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701B1 -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701B1
KR102467701B1 KR1020200183992A KR20200183992A KR102467701B1 KR 102467701 B1 KR102467701 B1 KR 102467701B1 KR 1020200183992 A KR1020200183992 A KR 1020200183992A KR 20200183992 A KR20200183992 A KR 20200183992A KR 102467701 B1 KR102467701 B1 KR 102467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harging
charger
pow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753A (ko
Inventor
김구환
류준우
김현웅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to KR102020018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7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장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차; 상기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기차와 충전 메세지를 주고받는 충전기 모뎀을 구비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와 전기차를 연결하고,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 상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Charging Apparatus To Input And Output PWM Signal}
본 발명은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적인 운송 수단으로서 전기차(Electric Vehicle, EV)가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는 운행을 위해 전기를 충전해야 하고, 충전시 충전기로부터 충전을 할 수 있다. 전기차의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완속 충전 또는 급속 충전은 물론 전기차의 상태에 최적화된 충전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향후에 화석 연료를 대체할 전기차가 보급되기 전에 차량 ID 를 충전기와 전기차가 상호 교환하고 전기차의 상태에 최적화된 충전기 및 배터리 제어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차의 급속 충전은 물론 완속 충전시 차량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 제어부의 상태 정보 및 차량 ID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충전 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용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장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차; 상기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기차와 충전 메세지를 주고받는 충전기 모뎀을 구비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와 전기차를 연결하고,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 상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급속 충전 및 완속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정보, 상기 전기차의 차량 정보,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상기 커넥터 케이블 및 상기 충전기를 통하여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차의 차량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완속 충전 방식시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충전 제어에 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충전 스케줄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 사용자에게 차량 정보를 제공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충전 이력 관리를 통하여 부가적인 서비스로서, 배터리 상태 관리, 배터리 제어부 상태 관리, 배터리 제어부의 정상 동작 관찰, 비정상 충전상태 알림, 비정상 충전패턴 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급속 충전시 충전기 모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완속 충전시 충전기 모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완속 충전시 전력 공급부의 제2 PWM 신호를 통하여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PWM 신호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4에서 제1 PWM 신호를 통하여 충전기의 최대 용량을 입출력하고 제2 PWM 신호를 통하여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장치는 충전기(60), 전기차(70), 서버(2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60)는 충전기(60)나 전기차(70)의 충전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60)는 전력 공급부(61), 충전기 제어부(62), 충전기 모뎀(6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61)는 전력 계통에서 공급된 전력을 교류 - 직류 상호간 변환하거나, 직류 전압을 조절할 수 있고, 전기차(7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61), 충전기 제어부(62), 충전기 모뎀(64)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기(60)의 최대 용량 또는 전력 공급부(61)의 최대 용량을 파악하고, 전기차(70)의 전기차 모뎀(74), 배터리 제어부(72) 중 적어도 하나에 충전기(60)의 최대 용량 또는 전력 공급부(61)의 최대 용량을 입출력할 수 있다.
충전기 모뎀(64)은 충전기(70)의 충전 관련 정보, 전기차(60)의 충전 관련 정보, 사용자 정보나 전기차(70)의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
충전기 제어부(62)는 전력 공급부(61)를 포함한 충전기(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기차(70)는 배터리(71), 배터리 제어부(72), 전기차 모뎀(7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부(72)는 배터리(71)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급속 충전 모드의 국제 표준에 의하면 전기차 모뎀(74)은 충전 및 방전 정보를 충전기 모뎀(64)에 전달할 수 있다.
급속 충전 모드의 국제 표준에 의하면 충전기 모뎀(64)은 전기차 모뎀(74)과 연결되며 충전기 모뎀(64) 및 전기차 모뎀(74)은 충전 정보에 관한 메세지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전기차(70)는 충전할 때 충전기 모뎀(64)과 전기차 모뎀(74)이 메세지를 교환할 수 있다. 메세지는 충전 전압, 충전 전류, 충전 전력, SOC 잔량, 충전기(60)의 용량, 차량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급속 충전 모드시 충전기 모뎀(64)은 충전 전압, 충전 전류, 충전 전력, SOC 잔량, 충전기(60)의 용량, 차량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70)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260)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 ID는 전기차의 차량 종류, 전기차의 제조사, 전기차의 차량 연식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전기차 차종별 충전 기준 패턴, 전기차 연식별 충전 기준 패턴, 계절별 충전 기준 패턴, 온도별 충전 기준 패턴, 충전기 장소별 충전 기준 패턴, 충전기 용량별 충전 기준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복수의 충전 기준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충전기 모뎀(64)에 연결되어 전기차(70)의 충전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복수의 충전 기준 패턴 및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버(260)에 충전 회원으로 가입하고 자신의 신상 정보나 차량 정보를 입력하면 차량 ID가 서버(260)에 등록될 수 있다. 특정 전기차(70)가 충전기(60)에 연결되면 차량 ID별로 충전 특성이 결정되고 충전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차량 ID는 전기차(70)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 전기차(70)에 관한 차량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나 차량 ID의 등록이 완료된 전기차(70)가 충전기(60)에 연결되면 차량 ID가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에 입수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차량 ID에 대응되는 충전 기준 패턴을 검색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충전 기준 패턴과 충전 정보를 비교하고 전기차(70)의 정상 여부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차량 ID를 기준으로 유사 차종을 인식하고 유사 차종의 반복된 충전 정보를 토대로 특정 차종의 충전 기준 패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충전기(60)에 연결된 전기차(70)의 충전 정보와 충전 기준 패턴의 오차값을 계산하고, 오차값이 허용 기준을 초과하면 부가 정보로서 차량 고장을 인식하고 충전기(60)의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충전기(60)가 전기차(70)에 전력을 충전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전기차(70)의 정상 상태 여부에 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용량으로서 50kW 용량의 제1 충전기(60)로 전기차(70)를 충전할 때, 사용자는 자신의 전기차(70)가 제1 용량에 미달하는 10kW 용량으로만 충전되는지 불만을 가질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충전 기준 패턴과 충전 정보를 비교하여 전기차(70)가 불량인지 충전기(60)가 불량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전기차(70)나 충전기(60)에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 부가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충전기(60) 사업자는 부가 정보에 따라 전기차(70) 또는 충전기(60)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전기차(70)의 충전 과정에서 실시간 생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충전이 진행되는 도중에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전기차(70) 또는 충전기(6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복수의 전기차(70)의 충전 과정에서 획득된 충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충전 기준 패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간 충전 정보의 장시간 축적에 따라 빅데이터가 생성되고, 전기차(70)의 수명 예측, 고장 여부, 부품 상태,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서비스 항목이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에 추가될 수 있다.
전기차(70) 충전기(60) 및 전기차(70)에 내장된 배터리(71)는 직류를 입출력하는 급속 충전 모드와, 교류를 입출력하는 완속 충전 모드로 구분 동작될 수 있다.
완속 충전 모드의 국제 표준에 따르면, 급속 충전(직류 방식)과는 달리 완속 충전(교류 방식)시에는 차량의 배터리(71)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없을 수 있다. 급속 충전의 국제 표준은 충전기 모뎀(64) 및 전기차 모뎀(74)을 통한 충전 정보 교환을 당연히 수행하지만, 완속 충전시 충전기 모뎀(64)을 통한 충전 정보 교환이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완속 충전의 국제 표준은 전력 공급부(61)에서 배터리(71)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PWM 신호를 실어서 충전기(60)의 최대 용량만 전기차(70) 또는 배터리 제어부(72)로 전달하는 것만 규정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현재의 완속 충전에 관한 국제 표준에 따르면, 충전기 제어부(62), 배터리 제어부(72), 서버(260) 중 하나는 충전 종료 시간을 예측할 수 없으며 충전 전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없다. 이는 전력 관리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 제공이 미흡하여 전력 계통 안정성 및 서비스 고도화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속 충전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기(60)의 최대 용량외에 부가 정보도 충전기(60), 전기차(70), 서버(260) 사이에 입출력되는 것이 특징이다. 부가 정보는 사용자 정보 또는 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완속 충전시 차량 정보를 교환하지 않는 현재의 국제 표준 방식에서는 차량의 배터리 잔량(SoC)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충전 종료 시간을 예상하기 어려울 수 있고, 충전 전력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속 충전기(60)를 운용하는 서버(260)에서 충전 스케줄링, 충전종료 예상 시간 산출 등의 고부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기(60)가 교류 방식의 완속 충전 모드로 동작할 때, 전기차(70)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서버(260)에 입출력하여, 충전 종료 예상 시간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고 사용자에게 배터리(71) 상태나 충전 종료 예상 시간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차(70)는 완속 충전시에도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을 기반으로 IEC 61851 표준을 사용할 수 있다. IEC 61851 표준은 충전기(60)에서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 용량을 전기적인 신호인 PWM 신호로 전기차(70)에 전송할 수 있다. 충전기(60)에서 전력 공급부(61)를 통하여 전기차(70)의 배터리 제어부(72)로 전달되는 정보는 충전기(60)의 최대 용량뿐이다. 전기차(70)의 실제 충전 전력은 전기차(70)의 배터리 제어부(72)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현재의 국제 표준 방식은 충전기(60)의 최대 전력 용량만 차량에 전달될 뿐, 차량 정보, 전기차(70) ID, 사용자 정보, 요금 정보, 충전 관련 기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기(60), 전기차(70), 또는 서버(260)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충전기(60)가 직류 방식의 급속 충전 모드로 동작할 때, 전기적인 신호 외에도 전기차(70)의 배터리(71)와 충전기(60)가 충전 관련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여 충전을 진행하는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배터리(71) 충전량(SoC), 현재 충전 전력량 등의 차량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가 충전기(60) 또는 서버(260)로 전달되어 효율적인 충전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충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보다 진보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완속 충전 시에도 충전 정보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완속 충전시에도 급속 충전의 통신방식을 활용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완속 충전시 차량 정보가 필요한 시점에 충전기(60)에 탑재된 충전기 모뎀(64)을 통해 급속 충전 통신 방식을 사용하며, 충전은 완속 충전 통신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충전기(60)와 전기차(70) 사이의 전력 공급은 완속 충전 방식을 따르고, 충전기(60)와 전기차(70) 사이의 부가 정보 전달은 급속 충전 방식을 따르는 하이브리드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정보 취득부(250)는 차량 상태를 입수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절하거나 충전기(60) 또는 사용자앱 등을 통해 차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 케이블(90)은 전원 전달부(92) 및 신호 전달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의 국제 표준에 따르면, 급속 충전시 전원 전달부(92) 및 신호 전달부(91)가 모두 활성화되며 급속 충전 통신방식으로 부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현재의 국제 표준에 따르면, 완속 충전시 신호 전달부(91)는 폐쇄되고 전원 전달부(92)만 활성화되며 충전기(60)의 최대 전력 용량만 제1 PWM 신호로 변조되어 전원 전달부(92)를 통해 배터리 제어부(72)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260)는, 급속 충전 및 완속 충전시, 상기 전기차(70)의 충전 정보, 상기 전기차(70)의 차량 정보, 상기 전기차(70)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상기 커넥터 케이블(90) 및 상기 충전기(60)를 통하여 입수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완속 충전시 급속 충전 포맷의 통신방식으로 부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실시예어서, 전기차(70)의 급속 충전시, 전원은 전원 전달부(92)에 의하여 전달되고 부가 정보는 신호 전달부(91)를 통하여 급속 충전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전기차(70)의 완속 충전시, 급속 충전과 마찬가지로 전원은 전원 전달부(92)에 의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부가 정보는 신호 전달부(91)를 통하여 급속 충전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되는 것이 제1 실시예의 특징이다.
완속 충전시, 서버(260)는 충전기 모뎀(64)으로부터 급속 충전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받은 부가 정보를 완속 충전에 관한 부가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급속 충전시 및 완속 충전시, 부가 정보는 동일한 포맷으로 커넥터 케이블(90)을 통하여 충전기(60) 또는 서버(260)에 전달될 수 있다. 동일한 포맷은 급속 충전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현재의 국제 표준에 따르면 완속 충전시 신호 전달부(91)는 폐쇄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완속 충전시 활성화 신호를 이용하여 전기차(70) 또는 배터리 제어부(72)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트리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2 실시예에서, 전기차(70)의 완속 충전시, 신호 전달부(91)의 연결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가 전기차(70)에 전달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활성화된 신호 전달부(91)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전기차(70)의 완속 충전시, 충전기(60) 또는 서버(260)는 전원 전달부(92)를 통하여 전기차(70) 또는 베터리 제어부에 활성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부(72)는 활성화 신호를 입수하면 완속 충전시에도 신호 전달부(91)의 연결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신호 전달부(9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완속 충전시에도 배터리 제어부(72) 및 충전기(60)는 신호 전달부(91)를 통하여 급속 충전 데이터 형식으로 부가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다. 오로지 전원 전달부(92)만 이용하여 전원 및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실시예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70)의 완속 충전시, 신호 전달부(91)의 신호 전달은 폐쇄된 상태에서 전원 전달부(92)의 전원 전달이 이루어지며, 전원에 제1 PWM 신호 및 제2 PWM 신호가 중첩될 수 있다.
제1 PWM 신호는 충전기(60)의 최대 전력 용량을 PWM 변조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60)의 최대 전력 용량이 64Kw라고 예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64Kw는 25% 듀티 사이클을 갖는 PWM 신호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완속 충전시 교류 전원에 PWM 신호가 중첩된 경우가 도시된다. 상단의 그래프는 PWM 신호가 중첩된 교류 전원이고, 이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신호가 아래의 그래프이다. 교류 전원을 일정 주기 T1에 대하여 25% 듀티 사이클을 갖는 PWM 신호를 중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듀티 길이 T2를 갖는 PWM 교류 전원으로 변조될 수 있다. 듀티 길이 T2를 갖는 PWM 교류 전원은 전기차(70)에 공급되는 전원에 충전기(60)의 최대 전력 용량이 64Kw라는 정보를 포함시킨 실시예이다.
제2 실시예에서, 제2 PWM 신호는 활성화 정보를 PWM 변조한 신호일 수 있다. 듀티 길이 T2를 갖는 PWM 교류 전원의 첫번째 사이클에 듀티 길이 T3를 갖는 제2 PWM 신호를 중첩시킬 수 있다. 배터리 제어부(72)는 듀티 길이 T3를 갖는 재2 PWM 신호를 신호 전달부(91)를 급속 충전 데이터 형식으로 활성화시키라는 지령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후에 부가 정보는 신호 전달부(91)를 통하여 입출력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2 PWM 신호는 부가 정보를 PWM 변조한 신호일 수 있다. 부가 정보가 차량 ID라고 가정하면, 배터리 제어부(72)는 차량 ID를 듀티 길이 T3를 갖는 제2 PWM 신호로 변조하여 전원 전달부(92)를 통하여 입출력할 수 있다. 서버(260) 또는 충전기(60)는 다른 종류의 제2 PWM 신호를 전원에 중첩시켜 전기차(70) 또는 배터리 제어부(72)와 통신할 수 있다.
60...충전기 61...전력 공급부
62...충전기 제어부 63...충전 미터기
64...충전기 모뎀 70...전기차
71...배터리 72...배터리 제어부
74...전기차 모뎀 250...정보 취득부
260...서버 90...커넥터 케이블
91...신호 전달부 92...전원 전달부

Claims (7)

  1.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차;
    상기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기차와 충전 메세지를 주고받는 충전기 모뎀을 구비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와 전기차를 연결하고,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
    상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급속 충전 및 완속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정보, 상기 전기차의 차량 정보,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상기 커넥터 케이블 및 상기 충전기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결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가 상기 전기차에 전달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활성화된 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급속 충전시, 전원은 상기 전원 전달부에 의하여 전달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급속 충전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되며,
    상기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 전원은 상기 전원 전달부에 의하여 전달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급속 충전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되며,
    상기 완속 충전시, 상기 서버는 상기 충전기 모뎀으로부터 상기 급속 충전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받은 상기 부가 정보를 완속 충전에 관한 부가 정보로 변환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급속 충전시 및 완속 충전시, 상기 부가 정보는 동일한 포맷으로 상기 커넥터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서버에 전달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
  4. 삭제
  5.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차;
    상기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기차와 충전 메세지를 주고받는 충전기 모뎀을 구비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와 전기차를 연결하고,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
    상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급속 충전 및 완속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정보, 상기 전기차의 차량 정보,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상기 커넥터 케이블 및 상기 충전기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 상기 충전기 또는 서버는 상기 전원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신호를 입수하면 상기 완속 충전시에도 상기 신호 전달부의 연결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신호 전달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완속 충전시에도 상기 배터리 제어부 및 상기 충전기는 상기 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6.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차;
    상기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기차와 충전 메세지를 주고받는 충전기 모뎀을 구비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와 전기차를 연결하고,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
    상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급속 충전 및 완속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정보, 상기 전기차의 차량 정보,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상기 커넥터 케이블 및 상기 충전기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 상기 신호 전달부의 신호 전달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전달부의 전원 전달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에 제1 PWM 신호 및 제2 PWM 신호가 중첩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
  7.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차;
    상기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기차와 충전 메세지를 주고받는 충전기 모뎀을 구비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와 전기차를 연결하고,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및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
    상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급속 충전 및 완속 충전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정보, 상기 전기차의 차량 정보,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상기 커넥터 케이블 및 상기 충전기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 상기 커넥터 케이블을 통하여 제1 PWM 신호 및 제2 PWM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1 PWM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최대 전력 용량을 PWM 변조한 신호이고,
    상기 제2 PWM 신호는 상기 부가 정보를 PWM 변조한 신호인 전기차 충전 장치.
KR1020200183992A 2020-12-25 2020-12-25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KR102467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992A KR102467701B1 (ko) 2020-12-25 2020-12-25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992A KR102467701B1 (ko) 2020-12-25 2020-12-25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753A KR20220092753A (ko) 2022-07-04
KR102467701B1 true KR102467701B1 (ko) 2022-11-17

Family

ID=8239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992A KR102467701B1 (ko) 2020-12-25 2020-12-25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7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586B1 (ko) * 2013-03-04 2015-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기차 동적 충전 방법 및 시스템
WO2014155529A1 (ja) * 2013-03-26 2014-10-02 中国電力株式会社 充放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充放電システム
KR101857469B1 (ko) * 2016-03-22 2018-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의 충전기를 통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1926482B1 (ko) * 2016-09-02 2018-12-07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90122947A (ko) * 2018-04-23 2019-10-31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KR20200062404A (ko) * 2018-11-26 2020-06-04 진상훈 콤보방식 전기 자동차용 포터블 급속 충전 시스템
KR102622035B1 (ko) * 2018-12-18 2024-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케이블, 그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753A (ko)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90651B (zh) 蓄电装置、输送设备以及控制方法
US105768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via plural chargers
US20180229612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interface
US10987803B2 (en) Automated robotic battery tug
CN104553847B (zh) 具有第二dc-dc转换器的插电式车辆
EP2830185B1 (en) Electric vehicle, electric power facilities and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US9153989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EP2535218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77265B2 (en) Mediator device for smart electric vehicle charging
CN104638694A (zh) 用于电动汽车对电动汽车的无线充电系统及方法
KR101826801B1 (ko) 전기기기의 제어장치 및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CN102244407A (zh) 使用多个充电器的电池充电
CN104283251A (zh) 电动车辆充电系统及分配该系统电源输送的方法
CN104025420A (zh) 电力供给系统和供电装置
CN114475304A (zh) 便携式高压车辆充电系统
JP5361003B2 (ja) 分電盤
CN104638696A (zh) 用于移动式储能电站对新能源汽车的无线充电系统及方法
CN113165546A (zh) 对混合动力车或电动车的驱动蓄能器充电和放电的装置
KR102467701B1 (ko) 부가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CN110014889A (zh) 对具有电驱动器的车辆的低电压车载网络的供电
KR101481215B1 (ko) 전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CN103733470A (zh) 电动车充电系统以及电动车充电装置
CN102769307A (zh) 管理电动车的能量源的装置和方法
JP5999576B2 (ja) 家屋用電力供給システム、家屋及び電気自動車
KR20130120228A (ko) 전기 자동차,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