton, norbornadiene skeleton, cubane skeleton, basketane skeleton, housein skeleton, Examples include those containing spiro skeletons and the like, and among them, dicyclopentadiene skeletons (carbon atoms in an alicyclic structure: 10), adamantane skeletons (carbon atoms in an alicyclic structure: 10), 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sobornyl skeleton (carbon number of the alicyclic structure: 7),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include an isobornyl skeleton.

상기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로는, 상기의 골격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산아다만틸,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산아다만틸 또는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As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containing the above skeleton is preferable. Specifically, cyclohexyl (meth)acrylate,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and (meth)acrylic acid adamantyl, isobornyl (meth)acrylate, dicyclopentenyl (meth)acrylate, dicyclopentenyloxyethyl (meth)acrylate, and the like, among which, (meth) Dicyclopentanyl acrylate, adamantyl (meth)acrylate or isobornyl (meth)acrylate is preferred, and isobornyl (meth)acrylate is particularly preferr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얻어지는 점착제가 우수한 내구성, 휨 억제성 및 내열 불균일성을 발휘하는 관점에서,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를 1 ∼ 2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점에 더하여, 얻어지는 점착제가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하는 관점에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를 특히 2 ∼ 1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9 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contains an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from 1 to 20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from the viewpoint of exhibiting excellent durability, warpage suppression property, and heat resistance nonuniformity of the resulting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contain mass %. In addition to the above viewpoints, from the viewpoint of exhibiting excellent rework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btained,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is more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2 to 15% by mass, and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3 to 9% by mass. particularly preferred.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로는, 방향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방향고리로는,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안트라센 고리, 비페닐 고리, 플루오렌 고리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벤젠 고리가 바람직하다.As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n aromatic ring is preferable. As an aromatic ring, a benzene ring, a naphthalene ring, an anthracene ring, a biphenyl ring, a fluorene ring, etc. are mentioned, Among them, a benzene ring is preferable.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페닐, (메트)아크릴산2-페닐에틸, (메트)아크릴산벤질, (메트)아크릴산나프틸,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산페녹시부틸, 에톡시화o-페닐페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크레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EO) 변성 노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응집력 향상의 면에서 (메트)아크릴산2-페닐에틸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include phenyl (meth)acrylate, 2-phenylethyl (meth)acrylate, benzyl (meth)acrylate, naphthyl (meth)acrylate, phenoxyethyl (meth)acrylate, ( Meth) phenoxybutyl acrylate, ethoxylated o-phenylphenol acrylate, phenoxydiethylene glycol (meth)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cresol (meth)acrylate, ethylene oxide (EO) modified nonylpheno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and among them, 2-phenyl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e from the point of improving cohesive force.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1 ∼ 3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 2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2 ∼ 22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가 우수한 내구성, 휨 억제성 및 내열 불균일성을 발휘할 수 있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preferably contains 1 to 30% by mass of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particularly preferably 3 to 25% by mass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contain 12-22 mass %. When the content of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exhibit excellent durability, warpage suppression properties, and nonuniformity in heat resistanc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는, 가교제 (B) 와 양호한 반응성을 나타내고, 이들의 반응에 의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가교제 (B) 에 의해 가교된다. 이 가교 구조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는,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preferably contains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The hydroxyl group shows good reactivity with the crosslinking agent (B), and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crosslinked by the crosslinking agent (B) by these reactions. Due to this crosslinked structure,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becomes highly durable.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가교제 (B) 와의 반응성의 면에서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또는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3-hydroxypropyl (meth)acrylate, and 2-hydroxy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hydroxyalkyl esters such as butyl, 3-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4-hydroxybut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4-hydroxybutyl (meth)acrylate is preferred, and 2-hydroxyethyl (meth)acrylate is particularly preferred.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를 0.5 ∼ 1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 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 ∼ 4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수산기가가 전술한 범위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우수한 내구성 및 내열 불균일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 특히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의 함유량이 4 질량% 이하이면, 얻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고온하에서의 휨 억제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preferably contains 0.5 to 10 mass% of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particularly preferably 1 to 5 mass%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contain 2-4 mass %. When the content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hydroxyl valu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tends to fall within the above range, and excellent durability and nonuniformity in heat resistance can be effectively exhibited. Moreover, especially when content of a hydroxyl-containing monomer (a3) is 4 mass % or less, in the display panel obtained, it becomes excellent in curvature suppression property under high temperatur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산가를 전술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도,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유한다 하더라도, 0.5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preferably does not contain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also in order to set the acid value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and even if it does, the content is 0.5% by mass or less. It is preferable to contain it,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contain it with a content of 0.1 mass % or less.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전술한 모노머 이외의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된다. 당해 다른 모노머로는,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의 수산기와 가교제 (B) 의 반응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도, 가교제 (B) 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may contain other monomer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monomers as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As the other monomer, a monomer that does not contain a functional group reactive with the crosslinking agent (B) is preferable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reaction between the hydroxyl group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and the crosslinking agent (B).

이러한 다른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비가교성의 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비가교성의 3급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such other monomers include (meth)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s such as methoxyethyl (meth)acrylate and ethoxyethyl (meth)acrylate, non-crosslinkable acrylamides such as acrylamide and methacrylamide, ( (meth)acrylic acid esters having non-crosslinkable tertiary amino groups such as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nd N,N-dimethylaminopropyl (meth)acrylate; and vinyl acetate.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중합 양태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The polymerization mod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may be a random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30만 ∼ 30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0만 ∼ 2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60만 ∼ 19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0만 이상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만 이하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력 완화성을 양호하게 확보하여, 휨 억제성 및 내열 불균일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preferably 1.3 million to 3 million, particularly preferably 1.5 million to 2.5 million, and more preferably 1.6 million to 1.9 million.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1,300,000 or more, the durability of the resulting adhesive can be ensured satisfactorily. Moreover,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3 million or less,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of the adhesive obtained can be ensured satisfactorily, and warpage suppression property and heat-resistant nonuniformity can be exhibited effectively.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Her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is specification is a standard polystyrene conversion value measured by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점착성 조성물 (P) 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점착성 조성물 (P) 은,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또는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지 않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를 더욱 함유해도 된다.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ddi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P) may further contain a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that does not contain an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or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a constituent monomer unit.

(2) 가교제 (B) (2) crosslinking agent (B)

가교제 (B) 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가 갖는 관능기와 반응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암모늄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B) should just react with the functional group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s, amine-based crosslinking agents, melamine-based crosslinking agents,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s, and hydrazine. crosslinking agents, aldehyde crosslinking agents, oxazoline crosslinking agents, metal alkoxide crosslinking agents, metal chelate crosslinking agents, metal salt crosslinking agents, and ammonium salt crosslinking agents.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유래의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 (B) 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contains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having excellent reactivity with hydroxyl groups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It is preferable to use In addition, a crosslinking agent (B)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외에, 그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나아가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이상 총칭하여 「변성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방향고리를 갖는 화합물, 즉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 변성체가 바람직하고, 방향고리에 유기기 (예를 들어, 알킬렌 사슬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탄소수 1 ∼ 4 의 알킬렌 사슬을 특히 바람직하게 들 수 있음) 를 개재하여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 변성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 변성체가 더욱 바람직하고,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contains at least a polyisocyanate compound. Examples of the polyisocyanate compound include aromatic poly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xylylene diisocyanate, aliphatic polyisocyanate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and hydrogenated diphenylmethane. In addition to alicyclic polyisocyanates such as diisocyanates, their biurets, isocyanurates, and further, reactants with low molecular weight active hydrogen-containing compounds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trimethylolpropane, and castor oil adducts (above generically referred to as “denatured substances” in some cases); and the like.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the dur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btained, a compound having an aromatic ring, that is, an aromatic polyisocyanate or a modified product thereof is preferable, and an organic group (for example, an alkylene chain is preferable, and a carbon number of 1 A polyisocyanate having an isocyanate group bonded via an alkylene chain of to 4 or a modified product thereof is particularly preferred. Specifically, xylylene diisocyanate or a modified product thereof is more preferable, and trimethylolpropane-modified xylylene diisocyanate is most preferable. The said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가교제 (B) 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 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1 ∼ 0.4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 (B) 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가, 양호한 응집력 및 응력 완화성을 발휘하여, 내구성 및 내열 불균일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 특히 가교제 (B) 의 함유량이 0.4 질량% 이하이면, 얻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고온하에서의 휨 억제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B)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preferably from 0.01 to 10 parts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0.05 to 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nd, by extension, it is preferably 0.1 to 0.4 parts by mass. Whe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B)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resultant adhesive exhibits good cohesive force and stress relaxation properties, and has more excellent durability and nonuniformity in heat resistance. Moreover, especially when content of a crosslinking agent (B) is 0.4 mass % or less, in the display panel obtained, it becomes excellent in the curvature suppression property under high temperature.

(3) 실란 커플링제 (C) (3) Silane coupling agent (C)

점착성 조성물 (P) 은,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및 가교제 (B) 이외에, 실란 커플링제 (C)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점착제에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특히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1) 및/또는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1) 및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의 양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composition (P) preferably contains a silane coupling agent (C) in addition to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nd the crosslinking agent (B), and from the viewpoint of imparting excellent durability to the resulting adhesive,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n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1) and/or a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2), and furthermore, of the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1) and the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2) It is preferable to contain both.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1) 로는, 분자 내에 에폭시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유기기) 를 적어도 1개, 알콕시실릴기를 적어도 1개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점착제 성분과의 상용성이 좋으며, 또한 광 투과성을 갖는 것,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1) is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organic group containing an epoxy group) and at least one alkoxysilyl group in the molecule, and has good compatibility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 and has light transmission properties. , for example substantially transparent.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1) 의 구체예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3-글리시독시프로필알킬디알콕시실란, 메틸트리(글리시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의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고, 특히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Specific examples of the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1) include 3-glycidoxypropyltrialkoxysilanes such a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and 3-glycidoxypropyltrialkoxysilane. 3-glycidoxypropylalkyldialkoxysilanes such as 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and 3-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methyltri(glycidyl)silane, 2-(3,4-epoxycyclohexyl) ) 2-(3,4-epoxycyclohexyl)ethyltrialkoxysilanes such as ethyltrimethoxysilane and 2-(3,4-epoxycyclohexyl)ethyltriethoxysilane; and the like.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durability,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2-(3,4 -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is preferred, and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is particularly preferr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로는, 분자 내에 메르캅토기 (메르캅토기를 포함하는 유기기) 를 적어도 1개, 알콕시실릴기를 적어도 1개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점착제 성분과의 상용성이 좋으며, 또한 광 투과성을 갖는 것,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2) is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mercapto group (organic group containing a mercapto group) and at least one alkoxysilyl group in the molecule. Compatibility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s It is preferable,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light transmission, for example, to be substantially transparent.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의 구체예로는,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저분자형 실란 커플링제;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화합물과,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킬기 함유 실란 화합물의 공축합물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올리고머형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과 리워크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메르캅토기 함유 올리고머형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화합물과 알킬기 함유 실란 화합물의 공축합물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공축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Specific examples of the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2) include mercapto groups such as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3-mercaptopropyltriethoxysilane, and 3-mercaptopropyldimethoxymethylsilane.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silane coupling agent;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mpounds such as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3-mercaptopropyltriethoxysilane, and 3-mercaptopropyldimethoxymethylsilane, methyltriethoxysilane, and ethyltriethoxysilane , mercapto group-containing oligomer type silane coupling agents such as cocondensates of alkyl group-containing silane compounds such as methyltrimethoxysilane and ethyltrimethoxysilane.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both durability and reworkability, a mercapto group-containing oligomer type silane coupling agent is preferable, and a cocondensate of a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mpound and an alkyl group-containing silane compound is particularly preferable, and furthermore, 3 - A cocondensate of 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and methyltriethoxysilane is preferr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실란 커플링제 (C) 로는, 상기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1) 및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외에,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아크릴로일계 실란 커플링제, 수산기계 실란 커플링제, 카르복실기계 실란 커플링제, 아미노기계 실란 커플링제, 아미드기계 실란 커플링제, 이소시아네이트기계 실란 커플링제 등을 병용해도 된다.As the silane coupling agent (C), in addition to the above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1) and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2), if necessary, for example, an acryloyl-based silane coupling agent, a hydroxyl-based silane coupling agent , A carboxyl-based silane coupling agent, an amino-based silane coupling agent, an amide-based silane coupling agent, an isocyanate-based silane coupling agent, or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실란 커플링제 (C) 의 합계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 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 2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2 ∼ 1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otal conte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C)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preferably from 0.01 to 5 parts by mass, particularly from 0.1 to 2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t is preferable,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2-1 mass part by extension.

또,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1) 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5 ∼ 2.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 1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1 ∼ 0.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5 ∼ 2.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 1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1 ∼ 0.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1)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preferably 0.005 to 2.5 parts by mass, particularly 0.05 to 2.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 mass part, and also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1-0.5 mass part.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the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2)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preferably from 0.005 to 2.5 parts by mass, particularly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05-1 mass part, and also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1-0.5 mass part.

(4) 대전 방지제 (D) (4) antistatic agent (D)

점착성 조성물 (P) 은, 대전 방지제 (D) 를 더욱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에 적층되는 박리 시트, 혹은 편광판이나 복합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는, 통상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절연성이 높고, 박리 시트를 박리할 때 등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이 발생한 정전기가 잔존한 상태에서, 편광판이나 복합 편광판 등을 액정 셀에 첩합하면, 액정 분자의 배향에 혼란이 생길 우려가 있고, 또, 정전기의 존재는, 먼지나 티끌을 흡인해 버리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그래서, 점착성 조성물 (P) 이 대전 방지제 (D) 를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 (점착제층) 가 대전 방지성을 발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P) further contains an antistatic agent (D). Since the release sheet laminat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optical member such as a polarizing plate or composite polarizing plate is usual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electrical insulation is high and static electricity is likely to be generated when the release sheet is peeled off. If a polarizing plate or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or the like is bonded to a liquid crystal cell in a state in which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is way remains, there is a risk that the align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may be disturbed, and the presence of static electricity may attract dust and dirt. cause problems Then, when the adhesive composition (P) contains the antistatic agent (D), the adhesive (adhesive layer) obtained exhibits antistatic properties, and the above problems can be eliminated.

대전 방지제 (D) 로는, 얻어지는 점착제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이온성 화합물, 논이온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온성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온성 화합물은, 실온에서 액체여도 되고, 고체여도 되지만, 내구 조건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인 대전 방지성을 발현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실온에서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이온성 화합물이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주로 정전기 인력에 의해 결부되어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말한다.As an antistatic agent (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able to provide antistatic property to the adhesive obtained, and although an ionic compound and a nonionic compound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n ionic compound is especially preferable. The ionic compound may be a liquid or a solid at room temperature, but is preferably a solid at room temp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easy to exhibit stable antistatic properties even when exposed to durability conditions. Here, the ionic compoun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compound in which cations and anions are mainly boun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이온성 화합물로는, 함질소 오늄염, 함황 오늄염, 함인 오늄염,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특히 함질소 오늄염이 바람직하다. 함질소 오늄염은, 함질소 복소고리 카티온과 그 카운터 아니온으로 구성되는 이온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함질소 복소고리 카티온과 할로겐화인산 아니온으로 구성되는 이온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실온에서 고체로서, 함질소 복소고리 카티온과 할로겐화인산 아니온으로 구성되는 이온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고체로서, 함질소 복소고리 카티온과 할로겐화인산 아니온으로 구성되는 이온성 화합물에 의하면, 대전 방지성과 내구성의 양립이 가능해진다.As the ionic compound, nitrogen-containing onium salts, sulfur-containing onium salts, phosphorus-containing onium salts, alkali metal salts and alkaline earth metal salts are preferable, and nitrogen-containing onium salt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durability of the resulting adhesive. The nitrogen-containing onium salt is preferably an ionic compound composed of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ation and its counter anion, and is particularly preferably an ionic compound composed of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ation and a halogenated phosphoric acid anion.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n ionic compound composed of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ation and a halogenated phosphoric acid anion as a solid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ionic compound composed of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ation and a halogenated phosphoric acid anion as a solid at room temperature, both antistatic properties and durability become possible.

함질소 복소고리 카티온의 함질소 복소고리 골격으로는, 피리딘 고리, 피리미딘 고리, 이미다졸 고리, 트리아졸 고리, 인돌 고리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피리딘 고리가 바람직하다. 또, 할로겐화인산 아니온의 할로겐으로는, 불소, 염소, 브롬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불소가 바람직하다.As the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skeleton of the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ation, a pyridine ring, a pyrimidine ring, an imidazole ring, a triazole ring, an indole ring, and the like are preferable, and a pyridine ring is particularly preferable. Further, as the halogen of the halogenated phosphoric acid anion, fluorine, chlorine, bromine and the like are preferable, and fluorine is particularly preferable.

상기 대전 방지제 (C) 의 구체예로는, N-부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도데실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테트라데실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사데실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도데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테트라데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사데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N-부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1-부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가 바람직하다. 이상의 대전 방지제 (C) 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Specific examples of the antistatic agent (C) include N-but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hex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ct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ct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dodec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tetradec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hexadec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 -Dodec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tetradec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hexadec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1-but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Fluorophosphate, 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with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N-but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hex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N-octyl -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and 1-but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are preferred. The above antistatic agent (C)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 (D) 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1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 ∼ 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 (D) 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대전 방지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과 함께, 광학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antistatic agent (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preferably 0.1 to 15 parts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0.5 to 1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5 mass parts. When the content of the antistatic agent (D) is within the above range, antistatic properties can be effectively exhibited, and deterioration i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opt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can be prevented.

(5) 저분자량 성분(5)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저분자량 성분이란, 상기 성분 (B) ∼ (D) 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으며, 또한, 분자량 (폴리머의 경우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 이 1만 이하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저분자량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이하인 아크릴계 폴리머, 스티렌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실리콘 등; 분자량이 1000 이하인 탄화수소, 예를 들어, 스틸벤 (시스스틸벤, 트랜스스틸벤), 벤조산벤질, 플루오렌, 디페닐술파이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hat it does not correspond to any of the said components (B)-(D), and molecular weight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case of a polymer) is 10,000 or less. Examples of such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include acrylic polymers, styrenic polymers, urethane polymers, and silicones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or less; Hydrocarbons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or less, for example, stilbene (cisstilbene, transstilbene), benzyl benzoate, fluorene, diphenylsulfid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점착성 조성물 (P) 에 있어서의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은, 5 질량% 이하이다.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임으로써, 점착제층 중의 당해 저분자량 성분이 광학 필름측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는 부분) 으로 빨려나갈 확률이 감소함과 함께, 설령 빨려나갔다 하더라도, 그 양이 적기 때문에, 당해 저분자량 성분이 윤활유적인 기능을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점착제층의 광학 필름에 대한 밀착성이 높아지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하였을 때에,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5% by mass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is 5% by mass or less, the probability that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ll be absorbed to the optical film side (the part composed of acrylic resin) decreases, and even if it is sucked out, the amount Since it is smal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unction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as a lubricating oil. As a result, the adhesive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optical film increases, and excellent durability can be exhibited when used for a display panel.

상기의 관점에서, 점착성 조성물 (P) 에 있어서의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은, 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P) 에 있어서의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above viewpoint, 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preferably 3% by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by mass or les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0% by mass.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성 조성물 (P) 의 주제로서 전술한 조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를 사용함으로써, 당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내구 조건하에서의 점착제층으로부터 광학 필름으로의 저분자량 성분의 흡인 자체가 억제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y using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of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as the main agen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P),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 rises, and accordingly, the attraction itself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optical film under durability conditions is suppressed.

(6) 각종 첨가제(6) Various additives

점착성 조성물 (P) 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분산제 (예를 들어,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굴절률 조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첨가제에는, 상기 저분자량 성분에 해당하는 것도 있는데, 그 경우에도, 점착성 조성물 (P) 에 있어서의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은, 5 질량%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또, 점착성 조성물 (P) 은, 점착제층 중에, 그대로, 혹은 반응한 상태로, 잔존하는 각종 성분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건조 공정 등에서 제거되는 성분, 예를 들어, 후술하는 중합 용매나 희석 용매는, 점착성 조성물 (P) 에 포함되지 않는다.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as desired, various additives commonly used for acrylic adhesives, such as dispersants (eg, alkylene glycol dialkyl ethers), tackifier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light stabilizers , softeners, fillers, refractive index adjusters and the like can be added. In addition, although some of these additives correspond to the said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even in that case, it is necessary that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n adhesive composition (P) is 5 mass % or less. In addi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P) represents a mixture of various components remaining in the adhesive layer as it is or in a reacted state, and components removed in a drying step or the like, for example, a polymerization solvent or a dilution solvent described later , are not includ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P).

(7) 점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7)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composition

점착성 조성물 (P)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를 제조하고,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와, 가교제 (B) 와, 원하는 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C), 대전 방지제 (D), 첨가제 등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prepared by preparing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the obtained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 crosslinking agent (B), and optionally a silane coupling agent (C) , antistatic agent (D), additives, etc. can be manufactured by mixing.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의 혼합물을 통상적인 라디칼 중합법으로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중합은, 원하는 바에 따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중합 용매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can be produced by polymerizing a mixture of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by a conventional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Polymerization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can be carried out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or the like using a polymerization initiator as desired. As a polymerization solvent, ethyl acetate, n-butyl acetate, isobutyl acetate, toluene, acetone, hexane, methyl ethyl keton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You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중합 개시제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아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 azo type compound, an organic peroxide, etc. are mentioned, You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Examples of the azo-based compound include 2,2'-azobisisobutyronitrile, 2,2'-azobis(2-methylbutyronitrile), and 1,1'-azobis(cyclohexane 1- carbonitrile), 2,2'-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2,2'-azobis (2,4-dimethyl-4-methoxyvaleronitrile), dimethyl 2,2' -azobis(2-methylpropionate), 4,4'-azobis(4-cyanovaleric acid), 2,2'-azobis(2-hydroxymethylpropionitrile), 2,2' -Azobis[2-(2-imidazolin-2-yl)propane] etc. are mentioned.

유기 과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디프로피오닐퍼옥사이드,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As the organic peroxide, for example, benzoyl peroxide, t-butyl perbenzoate, cumene hydroperoxide, diisopropylperoxydicarbonate, di-n-propylperoxydicarbonate, di-(2-ethoxyethyl)peroxide cidicarbonate, t-butylperoxyneodecanoate, t-butylperoxypivalate, (3,5,5-trimethylhexanoyl) peroxide, dipropionyl peroxide, diacetyl peroxide and the like. .

또한,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2-메르캅토에탄올 등의 연쇄 이동제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said polymerization proces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obtained can be adjusted by mix|blending a chain transfer agent, such as 2-mercaptoethanol.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가 얻어졌으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용액에, 가교제 (B),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C), 대전 방지제 (D), 첨가제, 희석 용제 등을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용제로 희석된 점착성 조성물 (P) (도포 용액) 을 얻는다.When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obtained, to a solution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 crosslinking agent (B), and optionally a silane coupling agent (C), an antistatic agent (D), An additive, a diluting solvent, etc. are added and thoroughly mixed to obtain a solvent-diluted adhesive composition (P) (coating solution).

점착성 조성물 (P) 을 희석하여 도포 용액으로 하기 위한 희석 용제로는, 예를 들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타논,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이 사용된다.Diluting solvents for diluting the adhesive composition (P) to form a coating solution include, for exampl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hexane, heptane, and cyclohexan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methylene chloride and ethylene chloride. Hydrocarbons,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and 1-methoxy-2-propanol, ketone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2-pentanone, isophorone and cyclohexanone,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Cellosolve solvents such as ester and ethyl cellosolve are used.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된 도포 용액의 농도·점도로는, 코팅 가능한 범위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성 조성물 (P) 의 농도가 10 ∼ 40 질량% 가 되도록 희석한다. 또한, 도포 용액을 얻을 때에, 희석 용제 등의 첨가는 필요 조건이 아니고, 점착성 조성물 (P) 이 코팅 가능한 점도 등이면, 희석 용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점착성 조성물 (P)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중합 용매를 그대로 희석 용제로 하는 도포 용액이 된다.The concentration and viscosity of the coating solution prepared in this way may be within a range capable of being coated,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For example, it is dilut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P) may become 10-40 mass %. In addition, when obtaining a coating solution, addition of a diluting solvent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and as long as the adhesive composition (P) has a coatingable viscosity or the like,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diluting solvent. In this case, the adhesive composition (P) becomes a coating solution in which the polymerization solvent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used as a diluting solvent as it is.

(8) 점착제(8) adhesiv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이상 설명한 점착성 조성물 (P) 로부터 얻어지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점착성 조성물 (P) 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점착성 조성물 (P) 의 가교는, 가열 처리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열 처리는, 점착성 조성물 (P) 의 희석 용제 등을 휘발시킬 때의 건조 처리에서 겸할 수도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obtained from the above-describ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 and is specifically formed by crosslink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 Crosslinking of the adhesive composition (P) can be performed by heat treatment. Note that this heat treatment can also serve as a drying treatment for volatilizing the diluting solvent or the like of the adhesive composition (P).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가열 온도는, 5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 ∼ 1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열 시간은, 30 초 ∼ 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 초 ∼ 2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 후, 필요에 따라, 상온 (예를 들어, 23 ℃, 50 % RH) 에서 1 ∼ 2 주간 정도의 양생 기간을 형성해도 된다. 이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 경과 후,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가열 처리 종료 후, 소정의 물성을 구비한 점착제층이 형성된다.In the case of heat treatment, the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50 to 150°C, particularly preferably 70 to 120°C.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30 second - 10 minutes, and, as for heating tim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0 second - 2 minutes especially. After the heat treatment, a curing period of about 1 to 2 weeks may be provided at normal temperature (for example, 23°C, 50% RH) as needed. When this curing period is required, after the curing period has elapsed, and when the curing period is unnecessary, after the heat treatment is completed, an adhesive layer having predetermined physical properties is formed.

상기의 가열 처리 (및 양생) 에 의해, 가교제 (B) 에 의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가 가교되어, 3차원 메시 구조가 형성된다.By the heat treatment (and curing) described above,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crosslinked with the crosslinking agent (B) to form a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상기 점착제의 가교 정도, 즉 겔분율은, 40 ∼ 9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 ∼ 8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73 ∼ 78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분율이 40 % 이상임으로써, 당해 점착제의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 겔분율이 90 % 이하임으로써, 당해 점착제의 응력 완화성이 보다 양호한 것이 되어, 휨 억제성 및 내열 불균일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점착제의 겔분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at is, the gel fraction, is preferably 40 to 90%, particularly preferably 60 to 85%, and more preferably 73 to 78%. When the gel fraction is 40% or more, the adhesive has more excellent durability. Moreover, when the gel fraction is 90% or less,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ecomes better, and the warpage suppression property and heat resistance nonuniformity become more excellent. In addition, the measuring method of the gel fraction of an adhesive is as showing in the test example mentioned later.

(9) 점착제층의 물성(9)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의 두께는, 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6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5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5 ∼ 3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5 to 100 μm, more preferably 10 to 60 μm,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50 μm, and still more preferably 15 to 30 μm.

점착제층의 헤이즈치 (JIS K7136 : 2000 에 준하여 측정한 값) 는,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치가 2 % 이하이면, 투명성이 매우 높고, 광학 용도로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2 % or less, and, as for the haze value (value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36:2000) of an adhesive layer,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1 % or less. Transparency is very high as haze value is 2 % or less, and it becomes a thing suitable as an optical use.

[광학 필름][Optical Film]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은, 단층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복수층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광학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편광자, 편광판, 위상차판, 위상차판 부착 편광판 등의 복합 편광판, 시야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콘트라스트 향상 필름, 액정 폴리머 필름, 확산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그들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편광자는, 수축하기 쉽고, 치수 변화가 크고, 내구성이 요구되는 관점에서,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광학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특히, 보호층이 박막화된 박형의 편광판, 및 당해 편광판을 사용한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의 수축을 보호층에 의해 억제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열 등에 의해 수축하기 쉽고,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광학 필름으로서 최적이다.The optical film in this embodiment may consist of a single layer or may consist of multiple layers. As the optical film, for example,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plat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such as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plate, a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a luminance enhancing film, a contrast enhancing film, a liquid crystal polymer film, a diffusion film, a transflective film, those A laminated body etc. are mentioned. Among them, the optical film containing the polarizer is preferable as the optical film of the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viewpoint that the polarizer contracts easily, has a large dimensional change, and requires durability. In particular, a thin polarizing plate having a thin protective layer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the polarizing plate are easily contracted by heat or the like because the protective layer suppresses shrinkage of the polarizer. It is most suitable as an optical film of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여기서,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은,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 필름의 당해 개소에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광학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필름 두께의 박막화가 가능해진다. 광학 필름이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당해 광학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의 단층으로 이루어진다. 광학 필름이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점착제층과 접하는 최표층은, 압출 성형을 거쳐 형성된 아크릴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와 종래 공지된 점착제층은 밀착성이 낮고, 내구성도 낮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의하면, 아크릴계 수지에 대해서도 접착력이 높고, 또한 응력 완화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고온 조건하, 습열 조건하, 히트 쇼크하 등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압출 성형을 거쳐 형성된 아크릴계 수지층」에는, 압출 성형 후, 연신 처리를 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층도 포함된다.Here,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optical film is constituted by an acrylic resin. By using an acrylic resin at the location of the optical film, the film thickness can be reduced without impairing the prescribed optical performance. When an optical film consists of a single layer, the said optical film consists of a single layer of acrylic resin. When the optical film consists of a plurality of lay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most layer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sists of an acrylic resin layer formed through extrusion molding. These acrylic resins and conventionally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had low adhesion and low durability.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force is high also to the acrylic resin, and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is excellent. Therefore, it is excellent in durability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under moist heat conditions, under heat shock,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crylic resin layer formed through extrusion molding" also includes an acrylic resin layer obtained by performing an stretching treatment after extrusion molding.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은, 적어도, 아크릴계 수지층과 위상차 발현층을 갖는 위상차판을 구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위상차 발현층은, 박막화와 위상차 발현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위상차판은, 상기 위상차 발현층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수지층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 제2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아크릴계 수지층과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발현층을 가짐으로써, 나아가서는 제2 아크릴계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 특히 IPS (In-Place-Switching)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우수한 시야각 보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 optical film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an acrylic resin layer and a phase difference plate having a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and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is a styrenic resin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thin film and phase difference expression compatible.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etardation plate has a 2nd acrylic resin layer on the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acrylic resin layer side in the said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In this way, by having an acrylic resin layer and a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composed of a styrene resin, and further having a second acrylic resin layer,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rticularly an IPS (In-Place-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xcellent viewing angle compensation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상기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는, 제2 위상차판이 더욱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위상차판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 위상차판을 가짐으로써, 나아가서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판을 가짐으로써, 시야각 보상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retardation plate is further laminated on a side of the retardation plat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is preferably made of a cycloolefin-based resin. By having such a 2nd retardation plate and by extension having the 2nd retardation plate which consists of cycloolefin type-resin, the viewing angle compensation performance becomes a thing more excellent.

또, 상기 제2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상기 위상차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는, 편광판이 더욱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매우 우수한 시야각 보상 성능을 갖는 복합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olarizing plate is further laminated on a side of a surface of the second retardation film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Thus,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very good viewing angle compensation performance can be provided.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구체예][Specific examples of optical films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1. 광학 필름이 편광판인 예1. Example where the optical film is a polarizer

광학 필름이 편광판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일례를,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은, 편광판 (2A) 과, 편광판 (2A) 의 한쪽의 면 (도 1 에서는 하측의 면) 에 적층된 점착제층 (1)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점착제층 (1) 에 있어서의 편광판 (2A)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이 사용될 때까지, 박리 시트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An example of the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case where the optical film is a polarizing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As shown in FIG. 1, the optical film 10A wit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olarizing plate 2A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one surface (the lower surface in FIG. 1) of the polarizing plate 2A ( 1).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eeling sheet may be laminated|stacked o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olarizing plate 2A side in the adhesive layer 1 until 10 A of optical films with an adhesive layer are used.

점착제층 (1) 은, 전술한 점착성 조성물 (P) 로부터 얻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진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is compos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 described abov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광판 (2A) 은, 편광자 (21) 와, 편광자 (21) 의 한쪽의 면 (도 1 에서는 상측의 면) 에 적층된 제1 보호층 (22) 과, 편광자 (21) 의 다른쪽의 면 (도 1 에서는 하측의 면) 에 적층된 제2 보호층 (23)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편광자 (21) 와 제1 보호층 (22) 사이 및/또는 편광자 (21) 와 제2 보호층 (23)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The polarizing plate 2A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arizer 21, a first protective layer 22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21 (an upper surface in FIG. 1), and a polarizer 21 It is constituted by providing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laminated on the other side (the lower side in FIG. 1) of the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n adhesive bond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er 21 and the 1st protective layer 22 and/or between the polarizer 21 and the 2nd protective layer 23.

(1) 편광자(1) Polarizer

편광자 (21) 는,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er 21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편광자 (21) 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er 21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is. As another monomer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 100 몰%, 바람직하게는 98 ∼ 100 몰% 의 범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또한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 5,000 의 범위이다.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to 100 mol%.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further modified, an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and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can be use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in the range of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상기와 같은 편광자 (21)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바람직하게 제조된다.The polarizer 21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 step of dye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adsorbing the dichroic dye, and adsorption of the dichroic dye. It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passing through a step of treat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1축 연신은,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에 실시해도 되고,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과 동시에 실시해도 되고,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에 실시해도 된다. 1축 연신을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에 실시하는 경우, 이 1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실시해도 되고, 붕산 처리 중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물론,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1축 연신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축 연신하려면,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1축으로 연신해도 되고, 열롤을 사용하여 1축으로 연신해도 된다. 또, 대기중에서 연신을 실시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되고, 용제에 의해 팽윤한 상태에서 연신을 실시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된다. 연신 배율은, 통상 4 ∼ 8 배 정도이다.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efore dyeing with the dichroic dye,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dyeing with the dichroic dye, or may be performed after dyeing with the dichroic dye. When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after dyeing with a dichroic dye, this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efore boric acid treatment or may be performed during boric acid treatment. Furth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uniaxial stretching in these plurality of steps. In order to uniaxially stretch, you may stretch uniaxially between rolls with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or you may stretch uniaxially using a hot roll. Further, dry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air may be used, or wet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state swollen with a solvent may be used. A draw ratio is about 4 to 8 times normally.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려면,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하면 된다. 2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 또는 2색성 유기 염료가 사용된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immerse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dye, in order to dye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for example. As the dichroic dye, iodine or dichroic organic dye is specifically used.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01 ∼ 0.5 질량부 정도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5 ∼ 10 질량부 정도이다. 이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 40 ℃ 정도이고, 또, 이 수용액에 대한 침지 시간 (염색 시간) 은, 통상 30 ∼ 300 초 정도이다.When using iodine as a dichroic dye, a method of dyeing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is usually adopted. The content of iodin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0.01 to 0.5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and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s usually about 0.5 to 1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The temperature of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20 to 40°C, and the immersion time (dyeing tim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30 to 300 seconds.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붕산 처리는,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실시된다. 붕산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2 ∼ 15 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5 ∼ 12 질량부 정도이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붕산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2 ∼ 20 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5 ∼ 15 질량부이다.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 시간은, 통상 100 ∼ 1,200 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 ∼ 600 초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400 초 정도이다. 붕산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85 ℃ 이다.The boric acid treatment after dyeing with the dichroic dye is performed by immers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boric acid aqueous solution. The content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usually about 2 to 15 parts by mass, preferably about 5 to 12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When using iodine as a dichroic dye, it is preferable that this boric acid aqueous solution contains potassium iodide.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usually about 2 to 20 parts by mass, preferably 5 to 15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The immersion time in the boric acid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100 to 1,200 seconds, preferably about 150 to 600 seconds, and more preferably about 200 to 400 seconds. The temperature of the boric acid aqueous solution is usually 50°C or higher, preferably 50 to 85°C.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를 들어,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실시된다. 수세 후에는 건조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자 (21) 가 얻어진다. 수세 처리에 있어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 ∼ 40 ℃ 정도이고, 침지 시간은, 통상 2 ∼ 120 초 정도이다. 그 후에 실시되는 건조 처리는 통상,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건조 온도는, 통상 40 ∼ 100 ℃ 이다. 또, 건조 처리의 시간은, 통상 120 ∼ 600 초 정도이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boric acid treatment is usually washed with water. The water washing treatment is performed by, for example,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reated with boric acid in water. After water washing, 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polarizer 21 is obtained.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water washing treatment is usually about 5 to 40°C, and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about 2 to 120 seconds. The drying treatment performed thereafter is usually performed using a hot air dryer or a far-infrared heater. Drying temperature is 40-100 degreeC normally. Moreover, the time of a drying process is about 120 to 600 second normally.

편광자 (21) 의 두께는, 3 ∼ 5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박막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3 ∼ 1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21 is preferably about 3 to 50 μm, and particularly when thinning is required, it is preferably about 3 to 15 μm.

(2) 보호층(2) protective layer

제1 보호층 (22) 및 제2 보호층 (23) (이하 총칭하여 「보호층 (22, 23)」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은, 투명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 (22, 23) 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은, 연신되어 있지 않은 필름, 또는, 1축 혹은 2축 연신된 필름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protective layer 22 and the 2nd protective layer 23 (it may be generically called "protective layers 22 and 23" below) consist of a transparent resin film. The transparent resin film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may be either an unstretched film or a uniaxially or biaxially stretched film.

제1 보호층 (22) 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의 주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이다. 제1 보호층 (22) 은, 상기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component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constituting the first protective layer 22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based resins, polycarbonate-based resins, acrylic resins, amorphous polyolefin-based resins, and cellulose-based resins. It is one type of resin.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protective layer 22 consists of a cellulose-type resin among the above.

셀룰로오스계 수지로는, 셀룰로오스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적어도 일부가 아세트산에스테르화되어 있는 수지이고, 일부가 아세트산에스테르화되고, 일부가 다른 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혼합 에스테르여도 된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이다.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의 구체예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후지 필름 (주) 제조의 “후지탁 TD80”, “후지탁 TD80UF” 및 “후지탁 TD80UZ”,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 제조의 “KC8UX2M”, “KC2UA”, 및 “KC8UY” 등을 들 수 있다.The cellulose-based resin may be a resin in which at least one part of the hydroxyl group in the cellulose is acetic acid esterified, a mixed ester in which one part is acetic acid esterified and one part is esterified with another acid. The cellulose-based resin is preferably a cellulose ester-based resin, and more preferably an acetyl cellulose-based resin. Specific examples of the acetyl cellulose-based resin include triacetyl cellulose, diacetyl cellulos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nd cellulose acetate butylate.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films made of such an acetyl cellulose resin include “Fujitac TD80”, “Fujitac TD80UF” and “Fujitac TD80UZ” manufactured by Fujifilm Co., Ltd.,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o Co., Ltd. "KC8UX2M", "KC2UA", and "KC8UY" of

광학 보상 기능이 부여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수지에 위상차 조정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시킨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표면에 위상차 조정 기능을 갖는 화합물이 도포된 것,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광학 보상 필름의 예를 들면, 후지 필름 (주) 제조의 “와이드뷰 필름 WV BZ 438” 및 “와이드뷰 필름 WV EA”,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 제조의 “KC4FR-1” 및 “KC4HR-1” 등이 있다.A cellulose-based resin film endowed with an optical compensation function may also be used. As such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for example, a film in which a compound having a retardation adjusting function is incorporated into a cellulose resin, a compound having a retardation adjusting function applied to the surface of a cellulose resin, and a uniaxial or biaxial cellulose resin and films obtained by stretching.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cellulose-based resin optical compensation films include "Wideview Film WV BZ 438" and "Wideview Film WV EA" manufactured by Fujifilm Co., Ltd., and "KC4FR-"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o Co., Ltd. 1” and “KC4HR-1”.

제1 보호층 (22) 은,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중에서도,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mong the above cellulose resins, the first protective layer 22 is more preferably made of a cellulose ester type resin, particularly preferably made of an acetyl cellulose type resin, and still more preferably made of a triacetyl cellulose.

한편, 제2 보호층 (23) 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의 주성분은, 아크릴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제2 보호층 (23) 은, 편광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박막화가 용이한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보호층 (23) 에 접하는 점착제층이 종래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에서는, 점착제 중의 저분자량 성분이 빨려나가, 제2 보호층 (23) 과 점착제층의 계면의 밀착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성 조성물 (P) 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 (1) 이면, 점착력이 불충분해지지 않을 정도로 높은 유리 전이 온도 (Tg) 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를 사용함과 함께,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을 5 질량%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점착제층 (1) 으로부터 제2 보호층 (23) 으로의 저분자량 성분의 흡인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점착제층 (1) 은, 제2 보호층 (23) 에 대한 밀착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당해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은, 고온 조건하, 습열 조건하, 히트 쇼크하 등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mponent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constituting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is preferably an acrylic resin. In particular,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does not impair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is easily thinned from the viewpoint of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n acrylic resin. In this case, in the layer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is made of a conventional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e sucked out, and the adhesivenes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reduced. will make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so high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not insufficient is used. In addition, by suppressing 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to 5% by mass or less, the suction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to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s a result, the adhesive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to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is increased. Therefore, 10 A of said optical films with an adhesive layer become what was excellent in durability also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under wet heat conditions, under heat shock, etc.

제2 보호층 (23) 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수지로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된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소량의 다른 코모노머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공중합체는, 통상, 메타크릴산메틸 및 아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단관능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연쇄 이동제의 공존하에 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또, 아크릴계 수지는, 제3 단관능 단량체를 공중합시킬 수 있다.The acrylic resin forming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is preferably a polymer 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as a main monom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copolymer in which a small amount of other comonomer components are copolymerized. This copolymer can usually be obtained by polymerizing monofunctional monomers containing methyl methacrylate and methyl acrylate in the presence of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chain transfer agent. Moreover, acrylic resin can copolymerize a 3rd monofunctional monomer.

메타크릴산메틸 및 아크릴산메틸과 공중합할 수 있는 제3 단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벤질,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및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등의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류;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벤질, 아크릴산2-에틸헥실, 및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2-(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2-(1-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메틸, 2-(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산에틸, 및 2-(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산부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아크릴산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산류; 클로로스티렌 및 브로모스티렌 등의 할로겐화스티렌류; 비닐톨루엔 및 α-메틸스티렌 등의 치환 스티렌류;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무수 말레산 및 무수 시트라콘산 등의 불포화 산무수물류; 페닐말레이미드 및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불포화 이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상이한 복수종이 병용되어도 된다.Examples of the third monofunctional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methyl methacrylate and methyl acrylate includ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phenyl methacrylate, benz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s other than methyl methacrylate, such as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2-hydroxyethyl methacrylate; acrylic esters such as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phenyl acrylate, benz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and 2-hydroxyethyl acrylate; Hydroxyalkyl acrylate esters such as 2-(hydroxymethyl)methyl acrylate, 2-(1-hydroxyethyl)methyl acrylate, 2-(hydroxymethyl)ethyl acrylate, and 2-(hydroxymethyl)butyl acrylate ; unsaturated acids such as methacrylic acid and acrylic acid; halogenated styrenes such as chlorostyrene and bromostyrene; substituted styrenes such as vinyltoluene and α-methylstyrene;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unsaturated acid anhydrides such as maleic anhydride and citraconic anhydride; and unsaturated imides such as phenyl maleimide and cyclohexyl maleimide.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and different multiple types may be used together.

다관능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경우, 메타크릴산메틸 및 아크릴산메틸에 공중합할 수 있는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올리고머의 양말단 수산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그 올리고머의 양말단 수산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가 알코올의 수산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 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또는 이들의 할로겐 치환체의 양말단 수산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을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그리고 이들 말단 수산기에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를 개환 부가시킨 것; 숙신산,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들의 할로겐 치환체 등의 이염기산, 및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에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를 개환 부가시킨 것; 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의 방향족 디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When copolymerizing a polyfunctional monomer,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methyl methacrylate and methyl acrylate includ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 Both ends of ethylene glycol such as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non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tetradec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oligomers thereof What esterified a hydroxyl group with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What esterified the hydroxyl groups of both ends of propylene glycol or its oligomer with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What esterified the hydroxyl group of dihydric alcohols, such as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hexanediol di(meth)acrylate, and butanediol di(meth)acrylate, with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bisphenol A, alkylene oxide adducts of bisphenol A, or those obtained by esterifying the hydroxyl groups at both terminals of halogen-substituted products thereof with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those obtained by esterifying polyhydric alcohols such as trimethylolpropane and pentaerythritol with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and ring-opening additions of epoxy groups of glycidyl acrylate or glycidyl methacrylate to these terminal hydroxyl groups; dibasic acids such as succinic acid, adipic acid, terephthalic acid, phthalic acid, halogen-substituted products thereof, and alkylene oxide adducts thereof with ring-opening addition of an epoxy group of glycidyl acrylate or glycidyl methacrylate; aryl (meth)acrylate; Aromatic divinyl compounds, such as divinylbenzene, etc. are mentioned. Among them,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are preferably used.

이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수지는, 또한, 공중합체가 갖는 관능기 사이의 반응을 실시하여, 변성된 것이어도 된다. 그 반응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의 메틸에스테르기와 2-(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의 수산기의 고분자 사슬 내 탈메탄올 축합 반응, 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와 2-(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의 수산기의 고분자 사슬 내 탈수 축합 반응 등을 들 수 있다.The acrylic resin having such a composition may also be modified by performing a reaction between the functional groups of the copolymer. Examples of the reaction include a demethanol condensation reaction in the polymer chain between the methyl ester group of methyl acrylate and the hydroxyl group of 2-(hydroxymethyl)methyl acrylate, the carboxyl group of acrylic acid and the hydroxyl group of 2-(hydroxymethyl)methyl acrylate.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in the polymer chain of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80 ∼ 12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통상, 메타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와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의 중합비, 각각의 에스테르기의 탄소 사슬 길이 및 그 갖는 관능기의 종류, 그리고 단량체 전체에 대한 다관능 아크릴 단량체의 중합비를 적절히 선택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ang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aid acrylic resin is 80-120 degreeC. In order to adjus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acrylic resin to the above range, usually, the polymerization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the acrylic acid ester monomer, the carbon chain length of each ester group and the kind of functional group it has, and the monomer A method of appropriately selecting the polymerization ratio of the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with respect to the whole, and the like are employed.

아크릴계 수지는, 필요에 따라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공지된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활제, 블로킹 방지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내충격성 개량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단, 편광자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으로서 투명성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이들 첨가제의 양은 최소한에 그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Acrylic resin may contain a well-known additive as needed. Examples of known additives include lubricants, antiblocking agents, hea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static agents, light resistance agents, impact resistance modifiers, and surfactants. However, since transparency is required as a protective film laminated on a polarizer,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amount of these additives to a minimum.

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용융 유연법, T 다이법이나 인플레이션법과 같은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등,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원료 수지를, 예를 들어 T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하고, 얻어지는 필름 형상물의 적어도 편면을 롤 또는 벨트에 접촉시켜 제막하는 방법은, 표면 성상이 양호한 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As a method for producing the acrylic resin film, any method such as a melt casting method, a melt extrusion method such as a T-die method or an inflation method, or a calendering method may be used. Among them, a method in which raw resin is melt-extruded from a T-die,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obtained film-like materi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roll or belt to form a film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film with good surface properties.

아크릴계 수지는, 필름에 대한 제막성이나 필름의 내충격성 등의 관점에서, 충격성 개량제인 아크릴계 고무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아크릴계 고무 입자란,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입자이며, 이 탄성 중합체를 균질로 입자 형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나, 이 탄성 중합체를 1개의 층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The acrylic resin may contain acrylic rubber particles as an impact improving ag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film forming property of the film an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film. The acrylic rubber particles as used herein are particles containing an acrylic acid ester-based elastic polymer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those having a homogeneous particle form with this elastic polymer or thos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with one layer of this elastic polymer are mentioned. can

이러한 탄성 중합체의 예로서, 알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가교 탄성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탄성 중합체의 주성분이 되는 알킬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8 정도인 것을 들 수 있고, 특히 탄소수 4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알킬아크릴레이트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 모노머로는,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1개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시안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가교성 모노머로는,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적어도 2개 갖는 가교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의 알케닐에스테르,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n elastic polymer, the crosslinked elastic copolymer which has alkyl acrylate as a main component and copolymerized another vinyl monomer and a crosslinkable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is is mentioned. Examples of the alkyl acrylate serving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elastomer inclu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and the like, in which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is about 1 to 8, In particular, acrylates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are preferably used. Other vinyl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is alkyl acrylate include compounds having on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 the molecule, more specifically,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styrene, etc. aromatic vinyl compounds of , vinyl cyan compounds such as acrylonitrile, and the like. Further, examples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nclude crosslinkabl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more specifically,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butanedioldi(meth)acrylate (meth)acrylates of polyhydric alcohols such as late, alkenyl esters of (meth)acrylic acid such as allyl (meth)acrylate, and divinylbenzene.

또한, 고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적층물을, 보호층 (22, 23) 으로 할 수도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각각 상품명으로, 스미펙스 (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 아크리펫트 (미츠비시 레이온 (주) 제조), 데르펫트 (아사히 카세이 (주) 제조), 파라펫트 ((주) 쿠라레 제조), 아크리뷰아 ((주) 닛폰 쇼쿠바이 제조) 등을 들 수 있다.Further, a laminate of a film made of acrylic resin not containing rubber particles and a film made of acrylic resin containing rubber particles can also be used as 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 Acrylic resins can be easily obtained commercially, for example, as trade names, respectively, Smipex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Acripet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Derpet (Asahi Kasei Co., Ltd.) (manufactured by Co., Ltd.), Parapet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Ac Reviewa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Co., Ltd.), and the like.

보호층 (22, 23) 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층을 액정 셀의 시인측에 배치함으로써, 액정 셀을 자외선에 의한 열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may contain a ultraviolet absorber. It is because the liquid crystal cell can be protected from deterioration by ultraviolet rays by disposing the protective layer containing a ultraviolet absorber on the visibl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여기서, 제1 보호층 (22) 및 제2 보호층 (23) 은, 동일한 종류의 투명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상이한 종류의 투명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져도 된다.Here, the 1st protective layer 22 and the 2nd protective layer 23 may consist of the same type of transparent resin film, or may consist of different types of transparent resin films.

보호층 (22, 23) 은, 편광자 (21) 에 대한 첩합에 앞서, 첩합면에, 비누화 처리, 코로나 처리, 프라이머 처리, 앵커 코팅 처리 등의 용이 접착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또, 보호층 (22, 23) 의 편광자 (21) 에 대한 첩합면과 반대측의 표면에는,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등의 각종 처리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Prior to bonding to the polarizer 21, 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may be subjected to easy adhesion treatment such as saponification treatment, corona treatment, priming treatment, anchor coating treatment, etc. on the bonding surface. Moreover, you may have various processing layers, such as a hard-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anti-glar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opposite to the bonding surface with respect to the polarizer 21.

보호층 (22, 23) 의 두께는, 통상 5 ∼ 200 ㎛ 정도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1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8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 이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is usually in the range of about 5 to 200 μm, preferably 10 to 120 μm,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85 μm,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to 30 μm.

(3) 접착제층(3) adhesive layer

편광자 (21) 와 제1 보호층 (22) 사이 및/또는 편광자 (21) 와 제2 보호층 (23)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도 되는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는, 피착체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 적당히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제형 접착제, 에멀전형 접착제, 수계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재습성 접착제, 중축합형 접착제, 무용제형 접착제, 필름 형상 접착제, 핫멜트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As an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tha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er 21 and the first protective layer 22 and/or between the polarizer 21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depending on the type and purpose of the adherend Accordingly, an appropriate one can be used appropriately. Examples thereof include solvent-type adhesives, emulsion-type adhesives, water-based adhesives, pressure-sensitive adhesives, rewritable adhesives, polycondensation-type adhesives, solvent-free adhesives, film adhesives, and hot-melt adhesives.

상기 접착제를 구성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이고, 그 대표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수계 접착제가 될 수 있는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주) 쿠라레 제조의 「KL-318」 등이 있다.One preferabl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is a water-based adhesive, and a typical example thereof is one hav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Commercially availabl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that can be used as water-based adhesives include, for example, "KL-318"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상기 수계 접착제는,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아민 화합물, 알데히드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가 금속염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폭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글리옥살이나, 스미카 켐텍스 (주) 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수용성 에폭시 화합물의 수용액인 「스미레이즈 레진 650 (30)」 등이 있다.The water-based adhesive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As a crosslinking agent, an amine compound, an aldehyde compound, a methylol compound, an epoxy compound, an isocyanate compound, a polyvalent metal salt, etc. are preferable, and an epoxy compound is especially preferabl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for example, glyoxal and "Sumilaze Resin 650 (30)" which is an aqueous solution of a water-soluble epoxy compound sold from Sumica Chemtex Co., Ltd.

다른 바람직한 접착제로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에폭시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당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필름 사이의 접착은, 필름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제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가열하여, 접착제에 함유되는 경화성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는,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의 카티온 중합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란,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As another preferred adhesive, an adhesive composed of an epoxy-base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resin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or heating is exemplified. In the case of using the adhesive, adhesion between films can be performed by curing the curable epoxy resin contained in the adhesive by irradiating an active energy ray or heating the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lms. Curing of the epoxy resin by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or heating is preferably performed by cationic polymerization of the epoxy resi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 epoxy resin means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a molecule.

내후성, 굴절률, 카티온 중합성 등의 관점에서, 접착제인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방향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로서, 수소화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From the viewpoints of weather resistance, refractive index, cationic polymerization and the like, the epoxy resin contained in the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 as an adhesive is preferably an epoxy resin containing no aromatic ring in its molecule. As such an epoxy resin, a hydrogenated epoxy resin, an alicyclic epoxy resin, an aliphatic epoxy resin, etc. can be illustrated.

(4) 편광판의 제조 방법(4)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편광판 (2A) 의 제조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일례로서, 상기 접착제로서 수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Manufacture of 2 A of polarizing plates can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Hereinafter, as an example, a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of using a water-based adhesive as the adhesive is described.

처음에, 편광자 (21) 의 첩합면 또는 보호층 (22, 23) 의 첩합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접착제층의 형성에는,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편광자 (21) 와 보호층 (22, 23) 을 양자의 첩합면이 내측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그 사이에 접착제를 유연시키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를 도공했으면, 필요에 따라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접착제층을 건조시킨다.Initially, an adhesive bond layer is formed in the bonding surface of the polarizer 21 or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For formation of the adhesive layer, for example, a bar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blad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or the like can be used. Moreover, the method of casting an adhesive agent in between is also employable, supplying continuously the polarizer 21 and 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so that both bonding surfaces may become inside. After the adhesive has been applied,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s necessary to evaporate moisture and the adhesive layer is dried.

접착제층의 막두께는, 편광판 (2A) 의 특성 설계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접착제 재료비 저감의 관점에서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첩합시의 기포나 이물질 등의 결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큰 것이 바람직하고, 밀착성,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피착체와 접착제의 조합마다 정해지는 최적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0.005 ∼ 10 ㎛, 바람직하게는 0.01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1 ㎛ 이다.The film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set arbitrarily by desig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2A, but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adhesive material cost, a small one is preferable, a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defects such as bubbles and foreign matter during bonding, a large one Preferably, 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and durability,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within an optimum range determined for each combination of adherend and adhesive. It is generally 0.005 to 10 μm, preferably 0.01 to 5 μm, and more preferably 0.03 to 1 μm.

편광자 (21) 와 보호층 (22, 23) 을 접착함에 있어, 양자의 첩합면의 일방 또는 쌍방에는, 접착제의 도포층을 형성하기 전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프라이머 처리, 앵커 코팅 처리와 같은 용이 접착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In adhering the polarizer 21 and the protective layers 22 and 23,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flame treatment, priming, anchoring, before forming the application layer of the adhesive agent on one or both of the bonding surfaces of both An easy adhesion treatment such as a coat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상기와 같이 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했으면, 당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제1 보호층 (22) 을 편광자 (21) 의 한쪽의 면에 첩합함과 함께, 제2 보호층 (23) 을 편광자 (21) 의 다른쪽의 면에 첩합한다. 이로써, 제1 보호층 (22), 편광자 (21) 및 제2 보호층 (23) 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 (2A) 이 얻어진다.Whe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tective layer 22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21 through th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is attached to the polarizer 21 ) is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reby, 2 A of polarizing plates formed by laminating|stacking the 1st protective layer 22, the polarizer 21, and the 2nd protective layer 23 are obtained.

편광판 (2A) 의 총두께는, 통상 15 ∼ 400 ㎛ 정도이고, 모바일 용도에서의 박형화 요구에 대응하면서 편광 성능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20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8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2A is usually about 15 to 400 μm, preferably 20 to 100 μm, and particularly 30 to 80 μm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polarization performance while meeting the demand for thinning in mobile applications. desirable.

(5)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5) Manufacturing method of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예로는, 처음에, 점착성 조성물 (P) 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박리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조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점착제층의 양면에 박리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것으로 한다.A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10A, the adhesive sheet formed by laminating|stacking a peeling sheet on the single side|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layer formed from adhesive composition (P) is manufactured first. Here, as an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med by laminating release sheets on both surfac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anufactured.

박리 시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필름, 이오노머 수지 필름,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 이들의 가교 필름도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Examples of the release sheet include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a polybutene film, a polybutadiene film, a polymethylpentene film, a polyvinyl chloride film, a vinyl chloride copolymer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lm, polyurethane film, ethylene vinyl acetate film, ionomer resin film,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film, ethylene/(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film, polystyrene film, polycarbonate film, polyimide A film, a fluororesin film, or the like is used. Moreover, these crosslinked films are also used. Moreover, these laminated|multilayer films may be sufficient.

상기 박리 시트의 적어도 한쪽의 면 (특히 점착제층과 접하는 박리면) 에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처리에 사용되는 박리제로는, 예를 들어,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왁스계의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이란, 박리 시트에 있어서 박리성을 갖는 면을 말하며, 박리 처리를 실시한 면 및 박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박리성을 나타내는 면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particularly, a releas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subjected to a release treatment. Examples of the release agent used in the release treatment include alkyd, silicone, fluorine, unsaturated polyester, polyolefin, and wax release agents. In addition, the release surface of a release sheet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 surface which has release property in a release sheet, and includes both the surface on which the release process was performed and the surface which exhibits release property even without the release process.

점착제층의 양면에 박리 시트를 적층하는 경우, 한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큰 중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고, 한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작은 경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release sheet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one release sheet is a heavy release type release sheet having a large release force and the other release sheet is a light release type release sheet having a small release force.

박리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 ∼ 150 ㎛ 정도이다.The thickness of the releas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about 20 to 150 μm.

상기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는, 박리 시트의 박리면에,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원하는 바에 따라, 그 도포막에 다른 박리 시트 (박리면이 도포막에 접하도록) 또는 기재를 적층한다. 상기 도포막은,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점착제층이 되고,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 경과 후에 점착제층이 된다. 가열 처리 및 양생의 조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In one example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 coating solu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P) is applied to the release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and a coating film is formed by heat treatment. A release sheet (so that the releas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ating film) or a substrate is laminated. When the curing period is unnecessary, the coating film becomes an adhesive layer as it is, and when a curing period is required, it becomes an adhesive layer after the curing period has elapsed. Heat treatment and curing conditions are as described above.

상기 도포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As a method of applying the coating solution, for example, a bar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blad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or the like can be used.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한쪽의 박리 시트 (경박리형 박리 시트) 를 박리한다. 그리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편광판 (2A) 의 제2 보호층 (23) 을 중첩시키고, 점착 시트와 편광판 (2A) 을 압착한다. 이로써,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박리 시트 부착) 이 얻어진다.One release sheet (light release type release sheet) is peeled from the adhesive sheet obtained in the above manner. The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of the polarizing plate 2A is overlaid on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polarizing plate 2A are pressed. Thereby, the said optical film 10A with an adhesive layer (with a release sheet) is obtained.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로는, 박리 시트의 박리면에, 전술한 점착성 조성물 (P) 을 포함하는 용액 (도포 용액) 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그 도포막에 편광판 (2A) 의 제2 보호층 (23) 을 중첩시킨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을 둠으로써,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 도포막이 점착제층 (1) 이 된다. 이로써,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박리 시트 부착) 이 얻어진다.In another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10A, a solution (coating solution)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adhesive composition (P) is applied to a release surface of a release sheet, and a coating film is formed by heat treatment. After that,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3 of the polarizing plate 2A is overlaid on the coated film. When a curing period is required, a curing period is provided, and when a curing period is unnecessary, the coating film become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as it is. Thereby, the said optical film 10A with an adhesive layer (with a release sheet) is obtained.

2. 광학 필름이 복합 편광판인 예2. Example in which the optical film is a composite polarizer

광학 필름이 위상차판을 갖는 복합 편광판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일례를,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B) 은, 복합 편광판 (2B) 과, 복합 편광판 (2B) 의 한쪽의 면 (도 2 에서는 하측의 면) 에 적층된 점착제층 (1)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점착제층 (1) 에 있어서의 복합 편광판 (2B)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B) 이 사용될 때까지, 박리 시트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An example of the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case where the optical film is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a retardation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As shown in FIG. 2 , the optical film 10B wit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and an adhesive laminated on one surface (the lower surface in FIG. 2 )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It is constituted with layer (1).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eeling sheet may be laminated|stacked o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side in the adhesive layer 1 until the optical film 10B with an adhesive layer is used.

점착제층 (1) 은, 전술한 점착성 조성물 (P) 로부터 얻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진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is compos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 described abov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합 편광판 (2B) 은, 점착제층 (1) 과 접촉하는 제1 위상차판 (24) 과, 제1 위상차판 (24)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1)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위상차판 (25) 과, 제1 위상차판 (24) 및 제2 위상차판 (25) 사이에 개재하는 제2 점착제층 (26) 과, 제2 위상차판 (25) 에 있어서의 제2 점착제층 (26) 측과는 반대측에 적층된 편광자 (21) 와, 편광자 (21) 에 있어서의 제2 위상차판 (25) 측과는 반대측에 적층된 보호층 (27)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편광자 (21) 와 보호층 (27) 사이 및/또는 편광자 (21) 와 제2 위상차판 (25)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복합 편광판 (2B) 은, 시야각 보상의 성능을 양호하게 발휘한다.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and the side opposit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side i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positioned thereon,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larizer 21 lamin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side and a protective layer 27 lamin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side in the polarizer 21. . Although not shown, an adhes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er 21 and the protective layer 27 and/or between the polarizer 21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 This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satisfactorily exhibits viewing angle compensation performance.

(1) 제1 위상차판(1) First retardation plate

제1 위상차판 (24) 은, 위상차를 발현하는 단층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위상차 발현층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이 제1 위상차판 (24) 은, 바람직하게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 발현층 (242) 과, 위상차 발현층 (242) 의 한쪽의 면 (도 3 에서는 하측의 면) 에 적층된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과, 위상차 발현층 (242) 의 다른쪽의 면 (도 3 에서는 상측의 면) 에 적층된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위상차 발현층 (242) 은, 고유 복굴절률이 부 (負) 이고, 박막화가 용이한 관점에서,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과,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발현층 (242) 과,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제1 위상차판 (24) 을 갖는 복합 편광판 (2B) 은, 액정 표시 장치, 특히 IPS (In-Place-Switching) 모드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 보상의 성능이 우수하다. 또, 위상차 발현층 (242) 은, 그 양면에 존재하는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에 보호되기 때문에, 제1 위상차판 (24) 은, 위상차 발현층 (242) 의 광학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며, 또한 기계 강도나 내약품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may consist of a single layer that exhibits a phase difference, or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This first retardation plate 24 is preferably laminated on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and one surface of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the lower surface in FIG. 3 ), as shown in FIG. 3 . It is comprised by providing the 1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2nd acrylic resin layer 243 laminated|stacked on the other surface (upper surface in FIG. 3) of the retardation expression layer 242.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has a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and is preferably made of a styrenic resin from the viewpoint of easy thinning. Thus,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having a first retardation plate 24 comprising a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242 made of styrene resin, and a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2B) is excellent in the performance of viewing angle compens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specially an IPS (In-Place-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is protected by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present on both surfaces there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plate 24 is a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 242) does not impair the optical performance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chemical resistance.

또, 제1 위상차판 (24) 에 있어서 점착제층 (1) 에 접하는 층이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인 경우,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에 접하는 점착제층이 종래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에서는, 점착제 중의 저분자량 성분이 빨려나가,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과 점착제층의 계면의 밀착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성 조성물 (P) 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 (1) 이면, 점착력이 불충분해지지 않을 정도로 높은 유리 전이 온도 (Tg) 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를 사용함과 함께,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을 5 질량%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점착제층 (1) 으로부터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으로의 저분자량 성분의 흡인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점착제층 (1) 은, 제1 위상차판 (24) 에 대한 밀착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당해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B) 은, 고온 조건하, 습열 조건하, 히트 쇼크하 등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In addition, when the layer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i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is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is a conventional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the layer formed,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e sucked out, and the adhesivenes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reduc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so high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not insufficient is used. In addition, by suppressing 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to 5% by mass or less, the suction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to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In this way, the adhesive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to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is increased. Therefore, the said optical film 10B with an adhesive layer becomes what was excellent in durability also under high-temperature conditions, under moist-heat conditions, under heat shock, etc.

또한, 제1 위상차판 (24) 은, 연신에 의해 면내 리타데이션이 부여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시야각 보상의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is one to which in-plane retardation is imparted by stretching. This makes the performance of viewing angle compensation more excellent.

위상차 발현층 (242) 을 구성하는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와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의, 2원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스티렌 유도체란, 스티렌에 다른 기가 결합한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과 같은 알킬스티렌이나, 하이드록시스티렌, tert-부톡시스티렌, 비닐벤조산, o-클로로스티렌, p-클로로스티렌과 같은, 스티렌의 벤젠 핵에 수산기,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등이 도입된 치환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The styrene resin constituting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may be a homopolymer of styrene or a derivative thereof, or a binary or higher copolymer of styren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nother copolymerizable monomer. A styrene derivative is a compound in which another group is bonded to styrene, for example, an alkyl such as o-methylstyrene, m-methylstyrene, p-methylstyrene, 2,4-dimethylstyrene, o-ethylstyrene, or p-ethylstyrene. substituted styrene in which a hydroxyl group, an alkoxy group, a carboxyl group, a halogen, etc. is introduced into the benzene nucleus of styrene, such as styrene, hydroxystyrene, tert-butoxystyrene, vinylbenzoic acid, o-chlorostyrene, and p-chlorostyrene; can

스티렌계 수지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50316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0764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3원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As the styrenic resin, a terpolymer a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50316 or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207640 can also be used.

위상차 발현층 (242) 을 구성하는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아크릴로니트릴, 무수 말레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yrenic resin constituting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is preferably a copolymer of styrene or a styrene derivative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crylonitrile, maleic anhydride, methyl methacrylate and butadiene.

또, 위상차 발현층 (242) 을 구성하는 스티렌계 수지로는, 내열성을 갖는 스티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일반적으로는 100 ℃ 이상이지만,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20 ℃ 이상인 스티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Moreover, as a styrene-type resin which comprises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the styrene-type resin which has heat resistance is preferable. Althoug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 styrenic resin is generally 100°C or higher, a styrenic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120°C or higher is preferred.

위상차 발현층 (242) 의 두께는, 10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발현층 (242) 의 두께가 10 ㎛ 이상임으로써, 연신에 의해 충분한 리타데이션값이 발현된다. 한편, 위상차 발현층 (242) 의 두께가 100 ㎛ 이하이면, 충격 강도가 높고, 또, 외부 응력에 의한 리타데이션 변화가 작고,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였을 때에, 열 불균일 등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is 10-100 micrometers. When the thickness of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is 10 μm or more, a sufficient retardation value is expressed by stretch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is 100 μm or less, the impact strength is high, the retardation change due to external stress is small, and when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eat unevenness or the like does not occur easily.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은, (메트)아크릴계 수지에 고무 입자가 배합되어 있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입자가 배합됨으로써, 아크릴계 수지층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2nd acrylic resin layer 243 consist of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n which rubber particles are mix|blended with (meth)acrylic resin. By blending the rubber particles,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acrylic resin layer can be improved.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에는, 범용의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 중에는, 내충격 (메트)아크릴계 수지라고 불리는 것이나, 주사슬 중에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나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고내열 (메트)아크릴계 수지라고 불리는 것도 포함된다.As (meth)acrylic-type resin, the homopolymer of methacrylic acid alkylester or acrylic acid alkylester, the copolymer of methacrylic acid alkylester and acrylic acid alkylest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and propyl methacrylate. Moreover,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etc. are mentioned as acrylic acid alkylester. What is marketed as a general-purpose (meth)acrylic-type resin can be used for such (meth)acrylic-type resin. Further, (meth)acrylic resins include what are called impact-resistant (meth)acrylic resins and what are called highly heat-resistant (meth)acrylic resins having a glutaric anhydride structure or a lactone ring structure in the main chain.

(메트)아크릴계 수지에 배합되는 고무 입자는, 아크릴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의 고무 입자란, 아크릴산부틸이나 아크릴산2-에틸헥실과 같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다관능 모노머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얻어지는 고무 탄성을 갖는 입자이다.The rubber particles blended with the (meth)acrylic resin are preferably of an acrylic type. Acrylic rubber particles are particles having rubber elasticity obtained by polymerizing an acrylic acid alkyl ester such as butyl acrylate or 2-ethylhexyl acrylate as a main component in the presence of a polyfunctional monomer.

고무 입자는, 고무 탄성을 갖는 재료를 균질로 입자 형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고무 탄성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다층 구조체여도 된다. 다층 구조의 아크릴계 고무 입자로는, 상기와 같은 고무 탄성을 갖는 입자를 핵으로 하고, 그 주위를 경질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계 중합체로 덮은 것, 경질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계 중합체를 핵으로 하고, 그 주위를 상기와 같은 고무 탄성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로 덮은 것, 또 경질의 핵의 주위를 고무 탄성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로 덮고, 더욱 그 주위를 경질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계 중합체로 덮은 것 등을 들 수 있다.The rubber particles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ubber elasticity in the form of homogeneous particles, or may be a multilayer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rubber elastic layer. As the acrylic rubber particles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 particle having rubber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a nucleus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covered with a har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based polymer, and a har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based polymer is used as a nucleus. and covering the periphery with the acrylic polymer having rubber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and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hard core with the acrylic polymer having rubber elasticity, and further covering the periphery with a hard methacrylic acid alkylester-based polymer. etc. can be mentioned.

고무 입자의 평균 직경은, 50 ∼ 400 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입자의 평균 직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average diameter of the rubber particles is preferably about 50 to 400 nm. The average diameter of rubber particles can be measured by a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method.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을 구성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질량부당, 5 ∼ 50 질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rubber particles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is 5 to 5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It is desirable that the degree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을 구성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및 아크릴계 고무 입자가 혼합된 상태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 입자가 배합된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의 시판품의 예로는, 각각 상품명으로, 스미토모 화학 (주) 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HT55X」나 「테크놀로이 S001」 등을 들 수 있다.As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a commercially available mixture of (meth)acrylic resin and acrylic rubber particles can be used. .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meth)acrylic resins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acrylic rubber particles include "HT55X" and "Technoloy S001" sol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under trade names. can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일반적으로는 160 ℃ 이하이지만,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20 ℃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110 ℃ 이하인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즉, 위상차 발현층 (242) 의 유리 전이 온도 (Tg) 와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중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위상차 발현층 (242) 이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 (Tg)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s generally 160°C or lower, but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120°C or lower is preferred, and particularly 110°C or lower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n acrylic resin composition is preferr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do not overlap, and phase difference expres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242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의 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Materials of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의 두께는, 각각 10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 이상이면, 용이하게 제막할 수 있고, 두께가 100 ㎛ 이하이면,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의 리타데이션을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의 두께와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의 두께는,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1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2nd acrylic resin layer 243 is 10-100 micrometers, respectively. If the thickness is 10 μm or more, it can be easily formed into a film, and if the thickness is 100 μm or less, retardation of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can be disregard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1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the thickness of the 2nd acrylic resin layer 243 are substantially the same.

제1 위상차판 (24) 에 있어서의 제2 점착제층 (26) 측의 면은,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The surface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plate 24 on the side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제1 위상차판 (24) 을 제조하려면,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와, 고무 입자가 배합된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하고, 그 후 연신하면 된다. 연신은, 세로 1축 연신, 텐터 가로 1축 연신, 동시 2축 연신 또는 축차 2축 연신 등으로 행할 수 있고, 소망으로 하는 리타데이션값이 얻어지도록 연신하면 된다. 상기 방법 외에, 각각 단층의 필름 (위상차 발현층 (242),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및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을 제작한 후에, 히트 라미네이션에 의해 이들을 열융착시키고, 그 적층체를 연신해도 된다.To manufacture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for example,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n which a styrene-based resin and rubber particles are blended may be co-extruded and then stretched. Stretching can be carried out by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tenter transverse uniaxial stretching,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or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or the like, and may be stretched so as to obtain a desired retardation value.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after producing single-layer films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2,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and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heat lamination is performed to heat-seal them, and the lamination is performed. The sieve may be stretched.

또한, 연신 후의 제1 위상차판 (24) 의 총두께는, 충분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모바일 용도에서의 박형화 요구에 대응하는 관점에서, 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3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after stretching is preferably 5 to 100 μm, and more preferably 10 to 50 μm, from the viewpoint of meeting the demand for thinning in mobile applications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performance. It is preferable,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15-30 micrometers.

제1 위상차판 (24) 에 있어서, 점착제층 (1) 과 접하는 면은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에 의해 구성되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점착제층 (1) 은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1) 에 대한 접착력이 높고, 따라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B) 은, 고온 조건하, 습열 조건하, 히트 쇼크하 등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하다.I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is constituted by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Even in this ca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is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241 ) is high, therefore, the optical film 10B with an adhesive layer is excellent in durability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under moist heat conditions, under heat shock, and the like.

(2) 제2 위상차판(2) Second retardation plate

제2 위상차판 (25) 은,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란,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의 사슬형 지방족 올레핀, 또는 노르보르넨이나 그 치환체 (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라고도 함) 등의 지환식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다. 올레핀계 수지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사용한 공중합체여도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retardation plate 25 consists of olefin resin. The olefin-based resin is a resin composed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chain-like aliphatic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or alicyclic olefins such as norbornene and substituents thereof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norbornene-based monomers). The copolymer using 2 or more types of monomers may be sufficient as olefin type resin.

그 중에서도, 올레핀계 수지로는, 지환식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주로 포함하는 수지인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구성하는 지환식 올레핀의 전형적인 예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노르보르넨이란, 노르보르난의 하나의 탄소-탄소 결합이 이중 결합이 된 화합물로서, IUPAC 명명법에 의하면, 비시클로[2,2,1]헵토-2-엔이라고 명명되는 것이다. 노르보르넨의 치환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의 이중 결합 위치를 1,2-위치로 하고, 3-치환체, 4-치환체, 4,5-디치환체 등을 들 수 있고, 나아가서는 디시클로펜타디엔이나 디메타노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등도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로 할 수 있다. Among them, as the olefin resin, a cyclic olefin resin which is a resin mainly containing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icyclic olefins is preferably used. Typical examples of the alicyclic olefin constituting the cyclic olefin resin include norbornene monomers. Norbornene is a compound in which one carbon-carbon bond of norbornane has become a double bond, and is named bicyclo[2,2,1]hepto-2-ene according to the IUPAC nomenclature. Examples of substituents of norbornene include 3-substituents, 4-substituents, and 4,5-disubstituents in which the double bond position of norbornene is set to the 1,2-position, and dicyclopenta Dienes, dimethanooctahydronaphthalene,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as monomers constituting the cyclic olefin resin.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그 구성 단위에 노르보르난 고리를 갖고 있어도 되고,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구성 단위에 노르보르난 고리를 갖지 않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형성하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개환에 의해 5 원자 고리가 되는 것, 대표적으로는,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1- 또는 4-메틸노르보르넨, 4-페닐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 그 분자의 배열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되고, 그래프트 공중합체여도 된다. Cyclic olefin type resin may or may not have a norbornane ring in the structural unit. Examples of the norbornene-based monomer forming a cyclic olefin-based resin having no norbornane ring as a constituent unit include those that become a 5-membered ring by ring opening, typically norbornene and dicyclopenta Diene, 1- or 4-methylnorbornene, 4-phenyl norbornene, etc. are mentioned. When the cyclic olefin-based resin is a copolymer, the arrangement of its molecu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random copolymer, a block copolymer, or a graft copolymer.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 이들에 말레산 부가나 시클로펜타디엔 부가 등이 이루어진 폴리머 변성물, 및 이들을 수소 첨가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부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다른 모노머로는, α-올레핀류, 시클로알켄류, 비공액디엔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및 다른 지환식 올레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 공중합체여도 된다. More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olefin-based resin include, for example, ring-opening polymers of norbornene-based monomers, ring-opening copolymers of norbornene-based monomers and other monomers, and modified polymers obtained by adding maleic acid or adding cyclopentadiene to these. Water, 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hydrogenating these, addition polymers of norbornene-based monomers, addition copolymers of norbornene-based monomers and other monomers,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Examples of other monomers in the case of forming a copolymer include α-olefins, cycloalkenes, and non-conjugated dienes. Moreover, the copolymer using 1 type(s) or 2 or more types of a norbornene-type monomer and other alicyclic olefins may be sufficient as cyclic olefin type resin.

상기 구체예 중에서도,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사용한 개환 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그것에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위상차판으로 할 수 있는 것 외에, 연신에 더하여, 소정의 수축률을 갖는 수축성 필름을 첩합하여 가열 수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균일성이 높고, 큰 위상차값을 갖는 위상차판으로 할 수도 있다.Among the specific examples, as the cyclic olefin-based resin, a resin obtained by hydrogenating a ring-opening polymer using a norbornene-based monomer is preferably used. Such a cyclic olefin-based resin can be made into a retardation plate by subjecting it to a stretching process, and in addition to stretching, a shrinkable film having a predetermined shrinkage rate is bonded to it and heat-shrinking is applied to achieve high uniformity,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retardation plate having a large retardation value.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사용한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의 시판품으로는, 모두 상품명으로, 닛폰 제온 (주) 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제오넥스」 및 「제오노아」, JSR (주) 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톤」 등이 있다. 이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의 필름이나 그 연신 필름도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두 상품명으로, 닛폰 제온 (주) 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제오노아 필름」, JSR (주) 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톤 필름」,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 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에스시나」 등이 있다.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cyclic olefin resins using norbornene monomers include "Zeonex" and "Zeonoa" sold by Nippon Zeon Co., Ltd., and "Aton" sold by JSR Co., Ltd. etc. Films of these cyclic olefin resins and stretched films thereof can also be obtained commercially, for example, "Zeonor Film" sold under a trade name from Nippon Zeon Co., Ltd., sold from JSR Co., Ltd. "Aton Film" sold by Sekisui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S Shinar" available.

또, 제2 위상차판 (25) 에는, 올레핀계 수지를 2 종류 이상 포함하는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올레핀계 수지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를 2 종류 이상 포함하는 혼합 수지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와 사슬형 지방족 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열가소성 수지는, 목적에 따라 적당히 적절한 것이 선택된다. 구체예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액정성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1종만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머 변성을 실시하고 나서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머 변성의 예로는, 공중합, 가교, 분자 말단 변성, 입체 규칙성 부여 등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for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a film made of a mixed resin containing two or more types of olefin resin or a film made of a mixed resin of an olefin resin and another thermoplastic resin can also be used. For example, as mixed resin containing two or more types of olefin type resin, the mixture of above-mentioned cyclic olefin type resin and chain type aliphatic olefin type resin is mentioned. When using mixed resin of an olefin resin and another thermoplastic resin, another thermoplastic resin is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Specific examples include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s, cellulose-based resins, polystyrene-based resin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resins,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resins, (meth)acrylic resins, polyvinyl acetate-based resins, poly Vinylidene chlorid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acetal-based resin, polycarbonate-based resin, modified polyphenylene ether-based resin, polybutylene terephthalate-based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resin, polyphenylene sulfide-based resin, and polysulfone-based resins, polyethersulfone-based resins, polyether ether ketone-based resins, polyarylate-based resins, liquid crystalline resins, polyamideimide-based resins, polyimide-based resins, and polytetrafluoroethylene-based resins. . A thermoplastic resin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Moreover, the said thermoplastic resin can also be used after performing arbitrary suitable polymer modification. Examples of polymer modification include copolymerization, crosslinking, molecular terminal modification, and provision of stereoregularity.

올레핀계 수지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통상, 수지 전체에 대하여 50 질량% 정도 이하이고, 40 질량% 정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광 탄성 계수의 절대치가 작고, 양호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내구성, 기계적 강도 및 투명성이 우수한 위상차판을 얻을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mixed resin of an olefinic resin and another thermoplastic resin, the content of the other thermoplastic resin is usually about 50% by mass or less, preferably about 40%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resin. By setting the content of the other thermoplastic resin within this range, a retardation plate having a small absolute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exhibiting good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durability, mechanical strength and transparency can be obtained.

올레핀계 수지는, 용액으로부터의 캐스팅법이나 용융 압출법 등에 의해 제막할 수 있다. 2종 이상의 혼합 수지로부터 제막하는 경우, 그 제막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지 성분을 소정의 비율로 용매와 함께 교반 혼합하여 얻어지는 균일 용액을 사용하여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 수지 성분을 소정의 비율로 용융 혼합하고, 용융 압출법에 의해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Olefin resin can be formed into a film by a casting method from a solution, a melt extrusion method, or the like. In the case of forming a film from two or more types of mixed resin, the film form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film is produced by a casting method using a homogeneous solution obtained by stirring and mixing the resin component with a solvent in a predetermined ratio. method, a method of melt-mixing resin components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producing a film by a melt extrusion method, and the like are employed.

상기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잔존 용매, 안정제, 가소제, 노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 등, 그 밖의 성분을 필요에 따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표면 조도를 작게 하기 위해 레벨링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The film made of the olefin resin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such as a residual solvent, a stabilizer, a plasticizer, an antiag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nd an ultraviolet absorber, as necessary. Moreover, in order to make surface roughness small, you may contain a leveling agent.

제2 위상차판 (25) 에 있어서의 제2 점착제층 (26) 측의 면은,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The surface of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on the side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제2 위상차판 (25) 은, 면내 지상축 방향, 면내 진상축 방향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및 nz 로 하고, 필름의 두께를 d 로 할 때, 하기 식 (1) :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has the following formula (1) when the refractive indices in the in-plane slow axis direction, the in-plane fast axis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re n x , n y , and n z , respectively, and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d . :

Re = (nx - ny) × d (1) R e = (n x - n y ) × d (1)

로 정의되는 파장 590 nm 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값 (Re) 이 30 ∼ 150 nm 이고, 하기 식 (2) :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 e ) at a wavelength of 590 nm defined by is 30 to 150 nm, and the following formula (2):

Nz 계수 = (nx - nz)/(nx - ny) (2) Nz coefficient = (n x - n z )/(n x - n y ) (2)

로 정의되는 Nz 계수가 1 을 초과하고 2 미만인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have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n which the Nz coefficient defined by is greater than 1 and less than 2.

상기와 같은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제2 위상차판 (25) 은, 상기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세로 1축 연신, 텐터 가로 1축 연신, 동시 2축 연신 또는 축차 2축 연신 등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연신 배율과 연신 속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 외에, 연신시의 예열 온도, 연신 온도, 히트 세트 온도, 냉각 온도 등의 각종 온도, 및 그 패턴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굴절률 이방성을 얻을 수 있다.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having the abov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can be obtained by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tenter transverse uniaxial stretching,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or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of the film made of the olefin resin, A desired refractive index anisotropy can be obtain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various temperatures such as preheating temperature, stretching temperature, heat set temperature, cooling temperature, and pattern during stretching in addition to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tretching ratio and stretching speed.

제2 위상차판 (25) 은, 그 두께가 5 ∼ 8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 8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3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5 to 80 μm,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 to 80 μ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 to 30 μm.

(3) 제2 점착제층(3) 2nd adhesive layer

제2 점착제층 (26) 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경화성의 점착제여도 되고, 비경화성의 점착제여도 되지만, 편광판의 열수축에 의한 치수 변화 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a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used, and a 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 n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n energy ray-curable adhesive.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지 않는 폴리머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폴리머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지 않는 폴리머의 혼합물이어도 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폴리머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의 혼합물이어도 되고, 이들 3종의 혼합물이어도 된다.The active-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have a polymer having active energy ray-curable property as a main component, or one containing as a main component a mixture of a polymer having no active energy ray-curable property and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olyfunctional monomer and/or oligomer. It can be done. Further, it may be a mixture of a polymer having active energy ray curing properties and a polymer having no active energy ray curing property, or a mixture of a polymer having active energy ray curing properties and a polyfunctional monomer and/or oligomer having active energy ray curing properties, and these three It may be a mixture of species.

상기 중에서도,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응집력을 발휘하는 점착제를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지 않는 폴리머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지 않는 폴리머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 above, from the viewpoint of easiness to obtain an adhesive that exhibits cohesive force while maintaining adhesiveness, a mixture of a polymer without active energy ray curability and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polyfunctional monomer and/or oligomer is preferable as a main component,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as a main component a mixture of a polymer having no active energy ray curability and a polyfunctional monomer having active energy ray curability.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지 않는 폴리머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기를 갖지 않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이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얻어지는 점착제는, 바람직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반응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와, 원하는 바에 따라 사용되는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함으로써, 액정 셀 등의 유리 표면과의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 후술하는 가교제 (Z) 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As the polymer having no active energy ray curability, a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having no active energy ray curable group is preferable.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preferably contains a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an alkyl group as a monomer constituting the polymer. Thereby, the obtained adhesive can express desirable adhesiveness. Further,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is a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an alkyl group, a monomer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reactiv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other monomers used as desired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hat it is a copolymer of When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contains a reactiv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constituting the polymer, adhesion to a glass surface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can be improved, and a crosslinking agent (Z) described later and It may react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n-펜틸, (메트)아크릴산n-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n-데실, (메트)아크릴산n-도데실, (메트)아크릴산미리스틸, (메트)아크릴산팔미틸,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8 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n-부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and (meth)acrylate. n-pentyl acrylate, n-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n-decyl (meth)acrylate, n-dodec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Myristyl, palmit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Especially, from a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adhesiveness, (meth)acrylic acid ester of 1-8 carbon atoms of an alkyl group is preferable, and n-butyl (meth)acrylate is especially preferable. In addition,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50 ∼ 99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 ∼ 99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70 ∼ 98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preferably contains,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50 to 99 mass% of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particularly 60 to 99 It is preferable to contain by mass %, and also it is preferable to contain 70-98 mass %.

상기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Preferred examples of the reactiv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onomers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in the molecul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and monomers having an amino group in the molecul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 These reactive functional group containing monomers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3-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hydroxyalkyl esters such as 3-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4-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the like.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의 가교제 (Z) 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면에서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rotonic acid,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citraconic acid. Especially, acrylic acid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reactivity of the carboxyl group in the obtained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with the crosslinking agent (Z) and copolymerizability with other monomers.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부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aminoethyl (meth)acrylate and n-butylaminoethyl (meth)acrylate.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1 ∼ 2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 2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 ∼ 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preferably contains 1 to 25% by mass of a reactiv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particularly preferably 1 to 20% by mass, and further It is preferable to contain 2-5 mass %.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의 중합 양태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The polymerization mod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may be a random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만 ∼ 30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만 ∼ 2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60만 ∼ 22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is preferably 300,000 to 3,000,000, particularly preferably 1,000,000 to 2,500,000, and more preferably 1,600,000 to 2,200,000.

또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In addition,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 (이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Y)」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등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분자량 1000 이하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바람직하다.As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olyfunctional monom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Y)"), a polyfunctional acrylic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or less that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and the like. Rate-based monomers are preferred.

분자량 1000 이하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 관능형;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트)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 관능형;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 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 관능형;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6 관능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or less include 1,4-butanedioldi(meth)acrylate, 1,6-hexanedioldi(meth)acrylate, and neopentylglycoldi(meth)acrylate. R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adipate di(meth)acrylate, hydroxy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dicyclopentanyl di(meth)acrylate, modified caprolactone bifunctional types such as dicyclopentenyl di(meth)acrylate, ethylene oxide-modified di(meth)acrylate, di(acryloxyethyl)isocyanurate, and allylated cyclohexyl d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propionic acid modified di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propylene oxide 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functional types such as tri(meth)acrylate, tris(acryloxyethyl)isocyanurate, and ε-caprolactone modified tris(2-(meth)acryloxyethyl)isocyanurate; tetrafunctional types such as diglycerin tetra(meth)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pentafunctional types such as propionic acid-modified dipentaerythritol penta(meth)acrylate; and hexafunctional types such as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and caprolactone-modified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Y) 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 5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 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 2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Y) is preferably 1 to 50 parts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30 parts by mass, and more preferably 10 to 5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0 mass parts.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가교제 (Z) 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가,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와, 가교제 (Z) 를 함유하는 경우, 당해 점착제를 가열하거나 하면, 가교제 (Z) 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를 구성하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한다. 이로써, 가교제 (Z) 에 의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가 가교된 구조가 형성되어,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향상된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ai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Z). Whe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s, as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a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contain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crosslinking agent (Z),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heated, the crosslinking agent (Z) reacts with the reactive functional group of the reactiv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As a result, a structure in which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is crosslinked by the crosslinking agent (Z) is formed, and the cohesive force of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improved.

가교제 (Z) 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가 갖는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암모늄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전술한 가교제 (B) 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 (Z) 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Z) may be one that reacts with the reactive functional group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s, epoxy crosslinking agents, amine crosslinking agents, melamine crosslinking agents,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and hydrazine. crosslinking agents, aldehyde crosslinking agents, oxazoline crosslinking agents, metal alkoxide crosslinking agents, metal chelate crosslinking agents, metal salt crosslinking agents, and ammonium salt crosslinking agents. As an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the same thing as the crosslinking agent (B) mentioned above can be used. In addition, a crosslinking agent (Z)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가교제 (Z) 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 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1 ∼ 1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Z) is preferably from 0.01 to 10 parts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0.05 to 5 parts by mass, and more preferably from 0.1 to 1 part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desirable.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원하는 바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 실란 커플링제, 굴절률 조정제, 대전 방지제,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s, as desired, various additives such as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silane coupling agents, refractive index adjusters, antistatic agents, tackifier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light stabilizers, softeners, fillers, etc. You can do it.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를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an ultraviolet ray as an active energy ray for cur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n-but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acetophenone, dimethylaminoacetoph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2-diethoxy-2-phenyl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1-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 2-methyl-1-[4-(methyl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e, 4-(2-hydroxyethoxy)phenyl-2-(hydroxy-2 -propyl) ketone, benzophenone, p-phenylbenzophenone, 4,4'-diethylaminobenzophenone, dichlorobenzophenone, 2-methylanthraquinone, 2-ethylanthraquinone, 2-tertiary-butylanthraquinone, 2-aminoanthraquinone, 2-methylthioxanthone, 2-ethyl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4-dimethylthioxanthone, 2,4-diethylthioxanthone, benzyldimethylketal, Acetophenone dimethyl ketal, p-dimethylaminobenzoic acid ester, oligo[2-hydroxy-2-methyl-1[4-(1-methylvinyl)phenyl]propanone], 2,4,6-trimethylbenzoyl-diphenyl - A phosphine oxide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 중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Y)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20 질량부, 특히 1 ∼ 12 질량부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ranging from 0.1 to 20 parts by mass, particularly 1 to 12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Y)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는, 얻어지는 점착제의 필름에 대한 밀착성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분자 내에 알콕시실릴기를 적어도 1개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점착 성분과의 상용성이 좋고, 광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ntains a silane coupling agent from a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the film of the adhesive obtained.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preferably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alkoxysilyl group in its molecule, having good compatibility with an adhesive component and having light transmission properties.

이러한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1) 및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외에,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혹은 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킬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such a silane coupling agent includ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and methacryloxypropyl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1) and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2).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containing silicon compounds such as 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 Amino group-containing silicon compounds such as 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3-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or at least one of these, methyltriethoxysilane, and ethyltriethoxy and condensates of alkyl group-containing silicon compounds such as silane, methyltrimethoxysilane, and ethyltrimethoxysilane.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 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1 ∼ 1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preferably from 0.01 to 10 parts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0.05 to 5 parts by mass, and more preferably from 0.1 to 1 part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do.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폴리머는, 측사슬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관능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기) 가 도입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 having active energy ray curability is preferably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in which a functional group having active energy ray curability (active energy ray curable group) is introduced into a side chain.

제2 점착제층 (26) 의 두께는, 통상 1 ∼ 5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 ∼ 2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7 ㎛ 이다.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얇으면 점착성이 저하되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점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쉬워진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is usually about 1 to 50 μm, preferably 1 to 20 μ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7 μm.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oo thin, the adhesiveness decreases, an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oo thick, problems such as protru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e likely to occur.

(4) 편광자(4) Polarizer

편광자 (21) 로는, 전술한 편광판 (2A) 의 편광자 (21) 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polarizer 21, the same thing as the polarizer 21 of the above-mentioned polarizing plate 2A can be used.

(5) 보호층(5) protective layer

보호층 (27) 은, 투명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호층 (27) 으로는, 편광판 (2A) 에 있어서의 제1 보호층 (22)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layer 27 consists of a transparent resin film. As this protective layer 27, the same thing as the 1st protective layer 22 in 2 A of polarizing plates can be used.

(6) 접착제층(6) adhesive layer

편광자 (21) 와 보호층 (27) 사이 및/또는 편광자 (21) 와 제2 위상차판 (25)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도 되는 접착제층은, 전술한 편광판 (2A) 의 접착제층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adhesive layer tha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er 21 and the protective layer 27 and/or between the polarizer 21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the same adhesive layer as that of the polarizing plate 2A described above can be used. have.

(7) 복합 편광판의 제조 방법(7)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polarizing plate

복합 편광판 (2B) 의 제조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일례로서, 상기 접착제로서 수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Manufacture of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can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Hereinafter, as an example, a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of using a water-based adhesive as the adhesive is described.

처음에, 박리 시트의 박리면에, 제2 점착제층 (26)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도포막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점착제층 (26)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도포액을 박리 시트의 박리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다.First, a coated fil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is formed on the release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Specifically,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is applied to the release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and dried.

한편, 편광자 (21) 의 첩합면 또는 제2 위상차판 (25) 및 보호층 (27) 의 첩합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이 접착제층의 형성은, 전술한 편광판 (2A)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접착제층의 두께나 용이 접착 처리도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an adhesive bond layer is formed in the bonding surface of the polarizer 21 or the bonding surface of the 2nd retardation plate 25 and the protective layer 27. Formation of this adhesive bond layer can be performed by carrying out similarly to the metho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polarizing plate 2A.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easy bonding treatment are also the same.

상기와 같이 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했으면, 당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보호층 (27) 을 편광자 (21) 의 한쪽의 면에 첩합함과 함께, 제2 위상차판 (25) 을 편광자 (21) 의 다른쪽의 면에 첩합하여, 보호층 (27), 편광자 (21) 및 제2 위상차판 (25)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다.Whe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while bonding the protective layer 27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21 via the adhesive layer,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of the polarizer 21 It is bonded to the other surface to obtain a laminate comprising the protective layer 27, the polarizer 21,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다음으로, 얻어진 적층체의 제2 위상차판 (25) 측의 면에, 상기 박리 시트 상의 제2 점착제층 (26) 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도포막을 첩합한다. 그리고, 상기 박리 시트 너머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점착제의 도포막을 경화시키고, 당해 도포막을 제2 점착제층 (26) 으로 한다.Next, the coating film of the adhesive which comprises the 2nd adhesive layer 26 on the said release sheet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obtained laminated body on the side of the 2nd retardation plate 25. Then, active energy rays are irradiated over the release sheet to cure the coated fil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coated film is used as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

여기서 활성 에너지선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에서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취급이 용이한 자외선이 특히 바람직하다.Here, an active energy ray refers to an electromagnetic wave or a charged particle beam having energy quanta,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ultraviolet rays and electron beams. Among the active energy rays, ultraviolet rays are particularly preferred because they are easy to handle.

자외선의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퓨전 H 램프, 크세논 램프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가 50 ∼ 1000 mW/cm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량은, 50 ∼ 10000 mJ/cm2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5000 mJ/cm2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 1000 mJ/cm2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의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 ∼ 1000 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can be performed by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a fusion H lamp, a xenon lamp, or the like, and the amount of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is preferably about 50 to 1000 mW/cm 2 . Further, the amount of light is preferably 50 to 10000 mJ/cm 2 , more preferably 80 to 5000 mJ/cm 2 ,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0 to 1000 mJ/cm 2 . On the other h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can be performed by an electron beam accelerator or the like, and the amount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is preferably about 10 to 1000 krad.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형성된 제2 점착제층 (26) 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제2 점착제층 (26) 에 대하여, 제1 위상차판 (24) 에 있어서의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43) 측의 면을 첩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보호층 (27), 편광자 (21), 제2 위상차판 (25), 제2 점착제층 (26) 및 제1 위상차판 (24) 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편광판 (2B) 을 얻는다.Finally, the release sheet is peeled off from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formed above, and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243 i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is applied to the exposed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Glue the sides together. In this way,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obtained by laminating the protective layer 27, the polarizer 21,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25,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6, and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is obtained.

또한, 복합 편광판 (2B) 의 총두께는, 2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1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10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is preferably from 20 to 300 µm, more preferably from 30 to 150 µ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50 to 100 µm.

(8)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8) Manufacturing method of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B) 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예로는, 처음에, 점착성 조성물 (P) 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박리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조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점착제층의 양면에 박리 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의 제조 방법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A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10B, first, the adhesive sheet formed by laminating|stacking a peeling sheet on the single side|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layer formed from adhesive composition (P) is manufactured. Here, as an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med by laminating release sheets on both surfac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anufactured. This adhesive sheet can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demonstrat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10 A of optical films with an adhesive layer.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한쪽의 박리 시트 (경박리형 박리 시트) 를 박리한다. 그리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복합 편광판 (2B) 의 제1 위상차판 (24) 을 중첩시키고, 점착 시트와 복합 편광판 (2B) 을 압착한다. 이로써,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B) (박리 시트 부착) 이 얻어진다.One release sheet (light release type release sheet) is peeled from the adhesive sheet obtained in the above manner. The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is superimposed on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are compressed. Thereby, the said optical film 10B with an adhesive layer (with a release sheet) is obtained.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B) 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로는, 박리 시트의 박리면에, 전술한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그 도포막에 복합 편광판 (2B) 의 제1 위상차판 (24) 을 중첩시킨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을 둠으로써,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 도포막이 점착제층 (1) 이 된다. 이로써,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B) (박리 시트 부착) 이 얻어진다.In another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10B, the coating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adhesive composition (P) is applied to the release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heat treatment is performed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n the coating is applied. The first retardation plate 24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is overlaid on the film. When a curing period is required, a curing period is provided, and when a curing period is unnecessary, the coating film become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as it is. Thereby, the said optical film 10B with an adhesive layer (with a release sheet) is obtained.

3.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물성3. Physical properties of optical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의 점착력은, 무알칼리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0.5 ∼ 20 N/25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 10 N/2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나아가서는, 리워크성에 대해서도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상기 점착력은 2 ∼ 7 N/2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점착력은, 기본적으로는 JIS Z0237 : 2009 에 준한 180° 박리법에 의해 측정한 점착력을 말하는데, 측정 샘플은 25 mm 폭, 100 mm 길이로 하고, 당해 측정 샘플을 피착체에 대하여 0.5 MPa, 50 ℃ 에서 20 분 가압하여 첩부한 후, 상압, 23 ℃, 50 % RH 의 조건하에서 24 시간 방치하고 나서, 박리 속도 300 mm/min 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점착력이 상기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액정 셀에 첩부하였을 때에, 들뜸이나 벗겨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As for the adhesive force of the optical film 10A, 10B with an adhesive layer concerning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force with respect to alkali-free glass is 0.5-20 N/25 mm,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1-10 N/25 mm do. Thereby,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becomes a thing excellent in durability.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dhesive force is 2-7 N/25 mm from a viewpoint of making it excellent also in reworkability. In addition, the adhesive force here refers to the adhesive force measured by the 180° peeling method based on JIS Z0237:2009 basically, but the measurement sample is 25 mm wide and 100 mm long, and the measurement sample is 0.5 mm with respect to the adherend. After pressurizing and sticking at MPa and 50°C for 20 minutes, after leaving it to stand for 24 hours under normal pressure, 23°C, and 50% RH conditions, the peeling rate is measured at 300 mm/min. When adhesive force exists in said range, when it affixes on a liquid crystal cell, lifting, peeling, etc. can be prevented.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은, 상기 피착체에 대한 첩부로부터, 더욱 23 ℃, 50 % RH 의 조건하에서 14 일 방치한 후의 점착력 (첩부 14 일 후의 점착력) 이, 1 ∼ 20 N/25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 9 N/2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간 경과에 의한 점착력의 상승이 억제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은, 리워크성도 우수하여, 액정 셀에 첩부한 후에도 용이하게 다시 붙일 수 있다.Moreover, the optical film 10A, 10B with an adhesive layer concerning this embodiment is the adhesive force after being left to stand for 14 days further under conditions of 23 degreeC and 50%RH from sticking to the said adherend (Adhesive force after 14 days of sticking)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20 N/25 mm,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3-9 N/25 mm. Thus, by suppressing the rise of the adhesive force by time passage, optical film 10A, 10B with an adhesive laye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lso excellent in rework property, and can be easily re-sticked after sticking to a liquid crystal cell.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은, 상기 피착체에 대한 첩부로부터, 더욱 50 ℃, 50 % RH 의 조건하에서 2 일 방치한 후의 점착력 (50 ℃ 2 일 후의 점착력) 이, 내구성의 관점에서, 1 ∼ 20 N/25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리워크성의 관점을 더하면, 6 ∼ 12 N/25 mm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tical film 10A, 10B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adhesive strength after being left to stand for 2 days under conditions of 50°C and 50% RH from sticking to the adherend (adhesive strength after 2 days at 50°C) ) is preferably 1 to 20 N/25 mm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 to 12 N/25 mm from the viewpoint of reworkability.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률은, 1.0 × 1012 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 × 1011 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0 × 1010 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저항률이 상기 값 이하임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충분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저항률은, 점착성 조성물 (P) 이 전술한 대전 방지제 (D) 를 함유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은, JIS K6911 에 준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표면 저항률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내구성이나 내열 불균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5.0 × 108 Ω/sq 정도이다.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optical film 10A, 10B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1.0 × 10 12 Ω/sq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0 × 10 11 Ω/sq or less,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0 × 10 10 Ω/sq or less. Sufficient antistatic property can be exhibited in a display panel because surface resistivity is below the said value. Such a surface resistivity becomes possible to achieve when adhesive composition (P) contains the above-mentioned antistatic agent (D). In addition,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easured according to JIS K6911, and is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test examples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lower limit of the surface resistiv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5.0 × 10 8 Ω/sq from the viewpoint of not adversely affecting durability or nonuniformity in heat resistance.

4.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사용4. Use of optical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액정 셀과 광학 필름 (편광판 또는 복합 편광판) 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By using optical films 10A and 10B with an adhesive laye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cell and an optical film (a polarizing plate or composite polarizing plate)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의 점착제층 (박리 시트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층) 을, 액정 셀의 원하는 면에 대하여 중첩시키고, 압착하면 된다. 이로써, 액정 셀과 편광판 (2A) 및/또는 복합 편광판 (2B) 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가 얻어진다.Specific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en the release sheet is laminat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posed by peeling the release sheet) of the optical films 10A and 10B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overlapped with respect to the desired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you have to squeeze Thereby,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the polarizing plate 2A, and/or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2B is obtain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의 점착제층 (1) 은,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고온 조건하, 습열 조건하 또는 히트 쇼크하에 있어서도, 점착제층 (1) 의 계면에서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예를 들어,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을 첩부한 유리판을 85 ℃ 의 고온 조건하나 60 ℃·90 % RH 의 습열 조건하에 250 시간 둔 경우나, -35 ℃ ∼ 70 ℃ 의 히트 쇼크 (각 30 분, 200 사이클) 를 부여한 경우에도,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Since the adhesive layer 1 of the optical film 10A, 10B with an adhesive layer concerning this embodiment is excellent in durability, even if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under moist heat conditions, or under heat shock, the adhesive layer ( 1) The occurrence of lifting or peeling at the interface of is suppressed. For example, when the glass plate to which the optical films 10A and 10B with an adhesive layer were affixed was subjected to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of 85 ° C., but under a moist heat condition of 60 ° C./90% RH for 250 hours, or -35 ° C. to 70 ° C. heat shock (30 minutes each, 200 cycles), the occurrence of lifting or peeling is suppressed.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의 점착제층 (1) 은, 응력 완화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는, 열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0A, 10B) 을 첩부한 유리판을 고온 조건하 (예를 들어, 80 ∼ 85 ℃ 의 조건하) 에 250 시간 둔 경우에도 열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 특히, 액정 셀이 고정밀한 것이어도, 열 불균일은 잘 생기지 않는다.Moreover, since the adhesive layer 1 of optical film 10A with an adhesive layer concerning this embodiment, 10B is also excellent in stress relaxation property,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es not easily generate heat|fever nonuniformity. For example, even when the glass plate to which optical film 10A and 10B with an adhesive layer was affixed is placed under high-temperature conditions (for example, under 80 to 85°C conditions) for 250 hours, heat unevenness does not occur easily. In particular, even if the liquid crystal cell is a highly precise one, heat unevenness does not occur easily.

점착제층 (1) 이 접촉하는 액정 셀의 표면에는, 투명 도전막이 존재해도 된다. 이러한 투명 도전막으로는, 예를 들어, 백금, 금, 은, 구리 등의 금속,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아연, 이산화아연 등의 산화물, 주석 도프 산화인듐 (ITO), 산화아연 도프 산화인듐, 불소 도프 산화인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불소 도프 산화주석,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등의 복합 산화물, 칼코게나이드, 육붕화란탄, 질화티탄, 탄화티탄 등의 비산화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y exist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with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contacts. Examples of such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clude metals such as platinum, gold, silver, and copper, oxides such as tin oxide, indium oxide, cadmium oxide, zinc oxide, and zinc dioxide, tin-doped indium oxide (ITO), and zinc oxide. Complex oxides such as doped indium oxide, fluorine-doped indium oxide, antimony-doped tin oxide, fluorine-doped tin oxide, and aluminum-doped zinc oxide; non-oxidized compounds such as chalcogenide, lanthanum hexaboride, titanium nitride, and titanium carbide; can be heard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escrib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ach element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intended to include all design changes and equivalents belongi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examples and the lik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the like.

[실시예 1][Example 1]

1. 광학 필름 (복합 편광판) 의 제조1. Manufacture of optical film (composite polarizer)

(1) 편광자의 제작(1) Fabrication of polarizer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두께 75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건식으로 약 5 배로 1축 연신하고, 또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 ℃ 의 순수에 1 분간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질량비가 0.05/5/100 인 수용액에, 28 ℃ 에서 60 초간 침지하였다. 계속해서,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8.5/8.5/100 인 수용액에, 72 ℃ 에서 300 초간 침지하였다. 계속해서, 26 ℃ 의 순수로 20 초간 세정한 후, 65 ℃ 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얻었다.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 thickness of 75 μm made of polyvinyl alcohol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2,4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or more was uniaxially stretched about 5 times in a dry manner, and while maintaining a tensioned state, in pure water at 60 ° C. Soaked for minutes. Thereafter, it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mass ratio of iodine/potassium iodide/water of 0.05/5/100 at 28°C for 60 seconds. Subsequently, it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mass ratio of potassium iodide/boric acid/water of 8.5/8.5/100 at 72°C for 300 seconds. Then, after washing with 26 degreeC pure water for 20 second, it dried at 65 degreeC and obtained the polarizer in which iodine adsorbed and oriented to polyvinyl alcohol.

(2) 보호층, 편광자 및 제2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작(2) Production of a laminate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a polarizer, and a second retardation plate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주) 쿠라레 제조, 상품명 「KL-318」) 을 3 질량부 용해하고, 그 수용액에 수용성 에폭시 수지인 폴리아미드에폭시계 첨가제 (다오카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스미레이즈 레진 650 (30)」, 고형분 농도 30 질량% 의 수용액) 를 1.5 질량부 첨가한 에폭시계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당해 에폭시계 접착제를,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도포하였다.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water, 3 parts by mass of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trade name "KL-318") was dissolved, and a polyamide epoxy-based additive (Taoka Chemical), which is a water-soluble epoxy resin, was dissolved in the aqueous solution. An epoxy-based adhesive was prepared by adding 1.5 parts by mass of Industrial Co., Ltd. product, trade name "Sumilays Resin 650 (30)",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by mass). The said epoxy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obtained above.

상기 에폭시계 접착제의 도포층에 대하여, 보호층으로서, 표면에 비누화 처리가 실시된 두께 25 ㎛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 제조, 상품명 「KC2UA」) 을 첩합하여, 보호층 및 편광자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To the coating layer of the epoxy adhesive, as a protective layer, a triacetyl cellulo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o Co., Ltd., trade name “KC2UA”) subjected to saponification treatment is bonded to the surface, and a protective layer and A laminate formed by laminating polarizers was obtained.

다음으로,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다른쪽의 면에,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당해 도포층에 대하여, 제2 위상차판으로서, 두께 23 ㎛ 의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로 위상차 필름 (닛폰 제온 (주) 제조, 상품명 「ZEONOR」) 을 첩합하였다. 그 후 80 ℃ 에서 5 분간 건조함으로써, 상기 보호층 및 제2 위상차판을 편광자에 접착시켰다. 접착 후, 40 ℃ 에서 168 시간 양생하여, 보호층 (층두께 25 ㎛), 편광자 (연신 배율 5 배, 층두께 15 ㎛) 및 제2 위상차판 (층두께 23 ㎛) 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총두께 63 ㎛ 의 적층체를 얻었다.Next, an epoxy adhesive is appli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in the laminate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a cyclic olefin resin having a thickness of 23 μm is applied to the applied layer as a second retardation plate. The zero retardation film (Nippon Zeon Co., Ltd. product, brand name "ZEONOR") which consists of was bonded together. After that,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were bonded to the polarizer by drying at 80°C for 5 minutes. After bonding, curing at 40 ° C. for 168 hours, a protective layer (layer thickness: 25 μm), a polarizer (stretch ratio: 5 times, layer thickness: 15 μm), and a second retardation plate (layer thickness: 23 μm) are laminated to obtain a total thickness of 63 A layered body of μm was obtained.

(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도포막의 형성(3) Formation of a coating film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아크릴산n-부틸 95 질량부 및 아크릴산 5 질량부를 공중합시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를 조제하였다.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중량 평균 분자량 (Mw) 200만이었다.95 parts by mass of n-butyl acrylate and 5 parts by mass of acrylic acid were copolymerized to prepare a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by the method described later,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was 2,000,000.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X) 100 질량부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Y) (다관능 모노머) 로서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토아 합성사 제조, 상품명 「아로닉스 M-315」) 15 질량부와, 가교제 (Z) 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 0.3 질량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벤조페논 및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1 : 1 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상품명 「이르가큐아 500」) 1.5 질량부와,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KBM403」) 0.2 질량부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polymer (X) and tris(acryloxyethyl)isocyanurate (trade name “Aronix M- 315”) 15 parts by mass, trimethylolpropane-modified tolylene diisocyanate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ies, trade name “Colonate L”) as a crosslinking agent (Z), 0.3 parts by mass, and benzophenone and 1-hydroxycyclo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1.5 parts by mass of a mixture of hexylphenyl ketone mixed at a mass ratio of 1:1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trade name "Irgacua 500") and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Shin-Etsu) as a silane coupling agent A coating solution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obtained by mixing 0.2 parts by mass of Chemical Industry Co., Ltd., trade name "KBM403", thoroughly stirring, and diluting with ethyl acetate.

얻어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박리 시트 (린텍사 제조, SP-PET3811, 두께 : 38 ㎛) 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한 후, 90 ℃ 에서 1 분간 가열 처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도포막을 형성하였다.The coating solution of the obtained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coated with a knife coater on the release-treated surface of a release sheet (SP-PET3811, manufactured by Lintec, thickness: 38 μm) in which on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is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with a silicone-based release agent After that, a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90°C for 1 minute to form a coating film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4) 제1 위상차판의 제작(4) Fabrication of the first retardation plate

제1 아크릴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평균 입경 200 nm 의 아크릴계 고무 입자가 약 20 질량% 배합되어 있는 메타크릴계 수지 (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 상품명 「테크놀로이 S001」) 와, 위상차 발현층을 구성하는 스티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 수지 (노바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다이라크 D332」) 와, 제2 아크릴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평균 입경 200 nm 의 아크릴계 고무 입자가 약 20 질량% 배합되어 있는 메타크릴계 수지 (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 상품명 「테크놀로이 S001」) 를, 이 순서로 3층 공압출하여,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을 연신하여, 면내 위상차값이 60 nm, 두께 25 ㎛ 인 제1 위상차판 (제1 아크릴계 수지층/위상차 발현층/제2 아크릴계 수지층) 을 얻었다.A methacrylic resin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trade name "Technoloy S001") containing about 20% by mass of acrylic rubb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0 nm constituting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constitutes a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A styrene-maleic anhydride-based copolymer resin (manufactured by Nova Chemical, trade name "Dyrac D332") and acrylic rubb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0 nm constituting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are blended in an amount of about 20% by mass. Three layers of resin (trade name "Technoloy S001"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were co-extruded in this order to obtain a laminated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The obtained laminated film was stretched to obtain a first retardation plate (first acrylic resin layer/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second acrylic resin layer)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value of 60 nm and a thickness of 25 µm.

(5) 복합 편광판의 제작(5) Fabrication of composite polarizer

상기 공정 (2) 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있어서의 제2 위상차판측의 면에, 상기 공정 (3) 에서 얻어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의 도포막을 첩합하고, 상기 박리 시트 너머로 이하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점착제의 도포막을 경화시켜 제2 점착제층으로 하였다. 그 후, 얻어진 제2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제2 점착제층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공정 (4) 에서 얻어진 제1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제2 아크릴계 수지층측의 면을 첩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보호층, 편광자, 제2 위상차판, 제2 점착제층 및 제1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총두께 93 ㎛ 의 복합 편광판 (광학 필름) 을 얻었다. 또한, 형성된 제2 점착제층의 두께는 5 ㎛ 였다.The coating film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btained in the step (3) was bonded to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in the laminate obtained in the step (2), and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over the release shee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 the coating fil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cured to obtain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fter that, the release sheet is peeled off from the obtained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acrylic resin layer side 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plate obtained in the step (4)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exposed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did In this way,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having a total thickness of 93 µm formed by laminating the protective layer, the polarizer,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retardation plate was obtaine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ormed 2nd adhesive layer was 5 micrometers.

<자외선 조사 조건> <Ultraviolet irradiation conditions>

·고압 수은 램프 사용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조도 300 mW/cm2, 광량 300 mJ/cm2 ·Illuminance 300 mW/cm 2 , Light quantity 300 mJ/cm 2

·UV 조도·광량계는 아이 그래픽스사 제조의 「UVPF-A1」을 사용・The UV illuminance/light meter uses "UVPF-A1" manufactured by Eye Graphics.

2.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2. Manufacture of optical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조제(1) Preparation of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아크릴산n-부틸 87 질량부, 아크릴산이소보르닐 5 질량부, 아크릴산2-페닐에틸 5 질량부 및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3 질량부를 공중합시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를 조제하였다.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중량 평균 분자량 (Mw) 160만이었다. 또한, 상기 배합으로부터, 당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수산기가는 14.49 mgKOH/g, 산가는 0 mgKOH/g 으로 계산된다.87 parts by mass of n-butyl acrylate, 5 parts by mass of isobornyl acrylate, 5 parts by mass of 2-phenylethyl acrylate, and 3 parts by mass of 2-hydroxyethyl acrylate were copolymerized to prepare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by the method described later,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was 1,600,000. In addition, from the above formulation, the hydroxyl value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calculated to be 14.49 mgKOH/g and the acid value to be 0 mgKOH/g.

(2) 점착성 조성물의 조제(2) 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상기 공정 (1)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100 질량부와, 가교제 (B) 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미츠이 화학사 제조, 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0.2 질량부와,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1) 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KBM403」) 0.2 질량부와,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로서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공축합물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X-41-1810」, 메르캅토 당량 : 450 g/몰) 0.2 질량부와, 대전 방지제 (D) 로서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실온에서 고체인 이온성 화합물) 2.0 질량부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함으로써,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외의 저분자량 성분은 배합하지 않았다.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obtained in the above step (1), and 0.2 parts by mass of trimethylolpropane-modified xylylene diisocyanate (trade name “Takenate D110N”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Co., Ltd.) as a crosslinking agent (B) and 0.2 parts by mass of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Industry, trade name "KBM403") as an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1), and 3- as a mercapt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C2) 0.2 parts by mass of a cocondensate of 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and methyltri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Industry, trade name "X-41-1810", mercapto equivalent: 450 g/mol), and an antistatic agent (D ) as a mixture of 2.0 parts by mass of N-oct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ionic compound solid at room temperature), sufficiently stirred, and diluted with ethyl acetate to obtain a coating solution of an adhesive composition. In addition, in this Exampl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other than the above were not blended.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를 100 질량부 (고형분 환산치) 로 한 경우의 점착성 조성물의 각 배합 (고형분 환산치) 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에 기재된 약호 등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Here, Table 1 shows each formulation (value in terms of solid conten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en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100 parts by mass (value in terms of solid content). In addition, the details of the abbreviation etc. described in Table 1 are as follows.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BA : 아크릴산n-부틸BA: n-butyl acrylate

IBXA : 아크릴산이소보르닐IBXA: isobornyl acrylate

PhEA : 아크릴산2-페닐에틸PhEA: 2-phenylethyl acrylate

HEA :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HEA: 2-hydroxyethyl acrylate

CHA : 아크릴산시클로헥실CHA: cyclohexyl acrylate

MA : 아크릴산메틸MA: methyl acrylate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XDI :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미츠이 화학사 제조, 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XDI: Trimethylolpropane-modified xylylene diisocyanate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trade name "Takenate D110N")

TDI :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TDI: Trimethylolpropane-modified tolylene diisocyanate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trade name "Colonate L")

[대전 방지제][Antistatic agent]

Pry+PF6- (1) :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실온에서 고체인 이온성 화합물) Pry+PF6- (1): N-oct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ionic compound that is solid at room temperature)

Pry+PF6- (2) : N-부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실온에서 고체인 이온성 화합물) Pry+PF6- (2): N-butyl-4-meth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ionic compound that is solid at room temperature)

Pry+PF6- (3) : 1-부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실온에서 고체인 이온성 화합물; 도쿄 카세이 공업사 제조) Pry+PF6- (3): 1-butylpyridinium hexafluorophosphate (ionic compound solid at room temperature;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저분자량 성분][Low Molecular Weight Ingredients]

트랜스스틸벤 : 트랜스스틸벤 (도쿄 카세이 공업사 제조) Transstilbene: Transstilbene (manufactured by Tokyo Kasei Industrial Co., Ltd.)

벤조산벤질 : 벤조산벤질 (와코 준야쿠 공업사 제조) Benzyl benzoate: Benzyl benzoate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아크릴 폴리머 (1) : 아크릴산n-부틸 70 질량부 및 아크릴산2-페닐에틸 30 질량부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1만의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crylic polymer (1):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000 obtained by copolymerizing 70 parts by mass of n-butyl acrylate and 30 parts by mass of 2-phenylethyl acrylate.

아크릴 폴리머 (2) : 중량 평균 분자량 (Mw) 3000 의 아크릴 폴리머 (토아 합성사 제조, 상품명 「ARUFON UP-1000」) Acrylic polymer (2): Acrylic polymer with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3000 (trade name "ARUFON UP-1000" manufactured by Toa Synthetic Industries Co., Ltd.)

(3)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제작(3) Production of optical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박리 시트 (린텍사 제조, SP-PET3811, 두께 : 38 ㎛) 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한 후, 90 ℃ 에서 1 분간 가열 처리하여,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였다. The coating solution of the obtained adhesive composition was applied with a knife coater to the release treated surface of a release sheet (SP-PET3811, manufactured by Lintec, thickness: 38 μm) in which on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It heat-processed at 90 degreeC for 1 minute, and the coating film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formed.

계속해서, 상기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을, 그 제1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제1 아크릴계 수지층의 표면과 상기 도포막의 노출면이 접하도록, 상기 도포막과 첩합하고, 23 ℃, 50 % RH 에서 7 일간 양생함으로써, 복합 편광판 상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당해 형성된 점착제층 (제1 점착제층) 의 두께는 20 ㎛ 였다.Subsequently,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btained above is bonded to the coating film so that the surface of the first acrylic resin layer in the first retardation plate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ating film are in contact, and 7 at 23 ° C. and 50% RH By curing for one day,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in which the adhesive layer was formed on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was 20 µm.

[실시예 2 ∼ 24, 비교예 1 ∼ 4][Examples 2 to 24, Comparative Examples 1 to 4]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종류 및 비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가교제 (B) 의 종류 및 배합량, 실란 커플링제 (C) 의 배합량, 대전 방지제 (D) 의 종류, 그리고 저분자량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Type and ratio of each monomer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type and compou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B), silane coupling agent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C), the type of antistatic agent (D), and the type and amount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여기서, 전술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 (GPC 측정) 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Her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mentioned above i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polystyrene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GPC measurement).

<측정 조건><measurement conditions>

·GPC 측정 장치 : 토소사 제조, HLC-8020GPC measuring device: Tosoh Corporation, HLC-8020

·GPC 칼럼 (이하의 순으로 통과) : 토소사 제조・GPC column (passed in the following order):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TSK guard column HXL-H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 (× 2) TSK gel GMHXL (× 2)

TSK gel G2000HXL 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 : 테트라하이드로푸란・Measurement solvent: tetrahydrofuran

·측정 온도 : 40 ℃ ・Measurement temperature: 40 ℃

[시험예 1] (겔분율의 측정) [Test Example 1] (Measurement of gel fract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의 제작에 사용한 광학 필름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박리 시트 (린텍사 제조, SP-PET3801, 두께 : 38 ㎛) 를 사용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제조 과정에서 얻어진 박리 시트/점착성 조성물의 도포막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체의 노출되어 있는 도포막 상에, 상기 박리 시트를 박리 처리면측이 접하도록 적층하고, 23 ℃, 50 % RH 의 조건하에서 7 일간 양생하였다. 이로써, 박리 시트 (SP-PET3801)/점착제층 (두께 : 20 ㎛)/박리 시트 (SP-PET3811) 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In place of the optical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optical film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 release sheet (SP-PET3801, manufactured by Lintec, thickness: 38 μm) in which on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with a silicone-based release agent was used. Using th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prepared. Specifically, the release sheet was laminated on the exposed coating film of the structure comprising the release sheet/coating film of the adhesive composition obtain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xamples or Comparative Examples so that the release treatment surface side was in contact with it, and at 23°C, 50 It was cured for 7 days under the condition of %RH. Thu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osed of a release sheet (SP-PET3801)/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ickness: 20 µm)/a release sheet (SP-PET3811) was produced.

얻어진 점착 시트를 80 mm × 80 mm 사이즈로 재단하여, 그 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제 메시 (메시 사이즈 200) 에 싸고,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시 단독의 질량을 감산함으로써,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 때의 질량을 M1 로 한다.The resulting PSA sheet is cut to a size of 80 mm × 80 mm, the PSA layer is wrapped in a polyester mesh (mesh size 200), the mass is weighed with a precision balance, and the mass of the mesh alone is subtracted to obtain only the PSA. The mass of was calculated. Let the mass at this time be M1.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제 메시에 싸인 점착제를, 실온하 (23 ℃) 에서 아세트산에틸에 24 시간 침지시켰다. 그 후 점착제를 꺼내어, 온도 23 ℃, 상대 습도 50 % 의 환경하에서, 24 시간 풍건시키고, 또한 80 ℃ 의 오븐 중에서 12 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시 단독의 질량을 감산함으로써,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 때의 질량을 M2 로 한다. 겔분율 (%) 은, (M2/M1) × 100 으로 표시된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Next, the adhesive wrapped in the polyester mesh was immersed in ethyl acetate at room temperature (23°C) for 24 hours. After that, the adhesive was taken out and air-dried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23°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for 24 hours, and further dried in an 80°C oven for 12 hours. After drying, the mass of the adhesive alone was calculated by weighing the mass with a precision balance and subtracting the mass of the mesh alone. Let the mass at this time be M2. Gel fraction (%) is represented by (M2/M1) x 100. A result is shown in Table 2.

[시험예 2] (내구성 평가) [Test Example 2] (durability evaluat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재단하여, 150 mm × 200 mm 크기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샘플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무알칼리 유리 (코닝사 제조, 이글 XG) 에 첩부한 후, 쿠리하라 제작소 제조의 오토클레이브로 0.5 MPa, 50 ℃ 에서, 20 분 가압하였다.The optical films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ut to prepare samples having a size of 150 mm × 200 mm. After peeling off the release sheet from this sample and attaching it to alkali-free glass (Eagle XG, manufactured by Corning Co., Ltd.) via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was pressurized at 0.5 MPa and 50°C for 20 minutes in an autoclave manufactured by Kurihara Manufacturing Co., Ltd. .

그 후, 하기 3가지 내구 조건의 환경하에 투입하고, 250 시간 후에 10 배 루페를 사용하여 들뜸이나 벗겨짐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After that, it was introduced under the following three durability conditions, and after 250 hou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fting or peeling was confirmed using a 10-fold loupe.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A result is shown in Table 2.

◎ : 들뜸이나 벗겨짐이 확인되지 않았다.(double-circle): No lifting or peeling was observed.

○ : 0.5 mm 이하 크기의 들뜸이나 벗겨짐이 확인되었다.○: Lifting or peeling with a size of 0.5 mm or less was confirmed.

△ : 0.5 mm 초과, 1.0 mm 이하 크기의 들뜸이나 벗겨짐이 확인되었다.△: Lifting or peeling with a size of more than 0.5 mm and less than 1.0 mm was confirmed.

× : 1.0 mm 초과 크기의 들뜸이나 벗겨짐이 확인되었다.x: Lifting or peeling with a size exceeding 1.0 mm was confirmed.

<내구 조건><Durability conditions>

·내열 : 85 ℃ dryHeat resistance: 85 ℃ dry

·습열 : 60 ℃, 상대 습도 90 % RHMoist heat: 60 ℃, relative humidity 90% RH

·H.S. : -35 ℃ ⇔ 70 ℃ 의 각 30 분의 히트 쇼크 시험, 200 사이클·H.S. : -35 ℃ ⇔ 70 ℃ heat shock test for 30 minutes each, 200 cycles

[시험예 3] (내휨성 평가) [Test Example 3] (Evaluation of warpage resistanc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세로 200 mm, 가로 150 mm 가 되도록 재단하였다. 그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세로 250 mm, 가로 175 mm, 두께 0.5 mm 의 무알칼리 유리 (코닝사 제조, 상품명 「Eagle-XG」) 의 중앙부에 첩합하여, 이것을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을, 85 ℃, 건조 분위기하에서, 250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25 ℃, 50 % RH 의 환경하에 꺼내어, 편광판측을 위로 하여 수평의 대 상에 놓고, 샘플의 각 모서리 (4 점) 의 대로부터의 휨량 (모서리와 대의 거리) 을 측정하여, 각 모서리의 휨량을 합계하였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내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Optical films with an adhesive layer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ut to a length of 200 mm and a width of 150 mm. The release sheet was peeled off from the optical film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bonded to the central portion of 250 mm long, 175 mm wide, and 0.5 mm thick alkali-free glass (manufactured by Corning, trade name "Eagle-XG"), , this was taken as a sample. This sample was left to stand at 85°C in a dry atmosphere for 250 hours. After that, it was taken out in an environment of 25 ° C. and 50% RH, placed on a horizontal table with the polarizing plate side up, and the amount of warping (distance between the corner and the table) from the table at each corner (4 points) of the sample was measured, and each The deflection amount of the corner was summed. Based on the results, the warpage resistance was evaluated as follows. A result is shown in Table 2.

◎ : 휨량의 합계가 10 mm 이하◎: The total amount of deflection is 10 mm or less

○ : 휨량의 합계가 10 mm 초과, 15 mm 이하○: The total amount of deflection exceeds 10 mm and is 15 mm or less

△ : 휨량의 합계가 15 mm 초과, 20 mm 이하△: The total amount of deflection exceeds 15 mm and is 20 mm or less

× : 휨량의 합계가 20 mm 초과×: The total amount of deflection exceeds 20 mm

[시험예 4] (내열 불균일성의 평가) [Test Example 4] (Evaluation of heat resistance nonuniformity)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재단 장치 (오기노 제작소사 제조의 슈퍼 커터, PN1-600) 를 사용하여 200 mm × 150 mm 사이즈로 조정하였다.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무알칼리 유리 (코닝사 제조, 이글 XG) 에 첩부한 후, 쿠리하라 제작소 제조의 오토클레이브로 0.5 MPa, 50 ℃ 에서, 20 분 가압하였다. 또한, 상기 첩합은, 무알칼리 유리의 표리에,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편광축이 크로스 니콜 상태 (편광축 : ∠45°, ∠135°) 가 되도록 실시하였다. 이 상태에서, 80 ℃ dry 환경하에서 250 시간 방치한 후, 23 ℃, 50 % RH 의 환경하에서 2 시간 방치하고, 이것을 샘플로 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내열 불균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The optical film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adjusted to a size of 200 mm x 150 mm using a cutting device (super cutter, PN1-600 manufactured by Ogino Manufacturing Co., Ltd.). After peeling off the release sheet and attaching it to alkali-free glass (Eagle XG, manufactured by Corning Co., Ltd.) via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was pressurized at 0.5 MPa and 50°C for 20 minutes in an autoclave manufactured by Kurihara Works. In addition, the said bonding was performed so that the polarization axis might become a crossed nicol state (polarization axis: ∠45°, ∠135°) of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alkali-free glass. In this state, after leaving it for 250 hours in an 80°C dry environment, it was left for 2 hours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and this was used as a sample to evaluate heat resistance nonuniformity by the method shown below. A result is shown in Table 2.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상기 샘플을 플랫 일루미네이터 (덴츠 산업사 제조, HF-SL-A312LC, 조도 : 26,000 Lux, 휘도 : 10,000 cd) 상에 설치하고, 2차원 색채 휘도계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CA-2000) 로 촬영하고, 해석 소프트웨어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CA-S20w) 에 의해 휘도 분포 화상으로 변환하였다. 얻어진 샘플의 휘도 분포 화상을, 도 4 및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The sample was installed on a flat illuminator (HF-SL-A312LC, manufactured by Dentsu Sangyo Co., Ltd., illuminance: 26,000 Lux, luminance: 10,000 cd), and photographed with a two-dimensional color luminance meter (CA-2000,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It was converted into a luminance distribution image by analysis software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CA-S20w). The luminance distribution image of the obtained sample was evaluated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shown in Fig. 4 and below.

◎ : 휘도 분포가 거의 균일하다◎: The luminance distribution is almost uniform

○ : 4 변의 휘도 분포에 약간의 변형이 있다○: There is slight deformation in the luminance distribution of the 4 sides

△ : 4 변의 휘도 분포에 명확한 변형이 있다△: There is a clear deformation in the luminance distribution on the 4 sides

× : 4 변의 휘도 분포에 심한 변형이 있다.x: The luminance distribution on the 4 sides is severely distorted.

[시험예 5] (점착력 측정-리워크성 평가) [Test Example 5] (adhesion measurement-reworkability evaluat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으로부터, 25 mm 폭, 100 mm 길이의 샘플을 잘라내어,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무알칼리 유리 (코닝사 제조, 이글 XG) 에 첩부한 후, 쿠리하라 제작소사 제조의 오토클레이브로 0.5 MPa, 50 ℃ 에서, 20 분 가압하였다. 그 후, 23 ℃, 50 % RH 의 조건하에서 24 시간 방치하고 나서, 인장 시험기 (오리엔테크사 제조, 텐실론) 를 이용하여, 박리 속도 300 mm/min,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서 점착력 (첩부 1 일 후의 점착력; N/25 mm) 을 측정하였다. 여기에 기재한 것 이외의 조건은 JIS Z 0237 : 2009 에 준거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A sample having a width of 25 mm and a length of 100 mm was cut out from the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release sheet was peeled off, and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passed through the alkali-free glass (Eagle XG, manufactured by Corning). After sticking, it was pressurized at 0.5 MPa and 50 degreeC for 20 minutes with the autoclave by the Kurihara Manufacturing Co., Ltd. product. Then, after leaving it to stand for 24 hours under conditions of 23 ° C. and 50% RH, using a tensile tester (manufactured by Orientec Co., Ltd., Tensilon), the adhesive strength (attachment 1 Adhesion after days; N/25 mm) was measured. Condi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here were measured based on JIS Z 0237:2009. A result is shown in Table 2.

또한, 23 ℃, 50 % RH 의 조건하에서 14 일 방치하고 나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력 (첩부 14 일 후의 점착력; N/25 mm) 을 측정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50 ℃, 50 % RH 의 조건하에서 2 일 방치하고 나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력 (50 ℃ 2 일 후의 점착력; N/25 mm)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Furthermore, after leaving it to stand for 14 days under the conditions of 23 degreeC and 50%RH, it carried out similarly to the above and measured the adhesive force (adhesive force after 14 days of sticking; N/25 mm). Separately, after leaving it to stand for 2 days under conditions of 50°C and 50% RH, the adhesive force (adhesive force after 2 days at 50°C; N/25 mm)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 result is shown in Table 2.

상기 첩부 14 일 후의 점착력에 기초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리워크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Based on the adhesive strength after 14 days of application, reworkab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 result is shown in Table 2.

◎ : 첩부 14 일 후의 점착력이 8.8 N/25 mm 이하◎: Adhesion after 14 days of application is 8.8 N/25 mm or less

○ : 첩부 14 일 후의 점착력이 8.8 N/25 mm 초과, 10 N/25 mm 미만○: The adhesive strength after 14 days of attachment is more than 8.8 N/25 mm and less than 10 N/25 mm

△ : 첩부 14 일 후의 점착력이 10 N/25 mm 이상, 20 N/25 mm 미만△: The adhesive force after 14 days of attachment is 10 N/25 mm or more and less than 20 N/25 mm

× : 첩부 14 일 후의 점착력이 20 N/25 mm 이상×: The adhesive strength after 14 days of sticking is 20 N/25 mm or more

[시험예 6]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 [Test Example 6] (Measurement of surface resistivity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을 5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하고, 얻어진 샘플을 23 ℃ 의 온도, 50 % RH 의 습도하에 24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 표면에 대하여, 저항률계 (미츠비시 화학 아날리테크사 제조, 하이레스타 UP MCP-HT450 형) 를 사용하여, JIS K6911 에 준하여 표면 저항률 (Ω/sq)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The optical films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ut to a size of 50 mm x 50 mm, and the obtained samples were allowed to stand for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23°C and a humidity of 50% RH. After that, the release sheet was peeled off, and the surface resistivity (Ω/sq) was measured on the surface of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JIS K6911 using a resistivity meter (Hirestar UP MCP-HT450 type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Analytech Co., Ltd.) ) was measured. A result is shown in Table 2.

Figure 112016027857190-pat00001
Figure 112016027857190-pat00001

Figure 112016027857190-pat00002
Figure 112016027857190-pat00002

표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내구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열 불균일도 잘 생기지 않았다. 또, 실시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률이 낮고, 액정 셀 등에 대한 악영향이 작은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1 ∼ 22 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고온하에서도 잘 휘지 않았다. 그리고 또한, 실시예 1 ∼ 20 및 22 ∼ 24 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리워크성도 우수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2, while being excellent in durability,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obtained in the example did not easily generate heat unevenness either. Moreover,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obtained in the Example was low, and the bad influence with respect to a liquid crystal cell etc. was small. Moreover,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obtained in Examples 1-22 did not bend easily also under high temperature. Further, the optical films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xamples 1 to 20 and 22 to 24 were also excellent in reworkability.

본 발명에 관련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은, 박막화한 편광판이나 복합 편광판과, 액정 셀을 첩합하는 데에 적합하다.The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bonding a thin polarizing plate or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cell together.

10A, 10B :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1 : 점착제층
2A : 편광판
2B : 복합 편광판
21 : 편광자
22 : 제1 보호층
23 : 제2 보호층
24 : 제1 위상차판
241 : 제1 아크릴계 수지층
242 : 위상차 발현층
243 : 제2 아크릴계 수지층
25 : 제2 위상차판
26 : 제2 점착제층
27 : 보호층
10A, 10B: Optical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 adhesive layer
2A: polarizer
2B: composite polarizer
21: polarizer
22: first protective layer
23: second protective layer
24: first retardation plate
241: first acrylic resin layer
242: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243: second acrylic resin layer
25: second retardation plate
26: second adhesive layer
27: protective layer

Claims (13)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점착제층
을 구비한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은,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점착제층은,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a1) 및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와,
가교제 (B)
를 함유하며, 또한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이고,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방향고리 함유 모노머 (a2) 를 1 ~ 30 질량%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n optical fil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ptical film
As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provided with,
A surface of the optical film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ade of an acrylic res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containing an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1) and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Crosslinker (B)
contains, and also
The conten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s 5% by mass or less,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is composed of an adhesive obtain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1 to 30% by mass of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onomer (a2)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Layered optical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최표층은, 압출 성형을 거쳐 형성된 아크릴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most layer of the optical film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n acrylic resin layer formed through extrusion mold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적어도,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과 위상차 발현층을 갖는 위상차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2,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film includes at least a retardation plate having the acrylic resin layer and a retardation developing lay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발현층은,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3,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difference expression layer is made of a styrenic resi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은, 상기 위상차 발현층에 있어서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 제2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3,
The said retardation plate has a 2nd acrylic resin layer on the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said acrylic resin layer in the said retardation expression layer,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는, 제2 위상차판이 더욱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3,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retardation plate is further laminated on a surface side of the retardation plat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차판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6,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is made of cycloolefin-based resi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상기 위상차판측의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는, 편광판이 더욱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6,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a polarizing plate is further laminated on a surface side of the second retardation plat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retardation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a3) 를 더욱 함유하고,
수산기가가 5 ∼ 20 mgKOH/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
As a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is further contained,
An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by having a hydroxyl value of 5 to 20 mgKOH/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said crosslinking agent (B) is an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C) 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said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 silane coupling agent (C),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 (D) 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said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n antistatic agent (D)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 (D) 가, 실온에서 고체이고, 함질소 복소고리 카티온과 할로겐화인산 아니온으로 구성되는 이온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According to claim 12,
The optical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static agent (D) is an ionic compound that is solid at room temperature and is composed of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ation and a halogenated phosphoric acid anion.
KR1020160034508A 2015-03-27 2016-03-23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1024693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7570A JP6495067B2 (en) 2015-03-27 2015-03-27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JPJP-P-2015-067571 2015-03-27
JP2015067571A JP6550250B2 (en) 2015-03-27 2015-03-27 Adhesive film with optical film
JPJP-P-2015-067570 2015-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765A KR20160115765A (en) 2016-10-06
KR102469384B1 true KR102469384B1 (en) 2022-11-21

Family

ID=5708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508A KR102469384B1 (en) 2015-03-27 2016-03-23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69384B1 (en)
CN (1) CN106003940B (en)
TW (1) TWI69157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065B1 (en) * 2016-03-31 2020-02-26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m for manufacturing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arts
JP2019133049A (en) * 2018-02-01 2019-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with surface protective film
KR102478586B1 (en) * 2018-09-28 2022-12-19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In-mold labels and containers with in-mold labels
KR102403281B1 (en) * 2018-12-04 2022-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13227854A (en) * 2018-12-27 2021-08-06 日东电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3515A (en) * 2011-06-21 2013-01-07 Sumitomo Chemical Co Ltd Composite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13099683A1 (en) 2011-12-28 2013-07-04 綜研化学株式会社 Optical member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using same, optical member provided with adhesive layer, and flat pane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1477B2 (en) 2008-03-13 2014-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mem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ptical mem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member,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1813798B (en) * 2009-02-23 2013-08-28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und polarization plate and an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248178A (en) * 2010-05-28 2011-12-08 Sumitomo Chemic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3515A (en) * 2011-06-21 2013-01-07 Sumitomo Chemical Co Ltd Composite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13099683A1 (en) 2011-12-28 2013-07-04 綜研化学株式会社 Optical member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using same, optical member provided with adhesive layer, and flat pane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03940A (en) 2016-10-12
TW201708461A (en) 2017-03-01
CN106003940B (en) 2020-05-26
KR20160115765A (en) 2016-10-06
TWI691577B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343B1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102362344B1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102492872B1 (en) Adhes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102444987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102469384B1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JP6495067B2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JP6444793B2 (en) Adhes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JP6438818B2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102557510B1 (en)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layer
JP6837282B2 (en)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JP6550250B2 (en) Adhesive film with optical film
JP6594782B2 (en)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layer
JP2016186617A (en)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