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551B1 - Pulling device for body - Google Patents

Pulling device for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551B1
KR102467551B1 KR1020200136096A KR20200136096A KR102467551B1 KR 102467551 B1 KR102467551 B1 KR 102467551B1 KR 1020200136096 A KR1020200136096 A KR 1020200136096A KR 20200136096 A KR20200136096 A KR 20200136096A KR 102467551 B1 KR102467551 B1 KR 102467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user
footrest
hand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2120A (en
Inventor
김우준
Original Assignee
김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준 filed Critical 김우준
Priority to KR102020013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51B1/en
Publication of KR2022005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7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for active exercising, the apparatus being also usable for pass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견인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스로 스트레칭을 하여 틀어진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할 수 있도록, 바닥에 놓여져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는 발걸이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적어도 일지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가 발걸이구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 척추 및 골반을 견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견인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traction device, which can be easily accessed by a user while minimizing spatial restrictions, and is placed on the floor so that the user can correct a twisted spine and pelvis by self-stretching. a supporting plate; A footrest that can hang the feet of a user lying on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has a handle portion that the user can grip or push by hand at at least one point, so that the user lying on the support plate can put his foot on the footrest. It relates to a body 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ne and pelvis can be towed by holding, pulling, or pushing a handle in a held state.

Description

신체 견인기구{Pulling device for body}Body pulling device {Pulling device for body}

본 발명은 신체 견인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스스로 스트레칭을 하며 틀어진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할 수 있는 신체 견인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tra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dy traction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a twisted spine and pelvis while a user stretches himself.

인간은 나이가 들면서 중력의 잡아당김에 저항할 근력이 줄어들어 몸이 앞으로 굽게 되며, 일상생활 속 잘못된 자세를 취함에 따라 척추 또는/및 골반이 틀어지게 된다. 이처럼 틀어진 척추 또는/및 골반은 신경을 눌러 통증이나 질병을 유발하고 장기의 기능을 약화시킨다.As people get older, their muscle strength to resist the pull of gravity decreases, causing their bodies to bend forward, and as they take incorrect postures in daily life, the spine or/and pelvis become distorted. Such a twisted spine or/and pelvis presses on nerves, causing pain or disease and weakening organ functions.

이에 따라, 척추 및 골반의 틀어짐을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스트레칭 기구가 등장하고 있다. 스트레칭 기구는 공원, 가정, 헬스장 등에 일명 '거꾸리'라 불리우는 기구가 있으며, 물리치료실,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전문교정기구가 있다. Accordingly, various stretching mechanisms for correcting twists of the spine and pelvis have emerged. Stretching equipment includes a so-called 'upside-down' equipment in parks, homes, and gyms, and there are professional orthodontic equipment used in physical therapy rooms and hospitals.

전문교정기구는 각종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 쉽게 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거꾸리'의 경우 전문교정기구 대비 가격이 저렴한바 가정에 설치하여 쉽게 접할 수 있기는 하나, 사용자를 소정의 높이에서 회전시켜야 하는 기구의 특성상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 보관이나 이동이 어려워 공간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Professional orthodontic appliances include various functions, so they are heavy and expensive, so they are difficult to access easily. In the case of 'upside-down', the price is cheaper than professional orthodontic instruments, so it can be installed at home and easily accessed. There is a problem with falling.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9347호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49347 'Prevention of leg veins and spinal disease prevention stretching tractio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스로 스트레칭을 하여 틀어진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할 수 있는 신체 견인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 trac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a user while minimizing spatial restrictions, and which can correct a twisted spine and pelvis by stretching itself.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는, 바닥에 놓여져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는 발걸이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적어도 일지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Body retrac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plate is placed on the floor to support the user's upper body lying on at least the upper side; A footrest that can hang the feet of a user lying on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has a handle portion that the user can grip or push by hand at at least one point.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지지판의 일단부에서 사용자의 머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된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부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지지판의 일단부 저면이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art includes a first handle part form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user's head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but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first handle part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edge. can be formed according to

또한, 상기 지지판은 사용자의 상체부터 대퇴부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대퇴부가 지지되기 시작하는 지지판 부분의 폭이, 상체가 지지되는 지지판 부분의 폭보다 넓어져 형성된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is formed to support a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where the thigh portion starts to be supported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where the upper body is supported. can include

또한, 상기 지지판 중 상체가 지지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의 외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on which the upper body is supported may be formed so that the user's elbow is positioned outside the support plate.

또한, 상기 발걸이구는 지지판이 바닥에 놓여질 시, 및 지지판이 발걸이구에 의해 기립될 시,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가능한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plate is placed on the floor, and when the support plate is erected by the footrest, the footrest may be provided with a wheel capable of rotating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loo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지지판에 누워 발걸이구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잡고 당기거나 손잡이부를 밀어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칭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는 틀어진 척추를 바로 세울 수 있으며, 골반의 벌어짐을 교정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장기 아이들의 키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tretch by himself by holding and pulling the handle or pushing the handle while lying on the support plate and putting his foot on the footrest. By continuously performing such stretching, the user can straighten the twisted spine, and can correct and prevent widening of the pelvi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omoting the height growth of growing children.

그리고, 사용자 스스로가 지지판 상에서 손잡이를 이용한 운동을 하게끔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한바, 무게가 다른 스트레칭 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himself is configured to exercise using the handle on the support plate, the structure is simple, the weight is relatively light compared to other stretching mechanisms, and the volume is small, so it is easy to move and store, so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이 바닥에 놓여지고 그 상측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에 적용되는 제1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트레칭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에 적용되는 제2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트레이칭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가 세워져 보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dy trac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user lies on the upper sid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stretches using a first handle applied to a body trac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stretches using a second handle applied to the body trac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retrac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rected and stored.

본 발명에서는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스로 스트레칭을 하여 틀어진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할 수 있도록, 바닥에 놓여져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는 발걸이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적어도 일지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가 발걸이구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 척추 및 골반을 견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견인기구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upper body lying on at least the upper side, placed on the flo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it while minimizing spatial restrictions, and the user can correct the twisted spine and pelvis by stretching themselves; A footrest that can hang the feet of a user lying on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has a handle portion that the user can grip or push by hand at at least one point, so that the user lying on the support plate can put his foot on the footrest. We propose a body trac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ne and pelvis can be towed by holding, pulling or pushing the handle in the gun stat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ody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ttached.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과 발걸이구(200)를 포함하며, 연결바(300) 및 고정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8 , the body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100 and a footrest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bar 300 and a fixing pin 400.

지지판(1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판이며, 바닥에 놓여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놓여진 지지판(100)의 상측에 사용자가 눕게 되는데, 이때 지지판(100)은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판(100)이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부터 엉덩이를 지나 대퇴부의 일부에 이르기까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The support plate 100 is a plat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plac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4, the user lies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placed on the floor.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s at least the upper body of the user lying on the upper side. More preferably, the support plate 100 is formed to support the upper body of the user lying on the upper side through the buttocks to a part of the thigh.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지점과 인접한 지지판(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판(100)의 일단이라 하며, 그 반대편인 지지판(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판(100)의 타단이라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100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 user's head is supported is referred to as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the opposite edge of the support plate 100 is referred to as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do.

지지판(100)은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함에 있어, 사용자의 어깨가 위치하는 부분이 적어도 사용자의 어깨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 전체가 지지판(1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에 이르기까지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할 제2 손잡이부(110b)의 사용을 고려하였을 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에 이르기까지의 폭은 점차 줄어들게끔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10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에 이르기까지의 폭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지 않더라도, 지지판(100) 중 상체가 지지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100)의 외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supporting the user's upper body, the support plate 100 preferably has a portion where the user's should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t least the user's shoulder width so that the entire user's shoulder is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plate 100. In addition, the width from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user's shoulder to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but the use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110b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voided. In considera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width from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user's shoulder to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user's hip is gradually reduced, so that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elbow of the support plate 100 to be located outside. An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width from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user's shoulder to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user's hip is not gradually reduced, the upper body of the support plate 100 is supported. The part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user's elbow is positioned outside the support plate 100.

지지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판 전체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지지판(100)의 상측에서 보다 편안하게 누운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가 맞닿는 각 부분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판(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이 맞닿는 부분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이를 기준으로 지지판(100)의 일단과 타단을 향해 점차 두께가 얇아지게끔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1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entire plat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but the user's body is in contact so that the user's body can take a more comfortable lying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It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according to each par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plate 100 is formed to have the thickest thickness at the part where the user's back comes into contact, and based on this, the support plate 100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towar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can

이때, 지지판(1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측 저면이 바닥과 소정의 간격 이격되는데, 지지판(100)이 바닥에 놓여질 시 일단부와 타단부 측도 안정적으로 바닥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저면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된 제1 지지돌부(130)와 제2 지지돌부(1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돌부(130)와 제2 지지돌부(140)는 일 예로, 지지판(100)에서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과 함께 바닥에 맞닿을 수 있게끔 돌출형성되며, 지지판(100)의 폭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돌부(130)는 지지판(100)의 이동시 사용자가 이를 통해 지지판(10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함입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판(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제1 지지돌부(130)의 함입된 부분에 손을 넣어 지지판(100)을 들거나 끌어 이동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en the support plate 100 is placed on the floor,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also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S. 3 and 4 , a first support protrusion 130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140 protruding downward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30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40 are protruded so as to contact the floor with the thickest part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are formed along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support plate 100. It can be formed in the length of.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30 may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support plate 100 therethrough when the support plate 100 moves. Therefore, the user can lift or pull the support plate 100 by putting his or her hand into the recessed part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30 while the support plate 100 is erected.

지지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지점에 상측에 누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upport plate 100 may have a handle portion 110 that can be gripped or pushed by a user lying on the upper side at least at one point.

일 예로, 손잡이부(110)는 지지판(100)의 일단부에서 사용자의 머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된 제1 손잡이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110a)가 형성되는 지지판(100)의 일단부는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누운 사용자가 팔을 올린 후 어깨보다 넓게 팔을 벌린 상태에서도 제1 손잡이부(110a)를 잡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handle part 110 may include a first handle part 110a form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user's head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where the first handle part 110a is forme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part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user's shoulder, but after the user lying down raises his or her arm, the arm is wider than the shoulder.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shoulder of the user so that the first handle portion 110a can be grasped even in an open state.

이러한 제1 손잡이부(110a)는 지지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끔 지지판(100)의 일단부 중 두 군데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 손으로 두 개의 제1 손잡이부(110a)를 각각 파지하고 당길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손잡이부(110a)는 손목 통증을 지닌 사용자가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스트레칭을 함에 효과적이다. The first handle portion 110a is formed in two places of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as shown in FIG. 5,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hold and pull the two first handle parts 110a with both hands,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first handle portion 110a is effective for a user with wrist pain to perform stretching to correct the spine and pelvis.

그리고 두 개의 제1 손잡이부(110a) 사이 지점은, 제1 손잡이부(110a)에 비해 내측으로 함입되게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지지판(100)에 누울 시 머리가 위치되어야 하는 부분이 어디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손잡이부(110a)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지지판(100)의 일단부 저면이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짐에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손잡이부(110a)와 바닥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으로 손가락을 넣으며 제1 손잡이부(110a)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oint between the two first handle parts 110a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compared to the first handle part 110a, whereby the user should lie down on the support plate 100, where the head should be located. You can easily figure out where this is. In addition, the first handle portion 110a is formed as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edge. Accordingly, sinc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ndle part 110a and the floor,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first handle part 110a b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space as shown in FIG. 5 .

다른 일 예로, 손잡이부(110)는 대퇴부가 지지되기 시작하는 지지판(100) 부분의 폭이, 상체가 지지되는 지지판(100) 부분의 폭보다 넓어져 형성된 제2 손잡이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110b)는 이와 일단측으로 인접한 지지판(100) 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손잡이부(110b)는 지지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끔 두 군데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 손으로 두 개의 제2 손잡이부(110b)를 각각 밀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2 손잡이부(110b)는 어깨 통증을 지닌 사용자가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스트레칭을 함에 효과적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handle part 110 may include a second handle part 110b formed by making the width of the part of the support plate 100 where the femur starts to be supported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art of the support plate 100 where the upper body is supported. can The second handle portion 110b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edge of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djacent to one end thereof. The second handle portion 110b is formed in two place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as shown in FIG. 6, the user can hold the two second handles with both hands.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push the handle part (110b),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second handle portion 110b is effective for a user suffering from shoulder pain to perform stretching to correct the spine and pelvis.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은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100)의 외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지지판(100)의 상측에 누운 상태에서 팔을 뻗어 양손이 두 개의 제2 손잡이부(110b)에 맞닿음에 있어, 팔꿈치가 바닥과 맞닿거나 지지판(100)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므로 안정적으로 제2 손잡이부(110b)를 밀 수 있다. An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late 100 can be formed so that the user's elbow is located outside the support plate 100, the user stretches his arms in a state lying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both hands have two arms. In contact with the second handle part 110b, since the elbow abuts with the floor or i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0, the second handle part 110b can be stably pushed.

한편, 발걸이구(200)는 지지판(100)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걸이구(200)는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10), 지지프레임(220), 지지봉(230), 걸이봉(240)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otrest 200 is configured to hang the user's feet lying on the support plate 100. The footrest 200 may include a wheel 210, a support frame 220, a support rod 230, and a hanging rod 240 as shown in FIGS. 1 and 2, for example.

먼저, 지지프레임(220)은 일 예로, '

Figure 112020111006229-pat00001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지지프레임(22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제1 지지프레임(221) 중앙을 연결하는 제2 지지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봉(230)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되며 일 제1 지지프레임(221)의 양단을 통해 일 제1 지지프레임(221)에 억지끼워질 수 있다. 또한, 지지봉(230)은 종단면이 원형을 이룰 수도 있으나, 다각형 형태를 이루어 원형인 경우에 비해 바닥과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support frame 220 is, for example, '
Figure 112020111006229-pat00001
The two first support frames 221 may be formed in a 'character shape,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hile forming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two first support frames 221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frame 222 connecting the center. The support bar 2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force-fit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221 through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221 . In addition, the support bar 230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t is preferable to have a polygonal shape so that a relatively large area can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compared to a circular shape.

그리고 제1 지지프레임(221)에는 지지봉(230)의 외측으로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가능한 바퀴(210)가 구비될 수 있다. 바퀴(210)는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되도록 지지봉(230)의 너비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지지봉(230)의 너비보다 과도하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 후술할 걸이봉(240)과 함께 지면에 맞닿을 경우, 그 중심 간의 높이 차이가 크게 되므로, 지지봉(230)의 너비보다 1mm 내지 5mm 정도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frame 221 may be provided with wheels 210 rotatable while making contact with the floor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230 . The wheel 21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width of the support rod 230 so as to rotate while contacting the floor, but when formed to have a diameter excess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upport rod 230, the hanging rod to be described later ( 240),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width of the support bar 230 by about 1 mm to 5 mm, sinc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s thereof becomes large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걸이봉(240)은 지지봉(230)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되며 타 제1 지지프레임(221)의 양단을 통해 타 제1 지지프레임(221)에 억지끼워질 수 있다. 또한, 걸이봉(240)도 종단면이 원형을 이룰 수 있으나, 다각형 형태를 이루어 원형인 경우에 비해 바닥과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지지판(100)에 누운 상태에서 지지봉(230)과 걸이봉(240) 사이로 발을 넣고 발목 부근에 걸이봉(240)이 맞닿게끔 함으로써 발을 걸 수 있다. Like the support rod 230, the hanging rod 24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 hollow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to be forcefully fitted into the other first support frame 221 through both ends of the other first support frame 221. can In addition, the hanging rod 240 may also have a circular longitudinal section,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polygonal shape so that a relatively large area can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compared to the case of a circular shape. The user can put his/her foot between the support rod 230 and the hanging rod 240 while lying on the support plate 100 and allow the hanging rod 24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nkle.

그리고 지지판(100)에 누운 사용자가 하체를 편 상태에서 발을 고정시킬 수 있게끔 발걸이구(200)는 지지판(100)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발걸이구(200)는 지지판(100)과 분리된 구성일 수 있으나, 발걸이구(200)의 고정과 보관 등의 편의성 측면에서 지지판(1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과 발걸이구(200)를 연결하는 연결바(300)와, 연결바(300)를 지지판(10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trest 200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a user lying on the support plate 100 can fix his feet while stretching his lower body. This footrest 20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plate 100, bu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the support plate 100 in terms of convenience such as fixing and storing the footrest 2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necting bar 300 connecting the support plate 100 and the footrest 200, and the fixing for fixing the connecting bar 300 to the support plate 100 A pin 400 may be further included.

연결바(300)는 직선인 바(bar) 형태를 이루며 제1 지지프레임(221)에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지지봉(230)의 중심과 걸이봉(24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라인과, 연결바(300)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예각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봉(230)의 중심과 걸이봉(24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라인과, 연결바(300)가 이루는 각도는 80°~90°임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bar 300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221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support rod 230 and the center of the hanging rod 240 and the angle formed by the connection bar 300 form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close to a right angl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230 and the center of the hanging bar 240 and the connection bar 300 is 80° to 90°.

연결바(300)는 지지판(100)의 타단측에서 내부로 삽입되게끔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제2 고정홀(31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00)의 타단측 상면에는 삽입된 연결바(300)가 지나는 적어도 일 지점에 제1 고정홀(12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400)은 제1 고정홀(120)과 복수 개의 제2 고정홀(310) 중 어느 하나를 한꺼번에 관통하게끔 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판(100)과 발걸이구(200) 간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핀(400)은 제1 고정홀(120)과 복수 개의 제2 고정홀(31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게 끼워질 시, 그 상단이 지지판(100)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끼워진 고정핀(4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지지판(100)에는 제1 고정홀(120)과 인접한 부분이 내측으로 함입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ar 300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from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second fixing holes 310 may be formed through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hole 120 may b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point through which the inserted connection bar 300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 In addition, the fixing pin 400 may be inserted so as to pass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fixing hole 1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holes 310 at once, and thus between the support plate 100 and the footrest 200. may maintain a spaced apart st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when the fixing pin 400 is insert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fixing hole 1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holes 310,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400 is formed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0. do. 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inserted fixing pin 400,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fixing hole 120 of the support plate 100 may be recessed inwar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신체 견인기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바퀴(210)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장소로 본 발명을 이동시킨 후, 지지판(100)을 바닥에 놓는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게끔 연결바(300)를 지지판(100)으로부터 인출하고 고정핀(400)을 꽂아 발걸이구(2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지지판(100)에 누워 발걸이구(200)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잡고 당기거나 손잡이부(110)를 밀어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칭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는 틀어진 척추를 바로 세울 수 있으며, 골반의 벌어짐을 교정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장기 아이들의 키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user who wants to use the body trac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oves the present invention to a desired place using the wheels 210, and then places the support plate 100 on the floor. Next, the user withdraws the connecting bar 300 from the support plate 100 to match his height and inserts the fixing pin 400 so that the footrest 200 is fixed. Thereafter, the user may stretch while lying on the support plate 100 and holding and pulling the handle part 110 or pushing the handle part 110 while the foot is hanging on the footrest 200 . By continuously performing such stretching, the user can straighten the twisted spine, and can correct and prevent widening of the pelvi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omoting the height growth of growing children.

그리고, 사용자 스스로가 지지판(100) 상에서 손잡이부(110)를 이용한 운동을 하게끔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한바, 무게가 다른 스트레칭 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한 운동을 한 후, 고정핀(400)을 뽑아 지지판(100)과 발걸이구(200)가 인접하게끔 연결바(300)를 지지판(100) 내로 삽입하고 고정핀(400)을 꽂아 고정시킨 다음, 바퀴(210)를 이용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봉(240)과 바퀴(210)가 바닥에 맞닿게끔 지지판(100)을 기립시켜 보관시 최소 부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himself is configured to exercise using the handle part 110 on the support plate 100, the structure is simple, the weight is relatively light compared to other stretching mechanisms, and the volume is small, so it is easy to move and store, so space utilization can increase For example, after the user exercise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ulls out the fixing pin 400 and inserts the connecting bar 300 into the support plate 100 so that the support plate 100 and the footrest 2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serts the fixing pin ( 400)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n moved to a place to be stored using the wheels 210, and as shown in FIGS. ) can be made to have a minimum volume when stored.

100 : 지지판 110 : 손잡이부
110a : 제1 손잡이부 110b : 제2 손잡이부
120 : 제1 고정홀 130 : 제1 지지돌부
140 : 제2 지지돌부
200 : 발걸이구 210 : 바퀴
220 : 지지프레임 221 : 제1 지지프레임
222 : 제2 지지프레임 230 : 지지봉
240 : 걸이봉
300 : 연결바 310 : 제2 고정홀
400 : 고정핀
100: support plate 110: handle part
110a: first handle part 110b: second handle part
120: first fixing hole 130: first support protrusion
140: second support protrusion
200: footrest 210: wheel
220: support frame 221: first support frame
222: second support frame 230: support bar
240: hanging rod
300: connecting bar 310: second fixing hole
400: fixing pin

Claims (5)

바닥에 놓여져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부터 대퇴부의 일부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된 지지판(100); 및 상기 지지판(100)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는 발걸이구(200);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판(100)에 누운 사용자가 발걸이구(200)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 척추 및 골반을 견인시킬 수 있되,
상기 지지판(100) 중 상체가 지지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100)의 외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되는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지지판(100)의 일단부에서 사용자의 머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면서 저면이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짐에 따라 형성된 제1 손잡이부(110a)와,
상기 대퇴부가 지지되기 시작하는 지지판(100) 부분의 폭이, 상체가 지지되는 지지판(100) 부분의 폭보다 넓어져 형성되며, 일단측으로 인접한 지지판(100) 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제2 손잡이부(11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부(110a) 및 제2 손잡이부(110b)는, 각각 지지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끔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110a) 사이 지점은, 제1 손잡이부(110a)에 비해 내측으로 함입되게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견인기구.
a support plate 100 placed on the floor to support a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upper body of a user lying on the upper side, and having a handle portion 110 that the user can grip or push by hand; And a footrest 200 for hanging the feet of a user lying on the support plate 100; including, the handle part 110 in a state where the user lying on the support plate 100 puts his feet on the footrest 200 You can grab and pull or push the spine and pelvis to tow,
The upper body supported part of the support plate 100 is formed so that the user's elbow is located outside the support plate 100,
The handle part 110 is located outside the user's head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100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part of the support plate 100 supporting the user's shoulder, and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edge. A first handle portion 110a formed along,
The width of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t which the femur starts to be supported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on which the upper body is supported, forming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edge of th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djacent to one end side. Including a second handle portion (110b),
The first handle part 110a and the second handle part 110b are each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The body retrac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int between the first handle portion (110a)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compared to the first handle portion (110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구(200)는 지지판(100)이 바닥에 놓여질 시, 및 지지판(100)이 발걸이구(200)에 의해 기립될 시,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가능한 바퀴(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견인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rest 200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wheel 210 while touching the floor when the support plate 100 is placed on the floor and when the support plate 100 is raised by the footrest 200 a body trac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36096A 2020-10-20 2020-10-20 Pulling device for body KR1024675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96A KR102467551B1 (en) 2020-10-20 2020-10-20 Pulling device for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96A KR102467551B1 (en) 2020-10-20 2020-10-20 Pulling device for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120A KR20220052120A (en) 2022-04-27
KR102467551B1 true KR102467551B1 (en) 2022-11-15

Family

ID=8139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096A KR102467551B1 (en) 2020-10-20 2020-10-20 Pulling device for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51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746B1 (en) * 2003-02-10 2006-07-28 정재호 The device of stretching-motion, physiotherapy which same time draws the body to the both sides.up and down
KR20050117636A (en) * 2004-04-06 2005-12-15 이현석 Streching machine
KR20100008607U (en) * 2009-02-20 2010-08-30 한송욱 Complex retractor for spine
KR101649347B1 (en) 2014-11-07 2016-08-18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Apparatus for adjusting exercise and prevention of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120A (en)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930B1 (en) Rehabilitation strap system
US20130324383A1 (en)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US6422982B1 (en) Chiropractic exerciser
US20130319488A1 (en) Folding walker with height adjustable crutches
ES2911502T3 (en) Exercise chair that uses a resistant adjustable band system
US6012182A (en) Bed-rise or chair-rise assist apparatus
WO2017131883A1 (en) Fitness training system
WO2008016930A1 (en) Kneeling device
KR102022567B1 (en)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KR102467551B1 (en) Pulling device for body
US6676575B1 (en) Weight support for abdominal exercises
KR101424386B1 (en) Exercise apparatus for twisting waist
US1953857A (en) Exercising device
US20200060927A1 (en) Adjustable muscle massage board
JP2018082948A (en) Stretching exercise instrument and stretching exercise method
CN216496147U (en) Multifunctional integrated table and chair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children suffering from cerebral palsy
KR102022569B1 (en)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KR20180124446A (en) Lunge exercise machine
JP3135714U (en) Bed furniture head structure
US200201980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e
TWM587996U (en) Rehabilitation aid structure
JP2002035161A (en) Instrument for training muscular power
WO2011038541A1 (en) Exercise equipment
KR102610961B1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KR100318363B1 (en) Sporting goods for relaxing mus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