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294B1 -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294B1
KR102467294B1 KR1020200165898A KR20200165898A KR102467294B1 KR 102467294 B1 KR102467294 B1 KR 102467294B1 KR 1020200165898 A KR1020200165898 A KR 1020200165898A KR 20200165898 A KR20200165898 A KR 20200165898A KR 102467294 B1 KR102467294 B1 KR 10246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query
length
sources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919A (ko
Inventor
방경식
유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아이디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아이디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아이디랩
Priority to KR102020016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2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2Query formulation
    • G06F16/634Query by example, e.g. query by hu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43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image processing hard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는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reference audio source)을 저장하는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하는 길이 테이블 생성부, 쿼리 음원(query audio source)을 입력받는 쿼리 입력부 및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하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UPLICATE SOUND SOURCE USING PARALLEL COMPUTING}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원 관련 저작권 협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단체에서 표절 음원 검출 등의 이유로 신규 음원 또는 기존 음원을 판독하는 시스템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수백만 곡의 음원을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시간이나 연산량으로 볼 때 상당한 로드(load)가 걸리는 작업이다.
즉, 저작권에 저촉되는지 확인이 필요한 쿼리 음원과 기존의 수백만 곡의 레퍼런스 음원을 비교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1261 (2019.05.15)호에서는 오디오 핑거프린트 매칭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산량을 대폭 줄이고 보다 빠르게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을 매칭할 수 있는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reference audio source)을 저장하는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하는 길이 테이블 생성부, 쿼리 음원(query audio source)을 입력받는 쿼리 입력부 및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중복 음원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reference audio source)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쿼리 음원(query audio source)을 입력받는 단계 및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복 음원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연산량을 대폭 줄이고 보다 빠르게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을 매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음원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의 id를 프로세서의 상수 메모리(Constant Memory)에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처리 유닛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에 할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음원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복 음원 검출 장치(100)는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110), 길이 테이블 생성부(120), 쿼리 입력부(130), 매칭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부(140)는 그룹 도출부(142) 및 판단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중복 음원 검출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음원 검출 장치(100)는 쿼리 음원(query audio source)이 레퍼런스 음원(reference audio source)의 저작권에 저촉되는 음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을 매칭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중복 음원 검출 장치(100)는 레퍼런스 음원의 핑거 프린트와 쿼리 음원의 핑거 프린트를 매칭하여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 음원의 핑거 프린트는 음원 간의 매칭 또는 각 음원의 식별을 위해 음원이 갖는 특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산량을 대폭 줄이고 보다 빠르게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을 매칭할 수 있는 핑거 프린트 기술을 제공한다.
중복 음원 검출 장치(100)의 일예는 데스크탑, 노트북 등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중복 음원 검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110)는 수많은 레퍼런스 음원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각 레퍼런스 음원의 오디오 핑거프린트의 포인터들로 표현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레퍼런스 음원이란 쿼리 음원의 비교 대상이 되는 음원으로서, 예를 들어, 저작권 등의 권리를 갖는 음원을 의미할 수 있다.
길이 테이블 생성부(120)는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테이블은 음원 길이별 복수의 그룹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음원의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면, 길이 테이블 생성부(120)는 예를 들어, 1분대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포함하는 제 1 그룹(210), 2분대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포함하는 제 2 그룹(220) 및 3분대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포함하는 제 3 그룹(230) 등으로 구성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길이 테이블 생성부(120)는 길이 테이블 생성 시, 각 레퍼런스 음원의 i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레퍼런스 음원의 id는 각 레퍼런스 음원의 식별자(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관리되는 식별자), 각 레퍼런스 음원이 속하는 그룹, 각 레퍼런스 음원의 종류 및 각 레퍼런스 음원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테이블 생성부(120)는 각 레퍼런스 음원의 id를 각 레퍼런스 음원의 식별자와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쿼리 입력부(130)는 쿼리 음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쿼리 음원은 관리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쿼리 음원이란 레퍼런스 음원과 비교하기 위해 입력되는 음원으로서, 예를 들어 TV(television)에 나오는 배경 음악(background music), 음악 쇼의 생방송 음악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중복 음원 검출 장치(100)는 쿼리 입력부(130)를 통해 쿼리 음원을 입력받거나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매칭부(140)는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쿼리 음원과 복수의 그룹 중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그래픽 처리 유닛(GPU: Graphics Processing Unit)이고, 복수의 처리 유닛은 그래픽 처리 유닛의 코어(Core)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다.
본원에서는 그래픽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레퍼린스 음원의 핑거 프린트와 쿼리 음원의 핑거 프린트를 병렬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을 매칭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별하고, 복수의 처리 유닛을 통해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을 병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과 달리 프로세서가 레퍼런스 음원마다 쿼리 음원의 길이와의 차이를 확인할 경우, 병렬 처리의 특성 상 병렬 매칭에 의한 시간이 필수적으로 소요되어 처리 시간이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레퍼런스 음원의 길이와 쿼리 음원의 길이의 차이에 따라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 간의 비교를 스킵하는 경우도 많아서 효율성이 낮아진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매칭부(140)가 병렬 연산을 이용하여 중복 음원을 검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의 id를 프로세서의 상수 메모리(Constant Memory)에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처리 유닛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에 할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매칭부(140)는 쿼리 음원의 길이(310)와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길이를 갖는 레퍼런스 음원을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으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140)는 쿼리 음원의 길이(310)가 3분인 경우, 2분 30초 내지 3분 30초의 길이를 갖는 레퍼런스 음원을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으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140)는 쿼리 음원의 길이(310)와 기설정된 차이 이내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320)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도출부(142)는 쿼리 음원의 길이(310)가 3분인 경우, 2분 대의 길이를 갖는 레퍼런스 음원을 포함하는 그룹 및 3분 대의 길이를 갖는 레퍼런스 음원을 포함하는 그룹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320)에 포함된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이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일 수 있다.
본원에서는 쿼리 음원의 길이와 레퍼런스 음원의 길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것만 비교함으로써 연산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판단부(144)는 복수의 처리 유닛 각각을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에 할당하여 쿼리 음원과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의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부(144)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의 id를 프로세서의 상수 메모리에 부여하고, 복수의 처리 유닛이 상수 메모리를 통해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면, 판단부(144)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410) 각각의 id를 프로세서의 상수 메모리(420)에 부여하고, 복수의 처리 유닛이 상수 메모리(420)를 통해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의 id를 프로세서의 상수 메모리(420)에 기록하여 복수의 처리 유닛이 읽기 전용으로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의 id를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판단부(144)는 복수의 처리 유닛 각각이 쿼리 음원과 할당된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의 핑거 프린트를 매칭하여 유사도 이미지를 추출하고, 유사도 이미지에 기초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판단부(144)는 제 1 처리 유닛(501)에 제 1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502)을 할당하고, 제 2 처리 유닛(503)에 제 2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504)을 할당하고, 제 3 처리 유닛(505)에 제 3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506)을 할당하고, 제 4 처리 유닛(507)에 제 4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508)을 할당할 수 있다.
각 처리 유닛(501, 503, 505, 507)은 쿼리 음원과 할당된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의 핑거 프린트를 매칭하여 유사도 이미지를 추출하고, 유사도 이미지에 기초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의 id가 상수 메모리의 크기보다 클 경우, 각 처리 유닛(501, 503, 505, 507)은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의 id를 상수 메모리의 크기만큼 분할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처리 유닛(501, 503, 505, 507)은 유사도 이미지에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직선의 표시 유무에 기초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의 핑거 프린트가 동일한 경우, 유사도 이미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직선이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레퍼런스 음원과 쿼리 음원의 핑거 프린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유사도 이미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직선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출력부(150)는 쿼리 음원과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간의 매칭 여부에 따라 쿼리 음원에 상응하는 레퍼런스 음원을 출력하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쿼리 음원과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간의 매칭 여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0에서 중복 음원 검출 장치는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중복 음원 검출 장치는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중복 음원 검출 장치는 쿼리 음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중복 음원 검출 장치는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할 수 있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방법은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중복 음원 검출 장치
110: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120: 길이 테이블 생성부
130: 쿼리 입력부
140: 매칭부
142: 그룹 도출부
144: 판단부
150: 출력부

Claims (16)

  1.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reference audio source)을 저장하는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하는 길이 테이블 생성부;
    쿼리 음원(query audio source)을 입력받는 쿼리 입력부; 및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와 기설정된 차이 이내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도출하는 그룹 도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테이블은 음원 길이별 상기 복수의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음원의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장치.
  3. 삭제
  4.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reference audio source)을 저장하는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하는 길이 테이블 생성부;
    쿼리 음원(query audio source)을 입력받는 쿼리 입력부; 및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와 기설정된 차이 이내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도출하는 그룹 도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 유닛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에 할당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 유닛 각각이 상기 쿼리 음원과 할당된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의 핑거 프린트를 매칭하여 유사도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유사도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의 id를 상기 프로세서의 상수 메모리(Constant Memory)에 부여하고, 상기 복수의 처리 유닛이 상기 상수 메모리를 통해 상기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그래픽 처리 유닛(GPU: Graphics Processing Unit)인 것인, 중복 음원 검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유닛은 상기 그래픽 처리 유닛의 코어(Core) 또는 쓰레드(Thread)인 것인, 중복 음원 검출 장치.
  9.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reference audio source)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쿼리 음원(query audio source)을 입력받는 단계; 및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와 기설정된 차이 이내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테이블은 음원 길이별 상기 복수의 그룹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음원의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방법.
  11. 삭제
  12.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reference audio source)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음원을 음원 길이에 기초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길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쿼리 음원(query audio source)을 입력받는 단계; 및
    프로세서의 복수의 처리 유닛으로 병렬 연산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쿼리 음원의 길이와 기설정된 차이 이내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처리 유닛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에 할당하여 상기 쿼리 음원과 상기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처리 유닛 각각이 상기 쿼리 음원과 할당된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의 핑거 프린트를 매칭하여 유사도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유사도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 각각의 id를 상기 프로세서의 상수 메모리(Constant Memory)에 부여하고, 상기 복수의 처리 유닛이 상기 상수 메모리를 통해 상기 매칭 대상 레퍼런스 음원에 접근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중복 음원 검출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그래픽 처리 유닛(GPU: Graphics Processing Unit)인 것인, 중복 음원 검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유닛은 상기 그래픽 처리 유닛의 코어(Core) 또는 쓰레드(Thread)인 것인, 중복 음원 검출 방법.
KR1020200165898A 2020-12-01 2020-12-01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 KR10246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98A KR102467294B1 (ko) 2020-12-01 2020-12-01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98A KR102467294B1 (ko) 2020-12-01 2020-12-01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19A KR20220076919A (ko) 2022-06-08
KR102467294B1 true KR102467294B1 (ko) 2022-11-16

Family

ID=8198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898A KR102467294B1 (ko) 2020-12-01 2020-12-01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2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13B1 (ko) * 2009-12-30 2010-08-31 전자부품연구원 Svm기반 복 수의 매칭 알고리즘을 결합한 음원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138247B1 (ko) 2018-02-27 2020-07-28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음원 평가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221B1 (ko) * 2017-11-06 2019-10-29 주식회사 아이티밥 오디오 핑거프린트 매칭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13B1 (ko) * 2009-12-30 2010-08-31 전자부품연구원 Svm기반 복 수의 매칭 알고리즘을 결합한 음원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138247B1 (ko) 2018-02-27 2020-07-28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음원 평가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19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6755B2 (en) Cross-blockchain interaction systems
JP6542909B2 (ja) ファイル操作方法及び装置
RU2701124C2 (ru) Составные функции разбиения
US9716720B2 (en) Unregistered user account generation for content item sharing
US20160110414A1 (en) Information searc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47070A1 (en) Cloud comuting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data files in cloud servers
US10592546B2 (en) System for optimizing access to an indexed database
WO2022116425A1 (zh) 数据血缘关系解析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620324B2 (en) Media asset access control system
CN108184170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140304384A1 (en) Uploading large content items
US9930063B2 (en) Random identifier generation for offline database
US88926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file stored in cloud storag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method
US10958744B2 (en) Identifying and managing redundant digital content transfers
CN109255035A (zh) 用于构建知识图谱的方法和装置
CN110633046A (zh) 一种分布式系统的存储方法、装置、存储设备及存储介质
US20220058373A1 (en) Application execution based on object recognition
CN113342759A (zh) 内容共享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467294B1 (ko) 병렬 연산을 이용한 중복 음원 검출 장치 및 중복 음원 검출 방법
US10379743B1 (en) Offloaded delete operations
CN111510467B (zh) 投屏码生成方法、设备连接码生成方法及装置
NL2025495B1 (en) Digital asset authentication processing platform and method
US10567539B2 (en) Managing metadata in cloud driven, thin client video applications
CN114168762A (zh) 一种多媒体资源的播放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6861472A (zh) 数据匹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