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639B1 -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639B1
KR102468639B1 KR1020150138134A KR20150138134A KR102468639B1 KR 102468639 B1 KR102468639 B1 KR 102468639B1 KR 1020150138134 A KR1020150138134 A KR 1020150138134A KR 20150138134 A KR20150138134 A KR 20150138134A KR 102468639 B1 KR102468639 B1 KR 10246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ight
air purifier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567A (ko
Inventor
조현정
신대기
정재원
윤임경
이상혁
이철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6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소정 방향으로 빛을 비추도록 이루어진 조명부 및 상기 공기청정부가 동작하는 중에 상기 공기청정부의 높이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공기청정부의 높이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본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청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소정 높이의 공기를 우선하여 정화하거나, 정화된 공기가 소정 높이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공기청정기에 내장된 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도달하는 영역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AIR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쾌적하고 보다 좋은 환경에 대한 요구 또한 커지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및 세균을 제거하고 나쁜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최근에는 각종 센싱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주변 환경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실내 공기, 조명 등을 컨트롤하여 상황에 맞는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가 공기 청정 기능과 조명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 공기청정기의 높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에 내장된 조명부에 대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공기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공기 상태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실내 환경을 자동으로 조성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공기청정기들이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공기 청정을 수행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소정 방향으로 빛을 비추도록 이루어진 조명부 및 상기 공기청정부가 동작하는 중에 상기 공기청정부의 높이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공기청정부의 높이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본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청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조명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조명부에서 발생된 빛이 도달하는 영역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활동량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부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공기청정부 주변의 사용자를 자동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조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는 향을 발산하도록 이루어진 디퓨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안한 환경에서 기상하거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조명부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설정된 외부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적합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높이에 대응되는 공기 오염도에 근거하여 상기 공기청정부의 높이를 결정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주변 공기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공기청정기들을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공기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청정기들이 상기 공기청정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공기청정기들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공기청정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공기청정기가 다른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공기청정기는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소정 높이의 공기를 우선하여 정화하거나, 정화된 공기가 소정 높이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공기청정기에 내장된 조명에서 발생된 빛이 도달하는 영역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 주변환경에 따라 공기 청정 방식을 다르게 함으로써, 현재 공기 상태에 적합한 공기 청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은 넓은 공간에서 공기 정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조명부의 조명 방향을 조절하는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대표적인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근거하여, 공기청정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a 및 6b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서 인식된 제스처에 근거하여 조명부를 제어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인접한 외부기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a 및 9b는 높이에 따른 공기 오염도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공기청정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공기청정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공기청정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공기청정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공기청정기와 다른 공기청정기 사이, 또는 공기청정기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공기청정기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정보 모듈(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공기청정부(130)는 실내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공기흡입구(131)와, 상기 공기청정부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토출구(132)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청정부(130)는 공기흡입구(131)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133)는 탈취 필터, 항균 필터, 헤파(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필터, 울파(Ultra-Low Penetration Air, ULPA) 필터, 활성탄 필터, 전기 집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공기청정기 내 정보, 공기청정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조명부(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53)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재는 전기를 공급하면 빛을 내는 물체로, 구체적으로 백열램프, 형광램프, LED램프, OLED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재는 조명 방향을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공기청정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공기청정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공기청정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공기청정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공기청정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공기청정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공기청정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공기청정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공기청정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공기청정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청정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공기청정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공기청정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1)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공기청정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공기청정기(100)와 외부기기 사이, 또는 공기청정기(100)와 외부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공기청정기(100) 주변에, 상기 공기청정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공기청정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공기청정기(100)를 온/오프 하거나, 공기 청정 동작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4)은 공기청정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공기청정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4)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4)은 공기청정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공기청정기(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공기청정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공기청정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공기청정기 내 정보, 공기청정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공기청정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공기청정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현재 공기청정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공기청정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공기청정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공기청정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공기청정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청정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공기청정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공기청정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공기청정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공기청정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공기청정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공기청정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공기청정기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공기청정부(130) 및 조명부(153)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한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본체(101) 및 높이조절부(102)를 구비한다.
본체(10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실린더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에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는 형태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본체(101)에는 공기청정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1)의 일면에는 공기청정부(130)에 포함된 공기흡입구(131) 및 공기토출구(132)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상면에는 공기흡입구(131)가 배치되고, 본체(101)의 하면에는 공기토출구(13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1) 내부에는 필터(133)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131)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133)을 거쳐 정화된 후 공기토출구(132)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공기흡입구(131) 및 공기토출구(132)가 배치되는 위치는 도 1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1)에는 조명부(153)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53)는 본체(101)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케이스는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명부(153)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53)는 조명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부(153)의 조명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공기청정부(100)는 본체(101)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10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102)는 지면과 접하며, 공기청정부(100)가 지면에 수직으로 서있을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102a), 지지부재(102a)의 일단에 결합 된 제1높이조절 부재(102b), 제1높이조절 부재(102b)의 양단 중 지지부재(102a)에 결합 되지 않은 일단에 결합 된 제2높이조절 부재(102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부재(102a)와 두 개의 높이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102)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높이조절부(102)에 포함된 높이조절 부재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높이조절 부재(102c)의 양단 중 제1높이조절 부재(102b)에 결합 되지 않은 일단은 본체(101)에 결합 된다. 이때, 제2높이조절 부재(102c)는 본체(101)와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높이조절 부재(102c)와 본체(101) 사이에 결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02a)의 내부에는 제1높이조절 부재(102b)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높이조절 부재(102b)의 내부에는 제2높이조절 부재(102c)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있을 수 있다. 즉, 제1높이조절 부재(102b)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재(102a)에 삽입되거나, 제2높이조절 부재(102b)의 적어도 일부가 제1높이조절 부재(102b)에 삽입되면서, 높이조절부(102)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가 지면에 수직으로 서있는 경우, 높이조절부(102)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본체(101)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체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본체의 높이'로 표현한다.
한편, 높이조절부(102)의 내부에는 높이조절부(1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기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술한 전기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높이조절부(1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장치는 높이조절부(102)의 일부분으로,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전기장치에 대한 제어부의 제어는 높이조절부(102)에 대한 제어부의 제어로 표현될 수 있다.
종합하면, 제어부(180)는 높이조절부(102)를 제어하여 본체(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부(102)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21)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공기청정기(100)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제어부(180)는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공기청정부(130) 및 조명부(153)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 및 높이조절부(102) 각각에는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1)에 배치된 카메라(121a)의 위치는 본체(101)의 높이가 변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높이조절부(102)에 배치된 카메라(121b)는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부재(102a)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1)가 높이조절부(102)를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본체(101)에 배치된 카메라(121a)와 높이조절부(102)에 배치된 카메라(121b)는 서로 다른 방향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명부(153)는 조명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b는 조명부의 조명방향을 조절하는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여 조명부(153)의 조명 방법을 조절하는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에서 설명한 공기청정기에서, 조명부(15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조명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명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조명부재가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조명부(153)의 조명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53)에는 복수의 조명부재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a와 같이, 복수의 조명부재들(153a 내지 153c)이 본체(101)의 같은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명부재들은 조명 방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b와 같이, 각각의 조명부재들(153a 내지 153c)은 본체(101)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조명부재들을 선택적으로 온 시킴으로써, 조명부(153)의 조명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53)의 조명 방향은 도1, 도 2a 및 2b에서 설명한 방식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기청정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와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의 도면의 설명에서는 왼쪽 위에 그려진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공기 청정 기능과 함께 조명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청정부(130)가 소정 높이에서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체의 높이를 조절한다. 본체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본체에 배치된 조명부의 조명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조명부에서 발생된 빛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높이에 따라, 조명부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대표적인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에서는 공기청정부(130)가 동작하는 중에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설정하는 단계가 진행(S310)된다.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공기청정부(130)가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공기청정부(130)에 포함된 공기흡입구(131) 및 공기토출구(13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공기흡입구(131)가 소정 높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설정하거나, 공기토출구(132)가 소정 높이에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100)는 소정 높이의 공기를 우선하여 정화하거나, 정화된 공기가 소정 높이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황에 따라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은 후술한다.
제어부(180)가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설정하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에서는 설정된 공기청정부(130)의 높이에 근거하여, 본체(101)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부(102)를 제어하는 단계(S320)가 진행된다.
제어부(180)는 공기흡입구(131) 및 공기토출구(132) 중 어느 하나가 지면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본체(101)의 높이를 조절한다. 공기흡입구(131) 및 공기토출구(132)가 배치된 위치에 따라 본체(101)의 높이는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부(130)가 동작하는 중에 조명부(153)가 소정 조명방향으로 빛을 비추고 있을 수 있으며, 조명부(153)로부터 발생된 빛은 소정 영역에 도달한다. 이때, 본체(101)의 높이가 변하면, 조명부(153)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소정 영역과 다른 영역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에서는 본체(101)의 높이에 따라 조명부(153)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330)가 진행된다.
조명부(153)는 조명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53)의 조명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은 도 2a 및 2b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180)는 본체(101)의 높이에 따라, 조명 방향이 변경되도록 조명부(15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본체(101)가 지면으로부터 제1높이에 위치하고 본체(101) 주위의 소정 영역으로 빛이 도달하도록 조명 방향이 제1방향으로 설정된 경우, 본체(101)가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높이와 다른 제2높이로 이동하면, 상기 소정 영역으로 빛이 도달하도록, 조명부(153)를 제어하여 상기 조명 방향을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본체(101)가 제1높이(h1)에 위치하고, 조명부(153)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비추고 있는 중에, 본체(101)가 제1높이(h1)보다 낮은 제2높이(h2)2로 이동하면, 조명부(153)는 본체(101)가 제1높이(h1)에 있을 때보다 낮은 곳으로 빛을 비추게 된다. 제어부(180)는 조명부(153)의 조명부재를 회전시켜, 조명부(153)의 조명 방향이 더 위쪽을 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본체(101)의 높이가 변하는 경우에도, 조명부(153)가 빛을 비추고 있던 영역에 빛이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고, 본체의 높이에 따라, 조명부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조명부(153)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한다.
도 5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근거하여, 공기청정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공기청정기(100) 주변 사용자의 움직임이 빈번한 경우, 부유 먼지가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반대로, 공기청정기(100) 주변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거나, 사용자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경우, 부유 먼지가 가라앉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활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활동량에 따라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0) 주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공기흡입구(131)가 부유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본체를 제1높이(h1)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공기흡입구(131)가 가라앉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본체(101)를 제1높이(h1)보다 낮은 제2높이(h2)에 위치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공기청청기 주변에 위치하지 않거나, 수면을 취하는 경우, 조명부(153)가 온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이에,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거나, 상기 활동량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조명부(153)가 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제스처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서 인식된 제스처에 근거하여 조명부를 제어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서 따라 조명부(153)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동일한 제스처가 인식되더라도, 본체(101)의 높이에 따라, 조명부(153)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0) 주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중,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조명부(153)의 조명 방향을 변경한다. 이와 달리, 도 6b와 같이, 상기 활동량이 기준 값 이하로 산출되는 중에 상기 기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한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조명부(153)가 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더라도,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활동량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황에 맞는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나는 경우, 기상에 적합한 실내 환경을 조성한다.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기상 시간으로 설정한 시간이 되거나, 상기 활동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나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기상에 적합한 실내 공기 및 조명 환경을 조성한다.
기상에 적합한 실내 공기와 관련하여, 제어부(180)는 공기토출구(132)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머리쪽으로 향하도록 본체(101)의 높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에 근거하여,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설정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기설정된 향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청정기(100)는 향을 발산하도록 이루어진 디퓨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저(154)는 디퓨저(154)에서 발산된 향이 효과적으로 확산되도록, 공기토출구(13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기상에 적합한 조명 환경과 관련하여, 제어부(180)는 조명부(153)가 높은 조도로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공기청정부가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날씨 정보를 습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조명부(153)를 이용하여 상기 날씨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날씨 정보에 따라 조명부(153)에서 서로 다른 색의 빛이 발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외부에 황사가 심한 경우, 노란색, 비가 오는 경우, 파란색, 안개가 낀 경우, 회색 빛이 발산되도록 조명부(15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편안한 환경에서 기상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상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상기 활동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으로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면에 적합한 실내 환경이 조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가 외부기기와 연동하여, 공기청정부 및 조명부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는 일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인접한 외부기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움직이는 경우,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외부기기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조명부(153)를 온 또는 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기설정된 외부기기가 감지되는 경우, 본체(101)가 지면으로부터 제1높이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부(102)를 제어하고, 조명부(153)가 온 되도록 하고, 상기 기설정된 외부기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본체(101)가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높이와 다른 제2높이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부(102)를 제어하고, 조명부(153)가 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공기청정기(100) 근처에서 기설정된 외부기기(200)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 근처에 위치한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유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본체(101)가 제1높이(h1)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부(10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조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조명부(153)가 온 되도록 한다.
도 8의 두 번째 그림과 같이,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우,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기설정된 외부기기(200)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가라앉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본체(101)가 제2높이(h2)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부(10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기 위해, 조명부(153)가 오프 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외부기기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가 센싱부를 이용하여 공기청정부의 높이를 결정하는 일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a 및 9b는 높이에 따른 공기 오염도에 따라 공기청정부의 높이를 결정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주변 공기 상태를 자동으로 파악한 후, 주변 공기 상태에 따라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다르게 결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공기 오염도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로부터 복수의 높이에 대응되는 공기 오염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복수의 높이에 대응되는 공기 오염도에 근거하여,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140)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들이 높이조절부(102)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시간으로 복수의 높이에 대응되는 공기 오염도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본체(1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본체(101)의 높이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높이조절부(102)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높이에 대응되는 공기 오염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제어부(180)는 본체(101)가 일정 시간간격으로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높이조절부(102)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복수의 높이에 대응되는 공기 오염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공기오염도가 가장 높은 높이(h2)에 공기청정부(130)가 위치하도록 본체(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높이에 대응되는 공기 오염도 및 기설정된 높이에 위치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공기 오염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제어부(180)는 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지면 부근의 공기오염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기오염도를 공기청정부(130)의 높이를 설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넓은 공간에서 한 대의 공기청정기가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공간 내에 설치된 물체들로 인하여,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넓은 공간에 제각각 작동하는 여러 대의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여러 대의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일일이 컨트롤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공기청정기(100)가 복수 개 있을 경우, 하나의 공기 청정 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 시스템은 복수 개의 공기청정기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공간의 공기 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시스템에서는 상기 공기청정기들이 상기 공기청정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공유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상태정보는 어느 공기청정기의 식별정보, 어느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위치정보, 어느 공기청정기에서 획득된 센싱값, 어느 공기청정기에서 감지된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 어느 공기청정기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에 내장된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다른 공기청정기와 상기 상태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들 간에 상기 상태정보를 공유한 상태에서, 상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공기청정기들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공기청정기로 설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마스터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공기청정기,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공기청정기, 센싱부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공기청정기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마스터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 주변의 공기오염도가 가장 높은 공기청정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들 중 마스터 공기청정기로 설정된 공기청정기와 다른 공기청정기는 슬레이브 공기청정기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공기청정기는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마스터 공기청정기가 설정되면, 상기 마스터 공기청정기가 다른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마스터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공기청정기들의 제어부 역할을 한다. 마스터 공기청정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공기청정기들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슬레이브 공기청정기들과 관련된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슬레이브 공기청정기들과 관련된 제어는 도 4 내지 도 9b에서 설명한 모든 제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공기청정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공기청정기들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고, 사용자와 인접한 슬레이브 공기청정기의 조명부만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청정 시스템은 복수의 공기청정부(130) 및 조명부(153)가 하나의 공간에 분할 배치되어 동작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소정 방향으로 빛을 비추도록 이루어진 조명부; 및
    상기 공기청정부가 동작하는 중에 상기 공기청정부의 높이를 설정하고,
    상기 조명부는 조명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설정된 상기 공기청정부의 높이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본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조명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제1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주위의 소정 영역으로 빛이 도달하도록 상기 조명 방향이 제1방향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높이와 다른 제2높이로 이동하면, 상기 소정 영역으로 빛이 도달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명 방향을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38134A 2015-09-30 2015-09-30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468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34A KR102468639B1 (ko) 2015-09-30 2015-09-30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34A KR102468639B1 (ko) 2015-09-30 2015-09-30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67A KR20170038567A (ko) 2017-04-07
KR102468639B1 true KR102468639B1 (ko) 2022-11-18

Family

ID=5858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34A KR102468639B1 (ko) 2015-09-30 2015-09-30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396B1 (ko) * 2018-11-29 2021-01-08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공기청정기
KR102333859B1 (ko) * 2019-08-07 2021-12-03 전대훈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WO2021025231A1 (ko) * 2019-08-07 2021-02-11 전대훈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20230004971A (ko) * 2021-06-02 2023-01-09 남호진 추적식 상하이동 공기청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2606A (ja) * 2011-12-27 2013-07-08 Nikka Micron Kk 局所型清浄空気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44B1 (ko) * 2007-01-29 2009-02-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동 운전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090043234A (ko) * 2007-10-29 2009-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HK1146518A2 (en) * 2011-01-14 2011-06-10 Akos R & D Ltd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2606A (ja) * 2011-12-27 2013-07-08 Nikka Micron Kk 局所型清浄空気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67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639B1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1047589B2 (en) Air blower and air blowing system
KR102521493B1 (ko) 청소 로봇 및 그 제어방법
EP3718704B1 (en) Moving device for cleaning, cooperative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612613B1 (ko) 공기 청정기
US20180299899A1 (en) Localized collection of ambient data
EP3095099B1 (en)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CN105388777B (zh) 智能家居控制系统
KR102570208B1 (ko) 가상 모델하우스 제공 시스템
US20140309752A1 (en) Device control system,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4842358A (zh) 一种可自主移动的多功能机器人
JP2011052851A (ja) 連携気流制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11076272B2 (en) Autonomous, mobile, and network connected output devices
US11260525B2 (en) Master robot for controlling slave 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00680B1 (ko) 전자 프레임의 충전 어셈블리 및 전자 프레임의 충전 방법
CN105759874A (zh) 智能家居空气环境系统
KR101618020B1 (ko)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실내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7510135A (ja) 無線wifiインテリジェントシーリングライト用の赤外線リモコンで操作可能な家電のシステム
EP3089445A1 (en) Function module system
KR102594358B1 (ko)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명령 전송
KR101945495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459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8301B1 (ko) 로봇 청소기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274064B1 (ko) 스마트양식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4707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