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371B1 -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371B1
KR102469371B1 KR1020210100498A KR20210100498A KR102469371B1 KR 102469371 B1 KR102469371 B1 KR 102469371B1 KR 1020210100498 A KR1020210100498 A KR 1020210100498A KR 20210100498 A KR20210100498 A KR 20210100498A KR 102469371 B1 KR102469371 B1 KR 10246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plastic sheet
temperature
cutt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정테크
Priority to KR102021010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5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성형 압출된 플라스틱 시트에 대한 냉각과정에서 플라스틱 시트를 압착하여 냉각시키는 압착롤러의 내부에 구현된 냉각수로로 공급하는 냉각수에 대해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복수의 냉각수를 구비한 후,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이상 온도가 되는 경우 현재 사용되는 기준 냉각수의 온도와 다른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대체 냉각수가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신속하게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PLASTIC SHEE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과정 중 성형 압출된 플라스틱 시트에 대한 냉각과정에서 플라스틱 시트를 압착하여 냉각시키는 압착롤러의 내부에 구현된 냉각수로로 공급하는 냉각수에 대해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복수의 냉각수를 구비한 후,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이상 온도가 되는 경우 현재 사용되는 기준 냉각수의 온도와 다른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대체 냉각수가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신속하게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시트는 박막의 합성수지를 의미한 것으로, 전자 제품 또는 음식물 등의 포장 용기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열가소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성형재료를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만들어 압출하고 이를 롤러로 압축/냉각하여 원하는 두께로 만들고 표면을 폴리싱하면서 응고시켜 제조하게 된다.
이때, 위와 같은 플라스틱 시트 제조 과정 중 용융 상태로 압출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용 합성수지를 압축/냉각하는 과정은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로 냉각 온도가 정확하게 조절되지 않는 경우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되고 투명도가 조절되지 않아 불투명한 상태로 되는 등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플라스틱 시트 제조의 압축/냉각 과정에서 냉각 온도의 조절은 숙련된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한 수작업 조절로 이루어지고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플라스틱 시트의 불량 발생율이 달라지는 등 플라스틱 시트의 안정적인 생산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9-0013294호(공개일자 2019년 02월 11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시트 제조 과정 중 성형 압출된 플라스틱 시트에 대한 냉각과정에서 플라스틱 시트를 압착하여 냉각시키는 압착롤러의 내부에 구현된 냉각수로로 공급하는 냉각수에 대해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복수의 냉각수를 구비한 후,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이상 온도가 되는 경우 현재 사용되는 기준 냉각수의 온도와 다른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대체 냉각수가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신속하게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는,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설정된 크기의 합성수지 알갱이가 원재료로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 투입된 상기 원재료를 용융시켜 용융 수지로 만들고 상기 용융 수지를 압출시키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용융 수지를 제1 폭을 가지는 시트형상으로 성형 압출하는 시트 생성기와, 상기 시트 형상으로 성형 압출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냉각하면서 평탄화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의 양면에 대전 방지제를 도포시키는 도포기와, 상기 대전 방지제가 경화되도록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열풍 건조시켜 상기 대전 방지제가 도포된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생성하는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기는,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하강하는 상기 시트 생성기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1 압착롤러와 대향되게 위치되고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제1 압착롤러와 함께 밀착 냉각시키는 제2 압착롤러와,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냉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표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수로와, 제1 냉각수를 보관하며 상기 제1 냉각수를 제1 온도로 유지시키는 제1 냉각수 보관부와, 제2 냉각수를 보관하며 상기 제2 냉각수를 상기 제1 온도보다 기설정된 제1 오프셋값 만큼 낮은 제2 온도로 유지시키는 제2 냉각수 보관부와, 제3 냉각수를 보관하며 상기 제3 냉각수를 상기 제1 온도보다 상기 제1 오프셋값 만큼 높은 제3 온도로 유지시키는 제3 냉각수 보관부와, 상기 제1 냉각수, 상기 제2 냉각수 또는 제3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냉각수가 기준 냉각수로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냉각기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를 수신한 후, 상기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2 냉각수가 대체 냉각수로 설정되어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의 최소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3 냉각수가 대체 냉각수로 설정되어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체 냉각수 대신 상기 제1 냉각수가 다시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내에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체 냉각수가 상기 제2 냉각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냉각수 보관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상기 제1 오프셋값의 2배 만큼 더 낮은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큰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냉각수 대신 상기 제1 냉각수가 다시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내에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체 냉각수가 상기 제3 냉각수인 경우에는 상기 제3 냉각수 보관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 냉각수의 제3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상기 제1 오프셋값의 2배 만큼 더 높은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 냉각수 대신 상기 제1 냉각수가 다시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표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난 상기 표면온도에 의해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미리 계산된 최대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는, 제1 히팅 온도로 가열되는 제1 히터와, 상기 제1 히팅 온도보다 기설정된 제3 오프셋값 만큼 낮은 제2 히팅 온도로 가열되는 제2 히터와, 상기 제1 히팅 온도보다 상기 제3 오프셋값 만큼 높은 제3 히팅 온도로 가열되는 제3 히터와, 상기 대전 방지제가 도포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열풍 건조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히터, 상기 제2 히터 또는 상기 제3 히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열풍을 방사하는 것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건조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를 측정하는 건조상태 검사부와,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히터가 기준 히터로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1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2 히터가 대체 히터로 설정되어 상기 제2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2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하고, 상기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3 히터가 대체 히터로 설정되어 상기 제3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3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하는 건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3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경화도가 상기 기준 경화도 범위가 되는 경우,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체 히터 대신 상기 제1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제1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건조기의 후단에서 건조가 완료된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타겟 재단폭으로 재단하는 재단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단기는,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폭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상부에 상기 이송롤러와 제1 거리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재단 가이드바와,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제1 칼날을 포함하여 상기 재단 가이드바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재단 가이드바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재단 가이드바의 정중앙의 제1 지점까지 이동하고, 상기 제1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일측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와,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제2 칼날을 포함하여 상기 재단 가이드바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재단 가이드바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고, 상기 제2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타측을 절단하는 제2 절단부와,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이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재단 가이드바를 상기 이송롤러상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가이드 구동부와,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대해 재단 요청된 상기 타겟 재단 폭에 맞게 상기 제1 절단부와 상기 제2 절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재단 가이드바상에 계산된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이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재단 가이드바를 상기 이송롤러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재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기는,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실제 폭을 측정하는 시트 폭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단 제어부는, 상기 실제 폭과 상기 타겟 재단 폭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타겟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기는,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절단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절단면을 분석하여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완전히 절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단면 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단 제어부는,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완전히 절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이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접촉되는 접촉 강도가 기설정된 오프셋값만큼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기는, 상기 타겟 재단 폭을 입력하는 조작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입력된 타겟 재단 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재단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기는, 외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타겟 재단 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겟 재단 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재단 제어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성형 압출된 플라스틱 시트에 대한 냉각과정에서 플라스틱 시트를 압착하여 냉각시키는 압착롤러의 내부에 구현된 냉각수로로 공급하는 냉각수에 대해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복수의 냉각수를 구비한 후,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이상 온도가 되는 경우 현재 사용되는 기준 냉각수의 온도와 다른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대체 냉각수가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신속하게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의 전체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냉각기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건조기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재단기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냉각수로가 형성된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사진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재단기의 이송롤러의 사진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포장기의 권취롤러의 사진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의 전체 장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냉각기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건조기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재단기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냉각수로가 형성된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사진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재단기의 이송롤러의 사진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포장기의 권취롤러의 사진 예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100)는 호퍼(110), 압출기(120), 시트 생성기(130), 냉각기(140), 도포기(150), 건조기(160), 재단기(170), 포장기(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퍼(110)는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설정된 크기의 합성수지 알갱이가 원재료로 투입된다. 이러한 원재료는 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등이 될 수 있다.
압출기(120)는 호퍼로 투입된 원재료를 용융시켜 용융 수지로 만들고 용융 수지를 압출시킨다.
시트 생성기(130)는 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수지를 제1 폭을 가지는 시트형상으로 성형 압출한다.
냉각기(140)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 압출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냉각하면서 평탄화시킨다.
이러한 냉각기(140)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압착롤러(310), 제2 압착롤러(312), 냉각기 온도센서(314), 냉각수로(316), 제1 냉각수 보관부(318), 제2 냉각수 보관부(320), 제3 냉각수 보관부(322), 냉각수 공급부(324), 냉각 제어부(3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기 온도센서(314)는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와 같이 측정한 표면 온도값을 냉각 제어부로 제공한다.
제1 압착롤러(310)는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하강하는 시트 생성기의 하부 일측에 제2 압착롤러와 대향되게 위치되고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제2 압착롤러와 함께 압착 냉각시킨다.
제2 압착롤러(312)는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하강하는 시트 생성기의 하부 일측에 제1 압착롤러와 대향되게 위치되고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제1 압착롤러와 함께 압착 냉각시킨다.
냉각수로(316)는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표면 하부 상,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내부에 형성되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 냉각수, 제2 냉각수 또는 제3 냉각수를 흐르는 수로를 의미한다. 이러한 냉각수로는 제1 냉각수, 제2 냉각수 또는 제3 냉각수에 의해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표면을 냉각시키게 된다.
제1 냉각수 보관부(318)는 제1 냉각수를 보관하며 제1 냉각수를 제1 온도로 유지시킨다.
제2 냉각수 보관부(320)는 제2 냉각수를 보관하며 제2 냉각수를 제1 온도보다 기설정된 제1 오프셋값 만큼 낮은 제2 온도로 유지시킨다.
제3 냉각수 보관부(322)는 제3 냉각수를 보관하며 제3 냉각수를 제1 온도보다 제1 오프셋값 만큼 높은 제3 온도로 유지시킨다.
냉각수 공급부(324)는 냉각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냉각수, 상기 제2 냉각수 또는 제3 냉각수를 냉각수로로 공급하여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표면이 기설정된 온도로 냉각되도록 한다.
냉각 제어부(326)는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제1 냉각수가 기준 냉각수로 설정되도록 하고, 제1 냉각수가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냉각 제어부는 냉각기 온도센서를 통해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를 수신한 후,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아지는 경우 제2 냉각수가 대체 냉각수로 설정되어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기준 온도 범위는 원시 플라스틱 시트의 냉각과정에서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이 불투명하게 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계산된 온도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이러한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의 최대값보다 높아졌다는 것은 제1 냉각수의 제1 온도가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를 조절하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냉각 제어부는 제1 온도보다 제1 오프셋값만큼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제2 냉각수가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시트 생성기에서 생성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의 온도는 대략 230℃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원시 플라스틱 시트는 냉각기에서 대략 70∼80℃ 정도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온도 범위는 냉각기를 통과한 원시 플라스틱 시트의 온도가 70∼80℃ 되도록 하는 값으로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냉각 제어부(326)는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의 최소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3 냉각수가 대체 냉각수로 설정되어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냉각 제어부는 기준 냉각수를 제2 냉각수 또는 제3 냉각수의 대체 냉각수로 대체하고,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이 경과된 후,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로 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대체 냉각수 대신 제1 냉각수가 다시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1 냉각수의 제1 온도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에서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계산된 가장 바람직한 온도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는 일시적일 수 있으므로, 냉각 제어부는 제2 냉각수 또는 제3 냉각수를 통해 공급하여 표면온도가 다시 기준 온도 범위가 되도록 안정된 경우에는, 제1 냉각수가 다시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 제어부(326)는 위와 같은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내에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가 되지 않는 경우, 대체 냉각수가 제2 냉각수인 경우에는 제2 냉각수 보관부를 제어하여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가 제1 온도보다 제1 오프셋값의 2배 만큼 더 낮은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제1 기준 시간보다 큰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지를 다시 검사하고,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제2 냉각수 대신 제1 냉각수가 다시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2 기준 시간은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난 표면온도에 의해 원시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미리 계산된 최대 시간일 수 있다.
또한, 냉각 제어부(326)는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내에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가 되지 않는 경우, 대체 냉각수가 제3 냉각수인 경우에는 제3 냉각수 보관부를 제어하여 제3 냉각수의 제3 온도가 제1 온도보다 제1 오프셋값의 2배 만큼 더 높은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표면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냉각수 공급부(324)를 제어하여 제3 냉각수 대신 제1 냉각수가 다시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도포기(150)는 원시 플라스틱 시트의 양면에 대전 방지제를 도포시킨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로 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독일회사 M.J. Additive GmbH의 제품 MJ503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물 또는 알콜과 대전 방지제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대전 방지제의 코팅 두께는 물 또는 알콜과 희석되는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건조기(160)는 대전 방지제가 경화되도록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열풍 건조시켜 대전 방지제가 도포된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건조기(160)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히터(410), 제2 히터(412), 제3 히터(414), 하우징(416), 송풍부(418), 건조상태 검사부(420), 건조 제어부(4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터(410)는 제1 히팅 온도로 가열되어 제1 히팅 온도의 열을 방출한다.
제2 히터(412)는 제1 히팅 온도보다 기설정된 제3 오프셋값 만큼 낮은 제2 히팅 온도로 가열되어 제2 히팅 온도의 열을 방출한다.
제3 히터(414)는 상기 제1 히팅 온도보다 상기 제3 오프셋값 만큼 높은 제3 히팅 온도로 가열되어 제3 히팅 온도의 열을 방출한다.
하우징(416)은 대전 방지제가 도포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이송되는 일정 구간상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인입되는 인입구와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구 이외에 공간이 밀폐되도록 형성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우징을 통해 대전 방지제가 도포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제1 히터, 제2 히터 또는 제3 히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열풍 건조되도록 한다.
송풍부(418)는 건조 제어부(422)의 제어에 따라 제1 히터, 제2 히터 또는 제3 히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열풍을 방사하는 것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송되는 대전 방지제가 도포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건조시킨다.
건조상태 검사부(420)는 하우징을 통과한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건조상태 검사부에서 경화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공지된 다양한 비접촉 방식의 물질 성분 분석 방법 중 하나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 제어부(422)는 송풍부(418)를 제어하여 제1 히터가 기준 히터로 설정되도록 하고, 제1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1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건조 제어부(422)는 건조상태 검사부를 통해 측정된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의 최대값보다 높아지는지 여부를 검사한 후,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아지는 경우 제2 히터가 대체 히터로 설정되어 제2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2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한다.
이때, 기준 경화도 범위는 원시 플라스틱 시트의 건조과정에서 플라스틱 시트상 대전 방지제가 정상적으로 경화된 상태를 의미하는 미리 계산된 경화도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이러한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의 최대값보다 높아졌다는 것은 제1 히터로부터 발생한 열의 제1 히팅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건조 제어부는 제1 히팅 온도보다 제3 오프셋값만큼 낮은 제2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하여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건조 제어부(422)는 이와 달리,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3 히터가 대체 히터로 설정되어 제3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3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건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3 기준 시간 경과 후,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가 되는 경우, 송풍부를 제어하여 대체 히터 대신 제1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제1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다시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한다.
재단기(170)는 건조기의 후단에서 건조가 완료된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원시 플라스틱 시트의 제1 폭보다 작은 타겟 재단폭으로 재단한다.
이러한 재단기(170)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송롤러(510), 재단 가이드바(512), 제1 절단부(514), 제2 절단부(516), 가이드 구동부(520), 시트 폭 측정부(522), 카메라(524), 절단면 분석부(526), 통신부(528), 재단 제어부(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510)는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최종 플라스틱 시트(197)를 폭방향으로 지지하여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한다.
재단 가이드바(512)는 이송롤러의 상부에 이송롤러와 제1 거리 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 절단부(514)는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제1 칼날(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재단 가이드바 상에 설치되며, 재단 가이드바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재단 가이드바의 정중앙의 제1 지점까지 이동하고, 제1 칼날을 이용하여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일측을 절단한다.
제2 절단부(516)는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제2 칼날(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재단 가이드바 상에 설치되며, 재단 가이드바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제1 지점까지 이동하고, 제2 칼날을 이용하여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타측을 절단한다.
가이드 구동부(520)는 재단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제1 칼날과 제2 칼날이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할 수 있도록 재단 가이드바를 이송롤러상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킨다.
시트 폭 측정부(522)는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실제 폭을 측정하고, 측정된 폭에 대한 정보를 재단 제어부로 제공한다.
카메라(524)는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절단면을 촬영한다.
절단면 분석부(526)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절단면을 분석하여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완전히 절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러한 판단 결과를 재단 제어부에 제공한다.
조작패널(518)은 타겟 재단 폭을 입력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타겟 재단 폭 정보를 재단 제어부로 전송한다.
통신부(528)는 외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타겟 재단 폭을 수신하는 경우 타겟 재단 폭에 대한 정보를 재단 제어부를 전송한다.
재단 제어부(530)는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대해 재단 요청된 타겟 재단 폭에 맞게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를 제어하여 재단 가이드바상에 계산된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며, 이동이 완료된 경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이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접촉되도록 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재단 가이드바를 이송롤러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또한, 재단 제어부(530)는 실제 폭과 타겟 재단 폭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타겟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타겟 위치를 조정함에 있어서, 재단 제어부(530)는 예를 들어 실제 폭이 타겟 재단폭보다 기준 오차를 벗어나서 큰 경우 타겟 재단폭이 이전 폭 설정값보다 넓게 설정되도록 타겟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재단 제어부는 예를 들어 실제 폭이 타겟 재단폭보다 기준 오차를 벗어나서 작은 경우 타겟 재단폭이 이전 폭 설정값보다 좁게 설정되도록 타겟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재단 제어부(530)는 절단면 분석부(526)를 통해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완전히 절단되지 않은 경우, 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제1 칼날과 제2 칼날이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접촉되는 접촉 강도가 기설정된 오프셋값만큼 높아지도록 제어하여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제1 칼날과 제2 칼날에 의해 완전히 절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포장기(180)는 재단기를 통해 사이드 스크랩 절단이 완료된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기설정된 일정 길이만큼 권취롤(810)에 감는다. 이와 같이 일정 길이의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감겨진 권취롤은 제품으로 출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성형 압출된 플라스틱 시트에 대한 냉각과정에서 플라스틱 시트를 압착하여 냉각시키는 압착롤러의 내부에 구현된 냉각수로로 공급하는 냉각수에 대해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복수의 냉각수를 구비한 후,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이상 온도가 되는 경우 현재 사용되는 기준 냉각수의 온도와 다른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대체 냉각수가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가 신속하게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10 : 호퍼 120 : 압출기
130 : 시트 생성기 140 : 냉각기
150 : 도포기 160 : 건조기
170 : 재단기 180 : 포장기
310 : 제1 압착롤러 312 : 제2 압착롤러
314 : 냉각기 온도센서 316 : 냉각수로
318 : 제1 냉각수 보관부 320 : 제2 냉각수 보관부
322 : 제3 냉각수 보관부 324 : 냉각수 공급부
326 : 냉각 제어부

Claims (13)

  1.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설정된 크기의 합성수지 알갱이가 원재료로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 투입된 상기 원재료를 용융시켜 용융 수지로 만들고 상기 용융 수지를 압출시키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용융 수지를 제1 폭을 가지는 시트형상으로 성형 압출하는 시트 생성기와, 상기 시트 형상으로 성형 압출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냉각하면서 평탄화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의 양면에 대전 방지제를 도포시키는 도포기와, 상기 대전 방지제가 경화되도록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열풍 건조시켜 상기 대전 방지제가 도포된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생성하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의 후단에서 건조가 완료된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타겟 재단폭으로 재단하는 재단기를 더 포함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하강하는 상기 시트 생성기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1 압착롤러와 대향되게 위치되고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제1 압착롤러와 함께 밀착 냉각시키는 제2 압착롤러와,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냉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표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수로와, 제1 냉각수를 보관하며 상기 제1 냉각수를 제1 온도로 유지시키는 제1 냉각수 보관부와, 제2 냉각수를 보관하며 상기 제2 냉각수를 상기 제1 온도보다 기설정된 제1 오프셋값 만큼 낮은 제2 온도로 유지시키는 제2 냉각수 보관부와, 제3 냉각수를 보관하며 상기 제3 냉각수를 상기 제1 온도보다 상기 제1 오프셋값 만큼 높은 제3 온도로 유지시키는 제3 냉각수 보관부와, 상기 제1 냉각수, 상기 제2 냉각수 또는 제3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냉각수가 기준 냉각수로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냉각기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상기 제2 압착롤러의 표면 온도를 수신한 후, 상기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2 냉각수가 대체 냉각수로 설정되어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표면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의 최소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3 냉각수가 대체 냉각수로 설정되어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는, 제1 히팅 온도로 가열되는 제1 히터와, 상기 제1 히팅 온도보다 기설정된 제3 오프셋값 만큼 낮은 제2 히팅 온도로 가열되는 제2 히터와, 상기 제1 히팅 온도보다 상기 제3 오프셋값 만큼 높은 제3 히팅 온도로 가열되는 제3 히터와, 상기 대전 방지제가 도포된 원시 플라스틱 시트가 열풍 건조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히터, 상기 제2 히터 또는 상기 제3 히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열풍을 방사하는 것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를 건조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를 측정하는 건조상태 검사부와,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히터가 기준 히터로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1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2 히터가 대체 히터로 설정되어 상기 제2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2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하고, 상기 대전 방지제의 경화도가 기준 경화도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3 히터가 대체 히터로 설정되어 상기 제3 히터로부터 발생한 제3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하는 건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단기는,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폭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상부에 상기 이송롤러와 제1 거리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재단 가이드바와,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제1 칼날을 포함하여 상기 재단 가이드바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재단 가이드바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재단 가이드바의 정중앙의 제1 지점까지 이동하고, 상기 제1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일측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와,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제2 칼날을 포함하여 상기 재단 가이드바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재단 가이드바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하고, 상기 제2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타측을 절단하는 제2 절단부와,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이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재단 가이드바를 상기 이송롤러상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가이드 구동부와,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대해 재단 요청된 상기 타겟 재단 폭에 맞게 상기 제1 절단부와 상기 제2 절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재단 가이드바상에 계산된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이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재단 가이드바를 상기 이송롤러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재단 제어부와,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실제 폭을 측정하는 시트 폭 측정부와,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의 절단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절단면을 분석하여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완전히 절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단면 분석부와, 상기 타겟 재단 폭을 입력하고 입력된 타겟 재단 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재단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작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재단 제어부는, 상기 실제 폭과 상기 타겟 재단 폭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타겟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가 완전히 절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이 상기 최종 플라스틱 시트에 접촉되는 접촉 강도가 기설정된 오프셋값만큼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체 냉각수 대신 상기 제1 냉각수가 다시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내에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체 냉각수가 상기 제2 냉각수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냉각수 보관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상기 제1 오프셋값의 2배 만큼 더 낮은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큰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냉각수 대신 상기 제1 냉각수가 다시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준 시간내에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체 냉각수가 상기 제3 냉각수인 경우에는 상기 제3 냉각수 보관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 냉각수의 제3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상기 제1 오프셋값의 2배 만큼 더 높은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표면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상기 냉각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 냉각수 대신 상기 제1 냉각수가 다시 상기 냉각수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표면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난 상기 표면온도에 의해 상기 원시 플라스틱 시트상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미리 계산된 최대 시간인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3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경화도가 상기 기준 경화도 범위가 되는 경우,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체 히터 대신 상기 제1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제1 히팅 온도의 열을 이용한 열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되도록 제어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기는,
    외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타겟 재단 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겟 재단 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재단 제어부를 전송하는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KR1020210100498A 2021-07-30 2021-07-30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KR102469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98A KR102469371B1 (ko) 2021-07-30 2021-07-30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98A KR102469371B1 (ko) 2021-07-30 2021-07-30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371B1 true KR102469371B1 (ko) 2022-11-21

Family

ID=8423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498A KR102469371B1 (ko) 2021-07-30 2021-07-30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3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453B1 (ko) * 1999-12-11 2003-03-31 주식회사 큐시스 이형압출공법에 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성형방법
KR20080056178A (ko) * 2005-09-29 2008-06-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2081595A (ja) * 2010-10-07 2012-04-26 Matsui Mfg Co 金型温度調節装置
KR101344357B1 (ko) * 2005-11-22 2013-12-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JP2018039077A (ja) * 2016-09-07 2018-03-15 株式会社セーコウ カッターユニット、シート断裁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90013294A (ko) 2017-08-01 2019-02-11 유재필 벨트프레스식 플라스틱시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21084241A (ja) * 2019-11-25 2021-06-03 芝浦機械株式会社 成形ロールの温度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453B1 (ko) * 1999-12-11 2003-03-31 주식회사 큐시스 이형압출공법에 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성형방법
KR20080056178A (ko) * 2005-09-29 2008-06-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344357B1 (ko) * 2005-11-22 2013-12-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JP2012081595A (ja) * 2010-10-07 2012-04-26 Matsui Mfg Co 金型温度調節装置
JP2018039077A (ja) * 2016-09-07 2018-03-15 株式会社セーコウ カッターユニット、シート断裁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90013294A (ko) 2017-08-01 2019-02-11 유재필 벨트프레스식 플라스틱시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21084241A (ja) * 2019-11-25 2021-06-03 芝浦機械株式会社 成形ロールの温度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2849B (zh) 用于3d打印机的能更好地控制的打印头
US7354538B2 (en) Container manufacturing inspection and control system
US20160271880A1 (en) Fused filament fabrication using liquid cooling
KR101782505B1 (ko) 폴리에틸렌 비닐 원단 제조 방법
US20120271445A1 (en) Multivariable predictive control optimizer for glass fiber forming operation
US20170297265A1 (en) Controlling temperature in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KR102469371B1 (ko) 플라스틱 시트 제조 장치
US20190176401A1 (en) Production device
CN108602203A (zh) 股线制造设备和股线制造方法
CN103978687B (zh) 一种应用皮秒激光精确控温3d打印高分子材料系统
CN101722650A (zh) 用于测量挤出机的出口处的塑性化的塑料的温度的方法和装置
US20220402209A1 (en) 3d printer with advantageous irradiation device, and method
KR10238426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한 고강성 밴드 제조 시스템
EP28905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eripheral stiffness of a wet ceramic extrudate
JP7301565B2 (ja) 造形装置、方法及び造形システム
KR102324143B1 (ko) 생분해성 일체형 필름시트를 이용한 용기 생산시스템
KR20110072672A (ko) 플라스틱 시트 압출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
KR102080191B1 (ko) 시트 건조장치
JP2009083312A (ja) 溶融押出装置及び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11198139A (ja) プリプレグ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61326B1 (ko)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WO2005090059A1 (en) Foot valve system
KR101941365B1 (ko) 비가열식 스티로폼 제조장치
Kast et al. Influences on particle shape in underwater pelletizing processes
KR10263883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밴드의 제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